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필문학의 이론과 비평, 학술 연구의 진단과 방향

        허만욱(Hur, Manook)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1 No.-

        본고는 한국 현대 수필문학의 이론과 비평에 대한 역사적 문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그 생산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지금까지 이루어진 학술연구의 현황과 전개 양상 등을 고찰하면서 그 방향과 문제적 지점을 진단하고자 한다. 창작과 비평과 이론, 그리고 학술연구가 조화로운 상보관계를 유지하는 일은, 그 장르적 특성상 그동안 노골적으로 문학으로서의 정체성을 의심받던 수필에 대한 차별성과 오류를 청산할 수 있는 최량(最良)의 출발점이자 목표점이기 때문이다. 특히 대학의 일방적 구조조정으로 인문학이 점점 위축되고 황폐화되는 학계 상황에서 인간학이라 불리며 인문학적 통찰력을 글쓰기의 궁극적 지향으로 삼는 수필문학에 대한 학술연구의 성과와 축적은 성과주의와 활용가치에 포위된 채 파국으로 치닫는 학문 생태계에 인문학의 건실한 성장 및 진흥을 위한 새로운 실험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미적 논리와 소통체계를 구비한 새로운 수필이론의 필요성이다. 새로운 수필이론이란 수필의 본질과 정체성을 확대하고 심화시키는 것은 물론, 새로운 시대와 당대인들의 문학적 욕구를 담아낼 수 있는 창작원리와 비평원리를 내포해야 한다. 그것이 실험적이건, 전통의 재생산 방식이건 새로운 시대철학과 새로운 예술정신을 바람직하게 포용할 수 있는 미적 논리와 소통 체계를 구비해야 한다. . 둘째, 수필문학의 비평가 양성과 학문적 연구 토대의 활성화다. 이는 창작 쪽에 편중되어 있는 수필문학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문학으로서의 수필의 위상을 귀납적으로 실증하는 비평과 학술연구 등의 생산으로 이행된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 특히 학술연구는 수필문학 발전을 위한 전문가 양성 과정에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셋째, 새로운 작가 발굴 및 조명이다. 수필하면 피천득과 이양하의 글을 떠올리고, 교과서적 수필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을 죄악시하는 문화적 풍토가 수필문학계에 계속되는 한, 한국 수필의 혁신적 진전은 기대할 수 없다. 최근 몇몇 작가와 작품에만 국한되었던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새로운 작가와 작품에 대한 조명이 시도되고 있지만, 대체로 이전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재와 내용, 그리고 형식의 자유로운 변혁과 무한한 발전을 기할 수 있는 장르가 수필이라는 점을 생각할 때 수필계의 자기반성과 심기일전이 요청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ce of essay literature theory and criticism, 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academic research. Creativity, criticism, and theory should form a desirable tense relationship while maintaining harmonious complementarity. This is because a healthy essay can open the way for literary development. Essay literature lacks significant theory and research compared to other genres. Research on it constitutes a framework of the theoretical system of essays and involves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nal principle of essay as literature. Therefore, what we most desperately need in our essay paragraphs is the direction in which to develop. First, there is the necessity of the new essay theory with aesthetic logic and communication system. The new essay should contain the principle of creation and criticism that can not only enlarge and deepen the essence and identity of the essay, but also embody the literary desires of the new era and contemporary people. Second, it involves the promotion of successive generations, experts in essay literature, and the development of a robust academic research foundation. Academic research is necessary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essay literature lacking theory and research as compared to other genres, to discover, interpret, and correct truths by studying and thinking deeply about scholarship. In order to develop essay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train specialists. Academic research is the place to develop the competence of these experts. Third, it is a new artist discovery and illumin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the illumination of the new writer and the work from the research of the limited writer and the work. Considering that the genre that can freely and infinitely change and develop the material, content, and form is an essay, it is entreated that self-reflection and ingraining of the essay system should be done. Presently, it is necessary to study new writers and works away from the existing limited studies.

      • KCI등재

        ChatGTP API 활용 인공지능 논・서술형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 실행연구

        임종한,임종헌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4 교육혁신연구 Vol.34 No.1

        Purpos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discussions on applying AI in the field of education are ongoing.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program utilizing AI for the automatic scoring of essay-type items without definite answers. Method: The research was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 which integrate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Participation in OpenAI-sponsored Hackathon competitions allowed for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program prototype based on feedback from experts. Results: 「Evaluative AI(v1.0)」 was developed, capable of generating assessment scores and comments for essay-type answers according to user-defined rubrics. Additionally, 「Evaluative AI(v2.0)」 was developed to reflect experts’ comments at the Hackathon competition, creating ‘AI evaluation teachers’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mparing scores with human scorers. Conclusion: Through the research, several possibilities were proposed: the ability of AI to understand evaluation rubrics and score by reflecting them, the ability to design ‘AI evaluation teachers’ similar to school teachers, the high intra-rater reliability of ‘AI evaluation teacher’; and the reduction of errors through cross-evaluating by multiple ‘AI evaluation teachers’. In addition, a couple of suggestions for the future action research were proposed: research that first train AI a large number of essay-type answers before conducting main essay evaluations, research exploring how teachers utilize AI automatic scoring programs in class, and research for developing the program prototype for coding qualitative data.

      • KCI등재

        내담자 자살을 경험한 상담사의 심리적 갈등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김은주(Eun Ju Kim)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내담자 자살을 경험한 상담사의 심리적 갈등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연구이다. 심리상담사로 활동하고 있는 연구자는 내담자의 자살을 경험하면서 상담사로서 겪는 고통에 대해 심리적 과정을 서술하는 것이 상담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자이자 연구 참여자인 나는 기억회상 메모 및 편지, 자기 분석 일지, 녹음파일 등을 참고하여 나의 경험을 되돌아보며 자전적 글쓰기를 하였다. 그 결과 상담사는 내담자의 자살을 ‘상담사의 무능감’으로 인식하고, 새로운 내담자를 만나는 것에 걱정과 두려움을 느끼게 하였으며, 더 나아가 상담사 정체성에 혼란을 경험하게 하였다. 하지만 이는 유가족과의 만남 속 애도과정을 거치면서 치유의 시간을 넘어 상담사로서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담사의 선행경험이 상담에 미치는 심리적 과정을 이해하고 상담사로서 회복된 이야기를 전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를 하였다. This study is exploring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 upon inner conflicts of counselors who have previously experienced their clients' suicide. This researcher who is engaging in the field of psychology as a counselor thinks there is a grave importance on illustrating psychological process of a pain that a lot of counselors are going through once they had faced the case of their clients' suicidal death. In order to achieve this, I as a main researcher and its participant had written an autobiographical essay via retrospective memos, letters, self-analytical diaries and voice records looking back on my own experiences. The whole process is meant to deliver the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effects that counselor's experience has upon its future counseling and to be healed simultaneously as a counselor alongside the procedure. Hence, the researcher discu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ts implications and the academical limitations which can be referred for its following research.

      • KCI등재

        柳亭種彦の考証随筆と合巻 - 古俳諧の利用をめぐって -

        金美眞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일본학연구 Vol.47 No.-

        류테이 다네히코는 근세 후기에 활약한 작가로 요미혼(読本)과 고칸을 집필하면서 다수의 고증수필도 남겼다. 다네히코는 근세 초기의 풍속, 가부키(歌舞伎), 하이카이 등을 고증의 대상으로 삼았다. 산토 교덴(山東京伝)과 교쿠테이 바킨(曲亭馬琴)과 같은 동시대 작가들도 이와 마찬가지였다. 다네히코의 고증과 교덴, 바킨의 고증을 비교해 보면, 다네히코의 고증은 근세 초기의 하이카이에 대한 지식이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네히코는 교덴의 고증을 재고증할 때, 새롭게 인용하는 자료의 대부분이 근세 초기의 하이카이였고 반드시 구(句)에 대한 해설을 덧붙였다. 또한 바킨이 중국의 한적(漢籍)을 자료로서 이용하여 고증하는 것에 반해, 다네히코는 근세 초기의 자료를 이용하여 고증하고 나아가 하이카이 서적의 판목의 필적까지 분석했다. 이러한 근세 초기의 하이카이에 대한 다네히코의 지식은 고칸『무스메긴피라무카시에조시(娘金平昔絵双紙)』의 창작에도 이용되었다. 다네히코는 근세 초기의 하이진(俳人)인 다다토모(忠知)의 구(句)「白炭や」가 이와 거의 비슷한 다네토모(種友)의 구(句)「白炭は」보다 먼저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하여 이를 창작에 이용하였다. 게다가 본문에는 다다토모의 다른 구도 인용하여 다네히코는 자신의 고증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었다. 학문적인 성격을 지닌 고증수필과 오락적인 성격을 지닌 고칸은 서로 상반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 두 장르 모두에서 다네히코의 근세 초기 하이카이에 대한 지식을 엿볼 수 있다. 다네히코는 희작자(戯作者)로서 활약하기 이전부터 근세 초기 하이카이에 관심이 있었으며 이것이 나중의 집필 활동에서 충분히 활용되었던 것이다. Ryutei Tanehiko Eas a writer of the latter part of Edo period, and he had left a lot of essays based on his research. Tanehiko took customs, Kabuki, Haikai in the early Edo period as an object of his research. Santou Kyoden and Kyokutei Bakin, Tanehiko's contemporary writers, were also concerned for these researches. However, we can find out Tanehiko's research was reflected in the knowledge of Haikai of the early Edo period. If we compare Kyoden and Bakin with Tanehiko, Tanehiko used Haikai in Haisyo, whereas Kyoden and Bakin did not. And Tanehiko noted explanation on quoted phrase. When Using Haikai, Tanehiko analyzed the handwriting of a printing block of Haisyo. This had become possible because Tanehiko researched Haikai many years. These kind of Knowledge were used as writing Gōkan. In this paper I present verification that Tanehiko used Haikai of the early Edo period in his Gōkan "Musumekinpiramukashiezoushi". The essay based on Tanehiko's research has many results of his knowledge of Haikai.

      • KCI등재

        자서전적 에세이를 통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김태영(Kim, Tae-Young),이유진(Lee, Yu-Jin) 한국응용언어학회 2013 응용 언어학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students’ changes in their motivational factors and demotivational ones from kindergarten to university by using a retrospective autobiographic metho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1) what is the general pattern of (de)motivational changes based on the participants’ school level (i.e., from kindergarten/ elementary to university level)? and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ultural factors in South Korea and the participants’ (de)motivational changes reflected in their essays? The participants were 75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asked to write essays about their previous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for the past 10 years from kindergarten to university. In order to analyze their essays, we adopted and modified Shoaib and Dornyei’s (2005) category.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motivational factors and their demotivational factors were not opposite, antithetical concepts. This implies that motivation and demotiv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different psychological constructs. Second, competitive L2 learning motivation (Kim 2006, 2010b) was identified, and this construct reflected Korea-specific educational contexts. This study suggests that EFL learning in Korea needs to consider both cognitive development and emotional aspects among learners.

      • KCI등재

        조선인이 경험한 일본음식 - 조선의 사행록과 일본의 고증수필을 중심으로 -

        김미진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日本硏究 Vol.0 No.85

        In the 17-19th centuries, Joseon dispatched 12 official diplomatic missions to Japan called the Joseon Tonshinsa. The Tonshinsa group recorded what they saw, heard, and felt while traveling through various cities in Japan. The historical records contain a number of articles that give a glimpse into Japanese society and culture at the time. In this paper, among the various articles recorded in the history of the Joseon, especially the articles on food culture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se articles were compared and considered with the contents contained in Japanese old essay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food and the food culture that the Tonshinsa group saw and felt were examined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and the technical contents of “Morisadamannko”, an ancient essay. Second, the fact that the Tonshinsa group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traditional food of both countries, ‘Rice cake’, was examined through the various types of rice cake-related techniques included in the journal. An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Joseon people were curious about Namman through the civilizations of Namman that came before Joseon. Based on the records of the Joseon Tonshinsa and the contents of the Japanese old essay, who experienced Japan in the 17-19th centurie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Japanese food at the time was different from that of Joseon. The characteristics of food culture could be assessed through the number of meals a day or the way of eating. In addition, Joseon people’s interest in Japanese food could be seen through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difference in shape and taste of the traditional food ‘Rice cake’, and sugar, a food ingredient of Namman.

      • KCI등재
      • KCI등재

        지리산유람록 연구의 현황과 과제

        강정화 ( Jeong Hwa Ka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5 남명학연구 Vol.46 No.-

        지리산유람록은 조선시대 지식인이 지리산을 유람하고 그 감회를 기록한 글로, 지리산에 대한 역사적·문화적·종교적 의미가 함축된 총체적 자료이다. 현재까지 모두 100여 편이 발굴되었고, 경남문화연구원에서는 이를 모두 완역하여『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시리즈(전6권)로 출간하였다. 이의 출간과 함께 지리산 또는 지리산 유람과 관련한 전문 연구가 폭증하였고, 나아가 우리나라 ‘산의 인문학’이 지닌 가치를 탐색하는 작업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본고는 1985년에 시작된 지리산유람록 연구의 30년사를 점검하는 첫 번째 자리이다. 관련 성과로는 2015년 4월까지 번역서 6권 외에도 학위논문 10권,연구논문 38편, 단행본 7권이 확인되었다. 초창기 연구는 주로 金宗直·南孝溫·金馹孫·曺植 등 조선전기의 몇몇 유명 작가의 작품에 치중하여 이루어졌고, 첫번역서가 나오는 2000년 이후에야 비로소 전문 연구가 성행하였다. 전반적인 연구 경향은 대략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조선조 지식인의 지리산에 대한 인식을 通時的 관점에서 살핀 통합 연구, 작품 및 작가에 대한 개별연구가 동시에 진행되었고, 번역서 출간 이후 자료의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관광학·조경학·건축학 등 타 분과에서의 연구가 행해졌으며, 근년에 금강산·한라산 등 타 명산과의 비교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의 검토를 통해 다음 두 가지를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발굴된 지리산유람록은 모두 조선시대 士人의 기록이다. 이는 유람록에 나타난 지리산 인식이 조선조 士人 부류에 한정된 것임을 전제한다. 30년의 짧지 않은 연구기간과 60여편의 적지 않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연구가 유람자인 ‘조선 지식인의 士意識’을 해명하는 범주에서 일관되게 이루어져 왔던 것이다. 또한 연구의 범주가 18세기 이후로 넘어가지 못하고 조선 전반기에 치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체 유람록의 절반 이상이 19-20세기에 산출되었고,게다가 18세기 이후의 지리산 유람은 지리산권역의 지식인에 의해 이루어져 왔음을 감안한다면, 그간의 연구가 지나치게 전반기에 편중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의 극복을 위한 다양한 접근이 향후 지리산유람록 연구의 과제로 남아있다. The travel essays of Mt. Jiri are the records of intellectuals about their trips to the mountain and their emotions about them during Joseon, providing total materials with the historical, cultural, andreligious significance of the mountain implied in them. There are approximately 100 travel essays of Mt. Jiri discovered so far, and the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completely translated them and published them in a series(six volumes) called Ancestors`` Travel Essays of Mt. Jiri. The publication led to the explosion of specialized researches on Mt. Jiri and travels to Mt. Jiri and has had many influences on the efforts to explore the values of "humanities of mountains" in the n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first work to review the 30-year history of researches on the travel essays of Mt. Jiri that started in 1985. The achievements in the research area until April, 2015 include six translations, ten dissertations, 38 research papers, and seven books. The early researches mainly focused on some famous figures and their work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including Kim Jong-jik, Nam Hyo-on, Kim Il-son, and Jo Shik. It was after 2000 when the first translation was published that specialized researches became prevalent in the area. There are four overall research trends: there were integrated research that examined the perceptions of Mt. Jiri among the intellectuals of Joseon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individuals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works and writers at the same time; other disciplines including tourism, landscaping, and architecture started to do the research thanks to easier access to the materials after the publication of translations; and comparative researches began between Mt. Jiri and other famous mountains such as Mt. Geumgang and Mt. Halla began in recent years. Those review findings confirmed the two following aspects: all the travel essays of Mt. Jiri that have been discovered so far were written by Joseon scholars that did not hold a government post, which leads to a premise that the perceptions of Mt. Jiri found in those travel essays were restricted to scholars that did not hold a government post during Joseon. In spite of not so humble achievements in the research area including 60 works over a period of 30 years, the researches have been consistent within the category of "scholarly consciousness of Joseon intellectuals" that were the travelers to the mountai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research scope concentrated on the former half of Joseon, not moving over to the years after the 18th century, which indicates that the researches so far have been heavily focused on the former half of Joseon, considering that more than half of those essays were written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and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Mt. Jiri region made an excursion to the mountain after the 18th century. Those findings propose a task for future researches on the travel essays of Mt. Jiri to make various approaches to overcome it.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국외 글쓰기 자동채점 연구 동향 분석 - 인문학 및 사회과학 영역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승주(Kim, Seung-Ju) 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연구 Vol.- No.80

        본 연구는 다학제간 연구 주제 중 하나인 글쓰기 자동채점 연구와 관련하여 국외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의 작문 교육 연구 내에서 관련 연구가 나아갈 길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다학제간 연구 주제인 글쓰기 자동채점은 작문 교육 연구자들의 활발한 참여가 필요한 연구 영역이지만, 현재 작문 교육 연구 내에서는 이와 관련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다만, 국외에서의 글쓰기 자동채점은 우리보다 이른 시기에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간 자동채점과 관련한 많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있기에 국외의 연구 사례를 통해 향후 작문교육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민해봄직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최근 15년간 사회과학 및 인문학 영역의 국외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고, 향후 다학제간 연구에서 우리의 학문 분과가 담당해야 할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theory of the role of writing education researchers based on prior research abroad in relation to the study of writing automatic grading, which is one of the topics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related research within domestic writing education research in the future. As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topic, writing automated essay scoring is a research area that require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writing education researchers, but it is also an area that is not currently the case. The need for research on writing automated essay scoring outside the country was sparked earlier than we are, and there is now a large accumulation of research achievements related to automatic scoring. Accordingly, this study use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o examin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related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s, arts, humanities, and psychology of papers in foreign journals for the past 15 years, and examined the role of writing education researchers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our writing auto-grading research should be headed in the future.

      • KCI등재

        소논문 쓰기, 종합적 사고력 그리고 칸트의 반성적 판단력

        최준호(Choi, Jun H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8 No.-

        본고의 목적은 대학 학술적 글쓰기 학습은 소논문작성하기를 중심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으며, 국내의 글쓰기 수업의 여건을 고려할 때 ‘미완의 소논문 완성하기’가 학술적 글쓰기 학습의 유용한 방안일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절차와 방법에 따라 연구가 진행됐다. 첫째, 학술적 글쓰기의 정의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학술적 글쓰기 학습의 중심에 놓여야 하는 글쓰기가 어떤 것인지를 논구했다. 둘째, 학술적 글쓰기에서 학습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것은 관련 자료에 압도되지 않고 자신의 새로운 주장을 자신 있게 펼치는 것이라는 점을 직시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을 탐구했다. 셋째, 열악한 여건 속에서 의미 있는 학술적 글쓰기 학습을 하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 방안이 무엇이며, 그에 입각한 학습의 실효성이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적 글쓰기 학습은 소논문작성하기를 중심으로 전개되어야 하며, 그럴 경우 학습자의 혼란을 최소화하면서 의미있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소논문작성하기 학습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종합적 사고력이며, 이는 칸트의 반성적 판단력과 유비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서 인간의 자연스러운 사고력이다. 셋째, 열악한 학습 여건을 고려할 때, 미완의 소논문작성하기는 대학 학술적 글쓰기 학습의 유의미한 한 방안이다. 넷째, 미완의 소논문작성하기 학습을 통해서, 학습자는 문제 상황에서 다양한 의견들을 자신이 세운 통합적 틀 내에서 적절하게 위치시키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세상의 다른 사람들과 합리적으로 소통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자료를 활용한 글쓰기 능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at the academic writing courses in Korean universities should be centered on writing a research essay and the complete writing of an unfinished research essay could be a useful method of the courses in poor learning conditio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our inquiries have been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procedures and methods : First of all, looking at the definition of academic writing, we sought to find out what kind of writing should be at the center of academic writing courses. Secondly, looking straight at the fact that the most difficulty for learners in academic writing courses is not to argue their own new ideas confidently, we sought to solve this problem. Finally, we searched for a concrete solution to conduct the meaningful academic writing courses in poor learning conditions. Depending on the above procedures and methods, the results of our inquires are as follows: ① Academic writing courses should be focused on complete writing an unfinished research essay, which allows learners to learn how to write the so-called academic writing. ② The most important for learners to fulfill complete writing the unfinished research essay is the synthetic thinking, which is the analogic thinking of Kant’s reflective judgment and accordingly human being’s natural one. ③ In light of poor learning conditions, complete writing an unfinished research essay is a significant method of learning an academic writing. ④ In addition, doing complete writing an unfinished research essay, learners learn how to rationally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in the world, how to improve their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by positioning them appropriately within the integrated framework, and how to skillfully do any writing with utilizing some related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