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상 정당조항의 변천

        양정윤 ( Jeong Yun Yang ) 안암법학회 2014 안암 법학 Vol.0 No.44

        Recently, news are filled with issues of political parties. Since Party Clauses were introduced in the 1960 Constitution, opinions are divided into a variety of events, from the problems of Requirements to cancel political parties on the Party Law that increases the barriers to entry of minority parties, to the claims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to request for trial.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consider, as a whole, the fact that Party Clauses of Article 8 of the present Constitution is defined for what. The same Article is ruled as follow: on Section 1, the freedom of establishment of political parties and the guarantee of political pluralism; on Section 2, the democracy and the necessary organization of the party; on Section 3, the protection and subsidies of the state for political parties; and on Section 4, the dissolution clause of an anti-democratic political party. By the way, at the first time, when these Party Clauses are prescribed on the 1960 Constitution, it was not defined in the Introduction as the current Constitution but together regulated in Article 13 in the provisions on freedom of expression in Chapter of rights and duties of citizens, and it is principle for political parties to protect of the nation, just placed the exceptional Party Dissolution Clauses. These points present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aning of provisions of the party in the 1960 Constitution and the current Constitution. In addition, it is specified as “the ‘free’ democratic basic order” in the preamble and Article 4 of the current Constitution, but in the 1960 Constitution, the provisions of “the ‘free’ democratic basic order” is not seen anywhere, which it is to apply a question of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that Article 8, political parties clause of the current Constitution, stipulates in the same way as “the democratic basic order” in political parties clauses of the 1960 Constitution. And, in Party Clauses of the 1960 Constitution, it was defined as unary, there are questions why is defined separately from Section 1 to 4. More and more, Countries after World War II, as a reflection against Nazi Party earlier, Fascist Party,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was setting up to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on the political parties since the mid-1940 Constitution, there are questions why was not so defined as this Party Clauses at the Constituent Constitution, but was defined the 1960 Constitution. In addition, in the 1960 Constitution, it was not to enforce the political party law, but in the Constitution since 1963, has been establishing a political party law. Although it is overall looked to see Party Clauses due to the recent issue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y, but these points raise the need to study in more detail what is meaning in our constitutional history, and led to study the transition process of Party Clauses on the Constitution of South Korea.

      • KCI등재

        정당등록취소와 정당설립의 자유

        정연주(Yonju Jung) 한국헌법학회 2014 憲法學硏究 Vol.20 No.1

        정당법 제44조 제1항 제3호에 따르면 정당이 임기만료에 의한 국회의원선거에 참여하여 의석을 얻지 못하고 유효투표총수의 100분의 2 이상을 득표하지 못한 때에는 당해 선거관리위원회가 그 등록을 취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정당이 단지 2%의 득표율을 올리지 못했다는 이유로 정당의 해산을 의미하는 정당의 등록을 취소하는 것이 과연 헌법상 정당화될 수 있는지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대하여 과거 헌재는 2006. 4. 27, 2004헌마562 정당법 제38조 제1항 제3호 등 위헌확인사건에서 현행 정당법 제44조 제1항 제3호에 해당하는 구 정당법 제38조 제1항 제3호가 기본권 침해의 직접성이 없다는 이유로 사건을 각하함으로써 이 규정의 위헌 여부를 판단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사건의 반대의견은 이 규정이 기본권 침해의 직접성 요건을 충족하고 있다는 전제하에서 정당설립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던 중 서울행정법원이 현행 정당법 제44조 제1항 제3호가 정당활동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했고, 헌재는 최근 정당법 제44조 제1항 제3호와 이 조항을 전제로 하고 있는 동법 제41조 제4항 중 제44조 제1항 제3호에 관한 부분에 대하여 위헌결정을 내렸다. 이 결정은 결과에 있어서 타당하다. 그러나 그 논증에 있어서 근본적인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다. 즉 정당의 기능 및 정당민주주의, 그리고 정당설립의 자유에 대한 기본 이해에 있어서 동의하기 어려운 문제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등록취소규정은 헌법상의 정당민주주의, 정당설립의 자유, 복수정당제도, 다원적 민주주의의 원리, 위헌정당해산제도, 비례의 원칙, 평등의 원칙, 권력분립제도 등 헌법상의 제원칙에 위반된다. 기존의 대정당에 의해 대변되는 다수의 의사만이 존중받아야 할 정당한 의사는 아니다. 득표율에 따른 정당의 존속여부는 정당 스스로가 결정할 문제이다. 민주주의는 소수보호를 전제로 한다. 소수의 의사가 존중될 때 다수의 의사도 존중받고 사회의 통합이 가능한 것이다. According to Article 44 Paragraph 1 No. 3 of the Political Party Act, the political party who does not acquire any seat and 2% and over of the total ballots in the general election by term expiration is dissolved by the pertinent Election Commission. The doubt has been raised whether the cancellation of registration of a political party by the rate of number of votes gained can be constitutionally justified or not. In the decision of April 27, 2006, 2004Hunma562, the Constitutional Court dismissed the case under the reason that the Clause of cancellation of registration of a political party does not directly infringe the constitutional rights of the petitioners, while the dissenting opinions insist that the Clause infringes the freedom of the establishment of political parties under the assertion that the directness of the infringement on the constitutional rights by the Clause is recognized. Meanwhile, the Seoul Administrative Court requested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Clause reasoning that the Clause infringes the freedom of activities of political parties. So recently, in the decision of January 28, 2014, 2012HunGa19,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e Clause is unconstitutional and void, because the Clause infringes the freedom of the establishment of political parties. In the result, the Court's decision is legitimate. However, the decision has some serious problems in the reasoning, which cannot be justified. In my view, it misunderstood the function of political parties, the democracy of political parties, and freedom of establishment of political parties, The Clause violates such various constitutional principles as the democracy of political parties, the freedom of establishment of political parties, the plural party system, the plural democracy system, the system of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 principle of equal protection, the separation of powers, etc. Not only majority opinions by major or big political parties but also minority opinions by minor or small political parties should be respected. The just democracy is base on the protection of minority. Then, the integration of society can be realized.

      • KCI등재

        정당해산심판의 헌법적 쟁점 ― 정당해산심판의 요건과 효과를 중심으로 ―

        정만희 한국공법학회 2014 공법연구 Vol.42 No.3

        정부는 한국헌정사상 최초로 2013. 11. 5. 국회 원내 제2야당인 통합진보당에 대해 헌법상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는 위헌정당으로 판단하여 헌법재판소에 정당해산심판을 청구하였다. 이번의 정당해산심판사건에 있어서 핵심적 쟁점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하나는 통진당 당원들의 그 동안의 활동이나 당헌ㆍ당규 또는 강령 등에 나타난 통진당의 목적과 활동이 과연 위헌정당해산의 실질적 요건인 헌법 제8조 제4항의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될 때”에 해당하는가의 문제이며, 또 하나는 헌법재판소에 의한 정당해산결정이 내려지는 경우 통진당 소속 국회의원의 의원직 상실여부에 관한 문제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통진당 해산심판사건을 계기로 정당해산제도의 헌법적 의의와 본질을 재검토하고 위의 두 가지 쟁점에 대한 학계의 논의를 정리하고 필자의 견해를 제시한다. 정당해산의 실질적 요건에 관하여 먼저 헌법 제8조 제4항의 ‘민주적 기본질서’의 개념은 헌법의 핵심적 근본질서로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민주적 기본질서의 위배’ 여부에 관한 판단에 있어서는 종래 학계의 입장에 따라 과거의 독일 판례나 이론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은 문제가 있으며, 최근 유럽에서 베니스위원회가 제시한 정당해산심판에 관한 엄격한 기준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정당해산의 실질적 요건에 대한 심판기준은 정당해산제도의 본질적 기능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정당해산제도의 2중적 기능으로서 헌법의 예방적 수호와 정당보호의 기능 중에서 전자의 기능을 우선하기보다는 양자의 조화적 실현을 위한 균형있는 판단이 요구되며, 오히려 정당의 자유보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민주적 기본질서 위배의 정도에 관한 판단기준으로는 비례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정당이 헌법의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는 위헌정당인가의 여부는 한마디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위태롭게 하는 ‘구체적 위험’의 존재를 인정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정당해산결정의 효과로서 의원직 상실여부에 관하여 국내의 다수적 견해와 같이 정당이 해산되는 경우 정당소속 의원의 의원직상실이라는 결론을 내리는 것은 곤란하며, 앞으로의 이 문제에 관한 입법에 있어서도 소속의원 전원에 대한 의원직상실을 규정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이 문제에 대한 학설의 대립은 기본적으로 방어적 민주주의에 기초한 헌법수호의 실효성확보라는 법익과 국회의원의 국민대표성과 자유위임의 원칙이라는 법익의 충돌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 어느 법익과 헌법적 가치를 우선할 것인가의 문제인 것이다. 이 점에 관하여 필자의 기본적 견해는 대립하는 양 법익을 조화롭게 실현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원칙적으로는 정당해산의 결과로서 소속의원의 의원직을 상실시키도록 하고, 예외적으로 의원 개개인의 활동이 정당의 목적이나 활동과 객관적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의원직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이번의 통진당사건의 경우에 정당법이나 헌법재판소법 등에 의원직상실여부에 관한 명문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헌법재판소가 정당해산결정과 함께 의원직상실을 명하는 결정을 내릴 수 있는지의 문제는 간단히 판단하기 어렵다. 헌법재판소는 헌법상의... The Executive of Korea filed for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to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on November 5th, 2013 because the Unified Progressive Party, which was the second opposition party in the National Assembly, violated the democratic basic order in the Constitution. It is the first case of this type in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Korea. There are two key issues in this case. The first is whether activities of members of the party—as well as the party itself under the party constitution, regulation, and platform—violate “the democratic basic order” under the Constitution as a substantial requisite for dissolution of the political party. The second is whether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belonging to the party will be disqualified if the Court decides on dissolution of the party. This article reviews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and discusses the above issues in academia, then provides the author’s opinions. The democratic basic order, which is a substantial requisite for dissolution of a party, should be understood as the “liberal democratic basic order.” And also, in order to decide the violation of the democratic basic order,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guidelines on prohibition and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analogous measures suggested by the Venice Commission rather than fully relying on past German cases and theories. The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has dual functions that provide preventive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 and of political parties, and they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harmonic understanding, or the latter should be emphasized more if needed. Moreover, it should be clear that violating the democratic basic order presents ‘an actual threat’ to the Constitution in order to decide that a political party is unconstitutional under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Relating to the effects of the adjudication, majority in academia argue that all members of the political party must be disqualified for membership in the National Assembly when the Court decides that the party violates Constitution. However, the author argues that all members of the violating political party should be denied membership of the National Assembly at first, but if a member’s activities are not fully related to the political party, his or her membership in the National Assembly may continue as an exception because the purpose of dissolving a political party is to respect the free representative principle in relation to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n this case, the Court struggles to decide whether to dissolve the party and disqualify its members from membership of the National Assembly because even though the Court has jurisdiction on the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the Court cannot decide whether to disqualify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because they are representatives of the people under the separation of powers principle. Without specific articles about this issue, it is better left to the National Assembly itself. Its examination of qualification procedure or disciplinary procedure of the National Assembly could adequately decide which members should and should not be disqualified. With this Unified Progressive Party case, academia should research and study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in order to supplement legislative gaps and deficiences regarding this issue.

      • KCI등재

        위헌정당해산제도에 관한 소고

        이한태(Han-Tae Lee)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25 No.2

        우리헌법 제8조 제4항은 “정당의 목적이나 활동이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될 때에는 정부는 헌법재판소에 그 해산을 제소할 수 있고, 정당은 헌법재판소의 심판에 의하여 해산된다.”고 명시함에 따라 위헌정당해산제도를 인정하고 있다. 이에 통합진보당의 강령 등이 북한의 정책과 유사하다는 주장과 국회의원 당선자의 과거전력 등으로 인하여 통합진보당이 과연 정당의 목적이나 활동이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지 않았는가의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정부는 한국헌정사상 최초로 2013. 11. 5. 통합진보당에 대해 헌법상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는 위헌정당으로 판단하여 헌법재판소에 정당해산심판을 청구하였다. 위헌정당해산제도는 방어적 민주주의와 정당의 보호라는 두 가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바, 독일의 경우는 나치정당에 따른 민주주의의 몰락이라는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함에 따라 방어적 민주주의에 초점을 두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정부에 의한 부당한 야당 탄압이라는 왜곡된 헌정사적 경험이 주된 배경을 이룸에 따라 정당의 보호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위헌정당해산제도는 집권세력이 정적을 제거하기 위한 방편으로 악용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통합진보당 사건과 관련하여 해산의 요건인 실체적 판단기준을 엄격하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최근 유럽에서 베니스위원회가 제시한 정당해산심판에 관한 엄격한 기준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정당해산의 실체적 판단 기준인 정당의 목적이나 활동이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 여부에 관하여, 위헌적 강령의 존재만이 정당해산의 근거가 될 수 없으며, 실제로 당원들이 강령에 얼마나 충실하고 있는 지의 여부와 실질적 위험성까지 엄격하게 파악하고, 활동주체의 범주를 정당의 모든 구성원으로 파악해야 한다. 또한 사회민주적 기본질서가 현대사회에서 헌법이 보호하는 자유와 평등에 관련한 민주주의적 원칙을 전면 수용함과 더불어 자유민주적 기본질서가 지니는 단점을 보완하여 국민의 진정한 자유와 평등을 보장하려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헌법 제8조 제4항의 민주적 기본질서의 의미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사회민주적 기본질서가 포함하는 개념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해산된 정당의 소속 국회의원 자격 유지여부에 대하여 학설이 갈리나, 국회의원 각자가 갖는 민주적 정당성과 의원의 제명을 통치행위의 일유형으로 보고 사법적 판단을 자제하는 헌법 제64조 제4항의 의도를 놓고 보았을 때 국민에 의해 선출된 국회의원을 헌법재판소의 판단에 의하여 전적으로 의원직을 상실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다만 비례대표제의원의 경우 정당의 대표성 역시 동시에 지니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인바, 비례대표제의원에 대한 지지는 곳 정당에 대한 지지이고 그러한 정당이 위헌정당해산심판을 받았다면 그들의 민주적 정당성은 상실되었으므로 그들에 대한 자유위임관계보다는 헌법보호가 우선됨에 따라 비례대표의원들은 그 대표성이 박탈되어 의원직을 상실해야 한다고 볼 것이다. It is provided that if the purposes or activities of a political party are contrary to the fundamental democratic order, the Government may bring an action against it in the Constitutional Court for its dissolution, and the political party shall be dissolved in accordance with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Article 1 section, 4 of the Constitution. The administration of Korea sued for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to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on November 5th, 2013 because the Unified Progressive Party violated the democratic basic order in the Constitution Article 1 section, 4. It is the first case of this type in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Korea. The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fensive democracy and protection of political party. In German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is downfall of democracy caused by the Weimar Republic and the Nazis. but In Korea, constitutional history, unjust suppression of opposition party caused by government forms a background to the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Besides, the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can be wrongfully used as means to eliminate a political opponent. Consequently, with reference to the case of the united progressive party of Korea, the Constitutional Court must examine severely substantive standard for determining of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And also, in order to decide the violation of the democratic basic order,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guidelines on prohibition and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analogous measures suggested by the Venice Commission. When the Constitutional Court adjudicates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y, for want of specific articles about whether to disqualify legislatorship of disbanded party, various theories are expressed on disqualification or maintenance of legislatorship. In consideration of democratic legitimacy and constitutional principles of Article 64 section, 4 of the Constitution, it is that undesirable membership of the National Assembly is completely disqualified by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But proportional representative Congressmen must be disqualified from legislatorship because they are elected to the National Assembly by support for the party, and therefore lose democratic legitimacy. The constitution protection take priority over free mandate to proportional representative Congressmen.

      • KCI등재

        공직선거법 제47조의2 제1항의 위헌성 : 헌재 2009. 10. 29. 2008헌바146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극원(JEONG, Kuk Won)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10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Vol.16 No.2

        공선법 제47조의2 제1항에는 ‘정당의 후보자추천 관련 금품수수금지’를 규정하고 있다. 그 자체에 대하여서는 위헌성을 다툴 여지가 없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위 조항 중 누구든지에 정당대표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한 헌법상에 보장된 정당의 자유에 대한 침해로서 위헌의 문제가 제기된다. 정당이라 함은 국민의 이익을 위하여 책임 있는 정치적 주장이나 정책을 추진하고 공직선거의 후보자를 추천 또는 지지함으로써 국민의 정치적 의사형성에 참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국민의 자발적 조직을 의미한다. 현대 헌법국가에 있어서의 정당은 국민과 국가를 잇는 연결매체로서 민주적 기본질서의 중요한 구성부분이 되었다. 정당은 국민의 정치적 의사형성과정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정부와 국회의 핵심적인 공직을 임면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나아가 정부의 정책결정에 직접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서 국가적 의사형성에 있어서도 결정적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정당의 활동의 자유에 있어서 이와 같은 정당과 정당의 대표자간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채 공선법 제47조의2 제1항의 ‘누구든지’에 정당대표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적용하게 되는 경우는 첫째, 정당활동의 자유를 침해하게 되며, 둘째, 정당이 행한 행위의 법률효과를 정당의 대표자에게 귀속시키게 되어 법치주의원칙에 반하게 되며, 셋째, 특별보호를 받는 정당에 적용되어야 하는 처벌의 엄격성에 위배되며, 넷째, 정당의 대표에 대하여 허용될 수 있는 상대적 평등의 침해를 야기하며, 다섯째, 정당대표자에 대한 징역형의 부과는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에 위배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글은 이러한 논거에 의하여 공선법 제47조의2 제1항의 위헌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Article 47-2, Section 1 of Public Office Election Law stipulates 'prohibition of accepting bribery in relation to candidate recommendation in a political party'. This stipulation itself has no room for unconstitutionality argument. However, as long as the above clause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representative of the political party in the provision of 'anybody', it infringes freedom of political part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which raises the issue of unconstitutionality. A political party refers to people's voluntary organization aiming at participating in forming their political opinion by claiming political opinions or policies responsible of their interest and recommending/supporting the candidate for public office election. In the modern constitutional states, the political party is the fundamental bridge connecting between people and state, which becomes an important component for the basic democratic order. The political party not only participates in people's political opinion-shaping process but also plays a critical role in appointing the key public officers for government and parliament. Furthermore, it can play the critical role in national decision making process by directly affecting or having influence on the policy-decision process of the government The cases in which Article 47-2, Section 1 of Public Office is interpreted and applied as including the Presentative of a political party in the provision of 'anybody' without considering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party and its representative may result in the followings: First, it may infringe the freedom of political party; Second, it may attribute the legal effects of the political party's behaviors to the representative, which violates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ism; Third, it violates the strictness of publishment that has to be applied to the political party supposed to be under

      • KCI등재후보

        통합진보당 해산결정에 대한 검토

        정연주 국회입법조사처 2015 입법과 정책 Vol.7 No.1

        This article addresses the constitutional review on the decision of dissolution of the United Progressive Party(UPP). On December 19, 2014,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UPP shall be dissolved and that the mandates of the lawmakers of UPP shall be deprived. The reason of the dissolution of UPP is that the purposes and activities of UPP are contrary to the democratic basic order. This is the first case decided by the Court after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decision, the Court systemized the purposes and legal conditions of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and the effects of decision. In this point, the decision is very meaningful.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decision has been exposed on the severe criticism that it has the logical contradiction, fallacies of the facts, misunderstanding about essence and functions of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etc. As is generally known, the institution of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aims to protect both democracy and political party. The decision, however, neglects the function of the latter, whereas it exaggerates the former. Futhermore, it reveals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bias. Besides, without the reservation of the appropriate statutes, the Court decided the deprivation of the mandates of the lawmakers of UPP. It cannot be justified on the light of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In short, the decision cannot be justified on the aspect of constitution. The detailed rules regarding effects of decision of upholding shall be enacted in the pertinent statutes. They have to include the deprivation of the mandates of the lawmakers of the dissolved party. Meanwhile, the composition and qualifications of the justices of the Court should be diversified. Moreover, the appointment system should be also revised. It is desirable that the concurrent vote of two thirds or more of the total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shall be required for the appointment of a justice. 본 연구는 헌법재판소에 의한 통합진보당 해산결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관련 법규 보완의 필요성, 더 나아가 헌법재판관 선출 및 구성 방식의 개선 필요성을 다룬 것이다. 이 결정은 정당해산제도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이해 부족, 사실관계 오류, 논리적 비약, 근거가 박약한 사실관계의 인정, 법리적 오해 등 다양한 문제점을 노정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고 본다. 또한 결과적으로 다원적 민주주의, 정당민주주의, 복수정당제도, 대의제도, 소수보호, 표현의 자유, 다양성과 관용성 등 중요한 헌법적 가치의 후퇴와 사회의 분열의 심화, 다수와 기득권의 횡포, 사법의 정치화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법률의 근거도 없이 소속 국회의원들의 의원직 상실 결정을 내림으로써 헌법재판소 스스로가 헌법과 법률을 위반하면서 국회의 입법권한을 행사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또한 소속 국회의원의 의원직을 상실시키는 결정을 내리면서 국회의원직을 상실한 소속 의원들의 보궐선거에서의 재출마 문제와 소속 지방의회의원의 의원직의 상실 여부 등에 대하여는 판단하지 아니한 것도 문제시 되고 있다. 따라서 정당해산제도 및 해산결정에 따른 소속 국회의원과 지방의회의원의 의원직 상실이나 재입후보 문제 등 제반 후속조치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 결정은 지나친 이념적・정치적 편향성을 드러냈고, 결과적으로 사회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 이러한 평가가 사실이라면 이를 야기한 원인 중 하나는 헌법재판관 구성의 문제점이라고 하겠다. 즉 헌법재판관의 이념적 편향성과 다양성의 부족, 법조인 일색의 경험적 획일성 등이 문제로 거론된다. 이를 위해 차제에 헌재의 구성과 선발 방식도 재고해야 한다고 본다. 즉 헌재 구성의 이념적 균형성을 유념하면서 헌재의 구성을 다양화하고, 이를 위해 재판관의 자격을 다양화시켜야 하며, 재판관 선출방식도 재판관 전원을 국회에서 재적 2/3로 선출하도록 개정해야 할 것이다. 그럴 경우 여야 합의에 의한 재판관 선출과 재판부의 이념적 균형성의 제고가 가능해지고, 결국 대의기관의 다수 및 국민의 다수가 찬성하는 훌륭하고 균형잡힌 인사가 재판관이 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특정 세력과 특정 이념 및 정권이나 인사권자의 의중이 반영되는 편향된 결정의 가능성이 줄어들고, 소수보호 및 관용성과 다양성을 갖춘 결정이 가능해 져, 결국 헌법의 이념인 진정한 다원적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 및 사회국가원리를 바탕으로 한 기본권 실현과 사회통합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 정당해산결정에 부수하는 의원지위상실결정의 허용성

        박찬주 헌법재판소 2016 헌법논총 Vol.27 No.-

        헌법재판소는 2014. 12. 19. 통합진보당해산심판청구사건(2013헌다1)에서 동 정당에 대한 해산결정과 함께 동 정당의 소속의원에 대해 의원직상실결정을 하였다. 문제는, 정당해산심판을 헌법재판소의 관장업무로 규정하는 헌법이나 정당해산청구에 대한 심판절차를 규정하는 헌법재판소법에서 정당해산결정으로 의원직이 상실된다는 규정을 두지 아니하고 있고, 그리하여 헌법재판소는 의원직상실의 근거를 정당해산심판제도로부터 발생하는 본질적 효력에서 구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동 결정은 지위상실설에 입각한 것이며, 서독연방헌법재판소의 사회주의제국당에 관한 위헌정당해산결정에서 취한 입장이기도 하다. 위헌정당해산결정에도 불구하고 의원직을 그대로 보유한다는 지위유지설에서의 논거는 「민주주의를 방어한다는 명목으로 자유위임관계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는 경우 국회의원의 국민대표성과 자유위임관계를 희생하는 뇌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민주주의의 독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데 있다. 그러나 정당이 선거에서 후보자를 공천하고 후보자로 하여금 선거에 참여하도록 하는 경우에, 국민은 그 정당이 민주적 기본질서를 훼손하지 않는 정당에 해당할 것이고 장래에도 민주적 기본질서를 훼손하지 아니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자신의 대표자로 소속의원을 선출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가정은 대의제도의 기초를 형성하는 국민의 「추정적 의사」에 해당한다. 그리고 일단 선출이 이루어진 경우에 있어서의 국민들의 가정은 선출된 의원이 설사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적극적으로 부합하는 인물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적어도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훼손하지 아니하고 의정활동을 수행할 것이라는 일종의 소극적 형태로 유지하고 있을 것이다. 헌법재판소가 어떤 정당에 대해 위헌정당으로 인정하고 해산결정을 하는 것은 그 정당의 후보자를 자신들의 대표자로 선출한 국민의 「추정적 의사」를 근본적으로 뒤엎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지위유지설에서는 국민의 「추정적」 의사가 파괴된 경우에도 국민대표성과 자유위임관계만을 내세워 소속의원의 지위가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할 뿐, 훼손된 국민대표성과 자유위임관계에 대한 어떠한 복원방법도 제시하지 아니하고 있다. 이는 위험한 사고놀음이다. 주권은 국민의 일반의사(volonté générale)를 떠나서 논의할 수는 없다. 한편 필자는 의원직상실결정은 있을 수 있는 위헌법률심사와 관련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헌법에서 소속 국회의원의 지위 상실에 관하여 어떤 규정을 두지 아니한 상태에서 법률에서 위헌정당의 해산에도 불구하고 소속 국회의원에 대해 의원직을 상실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면 헌법재판소는 그러한 법률에 대해 위헌결정을 할 수 있다. 정당해산제도의 본질적 효력은 그러한 규정들에 대해 당연히 위헌결정하도록 요구하기 때문이다. 필자가 「당연히」 「위헌결정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헌법재판소가 그와 같은 절차를 취하지 아니하는 것은 「위헌정당해산제도가 가지는 헌법수호의 기능이나 방어적 민주주의 이념과 원리」가 수행될 수 없는 상태를 방치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헌법재판소의 방치는 그 자체로서 계속적인 헌법위반상태의 방치에 해당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지위유지설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는 데 그치지 아니하고 헌 ... The Constitutional Court passed decision on the requested dissolution of Unified Progressive Party in favor of Government and collaterally decided to deprive 5 national assemblymen belonging to that Party of their each membership of the National Assembly on Dec. 19, 2014. The problem raised by the decision is as follows. The Constitution granting the jurisdiction over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y to the Constitutional Court or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providing the legal procedure and the resultant matters of that dissolution lacks the provision(s) about whether the compulsory dissolution deprive those assemblymen of their each membership. For this reason the Constitutional Court established the ground of deprivation of the membership on the fundamental/intrinsic effect which the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unconstitutional political party gives birth to. Such a rationale is based on the maintenance view of the status of assemblyman, and is also the view taken by the decision of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n the dissolution of an unconstitutional political party, i.e. Die Sozialistische Reichspartei (SRP). The argument presented by the maintenance view in spite of the dissolution of an unconstitutional political party resides in the worry that “if we acknowledge an exception to the free mandate relation under the pretext of defending democracy, such exception may work as a poison to the direct cause of sacrificing the wholesom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national assemblyman to the public and the principle of free mandate relation, and works as a poison to democracy.” But when a party nominates a person as a candidate for that party and make him participate in an election, the public elect him as their representative under the supposition that the party must not be the party impairing the fundamental free and democratic order and further will not impair that order in the future likewise. This sort of supposition corresponds to the 「assumptive will」 of the public forming and supporting the basis of representative system, and the character of their supposition corresponds to an affirmative one. After the election, the assumptive will varies a little nevertheless holds in passive form that the elected assemblyman, though not answering the fundamental free and democratic order actively, but still is without impairing that order in the course of legislative activity.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ing a party as an unconstitutional one and making that party dissolve brings about a situation betraying such 「assumptive will」 of the public fundamentally. The maintenance view stubbornly advocates the holding of membership solely in the name of representative character to the public and the principle of free mandate relation even when the 「assumptive will」 is destructed, without offering any practicable restoration about the impaired representative character and the principle. For this reason the maintenance view is a dangerous thinking spree. The sovereignty cannot be discussed departing from 「volonté générale」 of the public. The writer also asserts that the decision on the deprivation of membership is linked to the review of unconstitutionality on possible legislations, if any. Even if a law stipulates that an assemblyman does not lose his membership in spite of a compulsory dissolution on the ground that the Constitution is silent about the membership, the Constitutional Court can declare such legislation as unconstitutional. It goes without saying the fundamental effect of adjudication on dissolution of unconstitutional political party requires such declaration. The reason of the writer's using terminology such as 「it goes without saying」, 「requires」 is, if the Constitutional Court does not declare the possible legislations as unconstitutional, it means that the Court neglects the situation where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Constitution and ideal and pri...

      •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에서의 불평등의 정치와 정책 ; 한국의 정당은 불평등에 어떻게 대응했나?: 사회보장법, 비정규직보호법, 조세정책을 둘러싼 정당경쟁

        강병익 ( Byung Ik Kang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5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28 No.-

        이 논문의 목적은 경제적 불평등에 대응하는 한국 정당의 정치행태를 이념과 정책경쟁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데 있다. 경제적 불평등에 대응하는 정당정치의 중요성은 정당의 정부구성을 중심으로 한 당파성 논의뿐만 아니라 입법과정에서 정책결정자 및 거부권자 역할의 유효성이란 측면에서 제고될 수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에서 발현되는 경제적 불평등 문제와 대표성의 관점에서 대중의 선호를 공공정책의 전환시키는 제도적 장치로서의 정당은 이념과 정책의 차이를 통해 경쟁관계를 갖게 된다. 이러한 전제 속에서 구체적인 재분배정책을 통해 드러난 한국의 정당경쟁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국가복지에 대한 이념과 태도를 보여주는 사회보장기본법의 제정 및 개정과정에서 보수주의 정당과 자유주의 정당은 복지공급자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복지다원주의로 수렴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노동시장정책, 특히 비정규직 보호법 제정과정에서 진보적 제3정당의 존재가 기존 정당체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즉 선거제도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대한 친노동적 문제의식을 갖는 정당의 출현과 제도화는 불평등 쟁점에 대한 경쟁성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복지자본주의 연구에서 권력자원론이 갖는 여러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정당정치의 역할과 위상의 측면에서 여전히 중요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함의하고 있다. 셋째, 앞으로 불평등 문제에서 소득재분배 기능과 복지재정 확보수단으로 조세정책이 갖는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라는 점이다. 특히 재정정책은 그 동안 국가의 일방적 정책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어떤 복지국가를 지향할 것이냐는 경쟁에서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조세정책 중요성이 정당 간 복지경쟁의 핵심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article try to analyse that behaviors of Korean political parties responding to economic inequality in terms of party competition. Political parties, as institutions for the translation of mass preferences into public policy, have competitive relationships through the difference of ideologies and policies in inequality of capitalist system and representativeness of political system. Based on these premises, the competition of Korean political parties showed several features in the relevant law making process. Firstly,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revising the Social Security Law of 1995 and 2012 that revealed the ideology and attitude for state welfare, we could find that the tendency for policies of the conservative and liberal party to convergent pluralist welfarism which pursue various welfare provider. Secondly, The process of making the Irregular Labor Protection Laws, one of very important labor market policies, showed the importance of emerging left-wing party on inequality problem. It point out that the form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pro-labor party may help to solve the inequality problem in capitalist market economy in despite of the constraint of electoral system. It connote that the theory of power-resources still has importance in Korean political situation although having many limitation in welfare capitalism studies. Finally, it will be hliglighted that the importance of tax policy as income redistribution vehicle and tool for increasing welfare budget. In Korea, the fiscal policy had been belong to the central government area. But, from now on, in party politics, we can anticipate the change of welfare debates from which welfare state we pursue to competition for tax policy that support the expansion of welfare state.

      • KCI등재

        『동소만록(桐巢漫錄)』에 반영된 남하정(南夏正)의 정국인식

        원재린(Won Jae-rin) 한국역사연구회 2012 역사와 현실 Vol.- No.85

        『Dongso Man’rok(桐巢漫錄)』 was written to document and reevaluate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Southerners(Nam’in/南人) party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n order to do that, Nam Ha-jeong(南夏正) turned his attention upon the political purge that took place in the Gi’chuk-year(“Gi’chuk Oksa/己丑獄事”). This incident turned out to be an especially important event in the history of Joseon politics, as the Westerners party(Seo’in/西人) seized political power with this purge, while the party itself was eventually divided into the “Elder” faction(No’ron/老論) and the “Junior” faction(So’ron/少論). Nam Ha-jeong not only perceived this incident as a conflict over authority and power, but recognized it as an event in which the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actions were finally pushed to the surface. In that regard, his political awareness is worthy of further discussion. It should be noted that Nam Ha-jeong ultimately wanted to redeem the entire Southerners party, and resuscitate their activities inside the government. The primary charge made against the Southerners in the first place was that they had violated the “Righteous cause”(“Myeong’eui/名義”) and perpetrated an unforgivable crime. So Nam emphasized the fact that the Southerners had not done anything of the sort, and that they did try to protect the Crown-prince. But even with all such arguments, having the Southerners reenter the government was not an easy task, especially when the opposing party was in power. Therefore, he dug up some interesting cases from the history of the past, and found a poster character which would highlight the very problems of the now-distorted “Tangpyeong(蕩平)” attempts, which have strayed away from its original intentions by excluding the “Jun’ron[Prioritizing Strict Adherence to the Original Spirit of Equitable “Tang’pyeong” Assignments of Officials]” supporters and especially the Southerners entirely. Nam also highlighted King Yeongjo’s political leadership, as in his eyes he had accepted that poster person for the fact that such person was a capable governmental official. 『Dongso Man’rok』 presents Nam Ha-jeong’s exceptional insights on the political history of this er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