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구대 암각화의 고래 그림에 있어서 제례(祭禮)적 기능에 대한 고찰과 현대적 의의

        신현경 ( Hyunkyoung Shi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06 동양예술 Vol.11 No.-

        BanGuDae Rock Art is classified as a prehistoric rock painting and is engraved on a rock in Daegokri, Unyang, Kyoungam province. Through research on Bangudae rock art, its discovery, period of painting, painting techniques, geographic features, and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whale painting on the left of the paint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 whale painting was similar to the realistic depiction of Paleolithic era. This signifies that the whale painting may have been painted as long ago as the Paleolithic era. This paper assumes that this whale painting was painted by the temple to pray for whale hunting. In other words, it is suggested that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primitives which made possible the exceptional realistic depiction was fostered by the ritual role of art. The primitive peoples` perception of nature and their primitive religions are inherent in the ritual role of primitive art. In that case, it can be stated that primitive art was based on the right side of the brain which has developed by visual ability.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visual perception of primitive ar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ritual role of art that was lost due to the left brain based modern education should be revived. A right-brain-based art education has a positive perspective in that it allows the students to objectify themselves through self expression, and thus performs the relieving and healing role of art. In order to revive the self-healing role of art in self expression, a visual based education is needed to effectively developthe right brain. Seeing and drawing through the right brain should function as a fundamental curriculum to revive the basic right of human life. Although this healing role of art was partially inherent in traditional education, it disappeared during the unquestioned process of western modernization. To rediscover this role, it is important to visually understand the ritual role of the BanGuDae rock art. Moreover, it must be noted that this painting is the origin of Korean art and has the natural beauty and symbolism that characterize Korean beauty. The significance of BanGuDae rock art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discussion of postmodernism to search for a modern meaning, and the self-healing role of art should be rediscovered in modern life and art.

      • KCI등재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천전리 암각화의 신화적 도상 연구

        주현식 ( Hyun Shik Ju ) 한국기호학회 2012 기호학연구 Vol.32 No.-

        Rock art means the native rock that has a artificial mark on the surface. Rock art is taken center stage as prehistoric ages` archive, because it has many iconic representations, various visual signs. So, recently, it is treated as an object of interdisciplinary study beyond an archaeological approach. But a hard question on rock art study is that rock art was produced from the distant past. In other words, for the improbability of its context analysis, the systemic description of rock art is very difficult. The problems of a direct approach to the cultural convention results from the researchers` ignorance about rock art`s contextual factor. Now the rock art`s substantive, physical factors, namely, etic factors, can be identified, but structural constituents, cultural codes, that is, emic factors cann`t be identified. This is obstacle of rock art study. Therefore, an absolute truthful methodology of rock art study doesn`t exist. As a result, research direction of rock art study must get out of the representative perspective that rock art`s sign simply mirrors prehistoric ages`s conditions. the representative perspective poses several problems, especially, it overlooks rock art`s textuality. So rock art study will be more productive, when researcher begins the study that focuses on semantics, functions of rock art`s sign morphology, expand into the study that concentrat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rock art`s signs and contextual factor such as its natural environment, prehistoric material conditions. That is, rock art is intentional product with the rules that special images are made, disposed. This paper`s differentiated point proceeds from this semiotic analysis of rock art. A major premise of this paper is that the perception of natural reality is made up of dialogue between the artificial signs and the natural material conditions. This perspective compensates the earlier studies that have superficially speculated on environmental factors of rock art`s remain. An object of this paper is Cheonjeon-ri rock art found in 1970. Cheonjeon-ri rock art is Korea`s very first prehistoric rock art. Because it has many geometric figures, the definite interpretation about Cheonjeon-ri rock art is very difficult. As a result, semiotic analysis that regards textual systemic description as important is urgently needed for scientific approach to Cheonjeon-ri rock art.

      • 중년여성의 의례기반 집단표현예술치료 체험연구

        고현정(Hyun Jung Go),최명선(Myoung Sun Choi) 한국표현예술심리상담학회 2024 표현예술심리상담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의례기반 집단표현예술치료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체험과 체험의 본질을 밝히고자하였다. 전환기 위기를 겪는 중년여성의 자기 이해와 삶의 변화를 돕기 위해 의례기반 집단표현예술치료를 진행하고, 밴 매넌(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그 체험을 탐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3월부터 2021년 8월까지로, 실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의례기반 집단표현예술치료를 구성하고, 30대 후반부터 50대 후반 중년여성 9명을 대상으로 의례기반 집단표현예술치료의 실행, 자료수집과 분석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의례기반 집단표현예술치료는 의례의 형식적, 절차적, 반복적, 상징적 특성을 기반으로 명상과 음악 감상, 원무의 연행과 만다라 그리기의 표현예술치료를 방법적으로 결합하여 구성하였고, 매회기는 의례의 절차에 따라 음악과 원무, 만다라, 글쓰기, 나눔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의례기반 집단표현예술치료 체험은, 현실세계와 분리된 ‘낯선 세계로의 입문’, ‘큰 울음소리와 애도’, ‘춤추고 신나게 노는 아이’의 경험, 여성으로서 ‘내적 욕구의 발견’과 ‘비밀 연애를 하는 설렘’, ‘상처받은 내면의 만남’과 ‘온전함의 경험’, ‘난 참 괜찮은 사람’이라는 ‘나에 대한 존중과 수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년여성은 의례기반 집단표현예술치료에서 나를 담아주는 안전한 세계를 ‘체험’하고, 묻어둔 아픔과 직면하고 애도하면서 내면세계와 ‘연결’되었고, 현재의 어려움이 더 큰 내가 되어가는 과정이라는 자기 ‘인식’을 통해, 용기 내어 나아가는 힘으로 삶의 ‘변화’를 이끌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여셩의 인생 전화과 성숙에 의례기반 집단표현예술치료가 효과적임을 밝히는 동시에 중년여성들의 전환기 혼란과 어려움을 극복해가는 과정에 관한 질적 자료를 제공하여 향후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예술치료의 방향과 심리상담 및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ively examine the lived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ritual-based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and to understand its essence. I tried ritual-based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to help adult women in a crisis of transition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explored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through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f Max van Manen. After organizing ritual-based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through action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I conducted it in the order of recruitment of research participants, practice of ritual-based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an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ritual-based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was composed by combining meditation, music appreciation, performance of the circle dance and mandala drawing based on the formal, procedural, repetitive and symbolic characteristics of the ritual. The ritual-based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for middle-aged women consisted of six sessions, and each session was conducted with music, circle dance which have symbolism of trees, sun, moon, and stars, mandala, writing, and sharing according to the ritual procedure. As a result of the study, middle-aged women’s lived experiences on ritual-based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were an ‘entrance to a unfamiliar world’ separated from the real world, ‘loud cries and mourning’, ‘the experience of a dancing and playing child’ having fun, ‘discovering inner desires’ as a woman and ‘the excitement of having a secret meeting’, ‘the awareness of the wounded mind’ and ‘the experience of wholeness’, and ‘respect and acceptance of oneself’. Middle-aged women experienced a safe world that contains herself, connected with the inner world while mourning the pain that they repressed, recognized it as a process of becoming a bigger person while overcoming the current difficulties, which led to a change of life with the power of coura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experience of ritual-based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and provided qualitative data o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onfusion and difficulties of middle-aged women.

      • KCI등재

        일본 고대국가와 예능 -8‧9세기 복속의례형 예능을 중심으로-

        정진아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70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the recognitions of the Japanese ancient royal court on the foreigners who were not subject to the royal court were revealed as individual features and how the terms related to their art performances in the official history books compiled by the nation were related to the Japanese sense of Little Sinocentrism. It was studied based on the subjugating ritual music and dance rites performed by Hayato people in Satzma and Osmi, Balhae envoy, and the royal clans of Baekje Kingdom in the 8th and the 9th centuries. Hayato people were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from the antagonist against the ancient Japanese royal court to guardians of the royal authority by getting refined their rebellious nature. The terms that described Hayato's subjugating ritual-style art performance in the official history books of the nation have changed from Hayato-specific folk art performance to general art performance. When Balhae envoys entered Japan, they followed the procedures of the welcoming diplomatic rites arranged by the ancient Japanese royal court. The core of the ritual consisted of Korean music and dance performed by Balhae envoys. However, according to the Six National Histories of Japan, it was very rare that Balhae’s music and dance were actually played. Royal clans of the Baekje Kingdom were those who became the people of the Japanese emperor. However, until the Heian period, the art performances performed by them were described as "the folk songs and dances of Baekje Kingdom" under the premise that royal clans of Baekje Kingdom meant the royal authority of Baekje Kingdom. The ancient Japanese royal court believed that the performanc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by Balhae and Silla's diplomatic envoy in the ritual space was a powerful device to show the completeness of the emperor's ruling, having a stronger effect than the royal power protected by Hayato. It was because there was a gap between the concept and the realistic world of Little Sinocentrism. The performance of Korean music by Korean envoys changed the flow of the fixed consciousness or led to a special rule with the virtual existence of foreign envoys from Balhae and Silla in mind. This can be seen as a different perception from the reality that the act of art performance in front of the emperor by royal clans of Baekje Kingdom was viewed as a music performance symbolizing subjugation and loyalty to the emperor rather than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emperor. The foreign tribes from each region who did not subject to the ancient Japanese royal court and the tribes of Balhae and Silla functioned sufficiently as logic to reinforce the solidarity of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people of the emperor. However, it also implicates the weak character of the ancient Japanese imperial system in that their perception of the king and the subjects were revealed stronger through the setting of foreign tribes and the subjugating ritual-style art performance. 본 논문은 8‧9세기의 사쯔마(薩摩)‧오스미(大隅)지역의 하야토(隼人), 발해사절, 백제왕씨의 복속의례를 대상으로 이적(夷狄)과 제번(諸蕃)을 주축으로 하는 일본 고대조정의 화외인(化外人)에 대한 인식체제가 복속의례형 예능에서는 어떠한 개별적인 속성으로 드러나며, 관찬사서 내에서 이들의 예능 상연과 관련된 용어들이 일본의 번국관념의 구조적인 특성과 어떠한 연결고리를 가지는지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하야토는 국(國)의 설치 → 준인사(隼人司)의 설치 → 반전제(班田制)의 시행 → 조공의례의 폐지 → 『연희식(延喜式)』에서의 역할규정으로 이어지듯이, 율령국가의 제도권으로 편입시킨 후 왕권의 수호자로 치환시켜가는 과정이었으며, 공민화 작업과 궤를 같이하면서 관찬사서내의 하야토의 복속의례형 예능의 표기는 풍속가무에서 속기(俗技)로 변화되어 갔다. 발해사는 일본에 입경하게 되면 일본이 설정한 빈례(賓禮) 절차를 따르게 된다. 빈례의 핵심은 발해사에 의한 본국악(무)의 주상이었지만 육국사에서 본국악을 연주한 사례는 극히 드물었다. 일본의 소중화 논리를 극명하게 시각화할 수 있는 것이 의식에서의 번객의 본국악 연주였기 때문에, 일본 고대 조정은 헤이안(平安)시대의 의식서에도 번객의 본국악 연주를 상정한 예외규정을 설정하게 된다. 이는 관념상의 번국의식이 실제의 예외규정으로 이어진 사례이며, 번객의본국악 연주가 있을 때는 기존의 의식이 중지되었다. 백제왕씨는 왕민화가 이루어진 씨족이었지만 헤이안시대에 이르기까지 관찬사서에서의 백제왕씨의 예능은 백제왕씨=백제왕권이라는 전제 하에 이루어지는 ‘백제국의 풍속가무’로 표출되었다. 일본 고대조정에서는 이적에 의한 왕권수호보다는 의례공간에서의 번객에 의한 본국악 연주가 천황제 지배의 완결성을 보여주는 강력한 장치였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번객의 본국악 연주는 규정된 의식의 흐름을 변경시키거나 번객이라는 가상의 존재를 염두에 둔 예외규정으로 이어질 정도로, 관념과 현실적인소중화 세계의 재구성에 괴리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이는 백제왕씨의 악무상연을 천황과의사적인 관계성보다 복속과 충성을 상징하는 번속의 악무로 보려는, 현실과 다른 관찬사서의인식이 이와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적과 번으로 상징되는 이민족은 일본의천황과 양인공동체의 결속을 보강하기 위한 논리로 충분히 기능하였지만, 번의 설정 및 복속의례형 예능을 통한 종주(宗主)의식이 한층 더 강력하게 드러났다는 점에서 일본 고대 천황제의취약한 성격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의례로서의 민중미술: 종교사회학의 관점에서 80년대 민중미술의 재해석

        김동일,양정애,김강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26 No.1

        본 논문은 뒤르켐의 종교사회학의 관점에서 80년대 민중미술의 의례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80년대 한국 사회의 민주화는 민주적 가치에 대한 종교적 숭배를 통해 성취되었다. 뒤르켐은 종교를 성/속의 구분, 의례, 그리고 공동체라는 세 가지 요소의 복합체로 보았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서로 순환하는, 종교의 서로 다른양상들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예술은 ‘의례’의 한 부분을 이룬다. 민중미술은 80년대 민주화운동을 추동했던 세속적 의례로서 예술의 기능을 가장 눈부시게 발현시켰던 사례라 할 수 있다. 민중미술은 당대 민중이 추구했던 자유와 인권, 평등의 민주적 이상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했다. 연구자는 80년대 민주화운동의 현장에서민중미술이 수행하는 미학적 실천의 의례적 효과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검토하고자 한다. 그 가운데서도 걸개그림은 집회 현장을 민주주의에 대한 신성한 숭배의 장소로 만들었을 뿐 아니라 평범한 일상의 사람들을 민주적 가치를 숭배하는 주체로서 민중으로 각성시키는 데 기여했다. 걸개그림은 보다 적극적 의례로서 집회 현장에서 민주/독재(반민주)라는 성/속의 구분을 가능케 했을 뿐 아니라 민주적 공동체 형성에 기여하는 의례로서 민중미술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work examines a ritual meaning of 80’s Min-Jung Art by means of Durkheim’s sociology of religion. The democratization of Korea in 1980s is attributed to religious worship on democratical values. Durkheim thought about religion as a composit of the division between the sacred and profane, ritual,and community. Religion is featured by the three properties, which are circulating between each other. Art can be considered as a ritual in the model. Min-Jung Art is a primary example that the function ofart is the most performed as a secular ritual which promotes the 80’s democratic movement. Min-JungArt visualized the ideal of democracy such as freedom, human right, and equality. We focus on the effectof aesthetic and performative art, which is carried out by the people in the space of the movement. Inparticular, Geolgae(hanging) paintings played important roles of turning the space into a sacred placeof worship, and it contributed to enlightening people to be subjects who worship values of democracy. In addition, Geolgae(hanging) paintings were more positive rituals, which allow dividing democracy/dictatorship(anti-democracy) as the sacred/the profane in the space of the movement. Furthermore, thepainting shows a potential of Min-Jung Art as a ritual constructing democratic communities.

      • KCI등재

        가톨릭교회의 현대 성작 디자인 사례 연구

        김소라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4 No.-

        인간의 예술적 본능은 체계적인 문화를 형성하기 이전부터 종교성과 함께 나타나고 있다. 종교 예술은 종교적 행위를 위한 도구에 종교 정신과 신앙 규율 등을 아름다운 조형미로 구현하여 종교 문화 전반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인간과 신의 세계를 이어주는 연결고리의 역할을 한다. 가톨릭교회 예술 역시 종교적 내용을 담아내는 방식으로 종교에서 필요로 하는 뛰어난 예술성과 최고의 기술 등의 요구 사항에 부합하기 위해 노력하며 발전을 이어오고 있다. 가톨릭교회의 성체성사는 중요한 의례로, 성체성사와 관련된 도구 또한 종교적 상징 의미를 담은 예술품으로 제작되어 귀하게 여겨지고 있다. 성체성 사에서 사용되는 도구인 미사 제구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에서 제정된 규정을 기준으로 제작되고 있다. 국제 선교연구회보에서 전 세계 인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세계 선교 통계(2023)” 결과에 따르면 가톨릭교회가 단일 종파로는 가 장 많은 신자를 지닌 종교로 나타났다. 가톨릭교회의 신자가 많은 만큼 전래된 국가도 많으며, 그에 따른 종교 예술 사례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미사 제구에 관한 규정을 고찰한다. 이후 이를 근거로 제작되고 있는 국내 및 국외의 가톨릭교회에 영향력을 끼친 대표적인 현대의 미사 제구인 성작 예술을 대상으로, 전래된 지역의 특성과 조형성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여 종교예술의 예술적 표현 방법에 관한 방향성을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Artistic instincts in humans have manifested with religion even before they formed a systematic culture. Religious art formatively captures the spirit of religion and the discipline of faith in tools designed to conduct religious rituals, contributes to progress across religious cultures, and serves as a bridge between a world of humans and that of gods. Likewise, the art of the Catholic Church has tried and made progress to meet certain needs in terms of great artistic values and technical skills to cover religious content. The Eucharis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tuals in the Catholic Church, and the tools used for the Eucharist are produced and considered valuable as artworks capturing religiously symbolic meanings. Holy ritual utensils, which are tools used in the Eucharist, are made in compliance with guidelines established by the Second Vatican Council(1962~1965). According to World Christianity and Mission(2023) by the International Bulletin of Mission Research on the global population, the Catholic Church accounts for the largest number of believers as a single religion. The Catholic Church has been spread across various countries, and there are diverse examples of religious art.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 guideline on how to represent religious art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n guidelines about holy ritual utensils and analyzing chalice art as one of the contemporary holy ritual utensils, which has influenced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and abroa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a region where it was introduced and the features of its form.

      • KCI등재

        리추얼의 종말과 부활- 청년 세대 문화현상에 내재된 의례의 가능성

        이민형 한국대학선교학회 2024 대학과 선교 Vol.59 No.-

        디지털 기술의 확산으로 인해 인류는 새로운 리추얼의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는 종교적 예식도 마찬가지이다. 기독교, 특히 개신교의 리추얼은 이전보다 더 효용성과 편리성만을 중요시하는 성도들을 위한 서비스로 발전하였다. 문제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한국교회는 작금의 상황을 시대적 흐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기독교의 리추얼은 종교적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이 글은 의례의 종교적 의미와 특성을 알아보고, 그것을 오늘날 기독교의 예식에 반영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것들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현대사회에서 리추얼이 불필요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철학자 한병철의 주장을 고찰하여, 의례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또한 청년 세대의 유행 문화 속 의례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이 리추얼로 여겨질 만한 근거가 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확인해본다. 마지막으로 이를 근거로 오늘날 종교적 리추얼, 특히나 개신교의 예식이 갖추어야 할 의례적 특성을 요약하고, 그것을 반영할 수 있는 의례의 실천적 방향을 제안하며 글을 마치려 한다. The prolifer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has brought humanity into a new era of rituals. This is also true for religious rituals. The rituals of Christianity, especially Protestantism, have evolved into services that prioritize utility and convenience for the congregation.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a lack of serious reflection on this phenomenon. Most Korean churches accept the current situation as a trend of the times. However, at the same time, Christian rituals are losing their religious significance.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religious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rituals and propose what needs to be considered to reflect them in Christian rituals today. Moreover, it examines Han Byung-chul’s argument that ritual is unnecessary in modern society and argues for the necessity of rituals.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ritua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r culture of Korean young adults to see if they can be considered as rituals. Finally, this article summarizes the ritualistic characteristics that religious rituals, especially Protestant rituals, should have and suggests practical directions for implementing them.

      • KCI등재

        심청서사무가의 전승과 연행 특징

        최혜진 ( Choi Hye-jin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3

        심청서사무가는 동해안 별신굿의 한 순서로 중요하게 연행된다. 별신굿의 특성상 공동체 단위의 평안과 복을 비는 마을굿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어촌의 생활과 관련이 깊다. 따라서 심청무가는 눈을 뜬다는 주술적 목적을 바탕으로 눈병의 예방과 치료, 개인의 안녕, 무탈과 풍어를 비는 제의로 불리어진다. 심청무가는 소설본을 바탕으로 서사가 이루어져 있지만, 연행이라는 측면에서 관객의 공감을 얻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본 논의는 심청무가의 전승 맥락과 연행예술적 특성을 다룬 것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심청굿의 형성을 맹인거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심청굿의 완결된 구조는, 굿의 의도 설명과 신격 호명-심청무가의 연행-맹인거리의 연행-온수물로 눈씻기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심청서사 중 전반부의 비극성이 확대되고 후반부가 축소된 것도 맹인거리에서 봉사가 눈을 뜨는 내용이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눈병을 낫게 하고 눈을 뜨게 하는 신격은 심봉사로 점차 부각되었다. 후대로 갈수록 신격은 심청, 심봉사, 곽씨부인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편 심청무가는 판소리의 영향을 받아 구송 중 판소리 성음이나 내용이 들어가는 부분이 있는 점도 발견된다. 판소리 장단이나 고수와의 관계, 말과 노래의 교체방식 등도 모두 판소리적 영향을 받은 것이라 보인다. 다음으로 심청무가는 관객들에게 매우 공감력있는 사설과 퍼포먼스로 중요한 레파토리가 되었는데, 이를 연행예술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무녀는 춤과 노래, 이야기를 바탕으로 굿을 이끌어가는 주체자이다. 여러 가지 퍼포먼스를 연행하면서 신격으로서의 위치, 위로자, 치료자, 예언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서사진행면에서는 심청서사는 물론 맹인거리가 함께 심청굿의 서사가 되면서 눈을 뜨고 점을 치는 장면까지가 서사로 확대되어 있다. 심청무가의 서사는 굿판의 특성상 연행 중 빈번히 단절되기도 한다. 이외에 심청굿의 무대와 객석, 악사의 역할 등을 논의하였다. 심청무가는 굿판에서 제의와 축제의 조화성, 공감과 위로의 예술성, 연행의 다양성 등을 바탕으로 공연되고 있으며, 판소리와 달리 서민적이고 투박한 문학성, 음악성을 바탕으로 현장의 주민들과 함께 울고 웃는다. 이러한 측면은 심청무가의 독자적 공연예술성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Simcheong shaman narrative song is performed as a procedure of beolsingut [exorcism] on the east coast. As characteristics of beolsingut, it can be called a village gut ceremony praying for the safety and luck of village people. It is specifically related with life of fishing village. Accordingly, Simcheong shaman narrative song is gut ceremony praying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ye diseases, based on exorcistic purpose to open eyes, safety of individuals, and big catch of fish. Simcheong shaman narrative song is narrative based on the novel, but, as it is designed to be performed before the audience, it uses various strategies to appeal to the audience. This study deals with the traditional context and characteristics as performing art of Simcheong shaman narrative song. The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viewed that Simcheong ritual started in the blind people’s street.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Simcheong ritualt consists of the followings: explanation of the thesis of ritual; invocation of god; performance of Simcheong shaman narrative song; performance of blind people’s street, washing eyes with warm water. It also viewed that the reason why tradegy of the former part of the Simcheong narrative song was enlarged, and the latter part of it was shrunk is caused by the fact that it succeeds to the scene where the blind man opens his eyes in the blind people’s street. In the process, the god who cures eye diseases and makes blind people open eyes is slowly becomes Simbongsa. In later years, godliness is expanding to Simcheong, Simbongsa, and Madam Gwak, etc. On the other hand, it is discovered that, influenced by pansori, sound and contents of Simcheong shaman narrative song have some similarity with pansori Its relationships with pansori beat and with drummer and method of rotating narration and song seem to be influenced by pansori. Simcheong shaman narrative song with very appealing narrative and performance, has become an important repatory. This study examined it in the performance art perspective. Dancing woman is the leader of gut based on dance, song, and story. While giving various performances, she plays the role of consoler, curer, and fortuneteller. In the aspect of epic process, not only Simcheong shaman narrative song, but blind men’s street become narrative of Simcheong ritual and it expands to the scenes of eye-opening and fortune-telling. The narratives of Simcheong shaman narrative song are frequently cut during performanc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guk. Besides, this study also discussed roles of stage, audience seats, and musicians. Simcheong shaman narrative song is performed based on harmony of ritual and festival of gut, art of compassion and solace, and variety of performance. Unlike pansori, based on popular and unsophisticated literary and musical characteristics, performers of Simcheong shaman narrative song cry and laugh with local residents. In this respect, Simcheong ritual hows its unique performance art.

      • KCI등재

        동북아시아 민간신앙의례의 연행예술 비교연구 - 한국의 무당굿, 중국의 나희(儺戱),일본의 카구라(神樂)를 중심으로 -

        이용식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5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 No.1

        한국 중국 일본은 동북아시아의 한자문화권을 형성하는 세 나라이다. 이 문화권에서는 유교, 불교, 도교가 종교문화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지만, 각각의 고유한 토착신앙이 존재했었고 현재도 민간신앙으로 전승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토착민간의례이자 악가무극(樂歌舞劇)의 종합연행예술인 한국의 무당굿이나 중국의 나희(儺戱), 그리고 일본의 카구라(神樂)의 무용과 음악을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의 무당굿은 신의 체험을 통해 의례를 주재하는 무당이라는 직업적 사제자이자 예능인에 의해 연행되기 때문에 신을 상징하는 탈을 쓰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고 복잡하고 다양한 리듬에 맞춰 춤을 추고 노래를 한다. 일본의 카구라는 일반 주민이 연행하는 의식이기 때문에 신을 상징하는 탈을 쓰고 노는 탈놀이가 많고 적은 숫자의 악기가 연주하는 단순한 리듬에 맞춰 춤을 추고 노래를 한다. 중국의 나희는 한국의 무당굿과 일본의 카구라의 중간위치에 놓인다고 할 수 있다. 반(半)전문가가 연행하기 때문에 반주악기는 많지만 선율을 연주하는 악기가 거의 없고 주로 리듬을 연주하는 타악기가 많고 한국의 무당굿에 비해서는 단순한 리듬에 맞춰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른다. 한국, 중국, 일본의 민간신앙의례는 오랜 세월동안 워낙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특징을 단순비교하는 것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나 민간신앙의례는 고등종교가 성립되기 이전부터 존재했던 가장 오래된 종교형태와 연행예술형태를 간직한 것이기 때문에 동북아시아 전통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찾기 위한 첫걸음으로 각국의 대표적인 민간신앙의례의 무용과 음악을 비교하는 것은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Korea, China, and Japan consist a cultural area that share Chinese characters. The so-called world religion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have played a grea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ir religious structure and performing arts. However, there have existed local folk religions before the rise of the world religions. The folk religions in the three countries share a common trait that the rituals have music, dance, and drama performed by the religious practitioner.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commonalities and distinct features found in the performing arts of folk rituals in three countries; Korean shaman ritual, called kut, Chinese nuoxi, and Japanese kagura. Korean kut is performed by the professional shaman who experience spiritual power during the ritual. The shaman herself becomes the spirit and does not have to use masks that symbolize the spiritual power. The shaman dances alone in order to exhibit the spiritual power to the audience. The shaman's dance and song are accompanied by various musical instruments. The instrumentalists are also professional musicians that they play complex melodies and rhythms. Japanese kagura is performed by the villagers who do not experience spiritual power during the ritual. The performers often ware masks that symbolizes the presence of the deity at the ritual space. The dance is mostly performed by two or four dancers in contrast movements and shows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Since the accompanying music is played by the villagers, the music is rather simple with a limited number of musical instruments. Chinese nuoxi lies between Korean kut and Japanese kagura. Chinese nuoxi is performed by special ritual practitioners who are half-shamans. They also ware masks during the ritual in order to transform themselves to spiritual characters. The dance, performed by various numbers, is rather complex and often presents dramatic scenes of deities. the The accompanying music is performed by various percussions, not by melodic instruments, in rather simple rhythmic structure. Since the folk rituals in the three countries have a long history and have preserved their own artistic idioms and characteristics that it is hard to compare them within a limited scope. However, since they have existed long before the rise of the world religions that they have preserved the ancient religious structure and performing arts. In this sense,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universal traits of folk performing arts underlying in the these rituals.

      • KCI등재후보

        공인된 전쟁놀이 석전(石戰)과 관련된 세시풍속 연구

        남도희,조성균 한국무예학회 2017 무예연구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nd the probability that the Seokjeon which was established as a regular military base by King Taej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popularized as the folk game, is transformed into various Seasonal Rituals after the political abolishment of the stat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eokjeon was a military system for wars. While establishing the Joseon Dynasty, King Taejo established the Chukseok army, Seokjeon base, as a warrior for the wars and also equipped the amusing elements as a folk play. The Chukseok army was organized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9th year of King Sejong regime, the Seokjeon had a systematic form. Secondly, the form of Seokjeon, the battle play, was spread and changed into the Seasonal Rituals of the people. The form and supplies of the Uiseong sedan chair play imitated the form and the supplies of the Seokjeon, which demonstrates it. The existence of the form of Seokjeon in the Uiseong sedan chair play and the Gunwi baksi play shows that they are the Seasonal Rituals developed from the Seokjeon. Thirdly, in the Joseon Dynasty, the Seokjeon was likely to Soobak(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 the martial arts. The form of the game of Seokjeon can be found in the Uiseong sedan chair play and the Gunwi baksi, the other Seasonal Rituals, and the shape, the name and the terminology of their physical fights a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e Soobak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석전은 고대부터 근대까지 전국 각지에서 행하여졌던 한국의 세시풍속이었다. 이 연구는 석전이 조선 초기 태조에 의해 정규 군부대로 창설되었고, 민속경기로 대중화된 석전이 국가의 정책적인 폐지 이후에 다양한 세시풍속들로 변용된 연관성과 개연성을 찾고자 한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조사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조선 초기 석전은 전쟁을 하기 위한 군사제도였다. 조선을 건국하면서 태조는 전쟁을 위한 무재(武才)로써 석전부대인 척석군(擲石軍)을 창설하였으며, 더불어 민속놀이로서 유희(遊戱)적 요소를 갖추어갔다. 척석군(擲石軍)은 중추(中樞) 관리 하에 편성하였다. 세종 9년에 이르러 석전은 체계화된 형태를 갖추었다. 둘째, 전투놀이 석전의 형식이 민중의 세시풍속으로 퍼져갔으며 변용되었다. 의성 가마놀이의 형식과 용품들이 석전의 경기형식과 용품을 모방한 것은 이를 증명한다. 의성 가마놀이 및 군위 박시놀이 속에 석전의 형태가 존재하는 것은 석전에서 파생하여 발전한 세시풍속 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조선시대의 석전은 무예인 수박(手搏)과 개연성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석전의 경기형태는 다른 세시풍속인 의성 가마놀이 및 군위 박시놀이 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여기에서 보이는 몸싸움의 형태와 명칭, 용어 등은 조선 초기 수박(手搏)과의 개연성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