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의 지방화’ 논제와 계몽주의적 보편주의 비판

        박치완(Tchi-Wan Park) 한국현상학회 2020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84 No.-

        미국이 기술-경제-군사력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심지어는 유럽도 국제사회에서 주변부 국가로 밀려나고 있다. J. 데리다는 이를 ‘유령의 지배’라고 비판하면서 「희망의 유럽(A Europe of Hope)」에서, 유럽은 계몽주의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을 되살려 ‘반세계화 투쟁’에 나설 때라고 호소한다. 하지만 데리다의 이와 같은 계몽주의적 꿈이 과연 인류를 위한 꿈이라 할 수 있을까? 이러한 의문은 그가 유럽을 “다른 인간 문화들 중의 하나의 본보기라거나 다른 지역 문화들 중의 하나의 지역 문화가 아니라 최상의 모델이자 최고의 문화”라고 주장하고 있기에 드는 생각이다. 데리다의 이와 같은 ‘극장의 우상’은 ‘유럽중심주의’라는 비판을 모면하기 힘들 것이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계몽주의적 유럽중심주의를, D. 차크라바르티의 『유럽을 지방화하기』를 중심으로 비판적인 논의를 해볼까 한다. 이 책에서 그는 서구유럽이 주도한 역사는 ‘보편적 역사’를 서술한 것이 아니라 서구유럽인만을 위한 ‘지방의 역사’, 즉 ‘특정 지역에 특화된 역사’의 서술일 뿐이라고 단정한다. 유럽은 보편주의의 산실이 아니라 특수주의의 온상이라는 것이다. 『유럽을 지방화하기』는 바로 이러한 유럽식 보편주의의 오남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보편주의의 재구성’에 도전한다. ‘재구성되어야 할 보편주의’는 로컬 지역들의 다양한 지식들, ‘위계없는 지식들’이 공존하는 새로운 세계를 꿈꾼다. 이런 까닭에 차크라바르티가 꿈꾸는 보편주의는 절대/상대, 중심/주변(지역)의 이분법적 논리 안에 유폐되지 않고 모든 지식이 하나의 생태학을 지향하게 된다. 이 기준에 따르면 ‘보편적인 것’은 어느 지역에나 존재한다. 모든 지역이 자신의 힘으로 스스로 서고, 스스로 근대화되는 것, 이것이 데리다의 유럽에 제한된 계몽과 구분되는 차크라바르티의 본래적 의미의 ‘계몽’이라 할 수 있다. As the United States took over the power of technology, economics, and military power, even Western Europe was pushed from the center to peripheral countries. J. Derrida, criticizing it as “domination of ghost”, in the 「A Europe of Hope」, makes an appeal that it is time to turn to “anti-globalization struggles” by reviving the legacy inherited from Enlightenment. But can we say that this kind of Enlightenment dream is the dream for mankind? The reason that this question is raised is because he is calling Western Europe as “not one example among the other human cultures or one local culture among the other local cultures but the best model and the best culture.” It would be hard for Derrida’s “Idol of the Theater” like this to escape critique of “Europeanism”. In this paper, we, centering on D. Chakrabartys Provincializing Europe, will discuss this Enlightenmental Europeanism critically, In this book, he argues the history led by Western Europe as being not a description of the “universal history” of humanity, but a description of “local history” only for Western Europeans, vis. “specialized history to a particular region”. Here is the paradox of universalism. Western Europe is not a breeding ground for universalism, but a hotbed for particularism. Provincializing Europe raises a question to this misuse of Western European universalism and challenges the reconstruction of universalism. Universalism which needs to be reconstructed dreams of a new world where various knowledges of locality and ‘non-hierarchical knowledges’ coexist. For this reason, Chakrabartys dream of universalism is not confined in the dichotomous logic of absolute / relative, central / peripheral (local), and all knowledge is directed towards an ecology. According to this criterion, ‘the universal’ exists in any region, viz. in any locality. That all locals stand by themselves and bloom by themselves, it is the Enlightenment which Chakrabarty intends originally, which results in distinctness from the concept of Enlightenment limited to Western Europe.

      • KCI등재

        글로벌 시대 한국 역사학의 해체와 재구성 :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 3분과 체제의 역사화를 위하여

        김기봉(KIM, Gi-Bong)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2

        한국 역사학은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의 3 분과 체제로 구성된다. 이 같은 3 분과 체제를 이식시킨 것은 일제 식민지배 권력이다. 따라서 식민사관으로부터 진정으로 탈피하기 위해서는 이 3 분과 체제를 해체하는 역사지식의 고고학을 통해 한국 역사학 체계를 재구성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일제 식민주의사관의 원류는 유럽중심주의다. 근대 역사학 자체가 유럽중심주의라는 기의를 내포하고 있는 ‘근대의 기호’로 만들어진 것이라면, 유럽중심주의 바깥에서 역사를 연구하고 서술한다는 것이 어떻게 가능할수 있는가? 이 같은 딜레마를 극복할 목적으로 차크라바르티는 ‘유럽의 지방화’의 방법론을 제시했다. ‘유럽의 지방화’란 유럽이라는 장소성을 부각시켜서 유럽중심주의를 해체하는 전략이다. 유럽중심주의가 근대라는 거대담론으로 비유럽이 가진‘공간의 차이’를 말살했다면, ‘유럽의 지방화’는 공간의 차이를 복원하는 ‘공간적 전회’를 시도한다. 문명의 소통과 교류는 공간적 차이를 전제로 한 번역으로 이뤄진다. 르고프는 “문명은 무엇보다도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다스리느냐에 의해 정의된다.”고 말했다. 21세기 한국의 역사학은 글로벌 시대라는 시간과 다문화사회라는 공간을 다스릴 수 있는 문명의 새로운 문법을 만들어내야만 하는 과제를 갖고 있다. 대륙 문명과 해양 문명이 난류와 한류처럼 만나는 한반도는 더 이상 세계사의 가장자리가 아니라 문명의 어장으로 부상할 수 있는 문명사적 장소에 위치해 있다. 한반도 통일은 단절된 대륙문명과 해양문명을 통합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한반도 통일 시대를 맞이하여 오늘의 한국 역사학은 대륙과 해양 문명의 허브로서 한반도의 ‘공간정신’을 구현하는 한국사의 ‘공간적 전회’를 해야 한다. 이 같은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선 한국 역사학은 먼저 식민사관 유산인 역사학 3 분과 체제부터 해체한 연후에, 문명의 교류와 융합을 주제로 해서 자국사와 세계사를 통합하여 재구성하는 황단적 역사 (traversal history)로서 ‘글로벌 한국사’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History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Korea is based upon the three-compartment system: National History, Oriental History and Western History. Such a classification of the historical studies in Korea was done on the foundation of Japanese colonialist legacy. In order to move on from Japanese colonialism, the historical studies in Korea should deconstruct the existing three-compartment system and reconstruct the historical studies corresponding to the global age. The Japanese colonialist view originated from Euro-centrism. With this relation in mind, we can ask the question: “how would it be possible to study history without Euro-centrism, if modern history presents itself as the 'symbol of modernity' signified by Euro-centrism?” As a way to overcome this dilemma, Dipesh Chakrabarty has presented “Provincializing Europe”, which is a method to go beyond Euro-centrism. "Provincializing Europe" is a strategy for deconstructing Euro-centrism by emphasizing Europe's locality. If Euro-centrism has exterminated “the difference of space” through the Modern as a grand narrative, “Provincializing Europe” attempts a "spatial turn” to restore “the difference of space”.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civilizations has been achieved by cultural translation based upon spatial difference. Le Goff said, “civilization is defined, above all, by how man governs time and space. In the 21st century, Koreans are facing the task of creating a new grammar of civilization that can govern the global age as well as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Korean peninsula where continental civilization and maritime civilization intersect like warm currents and cold currents is no longer at the edge of civilization, but is located in the ideal historical place to become a fishery of world civilization. The reunification of Korea implies the integration of the divided continental civilization and maritime civilization. In the days of the upcoming reunification, Korean history should make a spatial turn that realizes the spatial spiri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located at the hub of the continental civilization and maritime civiliz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ask, Korean historiography must, first of all, deconstruct the three-compartment system of history as a legacy of Japanese colonialism. Then, it must develop a 'Korean global history' model that traverses national history and world history in terms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al exchanges.

      • KCI등재

        마르크스 및 베버주의적 비교역사사회학에서 바라본 도시 개념: 유럽중심주의의 극복과 공간에 대한 새로운 접근

        유성희 한국공간환경학회 2022 공간과 사회 Vol.32 No.2

        In comparative historical sociology, categorized as a sub-discipline within sociology, urban studies have often been the subject of debate. This is due mainly to the lack of research on non-Western or premodern cities and Eurocentric perspective. In this study, I introduced the Marxist and Weberian approach, which were conducted under the name of (comparative) urban studies, and then showed their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drawbacks. Afterwards, as an alternative to Eurocentrism, I presented ‘provincializing Europe’, and ‘humaninistic reflection on the space.’ Indeed, as a strategy to make up for the lack of urban research in the non-Western and pre-modern ereas, I introduced ‘global urban dynamcis based on connected histories.’ Given that these alternatives enables us to use idiographic approach and thick descriptions of non-European and premodern cities and look at various aspects of in inter-city connectivity in a macroscopic and holistic contet, it will shed valuable light on the comparatitive urban studies. 사회학 내 하나의 하위 분과인 비교역사사회학에서 도시연구는 종종 논쟁의 대상이 되곤 했다. 이는 비교역사사회학이 가지고 있었던 유럽중심주의적 시각과 더불어 비서구지역 및 전근대 시기 도시연구의 부족 때문이었다. 본 연구에서 저자는 비교역사사회학에서 진행된 마크르주의주의적 접근방식, 베버주의적 접근방법을 각각 소개한 뒤, 이들이 가진 한계점을 제시했다. 이후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대안으로서 저자는 유럽을 지방화시키는 한편, 공간 자체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을 요청했다. 나아가 비서구 및 전근대 시기 도시연구의 부족을 메꾸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서 연결사에 기초한 글로벌한 도시 역동성을 제시했다. 이러한 대안들은 한편으로 비유럽도시들에 대한 개성사적 기술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다른 한편으로 다양한 도시 간 결합양태들을 거시적·총체적인 맥락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기존 비교역사사회학 내 도시연구들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지역-로컬 지식의 재건 운동과 지역세계화의 의미

        박치완 한국하이데거학회 2020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6

        "GLocalization" means that the local is globalized. It is distinct from the concepts of globalization or simple glocalization, the biggest difference being a desired shift in perception from the political and economic centers of power to locality-specific systems that operate under the rule of these powers. In this regard, GLocalization is both struggle for local awareness and a rights recovery movement; its goals lie in reconstructing and normalizing local knowledge. This normalization of local knowledge through GLocalization implies the relative repositioning of western European values that have hitherto dominated global knowledge systems by promoting their apparent universality and enlightenment. By relativizing these values, non-western European perspectives regain an inherent value in terms of their relative cultural diversity. As a result, the core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all knowledge is locality-based, especially in relation to subjective human knowledge as distinct from mathematical or scientific fields. This research explores issues by connecting GLocalization with decolonizing and provincializing western Europe. As we face a new era of imperialistic globalization, we argue that time should be taken to reflect on how and why it is important to think and act locally. ‘지역세계화’는 ‘지역이 세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세계화’나 ‘세계지역화’와는 확연히 구분되며, 양자 간의 가장 큰 차이는 정치·경제적 강대국 중심의 세계관을 이들 강대국의 지배나 통치를(과거나 또는 현재에도) 받고 있는 지역-로컬 국가 중심으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는 데 있다. 이런 점에 ‘지역세계화’는 일종의 지역-로컬의 (탈식민적) 인식 투쟁이자 권리회복 운동이라 할 수 있으며, 그 목표는 지역-로컬의 지식-권력-존재의 재건에 있다. 지역세계화를 통해 모든 지역-로컬 지식이 정상화된다는 것은 결국 ‘보편’, ‘계몽’을 앞세워 그동안 전 세계의 지식을 지배했던 서구유럽의 가치를 ‘서구유럽’이라는 지리 안에 상대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게 서구유럽에서 생산된 가치를 상대화시킴으로써 비서구유럽권의 가치 역시 문화다양성의 관점에서 고유의 상대적 가치를 회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이런 취지로 지역세계화를 ‘탈식민화’, ‘서구유럽의 지방화’와 같은 논제와 결부시켜 설명하게 될 것이며, 오늘날과 같은 탈지역-세계화 시대에 직면해 “지역-로컬적으로 사고하고, 지역-로컬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왜 그리고 얼마나 중요한지를 성찰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영화의 글로벌라이제이션(globalization)에 관한 시론적 연구-박찬욱과 봉준호의 재현전략을 중심으로-

        김상민 ( Kim Sangmin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1 사이 Vol.31 No.-

        칸과 아카데미 영화제에서 <기생충>(2019)이 거둔 전례 없는 수상실적은 한국영화의 급격한 위상변화를 예증하고 있다. <기생충>의 수상은 당시 ‘한국영화 100년’이라는 영화사적 이벤트와 맞물려 ‘한국영화 100년의 쾌거’로 자주 설명되었는데, 이러한 표현 안에는 세계영화의 장(field)으로 나아가려던 한국영화의 욕망과 그간의 노력이 함축되어 있다. 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 이 기념적 서사 안에는 균질하고 실체적인 ‘한국영화’가 일정한 발전과정을 거쳐, 비로소 어떤 성과에 도달했다는 역사주의적 관점이 주로 전제되어 있다는 점에서 재고의 여지가 있다. <기생충>에서는 한국영화의 성장이나 발전과 같은 연속성만이 아니라, 그 내부에 파생된 급진적인 변화나 단절들 역시 분석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1950년대 중반부터 국제영화제를 통해 세계성을 추구하려 했던 한국영화의 재현전략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해왔는데, 결정적인 변화는 2000년대 이후 박찬욱과 봉준호의 영화에서부터 관찰된다. 박찬욱과 봉준호는 세계성 추구를 위해, 전통적인 ‘내셔널 시네마’의 틀이나 정체성에 근거한 앞선 세대의 영화 만들기에서 벗어남은 물론 유럽-할리우드 중심주의에도 대항한다. 이들의 영화에서 ‘지역적인 것’은 민족/국민 국가의 하위단위로 종속되지 않고, ‘한국적인 것’에 대한 시각 지표로도 더 이상 기능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영화들에서는 ‘한국적인 것’은 삭제되거나 새롭게 재구성되는데, 이는 유럽과 할리우드 중심으로 구성된 전지구적 영화체제에서 유럽과 할리우드의 헤게모니에 맞서는 하나의 전략으로 선택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이 수행하는 다양한 재현전략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K-시네마’ 현상에서 주목해야 할 지점들을 살펴본다. The unprecedented award-winnings of Parasite(2019) at Cannes and Academy festivals exemplify the dramatic change in Korean cinema’s status. The award-winnings by Parasite was often described as a ‘successful feat of 100 years of Korean cinema’ in combination with the historical event of ‘100 Years of Korean Cinema’ at the time. These expressions connote the desire and efforts of Korean films to advance into the field of global cinema. However,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in this commemorative narrative as it mainly assumes that the homogeneous and substantive ‘Korean cinema’ has finally reached a certain outcome after going through a constant development process in a historical perspective. This is because, regarding Parasite, it is necessary to analyze not only continuous aspects such a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Korean cinema, but also the radical changes or disconnections derived from it. In fact, the representation strategy of Korean cinema, which had been seeking to globalize through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since the mid-1950s, has changed in various forms with time and the most notable change was observed since the 2000s in the films of Park Chan-wook and Bong Joon-ho. Park Chan-wook and Bong Joon-ho, in pursuit of globalization of Korean cinema, not only breaks away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filmmaking based on the frame or identity of the traditional ‘national cinema’, but also opposes Eurocentric and Hollywood-centered filmmaking. In their films, ‘locality’ is not a notion under the subunit of the nation state, and it no longer functions as a visual index for ‘Things Korean’. Rather, in these films, ‘Things Korean’ is either deleted or reconstructed. This was chosen as a strategy to counter the hegemony of Europe and Hollywood in the global cinema system centered on Europe and Hollywood. This study analyzes the various representation strategies they use and examines the aspects to notice in the ‘KCinema’ phenomenon.

      • KCI등재

        푸바오스(傅抱石)의 동유럽 탐방과 ‘사생(寫生)’에 관한 연구

        이희정(Lee Heeju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0 No.-

        푸바오스(傅抱石, 1906-1965)는 20세기 중반의 중국 수묵화가로서 전통의 바탕 위에 혁신을 시도한 입지적인 인물이다. 그는 중일전쟁 전·후의 정치적 격변기 속에서 전통의 중요성을 강조한 화가였을 뿐만 아니라 수묵화에 관한 다수의 저서와 논고를 집필한 미술사가이기도 하였다. 푸바오스 회화관의 형성과 작품세계의 변천 배경 에는 외국 유학과 국내외 탐방에서 얻어진 현장 예술 체험이 그 바탕을 이루고 있다. 본 논문은 푸바오스가 ‘사생(寫生)’을 실천하며 적극적으로 중국의 전통 수묵화에 도입한 과정을 1957년 동유럽의 탐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세 가지 주요 주제에 대하여 논하였다. 첫째는 푸바오스의 동유럽 탐방의 동기와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두 번째는 탐방에서의 사생을 통해 그가 제작한 작품들의 주제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세 번째는 동유럽 탐방을 마치고 귀국 후 푸바오스가 탐방에서의 사생 경험을 토대로 어떻게 중국 수묵화에 있어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구축에 공헌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푸바오스의 동유럽 탐방은 당시 사회주의 국가들이 문화·예술 교류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동유럽 탐방을 통한 푸바오스의 스케치 작업은 그의 치열한 사생정신의 결과물이었다. 동시에 당시 중국 정부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구현과 사생 장려 예술정책의 기조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였다. 동유럽 탐방기간 중 작업한 스케치들은 상대 국가의 탐방에 참여한 화가들과 초청국 화가들이 서로 공유하였다. 동유럽 탐방에서의 경험은 푸바오스에게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에 대한 예술적 영감을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들을 동유럽권에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 푸바오스는 이전부터 가졌던 사생에 대한 관심을 동유럽 탐방을 통해 구체화시켰다. 그는 1957년 5월 25일부터 8월 21일까지 대략 3개월의 동유럽 탐방기간 동안 총 49점의 작품을 제작하였고 63장의 스케치들을 남겼다. 동유럽 탐방을 통해 중국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구현에 공헌한 푸바오스의 예술적 성과와 의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푸바오스는 귀국 후 1960년부터 정부의 지원으로 장거리 단체 사생여행을 수행하였으며 다수의 수묵 산수화를 제작하였다. 1960년 9월 그가 이끈 장쑤성국화원(江蘇省國畵院)의 화가들과 수행한 2만 3천리 사생 여행 중 제작한 중국 수묵화는 새로운 사회주의 회화 장르로 자리매김하였다. 푸바오스와 그 일행들의 사생 실천은 스케치가 실제적인 본질을 전달하는 사회주의 회화의 주요한 수단임을 각인시켰으며 당국과 평론가들에 의해 ‘혁명적 사실주의’와 ‘혁명적 낭만주의’를 결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푸바오스는 사생에 대한 그의 회화관을 다수의 글과 저서로 남겼으며 중국 전통 수묵화의 혁신을 추구했던 그의 예술 사상은 오늘날 중국의 현대 수묵화가들에게 큰 예술적 영감을 제공하고 있다. Fu Baoshi(傅抱石, 1906-1965)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Chinese ink painters who made a constant effort to defend and revitalize Chinese painting in the mid-20th century. He was not only a painter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radition in the middle of the political and social turmoil, but also an art historian who wrote several books and articles on Chinese ink painting. The evolution in Fu Baoshi’s artistic ideas and paintings is based on his own artistic experience which was acquired from his study overseas and his visit to domestic regions and foreign countries. This paper aims to discover the way in which he practiced his ‘drawing from life’ and how he actively applied this artistic practice to Chinese traditional ink painting, with a special focus placed on his visit to Eastern Europe in 1957. Fu Baoshi visited Eastern Europe as part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xchanges which were being organized between socialist countries at that time. The sketch works he completed during the journey were the output of his inner passion for drawing from life, while also reflecting the Chinese government’s materialization of socialist realism and its art policy of promoting drawing from life. Fu Baoshi’s visit to Eastern Europe was not only an opportunity to provide him with artistic inspiration for socialist realism but also a chance to introduce his art works to Eastern European countries. Over a period of approximately three months from May 25 to August 21 in 1957, he produced a total of 49 art works and 63 sketches. The artistic achievement and historical meaning of Fu Baoshi’s journey through Eastern Europe made a huge contribution to the actualization of socialist realism in Chinese ink paintings. After returning to China, he embarked on a long-distance ‘23,000-li drawing-fromlife trip’ in September 1960 with support from the Chinese government. The Chinese ink paintings he produced on this trip together with painters from Jiangsu Provincial Chinese Painting Institute established a new genre of socialist painting in China. The practice of drawing from life led by Fu Baoshi implied that sketches were the principal means of socialist painting employed to convey the real nature of things to people. The practice was also praised by the Chinese government and critics at that time for combining ‘revolutionary realism’ and ‘revolutionary romanticism’. Fu Baoshi has left many writings and books on his views of drawing from life, and his artistic ideas which pursued innovation in Chinese traditional ink paintings have inspired many contemporary Chinese ink painters in various ways.

      • New Global History and the Challenge of Subaltern Studies ― Plea for a Global History from Below

        앙겔리카 에플레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3

        This article links together two conflicting approaches within the European andUS-American academic discipline of history: New Global History and SubalternStudies. New Global History aims to overcome Eurocentrism by focusing on thehistory of “Spaceship Earth” (Bruce Mazlish) instead of national histories. Byconfronting this suggestion with the criticism of the Subaltern Studies Group—mainly from Dipesh Chakrabarty and Gayatri Chakravorty Spivak—the articleshows the profound but hidden influence of Western historical thinking on NewGlobal History. It becomes obvious that New Global History has not succeeded inovercoming Eurocentrism due to its concentration on anonymous global structuresand its failure to include individual experiences. The Subaltern Studies’ approach tohistory, on the other hand, fails to grasp global structures. The article concludes witha plea for a “global history from below”. This global history from below ties in withthe challenge of Subaltern Studies and applies their criticism to global history. Whathistorians have to do is show how the local is formed globally and, at the same time,how the global is put together locally. The article assumes that this is only possiblewhen the historian discloses the “centrism” of his or her narration by making itexplicit—be it a “centrism” focusing on Europe, Asia, or whatever region in theworld.

      • KCI등재
      • KCI등재

        새로운 지구사와 서발턴 연구의 도전

        Angelika Eppl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3

        이 논문은 유럽과 미국의 역사학계에서 대립하는 두 접근법, 즉 새로운 지구사와 서발턴 연구를 결합시킨다. 새로운 지구사는 일국적 역사들이 아니라 “지구호”의 역사(브루스 매즐리쉬)에 초점을 맞추어 유럽중심주의를 극복하고자 한다. 이런 제안과 서발턴 연구그룹, 특히 디페쉬 차크라바티와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의 비판을 대면시켜 봄으로써, 본고는 서구의 역사적 사고가 새로운 지구사에 심대하면서도 눈에 보이지 않는 영향을 미쳤음을 지적한다. 새로운 지구사는 익명적인 전지구적 구조들에 집중한 나머지 개개의 경험들을 담지 못하여 유럽 중심주의를 제대로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명확해지고 있다. 반대로, 서발턴 연구의 접근법은 전지구적 구조들을 파악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고는 결론적으로 ‘아래로부터의 지구사’를 제안한다. 이 ‘아래로부터의 지구사’는 서발턴 연구의 도전과 맥을 같이 하며, 그들의 비판을 지구사에 적용한다. 역사가들이 해야 할 것은 어떻게 로컬적인 것이 전지구적으로 형성되는지, 동시에 어떻게 전지구적인 것이 로컬적으로 구성되는지를 설명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역사가들은 자신의 서사가 내포한 “중심주의”를, 유럽, 아시아, 세계 그 어느 지역에 초점을 맞춘 것이든, 명시화하여 드러내어야 한다. This article links together two conflicting approaches within the European and US-American academic discipline of history: New Global History and Subaltern Studies. New Global History aims to overcome Eurocentrism by focusing on the history of “Spaceship Earth” (Bruce Mazlish) instead of national histories. By confronting this suggestion with the criticism of the Subaltern Studies Group? mainly from Dipesh Chakrabarty and Gayatri Chakravorty Spivak?the article shows the profound but hidden influence of Western historical thinking on New Global History. It becomes obvious that New Global History has not succeeded in overcoming Eurocentrism due to its concentration on anonymous global structures and its failure to include individual experiences. The Subaltern Studies’ approach to history, on the other hand, fails to grasp global structures.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plea for a “global history from below”. This global history from below ties in with the challenge of Subaltern Studies and applies their criticism to global history. What historians have to do is show how the local is formed globally and, at the same time, how the global is put together locally. The article assumes that this is only possible when the historian discloses the “centrism” of his or her narration by making it explicit?be it a “centrism” focusing on Europe, Asia, or whatever region in the worl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