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눌 선사의 정토 수행론

        김부용(Boo-yong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1 불교와 사회 Vol.13 No.2

        이 글에서는 『권수정혜결사문』 제7문답에 나타난 지눌 선사의 정토수행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제7문답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제7문답에서 지눌 선사가 강조했던 수행의 근본을 파악하여, 이를 지눌 선사의 정토 수행론으로 정리하였다. 지눌 선사는 제7문답을 크게 여섯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선사는 처음에 1) 대심중생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들을 상근이라고 구분하였고, 마지막에는 4) 최하근이라는 용어로써 칭명(稱名)만으로도 희유하다고 여기는 이들을 나누었다. 그리고 중간에는 2) 자력과 타력으로 안과 밖이 서로 돕는 수행을 하는 사람 두 종류(①, ②)를 묶어서 설명하고, 또 3) 불법 가운데 마음을 잘 쓰지 못해서 장애에 막힘이 많은 사람 둘(①, ②)을 구분해서 설명하였다. 또한 선사는 최하근 외에 다시 5) 심법의 가르침은 알지 못하지만, 실제의 수행에서는 범행을 이루는 사람과 6) 조종문하(祖宗門下)에 이심전심으로 비밀한 뜻을 전하는 격외선 수행자를 밝혔다. 지눌 선사는 여섯 부분을 수행자의 근기에 따라 나타나는 수행의 특징으로 구분하였다. 지눌 선사는 각각의 근기에서 닦는 정토 수행을 말하는 가운데 선문 수행자가 닦아야 하는 바른 정토 수행을 강조하였다. 1)에서는 대심범부가 불심인 자심․불성인 법성을 신해하고, 신해를 의지해서 이루는 법성정토를 말하였고, 2)․3)․4)․5)에서는 부처님의 뜻을 알고 닦는 수행으로서의 정토 수행을 반복적으로 말하였다. 그리고 제5)에서는 고금의 달자(達者)가 구했던 정토는 결국 진여를 깊이 믿고 정혜를 오로지 하는 것임을 밝혔다. 그래서 이와 같은 세 가지 특징을 법성정토를 닦는 수행, 부처님의 뜻을 알고 닦는 수행, 진여를 믿고 정혜를 오로지 하는 수행 등으로 정리하였고, 이 모두는 결국 진여를 믿고 정혜를 오로지 하는 수행으로 돌아간다고 파악하였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grasp Jinul (知訥, 1158~1210)’s theory of pure land practice focusing on the seventh question and answer in Gwonsujeonghyegyeolsamun (『勸修定慧結社文』). To this end, first I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seventh question and answer and then figured out the basis of the practice emphasized by Jinul in the seventh question and answer and summarized it as Jinul’s theory of the practice of pure land. The seventh question and answer consists of six parts according to sentient beings’ faculties: he classified (1) people with the great mind as the uppermost faculties (上根); (2) two types of people who practice helping each other inside and outside with self-power and others’ help as the second group; (3) two types of people who are blocked a lot because they are not good at using their minds in Buddha’s dharma as the third group; (4) people regarded as rare only if they invoke a buddha’s name as the lowermost faculties (最下根); (5) people who do not know the teachings of the Dharma of mind but achieve clean acts in actual practice as the fifth group; (6) people who convey secret meanings by the way of transmission from mind to mind in the Zen patriarchy as the sixth group. Jinul classified these six group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e that appear according to the faculties of practitioners. Jinul emphasized the proper practice of pure land that zen practitioners should perform, referring to the practice of pure land according to each faculty. As for the first group, he talked about the pure land of dharma nature achieved by the ordinary people with the great mind who believe and understand that the Buddha's mind is their mind and the Buddha's character is dharma nature. About the second to fifth groups, he repeatedly said the practice of pure land which is the practice of knowing the will of Buddha. Finally, as for the sixth group, he revealed that the pure land pursued by all the adepts of all ages was to deeply believe in tathāta and devote oneself to meditation and wisdom. To sum up, he summarized these three characteristics: (1) practice of the pure land of dharma nature, (2) practice of knowing the will of Buddha, and (3) practice of deeply believing in tathāta and devoting oneself to meditation and wisdom. And he concluded that all of these eventually return to the third practice, the practice of deeply believing in tathāta and devoting oneself to meditation and wisdom.

      • KCI등재

        『유마경』에 나타난 정토사상 고찰

        오은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3 불교문예연구 Vol.2 No.-

        본 논문은『維摩經』을 중심으로 淨土思想에 대해 살펴보려는 것이 다. 淨土에 대한 개념은 두 가지가 있다. 淸淨한 國土혹은 淨化된 國 土라는 뜻과 다른 하나는‘국토를 깨끗이 한다.’는 의미가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유마경』의 정토사상을 이해하기 위해 분석한 것은 唯 心淨土觀·修行淨土觀·菩薩心淨土觀·他方淨土觀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심정토관에서는 현실의 국토가 불국토라 본다. 불국토는 이상적인 것이 아니라 우리들이 현재 살고 있는 이곳이다. 「불국품」 에서“直心, 深心, 菩薩心이 보살의 정토이다.”“이 마음이 청정하면 불국토도 청정하다.”라고 하여, 정토라는 것은 그것을 실현하고자 하 는 보살의 실천정신 가운데 이미 표현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둘째 수행정토관에서는“보시·지계·인욕·정진·선정·지혜의 육바라밀, 자비심·동정심·환희심·평등심의 四無量心, 布施·愛 語·利行·同事의 四攝法, 방편, 四念處·四精勤·四如意足·五 根·五力·七覺支·八正道의 37助道品, 회향심, 三惡八難을 벗어나 도록 설법하는 것, 스스로 계행을 지키고 남의 허물을 비방하지 않는 것, 十善등.”의 이러한 行法들이 보살이 佛國土를 청정하게 하는 길 이며, 모든 중생을 정토에 태어나게 한다고 본다. 셋째, 보살심정토관에서는 정토를 취하는 것은 모든 중생을 위해서 다. “왜냐하면 보살이 정토를 취하는 것은 모든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비유컨대 누가 빈터에 집을 짓고자 하면 뜻대 로 지을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허공에 짓고자 한다면 끝내 지을 수 없 는 것과 같다. 보살도 이와 같아서 중생을 완성시키기 위하여 불국토 를 취하고자 하는 것이지 허공에다 만들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중 생을 제도하려는 행위에 바탕하여 어떤 상황, 어떤 조건에서도 흔들림 없이 수행을 완성해 가는 대승적인 방편이 바로 정토건설의 방법 임을 나타낸 것이다. 넷째, 타방정토관에서는 이 세계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부처님이 계시는 정토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즉 서방 또는 동방 등의 특 정한 방위에 정토가 존재한다고 밝히는 것과 시방에 정토가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정한 불국토인 묘희국과 부동여래를 보여주자 사바 세계의 사람들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한 마음을 일으켰다. 모두 가 묘희라는 불국토에 태어나기를 원하였더니, 붓다는 곧 그들에게 ‘장차 그 나라에 태어날 것이다’라고 수기를 주었다고 하는 가르침에 서 알 수 있다. 『유마경』에는 나타난 정토는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국토에서 청정 한 마음으로 행법을 지키며 수행하고 중생을 위해 제도하는 마음을 놓치지 않고 이상세계가 현실세계로 변화된다는 믿음이 있으면 불국 토를 완성한다고 설하는 것이 특징이다. The present thesis aims to investigate Pure Land doctrine mainly based on Vimalakirti Sutra. One of the two meanings of Pure Land(淨土) is a purified or sanctified land, and the other is to purify a l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ure Land doctrine discussed in Vimalakirti Sutra, a summary thereof is provided as below. The Pure Land doctrine in Vimalakirti Sutra may be classified as the Pure Land perspectives on idealism (唯心淨土 觀), practice(修行淨土觀), Bodhisattva mind(菩薩心淨土觀), and otherworlds(他方淨土觀). Firstly, the Pure Land perspective on idealism considers that our real land is Buddha Land. Buddha Land is not an ideal one but where we are living today. The chapter of Buddha Land states, “Right mind, high resolve, and bodhisattva mind are the Pure Land of Bodhisattva”and“ If this mind is pure, then Buddha Land is also pure.”This means that the real land is the Pure Land as it is already expressed in the practice spirit of Bodhisattva who intends to realize it. Secondly, according to the Pure Land perspective on practice, “ Generosity, discipline, patience, effort, contemplation, and wisdom of the Six Perfections(六波羅密); benevolence, compassion, empathetic joy, and equanimity of the Four Immeasurables(四無量心); charity, kind words, altruistic behavior, and skillful means amicable association of the Four Expedient Means(四攝法); four foci of mindfulness(四 念處), four right efforts(四精勤), four bases of magical powers (四如意足), five spiritual faculties(五根), five powers(五力), seven factors of enlightenment(七覺支), and eight branches of the holy path(八正道) of the Thirty-Seven Aids(37助道品); dedication of merits; preaching the freedom from the three vices and eight adversities; observing precepts without slandering others; and the Ten Venerable Deeds(十善) - these disciplines are the paths to purify Buddha Land and the actions to allow all sentient beings to be born in the Pure Land.” Thirdly, the Pure Land perspective on Bodhisattava mind considers that Pure Land is gained in behalf of all sentient beings.“ It is because Bodhisattva gains the Pure Land so as to benefit all sentient beings. If someone tries to build a house in a vacant lot, it can be built as desired. However, if someone tries to build a house in the air, it cannot be built after all. Like this, Bodhisattva intends to gain the Pure land to bring all sentient beings to perfection, which is not achieved in the air.”It indicates that Mahayana means to unwaveringly complete the practice in any situations or conditions based on the deeds intended for the salvation of sentient beings is just how to establish the Pure Land. Finally, according to the Pure Land perspective on otherworlds, the Pure Land where Buddha resides is believed to exist somewhere far from this world, and it is revealed that the Pure Land is located in a specific direction such as west or east, or in the Ten Directions. “Upon showing Akshobhya Tathagata and a pure Buddha Land, Abhirata to the people in the mundane world, they resolved upon Supreme Perfect Enlightenment and desired to be born in Abhirata Buddha Land. Then Buddha foretold that they would be born in the Buddha Land in the future.”This perspective considers that if one’s mind is changed, the ideal world can be changed into the real world. In view of the foregoing, the Pure Land discussed in Vimalakirti Sutra implies that Buddha Land is accomplished if we observe disciplines and practice with pure mind in the land we are living in today, pledge the salvation of sentient beings, and have faith that the ideal world will be changed into the real world.

      • KCI등재

        天台止觀과 淨土念佛 수행방식 고찰 - 중국 초기 習禪을 토대로 -

        최은영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72 No.-

        This article purports to compare the Tientai Chan practice ofconcentration and Insight (止觀) and the Pure Land practice of meditationconcentrating on Buddhas (念佛), through analyzing concrete examples ofChan practice in the early Chinese Buddhism, which are delineated in thebiographies of the Gaosengzhuan (高僧傳) and the Xu-Gaosengzhuan (續高僧傳). In comparison of the practice styles by Tientai Zhiyi (天台智顗,538-597) and Pure Land Order, Tientai appears to have completed aorganic system of practice by synthesizing previous styles of practicingChan, meditations concentrating on Buddhas (念佛), Mahayana practiceof repentance, and methods of observing one’s own mind, while PureLand Order appears to have progressed toward the unification of thestyles of meditating Buddhas by the practical path of easy and popularpractice by vocalizing the names of the Buddhas in the meditationconcentrating on Buddhas (稱名念佛). While Zhiyi, in addition, appearsto have utilized many Mahayana scriptures in systematizing these Chanpractices, the Pure Land Style of meditating Buddhas appears to have beenon the basis of the three major scriptures of the Pure Land Order. Further, the Tientati method of Chan practice appears to have beenutilized rather as a method for observing one’s own mind than as theultimate objective in itself, while the easy path of practice (易行道) throughvocalizing the Amitabha Buddha in the Pure Land Order appears to havebeen regarded as the means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This practiceof the Pure Land Order came to influence widely on both clerical andlay people, spreading across time and space, through its centrality onconcentration and simple pureness, while the Tientai Chan practice ofconcentration and Insight (止觀), as the inclusive system through thesynthesis of every styles, came to influence on every subsequent aspect ofChan and Pure Land Buddhism as its combinatory elements. 본고는 『高僧傳』과 『續高僧傳』의 傳記에 보이는 중국 초기 불교에서 수행되었던 습선의 형태를 고찰한 것을 바탕으로, 이들 습선을 토대로 하여 뚜렷한 특징을 확립한 천태지관과 정토염불수행의 형성적 과정을 통시적으로 고찰해 본 것이다. 천태지관과 정토염불 수행방식을 비교하면, 천태는 대승경론에 기반한 부정관과 수식관 중심의 習禪法과 아미타불 염불관, 대승적 懺法과 觀心法을총합하여 止觀의 수행체계를 완성하였다. 한편 도작에 의해 실천방식을 단일화한 정토교는 염불수행 가운데에서도 칭명염불로 쉽고 대중적으로 실천할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또한 천태지의는 이들 수행법을 체계화하는데많은 대승경론을 활용하고 있지만, 정토교의 염불 수행법은 오직 정토3부경에만 기반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여러 행법은 천태의 수행법에서는 습선법 자체가 궁극적인 목적으로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관하게 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지만, 정토교에서는 易行道를 통해 아미타불을 칭명하고 극락세계에 왕생하기를 목적으로 하는 차이가 있다. 이것은 결집력과 순수성이집성되어 道俗을 망라하며 시간과 공간으로 파급력이 커지면서 계속 영향을미치게 된다.

      • KCI등재

        정토 왕생과 보살행 오념문

        주명철(Joo, myung-chul)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3 No.-

        본 논문은 유식논사인 세친(Vasubandhu)이 보는 정토불교의 주요 주제인 정토 왕생과 그 왕생의 도 五念門에 대해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작업은 용수에 의해 易行道로 지목되어온 정토불교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고 나아가 새로운 이해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작업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먼저 정토 왕생의 원리에 살펴보면, 세친은 정토에 태어나는 생을 無生의 生 즉 생즉무생의 이치로부터 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원리의 근저에는 절대공이 있다. 이 절대공에 입각한 원리로부터 중생 구제의 활동이 있게 되며, 왕생자는 열반의 妙果를 얻게 된다. 다음으로 왕생의 주체 문제와 관련해 예토인과 왕생자가 같은가 다른가? 세친은 그 답을 오온이 가화합한 인연생으로서의 不一不異의 원리에서 찾았다. 곧 멸이 곧 생(滅卽生)이며, 생이 곧 멸(生卽滅)의 구조 즉 비연속의 연속관계로서 예토의 가명인이 정토의 가명인으로 왕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정토에 왕생할 수 있을까? 그 왕생 行道의 구성의 핵심은 一心(eka Citta)과 오념문이다. 세친은 오념문이라는 육바라밀과는 다른 형태의 대승보살도를 제시하였다. 일심에 바탕한 오념문이다. 세친은 이행도 형태의 정토불교 수행법인 예배, 찬탄 그리고 염불(억념) 에 유식불교의 止觀(śamatha, vipaśyāna)을 덧붙여 보살의 행도로서 정립시켰다. 이는 점차적 수행 즉 점수적 행으로서 타력중심의 상식적인 정토불교와는 다른 唯心的 정토불교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 증거가 오념문은 업을 닦는 수행도라는 데에 있다. 논자는 이 자리적 수행 네 가지를 예비 수행과 본 수행으로 나누어 봤고, 그 결과 오념문은 이행도와 난행도의 결합으로 이해해 봤다. 마지막으로 세친은 회향문으로 마무리 하고 있다. 회향문은 이름 그대로 智業 方便인데 네 가지 수행으로 얻은 지혜와 복덕을 타인 일체중생에게 되돌려 보내는 것이다. 세친은 위와 같이 반야와 방편의 보살도 유가행의 계위를 십지의 단계에 대입해서 설하고 있다. 세친이 오념문을 통한 정토 왕생(제 8지)을 무상정등각의 깨달음의 성취로 보고 있는 점은 매우 독특하다. 이것은 정토불교라는 有相의 교리를 세우려했던 세친의 의도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정토 왕생과 오념문은 유식불교와 더불어 보살 십지의 단계에 따라서 상설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focus on looking into the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five anu-smṛti, which are the main thesis of Pureland Buddhism by Vasubandhu. It is presumed that the research can play a pivotal role to draw out a new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of Pureland Buddhism at the same time, which has been criticized as heresy by Nagarjuna. First of all, when it comes 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rebirth in the pure land, Vasubandhu has considered that the rebirth in the pure land come from Śunya.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it, there has been salvation for a11 living beings, and resulting in nirvāṇa. Next, concerning to the subject of the rebirth, the question is that a person reborn and worldly one is the same or not. Vasubandhu has also found out the answer in the principle of consistency and inconsistency, which is combined with theories of five skandha and pratītya samutpāda. In other words, as the correlation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a single person, who has attained the Budd ha nature in nirvanic liberation be incarnated in the pure land as a person reborn. If so, how can living beings attain the level of nirvana in the pure land? The critical key to attain nirvana lies mainly in the eka-citta and five anu-smṛti. Vasubandhu has suggested other forms of ascetic practices such as five anu-smṛti, the principles of bodhisattva, instead of six paramīta. He has also established the bodhisattva practices, consisting of bowing and chanting along with śamatha and vipaśyāna. That is gradual practices showing the essence of Yogācāra school, which is really different from the common buddhism of pure land centered on salvation from outside. The proof is the fact that five anu-smṛti are the ascetic practices of karma. That the simple chanting of Amitabha Buddha and the insight of the pure land can lead to the attainment of nirvāṇa is the main idea of Pure land Buddhism by Vasubandhu. Under this understanding, the present writer has classified four types of ascetic practices into pre-practices and main ones. thus, five anu-smṛti are viewed as easy and hard practices to follow respectively. Finally, Vasubandhu has completed his theory with dedication of merits, returning all the merits attaining from supplication to all living beings. Vasubandhu has mainly applied his theory to ten bhumi. He is solely remarkable in a way that the attainment of anuttaraṃ sammāsambodhi can be achieved through practicing five anu-smṛti thoroughly. This is mainly based on his intention to set up the Yogācāra doctrin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five anu-smṛti leading to the pure land along with Yogācāra are firmly established on the phase of ten bhumi.

      • KCI등재

        『권수정혜결사문』의 체계와 사상

        강건기(Kang Kun-ki) 보조사상연구원 2007 보조사상 Vol.27 No.-

          본 연구는 지눌의 최초 저술인 『정혜결사문』의 체계와 사상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BR>  지눌은 수심의 바른 길로 텅 비었으면서도 환히 밝은 본래 마음에 대한 결정적인 믿음과 이해에 기초해서 선정과 지혜를 닦을 것을 일관되게 제시하고 있다. 수심(修心)은 본래의 성성적적한 마음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이익중생(利益衆生)하는 이타행을 떠나지 않는다.<BR>  지눌에 있어서 정토는 마음 밖에 있는 땅이 아니라 한 마음 청정한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염불은 선정과 지혜를 닦는 수행과 다르지 않다고 본다. 그는 자성미타(自性彌陀) 유심정토(唯心淨土)로서의 정토업을 적극적으로 수용한다.<BR>  선은 부처님의 마음이요 교는 부처님의 말씀이라 보는 것이 그의 선교관의 기본이다. 말씀의 근본이 마음이요 마음의 표현이 말씀이고 보면 선과 교는 서로 대립, 갈등하는 관계일 수가 없다. 선과 교가 분리될 수 없다는 그의 선교관은 선교가 대립, 갈등하는 고려불교의 현실에 대한 고뇌를 통해 직접 3년간이나 대장경을 열람하는 체험에서 나온 결론이다.<BR>  마음에 대한 바른 믿음과 이해에 근거한 닦음인 최상승선을 강조하면서도 그는 초학자를 위해 권(權)과 실(實)을 함께 시설하고 있다. 그러므로 돈과 점, 자성삼학과 수상삼학을 함께 포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근기의 사람들이 어떻게 닦아가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가르침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근기와 현실을 중시하는 전통은 보조선의 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Exhortations to Practice for Samadhi and Prajna Society, which was written in 1199 to commemorate the formal establishment of the Samadhi and Prajna Society, is Chinul"s first work. It gives us the picture of how the Society was formed and what kind of practice Chinul was for as well. So, a close examination of the work is necessary to understand Chinul"s thought fully.<B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 One is to examine Chinul"s thoughts in Exhortations to Practice for Samadhi and Prajna Society ; and the other is to introduce to ordinary readers what are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work. The main body of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 namely 1)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work, 2)the motives and process of the Society, 3)Chinul"s thoughts in the work.<BR>  In the first part, the paper gives readers a general picture of the work by giving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it in detail. By doing so it reaffirms that the work was not only to commemorate the formation of the Society but also to give us a road map to the cultivation of Mind. Therefore, the Society for the Samadhi and Prajna can be called the Society for the cultivation of Mind.<BR>  In the second part, the paper examines how the Society was formed and how it went on. At the time of Chinul Koryeo Buddhism was far from right Dharma : Monks were hankering after "fame and profit", and the conflict between Zen and Doctrinal Buddhism was serious. Lamenting deeply, Chinul stood up for right Dharma : That is why he established the Samadhi and Prajna Society. He and fellow monks at the Bojesa Zen Dharma meeting in 1182, when he was twenty-five, agreed to form a common society to reform Koryeo Buddhism. After having two awakening experiences at Cheongwonsa and Bomunsa temple, he finally established the Society at Keojosa temple in 1190 when he was thirty-three.<BR>  In the third part, the paper examines Chinul"s thoughts under five headings : 1)right path to cultivation of Mind, 2)the Bodhisattva act of "helping others" in the spiritual path, 3)view of Pure Land practice, 4)view of Zen and Doctrinal Buddhism, 5)the cultivation of Mind and different capacity of people.<BR>  According to the work, one must first have faith and underst anding in one"s own Mind, which is none other than Buddha, and then must cultivate Samadhi and Prajna. This is the right path to the cultivation of Mind. Although the word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 does not appear in the work, "cultivation on the basis of faith and understanding(信解而修)" is not different from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 approach.<BR>  Cultivating Samadhi and Prajna one must also practice Bodhisattva act of helping others. Chinul said in the work : "Since wehave vowed to ferry across others, we must first cultivate Samadhi and Prajna." In his thought "helping oneself" and "helping others" cannot be separated.<BR>  Since the Buddha and the Dharma one searches are none other than one"s original mind Chinul does not accept other worldly Pure Land, which is in the west. However, he does not all the way reject Pure Land practice at all. According to him, Pure Land is none other than the pure basis of one"s own mind. And reciting the Buddha"s name can also be a part of Samadhi and Prajna cultivation. In this light, we can affirm that Zen and Pure Land practice are not two but one in the work.<BR>  To determine if Buddha"s words were compatible with Zen, Chinul spent three long years studying the Tripitaka at Bomunsatemple in Haga-mountain. Finally he was convinced through Hua-yen Sutra and Li T"ung-hsuan"s Treatise on Hua-yen that the two traditions were not totally different but compatible each other. His conclusion was "what the Buddha expounded through his m

      • KCI등재

        원효와 혜능의 사바즉정토(娑婆卽淨土)

        김영미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0

        Sattva have lived in the sahā world filled with endless sufferings. However, Buddha considered this sahā as the utmost bliss. This paper will examine how the sahā world can be taken as the utmost bliss. To contemplate this, you firstly need to figure out what the pure land is and secondly the way to convert the sahā into the pure land. First, if you look at what kind of world sahā and pure land are, the defiled world will be built upon if Avidyā is pursued in the one mind and the pure land will be constructed if initial enlightenment is accompanied. Wonhyo elucidates the foundation of the pure land as the differing characteristics in the two worlds, explaining the same characteristics for the fact that the sense-realms are identical to enlightenment, the fact that enlightenment is the same as the sense-realms, the fact that consciousness is the same as enlightenment to demonstrate that the sahā is the pure land. Second, as for the way to transform the sahā into the pure land, you can get an answer for that in Huineng's assertion that the afflictions are bodhi, that is, the sahā is the pure land. He preaches in detail regarding Sattva with three categories teaching and practice for attaining the Buddhahood and advises them to achieve the stage of clearly penetrating inside and out which is bright but inside and out are not separate. If you have a pure and right mind, your mind is nirvana and the sahā is the pure land. If you abolish your afflictions with wisdom-cognition, you can accomplish the stage in which the conventional truth is the absolute truth. If you're bereaved of form with form, the afflictions are bodhi. On the contrary, if you're attached to it, bodhi is the afflictions. Huineng suggests the wisdom of non-discrimination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for the method to annihilate attachment. In this way, Wonhyo and Huineng explain how to convert the mundane world into the pure land. 중생들은 고(苦)가 끊임없는 사바세계(娑婆世界)에서 살고 있다. 그러나 같은 장소인 이 사바가 붓다는 극락(極樂)이라고 했다. 본 논문에서는 사바세계를 어떻게 극락으로 만들 수 있는가를 고찰하려고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는 정토(淨土)란 어떤 세계를 말하는지 알아야 하고, 둘째는 사바세계를 정토세계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첫째, 사바와 정토가 어떤 세계인지를 살펴보면, 일심(一心)에서 무명(無明)을 따르면 예토(穢土)가 이루어지고, 시각(始覺)을 따르면 정토(淨土)가 나타난다. 원효는 이 두 세계의 부동상(不同相)을 설명하면서 정토의 성립 근거를 밝히고, 동상(同相)을 경동각(境同覺)․각동경(覺同境)․식동각(識同覺)으로 설명하면서 ‘사바즉정토(娑婆卽淨土)’임을 논증하고 있다. 둘째, 사바를 정토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는, 혜능이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라고 하여 ‘사바즉정토’를 설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혜능은 삼과법문(三科法門)으로 중생에 대해 자세히 설하고, 안과 밖이 둘이 아닌 밝은 내외명철(內外明徹)의 경지를 이루라고 한다. 마음이 청정하고 바르면 ‘마음즉피안’이므로 ‘사바즉정토’가 이루어진다. 반야(般若)의 지혜(智慧)로서 번뇌를 여윈다면 곧 보리이므로, ‘번뇌즉보리’가 가능하다. 상(相)에 상을 여의면 번뇌가 바로 보리이나, 집착하면 보리가 번뇌이다. 집착을 여의는 방법으로 혜능은 불이(不二)의 관점인 무분별지(無分別智)를 제시한다. 이렇게 원효와 혜능은 현실세계를 정토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 KCI등재

        정토교의 수행방법론

        한태식(보광),강동균 한국정토학회 2008 정토학연구 Vol.11 No.-

        먼저 정토수행으로는 믿음이 가장 중요하다. 극락정토와 아미타불의 존재에 대한 믿음 없이는 극락왕생과 깨달음을 인정할 수 없다. 첫째는 『無量壽經』의 “至心信樂欲生我國乃至十念”을 중심으로 信과 願과 回向을 살펴보았다. 실은 참으로 지극한 마음으로 믿기만 하여도 이미 모든 수행은 완성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둘째는 信心이 없는 사람이나 임종자를 위하여 가장 쉽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아미타불의 명호를 듣기만 해도 왕생이 가능하다고 한다. 셋째는 정토교의 가장 대표적인 수행방법은 염불수행이다. 이를 제18원의 乃至十念을 중심으로 칭명염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넷째는 염불선수행은 한국불교에서 가장 많이 행해지고 있는 방법이다. 禪修行을 표방하는 수행자들이 많이 실천하고 있는 방법으로 이를 觀念念佛, 禪淨雙修, 念佛公案의 수행법으로 분류해 보았다. 이는 觀察門에 해당한다. 다섯째는 참회와 지계수행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참회의 방법으로 널리 행하는 것은 예배, 절이며, 지계는 오계와 팔재계, 구족계 등의 수지를 말한다. 이와 같은 정토수행법은 가장 쉬운 믿음에서부터 聞名과 稱名, 觀念, 念佛禪, 懺悔와 持戒 등 다양하다. 이는 누구나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실천할 수 있는 방법으로 현대인들에게 가장 적합한 수행법으로 생각된다. The most essential element of the Pure Land practice is the faith on the Pure Land of Happiness(極樂淨土)and Amita Buddha, which makes it possible to acknowledge rebirth in paradise(極樂往生) and enlightenment. First of all, this article contemplates faith(信), vow(願) and a Buddhist memorial(回向) focusing on JiSyimSinYoYokSaengAhGookNaeJiSyipNyum(至心信樂欲生我國乃至十念) in 『MooRyangSooGyung(無量壽經)』. In fact, all the Buddhist practices can be thought to be already completed only with sincere faith. Secondly, this is the easiest way for people with no religious conviction or the dying to practice. Only listening to the words Amita Buddha enables people who recite it for rebirth in paradise. Third, the practice of the invocation is the one that represents all the practices taught in Pure Land sect. The Buddhist invocation of the names of Buddhas(稱名念佛) is examined in this article focusing on NaeJiSyipNyum(乃至十念). Fourth, the invocation practice is the most common Buddhist practice that is performed in Korean Buddhism. This is especially advocated by people who follow Seon practice of Buddhism. This article attempted to classify it into GwanNyumYumBul(觀念念佛), SeonJeongYumBul(禪定念佛), and YumBulGongAn(念佛公案), which come under GwanChalMoon(觀察門). Fifth, repentance(懺悔) and Buddhist commandments(持戒) are examined. Buddhist rituals and bows are the most common ways of repentance and commandments such as five commandments(五戒), eight commandments(八齋戒), GooJock commandments(具足戒). There is a wide variety of Pure Land practices from the faith on Pure Land which is the easiest way, to MyungMoon(聞名) and ChingNyum(稱念), and to GwanNyum(觀念), YumBoolSeon(念佛禪), repentance(懺悔) and commandments(持戒). As described above, this Pure Land practice can be the most suitable practice for modern people as a way of practicing Buddhism with no hindrance of time and space.

      • KCI등재

        고려후기 관경16관변상도의 원류와 독자성

        이승희 국립중앙박물관 2019 미술자료 Vol.- No.95

        This study examines the compositions and icon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ang and Song Dynasty transformation tableaux of the Visualization Sutra (觀無量壽經), accompanied by educational interpretations. Its aim was to determine the origins and identity of Goryeo Visualization Sutra transformation tableaux through the study of issues of Chinese regional characteristics. Visualization Sutra transformation tableaux prevalent during the Tang Dynasty were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Seon Buddhist doctrinal interpretation, which was highly influential in areas such as Shaanxi, Shanxi and Henan provinces. In Seon Buddhism visualizations 1~13 of the Visualization Sutra, known as “contemplations,” are said to have been created at the request of Queen Vaidehi. Perhaps because of this, Vaidehi appears in contemplation in each visualization in Tang Dynasty Visualization Sutra transformation tableaux. Visualisations 14~16, by contrast, describe the nine levels of rebirth into the Pure Land and show Shakyamuni preaching for the benefit of the general public, not at Vaidehi’s request. Therefore, the queen is not depicted in these visualizations. Instead, they show those in the lowest grades of rebirth following Amitabha and being reborn in paradise despite having descended into hell, reflecting the Seon Pure Land beliefs. Song Dynasty Visualization Sutra transformation tableaux differ considerably from those of Tang in terms of both composition and iconography. While those of Tang are positioned around the Amitabha Pure Land tableau, those of Song are separated from the Amitabha Pure Land transformation tableau and produced as independent Buddha paintings. The introductory section and 16 visualizations of the Visualization Sutra, too, are divided and painted as two pictures, or rendered with the introductory section strongly diminished and the 16 visualizations emphasized. When it comes to the depiction of the 16 visualizations, too, scenes from the nine classes of rebirth in the Pure Land are painted larger and located more centrally than those of the 13 visualizations, placing the focus not on the process of rebirth in the Pure Land but on scenes of listening to preaching in the Pure Land after rebirth. I believe this depiction reveals an interest in attaining Buddhahood through religious practice after Pure Land rebirth, in contrast to Seon Pure Land belief, which was interested principally in rebirth in paradise itself. Though it is not possible to specify the precise time when the Song forms of transformation tableaux of the sixteen visualizations of the Visualization Sutra were introduced to Goryeo, they are presumed to have been transmitted around the 12th or 13th century via Ningbo, the city used by both states as their official trading port. After inheriting Song styles, the transformation tableaux of late Goryeo showed a further stage of evolution, taking apart and reconstituting compositions, as seen in examples now housed in Saifukuji, Otakaji, Chionin and Rishoji temples in Japan. The Saifukuji and Otakaji paintings maintain the Song sixteen visualization transformation tableaux form while demonstrating the Pure Land ideas of Goryeo in details such as the layout of scenes from the nine classes of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in their depiction of the reborn as bodhisattvas in scenes of prophecies of attaining Buddhahood. In the Chionin painting, by contrast, visualizations 1~7 visualizing paradise and scenes from the nine classes of rebirth in the Pure Land are plac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work and rendered in a small size, while visualizations of Amitabha and bodhisattvas, corresponding to numbers 8~13, are depicted in a larger size and afforded a central position. This demonstrates the Goryeo concept of trying to perceiving Amitabha through mental and spiritual practice. The reborn souls that appear to represent the actual individuals who commissioned the painting are depicted in visualization 12, testifying to the strong desire for Pure Land rebirth among those in Goryeo who sponsored the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이 연구는 당과 송시대의 서로 다른 관경변상도의 화면구성과 도상적인 특징을 교학적인 해석과 함께 살펴보고, 지역성의 문제를 고찰하여 고려후기 관경변상도의 원류와 독자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당대 유행했던 관경변상도는 중국의 섬서성, 산서성, 하남성 등지에서 영향력이 컸던 善導교학의 영향 하에 조성되었다. 선도는 『관무량수경』 중 1~13관까지를 정선관이라 하여 위제희의 요청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그래서인지 위제희가 각 관에 관상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반면 14~16관까지는 산선관이라 하여 위제희의 요청 없이 석가모니불이 대중을 위해 설법한 관이므로 위제희가 표현되지 않는다. 대신 지옥에 빠진 모든 중생까지도 구원한다는 선도의 정토관이 반영되어 하품왕생자들이 지옥에 빠졌음에도 불구하고 아미타불을 따라 극락왕생하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송대 관경변상도는 당대의 것과 화면의 구성과 도상 면에서 상당히 차이가 있다. 당대 관경변상도가 아미타정토변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반면, 송대 관경변상도는 아미타정토 변상도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형식의 불화로 제작되었다. 『관무량수경』의 서분과 16관도 따로 나누어 두 폭으로 그리거나 서분을 극도로 약화시켜 표현하고 『관무량수경』의 16관을 강조하였다. 관경16관변상도의 표현에 있어서도 1~13관까지의 장면보다 구품왕생장면이 화면의 중앙에 크게 그려지는데, 왕생의 과정에 초점을 두지 않고 왕생 이후 극락세계에서 설법을 듣는 장면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표현은 왕생자의 극락왕생이 주된 관심사였던 선도의 정토관과는 다르게 왕생 이후에 수행을 통한 성불에 대한 관심을 드러낸 것이라고 생각된다. 송대의 관경16관변상도 형식이 고려로 전래된 시기를 특정할 수는 없지만, 고려와 송의 공식적인 교역항이었던 영파를 통해 12~13세기 경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송대 관경 16관변상도의 형식을 계승한 고려후기 관경16관변상도는 사이후쿠지(西福寺)본과 오타카지(大高寺)본이며, 지온인본과 린쇼지본은 한 단계 진화하여 화면의 구성을 해체하여 재구성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사이후쿠지본과 오타카지본은 송대 관경16관변상도의 형식을 유지하면서 구품왕생장면의 배치와 구품왕생자의 모습을 보살형으로 표현하는 등에서 고려인들의 정토인식을 드러냈다. 반면 지온인(知恩院)본에서 극락세계를 관하는 1~7관과 구품왕생장면을 화면의 상단과 하단에 작게 배치하고, 중앙에 8관부터 13관까지에 해당하는 아미타불, 보살관을 크게 부각시킨 것은 마음의 수행을 통해 아미타부처님을 감득하고자 했던 고려인들의 관상에 대한 인식을 드러낸다. 또한 보관에 표현된 실제 발원자를 형상화한 듯한 왕생자들의 모습에서 불화 조성의 후원자했던 고려인들의 강한 염원이 담겨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念佛修行과 涅槃의 구체화에 대한 一考

        정광균(법상)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3 No.-

        정토신앙의 요체는 阿彌陀佛에게 귀의하여 간절하게 염원하여 극락정토에 往生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念佛修行의 意味는 일반적으로 五濁惡世에서 轉迷開悟의 어려움에 부처님의 본원력을 요청하는 것이다. 즉, 먼저 염불에 의해서 無限劫來의 業障을 消滅하는 것이며, 다음은 삼매를 통해서 見佛하여 인천의 스승이 되고, 셋째는 만인을 위한 만인의 구제인 極樂往生으로 不退轉을 이루며, 넷째는 궁극적으로 無生法忍을 얻어 열반과 깨달음을 실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염불수행은 인간의 한계성에서 아미타불의 本願力과 大慈悲에 의존하여 왕생하고 물러남이 없는 경지에 이르러 남이 없는 진리를 체득하여 청정한 깨달음을 완성하는 성불의 길이다. 그래서 염불수행은 그 과정에서 자력과 타력이 조화되는 상보적인 관계에 있다. 이러한 염불수행의 역사적 과정은 南無佛로부터 三念으로 四念ㆍ六隨念ㆍ十隨念ㆍ五停心觀을 거쳐 중국에서 여러 염불로 다종다양해졌지만 四種念佛로 정리된다. 그 중에 純粹淨土家에서는 稱名念佛을 중요시하여 강조하였다. 이는 五濁惡世의 無佛의 시대에 時期相應하는 염불수행은 難行道를 易行道로 바꾸어 부처님의 가피력에 의해서 수행의 목적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에 전제조건으로 發菩提心을 비롯하여 信心ㆍ願心ㆍ往生迴向을 가지고 一心不亂하게 진실하고 절실한 마음으로 아미타부처님의 名號와 正報와 依報를 관하고 생각하면서 念念相續하여 不斷念佛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금생에서는 삼매를 통해서 부처님을 친견하여 안락을 얻어 인천의 스승이 되고, 내세에는 왕생하여 열반의 세계가 실현된 극락세계를 감득하는 것이다. The essence of the Pure Land faith, rely on earnestly desire and willingness to Amita Buddha is to go to the birth in the Pure Land. Typically, the meaning of performing these Buddhist invocation, turbidity, and five kinds of evil in the world, open to the top of the deceiver to change the enlightenment, the Buddha is to request the power of the original petition. One is to destroy eopjang(業障) by a Buddhist invocation, and then you will see the Buddha through samadhi, become the teacher of the people and the sky, and the third, for the people to the salvation of the people, to go the Pure Land, where the ground do not go away is achieved, the fourth, the births are not ultimately get to the truth, is to achieve Nirvana and enlightenment. In other words, execution of buddhist invocation is done, the castle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human beings, to rely on Amita Buddha's original wish him strength and mercy, was born, reached the ground and not retreat, not born to get to the truth of enlightenment and Buddha will be completed. So, the performing of buddhist invocation is done, in the process, the combination of his strength and power of others, help each other in relationships. This historical process of doing a buddhist invocation in India in the Namobuddhaㆍtree smṛtiㆍfour smṛtiㆍṣaḑ-anusmṛtayaḥㆍ十隨念ㆍ五停心觀 through and in China as many Buddhist invocation variety can organize, but to Four types of the practice of the Buddhist invocation(四種念佛). That is highlighted in The pure Land(淨土) Buddhist invocation of the names of Buddhas(稱名佛念) and will be important. These Buddhist invocation of the names of Buddhas destroyed eopjang(業障) through the process of samadhi, and to see the Buddha, and, ultimately, to go to the Pure Land, this is Nirvana and the Buddha. This, the Buddha of the world do not have five kinds of evil times, the times and people respond to each other, the performing of buddhist invocation is done, the hard way, for an easy change, I've been getting the help of Buddha, is to complete the purpose of performing. Furthermore, as a precondition to realize the mind and heart want to believe, including who was born and tried to get him a heart to heart with the truth not complicated, and needs in mind and Amita Buddha's name and the meaning of life and will subject I think the place to watch and think about each other is swollen with broken resume. Thus, in this life, samadhi through, can see to meet Buddha, get happy, restful, and the teacher of human beings and the sky, and the dead, you go to the Pure Land, Nirvana the world become reality, I feel the world is the Pure Land.

      • KCI등재

        조선후기 불교장엄과 의례에 수용된 정토사상

        송법엽(보운) 한국정토학회 2017 정토학연구 Vol.27 No.-

        불교의 장엄은 세존의 가르침인 사상적인 내용을 구체화하는 절차를 통하여 일반 대중들에게 알리는 구체적인 행위이며, 정토사상에서는 대승불교의 이념을 실천하는 보살사상을 논장 등으로 확대하였다. 또한 의례는 종지(宗旨)가 지닌 의미를 현실적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재해석되고 고유한 형식으로 정형화되는 것이고, 이러한 의례를 실천하는 방법으로서 의식으로 체계화되면서 공덕, 설법, 공양, 계율, 지혜, 감응, 청정 등으로 여러 측면으로 확대되고 있다. 『정토삼부경』에 나타나는 정토장엄은 초기경전인 『장아함경』에도 나타나고 있으며 율장에서도 회화와 건축 등의 요소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데, 밀교경전에서는 국토장엄과, 법장엄이 정진으로 승화되는 과정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렇지만 조선후기 불교의 장엄이 여러 시각을 강조하는 형태로 나타난 것은 당시에 사상적 기반이 유학에 기반을 두고 있었던 까닭으로 일반 백성들을 위하여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현상은 시각적 효과와 청각적 효과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던 현실적 제약이었다. 따라서 불교문화는 건축과 탱화, 의례의 형태로 발전하였던 현상은 조선후기의 시대적인 특징이었다. 불교건축은 미학적인 측면과 사상적 측면을 사상적 측면을 조화롭게 생각하여 사찰의 여러 요소들의 조화와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단순한 의례의 공간적인 형식에서 벗어나서 기능이 확대되었다. 불상과는 다른 형태로 발전한 조각의 부류인 불감은 조각과 회화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종합적인 불교미술을 보여주고 있다. 불교회화는 신행을 위한 공간을 이용하려는 목적에서 수용되었다. 사찰의 장엄과 불보살에게 예경하려는 목적과 대중에게 불교의 교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었으나, 사상적인 부분에서는 정토신앙을 중심으로 밀교, 지장신앙과 화엄신앙과 습합이 일어났던 도상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정토사상이 수용된 의례로는 수륙재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의례의 전체적인 구성은 정토신앙을 현실화하는 성격을 잃지 않고 일정한 신앙체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유형적 불교문화와 무형적인 불교의례에서는 여러 사상을 수용한 조선후기의 정토사상은 큰 범주에서 여러 전통적인 신앙과 당시의 민간신앙까지 융화시켜 신앙의 조화를 지향하였다. 이런 정토사상과 민간의 관습적인 내용과 유교와 도교의 내용까지 융합시키는 장엄사상과 정토사상은 단순한 융합이 아니라 역사와 시대의 반영이면서 불교의 중도적인 관점에서 사상적 조화와 현재하는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졌으며 오늘에 전해지고 있는 주목할 역사적 불교의 변용이었다. The decoration of Buddhism is a specific act that informs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process of embodying the idea of the Bhagavat's teachings. In the idea of pure-Land, the idea of Bodhisattva practicing the ideology of Mahayana Buddhism was extended to disputes. In addition, rituals are reinterpreted in the process of actualizing the meaning of the teachings of religion, and they are formalized in a unique form. Such rituals have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as consciousness as a way to be practiced, and are spreading in various ways, such as virtue, sermon, food, godliness, wisdom, response, and cleanliness. The ornaments of the Pure-Land appearing in “Sutra of the Amitabha group” are also found in the early scriptures, “long of the Agamas”, and the elements of painting and architecture can be examined in detail. In the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the decoration of the land and the grandeur of the dharma are expanding into a process of sublimation. However, the majesty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emphasized various aspects because the ideological foundation was based on Confucianism at the time, and the phenomenon that was actively developed for the general people was a reality that could accommodate visual and auditory effects It was a constraint. Therefore, Buddhist culture developed in the form of architecture, painting, and consciousness was characteristic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architecture of Buddhism pursues the harmony of various elements of temple and harmony with nature in harmony with the aesthetic aspect and the aesthetic aspect, and the function is expanded by deviating from the spatial form of simple ritual. The Buddhist sculpture, which is a kind of sculpture develop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Buddhist statue, shows the form of comprehensive Buddhist art including sculpture and painting elements. Buddhist paintings were accepted for the purpose of exploiting the space for new activities. It was created with the purpose of worshiping the majesty of Buddhist temples and Buddhism, and the purpose of conveying the Buddhist doctrine to the public easily. However, in the ideological part, the image of the esoteric thought and guardian ideology, and the combination of Huayan and the idea of Pure-land are also centered on the idea of Pure-land. Also the ceremony of accepting the idea of the Pure Land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the ritual of water and fire. The whole composition of the ceremony has a certain belief system without losing the character of realizing the faith of the Pure-Land. Therefore, the ideology of the clean earth in the later Joseon period, which accommodated various ideas in tangible Buddhist culture and intangible Buddhist rituals, aimed at harmonizing the faith by integrating various traditional beliefs and the private beliefs of the time in a large category. The ideas of this clean earth, the customary contents of the civilization, and the ideas of decorating Confucianism and Taoism are not merely a fusion but a reflection of the history and the time, and the ideological harmony and the present environment And it is a remarkable historical Buddhist transformation that is being conveyed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