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대 정부별 과학기술행정체제 분석 - 권위주의 시기를 중심으로

        이용길,강경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 and change of administrative system for science and technology(S&T) in authoritative administration period. This research analyzed administrative institute, law and development program related to S&T from Lee Seung-man Administration till Rho Tae-woo Administration in authoritative period. Administrative system for S&T in Lee Seung-man Administration period was primitive, simple and unsystematic level. Park Jung-hee Administration established governmental organization, law, and development program related to S&T under the leadership of administration and bureaucracy, so prepared the basis of administrative system for S&T. Jun Doo-whan Administration and Rho Tae-woo Administration succeeded to administrative system for S&T which Park Jung-hee Administration set up and they developed it. Park Jung-hee Administration set up administrative system for S&T under the leadership of government and bureaucracy but Jun Doo-whan Administration and Rho Tae-woo Administration established evolved administrative system for S&T that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cooper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raditional governance which bureaucracy led formed in Park Jung-hee Administration period.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cooperated gradually, so cooperative governance by bureaucrat and expert began to be constructed in Jun Doo-whan and Rho Tae-woo Administration period. The change of administrative system for S&T in successive governments contains state affairs’ direction and presidential interest and will on S&T. 이 연구는 한국의 권위주의 정부 시기 과학기술행정체제의 특징과 변화를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권위주의 시기인 이승만 정부부터 노태우 정부까지 과학기술과 연관된 정부 기관, 법률, 발전 프로그램 등으로 제한하였다. 이승만 정부 시기 과학기술행정체제는 원시적이고 단순한 비체계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박정희 정부는 정부와 관료 주도로 다수의 과학기술 관련 정부 조직 및 발전계획, 법령을 본격적이고 체계적으로 수립해 과학기술행정체제의 기틀을 마련했다. 전두환 및 노태우 정부는 박정희 정부의 과학기술행정체제를 계승하고 이를 발전적으로 진화시켰다. 박정희 정부는 정부 및 관료 주도형의 과학기술행정체제를 수립한 반면 전두환 및 노태우 정부는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이 공동 협력하는 보다 진화된 형태를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 박정희 정부 시기 정부 주도의 공격적인 정책을 통해 관료 주도의 전통적 거버넌스가 형성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전두환 및 노태우 정부 시기 안정적인 기조 속에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협력 체제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관료와 전문가의 협력적 거버넌스가 구축되기 시작했다. 과학기술행정체제의 변화는 역대 정부의 국정 운영 방향과 과학기술에 대한 최고 통치권자의 관심과 의지를 내포하고 있다.

      • KCI등재

        민주주의 정부 시기 과학기술행정시스템의 분석

        이용길(Yong-kil Lee),강경희(Kyung-hee Ka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Institutional establishment occupied higher proportion than institutional succession and reform as a result of considering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developmental plan for science and technology(S&T) in Rho Moo-hyun Administration period. Rho Moo-hyun Administration succeeded to National S&T Council, S&T Ministry and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for S&T which Kim Dae-joong Administration had set up. Rho Moo-hyun Administration restructured Basic Plan for S&T which Kim Dae-joong Administration had established into Basic Plan for S&T by Participatory Administration. Rho Moo-hyun Administration created Headquarters for S&T Innovation, Ministerial Meeting on S&T and Presidential Advisor System for Information and S&T, including Deputy Prime Minister for S&T. Rho Moo-hyun Administration founded Promotion Planning Group for Science and Technology-Oriented Society, the First Five-Year Plan for the Development of S&T Culture and the Second Five-Year Plan for the Development of S&T Culture. Eventually, institutional innovativeness occupied higher proportion than institutional persistence in Rho Moo-hyun Administration period, so Rho Moo-hyun Administration tended to strengthen institutional innovativeness. It is evaluated that Rho Moo-hyun Administration pushed ahead with S&T policy with great interest and passion, so tried to found higher level of and more organic administrative system for S&T based on the period request of S&T revolution. It is analyzed that Rho Moo-hyun Administration changed administrative system for S&T creatively with strong innovation will, so institutional innovativeness strengthened. 민주주의 시기 노무현 참여정부 시대 과학기술정부조직과 과학기술발전계획을 고찰한 결과 제도적 승계 및 개편보다 제도적 신설이 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노무현 참여정부는 김대중 국민의 정부의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비롯해서 과학기술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승계하였고 과학기술기본계획을 개편하였다. 노무현 참여정부는 과학기술부총리를 비롯해서, 과학기술혁신본부, 과학기술관계 장관회의, 정보과학기술보좌관제, 과학기술중심사회추진기획단, 제1차 과학기술문화 창달 5개년계획과 제2차 과학기술문화 창달 5개년계획 등을 신설하였다. 결국 노무현 참여정부는 제도적 차원의 지속성보다 제도적 차원의 혁신성이 높은 비중 차지함으로써 제도적 차원의 혁신성을 강화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노무현 참여정부는 과학기술혁명의 시대적 요청에 기반해서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열정을 발휘함으로써 보다 고도화되고 유기적인 과학기술행정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시도한 것으로 평가된다. 노무현 참여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혁신 의지의 발현으로 과학기술행정시스템의 창조적변화가 표출됨으로써 제도적 차원의 혁신성이 강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 KCI등재

        민주주의 시기 과학기술행정체제에 관한 연구 – 김영삼 문민정부를 중심으로

        이용길,강경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This research analyzed the characteristic and change of administrative system for science and technology(S&T) in Kim Young-sam Civilian Administration ag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egislation and developmental program related to S&T in Kim Young-sam Civilian Administration age. Kim Young-sam Civilian Administration succeeded to, reorganized and set up administrative system for S&T of authoritative administrations and established more developmental administration system for S&T.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system related to S&T involved continuity. Kim Young-sam Administration founde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xpanded Report Council for Informatization Promotion and Framework Act on Informatization Promotion. Kim Young-sam Administration succeeded to the Ministry of S&T and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for S&T. Kim Young-sam Administration restructured General Council for S&T into Minister Council for S&T and Promotion Council for S&T into Report Council for the Promotion Plan of Technology Development. Kim Young-sam Administration reorganized S&T Promotion Act into Special Act for S&T Innovation and development plan for S&T into Five-year Plan for New Economy: Sector Plan for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and Five-year Plan for S&T Innovation. Accordingly, institutional succession and reorganization were of greater importance than institutional establishment. Eventually, it is interpreted that administrative system for S&T which authoritative administrations had set up influenced administrative system for S&T of Kim Young-sam Administration continuously. It is analyzed that this result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institutional factor is not variable so tends to succeed to institution of previous administrations. Therefore, if institutional factor provides, the framework involves continuity. So even if political environment changes, the influence can not be reflected instantly. 이 연구는 김영삼 문민정부 과학기술행정체제의 특성과 변천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김영삼 문민정부의 과학기술 관련 행정조직 및 법률, 진흥계획을 고찰하였다. 김영삼 문민정부는 이전 권위주의 정부의 과학기술행정체제를 승계, 개편, 신설하며 보다 발전적인 과학기술행정체제를 마련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기술 관련 제도가 가지는 지속성의 특성이 나타났다. 즉 김영삼 문민정부 시기 정보통신부 및 정보화추진확대보고회의, 정보화촉진기본법이 신설되었지만 과학기술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승계와 종합과학기술심의회(→과학기술장관회의), 과학기술진흥회의(→기술개발촉진계획보고회의), 과학기술진흥법(→과학기술혁신을 위한 특별법), 과학기술발전계획(→신경제 5개년계획: 기술개발전략부문계획과 과학기술혁신 5개년계획) 등의 개편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제도적 신설보다는 이전 권위주의 정부 제도의 승계 및 개편 비중이 높았다. 결국 이전 권위주의 정부가 시행한 과학기술행정체제는 김영삼 문민정부의 과학기술행정체제에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제도적 요소의 변동성이 작아 이전 정부의 제도적 요소를 계승하는 경향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므로 일단 제도적 요소가 마련되면 그러한 틀은 계속성을 내포해 정치적 환경의 변화가 수반되어도 그 영향이 즉각적으로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민주주의 시기 과학기술행정체제에 관한 연구 – 김영삼 문민정부를 중심으로

        이용길,강경희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이 연구는 김영삼 문민정부 과학기술행정체제의 특성과 변천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김영삼 문민정부의 과학기술 관련 행정조직 및 법률, 진흥계획을 고찰하였다. 김영삼 문민정부는 이전 권위주의 정부의 과학기술행정체제를 승계, 개편, 신설하며 보다 발전적인 과학기술행정체제를 마련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기술 관련 제도가 가지는 지속성의 특성이 나타났다. 즉 김영삼 문민정부 시기 정보통신부 및 정보화추진확대보고회의, 정보화촉진기본법이 신설되었지만 과학기술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승계와 종합과학기술심의회(→과학기술장관회의), 과학기술진흥회의(→기술개발촉진계획보고회의), 과학기술진흥법(→과학기술혁신을 위한 특별법), 과학기술발전계획(→신경제 5개년계획: 기술개발전략부문계획과 과학기술혁신 5개년계획) 등의 개편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제도적 신설보다는 이전 권위주의 정부 제도의 승계 및 개편 비중이 높았다. 결국 이전 권위주의 정부가 시행한 과학기술 행정체제는 김영삼 문민정부의 과학기술행정체제에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제도적 요소의 변동성이 작아 이전 정부의 제도적 요소를 계승하는 경향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므로 일단 제도적 요소가 마련되면 그러한 틀은 계속성을 내포해 정치적 환경의 변화가 수반되어도 그 영향이 즉각적으로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된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characteristic and change of administrative system for science and technology(S&T) in Kim Young-sam Civilian Administration ag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egislation and developmental program related to S&T in Kim Young-sam Civilian Administration age. Kim Young-sam Civilian Administration succeeded to, reorganized and set up administrative system for S&T of authoritative administrations and established more developmental administration system for S&T.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system related to S&T involved continuity. Kim Young-sam Administration founde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xpanded Report Council for Informatization Promotion and Framework Act on Informatization Promotion. Kim Young-sam Administration succeeded to the Ministry of S&T and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for S&T. Kim Young-sam Administration restructured General Council for S&T into Minister Council for S&T and Promotion Council for S&T into Report Council for the Promotion Plan of Technology Development. Kim Young-sam Administration reorganized S&T Promotion Act into Special Act for S&T Innovation and development plan for S&T into Five-year Plan for New Economy: Sector Plan for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and Five-year Plan for S&T Innovation. Accordingly, institutional succession and reorganization were of greater importance than institutional establishment. Eventually, it is interpreted that administrative system for S&T which authoritative administrations had set up influenced administrative system for S&T of Kim Young-sam Administration continuously. It is analyzed that this result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institutional factor is not variable so tends to succeed to institution of previous administrations. Therefore, if institutional factor provides, the framework involves continuity. So even if political environment changes, the influence can not be reflected instantly.

      • 우리나라 과학기술 행정체제 변화와 쟁점

        홍형득(Hong Heung-Deug) 강원행정학회 2013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Vol.11 No.2

        우리나라는 정권교체기마다 행정체제개편이 주요 쟁점이 되어왔다. 특히 경제부처들을 중심으로 정부조직개편이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조직개편의 필요성은 새로운 국정목표 달성을 위한 적합한 국정운영의 틀 마련이란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정부조직 개편은 행정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행정적 목적과 행정의 민주성·형평성·대응성의 향상을 위한 정치적 목적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2012년 말 정권교체기 다양한 과학기술행정체제개편 논의를 종합하면서 당시 과학기술관련 기관들의 입장에서 제기한 우리나라 과기행정체제의 문제점과 대안들의 비교를 통해 현행 과학기술행정체제가 어느 정도 수용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향후 과학기술행정체제 개편 논의를 위한 과제를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어떤 기관들이 이러한 이슈를 주도하고, 어떤 쟁점들이 과학기술행정체제개편 과정에 수용되는지가 관심이다. 우리나라 과학기술행정체제 개편과 관련하여 항상 등장하는 쟁점은 컨트롤타워문제, 부처간 역할문제, 연구회와 재단 등의 중간조직 문제, 그리고 연구수행주체인 출연연과 산학연의 역할 문제 등이다. 정권교체기에 행정체제개편에 대한 다양한 쟁점들이 도출되지만 현실적으로 다 수용되기는 어렵다. 그리고 5년후 비슷한 쟁점들이 다시 돌아와 논의되는 회전목마와 같은 구조이다. Reform of the government administrative system in Korea has been a main issue at the time of regime change. The reforms of government agencies are mainly focusing on the economic ministries. Such a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system is needed for an appropriate state administration for new regime. In addition, the purposes of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re divided into administrative purposes to improve efficiency of administration and political purposes to improve democracy and equality. This research is aimed at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issues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in science and technology at the time of regime change. That is to say, this research purpose is to review various issues of S&T administrative system reform during regime changing and find out how many issues are accepted in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next regime.

      • KCI등재

        영국의 과학기술행정체제와 투자구조의 변화와 특징분석

        홍형득 한국자치행정학회 201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8 No.1

        국가의 과학기술정책의 변화는 과학기술행정 및 연구개발 수행체계의 개혁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 러한 과학기술행정 및 연구개발 메카니즘에 대한 파악은 국가혁신체제와 정책모형 및 혁신주체들 간의 동태 적인 네트워크와 과학기술 투자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최근 영국정부의 빠른 고등교육 및 과학기술관련 정책부처와 연구지원기관인 연구회(Research Councils)의 변화, 그리고 과학기술투자의 특징 을 살펴봄으로서 영국의 과학기술정책 기조의 변화와 특징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최근 영국의 과학기술행정체제와 과학기술투자구조의 변화의 특징은 2000년대 들어 보수당과 노동당간의 잦 은 정권교체를 이루면서 빠른 구조적 변화를 해오고 있다. 과학기술행정체제의 변화는 특히 정권의 과학기술 정책방향에 따라 고등교육, 과학기술 및 산업관련 부처들의 잦은 통합과 분리가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둘 째는 영국 과학기술행정체제의 특징중의 하나인 정부와 연구수행기관 사이 독립적인 중간조직인 연구회 조직 의 역할과 변화이다. 연구회를 통해 전통적인 기초학문에 대한 강조와 기술의 산업화와 대형연구장비의 지원 과 공동활용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이들 정부기관과 연구회들의 과학기술 투자구조를 통해 이들 기관들의 역할비중의 파악이 가능했다. 영국 과학기술정책의 주요방향은 대학을 중심으로, 성공적으로 구축한 과학기반을 어떻게 산업계와 혁신적으 로 연계시킬 것인지에 집중되어 왔으며 이를 위해 산학간 공동연구의 지속적인 지원과 과학기술 예측 프로그 램의 도입 및 신기술 창업의 육성 등을 추진해 오고 있다.

      • KCI등재

        과학기술혁신 패러다임 변화와 거버넌스 개편 방안

        성지은(Ji Eun Seo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3 기술혁신학회지 Vol.16 No.1

        이명박 정부 들어 큰 변화를 겪은 과학기술계는 차기 정부의 과학기술행정체제 개편을 둘러싸고 다양한 논의를 전개했다. 최근 우리나라는 추격의 대상이 주어졌던 과거와 달리 스스로 문제를 던지고 해결해야 하는 탈추격 상황에 있다. 그 과정에서 과학기술혁신정책은 삶의 질 제고, 지속가능한 발전, 불균형 해소 등 다양한 사회적 목표를 포괄하는 3세대 혁신정책 또는 통합형 혁신정책으로의 진화를 모색하며 관련 정책 및 부처 간의 연계ㆍ조정을 핵심 과제로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혁신거버넌스를 둘러싼 과학기술혁신의 활동ㆍ환경ㆍ정책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고 차기 정부가 나아가야 할 혁신 거버넌스 개편 방향과 철학을 몇 가지 안으로 제시했다. 탈추격 혁신정책, 통합형 혁신정책 등의 철학적 기반 하에 혁신 거버넌스 개편 안으로 현행 체제를 유지하되 소프트웨어 개편을 강조하는 1안, 과학기술부 부총리 체제와 지경부의 발전적 해체를 강조하는 2안, 국과위의 발전적 개편을 강조하는 3안을 주장하였다. S&T policy long treated as a sector policy is now solidifying its position as an infrastructure innovation policy that forms the foundation for many different policie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nhancing the linkage and integration between policies by strengthening planning and coordination functions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in charge of innovation policy. The major countries including Japan, U.S., Finland elevated planning and coordination roles and emphasized the interaction between S&T-society and innovation governance in response to emergence of the third-generation innovation policy. This study deal with several issues related STI governance from the post-catchup innovation and holistic innovation policy and examine arguments on governance design. And then new schemes and alternatives of 1)governance design for sustainability, 2)design of policy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mechanism, 3)reorganization of S&T administration system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행정조직 관점에서 본 한국 과학기술 제도 변화와 시사점에 대한 소고

        이혜진 ( Lee Hyejin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1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8 No.3

        한국 과학기술 분야의 행정제도는 1960년대 현 수준의 제도가 형성된 이후 지속적인 개편 과정을 거쳐 왔다. 본 논문은 맥락적 요인들이 행위자들과 결합하여 구현된 정책아이디어, 즉 제도 변화가 정부의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지원과 관리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과학기술을 전담하는 과학기술처는 과학기술부로 승격된 이래 부 수준의 조직을 유지하면서 집행 기능이 확대되어 왔다. 이후 연구개발 수행 부처는 점차 다원화 되었으며, 민간의 연구개발 참여 비중은 1980년대부터 급격하게 증대되어 공공의 영역을 뛰어 넘은지 오래이다. 산업기술 도입을 위해 설치된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여러 구조적 개편 시도를 거쳐 왔으나, 결과적으로 예산제도의 개편을 통해 정부의 관리가 강화되는 형태로 변화되어 왔다. 연구개발 사업을 수행하는 부처들을 보조하기 위한 전문기관들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행정조직 구조 전체가 비대화되었다.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조정·심의기구의 위상과 역할을 중요하게 다루지만 여전히 한정적인 역할에 머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지속되고 고착된 현재의 행정조직 구조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e administrative system in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sector has undergone a continuous reorganization process since the 1960s. This paper explores how policy ideas implemented by combining contextual factors with actors, namely changes in the system, changed the way the government supports and manages the science and technology sector. As a result, executive functions or the ministry in charge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and diversified while maintaining the organization at the ministry level. Alth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private sector in R&D has increased rapidly since the 1980s an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have undergone several structural reform attempts, the management system of government for the institutes has been strengthened. As agencies to assist ministries carrying out R&D projects expanded continuously, the entire administrative structure became bloated. Furthermore, private experts' participation is still limited. This study undertook the structure of the current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at was persistent and fixed to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suggested a direction to respond to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