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근 국내 연구윤리 동향과 한국윤리교육학회 연구윤리 규정의 개정 방안

        이인재 한국윤리교육학회 2024 윤리교육연구 Vol.- No.71

        학회의 연구윤리 규정은 학회 구성원이 연구 과정에서 지켜야 할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책임 있는 연구수행을 위한 중요한 근거가 된다. 연구윤리의 내용은 연구 환경의 변화나 새로운 연구윤리 이슈가 등장함에 따라 변화될 수 있기에 연구윤리 규정은 이러한 사항을 시의적절하게 반영하여야 한다. 한국윤리교육학회의 연구윤리 규정은 비록 2022년 11월 25일에 개정되었지만 연구윤리 규정이 갖는 체계 측면이나 최근 변화되어 강조되고 있는 국가 연구윤리 법령의 내용을 반영하는 측면에서 볼 때 개정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최근 국내 연구윤리의 동향과 변화된 국가의 연구윤리 법령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한국윤리교육학회 연구윤리 규정을 분석하고 개정 방안 제시하였다. A society's research ethics policy describes what members of the society must do in relation to research and is an important basis for responsible research. The content of research ethics may change as the research environment changes or new research ethics issues emerge, and the research ethics regulations should reflect these changes in a timely manner. Although the research ethics regulations of the 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KEEA) were revised on November 25, 2022, they need to be revised in terms of the system of research ethics regulations and in terms of reflecting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research ethics law, which has been changed and emphasized recently. This paper examines the recent trends of research ethics in Korea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changed national research ethics laws, analyzes the research ethics regulations of KEEA, and proposes a revision plan.

      • KCI등재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혁신(RRI) 연구의 배경과 동향

        박희제(Bak, Hee-Je),성지은(Seong, Ji-Eun) 한국과학기술학회 2018 과학기술학연구 Vol.18 No.3

        이 논문은 최근 연구혁신 정책의 중요한 화두로 등장한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혁신(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의 연구 동향을 검토한다. 특히 이 논문은 RRI 개념이 과학기술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공통분모를 갖지만 동시에 개념이 발전해온 배경에 따라 각기 다른 강조점을 지닌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RRI 관련 논의를 RRI 개념이 발전해온 배경과 관련해 세 가지 흐름으로 나누어 논의한다. 첫 번째는 신기술의 사회적 영향 예측과 이에 대한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 RRI 연구로 기술영향평가 및 ELSI를 배경으로 하는 흐름이고, 두 번째는 사회적 도전에 대한 대응을 새로운 혁신의 원동력으로써 강조하고, 이를 담보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도화하려는 혁신정책 차원의 연구이며, 셋째는 추상적인 RRI 개념을 평가 가능한 형태로 조작화하고, 이를 통해 연구혁신과정에 RRI의 비전이 얼마나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연구이다. 나아가 이 논문은 최근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연구혁신정책이 RRI의 핵심적인 가치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RRI 논의가 이러한 변화의 노력에 주는 정책적 · 실천적 함의를 논의한다. This study discusses the research trends in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 which recently emerged as the central concept among international innovation policy circles. In particular, we attend to the conceptual diversity of RRI, showing that each trend emphasizes different elements of RRI and reflects the context in which the concept has emerged. The first trend centers on research on governing emerging technologies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the tradition of technology assessment and ELSI. The second trend has been closely related to the innovation policy efforts to take up the social challenge driven innovation as a new driving force for innovations. The third involves the attempts to operationalize the concept of RRI to evaluate whether the vision of RRI has been successfully incorporated in the actual innovation practices. We also insist that recent Korean R&D policies which emphasize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clude essential elements of RRI, although they do not use the term RRI. Finally, we discuss policy implications of discourse over RRI on such innovation policies.

      • KCI등재

        리더십현장의 패러독스

        백기복 리더십학회 2019 리더십연구 Vol.10 No.3

        Although there exist diverse interpretations on leadership, the present study assumed that the leadership paradox perspective should deserve the entitlement, “the most appropriate viewpoint on leadership”, considering the VUCA(Velocity, Uncertainty, Complexity, and Ambiguity) characteristics that the 4 th industrial revolution brings about. Based on this assumption, the current study extracted seven leadership paradox behaviors after comprehending the extant leadership theories and accumulated study results, and explains each paradox from the viewpoints of schimogenesis and versatility. The seven paradoxes presented here as in task-oriented vs. people-oriented, management-focus vs. strategy-focus, leader-centered vs. subordinates-centered, formal vs. informal roles, developing a singularly deep relationship vs. multiple relationships, innovation-push vs. transaction-saddled, principle-first vs. adaptability-first are the fundamental leadership behaviors that a versatile leader needs to demonstrate in response to situational demands. Leaders at work should focus on tasks and accomplish assigned goals while at the same time taking care of the minds of subordinates’; they also need to manage people thoroughly whereas showing the capability to articulate a vision and the strategy to achieve it; and the leaders should be able to demonstrate the capability to present decisive solutions to subordinates along with the abilities to make participative and delegatory decisions. Additionally, the leaders on site are supposed to play informal supportive roles while concentrating on formal roles; and they are also to build strong social capital with the personnel including the superior, peers, and outside network, while developing specially intimate relations with a few in-group subordinates. Finally the leaders on one hand should be capable of properly rewarding and recognizing subordinates for their present endeavors, while on the other hand pursuing relentless innovation necessary for the future of organization; and they need to show adaptability to respond properly to the environmental pressures by detecting and utilizing coming opportunities, simultaneously being loyal to the ethical principles. In this paper, it was suggested that “the leadership gaming method” is more appropriate to train and develop the versatile leaders than the existing one-side lecturing.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also described along with future research directions. Key words: Leadership, Paradox 리더십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지만, 최근의 4차 산업혁명시대의VUCA(Velocity, Uncertainty, Complexity, Ambiguity) 특징을 고려할 때 패러독스관점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제하에 기존의 리더십이론들과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리더십패러독스행위 일곱 가지를 도출하고 각각에 대해서 분열생성(schimogenesis)과 두름성(versatility) 측면에서 설명하였다. 여기에 제시된 과업초점 vs. 인간초점, 관리지향 vs. 전략지향, 리더중심 vs. 부하중심, 공식역할 vs. 비공식역할, 단면관계 vs. 다면관계, 혁신지향 vs. 거래지향, 그리고 원칙중시 vs. 적응중시 등 리더십패러독스 일곱 가지는 두름리더들이 상황의 필요에 따라능수능란하게 발휘해야 하는 기본적 리더십행위들이다. 현장의 리더들은 과업에 집중하여 목표를달성하는 한편 구성원들의 마음관리를 해야 하고, 관리를 철저히 하면서도 미래비전과 전략을 제시할 줄 알아야 하며, 독단이 필요할 때 과감하게 독단하면서도 참여와 위임도 할 줄 알아야 한다. 아울러 공식적 역할에 집중하면서도 비공식적 후원자역할도 수행하고, 부하를 위하면서도 상사, 동료, 외부인들까지를 포함한 폭넓은 사회적 자본을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 한쪽에서 미래의 발전을위해서 혁신을 추구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적 보상과 인정을 잊지 말아야 하고, 윤리적원칙에 충실하면서도 새로운 기회를 찾아 환경변화에 적절히 적응하는 모습도 보여줘야 한다. 이러한 두름리더십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일방적 전달위주의 방식보다는 “리더십게임”을 통한 훈련방법이 더 바람직하다고 추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키워드: 리더십, 패러독스, 현장, 리더

      • KCI등재

        외국의 사례에서 본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개념의 생명윤리적 기원에 관한 연구

        이준석(Lee June-Seok) 한국생명윤리학회 2016 생명윤리 Vol.17 No.1

        최근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및 기술혁신이론 분야에서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혹은 ‘사회에 책임지는 혁신’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주로 EU와 북미지역에서 논의되어왔던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의 개념은, 2013년 이후 한국에서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및 한국연구재단에서 수행되는 프로젝트들의 새로운 키워드중 하나로 포함되면서 최근 한국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이 부상하고 있다. 본고는 이처럼 국내ㆍ외 기술혁신 및 과학정책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의 개념이 생명윤리 분야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어온 여러 전통에 기원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생명윤리 분야의 중요한 세 가지 전통을 사례연구로 분석한다. 이들은 첫째, 영국 누필드 생명윤리위원회(NCB)에서 발간한 보고서, 둘째,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에서 정의한 바른 연구 수행(GRP)의 사례, 그리고 셋째,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에서 제시하는 책임있는 연구 수행(RCR)의 전통이다. 이 사례연구들를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본고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의 생명윤리학적 연원을 고찰할 것이다. Recently in th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studies and innovation studies, the concept of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 gained its visibility. Being mainly discussed in European Union and in the United States,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 is researched academically and also being practiced in policy-making processes. In this paper, I show that the concept of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 may have its origins in the field of bioethics. Since later decades of the last century, there were many discussions about how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ethically while being socially-aware. Here I analyze three foreign case studies to bolster this argument. First case study: Nuffield Council on Bioethics in the U.K. periodically publishes reports on bioethics. Some of the reports explicitly deal with the concept of RRI. Second case study: U.K. Medical Research Council (MRC) published Good Research Practice (GRP). I show that the concept of GRP is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RRI. Third case study: United State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 published a code of conduct called Responsible Conduct of Research (RCR). By showing that RCR also explicitly requires RRI-related responsibilities from its NSF awardees, I show that these three bioethical origins are interconnected and intertwined with the concept of RRI.

      • KCI등재후보

        더 나은 사회를 위한 과학을 향하여

        박희제(Bak, Hee-Je),성지은(Seong, Ji Eun) 한국과학기술학회 2015 과학기술학연구 Vol.15 No.2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와 혁신(RRI)은 과학기술을 단지 경제성장의 도구를 넘어 더 나은 사회(better society)를 위한 도구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이론적 ·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로 한창 논의중인 개념이다. RRI는 연구와 혁신에 수반되는 책임의 범위를 연구과정뿐 아니라 연구의 목적과 동기 나아가 연구결과에 대한 책임으로까지 확장한다. 또 이러한 책임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로 예견, 성찰, 숙의/포괄성, 책임이라는 네 가지의 상호 연관된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RRI는 단지 이론적 논의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이미 다양한 수준에서 실천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STIR와 SPICE라는 두 연구프로젝트와 영국의 EPSRC, 네덜란드 MVI, 한국의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과 같은 사례를 통해 RRI가 어떻게 기존의 혁신정책 및 연구개발사업을 성찰적으로 반성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방향타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논의한다.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 is a concept emerging rapidly as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ramework to shape science for better society, instead of merely for economic growth. While the responsibility of science usually means ethics of researchers in the process of research, RRI extends the concept of the responsibility by claiming that researchers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purpose and outcome of research as well. In addition, RRI proposes four interconnected concepts of anticipation, reflectivity, deliberativeness/inclusiveness, and responsibility as a methodological framework to achieve these tasks. However, RRI is not merely a theoretical concept but has been already practiced at many levels in real world. We discuss how RRI has been practiced and played important roles in reflecting on research and innovation policies in the past and guiding new policies by examining two research projects, STIR and SPICE, and three national R&D programs, EPSRC’s embracement of RRI in the Britain, MVI in the Netherlands, and R&D for social problem-solving in Korea.

      • KCI등재

        최근 각국의 뇌신경과학연구과제 신경윤리 활동과 국제 교류

        최은경(CHOI Eun Kyung),박혜윤(PARK Hye Yoon) 한국생명윤리학회 2018 생명윤리 Vol.19 No.1

        본 연구는 각국의 대규모 뇌신경과학 프로젝트에서 신경윤리적 관점을 포함하여 설계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미국의 BRAIN Initiative, 유럽 연합의 Human Brain Project, 그리고 동아시아에서 일본, 중국, 한국의 뇌신경과학 프로젝트의 신경윤리 활동을 비교 검토하고, 신경윤리 교류의 국제적 사례로 OECD의 최근 동향을 소개하였다. 현재 각국의 뇌신경과학 연구 프로젝트는 연구의 윤리적 함의와 기술영향력의 불확실성을 동시에 고려하고 사전에 연구의 예측되는 결과의 윤리적 함의를 소통하고 그 결론을 지속적으로 책임 있게 반영하는 "책임 있는 연구 혁신(Responsible Research & Innovation)" 등의 방법을 고려한다. 각국이 뇌신경과학 연구 설계 때부터 신경윤리를 고려하고 뇌신경과학 진전을 위한 국제 교류에 있어서도 윤리적 숙고를 강화하는 점 모두 현재 뇌신경과학 윤리의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최신 동향의 검토를 통해 뇌신경과학 연구와 같은 새로운 대규모 신기술 프로젝트 기획에 있어 고려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뇌신경과학 연구에서 어떠한 관점에서 신경윤리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지 논의하였다. 우선 각국의 뇌신경과학 윤리 동향으로부터 1) 뇌신경과학 연구과제 설계 초기부터 윤리 관련 요소를 파악, 설계하고 연구과제에 함께 통합시키고 상호 반응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 2) 가능하다면 연구과제 거버넌스 차원에서 신경윤리 관련 내용이 책임 있게 집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점 3) 뇌신경과학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신경윤리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의 뇌신경과학 연구 프로젝트는 다른 아시아 지역보다 선도적으로 윤리를 다루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방법론이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뇌신경과학의 시도는 첨단 과학 연구에 대한 전 지구적 대응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참고할 만 하며, 긴밀한 국내외의 공조와 세밀한 고찰이 필요하다. This paper scrutinized the process of implementing neuroethics in the recent big-scale neuroscience projects in each country. We compared the neuroethics activities in US BRAIN Initiative, EU Human Brain Project, and Japan, China, Korea"s brain projects as well. Meanwhile, we introduced neuroethics activity in OECD and initiation of global brain initiative as recent global coordination of neuroethics. In almost every big-scale neuroscience projects, the ethical implication and uncertainty of consequence were scrutinized in both. Ethicists and scientists in each project utilize new methodology such as "responsible research & innovation)" to communicate the ethical implication of foreseeable result in advance, and to reflect the conclusion consistently. Moreover, they deliberate ethical element since the designation of the neuroscience project and intensifying ethical deliberation in the global coordination of neuroscience. These features would b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recent neuroethics activity. Through the review of recent trends, this paper suggests essential points in the planning of big-scale research project of emerging technology such as neurotechnology. Additionally, we discussed how neuroethics activity could be pursued in Korean brain project. At first, we outlined three points, for instance, 1) identification and integration of ethical element in the designation of brain project 2) responsible pursuit of neuroethics activity regarding governance of project 3) building up the groundwork for neuroethics with coordination of diverse disciplines. Furthermore, we pointed out that Korean brain project dealt neuroethics in leading position in Asia, however, a detailed procedure is still lacking. Neuroethics activities in neuroscience can be regarded as the desirable response toward emerging technology, which needs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areful discussion.

      •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기술 거버넌스

        이준석(June-Seok Lee) 한국과학기술학회 2015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2

        최근 한국에서도 DNR(소생거부)이 확산됨에 따라 의료적으로 무의미한 연명치료에 대한 논의가 심화되고 있다. 이와 연관된 법원의 판례도 생명윤리와 연관된 정책적 · 거버넌스적 측면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데, 가령 ‘무의미한연명치료장치제거등’ 에 관한 대법원 선고(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전원합의체 판결) 등은 언론에서도 소개되었을 정도로 시민사회의 공공영역에서 많은 논쟁을 촉발하였다. 이런 사례들은 이전의 의료기술로는 생명유지가 어려운 환자에 대한 신기술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소생과 연명치료가 가능해지면서, 이와 연계된 기술적 거버넌스의 논의가 필요함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본 연구는 첫째, 한국 사회에서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존엄사 및 연명의료와 관련된 정책적, 법적 이슈들을 40여 편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메타적으로 정리한다. 둘째, 생명윤리정책적 관점에서 연명의료기술의 거버넌스가 새로운 윤리적(thanatoethics), 정책적(thanatopolitics) 함의를 우리에게 제시함을 보인다. 이런 관점의 연장선상에서 바라보면, 연명의료 중단을 통한 자발적 존엄사의 선택은 타나토권력(thanatopower)을 주체에게 복속시키는 행위로도 볼 수 있다. 연명 · 소생기술이 극단적으로 발전하면서 기술의 정책적 함의를 기술 거버넌스 영역에서 최근 주목받는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은, 연명 및 소생기술의 혁신에도 적용된 바 있다. ‘간편화된 자동제세동기(AED)’의 개발이 한 사례이다. 기술의 사용주체인 시민사회에서 DNR등을 통해 해당 기술의 사용을 거부하는 경우 이는 RRI의 한계로 드러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RRI의 기술혁신을 진행함에 있어 이런 측면은 그다지 고려되지 않는다. 연명의료기술을 개발하고 정책적으로 적용하는 단계에서 앞으로 이런 점은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Recently, as DNR prevails more and more in Korea, discussions regarding meaningless medical life-sustaining-treatment (LST) intensified. Some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s are even discussed in mass media, causing public debates. These cases tell us that, as life-sustaining medical technologies are highly developed, more sociological and policy-related analyses are needed on them. Firstly, this study will review 40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 recent discussions in Korea about LST. Secondly, this study also shows that in bioethical and policy-related perspectives, governance about LST calls for a new implications regarding thanatoethics and thanatopolitics. In this new theoretical framework, death with dignity (DwD)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giving back the thanatopower to the subject who chooses his way of ending based on his sound and free will. Thirdly, some of the new LST or resuscitation technologies such as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AED) are developed in RRI framework. However, if subjects themselves choose not to apply those technologies on them, as in the case of DNR (do not resuscitate) vows, meaning of developing such technologies are to be questioned. But currently such questions regarding the limitations of RRI are seldom asked. I argue that in order to properly apply RRI framework on existing technology, we also need to consider these points.

      • KCI등재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이준석(June-Seok Lee)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5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2

        최근 한국에서도 DNR(소생거부)이 확산됨에 따라 의료적으로 무의미한 연명치료에 대한 논의가 심화되고 있다. 이와 연관된 법원의 판례도 생명윤리와 연관된 정책적·거버넌스적 측면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데, 가령‘무의미한 연명치료장치제거등’에 관한 대법원 선고(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전원합의체 판결) 등은 언론에서도 소개되었을 정도로 시민사회의 공공영역에서 많은논쟁을 촉발하였다. 이런 사례들은 이전의 의료기술로는 생명유지가 어려운 환자에 대한 신기술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소생과 연명치료가 가능해지면서, 이와 연계된 기술적 거버넌스의 논의가 필요함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본 연구는 첫째, 한국사회에서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존엄사 및 연명의료와 관련된 정책적, 법적 이슈들을 40여 편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메타적으로 정리한다. 둘째, 생명윤리정책적 관점에서 연명의료기술의 거버넌스가 새로운 윤리적(thanatoethics), 정책적(thanatopolitics) 함의를 우리에게 제시함을 보인다. 이런 관점의 연장선상에서 바라보면, 연명의료 중단을 통한 자발적 존엄사의 선택은 타나토권력(thanatopower)을 주체에게 복속시키는 행위로도 볼 수 있다. 연명·소생기술이 극단적으로 발전하면서 기술의 정책적 함의를 분석함에 있어 이처럼 새로운개념을 도입할 필요성도 요청된다. 마지막으로 기술 거버넌스 영역에서 최근 주목받는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은, 연명및소생기술의혁신에도적용된바있다.‘ 간편화된자동제세동기(AED)’의 개발이 한 사례이다. 기술의 사용주체인 시민사회에서 DNR 등을 통해 해당 기술의 사용을 거부하는 경우, 이는 RRI의 한계로 드러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RRI의 기술혁신을 진행함에 있어 이런 측면은 그다지 고려되지 않는다. 연명의료기술을 개발하고 정책적으로 적용하는 단계에서 앞으로 이런 점은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Recently, as DNR prevails more and more in Korea, discussions regarding meaningless medical life-sustaining-treatment (LST) intensified. Some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s are even discussed in mass media, causing public debates. These cases tell us that, as life-sustaining medical technologies are highly developed, more sociological and policy-related analyses are needed on them. Firstly, this study will review 40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 recent discussions in Korea about LST. Secondly, this study also shows that in bioethical and policy-related perspectives, governance about LST calls for a new implications regarding thanatoethics and thanatopolitics. In this new theoretical framework, death with dignity(DwD)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giving back the thanatopower to the subject who chooses his way of ending based on his sound and free will. Thirdly, some of the new LST or resuscitation technologies such as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AED) are developed in RRI framework. However, if subjects themselves choose not to apply those technologies on them, as in the case of DNR (do not resuscitate) vows, meaning of developing such technologies are to be questioned. But currently such questions regarding the limitations of RRI are seldom asked. I argue that in order to properly apply RRI framework on existing technology, we also need to consider these points.

      • KCI등재

        행위자-연결망 이론(ANT)과 사변적 실재론(SR)의 접점

        김연철(Kim, Yeunchul),이준석(Lee, June-Seo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6 사회와 이론 Vol.28 No.-

        행위자-연결망 이론(ANT)은 과학기술학의 중요한 이론적 자원의 하나로 자리 잡았고, 현재 ANT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ANT 자체에 대한 존재론적 탐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2010년대 들어 크게 부상하고 있는 사변적 실재론(SR, Speculative Realism)의 주요 이론가 중 한명인 그레이엄 하먼(Graham Harman)의 객체지향존재론(Object-Oriented Ontology)에 입각하여 ANT의 존재론적 기반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객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객체지향존재론의 이론적 흐름을개괄하고, 칸토어의 무한사영을 비유로 활용하여 객체들의 관여(Involvement)와 속성(Quality)으로서 ANT의 의미를 재구성할 것이다. 아울러 ANT 연구 행위가 갖는 의미를 객체들의 생태학과 현상학으로 전환하여 설명할 것이며, 객체들의 관여 및 그것의 효과로의 관점 전환은 과학기술이 갖는 해석적 유연성의 이론적 기원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이상의 이론적 고찰로부터 ANT 연구의 실천적 함의가 자연스럽게 도출된다. 과학기술학 연구가 갖는 여러 실천적 지향 중에서 ‘책임 있는 연구와 혁신(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의 문제는 특히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책임 있는 연구와 혁신’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이 결국 과학기술의 해석적 유연성에 대한 유도적 제한으로 환원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가 시도하는 ANT의 객체적 전회는 과학기술학의 이론적, 실천적 측면 모두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Actor-Network Theory(ANT) is an important theoretical resource for STS, and became a useful tool for the various research fields. But, it is hard to find a research about the ontological basis of ANT. This paper will explore the ontological basis of ANT using the "Object-Oriented Ontology" of Graham Harman, who is one of the major philosophers in Speculative Realism, the rising field recently. For this, focusing on the concept of Object, we will summarize the theoretical trends of "Object-Oriented Ontology". And making use of the infinite projection of Georg Cantor, the meaning of ANT will be rearranged as the involvement and qualities of Objects. Besides, the meaning of ANT research practice will be understood in the manner of the ecology and phenomenology of Object, and it will contribute finding out the origin of interpretative flexibility to change the perspective to the involvement of object and their effects. The practical meaning of ANT research i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analysis above. The problem of democratic govern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much important than any other various practical orientation. Thus, this paper will argue that the strategy for solving the problem of democratic govern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can be transformed to the guided limitation of interpretative flexibil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Eventually, the Object turn of ANT that tested in this paper will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both side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