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구의 『한강집(寒岡集)』에 나타난 심의제도 연구

        이영주 ( Lee Young Joo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4 동양예술 Vol.64 No.-

        본 연구는 『한강집(寒岡集)』제9권의 「잡저(雜著)」심의제조법(深衣製造法)에 나타난 정구(鄭逑, 1543년∼1620년)의 심의제도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정구는 주자의 심의제도대로 심의를 제작했을 때 심의의 형태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유교의 철학적 상징성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는 이론적인 오류와 착용 시 실용성과 심미성이 떨어지는 실질적인 구성 방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에 정구는 역대 유학자들의 심의설을 정리하고 직접 심의를 지어 입으면서 심의제도에 관한 이론적, 실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그 결과 심의 형태 자체가 직령(直領) 교임(交衽)이면서 방형(方形)의 곡겁(曲袷)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정적인 구조의 구성 방법을 탐색하였고 결국 상의(上衣)와 하상(下裳)에 연결되는 긴 섶을 부착한 심의를 고안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특징의 정구의 심의제도가 조선시대 심의의 변천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구의 심의는 당대에 절대 준칙으로 여겨졌던 주자의 심의에 최초의 변형을 가한 것으로 주자학에 대한 무조건적인 맹종을 피하고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는 것에 조선 유학사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 둘째, 조선시대 대부분의 예서와 복식 관련 저서가 경문 해석을 위주로 한 이론중심의 연구였던 것과 달리 정구는 심의 실물을 제작하는 실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그 결과 직령심의의 상의와 하상에 연결되는 긴 섶을 부착하여 몸을 깊숙하게 감싸며 신체를 전체적으로 가려주고, 형태 자체가 직령교임인 안정적인 구조의 심의제도를 제시하였기에 이는 복식 구성학적으로 의미가 깊다. 셋째, 섶을 임으로 해석한 정구의 견해는 이후의 여러 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 결과 조선의 심의가 직령심의와 방령심의로 양대 산맥을 이루며 계승 발전되는 데 중요한 단초(端初)를 제공하였기에 정구의 심의는 한국 복식사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정구의 심의제도는 지금까지 심의에 관한 선행 연구들에서 하나의 사례로 언급되었을 뿐 전문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는데 정구의 심의제도의 특징과 그의 심의제도가 조선시대 심의의 변천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Jeong-gu's (鄭逑, 1543- 1620) Sim-ui institution as detailed in the Jabjeo Sim-ui production in Book 9 of Hangangjip (寒岡集). Jeong-gu, while following Zhu Xi's Sim-ui institution, aimed to address theoretical inaccuracies that failed to properly convey Confucian philosophical symbolism and to improve the impractical and unaesthetic construction methods. To achieve this, Jeong-gu consolidated previous scholars' Sim-ui studies, crafted and wore Sim-ui himself, and conducted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on the Sim-ui institution. Consequently, Jeong-gu explored methods to construct a stable structure that maintained the Goggeob (曲袷) while overlapping the Jikryeong (直領) collar, ultimately devising a Sim-ui with an extended Seop attached to the top and skirt. The significance of Jeong-gu's Sim-ui institution for the evolution of Sim-ui in the Joseon Dynasty is as follows. First, Jeong-gu’s Sim-ui holds substantial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Joseon scholarship. It was the first to modify Zhu Xi's Sim-ui, which was then considered an absolute standard, thereby avoiding blind adherence to Neo-Confucianism and promoting new interpretations. Second, unlike most Joseon Dynasty texts on Sim-ui, which focused solely on theoretical aspects, Jeong-gu engaged in practical research on the actual production of Sim-ui. This practical approach led to the creation of a Jikryeong Sim-ui with an extended Seop that covered the entire body, resulting in a stable Sim-ui institution with an overlapping Jikryeong collar, noteworthy for its dress composition. Third, Jeong-gu’s interpretation of Seop as Im influenced numerous subsequent scholars. His contributions are highly valuable for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ostume, as they marked a pivotal step in the evolution of Joseon's Sim-ui into the two main forms: Jikryeong Sim-ui and Bangryeong Sim-ui. Jeong-gu’s Sim-ui institution has been referenced in previous studies but has not been professionally examined in depth. This study's significance lies in its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Jeong-gu's Sim-ui institution and its role in the evolution of Sim-ui during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김연수본 <심청가>의 인물 형상과 미학

        박일용 판소리학회 2013 판소리연구 Vol.36 No.-

        On the basis of Cheong, Eungmin’s version of <Sim-cheong ga(심청가)>, Kim, Yeun-soo referred to <Wanpan version>, <Kangsang ryun>, <Sin, Jae-hyo’s version> <Park, Dong-sil’s version> to create his version of <Sim-cheong ga>. In his work, a character’s typicality is strengthened to maximize a dramatic effect. First of all, Mrs. Gwak’s womanly virtues and Simbongsa’s desire for a son is especially emphasized in his version of <Sim-cheong ga>. A tragic paradox implied in Mrs. Gwak’s death is stood out by stressing Mrs. Gwak’s pathetic situation. While she was suffering a pregnancy and labor, she kept supporting Simbongsa(심봉사) and finally it led her to the death. Second, it is exposed that Kim, Yeunsoo’s satirical viewpoint to Simbongsa in several scenes. For example, his sorrow was caricatured when he faced Mrs. Gwak’s death and panicked to be a single father of Sim, Cheong. When he made an offering to monk in Mongeun temple without reflecting on the circumstances, his belated regret was also caricutured in Kim, Yeun-soo’s work. At the latter half of Kim, Yeun-soo’s version of <Sim-cheong ga>, a scene of Simbongsa’s flirting with Paengdeok’s mother(뺑덕어멈) and milling on his way to go to Seoul is described burlesquely to maximize a humor. It is related to Sin, Jaehyo version and different from other Pansori <Sim-cheong ga> of the day. Third, unlike other versions including Han, Ae-soon’s version or Jeong, Kweun-jin’s version, it is detailedly described in Kim, Yeun-soo’s version that Sim-cheong’s refusal of Mrs. Chang’s(장승상 부인) offering payment donor in kind and Mrs. Chang’s(장승상 부인) holding a memorial service for Sim-cheong and constructing a memorial building(망사대) to console Sim-cheong. These scenes emphasize Sim-cheong’s deep love for her parents and offer a rightfulness about a repay for that. 김연수는 정응민 바디 <심청가>를 바탕으로 하고, 완판본 <심청전>, 강상련, 박동실바디 <심청가>, 신재효본 <심청가> 등을 참고하여 <심청가> 사설을 변개시켜서 인물의 전형성을 강화함으로써 <심청가>의 극적 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첫째, 김연수본에서는 곽씨 부인의 부덕과 함께 심봉사의 후사(後嗣)에 대한 갈망을 특별히 강조한다. 그리고 곽씨 부인의 죽음이 임신과 출산 중에도 심봉사를 봉양할 수밖에 없었던 비극적 처지 때문이라는 사실을 강조하여, 곽씨 부인의 죽음과 심청의 탄생에 내포된 비극적 역설을 선명하게 부각시킨다. 둘째, 여타 이본에 비해 심청의 효와 그에 대한 보상을 강조하면서도 심청의 죽음을 야기한 심봉사의 희화적인 모습을 부각시켜, 김연수의 심봉사에 대한 풍자적 시각을 드러낸다. 그리고 작품의 후반부에서는 완판본 이후의 창본들과 달리 신재효본 사설을 수용하여 뺑덕어미와 수작하는 장면, 황성 가는 길에 방아를 찧어주는 장면 등을 희화적으로 그린다. 이를 통해 판소리 청중에게 골계미를 제공하면서 곽씨부인, 그리고 심청의 죽음에 원인을 제공한 심봉사의 책임을 물은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실학파의 「심경부주(心經附註)」이해 -이익과 정약용을 중심으로-

        아상호 ( Sang Ho L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07 儒學硏究 Vol.15 No.-

        본 논문은 이익과 정약용의 「심경부주(心經附註)」이해를 중심으로, 한국 실학에 나타난 주자학과의 관련성 및 그 전개양상을 확인하려는 것이다. 「심경부주」를 둘러싸고 이루어진 많은 논쟁은 한국 철학사에만 있는 독특한 현상으로 이것은 「심경부주」가 가지고 있는 몇 가지 중요한 철학적 이유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것보다 더 중요한 특징은 「심경부주」가 기본적으로 주자학적인 저서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논쟁의 반열에 양명학자와 실학자들까지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익과 정약욕의 「심경부주」관련 해석서에 나타난 철학적 입장을 중심으로 한국 실학파의 「심경부주」이해에서 드러난 주자학과의 관련성과 그 전개 양상을 확인해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 2장에서는 이익의 「심경부주」이해를 그의 저작인 「심경부주질서」를 통해서 확인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이익의 철학적 입장이 토계 학통 위에 서 있으면서, 「심경부주」의 해석사에서 강한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한강 정구의 입장을 잇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도 이익利益에 대한 기본 입장은 주자학자들의 일반론과 달리, 선약이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봄으로써 옳게 이익을 취해 가는 것에 대해서는 리를 따르는 것으로 보려는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그의 실학이 성리학에 기초해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리고 본 논문 3장에서는 정약용의 「심경밀험」을 중심으로 그의 「심경부주」를 확인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정약용의 성과 정에 대한 입장 및 인심과 도심에 대한 입장이 주자학의 일반론으로부터 완전성을 해석하고 있는 정약용의 입장은 맹자가 말하고 있는 ``성선``의 성과 의미가 같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엇던 것이다. 동시에 인심과 도심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도 정약용은 고중학적 입장에 서서, 16자 심법을 그대로 인정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주자학과 그 입장을 달리한다. 하지만 적어도 16자심법 가운데 앞의 두 구절에 대해서는 내용상 합리성을 인정하면서, 유학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익의 실학은 기존의 주자학, 그것도 퇴계학의 세계관 위에서 건립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정약용의 실학은 비록 주자학적 세계관으로부터는 이탈하고 있지만 ``수기``와 ``치인``을 기본으로 하는 유학의 정신세계 위에서 건립된 것은 분명하다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dentify relevance and the developmental aspect of Zhu Xi`s theory and Chosun Silhak, focusing on Lee Ik and Chong Ygyong`sunderstanding of Sim-Gyung-Bu-Zu. A lot disputation of Sim-Gyung-Bu-Zu are peculiar appearanae in which is only presented Korea Philosophy History. Cause of the appearance is several important philosophical reasons that Sim-Gyung-Bu-Zu has. However, More important feature is a case that, although Sim-Gyung-Bu-Zu is basically Zhu Xi`s theory work, Yangming learner and Silhak learner take part to the disputation. In this essay, thus, I want to identify relevance and the developmental aspect of Zhu Xi`s theory and Chosun Silhak, focusing on Chosun Silhak School`s understanding of Sim-Gyung-Bu-Zu. This essay chapter 2 shows Lee Ik`s understanding of Sim-Gyung-Bu-Zu through his work, Sim-Gyung-Bu-Zu-Zil-Seo. This essay can show point that Lee Ik`s philosophical view which adhere to powerfully critical view in interpretation-history of Sim-Gyung-Bu-Zu. Unlike general theory of Zhu Xi learner, Lee Ik`s A basic view of a profit suggests a viewpiont that hold a taking profit as following Li, by considering goodness and badness as undetermined, This point is a clue of presention that his Silhak is based on a founadtion of Sung Confucianim. This essay chapter 3 shows Chong Yagyong`s Sim-Gyung-Bu-Zu, focusing on his Sin-Gyung-Mil-Heom. In this essay, we can identify point that view of Chong Yagyong`s seong(性) and jeong(情), and view of his In-Sim(人心) and Do-Jim (道心) apart from general theory of Zhu Xi theory. Chong Yagyong interprets seong(性) as good tendency of human, not seng(性) base on Li-Gi(理氣) theory. For discussion of In-Sim and Do-Sim, unlike viewpoint of Zhu Xi theory, Chong Yagyong take bibliographical viewpoint, then. he doesn`t admit 16 letter Sim-Beop(心法) that way. However, He admit two phrase of 16 letter Sim-Beop(心法) at least, and show an aspect of a Confucian scholar. Therefore, Lee Ik`s Silhak is established on present Zhu Xi theory, on world view of Toegye`s thought. Though Chong Yagyong`s Silhak break away from world view of Zhu Xi theory, it is clear that his theory is established on mind-world of Confucianism which is based on ``Sugi(修己)`` and ``chi-in(治人)``.

      • KCI등재

        한국 실학파의 『심경부주심경부주(心經附註)』이해 -이익과 정약용을 중심으로-

        이상호 ( Sang Ho L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06 儒學硏究 Vol.14 No.-

        본 논문은 이익과 정약용의 심경부주心經附註이해를 중심으로, 한국 실학에 나타난 주자학과의 관련성 및 그 전개양상을 확인하려는 것이다. 심경부주 를 둘러싸고 이루어진 많은 논쟁은 한국 철학사에만 있는 독특한 현상으로, 이것은 심경부주 가 가지고 있는 몇 가지 중요한 철학적 이유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것보다 더 중요한 특징은 심경부주 가 기본적으로 주자학적인 저서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논쟁의 반열에 양명학자와 실학자들까지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익과 정약욕의 심경부주 관련 해석 서에 나타난 철학적 입장을 중심으로 한국 실학파의 심경부주 이해에서 드러난 주자학과의 관련성과 그 전개 양상을 확인해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 2장에서는 이익의 심경부주 이해를 그의 저작인 심경부주질서 를통해서 확인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이익의 철학적 입장이 퇴계 학통 위에 서있으면서, 심경부주 의 해석사에서 강한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한강 정구의 입장을 잇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도 이익利益에 대한 기본 입장은 주자학자들의 일반론과 달리, 선악이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봄으로써 옳게 이익을 취해 가는 것에 대해서는 리를 따르는 것으로 보려는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그의 실학이 성리학에 기초해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리고 본 논문 3장에서는 정약용의 심경밀험 을 중심으로 그의 심경부주 를 확인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정약용의 성과 정에 대한 입장 및 인심과 도심에 대한 입장이 주자학의 일반론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리기론에 바탕한 성이 아니라, 인간의 선한 경향성으로 성을 해석하고 있는 정약용의 입장은 맹자가 말하고 있는 ‘성선’의 성과 의미가 같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던 것이다. 동시에 인심과 도심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도 정약용은 고증학적 입장에 서서, 16자 심법을 그대로 인정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주자학과 그 입장을 달리한다. 하지만 적어도 16자 심법 가운데 앞의 두 구절에 대해서는 내용상 합리성을 인정하면서, 유학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익의 실학은 기존의 주자학, 그것도 퇴계학의 세계관 위에서 건립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정약용의 실학은 비록 주자학적 세계관으로부터는 이탈하고 있지만 ‘수기’와 ‘치인’을 기본으로 하는 유학의 정신세계 위에서 건립된 것은 분명하다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dentify relevance and the developmental aspect of Zhu Xi`s theory and Chosun Silhak, focusing on Lee Ik and Chong Yagyong`s understanding of Sim-Gyung-Bu-Zu. A lot disputation of Sim-Gyung-Bu-Zu are peculiar appearance in which is only presented Korea Philosophy History. Cause of the appearance is several important philosophical reasons that Sim-Gyung-Bu-Zu has. However, More important feature is a case that, although Sim-Gyung-Bu-Zu is basically Zhu Xi`s theory work, Yangming learner and Silhak learner take part to the disputation. In this essay, thus, I want to identify relevance and the developmental aspect of Zhu Xi`s theory and Chosun Silhak, focusing on Chosun Silhak School`s understanding of Sim-Gyung-Bu-Zu. This essay chapter 2 shows Lee Ik`s understanding of Sim-Gyung-Bu-Zu through his work, Sim-Gyung-Bu-Zu-Zil-Seo. This essay can show point that Lee Ik`s philosophical view is to be on Toegye scholastic mantle and succeeds Hankang Jeong-gu`s view which adhere to powerfully critical view in interpretation-history of Sim-Gyung-Bu-Zu. Unlike general theory of Zhu Xi learner, Lee Ik`s A basic view of a profit suggests a viewpoint that hold a taking profit as following Li, by considering goodness and badness as undetermined. This point is a clue of presenting that his Silhak is based on a founadtion of Sung Confucianism This essay chapter 3 shows Chong Yagyong`s Sim-Gyung-Bu-Zu, focusing on his Sin-Gyung-Mil-Heom. In this essay, we can identify point that view of Chong Yagyong`s seong(性) and jeong(情), and view of his In-Sim(人心) and Do-Jim(道心) apart from general theory of Zhu Xi theory. Chong Yagyong interprets seong(性) as good tendency of human, not seong(性) base on Li-Gi(理氣) theory. For discussion of In-Sim and Do-Sim, unlike viewpoint of Zhu Xi theory, Chong Yagyong take bibliographical viewpoint, then he doesn`t admit 16 letter Sim-Beop(心法) that way. However, He admit two phrase of 16 letter Sim-Beop(心法) at least, and show an aspect of a Confucian scholar. Therefore, Lee Ik`s Silhak is established on present Zhu Xi theory, on world view of Toegye`s thought. Though Chong Yagyong`s Silhak break away from world view of Zhu Xi theory, it is clear that his theory is established on mind-world of Confucianism which is based on ``Sugi(修己)`` and ``chi-in(治人)``.

      • KCI등재

        주희(朱熹)의 심(心)을 통한 인식에 관한 연구

        방경훈(房敬勳)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심(心)은 인식의 주체로서 지각하는 것과 지각되는 것의 총체이다. 지각이라는 심 본연의 항구적 활동인 ‘심 본체’는 티 없이 맑고 밝은 지각으로 사물과 이상적 감응을 한다. 이로써 심은 신명하면서도 헤아릴 수 없는 본체를 갖춘 ‘수양의 주체’이면서, 텅 비웠지만 신령한 활동을 하는 ‘인식의 주체’를 동시에 표명한다. 심은 비어있는 장소이며 도리의 원리가 되는 성(性)을 외포한다. 도리의 주체는 성이지만 이 도리에 관한 지각의 주체가 심이다. 심성 관계는 원리적 측면에서 서로 섞이지 않으며 심에서 성정만을 논할 수 있고, 원리가 작용과 함께하는 측면에서는 서로 떨어지지 않으며 심으로 인해 성정이 지각된다. 그리고 ‘심성정’은 우주의 원리인 ‘역도신’에 적용되어 ‘천인합일’의 의미와, 역이 우주의 두 요소인 음양[동정]을 갖듯 심 또한 미발의 성과 이발의 정이라는 두 요소를 갖추고 있다. 이는 인간의 인식원리와 행위근거로서 근원적 단초를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 ‘심의 통지(統之)’란 심이 자신의 인식을 드러내는 ‘미발이발’을 갖추었기에 근원과 발현의 관계인 성과 정을 주재한다는 것이다. 바로 성정이 심의 ‘미발이발’에 의해 관섭을 받는다는 것이 ‘심은 통체(統體)이다.’란 뜻이다. 성은 理이며 도덕실체인 정(情)으로 드러난다. 바로 성은 정의 이치이며 정은 성의 발현이다. 근원과 현상의 근본적 관계에서 ‘사단’은 성에서 순전히 발한 도덕정감이다. 송대에 사덕과 사단은 理와 정으로 발전되어 사물과의 감응으로 일어난 정감은 곧 이치가 함의된 바른 정감으로서 인식되어 진다. 결국 사물의 理는 인간의 성찰을 통한 인식본성의 理로 구현되며, 사단은 그 이치를 갖춘 정감이 되기에, 이 理를 함양함은 곧 바르고 정대한 정으로서 도덕실체로 드러난다. 치지는 인식의 종합이며 참 근거인 理를 파악하는 인간고유의 사유형식이다. 이는 선천의 앎[知]을 후천적으로 완벽히 하는 것으로서 물을 기초한 객관적 지식과 나의 앎이 일치하는데 있다. 따라서 치지는 물에 관한 인식주체의 성찰적 노력과 함께 자신에게 실증하는 이치를 밝히고자, 한결같고 상세하며 바르게 하여 상황에 맞도록 최선을 다하고 응대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이때의 앎은 치지의 목적으로서 천하의 물이 갖는 ‘소이연지고와 소당연지칙’이며 궁극적 理이다. 이 理는 인식과 인식주체, 인식결과인 개념과 사물의 일치인 진리이며 선이다. As the recognizing subject, Sim(心) is the wholeness of the perceiving and perceived. Sim-Body[心本體] which has a permanent activity of the recognizing takes action against Sa-Mul(事物) with the whole clear and bright recognizing. Thus Sim means the subject of Su-yang(修養) that has the spiritual and unmeasurable body and the subject of recognizing that has a spiritual activity at the same time. Sim is the vacant place and enfolds Seong(性) which is the principle of Do-Ri(道理) . Sim is precisely the recognizing subject to Do-Ri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subject of Do-Ri is Seong. The relationship of Sim-Seong does not mixed together in the principle, Seong-Jeong(性情) being only discussed in the Sim, but in terms of the principle with it’s action Seong-Jeong is recognized caused by Sim. That Sim-Seong-Jeong should apply to Yeok-Do-Sin(易道神) of the universe-principle means Cheon-In-Hapil(天人合一) , and Sim also has Mibal-Seong(未發之性) and Ibal-Jeong(已發之情) of two elements as Yeok has Eum-Yang(陰陽, 動靜Dong-Jeong) of two universe-elements. Such claimed the root-key to be a recognizing principle and act- ground of human being. These result is that Sim-Tongji(心統之) being endowed with Mibal-Ibal to disclose what Sim recognizes for oneself, can control Seong-Jeong to be the relationship of cause and expressome. Straightly, what ‘Sim-Tongche(心統體)’ means is that Seong-Jeong should be controled by Sim’s Mibal-Ibal. Seong is Ri(理) and come out Jeong that is morality-true nature. Seong is the Ichi(理致) of Jeong and Jeong is the Expressome of Seong. In the basic relationship of cause and expressome, Sadan is absolute ethics-feeling of Seong . In Song Dynasty, Each of Sadeok and Sadan changed into Ri and Jeong, as a result the Jeong rising to it’s Sa-Mul ought to be perceived ethicsfeels having the Ichi. Finally the Ri of Sa-Mul might become the Ri of true recognizing’s gone through from human being’s soul-searching, Sadan(四端) becoming ethics-feels having the Ichi. Thus to build the Ri is morality-true nature in the capacity of Just and jeong-dae-han Jeong(正大). Chiji(致知) is the total of the recognizing and the rational faculty of the mind-form of human characteristics. This would make the natural-knowledge perfect with the self-acquired knowledge, being objective self-acquired knowledge based on the Mul corresponding with the natural-knowledge of my own. Therefore with the recognizing subject’s soul-searching an effort concerning the Mul in company with to find out positive-Ichi to yourself, Chiji requires the Behavior detailed, straight and consistent in the best waysituation. These knowledge which could be equal to Chiji -End is ‘Soiyeonji-Go(所以然之故) and Sodangyeon-Jichik(所當然之則) ’ being had by the universe-Mul , and the ultimate Ri . This Ri means the truth and good that the recognition could be equal to the recognizing subject and the concept of the recognition-result could be equal to the Sa-Mul.

      • KCI등재후보

        심상건 가야금 산조 연구

        문재숙(Moon, Jae-suk)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8 No.38

        심상건(沈相健, 1889~1965) 은 심창래의 아들로 1889년 충청남도 서산에서 출생하였다. 심상건이 조실부모 하여, 작은아버지인 심정순(沈正淳, 1873~1937)의 영향을 받았다. 그 예로는 심상건의 독특한 5괘 조현법을 들을 수 있는데, 이는 중고제의 대가 심정순의 5괘 조현법과 같은 것이다. 김창조계 중심의 전남제와 심상건 중심의 중고제 가야금 산조를 비교하여 보면, 심상건 산조의 특징은 “우조로 시작 해서 우조로 끝낸다”는 김창조계 산조의 법통과 달리 심상건의 진양조는 저음역에서 시작하며, 평조의 선율로 시작하는 것이 독특하다고 볼 수 있다. 전남제의 경우 4괘법을 사용하며, 주로 g본청을 사용하는데에 반해 중고제는 5괘법을 사용하고, 제 1현에 ?을 사용하여 저음음역을 확대하여 연주하였으며, g본청에서 d본청으로 이동하는 변청도 사용 하였다. 또한, 전남제는 계면조를 중심으로 하는데에 반해 중고제는 평·우조, 계면조가 중심이 되며 진계면조가 없다는 것이 그 차이점이다. 심상건의 진양조는 독특하고 즉흥적인 선율이 많아 다른 산조와 유사한 선율이 거의 없으며, 심상건이 동일한 악장을 연주해도 동일 선율이 거의 없었다. 심상건은 즉흥적이며, 독주 시나위 성격을 가진 가야금 산조를 연주 해왔으며,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연주 되었던 김창조계 가야금 산조와 관계없이 독자적인 중고제 산조를 만들었다. 즉흥적인 연주를 하였기에 제자를 양성하고, 꾸준히 계승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심상건 가야금산조 연구에서는 심상건의 sp음반과 김기수가 채보한 심상건 가야금 산조, 릴 테이프, 유성기 음반 등 현재 남아 있는 자료를 토대로 타 산조와의 진양조 악장 구성의 비교, 타 산조들과의 조현법에 관한 차이점, 1950년 전후로 변화된 심상건류 가야금 산조의 변화 등에 관해 연구 하였다. Sang-gun Sim (심상건 沈相健, 1889~1965) is Chang-lae Sim’s son, born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Seosan in 1889. He was influenced by his uncle Jung-soon Sim(심정순 沈正淳, 1873~1937) because he lost his parents early in his life. For example, there is a unique 5 Gue tuning system(5괘 조현법), which is the same tuning system as Jung-soon Sim, the master of Jung-go Jae (중고제). Comparing Chang-jo Kim’s style oriented Jeon-nam Jae and Sang-gun Sim’s style oriented Jung-go Jae, the major characteristic of style Chang-jo Kim’s style sanjo is “starting with Ujo, end with Ujo.” However, Sang-gun Sim’s style sanjo is starting with the lower register and melody of Pyungjo. The difference between Junnam Jae and Jung-go Jae is that Jun-nam Jae uses 4 Gue method(4괘법) and mainly uses G tonic, but Jung-go Jae uses 5 Gue method (5괘법)and uses ? as a first string in order to play a wide range of lower scale and uses modulated melodies, which changed the G tonic into D tonic. In addition, unlike Junnam Jae; mostly based on Kyemyeonjo, Jung-go Jae is mostly based on Pyung-Ujo and Kyemyeonjo except Jin-Kyemyeonjo. Because Sang-gun Sim’s jinyangjo has unique and improvisatory, it has no similar melodies from other sanjo, and even when Sang-gun Sim plays the same movement, it rarely has a same melody. Sang-gun Sim played sanjo, which is improvisatory and has a nature of sole Sinawi. Regardless of Chang-jo Kim’s gayageum sanjo which was played mostly in Junnam province, Sang-gun Sim made his own unique Jung-go jae sanjo. He had trouble of fostering pupils and steady successionof his sanjo. Based on Sang-gun Sim’s SP record, Gi-sy Kim’s transcription of gayageum sanjo, reel tape, a gramophone record, and etc, the study of Sang-gun Sim’s gayageum sanjo researched the difference of jinyangjo and tuning system between other sanjos and the difference made in Sang-gun Sim’s gayageum sanjo before and after 1950s.

      • KCI등재

        현곡 유영선의 성리학적 특징 고찰

        안유경(An, Yoo-kyoung) 한국고전번역원 2020 民族文化 Vol.56 No.-

        본 논문은 玄谷(柳永善, 1893~1960)의 성리학적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현곡의 성리학은 ‘리는 無爲하고 기는 有爲하다’, ‘성은 無爲하니 리이고, 심은 有爲하니 기이다’는데 근거하여 그 이론이 전개된다. 이기론에서는 ‘리는 무위하다’는데 근거하여 리의 動靜을 소이(원리)로 해석하며, 또는 ‘성은 리이고 심은 기이다’는데 근거하여 심종가들의 심의 주재성을 비판하고, 성이 심의 주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심성론에서는 ‘성은 리이고 심은 기이다’는데 근거하여 심과 성을 둘로 분명히 구분하고, 이 과정에서 심과 성을 二物로 해석하며, 이것은 그대로 ‘성은 높은 것이고 심은 낮은 것이다’는 性尊心卑의 이론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이론들은 모두 성은 리이고 심은 기이므로 ‘심은 항상 성을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心本性)’는 데로 귀결된다. 이것이 바로 스승인 간재(전우) 心本性의 이론적 요지이며, 또한 현곡의 성리학적 특징이기도 하다. This paper is a consideration on the Neo-Confucianism characteristics of Hyun-gok (1893-1960). The theory is developed based on the tenet li has no actionability and ki has actionability or sung is li and sim is ki. The authors interpretation of the li and ki theory is based on li has actionability, dong and jung as a soi (principle). In other words, on the basis of the view that sung is li and sim is ki, he criticizes the control of sim and argues that the sung should be controled by the sim. Further, in sung and sim theory, based on the fact that sung is li, sim is ki, there are two distinct divisions between sim and sung. In this process, sim and sung are interpreted as two things. This leads to the sung is high and sim is low theory. These theories all lead to the principle that sung is li and sim is ki, so sim must always be based on sung. This is a theoretical point the teacher Gan-jae professes when he states sim is rooted in the sung, and is also Neo-Confucianism characteristic of Hyun-gok.

      • KCI등재

        「침생전(沈生傳)」의 애정(愛情) 전기소설(傳奇小說)의 계승과 변모 양상

        서보현 ( Seo¸ Bo-hyeon )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6

        본고는 18세기에 창작된 <심생전>이 애정 전기소설의 장르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변모한 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애정 전기류 소설은 장르의 폐쇄적 성격으로 인해 전통 애정 전기에서 변이된 형태를 띠는 <절화기담>이나 <포의교집>과 같은 19세기의 작품들이 애정 전기소설로 분류하는 것이 온당한가에 대한 논의가 이어져 왔다. <심생전>은 애정 전기소설의 전성기라 할 수 있는 17세기에 이어 18세기에 창작되었다. 그런데 <심생전>이 다층적 양상을 띠는 작품이기도 하거니와 전기 소설적 요소를 가지는 동시에 전기소설의 완정한 형태는 벗어나고 있어 애정 전기소설인지, 애정 소설인지 명확히 규정하는 것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남아있다. 이에 본고는 <심생전>에 나타난 전기적 요소를 포착하여 전성기 이후 애정 전기소설의 전통을 계승하고 변모한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18세기 애정전기소설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17세기 이후 애정 전기소설이 기이성을 상실했음에도 전기소설로 볼 수 있는 근거를 작품에 형상화된 사건이 현실적이지 않고 환상적이라는 것에서 찾았다. <심생전>의 두 주인공은 신분적 차이로 인해 겪게 되는 현실적 장애가 비극적 결말을 초래하고 있다. 경화사족인 심생과 중인가의 딸인 처녀가 사랑을 이루기에는 사회적인 편견과 규범이 그들을 가로막고 있었으며, 이러한 인물들의 처지가 현실적으로 이루어내기 힘든 욕망과 충돌하면서 환상성을 형성한 것이다. 다음으로 이옥이 <심생전>이 애정 전기 장르의 전통을 변모한 양상을 모색하였다. <심생전>은 인귀 결합의 형태는 사라지고 산 사람간의 결연을 그림으로써 17세기 애정 전기 작품들의 변화 양상을 수용하였다. 특히 첫 만남 장면에서 초기 애정 전기 작품들에 나타난 우연적이고 기이한 만남을 사실적이고 현실적이게 느껴지도록 표현하여 기이성이 현실적으로 변화하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삽입시는 남녀의 결연을 이끌어내는 주요한 서사적 장치로 기능하였다. 그런데 <심생전>에는 분위기를 비현실적으로 이끌며 수사적 과장을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삽입시는 탈락되고 산문적이고 사실적인 표현들이 주를 이룬다. 또, 감정 전달의 기능을 담당했던 삽입시 대신, 작품의 결말부의 처녀가 심생에게 보낸 편지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초기의 애정 전기에서 초월적 존재인 여주인공보다 고독한 인간 남주인공의 내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에 반해 <심생전>은 남주인공보다 낮은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도전적인 면모를 보이는 처녀의 내면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논찬부에서 사사로운 감정에 휘둘리지 말고 과거 공부에 임할 것을 전달하는 스승의 메시지가 작품 전반이 전달하고 있던 두 주인공의 숭고한 사랑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점에 주목할 때, 역설적이게도 처녀의 처지에 다시 한 번 주목하게 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심생전>은 애정 전기 소설의 전성기라 불릴 수 있는 17세기를 지나 기이성을 탈피하고 사회상을 현실적으로 담아내면서, 애정 전기가 근대 문학으로 나아가게 하는 가교적 역할을 한 작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how < Sim-Saeng-Jeon > created in the 18th century maintain and transform the genre tradition of Romantic Jeongi Novel. The closed nature of the genre of Romantic Jeongi Novel has led to a debate over whether it is appropriate for 19th century works such as < Julwhagidam > and < Poeuikyozip >, which have been mutated from traditional Jeongi Novel is classified as Romantic Jeongi Novel. < Sim-Saeng-Jeon > was created in the 18th century following the 17th century, which is the heyday of love biographical novels. There remains room for controversy over clearly defining whether it is a Romantic Jeongi Novel or a Romantic Novel, since < Sim-Saeng-Jeon > is a multi-layered work with Jeongi Novel elements, and simultaneously is deviating from the complete form of Jeongi Novel.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18th century Romantic Jeongi Novel by examining both how Jeongi Novel has changed after its heyday and its driver through the electrical elements shown in < Sim-Saeng-Jeon >. To begin with, even though Romantic Jeongi Novel has lost its peculiarity since the 17th century, it that found that the events depicted in the works are not realistic but fantastic. Problems caused by differences in status between the two main characters in < Sim-Saeng-Jeon > lead to tragic consequences. Social prejudice or norms block Kyung Hwa Sa Jok Sim-Saeng and Middle Class Intellectuals female protagonist to make love, and these characters' situations collided with desires that were difficult to realistically achieve, forming a fantasy. Next, The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that the social aspect of the time when Ok-Lee Lee created < Sim-Saeng-Jeon > impacted on the romantic Jeongi novel genre. < Sim-Saeng-Jeon > accepts the changing aspect of the 17th century novel that expresses the encounter of living people, eliminating the form of human and ghost meeting. In particular, in the first meeting scene, readers can see the form of change that expresses the accidental encounters in early romantic Jeongi novels to make them feel realistic. What the Romantic Jeongi Novel has in common is the achievement of love and the encounter between two genders. Especially, insertion poem is a major narrative element that lead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However, prose and realistic expressions are mainly used in < Sim-Saeng-Jeon > without the insertion poem, which leads the atmosphere unrealistically and acts as a rhetorical exaggeration. In the early Romantic Jeongi Novel, the focus was on the inside of the lonely male protagonist rather than the transcendental female protagonist. On the other hand, < Sim-Saeng-Jeon > focuses on the inside of a female protagonist who shows a challenging aspect despite her status lower than the male protagonist. In particular, when noting that the teacher's message that conveys what the will devote to national examination without being swung over by private feelings in the Nonchan part does not match the sublime love of the two protagonists conveyed in the whole work, ironically, once again in the situation of female protagonist. You can see the effect that attracts attention. Furthermore, < Sim-Saeng-Jeon > can be said to be work that played a bridging role in allowing the Romantic Jeongi Novel to modern literaure, while escaping from the peculiarity and caputred the social image realistically.

      • KCI등재

        19세기 주변부 지식인이 본 인간 이순신 -白雲 沈大允의 <李忠武傳> 연구-

        황정수 한국고전문학회 2022 古典文學硏究 Vol.61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structure and the purpose of writing The Tale of Yi Chungmu by Baekun Sim Daeyun (沈大允, 1806-1872).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is work, Sim extracted various references from The Collection of Yi Sunsin Documents (李忠武公全書) to write The Tale of Yi Chungmu. He particularly referred to the contents in The Record of the Restoration during King Seonjo’s Reign (宣廟中興志) to narrate the joint operation between Joseon and Ming Dynasty in detail. This article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Sim’s view on Yi Sunsin by comparing The Tale of Yi Chungmu to the mainstream perspective on Yi Sunsi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hile paying attention to how Sim’s existence and thoughts meet literature in the text by relating this work to Sim’s other prose works and books. Contrary to the mainstream perspective which glorified Yi Sunsin’s sacrifice as an act of loyalty to the king, Sim introduced the folklore about Yi Sunsin’s suicide and sympathized with Yi’s unfortunate life which was inopportune for his talent. Sim’s sense of identity as a member of collapsed family was reflected in his view of Yi Sunsin. Meanwhile, Sim defined Yi Sunsin as “an admiral and prime minister who excelled in both literary and military arts” (文武將相) and emphasized his flexibility and tolerance. His view, which is based on his values on education and recruitment, accepted and expanded on the previous appraisal of Yi Sunsin’s ability. In the late Joseon period, Yi Sunsin’s military service was honored in connection to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However, Sim argued that Yi made more notable accomplishments than the Ming army despite the difficult circumstances. Sim’s sense of identity as an intellect from a peripheral country, combined with his thoughts on Sino-barbarian dichotomy, was reflected in his view of Yi Sunsin. The Tale of Yi Chungmu demonstrates his endeavor to prove his value as a prose writer and represent his existence and thoughts through a literary work. 본고는 白雲 沈大允(1806~1872)이 창작한 <李忠武傳>의 구성상 특징과 입전의식을 분석하였다. 작품 구성의 측면에서 <이충무전>은 『李忠武公全書』의 부록에 수록된 다양한 자료를 수용하여 창작된 서사이다. 그중에서도 『宣廟中興志』의 기록을 참조하여 朝明 합동작전에 대해 자세히 서술한 점이 특징적이다. 본고는 <이충무전>의 시각을 조선 후기의 주류 담론과 비교함으로써 심대윤의 이순신 인식이 갖는 특징을 조명했으며, <이충무전>을 심대윤의 여타 산문 및 저술과 연결 지음으로써 심대윤의 실존과 사상이 문학과 교차하는 지점에 주목하였다. 이순신의 희생을 충심의 발로로 미화한 주류 담론과 달리, 심대윤은 이 작품에서 이순신 자살설을 소개하며 이순신의 회재불우했던 삶에 깊이 공감했다. 여기에는 그의 폐족으로서의 자의식이 투영되어 있다. 한편, 심대윤은 이순신을 ‘문무를 겸비한 장상(文武將相)’으로 규정하였으며, 이순신의 유연함과 포용력을 중시하였다. 이는 이순신에 대한 전대의 평가를 계승, 확대한 것으로, 문무겸전의 인재를 이상적으로 인식한 심대윤의 경세론과 관련이 있다. 대명의리와의 연관 속에서 이순신을 호명한 주류 담론과 달리, 심대윤은 이순신이 열악한 처지에서도 명군에 비해 뛰어난 성취를 거두었다고 평가하였다. 이는 심대윤의 화이관과 변방 지식인으로서의 자의식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심대윤에게 <이충무전>의 창작은 산문가로서의 자신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고 자신의 실존과 사상을 문학적으로 구현하는 작업이었다.

      • KCI등재

        고전문학을 넘어 신화로 회귀하기:『연인 심청』에 나타난 종교적 인간

        유요한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6 문학과종교 Vol.21 No.1

        ‘효’라는 주제에 가려 주목 받지 못하지만, 『심청전』에는 인간의 종교적인 모습들이 많이 담겨있다. 방민호의 소설 『연인 심청』(2015)은 종교적, 신화적인 요소들을 고전소설 『심청전』보다 더 분명히 보여준다. 방민호는 『심청전』을 재해석한 이전의 현대작가들과는 달리, 신앙의 대상인 초월적 존재들을 등장시 키고 초자연적인 사건들을 계속 서술하는 등, 『심청전』의 신화적 내용을 과감 하게 수용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연인 심청』은 『심청전』이 뚜렷이 드러내지 않은 인간의 종교적인 면 세 가지를 강조한다. 첫째, 작품에서 심청은 끊임없이 인간 존재와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부조리한 세상 너머의 가치를 추 구한다. 이런 면에서 심청은 엘리아데가 말한, 매우 전형적인 ‘종교적 인 간’(Homo Religiosus)이다. 둘째, 방민호는 심청을 통해, 종교적 인간이 불완전 하고 가변적이고 무의미한 자신의 삶과 대조되는 완전하고 불변하며 유의미한 성스러움을 지향하고, 그 성스러운 존재가 자신의 부족함을 채워줄 것을 갈망하 는 모습을 보여준다. 셋째, 『연인 심청』은 심청의 진정한 사랑이라는 초월적인 능력으로 욕망에 눈먼 인간들이 구원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심청은 고통과 부 조리의 세상 속에서 종교적 속성을 바탕으로 자신과 남을 구원하는 신화의 주 인공의 모습을 보여주며, 신화가 인간에게 제시하는 모범적 본보기의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는 것이다. Sim Cheong Jeon shows religious aspects of human beings, though they are often unnoticed and overshadowed by its clear subject, the filial piety. Bang’s Yeon-in Sim Cheong reveals religious and mythic elements more clearly than Sim Cheong Jeon. Unlike other modern novelists reinterpreting Sim Cheong Jeon previously, Bang decisively accepts of the mythic contents of Sim Cheong Jeon. Furthermore, Bang’s novel articulates three religious aspects of human beings. First, Sim ceaselessly asks questions concerning human existence and the meaning of life, and pursues values transcending this world. In this sense, she exactly corresponds to Mircea Eliade’s “homo religiosus.” Second, through Sim, Bang demonstrates how a religious person aspires toward perfect, eternal, and meaningful sacredness and wishes for the sacred to fill up her deficiencies. Third, Sim’s true love has the power to save people who are blind due to their human desire. Sim plays the role of the heroin of myths who saves herself and others through her religious attributes, and serves as the paradigmatic model for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