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팀 자본인가, 팀 동적역량인가?

        정예지(Ye Jee Jeong),윤정구(Jeong Koo Yoon) 한국경영학회 2013 經營學硏究 Vol.42 No.1

        Team Performance is determined by two key factors: (1) the competitive team-based capital, and (2) the effective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that capital. The resource-based view (RBV) is built upon the first factor and the dynamic capability one (DCV) is built upon the second factor. The resource-based view argues that companies gain competitive advantage when they can mobilize unique and non-substitutable resources compared with their competitors`. In contrast, the dynamic capability view stipulates that companies entertain higher performance when they develop distinctive routines, that is, dynamic capability that enable them to apply the capital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in ever-changing environments. Building upon the research of resource-based and dynamic capability views, we propose that teams can gain their competitive advantage when they have both unique resources and ability to mobilize them successfully. As a way of integrating the two perspectives, we theorizes the mediating model of team dynamic capability. We argue that team dynamic capability mediate the given combination of team resource or capital to the team performance. To test the integrative model, we developed the typology of team capital into team cultural capital, struc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human capital. We also elaborate the concept of team dynamic capability on the team level. Specifically, we define team dynamic capabilities as the ability for a team not only to exploit the configuration of various capital but also explore or innovate it to the team`s performance. The integrative model was tested with 121 teams and 693 team members sampled from the 5 large companies in Korea in a given time period. To correct the common method variance, we collected data from team leaders and members separately. The unit of analysis is team. We used Lisrel analyses to examine the causal model with the measurement model corrected. Ou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eam capital as unique and distinctive team resources increases team dynamic capability significantly. Looking at the relative effect size of each component of team capital,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human capital on the dynamic capability are larger than those of structural and cultural capital. This result would imply that social and human capital at the team level play a key instrumental role in bridging the ``outside`` resources into the inside capital of the team. The social and human capital also levels up the team learning ability by exploring new ideas in environments. Second, team dynamic capability promoting both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is the key parameter tha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capital and team performance. Especially, team dynamic capability fully mediates the effects of struc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team performance. By leveraging, modifying, and recreating the configuration of team capital, teams excel higher performance. These findings of the research support our ``synthetic model`` of the resource-based and dynamic capability perspectives evidencing that teams simply equipped with sufficient capital are not good enough to attain high performance. Teams should have dynamic capability as well as unique resources. Retaining valuable team capital and building capital-utilizing-ability are two distinct, but interrelated mechanisms to excel team performance. The rationale is that team capital as team resources affects team performance ``prior to`` the resource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that is, team dynamic capability. The key to excellent team performance is that the team has routines known as dynamic capability. We conclude that resource keeping and utilizing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the synthesis of the resource based and dynamic capability view provides a comprehensive perspective for analyzing how firms or teams are creating higher performance.

      • KCI등재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한 경쟁력 창출

        이재혁(Jay Hyuk Rhee),양지원(Ji Won Yang) 한국전략경영학회 2015 전략경영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동적 역량 이론과 자원기반이론 관점에서, 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가 경쟁력 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경쟁우위의 원천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 중 하나는 기술을 통한 혁신이므로, 연구개발(R&D) 활동에 대한 투자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의사결정이다. 하지만 투자규모뿐만 아니라 투자회수 때까지 소요시간이 초래하는 위험과 불확실성으로, 연구개발(R&D) 투자에 따른 성과를 쉽게 낙관할 수는 없다. 실제로 기존연구에는 연구개발(R&D) 투자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결과와 부정적 결과가 공존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적 역량이론 관점에서, 연구개발(R&D)에 대한 투자가 새로운 역량 창출에 미치는 영향은, 과거 연구개발(R&D) 투자대비 결과로 대변되는 해당 기업의 경로의존성에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자원기반이론 관점에 따라, 기업이 통제하는 자원의 특성이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한 새로운 역량 창출의 가능성을 조절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정보통신기술산업(ICT)의 475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R&D)에 대한 자원배분이 새로운 역량 창출에 기여하는지 여부는 해당 기업의 경로의존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동적 역량이론에서 제시하는 것처럼, 연구개발(R&D) 활동에 있어서 긍정적(positive)인 경로의존성을 지닌 기업의 경우에는, 연구개발(R&D)에 대한 자원배분이 새로운 역량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정적(negative)인 경로의존성을 지닌 기업의 경우에는 오히려 새로운 역량 창출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개발(R&D)에 대한 자원배분과 새로운 역량 창출의 관계는 기업이 통제하는 자원의 특징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 기반이론의 VRIO 프레임워크가 제시하는 것처럼, 재무자원과 달리 조직자원은 일관되고 유의한 조절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조직자원이 클수록, 연구개발(R&D)에 대한 자원배분이 새로운 역량 창출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이 강화(약화) 되었다. 이를 통해 재무자원이 조직의 운영에 있어서 필요한 요소이지만, 경쟁우위의 유지 및 확보를 위해 실질적인 원천으로 기업가치와 같은 조직자원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개발(R&D) 투자와 기업경쟁력 창출의 관계를 좀 더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적 역량이론과 자원기반이론을 상호 보완적인 것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tribution of R&D investment to the creation of firm competitiveness, from the perspectives of dynamic capability and resource-based view theories. Given that technology-based innov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competitive advantages, investing in R&D activities is an important strategic choice. However, it is not easy to forecast the outcomes of such investments due to the risks and uncertainness stemming from the amount of R&D investment itself as well as the time required to get the return from the investment. Not surprisingly, the current literature reports both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resul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the creation of firm competitiv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dynamic capability theor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contribution of R&D investment to the creation of firm competitiveness depends on the path dependence a focal firm has developed, measured by the results of the R&D investment in the past. This study also relies on the arguments of the resource-based view and investigates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the creation of firm competitiveness is moderated by resource characteristics. The empirical tests, based on the sample of 475 Korean firms in the ICT industries, reveal that whether R&D investment leads to the creation of firm competitiveness is affected by a focal firm’s path dependence. As suggested by dynamic capability theory, R&D investment by a firm with a positive path dependence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creation of firm competitiveness. In contrast, R&D investment has a negative (-) effect on the competitiveness of a firm with a negative path dependence. This study also find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the creation of firm competitiveness is moderated by the resource characteristics. As indicated by the VRIO framework from the resource-based view, organizational resources unlike financial resources has a consistent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That is, the organizational resource increases, the positive (negative) effect of R&D investment on the creation of firm competitiveness becomes stronger (weaker). Financial resources are important to run an organization, bu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organizational resources as a means through which competitive advantages can be created and sustained. Taken together, this study emphasizes that we need to regard the perspectives of dynamic capability and resource-based view as not mutually exclusive but complementary argument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ribution of R&D investment to the creation of firm competitiveness.

      • KCI등재

        신흥시장 진출 글로벌 기업 본사-해외자회사의 (역)지식이전과 기업성과 간 관계: 자원기반관점의 귀환

        양오석,한재훈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dynamic capabilities on firm performance through (reverse) knowledge transfer. Ever since Penrose (1959) defined a firm as a bundle of resources, the resource-based view (RBV) has gained prominence as the typical perspective for describing organizations. Since then, while the dynamic ability-based view has emerged to complement the static RBV, debate has continued over what competitive advantage resources firms ought to focus on internally and externally to achieve sustainable growth. Accordingly, this paper, returning to the theoretical basis, hopes to help firms with strategic choices between resources and dynamic capabilities so as to creat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and survive in a competitive environment of rapid technological change.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effects of resources and dynamic capabilities on the whole process of (reverse) knowledge transfer between parent companies and foreign subsidiaries that have realized a Center of Excellence, by making use of the parent companies’ knowledge and seeking new knowledge in the local market. This study also considers the effect of this relationship on firm performance. The sample for empirical analysis was derived from a field survey of overseas subsidiaries of global companies that launched in China between June and August 2016, and a total of 53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knowledge resources exert a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through both knowledge transfer and reverse knowledge transfer processes. Secondly, dynamic capabilities improve firm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transfer, but they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rough reverse knowledge transfe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dynamic capabilities are weaker, compared with resources, as a predisposing factor for (reverse) knowledge transfer. Thirdly, in addition to their direct effects, resources and dynamic capabilities yield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reverse) knowledge transfer mediated by organizational attributes. The moderating effect of uncertainty was not discovered on this relationship.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의 자원과 동태적 능력이 (역)지식이전을 통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Penrose(1959)가 기업을 자원의 총체로 설명한 이래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view)은 조직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관점으로 대두되었다. 이후, 자원기반관점이 가지는 정태적인 성격을 보완하고자 동태적 능력기반 관점(Dynamic Capability-based view)이 부각되면서 지속성장을 위해 기업이 내·외부적으로 집중해야 할 경쟁우위 자원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근간으로 돌아가 기업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창출하고, 기술변화가 빠른 경쟁 환경 속에서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자원과 동태적 능력 중 어디에 몰입해야 하는지에 대한 전략적 선택을 돕고자 한다. 특히 해외로 진출하는 글로벌 기업이 본사 지식을 활용(exploitation)하고 현지 시장에서 새로운 지식을 탐색(exploration)하여 CoE(Center of Excellence)를 달성한 해외자회사와 본사 간 (역)지식이전 과정에 대한 자원과 동태적 능력의 영향을 살펴보고, 경영 성과로 이어지는 관계를 고찰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한 표본은 2016년 6월부터 8월까지 중국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의 해외자회사 사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구축하였고, 총 538부의 설문지가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기업이 보유한 지식자원은 지식이전과 역지식이전 과정 모두를 통해 기업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치며, 동태적 능력은 지식이전을 통해 기업성과를 개선시키지만 역지식이전을 통한 기업성과 개선 경로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식이전과 역지식이전의 선행요인으로서 동태적 능력의 지위는 자원에 비해 열위에 놓여있음을 알 수 있다. 직접적인 효과 외에도 자원과 동태적 능력은 (역)지식이전에 대해 조직속성을 통한 간접적인 양(+)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의한 조절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 KCI등재

        전략적 흐름으로서의 자원공유: 자원획득의 두 가지 방식에 관한 연구

        황재원(Jaewon Hwang),박경미(Kyoungmi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2

        전략경영 분야에서 자원공유에 대한 연구는 자원의 공동이용을 통해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성과향상이 일어난다는 시너지 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하지만 관련 연구들이 주로 측정 문제와 같은 방법론적 개선에 초점을 맞추었던 관계로 이론적 발전은 더디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자원공유가 비용절감 외에 가용자원의 증가를 통해서도 성과개선에 기여한다는 논리를 제시함으로써 자원공유의 성과함의를 복수의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우리나라의 기업집단 소속 계열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업부문 간 관련성은 자원공유를 증가시키는 반면, 자원개발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원공유와 자원개발 모두 자원보유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원공유가 자원획득의 또 다른 방안으로서 자원개발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자원공유는 직접적으로 조직성과를 높이기도 하지만, 자원보유수준의 증가를 통해 간접적인 방식으로 조직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자원공유는 비용절감 외에 자원증가를 통해서도 성과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용감소와 자원증가라는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자원공유가 성과향상으로 이어진다는 논리를 제시함으로써 이론적인 측면에서 논의의 범위를 확대했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Research on resource sharing in the strategic management field is based on synergy theory, which states that joint use of resources increas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cost reduction. However, research on the topic has mainly focused on methodological aspects, such as improvement measurements, while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heory has remained largely unchanged since its inception. In this context, we argue that resource sharing enhanc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not only by saving costs but also by increasing available resources, and thus, we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implications of resource sharing from these two points of view. According to empirical analyses conducted on the subsidiaries of Korean business groups, higher interrelatedness increases resource sharing and lower interrelatedness increases resource development, and higher resource sharing and higher resource development increase resource leve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source sharing provides an alternative to resource development by providing another means of securing resources. We show statistically that resource sharing directly and indirectly (by increasing resource levels) increas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 believe this study extends the scope of theoretical discussion by suggesting that resource sharing leads to performance enhancement through dual paths.

      • KCI등재

        경영자원의 속성이 자원공유에 미치는 영향

        황재원(Hwang, Jaewon),박경미(Park, Kyoungm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0

        다각화 분야 내에서 자원공유의 사안을 다루는 연구들은 경영자원의 ‘공유’에 주목하였고, ‘경영자원’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의 핵심적인 변수들과 논리들을 토대로 자원공유의 결정요인과 성과함의에 대해 접근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35개 기업집단의 계열사 263개를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를 토대로 경영자원의 양 적 수준, 질적 수준, 활용성이 계열사 간 자원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 며, 성과함의와 관련하여 경영자원의 양적 수준과 자원공유, 경영자원의 질적 수준과 자원공유, 경영자원의 활용성과 자원공 유의 상호작용이 계열사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고 상호작용항이 포함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 였다. 가설검증 결과, 경영자원의 양적 수준이 낮을수록, 질적 수준이 높을수록, 활용성이 높을수록 자원공유의 정도는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영자원의 양적 수준이 낮을수록, 활용성이 높을수록 계열사 간 자원공유가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인 영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경영자원의 질적 수준은 자원공유와 성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경영자원의 질적 수준 및 활용성이 가설과는 상반된 방향으로 자원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경영자원의 질적 수준이 자원공유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 성과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은 이유, 경영자원의 유형에 따라 가설검증의 결과 가 달라지는지의 여부 등을 충분히 다루지 못했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보다 심화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research on resource sharing in the diversification field is concerned mainly with sharing, but there has been little interest in resources. This research examined resource sharing with the main variables and logics of resource-based view. Based on a survey of 263 affiliates of 35 diversified firms, the impacts of resource quantity, resource quality, and resource exploitability on inter-affiliate resource sharing were hypothesized and verified. To confirm the performance implications of resource sharing, the impacts of the combination of resource quantity and resource sharing, the combination of resource quality and resource sharing, and the combination of resource exploitability and resource sharing on the affiliate performance were also hypothesized and verified.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ource sharing increases in the order of low resource quantity, high resource quality, and high resource exploitability. The performance was advanced in resource sharing under a low resource quantity and resource sharing under high resource exploitability, but it was not advanced in resource sharing under high resource quality. Th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a further study on why the resource quality and resource exploitability affect resource sharing in the opposite directions, as expected in the hypotheses, why resource sharing under high resource quality does not lead to high performance, even though resource quality increases resource sharing, and what they would be if resources are subdivided by the types.

      • KCI우수등재

        CJ ENM 드라마사업의 경쟁우위 전략 분석: 자원준거관점(RBV, resource-based view)을 중심으로

        김일중,김치호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5

        This study analyzes the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y of the CJ ENM drama business based on A-list writers as an internal resource. Also, the performance of the company and the implications were examined. CJ ENM established a subsidiary, Studio Dragon in 2016, and acquired the production companies including A-list writers. From the process, CJ ENM was able to acquire proven capabilities in the industry which were the core resources of drama business. Through CJ ENM's decision-making and strategy implementation with the ‘RBV, resource-based view’, CJ ENM wanted to maximize its planning and development capabilities by possessing resources that are rare and competitors could not imitate. Initiating this strategy, CJ ENM pursued to secure the conditions fo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market over the decade. According to the VRIO model analysis proposed by Jay B. Barney, A-list drama writers who have been acquired by CJ ENM were found to be ‘strengths and unique capabilities’ that can play key roles in creating a continuous competitive advantage. The dramas written by the writers in Studio Drag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orporate performance by recording superior sales compared to other drama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reveal wha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s capabilities are as the resources, and does not consider various factors may affect the performance of drama other than the writers. Based on this research, we need to conduct full-scale studies that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 as a core resource of the drama production company, and analyze the effects of writer resources and other competency such as producing system on the performance of the company. 이 연구는 CJ ENM 드라마사업의 핵심작가 자원 기반 경쟁우위 전략과 이에 따른경영성과를 분석하고, 그것이 함의하는 바를 살펴보았다. CJ ENM은 2016년 자회사스튜디오드래곤을 설립하고, 산업 내에서 역량이 검증된 드라마 작가가 소속된 제작사를 인수합병 함으로써 드라마 제작의 핵심요소인 우수한 크리에이터들을 확보하였다. CJ ENM의 이러한 의사결정과 전략 실행을 ‘자원준거관점(RBV, resource-based view)’으로 분석한 결과, CJ ENM은 희소하면서도 경쟁기업이 모방할 수 없는 자원을보유함으로써 드라마산업의 주요 경쟁력 중 하나인 기획개발역량을 극대화하고, 이를바탕으로 시장에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누릴 수 있는 조건을 확보하고자 하였음이 나타났다. Jay B. Barney가 제시한 VRIO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CJ ENM이 영입한 작가들은 기업의 지속적인 경쟁우위 창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강점이자지속가능한 기업 특유의 역량’임이 확인되었다. 스튜디오드래곤에서 이 작가들이 집필을 맡은 드라마들은 다른 경쟁 드라마에 비해 월등한 매출을 기록함으로써 기업성과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자원으로서 작가 역량의 특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검증하지 않았으며, 작가 이외에 드라마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한계가 있다. 다만 향후 드라마 제작기업의 핵심자원으로서 작가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이것이 드라마 제작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작가 이외에 프로듀싱 시스템을 포함한 기업 내부의 역량이 비즈니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종합적인 연구의 기초가 되는 연구로서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지역농협의 성과제고: 자원기반관점을 중심으로

        황재원,박경미 한국협동조합학회 2017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5 No.3

        This study applied resource-based view to the management of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s. It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source attributes on the performances of business units in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s. Resource level, resource value, and resource leverage were used as the resource attributes and it was argued that the attributes would affect managerial performance in positive ways.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resource level and resource leverage significantly affected managerial performance, but resource value did not affect managerial performance. Interaction between resource level and resource value negatively affected managerial performance. Interactions between resource value and resource leverage and between resource leverage and resource level positively affected managerial performance.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it was empirically verified that resource attribute affected the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when it was combined with another rather than alone. 본 연구는 지역농협의 사업부를 대상으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영자원의 속성이 무엇이며, 경영자원의 속성 간의 상호작용이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자원기반관점에 근거하여 지역농협 사업부의 성과제고를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찾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경영자원의 속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경영자원의 보유수준과 경영자원의 활용도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경영자원의 가치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경영자원의 보유수준과 경영자원의 가치 간의 상호작용은 경영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경영자원의 가치와 경영자원의 활용도 간의 상호작용과 경영자원의 활용도와 경영자원의 보유수준 간의 상호작용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어느 한 가지 자원속성이 경영성과에 단독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다른 자원속성과 결합될 때 보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시스템 통합 산업에서 조직흡수역량과 다각화 수준이 전략적 제휴체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노경(Ki, No-Kyou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11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에서 IT기반의 비교적 신생산업인 시스템 통합 산업(SI산업)을 중심으로 전략적 제휴체결의 선행요인이자 기업특유자원으로서 흡수역량과 다각화 수준이 제휴의 체결과 제휴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검증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 가설의 예측대로 흡수역량은 제휴체결에 역U자형의 비선형적 결과를 도출하였고 다각화는 긍정적 선형관계를 도출하였다. 제휴유형별 차이를 예측한 가설은 흡수역량이 높을수록 비 자본제휴에 비해 자본제휴 체결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SI산업에서는 적정수준의 흡수역량을 보유한 기업들은 제휴를 통한 외부자원의 이전, 획득을 위해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는 경향이 높으나 흡수역량이 그 이상 높아지게 되면 제휴 파트너 기업으로부터 획득하는 자원특질의 유사성이 높아진다. 그 결과, 점차 제휴체결의 효익이 감소하게 되어 제휴추진경향이 낮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각화에 관한 통계결과, 예측한 바와 같이 다각화 추진은 부족한 내부자원을 보완하기 위해 외부기업과의 제휴를 통한 자원 충족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높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제휴체결유형별 요인효과를 보고자 한 통계분석에서 흡수역량이 높은 기업은 기술제휴로 측정한 비 자본제휴에 비해 자원의 이전, 획득이 보다 용이한 자본제휴를 추구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에서 전략적 제휴체결에 있어 흡수역량과 다각화수준으로 측정한 제휴 선행요인 효과를 역동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how absorptive capacity and diversified level as alliance antecedent factors as well as firm specific resources influence strategic alliance, which focused on the relatively newly developed SI industry based on resource based view. Based on logistic statistical analysis, it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inverted U shaped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absorptive capacity and strategic alliance formation and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diversified level and strategic alliance formation. In addition, it investigates how these factors are influential by the different types of alliance. Its statistical result shows that the higher absorptive capacity, the more it tends to form an capital alliance compared to non-capital alliance. however, in case of diversified firms,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study output, firms which hold appropriate level of absorptive capacity are likely to form strategic alliance for transfer and acquisition of external resource. however, if their absorptive capacity exceeds proper level, resource similarity with alliance parter firm is getting increased. thereafter, its alliance tendency is likely to decrease gradually because of reduced benefits of alliance formation value. In case of diversification, as predicted,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diversified level, the more alliance tendency, because it is likely to receive supplementary resource through alliance with other firms for complement of scarce internal resource. Meanwhile, Absorptive capacity which is analyzed according to alliance types is likely to form capital alliance which is more easier than non capital alliance which is represented to technical alliance in resource transfer and its acquisition. Based on RBV perspectives, The study provides insightful contribution in analyzing effect of alliance antecedent factors which is measured to absorptive capacity and diversified level, dynamically.

      • KCI등재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활동, 조직역량과 기업성과간 관계에 대한 연구: 자원기반이론과 자연자원기반이론의 시간 동태적 분석

        이수열,이준겸 한국생산관리학회 2022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33 No.2

        Interest in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es to climate change has been growing, although most studies use static approaches, which cannot explain the dynamics from accumulated capabilitie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es to climate change by investigating dynamic changes in organizational capability by employing a method that integrates dynamic analysis with the resource-based and natural resource-based views. We conduct a longitudinal analysis of carbon management practices, total quality management, operations management, and market performance of 72 firms in Korea.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corporate responses to climate change are affected more by accumulated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than initial capabilit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d carbon management practices and firm performance is not confirmed. The findings support the resource-based view that the accumulation of organizational capability and performance affects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es to climate change. By contrast, the findings do not provide sufficient evidence for the natural-resource-based view that the responses in turn drive corporate performance improvement. 탄소중립과 저탄소경제의 전환에 있어 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 기업과 산업의 경쟁력의 새로운 도전이기도 하다. 기후변화와 기업경영은 경영학계의 새로운 관심 주제이다. 기후변화와 기업경쟁력에 대한 연구는 태동기로 이론적, 실무적 토대가 취약하다. 외부 이해관계자 영향과 조직 역량을 동인으로 보는 자원기반이론과 환경역량을 성과 동인으로 설명하는 자연자원기반이론이 원인-결과를 다르게 해석한다. 무엇보다 횡단 실증연구는 정태적 관점에 머무르고 있어 역량의 축적이 불러오는 동태성을 설명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조직 역량의 동태적 변화를 추적하여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활동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원인, 결과가 시간에 따라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선후관계가 변하는 역학을 자원기반이론과 자연자원기반이론으로 통합적으로 설명한다. 국내 72개 온실가스 다배출기업의 탄소경영활동, 전사적품질경영과 조직학습 역량, 생산운영과 시장성과를 서베이 방법을 이용하여 2011년과 2015년 두 번에 걸쳐 조사하였다. 스톡(stock)과 변화(change)로 상호 영향관계를 분석한 이 연구는 첫째,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활동은 조직역량, 특히 조직학습 역량에 의해 촉진되고, 둘째, 초기 가진 조직역량의 스톡양보다 주어진 기간에 새롭게 축적된 변화량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혔다. 셋째, 향상된 탄소경영 활동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하지 못했다. 이 결과는 기업의 조직역량과 기업성과 축적이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에 영향을 준다는 자원기반이론을 지지한다. 하지만 이러한 대응활동은 다시 기업성과 향상에 기여한다는 자연자원기반이론으로 설명되기에는 아직 증거가 부족한 현실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경영의 경영학 이론의 토대를 넓히고 조직역량, 기업 기후변화 대응활동, 기업성과의 전향적으로 바라봐야 하는 실무적,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국제경영 : 글로벌마케팅의 표준화-현지화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상황적응론 vs. 자원기반 관점 중신으로

        한충민 ( C. Min Han ) 국제지역학회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한국 기업의 글로벌마케팅 프로그램의 표준화-현지화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는 2가지 관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하고자 하였다. 첫째는 모국-현지국의 환경 차이에 초점을 두는 기존 실증연구와는 달리 글로벌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는 본 연구는 상황접근론 관점과 자원기반 관점에서 결정요인을 설정하고 이들 요인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결정요인으로 상황적응론적 관점에서 외부환경 요인인 글로벌 시장의 역동성과 복잡성을, 그리고 자원기반 관점에서 글로벌 마케팅자산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마케팅을 수행하는 국내 기업 128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의 글로벌 마케팅자산은 글로벌마케팅 프로그램 표준화 정도와의 정(正)의 관계를 나타난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글로벌 시장환경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글로벌마케팅 프로그램은 상황적응론적 관점보다는 자원기반 관점에서 결정되는 경향이 있음을 사사하는 결과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determinants of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vs. adaptation in global marketing programs for Korea firms. Our study has two main focuses. First, our study takes a global perspective instead of a binational, i. e., home vs. foreign perspective. Second, we accommodated two conflicting veiws-contingency and resource-based views in explaining determinants of global marketing strategy. As such determinants, we considered global market dynamism and complexity from a contingency view and global marketing assets from a resource-based view. Surveys were conducted with 128 Korean firms engaged in global marketing. Our study found that Korean firms with global assets tend to engage in highly standardized global marketing programs. On the other hand, global market dynamism and complexit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vs. adapt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a resource-based view may be more powerful than a contingency view in explaining global marketing strategies of Korean fi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