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 L. 스테이플스의 웨슬리 성화론 재해석에 대한 비판

        배명지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3 조직신학연구 Vol.44 No.-

        John Wesley developed his theology through many articles, discussions, and sermons on the Sanctification theory. However, although it is this sanctification theory that is representative of Wesleyan Theology, it is the discussion of the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this sanctification that has been prone to misunderstanding and confusion in the study of Wesleyan Theology until recently.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a correct establishment of this topic is essential above all for the powerful dissemination of the correct Wesley Sanctification theory. In this respect, the researcher analyzed and criticized Rob Lyndal Staples' doctoral dissertation, “John Wesley'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a Reinterpretation”. Because the thesis he focused on was also about the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but his discussion of whether the nature of instantaneousness was possessive or relational was a big misunderstanding of Wesley's own point of view. In this thesis, the researcher first examined the representative controversies from Wesley's time to the 20th century in order to examine the discussion on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in sanctification. And the researcher also dealt with scholars who approach these debates from a different level, but they focused on relationships rather than the existential approach of sinfulness regarding sanctification. Staples also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of Sanctification theory, and in this respect, he reinterpreted Martin Buber's philosophical concept in particular. Some of the important issues that researchers criticized Staples for are: Can Staples' instantaneous sanctification be regarded as Wesley's 'decisive' instantaneous sanctification? And is Staples' assessment that Wesley believed that instantaneousness of sanctification is achieved through faith, but that gradualness is achieved through works correct? Moreover, is it a correct interpretation that Staples characterizes the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in terms of 'I-Thou' and 'I-It' by citing Buber?The researcher especially pointed out the injustice of Staples' criticism that Wesley himself contradicted the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the Sanctification theory. Staples emphasized that the way to solve the contradiction he pointed out was to reinterpret the momentary as a dimension of repeatable experience like Buber. However, this is a major misunderstanding of Wesley, the researchers noted. This is because, in the first place, the entire sanctification that Wesley spoke of was about the relational belief that one could be newly sanctified into Christ, not legally flawless perfection. The instantaneous experience of the entire sanctification experienced by faith that Wesley spoke of is what energized this love, and whil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gradual sanctification in faith, sanctification as the completion of the law and righteousness in Christ grows in perfect love for God and neighbors. Therefor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as suggested by Theodore H. Runyun and Henry H. Knight III, appropriately interpreting the dimension of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Wesley Sanctification theory from a relational perspective can contribute to ending the ongoing debate on Sanctification theory. 존 웨슬리(John Wesley)는 성화론에 대한 많은 글과 논의 그리고 설교 등을 통해서 자신의 신학을 발전시켜 나갔다. 그러나 비록 웨슬리 신학의 대표성을 지닌 것이 이 성화론이긴 하지만, 최근까지도 웨슬리 신학 연구에 있어서 오해와 혼선을 빚기 쉬운 주제가 바로 이 성화의 순간성과 점진성에 대한 논의이다. 연구자는 올바른 웨슬리 성화론의 힘 있는 전파를 위해서는 바로 이 주제에 대한 바른 정립이 무엇보다도 필수적이라고 본다. 이런 점에서 연구자는 스테이플스(Rob Lyndal Staples, 1925-2015)의 박사학위 논문인 “John Wesley'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a Reinterpretation”를 분석하여 비평하였다. 왜냐하면 그가 주목한 논제도 웨슬리 성화론의 순간성과 점진성에 관한 것이었는데, 그러나 그 순간성의 성격이 소유적인 것이냐 아니면 관계적인 것이냐에 대한 그의 논의가 웨슬리 자신의 관점을 오해한 점이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먼저 성화에 있어서 순간성 혹은 점진성에 대한 논의를 살피기 위해 웨슬리 당시부터 20세기까지의 대표되는 논쟁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자는 이 논쟁들을 좀 더 다른 차원에서 접근하는 학자들도 다루는데, 그들은 성화에 관한 죄성의 실체론적 접근이 아닌 관계성에 집중한 시각이었다. 스테이플스도 성화론의 관계성에 주목하였고, 이 점에 있어서 특히 마르틴 부버(Martin Buber)의 철학적 개념을 수용하여 재해석하였다. 연구자가 스테이플스에 대해 비판하는 몇 가지 중요한 문제 제기는 다음과 같다; 스테이플스가 말하는 순간적 성화라는 것이 과연 웨슬리가 말하는 ‘결정적인’ 순간적 성화라고 볼 수 있는가? 그리고 웨슬리는 성화의 순간성은 믿음으로 얻지만 그 점진성은 행위로 이루어간다고 보았다는 스테이플스의 평가는 올바른 시각인가? 더욱이 스테이플스가 부버를 인용함으로 ‘나와 너’ 그리고 ‘나와 그것’의 관점에서 웨슬리 성화론의 순간성과 점진성을 특징적으로 규정한 것은 올바른 해석인가?연구자는 특히 스테이플스가 성화론의 순간성과 점진성에 대해 웨슬리가 스스로 모순을 일으켰다고 비판한 점의 부당성을 지적하였다. 스테이플스는 자신이 지적한 그 모순을 해결하는 법이 부버적으로 그 순간성을 반복 가능한 경험의 차원으로 재해석하는 길이라고 강조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웨슬리에 대한 큰 오해임을 연구자는 지적했다. 애당초 웨슬리가 말한 온전한 성화란, 율법적으로 흠이 없는 완전이 아니라, 그리스도로 새롭게 성화될 수 있다는 관계적 믿음에 대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웨슬리가 말한 믿음으로 경험한 성화의 순간적 체험은 이 사랑에 동력을 불어넣은 것이고, 믿음 안에서 점진적 성화의 과정을 거쳐가면서 그리스도 안에서 율법과 의의 완성으로서의 성화가 하나님과 이웃을 향한 온전한 사랑 안에서 성장해 가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런연(Theodore. Runyon)과 나이트(Henry H. Knight III)가 제시한 것처럼, 웨슬리의 성화론의 순간성과 점진성의 차원을 관계론적으로 적절히 해석하게 되면 그동안 지속되던 성화론 논쟁을 일단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레비나스 현상학을 통한 존 웨슬리 성결론의 타자성 연구 ―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중심으로

        배명지 ( Bae Myung-ji ) 한국조직신학회 2022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7 No.-

        이 논문은 웨슬리 성결론에서의 타자성을 표현함에 있어서 레비나스의 타자현상학이 갖는 유익성을 제시한다. 연구자는 먼저 레비나스의 현상학을 알기 위해 현상학의 일반적 특징을 살펴본다. 그것은 지향성인데, 현상학의 시초인 후설에게서 이 개념은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레비나스에게서는 이 지향성이 타자를 향하는 것을 보게 된다. 레비나스에게서 주체는 타자 없이 혼자서는 불가능한 주체이다. 무엇보다 요소세계에서 만나는 타자들, 특별히 ‘사람’들은 나의 것으로 환원되지 않는 타자성을 갖고 있다. 이처럼 레비나스는 주체에게로 해석되고 환원되어지는 의미의 전체성과 반대되는 의미로 타자의 타자성을 주장한다. 결국 이 타자성은 신학함에 있어서, 특별히 웨슬리의 성결론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방법론이 된다. 하나님의 타자성인 거룩성을 나타내는 성결을 이해함에 있어서 인간 중심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닌, 성경 중심적으로, 타자 하나님으로부터 새롭게 이해되는 성결 이해가 필요하다. 이 성결을 인간 이해의 범주, 심리적, 혹은 문자적으로만 접근하게 되면 성결이 갖고 있는 진정한 의미와 그 타자성을 상실해 버린다. 웨슬리 또한 당시의 성결에 대한 잘못된 이해들을 비판하며 진정한 의미에서의 성결이 무엇인지 자신의 설교 “그리스도인의 완전”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연구자는 웨슬리가 주장하는 성결의 특징에서 ‘완전’이라는 단어의 의미가 인간 차원에서 이해되는 의미와 다른, 완전하신 그리스도가 내주함으로써 가능케 되는 완전인 것을 밝힘을 통하여, 성결이 인간의 노력으로 가능한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성결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접근, 즉 구약적인 이해가 아닌, 신약적인 이해(타자적 이해)가 필요한데, 그것은 종말론적으로 완성하신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가능케 되어지는 성결이라는 점이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하여 웨슬리의 성결론에 있어서 타자적 특성이 있음을 밝혀냈고, 그 타자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함에 있어서 레비나스의 현상학의 탁월성을 제시했다. This paper presents the usefulness of Levinas's Phenomenology of the Otherness in expressing the Otherness of John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In order to know Levinas' phenomenology, the writer first looks at the general character- istics of phenomenology. It is ‘intentionalit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Husserl's thought, who can be considered to be the founder of phenomenology. In Levinas, this intentionality appears to be toward the Other, and the subject cannot exist alone without an object(the Other). Above all, the Others encountered in the world of elements, especially in ‘human’, and they have the Otherness that cannot be reduced to that of the subject. As such, Levinas asserts the Otherness of the Other as opposed to Totality, which is interpreted as the subject and restored. After all, this Otherness becomes an important methodology in understanding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in particular. In understanding sanctification that represents Holiness, the Otherness of God, it is necessary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Sanctification Theory from God, not from anthropocentrism. If you approach this ‘Sanctification’ only through anthropocentrism or psychologicalism, or literalistic, you may lose the true meaning of holiness and its Otherness. Wesley also criticizes the misunderstanding of 'Sanctification' at the time, and describes in detail what 'Sanctification' is in the true sense in his sermon “Christian Perfection.” The writer reveals that the meaning of the word 'Perfection' in the characteristics of sanctification claimed by Wesley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meaning understood from the level of anthropocentrism, and that the perfection only made possible by the perfect indwelling of Christ. Also,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sanctification, a new approach, ‘New Testament Perspective’ (Otherness), not ‘Old Testament Perspective,’ is needed, which is sanctification made possible through faith in Christ who has been completed eschatologically. The Writer reveals the Otherness characteristic in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through this study, and presents the excellence of Levinas' Phenomenology in effectively expressing the Otherness.

      • KCI등재

        길선주의 성화론 연구

        안수강 한국교회사학회 2014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9 No.-

        본 연구는 길선주의 저작과 생의 보적(寶蹟)을 통해 그의 성화론을 고찰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현 한국교회의 정황은 교회의 거룩성과 성화 차원에서 볼 때 불행하게도 비관적이다. 한국교회가 심각한 고질병을 앓고 있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교회는 교회의 본질과 본연의 사명을 상실했다는 심각한 비판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교회들이 다방면에서 난관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 역사적 관점에서 조명할 필요가 있다. 아직까지 길선주의 경건성과 삶을 분석하여 성화론을 연구한 사례는 부재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면과 실제적인 면 모두를 살펴보았으며 특별히 길선주의 사상과 삶을 한 지평에서 통합하여 조망했다. 길선주가 자신의 저작들과 보적에서 보여준 성화에 관련된 중요한 관점들을 다음 두 가지 차원에서 정리했다. 첫째, 이론적인 차원에서는 그의 거룩성과 경건성을 세밀하게 분석함으로써 그가 보여준 성화의 원리와 중요한 용어들을 고찰했다. 중요한 개념들은 ‘그러므로의 신학’, ‘하나님 형상의 회복’, ‘확산의 원리’, ‘현세와 천국 사이의 아직으로서의 개개인의 천국’, ‘예수 그리스도의 칠보적(七步跡)’등이다. 둘째, 길선주는 자신의 삶을 통해 실천적 성화를 보여주었다. 실천적 차원은 평양부흥운동, 애국적 계몽운동, 애국활동, 교육사역 등에서 고찰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ain outline of Seon-Ju Gil’s sanctification theory through his books and precious deeds(寶蹟). Unfortunately,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is pessimistic in relation to the aspects of holiness and sanctification. We should realize that the Korean Church has deep-seated problems. There are serious criticisms toward the Church that it has lost its real substance and intrinsic mission along with many Churches facing a multitude of problems in various fields. We need to look at these criticism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theoretical work on Seon-Ju Gil’s sanctification theory, based on his piety and life, has not been done so far. This study examin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in partcular, on integrating his thoughts and life on one prospect. The main viewpoints Seon-Ju Gil left behind us on the basis of his books and lif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lanation of the principle of sanctification and main terms are developed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aspects of his holiness and piety in detail. ‘Theoretical Aspects’: οὖν theology, recovery of Imago Dei, principles of spread, personal paradise of already-not-yet scheme, seven precious deeds (七步跡) of Jesus Christ. Second, Gil showed the practical sanctification in his life. ‘Practical Aspects’: the Great Revival Movement of Pyeongyang,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patriotic activity, activity of education.

      • 김응조의 실천적 성화론 분석 연구

        홍종국(Hong, Jong-Kug) 신학과 실천학회 2022 신학과 복음 Vol.12 No.-

        This article has been performed to research the holiness and sanctification theory of Eung-Jo Kim. Devotion to the holiness and sanctification theory started after pastoral duties and field ministry for a long time, realizing that Christians have chronic ills. Above all, a theoretical study on Eung-Jo Kims experience life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s. This study will examin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and focus, in particular, on integrating theology and the life on one prospect. The practical sanctification theory of Kim Eung-jo was the core theme of this paper, and it was the life of biblical practice that Kim Eung-jo showed through his holy life. It is very difficult to highlight the life and theological thought of the features in Korean Church of the specific era and its effect on next generations. For it should be scrupulously analyzed in a synchronic and diachronic aspect based on more detailed and obvious data. Spirituality is deeply rooted in his sanctification theory. He is the person of the Holy Spirit and the prayer. He admired the Spirit of God and began and ended his life with prayer.

      • 종교개혁과 사회 변화

        김경재(Kim Kyoung Jae) 혜암신학연구소 2017 신학과교회 Vol.8 No.-

        이 논문은 종교개혁 운동의 핵심적 사상이 사회 변화에 미친 영향을 기독교 사회윤리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연구지향성은 방론적으로는 종교개혁 전공의 교회사 학자들의 연구업적을 참조하여 기독교 사상사적-문화신학적 관점에서 논한 조직신학 논문이다. 이 논문이 지향하는 주된 관심은 종교개혁자 루터와 칼빈 그리고 급진적 개혁자들의 신학사상을 ‘일상의 성화’ 관점과 ‘정치와 경제 권력의 공공성’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그리하여 위대한 종교개혁 운동을 지난날 16세기 유럽 사회에서의 기독교 내 개혁운동에 제약하지 않고, 21세기 인류가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는 단초로서 삼으려는 목적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운동의 핵심본질을 ‘하나님 나라 운동’이라고 파악하고, ‘ 하나님 나라’가 지닌 역사 내재적 측면과 역사 초월적 측면을 동시에 통존시키면서, 루터와 칼빈이 말하는 ‘두 왕국론’의 참다운 의미를 밝히고 ‘정교분리론’의 오류를 바로잡으려 했다. 세속왕국(국가)과 영적왕국(교회)은 각각 그 기능과 역할분담에서 ‘구별’해야 하지만 ‘분리’ 할 수 없음을 강조한다. 한국교계를 보수와 진보로 양분하는 ‘개인구원’과 ‘사회구원’의 양분론이 원천적으로 잘못된 것임을 강조한다. 또한 루터와 칼빈의 경제사상이 그들의 시대적 ‘삶의 자리’가 지닌 제한성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문제되는 정치와 경제활동에서 필수적인 공공성신학을 지향한다는 것을 밝히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급진적 종교개혁이라고 부르는 종교개혁 운동에서 제3의 흐름들의 신앙운동이 오늘날 국가권력 비판과 비폭력 평화사상의 신학적 기초가 될 수 있다고 그 의미를 재평가하고 주목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ocio-political changes influenced by Reformation, especially by the thought of Martin Luther, John Calvin, and anabaptists. This essay intends to show the points of agreement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regarding with authority of national regime and orthodoxy church. However, the point of view for this article is the perspective of a socio-cultural theology rather than the church history proper. The key words of this essay are the authority of conscience and reason, sanctification of daily life, public character of economic-political powers, kingdom of God, and radical criticism on the national regime and the institutional church system. First of all, this paper intends to make the authentic meaning of the Kingdom of God clear. This symbol, the kingdom of God, is the kernel of the Gospel, the core of proclaimed kerygma of Jesus and apostles. And further more, this Christian symbol is the foundation of Christian social ethics and the critical viewpoint on various ideologies of economic-political powers. Regarding with the attitude to Christian social ethic, the difference and conflict between conservative Christian and liberal one originate to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n Kingdom of God. The Kingdom of God is a social, political, and personalistic symbol. The symbolic material is taken from the ruler of realm who establishes a reign of justice and peace. The Kingdom of God includes the spiritual community, but just as the historical dimension embraces all other dimensions, the Kingdom of God embraces all realms including socio-political affairs. So that, as Tillich argues, it is significant that the symbol of Kingdom of God is political. Luther and Calvin agreed about two functions of the law in terms of ‘the two kingdoms(governments) theory.’ The point of the two kingdoms theory is that regarding with functions and duties, two kingdoms should be distinguished but could not be separated. Calvinism has produced a type of protestant ethics in which progressive sanctification is the aim of Christian life which is called ‘inner-worldly asceticism.’ The third stream of reformation as the radical reformation group including anabaptists argues that the symbol of the Kingdom of God has a revolutionary character. They assert that Christianity, in so far as it works in line with Kingdom of God, should be a revolutionary force directed towards a radical transformation of society. This thought is expressed, in Ecumenical Movement of 21 century, like as “Justice, Peace, and integrity of creation.”

      • KCI등재

        바울의 구원에 관한 샌더스의 관점과 존 웨슬리의 신인협동설

        문병구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9 신약연구 Vol.18 No.4

        One of the topics still discussed in the field of Pauline studies today is how Paul understood Judaism during his mission. Christian theologians who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reformers, such as Luther and Calvin, thought Paul had bitterly criticized Judaism. In the 1970s, however, scholars appeared to question the reformers’ perspective on Paul, and this was triggered by E. P. Sanders's pioneering book entitled Paul and Palestinian Judaism: A Comparison of Pattern of Religion published in 1977. Sanders attempted to capture Paul's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of Judaism, based on extensive research into Jewish literature in the first century, arguing that the Reformers tended to distort the historical Paul and his understanding of Judaism. On November 4, 1982, James D.G. Dunn joined Sanders’ reconsideration of Paul by presenting the paper entitled “The New Perspective on Paul” at the Manson Memorial Course at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In this series of discussions, N. T. Wright participated and led a new interpretation of Paul through prolific publication. This trend of Pauline studies is collectively called “the New Perspective on Paul,” and this means that the trend while defining the reformers’ understanding of Paul as “old perspective.” The scholars who claim this new perspective are called the new perspective scholars in the field of New Testament studies. Since the new perspective on Paul is based on an innovative understanding of first century Judaism, it affects not only the reading of the Pauline writings but also of the other texts in the New Testament written within the context of first century Judaism, fostering the new perspectives on Jesus, the Synoptic Gospels, the Fourth Gospel, the Johannine epistles, etc.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Paul’s doctrine of justification because the new perspective is particularly critical to the reformers’ 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The perspective presupposes Paul’s positive acceptance of his contemporary Judaism, and interprets Paul’s soteriology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God and humans while undermining the concept of salvation as a result of God’s total grace. This further creates difficulties for us to understand John Wesley’s so called “Evangelical Synergism” and risks confusing our biblical view of salvation. Thus,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process of how the new perspective began and developed, and discusses what problems arise when we take the soteriology of the new perspective. To illustrate one such problem, this paper compares Wesley's perspective of salvation with that of a new perspective highlighting their differences and discrepancies. Finally, the paper discusses the dynamics of Wesley’s doctrines of soteriology and sanctification. 샌더스의 걸작 ‘바울과 팔래스타인 유대교’ 가 출판된 이래로 바울 신학에 대한 새로운 논의가 시작되었다. 샌더스는 이 저서에서 바울 신학을 해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종교개혁자에 의하여 의인론으로 구분되는 바울의 구원론은 바울이 당시의 유대교의 율법 과 율법의 행위에 대하여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유대교를 행 위 종교로 이해했는 사실을 전제한다. 그래서 바울은 인간이 ‘율법의 행위’ 가 아니라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게 됨’ 을 역설하면서 당시의 유대교의 행위종교에 정면으로 맞섰다는 것이다. 그러나 샌더스는 당시 유대교가 그런 종교가 아니었음을 밝히고 또한 바울이 유대교 의 율법과 율법의 행위를 그렇게 이해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밝히기 위해 당시의 광범위한 유대문헌들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그는 바울 의 본문들을 이해함에 있어서도 오해가 있음을 밝히려 하였다. 하지 만 샌더스가 조사한 유대교의 문헌에서도 행위심판이 드러나고 있음 에도 그는 유대교가 행위종교가 아니라는 사실을 강변하였다. 뿐만 아니라 신약성경에 나타나는 예수의 유대교에 대한 비판적 언급에 대해서도 충분한 해명을 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샌더스의 바울의 구원관에 대한 해석이 존 웨슬리의 신인협동설에서 주장되는 구원의 과정에 대한 이해와 어떻게 다른 지를 비교하였고 웨슬리의 구원관의 특징을 이러한 관점과 비교하여 조명하였다. 웨슬리의 구 원관에서는 하나님께서 선행은총으로 말미암아 타락한 인간에게 하 나님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회복시켜 주셨음이 중요하다. 이러한 웨 슬리의 관점은 종교개혁자들의 바울이해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웨슬리가 말하는 선행은총의 전제 아래서 성령께서 역사하시는 은혜로 말미암아 인간이 인격적 성결을 이룰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는 면에서 샌더스가 주장하는 바울의 구원에 대한 이 해와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거부민감성의 이해와 성경적인 대처방안 연구

        김준수 ( Jun Soo Kim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3 복음과 상담 Vol.20 No.-

        To help explain maladaptive reactions to rejection, Downey & Feldman proposed a specific cognitive-affective disposition called rejection sensitivity. At the core of this disposition is the anxious expectation of being rejected by people who are important to the self, an expectation developed through exposure to serve and prolonged rejection. Those who are high in rejection sensitivity show a heightened tendency to anxiously expect, readily perceive, and intensely react to rejection. John Bowlby`s attachment theory helps to understand a cause of rejection sensitivity. John Bowlby devoted extensive research to the concept of attachment viewing that early experiences in childhood, specially strong emotional bonds to particular individual,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development and behavior later in life. Nevertheless the psychological research helps to understand the rejection sensitivity, this paper emphasizes the fact that It is the Bible that really reveals the true cause of it. To find the genesis of rejection, we go back to the beginning, to Genesis, and see that the roots of rejection harken back to the root of humanity, the first man Adam`s rebellious sin against God. However, God, through the cross of the Jesus Christ, granted our salvation and acceptance. The Gospel has the remedy against the fear and anxiety of rejection and, in order that happen, the positional sanctification needs to be emphasized. Knowing who we are in Christ, our positional sanctification, is the biblical key to getting over from the high rejection sensitivity.

      • KCI등재
      • KCI등재

        유교적 인간 이해에 대한 신학적 고찰

        배요한(Yo Han Ba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0 선교와 신학 Vol.25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유교에 있어서 인간의 본질적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를 기독교 신학에서 어떻게 변증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다루었다. 한국적 종교 상황은 기독교 이전에 유교, 불교, 무교 등의 종교적 전통이 축적되어 여전히 영향을 주고받는 특징을 가진다. 이 중에서도 특히 유교적 종교 전통은 최근세 500년을 지배한 종교적 전통이므로 유교와 기독교의 관련성을 다루는 것은 특히 더 신학적으로 중요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유교에서 궁극적이고 이상적인 인간은 ‘성인’ (聖人)이라고 불리며, 유학은 이러한 ‘성인됨을 추구하는 종교적 전통’이며 어떻게 성인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론이 세밀하게 다듬어져 가는 과정이 바로 조선 주자학의 발달 과정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보면 유교의 수양론과 기독교의 성화론은 그 구조적 유사성을 지닌다. 그렇다면 우리는 신학자로서 유교적 전통에 익숙한 많은 한국인들에게 어떻게 기독교 복음을 변증하고 복음의 위대성을 말할 수 있을까를 심각하게 다루어야 한다. 유교는 기본적으로 성선설적인 본성관의 전통 위에서 누구나 인간은 자신의 주체적인 결단과 노력에 의해서 성인이 될 수 있다고 가르친다. 이는 「대학」, 「중용」을 비롯한 유교 경전의 기본적인 가르침이다. 인간의 본성은 선한 상태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나 인간은 욕심에 의해 그 선한 본성을 잃어버리게 되고 그 본성을 다시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되는 데, 그러한 노력을 유교에서는 ‘수양’이라 부르고, 이 수양을 통해서 원래의 선한 본성을 완벽하게 회복해서 살아가는 자가 바로 ‘성인’ 인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생선-욕심-성선을 완전히 회복함(성인)이라는 유교적 인간 이해의 기본적인 구조는 하나님 형상으로 창조됨-죄로 그 본성을 잃음-완벽하게 그 형상을 회복함(예수 그리스도)이라는 성경적 구조와 매우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그러한 구조적인 유사점은 세부적으로는 매우 다양한 차이가 있다. 또한 우리가 기독교 복음의 위대성을 제대로 변증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구조적인 유사성에만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 유교는 ‘인간 스스로의 주체적인 결단과 노력’에 의해서 성인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가르치는 데 비하여, 기독교적 인간 이해는 그러한 노력은 필요하지만, 우리의 노력만으로 완벽하게 죄 문제를 극복할 수는 없다고 가르친다. 성화를 향한 우리의 노력은 의미가 있으나(물론 이것 또한 은총의 선물이다.) 인간 스스로의 힘으로는 내면적인 죄의 문제를 완벽하게 극복하며 일생을 살아갈 수는 없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성경적인 인간 이해인 것이다. 그리고 바로 이 점이 바로 기독교인으로서 우리가 유교를 향해서 변증할 수 있는 내용이다. 즉 기독교의 인간 이해(성화를 위한 노력은 의미가 있으나 완벽하게 우리가 죄 문제를 극복할 수는 없다는 점)는 인간의 본질적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그 실존적 한계성을 가장 적나라하고 분명하게 보여 주는 종교적 전통이다. 누가 과연 인간으로서 완벽하게 죄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인가? 그것이 과연 가능한가? 이것이 바로 유교를 비롯한 동양적 종교 전통을 향해서 기독교가 물어야 하는 가장 핵심적인 질문이다. 오늘날의 종교 다원적 상황에서 도 모든 기독교인들은 바로 이러한 복음이 가진 인간 이해의 차이점을 깊이 명심하고 기억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