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프로테스탄트 정신과 한국민족 · 독립운동

        박용규(Yong Kyu Park) 신학지남사 2019 신학지남 Vol.86 No.4

        2019 is a historic year celeb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1919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Many papers have recently been presented and published highlighting the 1919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Various researches were actively conducted, including the participation of the 1919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each denomination and each region, and the linkage between the 1919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few articles have studied the spiritual and ideological origins of the 1919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istorically examine the Korean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the background of the 1919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relation to the spirit of the Protestant Reformation. Three principles of the Reformation; the Bible is the only standard of faith and practice, justification by faith, and the universal priesthood have a profound effect on the United Kingdom, the Scotland, and the New World. The predestinarian thought of the Reformers gave the Puritans a consciousness of the chosen people and became the ideological background for developing religious and civil liberties and political democracy in the New World. Protestant Puritans were the leaders of the American independence movement, and Presbyterians, Congregations, and Baptists participated directly in the American Independence War. The Presbyterian Church and the Congregational Church were also at the forefront of the school-founding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in their schools, religious and civil liberties and democratic thought based on the Protestant spirit blossomed. Born, raised, and educated in this background, they came to Korea as Protestant pioneer missionaries. Through the schools, churches, teachings, and lives of Protestant missionaries, the Protestant spirit was passed on to Koreans to provide the ideological soil for Korean national and independence movements. Thus, the Protestant spirit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rise of the Korean national and independence movements. That is also the case with 16 Protestant leaders among 33 national representative signers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1919) and 24 Protestant leaders from 48 national representatives.

      • KCI등재

        한국의 저항주기 궤적과 역사적 사회운동의 형성 -저항사건분석, 1960~1987

        홍성태 ( Sung Tai Hong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6 기억과 전망 Vol.0 No.34

        이 연구는 한국 민주화운동의 저항주기와 그 궤적을 실증적 차원에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저항사건분석의 연구방법을 동원해 다음의 세 가지 물음을 중점적으로 탐구한다. 첫째, 민주화운동의 퇴적층을 이룬 수많은 시위들이 시계열적 차원에서 어떤 형태의 저항주기 궤적을 형성했는가? 둘째, 공간적 차원에서 저항주기의 내적 구성은 어떠한가? 셋째, 주체적 차원에서 저항주기를 추동한 사회세력은 누구였는가?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민주화운동의 역사에서 저항주기를 주조한 집합적 저항의 동학에 더욱 입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민주화운동에 대한 분석적 연구는 상징의 해석과 재해석을 넘어 일련의 저항사건들로 이루어진 집합적 저항들의 거대한 퇴적층을 면밀하게 톺아보는 기초작업 위에서 재고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seeks to empirically assess the protest cycles and their trajectories in South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s. Utilizing protest event analysis,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dealt with. First, what type of protest cycles trajectories were formed by various protests that make up the layers of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trajectories of protest cycles are examined in terms of protest frequency, mobilization size and frame consistency. Second, how did the internal configurations of protest cycles in the spatial dimension; By looking at the regions of protests, geographical concentration and diffusion of protest cycles are reoriented empirically. Third, who were the main agents, social forces behind each protest cycles; Internal composition and the changes in the social forces participated in protest cycles are identified. Based on these inquiries, the dynamics of collective actions that formulated protest cycles in the history of democratization movement can be understood in a more embracive fashion. Empirical assessments on democratization movements are in dire need of reorientation. Going beyond the discourses of symbols and reinterpretations, the massive layers within them are to be revisited and analyzed.

      • KCI등재

        민주화 이후 노동자 저항의 궤적과 집합행동의 레퍼토리: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1987-2016

        유형근 ( Yoo Hyung-geu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7 산업노동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저항사건분석’의 방법론을 사용해 민주화 이후 30년간 울산지역 노동자 집합행동의 궤적과 그 양상에 대한 정밀한 지도를 그렸다. 이를 통해 얻어진 주요한 발견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동자 집합행동의 빈도와 규모, 요구와 표적의 측면에서 살펴본 울산지역 노동자 저항의 궤적은 기존의 노동체제론의 시기 구분과 유사한 모양새를 보였다. 특히 87년 노동체제의 해체가 가속화된 포스트-외환위기의 시기에 저항의 궤적은 그 이전과 크게 달라졌음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업종과 부문, 고용형태에 따라 노동자 저항행동의 시기별 분포의 조감도를 보면, 포스트-외환위기 시기에 노동운동 주체의 변화가 분명해지고 있었다. 그 변화는 제조업에서 비제조업으로,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1차 노동시장 종사자로부터 2차 노동시장 종사자로의 저항 주체의 이동으로 요약된다. 마지막으로, 집합행동 레퍼토리의 변동과 그 특징을 분석한 결과, 2000년대 중반 이후 ‘1987년 세대’의 노조운동과 ‘1998년 세대’의 노조운동 간에는 저항행동 패턴에서 차이가 분명해졌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울산지역 노동운동은 조직화 시기가 다르고, 업종과 부문 및 노동시장 지위에서 구별되며, 집합행동 레퍼토리에서 분명하게 차이가 나는 ‘두 개의 노조운동 세대’가 병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한국 노동운동의 세대교체와 관련하여 주요 발견점이 던지는 함의를 토론하면서 글을 맺는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regional labor movements for 30 years since democratization, using ‘protest events analysis’ methods based on data from workers’ protest events in Ulsan city.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 trajectories of the 30 years of labor protests are a similar shape to the period division of the Korean labor regime theory. Specially, the labor protests’ trajectories of the ‘post-Financial Crisis’ period has greatly changed since the past. Second, the diachronic distribution of labor protests shows that the change in the subject of labor protests has been evident during the period of ‘post-Financial Crisis.’ The changes are summed up as shifting from secondary to tertiary industry, or from regular to irregular workers. Third, analyz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repertoires of labor protests, this study shows that there has been also a distinct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protest actions between the union movement of the ‘1987-generation’ and that of the ‘1998-generation.’ While the former’s repertoires of protest have become increasingly moderate and modular, the transgressive repertoires of protest prevail among the latter’s collective actions. In conclusion, nowadays in Ulsan city, there coexist two generations of labor movements that differentiate between unionization periods, industrial sectors, labor market status, and the patterns of collective action.

      • KCI등재

        목포지역 3․1운동과 개신교: 목포양동교회․정명여학교․영흥학교의 만세시위 참여를 중심으로

        이재근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9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0 No.50

        Starting on April 8, 1919, the Mokpo March 1st Movement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Mokpo demonstrations were the part of the protests in South Jeolla Province with similar patterns. In other words, in the consideration of the patterns of demonstrations taking place across the country, the participation of religious people(Protestantism/Cheondogyo) and young people and students was notable. Particularly in South Jeolla Province, Protestants took an active part in the movements. Since Mokpo, which became an open port in 1897, was the first place in South Jeolla Province to start modern education by Protestant missionaries, it had two mission schools, Jeongmyeong Girls' School and Youngheung Boys' School's. Protestant students and graduates from these schools stood out in the demonstrations in Mokpo. Second, there were two main groups of protesters in Mokpo. One was Mokpo's youth demonstrators with no religious background, and the other was the Protestant demonstrators. They prepared separate residences and had separate protest spaces, but decided to hold protests in the same day. The Protestant student demonstrators were accompanied by Yangdong church members, but some of the protesters were affiliated to these different organizations at the same time. Third, the documents produced in Japan (February Eighth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 Seoul (March First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in Gwangju (“Chosun Independence Newspaper”) influenced the two groups of protesters in Mokpo. Fourth, there were four major demonstrations in Mokpo. First was a brief demonstration that was held on March 20, 1919 by unidentified mass; a two-day demonstration between April 8-9, 1919; a short demonstration centered on Jeongmyeong Girls' School students in October 1919; and finally a demonstration by Jeongmyeong Girls' School and Yeongheung School students in time for the Washington conference in November 1921. Fifth, among all groups,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at Jeongmyeong Girls' School were the most active part in the demonstrations. Except for the first protest occurred March 20, 1919, the only group of protesters who participated in all three demonstrations was the girls of Jeongmyeong Girls' School. They were most confident and outspoken in the course of the trial, and the largest group of protesters who was sent to trial and was sentenced. Sixth, the protestants in Mokpo took for granted the combination of being a Christian and a patriot, the Christian faith and nationalism. They considered it a doctrinal mandate that the Creator gave every nation the right and the freedom to govern themselves. Seventh, the participation and support of missionaries in the Mokpo region did not stand out. Except for Gunsan, missionaries throughout the Honam region were not seen in the demonstrations. Perhaps the tragedy of the loss of two key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ies in a car accident in March 1919 at one time was a cause of the invisibleness of the missionaries. In addition, the principle of the ‘spirituality of the church, which declared the churches' absence of action in political matters, was a clue to this failure to act. However, the presence of ‘American' missionaries, including Daniel Cummings and Annabel Nisbet, principals of the two mission schools, and their ‘tacit permit' helped young students stage a bold march. 1919년 4월 8일에 시작된 목포 만세 시위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었다. 첫째, 목포 시위는 전남에서 일어난 시위 양상의 일부로서, 유사한 패턴을 지닌다. 즉,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시위를 종합할 때, 상대적으로 종교인(개신교/천도교)과 젊은 청년ㆍ학생들의 참여가 두드러졌는데, 전남은 특히 종교인 중에서도 개신교인의 참여가 눈에 띈 지방이었다. 목포는 1897년 개항과 함께 전남에서 가장 먼저 선교사에 의한 근대 교육이 시작된 곳이었기에, 두 남장로교 미션스쿨인 정명여학교와 영흥학교 재학생과 졸업생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둘째, 목포 시위는 크게 두 시위 주체가 있었다. 하나는 종교 배경이 없는 목포청년시위대였고, 다른 하나는 개신교인 시위대였다. 이들은 따로 거사를 준비했고, 시위 공간도 따로 가졌지만, 시위일은 공유한 특이한 구조를 가졌다. 이 개신교인 시위대에는 소속이 상호 교차하는 양동교회 교인과 두 미션스쿨 학생이 함께 했다. 셋째, 두 시위대 공히 일본(2·8독립선언서), 서울(3·1독립선언서), 광주(「조선독립광주신문」)에서 제작된 문건들의 영향을 받았다. 넷째, 목포 만세 시위는 크게 네 차례 일어났다. 1919년 3월 20일에 특정하기 어려운 군중이 일으켰다가 곧 해산한 시위, 1919년 4월 8-9일 양일간 일어난 시위, 1919년 10월에 정명여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짧게 일어난 시위, 1921년 11월에 위싱턴회의에 맞추어 정명여학교와 영흥학교 학생이 일으킨 시위였다. 다섯째, 모든 집단 중 여학생, 정명여학교 중고등학생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처음(1919년 3월 20일)을 제외하고, 세 차례 시위 모두에 참여한 집단은 정명여학교 여학생들이 유일했고, 재판 과정에서도 가장 당당하고 거침없는 결기를 보여주었으며, 재판에 회부되어 형벌을 받은 인원도 가장 많았다. 여섯째, 목포 개신교인은 신앙인이 되는 것과 애국자가 된다는 것, 즉 기독교 신앙과 민족주의의 결합을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이들은 창조주가 모든 민족에게 스스로 통치할 권리와 자유를 부여하셨다는 것을 교리적 당위로 여겼다. 일곱째, 목포 지역 시위에서 선교사들의 참여와 지원은 두드러지지 않았다. 군산을 제외하면, 호남 전역에서 선교사들의 활약은 눈에 띄지 않았다. 아마도 1919년 3월에 남장로교 한국선교회가 두 핵심 선교사를 교통사고로 한 번에 잃는 비극을 겪었던 것, 또한 남장로교 고유의 비정치적 ‘교회의 영성’ 교리가 원인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비록 적극적으로 개입하지는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인’ 선교사였던 영흥 교장 다니엘 커밍과 정명 교장 애나벨 니스벳의 존재와 ‘무언의 허용’이 영흥 및 정명학생들이 대담한 만세 시위를 펼치는 데 힘을 보탰다.

      • KCI등재

        Contentious Politics in Contemporary Russia: Protest Movement of 2011-2013

        ( Soo Heon Park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4 러시아연구 Vol.24 No.2

        이 논문은 2011년 말-2013년 동안 러시아의 항의운동(protest movement)을 ‘분쟁정치(contentious politics)’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논문은 러시아에서 정치적 항의운동의 발흥과 전개를 살핌으로써 러시아 정치에 있어서 새로운 동력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항의운동에 대한 푸틴정권의 다양한 대응 조치들을 검토한 후에 러시아 항의운동의 성과와 한계를 규명한다. 2011년 12월-2012년 5월 기간 동안에 러시아 항의운동은 높은 수준의 동원화 과정을 거쳤다. 푸틴 정권을 대상으로 한 일련의 항의 시위에 다수의 군중이 참여하였고, 기존 네트워크와 소셜 미디어를 통한 운동의 조직은 상당히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2년 5월 6일 시위 이후 항의운동은 탈동원화 과정을 거치면서 참가자 규모와 적극성의 점진적 감소 과정을 겪었다. 여기에는 항의운동의 내부 분열과 대도시 집중이라는 운동 자체의 문제점들과 함께, 푸틴 정권의 다양한 대응정책-특히 억압과 제약 조치-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러시아 사회가 대도시 주민과 그 외 지역으로 갈라지는 상황도 전반적으로 항의운동 지속에 불리한 배경을 이루었다. 러시아의 항의운동은 그것의 목적과 전략에 일정한 변화를 추구-점진적 정권 변화, 보다 구체적인 정치적, 경제적 요구 제시, 지역, 지방 수준으로 하향적 확장-함으로써 다시 활성화할 기회를 엿볼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recent protest movement in Russia from late 2011 to 2013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ious politics.” It evaluates the significance of the protest movement as new force in Russian politics by examining the rise and development of political protests in Russia. Then, on the basis of examining the diverse responses of the Putin regime, it tries to find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protest movement in Russian politics.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2011 to May 2012, the movement showed a high degree of mobilization. A large number of people actively participated in a series of protests targeting Putin and his regime, and the organization of the movement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networks and the use of social media was pretty fruitful. After the protest of May 6, 2012, however, the movement began to show a certain decline with decrease in the participant size and in the degree of excitement, undergoing a demobilization process. Both the movement’s own problems such as inner division and focus on big cities and the Kremlin’s diverse policies, in particular repressive and constraining measures, contributed to this decline. A big divide between the metropolitan urbanites and the rest of Russia provided a general atmosphere unfavorable to the protest movement. The protest movement in Russia could have chances of regalvanization by making certain changes regarding its basic goal and strategies in the direction of pursuing a gradual regime change, focusing on more specific political and economic demands, and extending to the regional and local levels.

      • KCI등재

        농촌지역 3.1운동 확산과 공간적⋅형태별 특성

        이송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4 No.-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anniversary of 3.1Movemen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created a “3.1. Movement Database” by compiling all the data that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produced on 3.1 Movement. This research utilized the data from this database to explo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3.1 Movement that took place in rural areas. In 1919, the 3.1 Movement took place in 212 Gun/county out of the total of 220 (96.4 percent), and 1,019 Myeon/township out of the total of 2,509 (40.6 percent). The movement took place in 289 traditional Gun, an administrative unit different from Gun of nowadays, out of the total of 317 (91.2 percent). 86.8 percent of the Myeon where county offices were based experienced 3.1 movement. In other words, more than 80 percent of the residents in the Korean peninsula participated in or experienced 3.1 movement. There is a trend in what kind of groups were in leadership of 3.1 movement in each region. The followers of Cheondogyo employed dioceses to distribute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organized protests around certain regions, which led to the emergence of ‘Cheondogyo belt’in PyeonganNam,buk-do/province, HamgyeongNam-do/province, Kangwon-do/province and JeollaBuk-do/province. Christians organized their movements around their churches in both urban and rural area, which means there was not a Regional trends of their movements. Student-led movements were spearheaded by elementary (primary) school students, and such movements played a keyrole in Gyoenggi-do and ChungcheongNam-do. The 3.1 Movement can be categorized by where each movement was initiated. The categories are marketplace protest, county office protest, and the hill-torch protest. Marketplace protest was strategically advantageous in spreading the movement to neighboring regions, and usually were large-scale movements. County office protests directly targeted the colonial government buildings such as the police office, county office and township office, which were often suppressed through physical violence. Violent protests rose against such suppressions. The hill-torch protests were initiated autonomously by the farmers in community units. This type of the movement enabled the participants to minimize the casualty rate while maximizing the efficacy of the delivering the message of resistance by using the torch on hill tops.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사편찬위원회는 조선총독부 각 기관이 생산한 3.1운동관련 자료를 총합하여 <삼일운동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본 연구는 이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농촌지역에서 발생한 3.1운동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1919년 식민지 조선의 행정구역은 13도 220군 2,509면이었다. 3.1운동은 전국 220개군 중 212개군(96.4%), 2,509개 면 중 1,019개 면(40.6%)에서 일어났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 조선의 행정구역은 13도 317군(‘옛군’)이었다. ‘옛군’ 단위로도 289개 군(91.2%)에서 3.1운동이 발생했다. 통폐합 이후 220개 군의 새로운 중심지가 된 군청소재지면의 3.1운동 발생 비율도 86.8%였다. 이는 한반도 거주 주민들의 80% 이상이 3.1운동의 발발과 그 내용 및 의의, 경찰⋅헌병의 탄압 양상도 공유하였다고 할 수 있다. 다음은 3.1운동 주도세력별 공간적 특성이다. 천도교는 교구를 활용한 독립선언서배포와 천도교도들의 조직적인 시위가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평안남북도, 함경남도, 강원도, 전라북도 지역에서 ‘천도교 벨트/존’이라 할 수 있는 천도교도들의조직적인 운동 참여가 있었다. 반면 기독교는 교회 중심으로 기독교도들의 참여가 이루어져 특정 지역성을 보이지 않는다. 평안남북도, 황해도, 경상북도 지역에서 기독교도의 주도 및 참여에 의한 3.1운동이 발생했다. 학생세력은 보통학교 학생이 참여했는데 특히 경기도와 충청남도 지역은 보통학교 학생시위가 군내 시위의 첫 시작이 되는경우도 많았다. 마지막으로 3.1운동 발생 공간의 형태에 따른 특성이다. 3.1운동의 발생공간으로주목되는 것은 장터(오일장)시위, 관청시위, 산상-봉화시위가 있다. 장터시위는 주변으로의 운동 확산에 유리했고, 대규모 시위인 경우가 많았다. 관청시위는 면사무소, 경찰(헌병)주재소 등 식민통치기관을 직접 타깃으로 하는 것으로 대응 폭력에 의한 폭력시위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산상-봉화시위는 시위참여자의 피해와 희생을 최소화하면서 독립과 식민지배 저항의 목소리를 지역민들에게 가장 잘 알릴 수 있는 공간으로 야간에 산 위에서 봉화를 활용하였다.

      • KCI등재

        6·3사태 이후 ‘광장정치’의 봉쇄 ― GIS기반 1960년대 서울 지역 민주화운동의 공간적 특성 변화 분석

        권혁은 역사문제연구소 2023 역사비평 Vol.- No.144

        Until now, studies of the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 have focused on identifying the dynamics of the movement’s agents, without analyzing how external conditions such as spatial structures and state responses intertwined with the movement’s various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 has tended to be depicted as a unidirectional process of development and the external conditions of the movement have been depicted as abstract and static. As an attempt to expand the study of democratization movements,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Seoul in the 1960s and its background through GIS research methodology.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GIS research methodology has been mainly used to analyze pre-modern period, administrative areas, geographical boundaries, and transportation routes, but the “3.1 Movement Database” (https://db.history.go.kr/samil) releas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n 2019 showed that GIS research methodology is a very useful tool for identify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Inspired by the “3.1 Movement Database”, this study organized all the raw data on the number of protest schools, protesters, and the furthest points on the way of protesters in 1960s in Seoul and displayed them on a basemap in the QGIS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in 1964, when martial law was declared, student protests mostly reached the city center, but from 1965 onwards, even though the scale of protests was larger and the protests last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e density of protests in the city center was significantly lower due to the police’s ‘school gate lockdown tactic’ using tear gas. In other words, this paper argues that the police’s newly developed riot control tactics, in addition to media control and public security incidents,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disappearance of ‘square politics’ after the June 3 incident. 지금까지 한국 민주화운동 연구는 운동 주체의 동력 규명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공간 구조나 국가의 대응과 같은 외부적 조건이 운동의 다양한 특성과 어떻게 얽혀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한국의 민주화운동은 ‘운동주체의 형성사’ 내지는 ‘발전·심화’ 일변도의 과정으로 그려지는 경향이 강했고, 운동의 외부적 조건은 추상적이며 정태적으로 그려지곤 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민주화운동 연구의 확장을 위한 하나의 시도로써, GIS 연구방법론을 통해 1960년대 서울 지역 민주화운동의 공간적 특성 변화와 그 배경을 분석한다. 그간 한국사 분야에서 GIS 연구방법론은 주로 전근대 지형·행정구역·지리경계·교통로 등의 복원 연구에 활용되었지만, 2019년 국사편찬위원회가 공개한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samil)는 GIS 연구방법론이 운동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에 영감을 받아 한일협정 반대운동과 6.8부정선거 반대운동, 삼선개헌 반대운동의 시위 학교와 시위 인원, 최대 진출지점에 관한 원데이터를 모두 정리한 뒤, 이를 QGIS프로그램의 베이스맵에 표시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계엄령이 선포된 1964년에는 학생시위가 대부분 도심까지 진출했지만, 1965년부터는 시위 규모가 더 크고 시위가 더 장기간 진행되었음에도 최루탄을 활용한 경찰의 ‘가두시위 봉쇄 전술’로 인해 도심 시위의 밀도가 현저히 낮아졌음을 보여주었다. 즉, 6·3사태 이후 ‘광장 정치’의 실종에는 언론통제나 공안사건 외에 경찰이 새롭게 개발한 진압 전술이 중요한 원인이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주장이다.

      • KCI등재

        경기·인천지역 만세시위의 확산 양상

        최우석(崔祐碩) 한국역사연구회 2019 역사와 현실 Vol.- No.113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the Manse(“Man-se, 萬歲”) Protests expanded in the Gyeonggi and Incheon area. Observation is made on several aspects: first-ever gatherings in each of all areas, the role the market place played in such protests, and how the size of the Japanese population living in the areas affected the protests. The Gyeong’gi province and the wider Incheon area today served as key areas in the March 1st movement, but they were curiously absent from the early protest coordinators’ plan (to spread the protest countrywide), so the Manse protests in the area began a little bit late than other regions. However, in the early phase of the March 1st movement, the students were instrumental in spreading the Manse protests inside the Gyeong’gi・Incheon area, and after March 20th the marketplaces served as a virtual mobile platform. Wherever makeshift markets were opened large-scale Manse protests ensued. In Gimpo, Yangpyeong, Paju, Suweon, Jangdan and Icheon, the protests literally trailed the marketplaces as they moved from one place to the next. Protests in marketplaces were much more fierce, and the response of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were also much harsher. Also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activeness (alongside size) of the March 1st protests in respective areas, and the size of Japanese population living in each of those areas. We can see that, in individual areas located throughout the Gyeong’gi・Incheon region, the less the size of Japanese population in the area was, the more the Manse protests tended to become fierce and active. Contrary to a previous notion which argued that areas which were pillaged by the Japanese more so than other areas were the ones that displayed much more fierce protests, strong resistance and protests seem to have been displayed in areas where local communities of Koreans remained relatively in tact. In future studies, regions other than Gyeong’gi and Incheon should be examined more as well, and as many country-wide variables as possibl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Only by doing so we would be able to have a more comprehensive and accurate historical review of the entire March 1st movement.

      • KCI등재

        상해판 『독립신문』 연재소설 「피눈물」에 나타난 3·1운동 형상화와 그 의미

        문일웅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6

        3·1운동 이후 중국 상하이는 한국 독립운동의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당시 중국 상하이 지역 한국인 사회의 여론 형성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했던 매체는 단연 상해판 『독립신문』이었다. 상해판 『독립신문』은 초창기 임시정부를 주도하던 안창호 계열 인사들이 창간한 매체였다. 따라서 상해판 『독립신문』은 임시정부 내 안창호 계열이 상하이 한국인 사회에서 자신들에게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고자 창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상해판 『독립신문』에 게재된 연재소설 「피눈물」을 통해 해당 소설의 작가 및 당대 상하이 지역 안창호 계열 인사를 위시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3·1운동 인식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소설 「피눈물」의 연재 양상과 서사의 특성에 대해 먼저 살펴보았다. 소설 연재 방식과 또 서사 전개에서 구사된 여러 문학적 기법, 그리고 소설의 내용적 측면을 분석함으로서 본 논문은 소설 「피눈물」의 작가가 대한민국임시정부 내 안창호 계열 인사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어서 본 논문은 소설 「피눈물」에 나타난 3·1운동 인식을 분석하였다. 소설 「피눈물」은 3·1운동의 여러 양상 가운데 유독 1919년 3월 5일 ‘학생단 시위’를 모티브로 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작가가 3·1운동 당시 학생들의 움직임에 강한 인상을 받았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소설 「피눈물」에 나타난 시위의 궁극적 목적은 일본 관헌의 야만적인 시위 탄압 행위를 전세계에 알려 한국의 독립을 쟁취한다는, 다분히 외교론적 독립론에 기반한 것이었다. 이는 작가가 3·1운동의 의의를 한국 독립에 유리한 외교적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었다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소설 「피눈물」은 여학생의 죽음을 중요하게 조명하며 프랑스의 잔 다르크 이미지를 오버랩시키고 있었던 이유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작가가 3·1운동을 통해 독립운동에 있어서 여성의 존재를 자각하였으며 또 여성의 죽음은 단순한 삶의 종말이 아닌 한국의 독립이라는, 신생과 개조를 예고하는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끝으로 본 논문은 소설 「피눈물」의 3·1운동 인식이 비단 작가 개인의 것이 아닌 상해판 『독립신문』을 위시한 초창기 대한민국임시정부를 관류하는 3·1운동 인식에 기반한 것이었다는 것을 밝히고자 했다. 소설 「피눈물」이 연재를 시작할 무렵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안창호를 중심으로 ‘제2회 독립시위운동’을 준비하고 있었다. ‘제2회 독립시위운동’ 당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도가 온전히 관철된 시위는 평양 시위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제2회 독립시위운동’을 3·1운동과 유사하게 전개시켜나가고자 했다. 평양 시위의 전개 양상은 소설 「피눈물」의 내용과 상당히 겹쳤다. 이는 소설 「피눈물」에 나타난 3·1운동 인식이 초창기 대한민국임시정부를 관류하던 3·1운동 인식에 기반한 것임을 방증한다. Since the March 1st Movement, Shanghai has emerged as the center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 Shanghai version of “Tongnip Sinmun” Newspaper(상해판 『독립신문』)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of Korean society in Shanghai, China at that time. The Shanghai version of “Tongnip Sinmun” was a medium created by members of the Ahn Changho group who led the early interim government. Therefore, the Shanghai version of “Tongnip Sinmun” can be considered as the foundation of the creation of favorable public opinion of Korean society in Shanghai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by the members of the Ahn Changho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hich respected members of the Ahn Changho group, through the serial novel ‘Tears of blood’(「피눈물」) published as the Shanghai version “Tongnip Sinmun”. The series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of ‘Tears of blood’ were examined for this purpose. By analyzing the series aspect, various literary techniques used in narrative development, and the contents of novels, this paper has revealed that the writer of the novel ‘Tears of blood’ is likely to be one of members of the Ahn Changho group in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d the percept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presented in the novel ‘Tears of blood’. The novel ‘Tears of blood’ used the ‘student’s protest’ on March 5, 1919, among the various aspects of the March 1st Movement, as a motif. Through this,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writer was impressed by the movement of students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Also, the ultimate goal of the protest in the novel ‘Tears of blood’ was based on the diplomatic independence theory to seek the independence of Korea by informing the world about the brutal crackdown against protests by the Japanese authorities. This was circumstantial evidence to prove that the writer considered the March 1st Movement’s significance in creating a favorable diplomatic environment for Korean independence. Lastly, this paper intended to clarify the reason why the novel ‘Tears of blood’ juxtaposed the image of the French heroine Joan of Arc with an emphasis on the death of the female student. This meant that the writer was aware of the existence of women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March 1st Movement, and to emphasize that the death of the women was not simply the end of her life, but an image of the regeneration and metamorphosis of Korea into an independent Korea. Lastly, this paper intended to reveal that percept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in the Shanghai version “Tongnip Sinmun” of the novel ‘Tears of blood’ was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early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rather than personal perception. At the beginning of the publication of ‘Tears of blood’,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as preparing for the ‘2nd independence protest’ centered on Ahn Changho. At the time of the ‘2nd independence protest’, the Pyongyang protest was the one that carried the intent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sought to implement the ‘2nd independence protest’ as similar to the March 1st Movement. The development aspect of the Pyongyang protest overlapped the contents of the novel ‘Tears of blood’. This provides the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the perception of March 1st Movement in the novel ‘Tears of blood’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was implemented in the early period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 KCI등재

        민주화 이후 필리핀 사회운동의 변화

        박승우(Seung Woo Park) 한국아시아학회 2009 아시아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1986년 민주화 이후 필리핀의 사회운동이 어떠한 변화를 보여 왔는지를 분석하고 평가하려는 것이다. 1986년 이후 필리핀은 아시아에서 시민사회가 가장 발달한 나라로 평가받을 만큼 사회운동과 시민사회가 비약적인 발전을 해 왔다. 사회운동조직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고, 환경운동, 여성운동, 평화운동 등 여러 다양한 새로운 사회운동이 등장하는 등 필리핀의 사회운동은 양적으로도 큰 성장을 보였고 질적으로도 큰 발전을 보였다. 반면에 반독재 민주화 투쟁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저항운동은 점차 그 열기가 식으면서 침체되어 갔으며, 이들 저항운동을 이끌던 진보적 사회운동세력은 균열되면서 원심력적 분화를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민주화 이후 필리핀의 사회운동이 한편으로는 다양화되고 발전하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분열과 침체를 겪는 과정을 `분화`와 `정치적 기회구조`, 두 분석틀을 활용해 설명하였다. 우선 민주화 이후 필리핀 사회운동의 분화 과정을 `다변화`와 `분열`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되, 새로운 시민운동은 다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전통적 저항운동은 그 분열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둘째, 민주화 이후 최근까지 시민운동이 활성화되고 그 반면에 전통적인 저항적 사회운동이 침체하게 된 원인을 `정체의 개방성`, `국가의 억압 성향과 그 능력`, `엘리트 동맹세력의 존재 여부`, 그리고 `사회운동을 위한 글로벌 환경` 등 네 가지 정치적 기회구조의 차이로 설명하였다. 특히 민주화 이후 정치체제의 개방성, 진보진영에 대한 국가 및 극우세력의 억압, 교회 등 엘리트 집단의 보수화 등은 진보적 저항운동에 불리한 기회구조로 작용했다. 그리고 1990년대 이후 환경운동 등 시민운동이 전 세계적인 규모로 발전해 왔다는 사실과 이러한 새로운 시민운동에 대한 서구 선진국으로부터의 재정적 지원이 급증하고 있다는 사실 등, 사회운동을 둘러싼 글로벌 환경의 변화는 필리핀의 시민운동을 위해서는 양호한 기회구조가 되었지만, 이러한 외부 자원으로부터 소외되게 된 진보적 저항운동으로서는 불리한 기회구조로 작용했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social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since the democratic transition in 1986. Social movements in the post-authoritarian or post-democratization stage have shown two different trends: newly emerging citizen`s movements and traditional protest movements. Many observers reported that the former have made a remarkable development, while the latter have shown a sign of stagnation and weakening. For the last 20 years since the 1986 people power revolution, a multiplicity of `new social movements` or `citizen`s movements`-such as environmental movements, human rights movements, peace movements, women`s movements, and anti-globalization movements-emerged and blossomed. But on the contrary, traditional protest movements largely led by progressive social forces (esp. by national democrats) have been deteriorated.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rise of new social movements and the fall (or relative weakening) of traditional protest movements in the post-democratization Philippines in two different dimensions: the `differentiation` of social movements, on the one hand, and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that provide either favorable or unfavorable conditions for the social movements, on the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