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 개발과 타당화: 기독교인 성인을 대상으로

        오태균,권재기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nse of faith community test tool for adult Christia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sub-domain that explains the sense of the faith community and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faith community sense. The researchers have continued to examine whether the sense of faith community is equally measurable as a test tool for adult Christians. The Delphi survey of the third phase resulted in 128 questions, and the last 60 items were developed for the test tool. The domain of faith community sense was divided into four factors such as relational factor, conscious factor, environmental factor, and emotional fac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our components of the study consisted of a good model for the faith community sense than other alternative structural model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model was a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sense of community of faith. In order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gender and age groups can use the tools of sense test of faith community verified by the multiple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urthermore, it is confirmed that the form identity, the measurement identity, the segment identity, the partial dispersion / covariance identity, and the similarity are verified. The major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developing a more realistic and systematic system of sense test for the Christians,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sense of faith community, which was not established in the previous research. Second, based on the test results of the community sense developed in this study, it can help the Christian adults to confirm their current spirit level and strengthen the sense of necessary community.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hange of sense of faith community through continuous accumulation of test results. 본 연구는 현대 기독교인의 지역 교회내에서 신앙공동체 의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30대 이상의 남녀 성인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를 개발, 타당화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총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결과 128개의 문항을 도출하였고, 최종 60개 문항의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신앙공동체의식의 영역은 관계적 요인, 의식적 요인, 환경적 요인, 그리고 정서충족적 요인 등 4개 요인으로 구분된다. 개발된 도구의 타당성 검증 결과에서는 신앙공동체의식 검사가 다른 대안적 구조모형보다 양호한 모형으로 나타나 이 모형이 신앙공동체의식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고, 각 하위요인별 신뢰도 역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를 성별과 연령별 모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동동성을 검증한 결과,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부분 분산/공분산동일성이 확보되어 구인동등성이 검증되었으며, 이는 30대 이상의 기독교 성인남녀 모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지지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한 연구의 주요한 의의로는 첫째, 이 검사 도구 개발을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확립되지 못했던 신앙공동체의식을 독립적인 평가 영역으로 확립시키는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점과, 이를 기초로 성도들이 현재 자신의 신앙공동체의식 수준을 확인하고 필요한 신앙공동체의식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둘째, 주기적인 기독교인의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결과의 지속적인 누적을 통해 교인들의 신앙공동체의식의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하워드 스나이더의 선교적 교회론에 관한 연구

        양형철 ( Yang Hyungcheol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2 神學과 宣敎 Vol.62 No.-

        이 논문은 교회갱신학자 하워드 스나이더의 저서에 풍부하게 담고 있는 선교적 교회론에 대한 연구이다. 스나이더의 신학사상속에 담겨진 교회갱신에 대한 통찰은 최근 선교적 교회론에서 말하고 있는 여러 신학적 개념들과 교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선교적 교회론의 주요 신학 개념들인 하나님 나라, 하나님의 선교 그리고 총제적 구원 등이다. 그럼에도 위 둘 사이의 차이를 언급한다면 아래와 같다. 스나이더는 교회가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대행자임을 인정하지만, 결코 교회의 자리를 소홀히 하지 않는다. 또한 스나이더는 피조물의 구원까지 아우르는 총체적 구원을 주장하지만, 그 구원의 시작은 개인의 구원임을 분명히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스나이더는 웨슬리의 전통에 따라 성경과 자연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하지만 결코 성경의 권위를 최상의 자리에서 후퇴시키지 않는다. 그는 한국교회의 위기를 네 가지 신학적 진단 결과로 기술한다. 구원의 사유화, 신앙의 내세화, 신앙의 환원주의, 신앙의 세속화다. 다음으로는, 스나이더의 신학에 나타난 세 가지 갱신의 원리인 공동체성, 성령의 운동성, 창조의 연결성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한국교회 갱신과 선교적 재활성화를 위해 선교적 예전, 선교적 제자도. 선교적 공동체를 제언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missionary ecclesiology, which is abundantly contained in the books of Howard Snyder, a church renewal scholar. The insight on church renewal contained in Snyder’s theological thought intersects with several theological concepts that are being talked about in the recent missionary ecclesiology. For example, the main theological concepts of missional ecclesiology are the kingdom of God, God’s mission, and total salvation. Nevertheles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bove two a re mentioned below. Snider acknowledges that the church is an agent for the kingdom of God, but never neglects the church’s place. Also, Snyder insists on total salvation that encompasses the salvation of Pizomol, but clearly states that the beginning of that salvation is individual salvation. Finally, while Snyder, in Wesleyan tradi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Bible and nature, he never retreats from its supreme authority. The results of four theological diagnosis of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are described. These are the privatization of salvation, the afterlife of faith, the reductionism of faith, and the secularization of faith. Next, we introduce the three principles of renewal that appeared in Snider’s theology: communality, movement of the Holy Spirit, and connectivity of creation. Lastly, missionary liturgy and missionary discipleship for renewal and missionary revitalization of the Korean church. Suggest a missionary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