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버마스, 공론장 그리고 최후의 믿음 :공론장의 새로운 구조변동에 관한 최근 논의에 부쳐

        유용민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4 언론과 사회 Vol.32 No.1

        공론장 이론은 여전히 쓸모있는 이론일까? 현대사회에서 공론장을 요청하는 목소리들은 아직도 뜨겁지만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 것인지에 관해서 공론장 이론이 더 들려줄 수 있는 것이 남아 있을까? 이와 관련한 질문의 화살은 불가피하게도 공론장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지분을 차지하는 하버마스에게 돌아갈 수밖에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론장의 새로운 구조변동에 관한 하버마스의 최근 논의는 공론장을 고민하는 이들의 시선을 잡아끈다. 특히 하버마스의 신간 발간을전후로 유럽에서 북미에 이르는 글로벌 학계가 공론장에 관한 특별한 학술적 논쟁을 재개한 점은 더더욱 눈길을 사로잡는다. 하버마스 그리고 지금 시대의 공론장 이론가들은 공론장에 관한 어떤 새로운 통찰을 던지고 있는가? 이들의 논의를 통해서 공론장 이론은 다시금 민주주의 이론과 현실에 생명력을 불어넣을수 있을까? 미디어 연구자들에게 공론장 이론은 어떻게 재전망 되어야 하는가? 이 글은 하버마스가 공론장의 새로운 구조 변동이란 문제의식과 관련해서 내놓은 논의 및 그와 관련해서 최근 해외 학계가 내놓은 초기 반응들을 압축적으로소개하고 이를 토대로 공론장 이론을 비판적으로 재점검한다. Is public sphere theory still useful in seeking communicative democracy? In modern society, voices calling for a public sphere are still hot, but is there still room for public sphere theory to be further explained? Questions related to this inevitably fall on the German philosopher Jürgen Habermas, who occupies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public sphere theory. In this context, Habermas’ recent discussion on new structural transformations of public sphere catches the attention of the contemporary theorists of public sphere. In particular, the fact that global academia from Europe to North America has resumed academic debates on the public sphere around the publication of Habermas’s new book catches the attention of public sphere theorists.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debate involving Habermas and contemporary public sphere theorists? Can Habermasian theory and model once again breathe life into democratic theory and reality? How can media researchers rethink public sphere theory? This article concisely introduces Habermas’s discussion on the problem of new structural changes in the public sphere and the initial responses provided by overseas academics to Habermas, and critically reexamines the present and future of public sphere theory.

      • KCI등재후보

        대항공론장의 구조에 관한 연구-넥트와 크루게의 이론을 중심으로

        윤영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tential and limitation for the production of counter public sphere in modern capitalism. Most contemporary conceptualizations of the public sphere are based on the ideas expressed in Jürgen Habermas' book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Strukturwandel der Öffentlichkeit: Untersuchungen zu einer Kategorie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In 'Public sphere and experience : toward an analysis of the bourgeois and proletarian public sphere (Öffentlichkeit und Erfahrung. Zur Organisationsanalyse von bürgerlicher und proletarischer Öffentlichkeit), Oskar Negt and Alexander Kluge criticize Habermas’ historical description of the public sphere, and confront it with "proletarian public sphere". They argue that the bourgeois public sphere was in fact constituted by a number of significant exclusions. They claim that the bourgeois public sphere discriminates against the proletarian class. On the contrary, it is the arena and eventually the power base of a stratum of the bourgeois as a universal class. Thus, they stipulate a hegemonic tendency of the bourgeois public sphere, which dominated at the cost of alternative publics, thereby averting other groups from articulating their particular concern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counter public sphere, this study tried to review the public sphere theory of Negt & Kluge. The public sphere is regarded in accordance as an institution of the civil society with its normative characteristics. The public sphere is no power-free space, but the social space is characterized by hierarchy and struggle. The emancipator potential of the public sphere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also in the discussion around new media that it is accepted. In this sense, the public sphere is not the opposite, but firm component of power.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민주적 발전을 위한 ‘진정한’ 공론장의 형성, 그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가, 그 구체적 형태로서 지배적 공론장에 대항하는 대항공론장의 가능성과 그 조건은 무엇인가라는 기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했다. 즉 현대사회의 정치경제적 조건 속에서 대항공론장의 의미, 자본주의적 생산양식 하에서 형성될 수 있는 대항공론장의 구조와 성격, 그리고 그 한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했다. 이를 위한 접근은 이론적 수준에서 오스카 넥트(Oskar Negt)와 알렉산더 크루게(Alexander Kluge)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넥트와 크루게는 1972년 <공론장과 경험> 연구를 통해 프롤레타리아 공론장 개념을 중심으로 대항공론장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항공론장 개념 및 이론적 접근, 그리고 대항공론장의 구조와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넥트와 크루게에 의하면 공론장은 다양한 세력들에 의해 구성되며 다양한 세력들 간의 각축의 장이다. 이속에서 프롤레타리아 공론장은 대항공론장으로서 동시에 부분공론장으로 기능한다. 공론장의 원래적 기능에 따라 공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는 능력이 있다고 해서 공론장이 단일하게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론장은 다양한 분리선, 세력관계로 이루어진 사회적으로 조직된 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지배적 공론장과 대항공론장은 다양하고, 때론 겹치며 경쟁하는 영역들로 즉, 복수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 상호관계 역시 역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변증법적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한편 넥트와 크루게에 의하면 대항공론장의 형성, 그 가능성과 한계는 이중성을 지니고 있다. 경험과 상상력과 같은 인간의 의식이 자본주의적 생산양식 하에서 이중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프롤레타리아 공론장과 같은 대항공론장의 이론이 실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넥트와 크루게가 시도했던 유물론적 대항공론장 이론은 여전히 현대사회의 미디어와 공론장 분석을 위한 문제의식과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공론장 분석에 계급적 성격을 부여했다는 점과 아울러 넥트와 크루게의 대항공론장 이론은 경험을 강조함으로써 여러 미디어실천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언론운동, 퍼블릭 액세스, 미디어교육, 미디어운동 등은 역시 우리사회에서 우리사회의 민주주의와 관련하여 여전히 진행 중인 중요 문제이다. 넥트와 크루게의 이론은 이러한 문제들에 접근하는 또 하나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적지 않다.

      • KCI등재

        하버마스의 공영역론과 다원사회적 문제

        한길석 ( Gilse Ok Ha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4 시대와 철학 Vol.25 No.2

        이 논문은 하버마스의 토의민주적 공영역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시도한다. 하버마스는 현대 민주주의의 규범적 모델로서 토의민주주의 이론을 제시하면서 공영역의 정치적 기능에 대해 다시 한 번 주목하였다. 하버마스는기존 입장에서 공영역의 정치적 기능이 변질되었다고 주장하였으나 오늘에 와서는 정치적 공영역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하지만 토의민주적 관점에서 재조명된 정치적 공영역에 대한 이론적 해명은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조건 하에서 형성된 다원사회적 현실을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는다는 혐의를 품게 한다. 반면에 프레이저는 다원사회적 현실을 고려하면서 공영역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펼쳐나간다. 나는 프레이저의 입장을 받아들여 ‘강한 공영역’의 공론 형성 기능 못지않게 ‘약한 공영역’의 가치 이해의 역할이 현대 다원주의 사회 구성원 간의 민주적 연대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논구하고자 한다. Habermas, in his Faktizitat und Geltung (1992), tries to explicate his theory of public sphere based on the procedural model of deliberative democracy. He explains the structure of democratical constitutional states from a normative pointof view. Introducing the sluice-gate model of political public sphere, he clarifies the democratic procedure of constitutional states. However, Habermas` theory of public sphere is faced with the challenge of the postnational constellation and a pluralistic society. Problems of pluralism have been intensified with the spread of globalization. But Habermas` theory of political public sphere, as some critics say, is not fully able to handle the challenge. So Nancy Fraser suggests that Habermas` theory of political public sphere should be rethought. As she has said, Habermas` theory of political public sphere has to be rethought under the condition of pluralism. However, I think that the task is not confined to there thinking of political public sphere. In my view, the problem needs to be approached on two levels: the political and the cultural. For the contemporary political problems are caused by the change of culture in the postnational constellation with a pluralism. Taking political problems of a pluralistic society seriously, we should begin to research the structure of public communication networks in postmodern culture. For the political problems in a postnational pluralistic society reflect the cultural transformation in the age of postnational pluralism. For that reason, I suggest that we inquire a cultural public sphere in a postnational pluralistic society. This may lead us to study about “postmodern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But my dissertation does not deal with the issue. In the final analysis, I only aim to argue about two matters: the one is to explain how serious political problems which Habermas` theory of political public sphere encounters are. The other concerns the question whether the theory is able to solve the problem adequately. First of all, I try to explain Habermas` theory of modern public sphere. In the second, I plan to explicate his new theory of political public sphere based on the procedural model of deliberative democracy. Then I propose that Habermas` theory of publicsphere be rethought for the challenge of pluralistic society. In the process, I will introduce Nancy Fraser`s critical opinion to Habermas` theory of political public sphere. Finally, I will suggest that we should research not only the structure of political public sphere but also that of cultural public spherein the era of pluralistic society.

      • KCI등재

        공영역의 신구조변동? - 성찰과 제안 -

        한길석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3 시대와 철학 Vol.34 No.3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Habermas’s perspectives on the digital public sphere presented in his article “Reflections and Hypotheses on a Further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olitical Public Sphere(2021)”. In his article, Habermas posits that the empirical reality of the contemporary digital public sphere does not readily contribute to deliberative democracy. According to him, the digitally mediated public sphere lacks the editorial function and journalistic responsibility. This absence hampers the evolution of information, knowledge, and opinions exchanged within the digital public sphere into public opinion. Consequently, its contribution to deliberative democracy is deemed limited. But is this truly the case? Is the modern public sphere indeed undergoing a distortion detrimental to the normativity of democracy due to the influence of digital media? In this article, I aim to scrutinize whether the modern public sphere, which is being shaped predominantly by digital media, can truly be identified as a factor undermining the normativity of democracy. Habermas identifies several problematic phenomena in the digital public sphere, including fragmentation, polarization, the absence of editorial function, and digital governance. To address these issues, he contends that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 cultivating the learning capacity of participants in the digital public sphere, enabling them to mature into responsible authors. Furthermore, he emphasizes that legal measures to regulate platform companies should be pursu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itutional imperative to ensure the robust continuity of constitutional democracy. Unfortunately, his critical evaluations and alternatives to the digital public sphere are not thoroughly examined within the framework of structural inquiry; instead, they are addressed primarily from a standpoint of cultural criticism. Habermas' concern that the fragmented and polarized nature of political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public sphere leads to an de-democratic political culture and hinders democratic integration is excessive. There is no need to undervalue the democratic potential of the digital public sphere due to excessive concerns about certain side effects. What is required is a thorough analysis of the power dynamics, logics of domination, and control structures that have emerged in the digital age.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attempt a theoretical reconstruction of the democratic potential inherent in the nascent public sphere emerging in the digital environment.

      • KCI등재

        신자유주의 시대 공영방송의 위기와 공공영역의 변화

        이상훈(Sang-Hoon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7 No.1

        신자유주의하에서의 공공영역은 소비자로서의 개인에 기반을 둔 시장과 상품의 교환 가치가 지배하고, 새로운 기술혁명과 함께 자본의 권력에 잠식당하고 있다. 이러한 공공영역은 동시에 사적 정치 권력화하는 공권력에 점점 더 종속되고 또 될 수밖에 없는 미디어 공공영역으로 대표된다. 이성의 사적 사용은 신자유주의에서는 구조적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개인들 간의 관계에서도 명확하지 않고 모호한 그런 관계가 체제 내부에서 행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이성의 사적 사용이 일반화되는 경향, 즉 특수한 동질적이며 내적 제도적 질서 속에서 행해지는 이성의 사적 사용이 지배적인 공간을 어떻게 공공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가? 그래서 이성의 공적 사용이 제한 없이 자유롭게 가능한 새로운 보편성의 공간으로서의 공공영역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다. 다양한 사적 이익이 공존하는 보다 현실적 차원에서 새롭게 구축 가능한 공공영역 으로서 프롤레타리아 공공영역을 상정해 본다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프롤레타리아 공공영역은 어떤 성격을 지니는가? 이 프롤레타리아 공공영역에서 과연 공공적 커뮤니티의 형성과 구성이 가능한가? 어떤 측면에서 프롤레타리아 공공영역이 공적 영역으로서 특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는가? 그것은 프롤레타리아의 특성인가? 아니면 이데올로기적 특성인가? 프롤레타리아 공공영역이 구성할 수 있는 커뮤니티의 성격은 무엇이며 그 커뮤니티의 해방적 힘은 무엇인가? 권력은 안정적이거나 정태적이지 않다. 오히려 일상생활의 다양한 국면에서 개조된다. 그러니 부르주아 공공영역이 아닌 대안적 공공영역으로서, 그 가능성의 하나로서 현실의 기술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공공영역, 프롤레타리아 공공영역을 상정하는 것이다. 이 같은 새로운 공공영역은 다양한 헤게모니 표상의 장이 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보편적인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미 이러한 변화는 시작되고 있음을 우리는 알 수 있다. In neo-liberalism, the change-value of the market and of the machandise based on the individual as the consumer dominate the public sphere, and the capital power encroach on it. with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At the same time the public sphere as such represent the media sphere, which is more and more subordinate, and have no choice but to do to the governmental authority having political power privatized. The private usage of reason in the public sphere is carried out at the structual level. How can we call such a space in which the private usage of reason is generalized and dominant as the public sphere? And so now, we sound out the possibility of the public sphere such as a new space of the universality where the public usage of reason can be realized without any limits and with free. So, when we imagine the proletarian public sphere, in which co-exist the divers private interests, as a new public sphere capable to be constructed, we can address a question as follow. What is the caracteristic of the proletarian public sphere in modern society?, Is the public community able to be formed and realized in such space? How would have the proletarian public sphere the carateristics of the publis sphere? What is the attribute of the community that the proletarian public sphere would make, and what is its force of emancipation? The power is no longer stable and static. Rather, it is reconstructed and reorganized in the divers phases of the everyday life. It is the reason why we put on the order of the day the proletarian public sphere as alternative public space, which would be a place of divers hegemonic representation. And now, we are aware of the beginning of thses changes.

      • KCI등재

        대항공론장의 구조에 관한 연구-넥트와 크루게의 이론을 중심으로

        윤영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5 No.-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민주적 발전을 위한 ‘진정한’ 공론장의 형성, 그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가, 그 구체적 형태로서 지배적 공론장에 대항하는 대항공론장의 가능성과 그 조건은 무엇인가라는 기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했다. 즉 현대사회의 정치경제적 조건 속에서 대항공론장의 의미, 자본주의적 생산양식 하에서 형성될 수 있는 대항공론장의 구조와 성격, 그리고 그 한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했다. 이를 위한 접근은 이론적 수준에서 오스카 넥트(Oskar Negt)와 알렉산더 크루게(Alexander Kluge)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넥트와 크루게는 1972년 <공론장과 경험> 연구를 통해 프롤레타리아 공론장 개념을 중심으로 대항공론장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항공론장 개념 및 이론적 접근, 그리고 대항공론장의 구조와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넥트와 크루게에 의하면 공론장은 다양한 세력들에 의해 구성되며 다양한 세력들 간의 각축의 장이다. 이속에서 프롤레타리아 공론장은 대항공론장으로서 동시에 부분공론장으로 기능한다. 공론장의 원래적 기능에 따라 공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는 능력이 있다고 해서 공론장이 단일하게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론장은 다양한 분리선, 세력관계로 이루어진 사회적으로 조직된 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지배적 공론장과 대항공론장은 다양하고, 때론 겹치며 경쟁하는 영역들로 즉, 복수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 상호관계 역시 역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변증법적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한편 넥트와 크루게에 의하면 대항공론장의 형성, 그 가능성과 한계는 이중성을 지니고 있다. 경험과 상상력과 같은 인간의 의식이 자본주의적 생산양식 하에서 이중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프롤레타리아 공론장과 같은 대항공론장의 이론이 실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넥트와 크루게가 시도했던 유물론적 대항공론장 이론은 여전히 현대사회의 미디어와 공론장 분석을 위한 문제의식과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공론장 분석에 계급적 성격을 부여했다는 점과 아울러 넥트와 크루게의 대항공론장 이론은 경험을 강조함으로써 여러 미디어실천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언론운동, 퍼블릭 액세스, 미디어교육, 미디어운동 등은 역시 우리사회에서 우리사회의 민주주의와 관련하여 여전히 진행 중인 중요 문제이다. 넥트와 크루게의 이론은 이러한 문제들에 접근하는 또 하나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적지 않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tential and limitation for the production of counter public sphere in modern capitalism. Most contemporary conceptualizations of the public sphere are based on the ideas expressed in Jürgen Habermas' book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Strukturwandel der Öffentlichkeit: Untersuchungen zu einer Kategorie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In 'Public sphere and experience : toward an analysis of the bourgeois and proletarian public sphere (Öffentlichkeit und Erfahrung. Zur Organisationsanalyse von bürgerlicher und proletarischer Öffentlichkeit), Oskar Negt and Alexander Kluge criticize Habermas’ historical description of the public sphere, and confront it with proletarian public sphere. They argue that the bourgeois public sphere was in fact constituted by a number of significant exclusions. They claim that the bourgeois public sphere discriminates against the proletarian class. On the contrary, it is the arena and eventually the power base of a stratum of the bourgeois as a universal class. Thus, they stipulate a hegemonic tendency of the bourgeois public sphere, which dominated at the cost of alternative publics, thereby averting other groups from articulating their particular concern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counter public sphere, this study tried to review the public sphere theory of Negt & Kluge. The public sphere is regarded in accordance as an institution of the civil society with its normative characteristics. The public sphere is no power-free space, but the social space is characterized by hierarchy and struggle. The emancipator potential of the public sphere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also in the discussion around new media that it is accepted. In this sense, the public sphere is not the opposite, but firm component of power.

      • KCI등재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과 유교적 공론

        윤형식(Yun, Hyong-Si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6

        김상준은 조선 후기 공론정치를 유교적 공론장으로 파악하면서 이를 유교적 근대의 한 증거로 제시한다. 이 글은 조선 후기 공론정치를 하버마스가 제시한 공론장으로 규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것을 유교적 근대의 증거로 제시하는 것이 불가하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을 분석하여 그 핵심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공론장은 이념형적인 일반 개념이 아니라 서구 근대의 산물로서 서구근대와 분리 불가능하며 전제하는 바가 많은 역사적 개념이다. 그것은 의사소통적 합리성의 관철에 대한 규범적 기대와 자유주의 정치문화 그리고 사회적 갈등의 민주적 해소를 보장하는 민주적 법치국가를 전제한다. 나아가 공론장은 일반적 이해가능성을 그 본질적 특징으로 가지며, 공중의 공급원이자 공론장의 의제가 감지되고 발굴되는 자율적인 사적 영역을 상보적으로 요구한다. 그리고 끝으로 공론장은 오늘날에도 그 존속 여부가 우려될 정도로 본질적으로 매우 취약하다. 이 취약성은 공론장 개념을 형식적으로 유사한 임의의 역사적 상황에 적용시킬 수 없다는 점을 보다 명확히 드러내준다. 이렇게 밝혀낸 하버마스 공론장 개념의 핵심 내용을 바탕으로 이 글은 유교적 공론은 실체론적 개념으로서 하버마스가 상정하는 형식적 공론 개념과는 다르며, 현실의 정치투쟁에서 헤게모니 쟁취를 위한 하나의 실천적 수단 개념의 성격이 두드러진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붕당정치 내지 공론정치는 − 어쩌면 그것이 가질 세계사적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의 적용이 불가함을 밝힌다. SangJun Kim regards in his book Sweat of Mencius, Blood of the Sacred Kings the Gongnon politic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Confucian public sphere and presents it as an evidence for the socalled Confucian modernity. This paper tries to show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define the Gongnon politics of the aforementioned period as the public sphere presented by J. Habermas and that it is therefore not acceptable to present it as an evidence for the Confucian modernity. For this purpose the main contents of Habermas"s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will be presented at first as follows. His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is not a general concept like a Weberian Idealtypus, but a historical concept which is not detachable from its origin, the modern Western Europe and therefore has many presuppositions to be satisfied for its realization. It presupposes above all a normative expectation of the realization of the communicative rationality, the liberal political culture and the democratic Rechtsstaat which guarantees the democratic modes of solving the social conflicts. Furthermore it is set on the general understandability of the everyday practices of communication and requires an autonomous private sphere complementarily which supplies the members of the public and where the would-be issues of the public sphere are noticed and articulated at first. Finally the public sphere is so vulnerable in its essence that it is worried even today in the Western Europe about its sustainability. The vulnerability of the public sphere shows emphatically that Habermas"s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should not be applied to any historical circumstances resembling some appearances of the Western European bourgeois public sphere. Based upon this analysis of the main contents of Habermas"s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it will be showed that the neo-Confucian concept of Gongnon as a substantialist one differs from the formal concept of the public opinion supposed by J. Habermas and that it stands out as a rather practical means of political struggles for the hegemony in the Realpolitik. It follows from this comparative analysis that Habermas"s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is not applicable to the Confucian faction politics or Gongnon politics of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공론장으로서의 다큐멘터리 영화와 그 구조변동으로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

        계운경 ( Ghe Woon-gyoung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9 아시아영화연구 Vol.12 No.1

        이 논문은 공론장으로서의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에 이르는 전개양상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기능에 대해 논의한다. 논의는 여섯 단계로 나눈다. 첫째, 하버마스의 공론장과 대중매체로의 전화(轉化), 둘째, 대중(mass)과 공중(public) 사이의 영화관객, 셋째, 공론장으로서 다큐멘터리 영화의 계보, 넷째, 정체성의 정치학과 사적 다큐멘터리, 다섯째, 인터넷 공론장, 여섯째, 공론장의 구조변동으로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다. 다큐멘터리 영화를 공론장과 연결시키고자 하는 것은, 다큐멘터리 영화가 공적영역의 문제를 제시하여 관객의 참여를 독려함으로써 정치ㆍ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공론장의 목표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다큐멘터리 영화에 이어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는 21세기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의 정치적 행위가 수행되는 공적영역으로서 공론장의 역할을 계승한다. 지금까지 발표되고 있는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를 보더라도 오락성이나 미학성보다는 공공재로서 기능이 강화되어 있다. 이것은 공론장으로서 다큐멘터리 영화의 연장선상에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가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al aspect from the documentary to the interactive documentary as the public sphere, and discusses the features and functions that appear in the process. The discussion is divided into six stages as follows: first, Habermas's public sphere and changes, second, audiences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the public, third, a genealogy of documentary as the public sphere, forth, politics of identity and personal documentary, fifth, the internet public sphere, sixth, the interactive documentary as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It is because the documentary corresponds with a goal of the public sphere inducing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by encouraging involvement, presenting problem in the public domain that the documentary is combined with the public sphere. To combine the documentary with the public sphere is because the documentary corresponds the goal of the public sphere, which aims to bring political and social change through encouraging participation by presenting problems in a public domain. The interactive documentary following the documentary plays a key role to the public sphere as a public domain, which performs political activities of the 21st century digital technology era. The interactive documentaries, which have been released so far, have enhanced their function as public goods rather than entertainment and aesthetics. This means that the interactive documentary is located on the extension of the documentary as the public sphere.

      • KCI등재

        공론장-미디어 관계의 유형화

        조항제(Hang-Je Cho),박홍원(Hong-Won Park) 한국언론정보학회 201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0 No.2

        이성에 입각한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토론의 중요성을 강조한 하버마스의 공론장론은 숙의민주주의라는 민주주의의 새로운 이념형을 제시하면서 근대를 복원했다는 찬사를 받았다. 그러나 이후 공론장론은 많은 비판을 받았고, 이에 대응해 반비판도 제기되면서 공론장론의 지평은 확대되어 왔다. 특히 공론장이 정치를 공적, 제도적 담론에 치우치게 함으로써 우리의 일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적, 감성적 측면을 배제하는 데 기여했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공론장론에 대한 논의는 더욱 활발히 이루어졌는데, 감성적 공론장, 미학적 공론장, 표현적 공론장 등은 이러한 인식을 반영한 개념들이다. 이 글은 지금까지 이루어진 이러한 공론장 논의를 분석적으로 해부하고 향후 이론적 발전을 위해 유형화를 시도했다. 이 글에서는 공/사적, 이성적/감성적 두 개의 기준을 사용해 기존의 공론장을 ‘정치적 공론장’, ‘대중주의’, ‘차이다원주의’, ‘친밀/프라이버시’ 등의 네 유형으로 나누고 각 유형의 특징과 의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했다. 그리고 이들 서로 다른 유형의 공론장을 매개하고 조정하는 메타공론장 영역으로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을 설정하고 그 가능성 및 함의를 제시했다. The theoretical scope of the public sphere has been dramatically expanded as a result of new academic inquiries into the nature of the political and the public in contemporary societies. While appreciating the value of the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for understanding democratic roles of the media, scholars began to raise questions on Habermasians' exclusive focus on news and public affairs programs, arguing that various entertainment programs also can invoke political deliberation. Terms like affective public sphere, emotional public sphere, aesthetic public sphere, expressive public sphere were used to capture this new conception. To comprehe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conceptual expansion of the public sphere for media studie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typology of media-public sphere relationships. By using public-private and rational-emotional axes as two criteria for classification, we created four prototypes of the public sphere (i.e., political public sphere, populism, difference pluralism, and intimacy/privacy)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fter setting out media communication as a form of meta-public sphere that mediates and coordinates the four different types of the public sphere, we presented public service broadcasting as an exemplar meta-public spher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of multiple social antagonisms and differences.

      • KCI등재

        기획: 동과 서의 실천적 지식인 - 사회인문학의 자원과 갈래 : 아렌트, 하버마스, 성찰적 공공성: 사회인문학적 고찰

        박영도 ( Young Do Park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1 동방학지 Vol.155 No.-

        아렌트와 하버마스는 시장 중심의 자유주의적 공공성과 국가 중심의 관료적 공공성과 구별되는, 시민적 연대성에서 출발하는 민주적 공공성 개념을 발전시킨 대표적 이론가들이다. 이 글의 목적은 이들의 공공성 개념을 사회인문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성찰적 공공성 개념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 글의 기본관점은 아렌트의 경연적 공공성 개념이 두 방향에서 성찰적 공공성으로 변형 내지 확장될 수 있는데 비해, 하버마스의 담론적 공공성 개념은 그 중의 한 방향만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이 관점에서 출발하여 먼저, 아렌트가 다원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상호주관적 망이라는 순수한 내재성의 차원에서 제시한 경연적 공공성 개념의 특성을 제시할 것이다. 하버마스는 (아렌트의 경연적 공공성 개념이 거부하는) 합리성과 공공성의 연관을 복구함으로써 평등한 자유가 가능한 이성적 조건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답하고자 했는데, 여기서 우리는 성찰적 공공성이 갖는 성찰성의 첫 번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하버마스의 담론적 공공성은 언어 자체에 의해 배제되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았고, 이로써 또 소통적 자유의 제도화가 또 다른 자유의 침해를 가져온다는 소통적 자유의 역설에 직면한다. 이 역설을 벗어나기 위해선 두 번째 의미의 성찰성, 즉 공공성을 구성하는 언어 자체에 의해 배제되는 것에 대한 성찰성이 요구된다. 요컨대 공공성은 상호주관적 지평에서 출발하되, 정의의 관점과 이 정의의 관점 자체에 의해 배제되는 것의 전망 모두에 입각하여 비판적으로 조망될 필요가 있다. 공공성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전망의 한 특징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Hannah Arendt and Jurgen Habermas are regarded as the two most important theorists of the democratic public sphere based on civi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concept of the reflective public sphere through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ir concepts of the public sphere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Humanities. The paper first describ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rendt`s concept of the agonistic public sphere, which Habermas then critically transformed into the concept of the discursive public sphere. This concept is reflective in that it recov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ve) rationality and the public sphere which was rejected by Arendt. This transformed interpretation is now able to provide an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the rational social condition for all members of a society to enjoy equal freedom in its use-value without violence? We can find here the first sense of the word "reflective" of "the reflective public sphere." Habermas` discursive public sphere has, however, no conceptual device to answer the second reflective question: what is excluded by language itself that constitutes the discursive public sphere? This absence of the second sense of reflectivity results in the new paradox of freedom, whereb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mmunicative freedom gives rise to the structural destruction of the freedom of the excluded. To avoid this kind of paradox, the democratic public sphere must be reflective in both senses of the word mentioned ab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