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 실태 분석: 2019학년도 주요업무계획을 중심으로

        최민석(Choi, Minseok),박수정(Park, Soo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학교 개선을 위한 ‘전문적학습공동체(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가 주목을 받게 되면서, 시·도교육청에서 이와 관련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19학년도 시·도교육청의 주요업무계획에 나타난 전문 적학습공동체 정책의 주요 특징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적학습공동체’와 전문적학습공동체 유사 개념을 주제어로 설정하고, 시·도교육청 누리집에 탑재된 2019학년도 주요업무계획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적학습공동체 목표 및 성취기대로 ‘수업’이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둘째, 전문적학습공동체 관련 명칭은 ‘전문적학습공동체’, ‘교원학습공동체’, ‘교사학습공동체’가 많았고, 그 중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다. 셋째, 주요업무계획에 전문적학습공동체에 대한 정의가 진술된 교육청은 강원, 경기, 광주, 인천이었다. 넷째,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주체로는 교사가 가장 비중이 높았고, 다음으로는 교육전문직원, 교육행정직 및 학교관리 자 순이었다. 다섯째, 모든 시·도교육청에서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운영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도교육청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의 일반화와 다변화, 수업변화 목적의 운영, 명칭의 혼재,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활용 한 과도한 교육정책 편성,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사 연수 등의 특징을 발견하였다. A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highlighted as a tool to improve teacher professionality and school improvement,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re introducing related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guring out the key features of the education-office-support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olicy from the major work plan of the local education offices in 2019. For this purpose, the main work plan of the local education offices in 2019 was analyzed based on the keyword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the other similar terms related to 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lass was the highest frequency for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goals and achievement expectations. Second, there were three kinds of terms related to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Among thos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Third, Gangwon, Gyeonggi, Gwangju, and Incheon education offices have their own definitions abou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the main work plans. Fourth, teachers were the most frequent agents for running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llowed by education profession,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school administrators. Fifth, all education offices operated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ithin school uni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eatures such as gener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olicies, operation of the purpose of class change, mixed and unestablished terms referring to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excessive educational policies using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training through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ere identified.

      • KCI등재후보

        전문적학습공동체에 관한 이론적 탐색에 관한 연구

        유미라(Mi Ra Yu),김제현(Je Hyun Kim)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0 지방교육경영 Vol.23 No.3

        본 연구는 문헌분석을 활용하여, 전문적학습공동체 개념적 이해에 초점을 맞추어 전문적학습공동체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첫 번째로, 전문적학습공동체 도입배경 측면에서 전문적학습공동체는 학습조직이라는 용어에서 태동하였으며, 학습조직의 공통적인 특징으로서 1) 의도하는 목적, 2) 집단적이고 지속적인 학습, 3) 질 높은 집단사고 과정의 중시는 학습공동체에 대한 접근 방향 혹은 시각을 제시해 주는 측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두 번째로, 개념적 용어 사용 측면에서, 교사학습공동체와 전문적학습공동체라는 완전히 구분되는 별개의 용어라고 이해되기보다는, 강조점을 달리하는 유사 용어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세 번째로, 전문적학습공동체 개념과 관련한 쟁점 측면에서 공동체/전문성/학습 등 3가지 사안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공동체의 범위 상 지역사회 차원의 공동체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교사전문성 개념은 교직 재개념화 측면과 연계된 논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공동체적 학습이 추구하는 범위는 학교 체제와 문화의 재구조화 차원까지 폭넓게 규정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운영한다는 것은 단위학교 내 교수-학습 차원의 교사협의회 수준보다는 보다 성숙한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추구하기 위해서 지역사회 차원의 지역공동체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theoretically search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cusing o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using literature analysis. First, in terms of the background of introduction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as born in the term of a learning organization, and as a common characteristic of a learning organization, 1) intended purpose, 2) collective and continuous learning, 3) a high-quality group thinking process. The importance of ethics should be understood as an aspect that suggests a direction or perspective on the learning community. Second, in terms of the use of conceptual terms, it is reasonable to see them as similar terms with different emphasis rather than to be understood as completely separate term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ird, in terms of issues related to the concept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t was divided into three issues: community/specialty/learning.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aim for a community at the community level in terms of the scope of the community. Next,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needs to b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reconceptualization aspect of the teaching profession. Lastly, the scope of community learning needs to be broadly defined to the level of restructuring the school system and culture. In conclusion, to operate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aim for a local community at the local level in order to pursue a more matur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an at the level of a teacher council at the level of teaching-learning within a unit school.

      • KCI등재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 경험과 의미: 통합학급 수업 참여를 중심으로

        소리나,홍재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이 연구는 장애학생의 의미 있는 통합학급 수업 참여를 위해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자는 협력적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실행연구의 절차인 문제 발견-계획 수립-실행-성찰-계획 수정 및 재실행의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특수교사와 두 명의 일반교사는 연구자와 연구참여자가되어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조직하여 운영하였다. 결과 먼저, 장애학생의 의미 있는 수업 참여를 위해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적 실행연구과정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학교 현장의 문제를 개선해나가며 점차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는 학교 구성원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이 연구는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의 교육적 가치를 경험하고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 연구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서로 협력하는 동반자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장애학생의의미 있는 수업 참여를 위해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는 긍정적인 교사 인식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는 학교 구성원 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는수업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었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통한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pecial and general teachers’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of participating in an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o encourage the disabl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inclusive classes. Methods The researcher used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used the action research method of problem addressing-planning-implementing-introspecting-modifying of the plan and re-implementing. To this end, the researcher organized and operated an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herein a special teacher and two general ones would participate. Results First of all, the results of teachers’ cooperative participation in the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o encourage the disabled students to participate positively in learning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school community members experienced some positive changes, while improving the problems in the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rough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study. Secondly, through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study, the school community members could experience and perceive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professional in-school learning community.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special teacher and general ones could form a partnership for a cooperative learning. Next, the conclusion about teachers’ experiences and implication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in-school learning communit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ould experience the positive change of teachers’ perception. Secondly, the teachers would experience a positive change in the interactions with the school community members. Thirdly,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ould be able to develop their educational professionalism.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for some basic data to explore an effective method of enhancing inclusive education through the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KCI등재

        초등학교 무용분야 예술강사들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 사례 연구

        김지영(Ji Young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무용분야 예술강사들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심층 탐구를 목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예술강사 연수 프로그램에서 성공적인 실천공동체로 소개된 연구모임을사례로 선정하였고 5명의 예술강사와 핵심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Deglau와 Ward, O`Sullivan 그리고Bush(2006)의 연구에서 사용된 5단계 프로토콜을 본 연구에 적합하게 응용하여 단계화하였으며 자료 분석 및해석은 지속적 비교 분석을 실시하며, 유사성 기반 접근에 근거하여 분류하고 해석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무용분야 예술강사들의 학습공동체가 형성된 과정, 연구와 실천의 주제, 의미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무용분야 예술강사들의 학습공동체 형성 과정을 살펴본 결과, 학습공동체의 초기의 형성단계는 자발적인 공유의지를 가지고 상황적, 물리적, 인지적 배경에서 형성되었다. 학습공동체의 지속은 구성원들의 지역, 교육관, 관심사, 헌신, 열의, 책임감, 성실성, 신앙심 등의 유사성향과 구성원간의 인지적 부조화 해결, 능동적 참여기회, 잠재된 역량 발휘, 확장된 학습영역을 고려한 상황적 맥락에서의 호혜적 관계에서 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학습공동체의 발전단계에는 무용 영역, 수업 계획과 실행, 교과지식과 연계, 문화유산을 활용한 놀이 연계, 전문가 멘토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계하는 ‘그물형’ 구조의 전방위 학습공동체 형태에 의해 개발되어지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분야 에술강사의 학습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활동을 살펴본 결과, 수업자료와교구의 공유, 내용과 방법 등의 수업전략, 움직임을 유도하는 발문법, 타 교과와의 연계된 학습주제가 제시되었다. 셋째, 무용분야 예술강사들의 학습공동체 활동이 갖는 의미를 살펴본 결과, 지식과 실천의 순환적 연계, 제도적으로 정서적으로 외로운 직업 환경에서의 동료의식, 예술가이자 교육자라는 직업적 정체성, 무용교육의 진정성의 문제, 그리고 끊임없는 물음표를 가져다주는 창조적이고 발전적인 관계로써, 초등학교 무용분야 예술강사들의 학습공동체는 전문성을 개발해 나가는 협력적 학습의 환경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se on how professional development can be accomplished within the learning community of dance instructors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discovered three characteristics in the learning commun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dance instructors in elementary school. First, the study focused the atten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formation process of dance instructors. The learning community of dance instructors had tendency to be voluntary and formed with the objection of cooperative learning to mutually share professional knowledge. The consistent elements of learning community were related to common attributions such as region of members, view of education, interests, commitment, passion, responsibility, diligence and religion and obstructing factors that make consistency of learning community difficult were introduced as mismatch of perception among members, isolation of potential capability, passive type of composition, dance practice oriented professionality. Also the professionality of dance instructors were being developed by omnidirectional learning community which has tendency of ``net style`` structure. Secondly, major research range of learning community of dance instructors, accomplished in the learning community were sharing class data, contents and methods of class strategy, epilogue method that lead to movement, co-worker evaluation through microteaching and feedback and link with the academic course. Lastly, the learning community that makes contribution to professional development of dance instructors not only stops as communication of knowledge but also circularly link knowledge and implementation and have fellowship. The instructors were able to clarify the occupational identification as artist and educator through learning community, and the authenticity issue in the facing of dance education with passion and troubled by quality of education that may elevated through the authenticity. Therefore, learning community was functioning as learning environment with continuing development of professionality which had creative and developmental relationship that art of dance instructors will not be indolent or stagnant and brings endless question marks.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의 대화 분석과 교육적 의미 탐색-초등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김남균 ( Nam Gyun Kim ),심영택 ( Young Taek Shim ),김민조 ( Min Jo Kim ),이현명 ( Hyun Myoung Lee ) 한국화법학회 2014 화법연구 Vol.0 No.25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들 간의 대화를 분석하여 대화상에 나타난 특징을 찾고, 그 특징의 교육적인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사학습공동체의 활동에 대한 분석, 즉 개방형 교수법으로 초등 수학 수업을 공동으로 설계하고 실행하고 성찰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양한 해결책을 제안하고, 공유하고 합의해 나가는 과정에서 교사 간 주고받는 대화를 분석함으로써 대화상에 나타난 특징을 탐색하고, 그 특징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실천적 지식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대화 형식적 차원에서 살펴볼 때, 교과전문가가 대화 주제를 선정하거나 화제를 전환하는 촉진자 역할을 하였지만, 수업 계획, 내용, 진행 과정 등과 같은 주제를 다루는 수업 설계 활동에서는 교사들이 교사학습공동체를 이끌어가는 리더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대화 내용적 차원에서 살펴볼 때, 교사들은 교과지식의 엄밀성보다는 교수법과 수업 기법을 더욱 중요시하고 있었으며, 교사들의 경험과 성찰은 매개 도구에 따라 그 발현 정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으며, 공동 수업 설계, 실행, 성찰에 대한 교사들의 내적 역량이 강화되면서 교사학습공동체가 점차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특징이 지닌 교육적인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과 내용 지식을 강조하는 중등학교 교사들과 달리 초등학교 교사들은 자신의 가치관이나 신념을 바탕으로 자신이 관계하는 실제 상황에 맞게 실천적 지식을 재구성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y utilizing a method of dialogue analysis among teachers who are participating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could explor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meanings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y analyzing dialogue among teachers who were co-planing, implementing, reflecting on lessons with the open-ended approach in the Mathematics class and who were proposing the various alternative approaches, sharing and reaching agreement on practical knowledge. As a result of dialogue analysis, educational meanings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ere that a pedagogical approach were weighed more on the subject content knowledge, that the degre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mong teachers became different by its mediation tools, and that sharing visions and pedagogical approaches contributed to enhance teachers` internal capabilities, that shifting operating responsibilities from teacher educators and/or educational researchers to teachers stabilized systematically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s such,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holding educational meanings need to become a community that leads to long-held education future embodied its own tradition, change, and future, public accountabilities improving othe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tudent learning, a community which is sharing its public memories by framing narratives and educational discourse including its unique culture, and a community where individuals and groups try to improve its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 지속방안 연구

        김정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ustainable pla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a research result, the sustainable pla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has been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Ministry of Education level - Office of Education level - school level - teacher learning community level. First, it is the Ministry of Education. We will select the activ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the national education policy agenda, and implement a teacher capacity development evaluation system based on mutual cooperation among teachers. Second, it is the level of the education office.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recognized as an autonomous training institution in order to recognize community activities as learning credits and to share best practices. Third, it is at the school level.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customiz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cording to the culture of each school,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physical environment such as independent space support and budget support. In addition, the principal secured time for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positive psychological support was presented. Fourth, it is the level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build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operating system so that all members play the role of leader and to match the vision and educational goals of the school with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이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현직교사 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학습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방안은 교육부 수준-교육청 수준-학교 수준-교사학습공동체 수준의 네 가지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첫째, 교육부 수준이다.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를 국가 교육정책 의제로 선정하고, 교사 간 경쟁이 아닌 상호협력에 기반을 둔 교원능력개발평가제를 시행한다. 둘째, 교육청 수준이다.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연수학점으로 인정해주고 우수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교사학습공동체를 자율 연수기관으로 인정 한다. 셋째, 학교 수준이다. 개별 학교의 문화에 따른 맞춤형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이 필요하며, 독립된 공간 지원 등의 물리적 환경조성과 예산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교장이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시간을 확보해주고 긍정적인 심리 지원이 제시되었다. 넷째,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이다. 모든 구성원들이 리더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고, 학교의 비전과 교육목표를 교사학습공동체와 일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도교육청 지원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정민석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현장수업연구 Vol.1 No.1

        Recently, regional educational offices have actively promoted several policies to suppor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f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eachers’ perceptions of participating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upported by J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Korea. To this end, we analyzed 2,855 free-answer responses and 20 interview reco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the plan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scope of the concept that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cepts in the school field is too wide and confusing. There is a weak motivation for voluntary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e learning content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not connected to the school site where as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olicy focused on short-term quantitative expansion. To put more, the participants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provided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among members in school operations, classes, and student management. On the other side of their positive experiences, they were also suffered from some difficulties in supporting the members or the school during the activities due to lack of time. Furthermore, teachers, principals, and school boards revealed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ir expectation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t the end, the author put some suggestions related with the provision of ‘continuous policy’ and ‘guidelines for clear policy’. 최근 지역교육청에서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확산하고 있다. 이 연구는 J도교육청에서 지원하는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2,855명의 자유기술형으로 응답한 내용과 20명의 면담 기록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적학습공동체의 계획 검토 결과 학교 현장에서 ‘전문적학습공동체’로 받아들이는 개념의 범위가 너무 넓어 혼돈스럽다. 둘째, 전문적학습공동체의 핵심인 자발성에 의한 참여 동기가 약하다. 셋째, 학생의 배움과 성장을 최우선으로 하는 전문적학습공동체이지만 학습내용이 수업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연계성이 낮다. 넷째,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이 단기간의 너무나 많은 공동체를 참여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었다. 다섯째,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학교운영, 수업, 학생 관리 등에서 긍정적 경험을 하였고, 구성원간의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받았다. 여섯째, 활동과정에서 구성원 또는 학교의 지원에 어려움이 있고, 심리적·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하였으며 특히 교사, 학교장, 교육청이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에 대한 기대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평가와 대안을 모색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의 지속적 추진’과 ‘명확한 정책한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다양한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전문학습공동체(PLC) 사례분석 연구

        이현명(Lee Hyun M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이 연구는 다양한 문화적 맥락은 반영한 전문학습공동체를 통하여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촉진하고 교사의 학습과 전문성 발달을 도모하여 교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발달을 꾀하는 것을 물론 학교개혁과 수업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 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교사들이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전문학습공동체는 다양한 문화적 맥락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 학교급에 따라서 활동 주제나 활동 방향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달라지는가? 둘째, 단위학교 전체를 전문학습공동체로 상정하고 있는 학교들은 지속적 전문성 발달(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과정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 연구방법은 다양한 문화적 맥락 안에서 전문학습공동체가 어떻게 구성되고 운영 되고 있는지를 장기간 운영된 PLC 사례를 분석했다. 연구 질문에 따라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개별학교 혹은 교사 집단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문화적 맥락을 반영하여 전문학습공동체를 구성하고 운 영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전문학 습공동체를 구성하고 운영할 때 학교급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의 상황과 맥락에 맞게 전문학습공동체를 구성하되 개별 교사들이 공동체 안에서 협력 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학년중심 교과별, 교과별, 주제별을 적절하게 선 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 안에서 이루어지는 공동체와 학교 밖에서 이루어 지는 공동체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활동 내용의 범주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별 학교의 문화적 특성에 부합할 수 있는 PLC를 구성하고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ing the way in which contributes to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exerting teacher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facilitating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of teaching.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ing: 1) How ar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which promote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of teaching reflected on diverse cultural contexts? How are themes and direction of activities with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terms of its school levels? 2) How is the process of the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differed within a school as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analyzed multiple case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reflected on diverse cultural contexts. As a result, those who want to develop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with the diverse cultural context need to consider the facts that they want to make it meaningful and successful. First, teachers ne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levels when they organize and operat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econd, teachers need to carefully select one of diverse options(grade-based subject matter, subject matters, themes) that enable them to solve problems in a collaborative manner with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ird, teachers also need to carefully consider whether the range of activity contents was within or outside a school. Last and the least, it is meaningful only if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and development is taken place within an individual school that are suitable for both individual needs and school needs.

      • KCI등재

        유치원 교사학습공동체 정책 실태 및 동향 분석: 시⋅도교육청의 유아교육 주요업무계획을 중심으로

        성구진,김지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2

        Recently, as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has been emphasized as a way to improve teacher expertise,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re promoting related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learning community policy for kindergarten teachers promoted by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to derive implications. To this end, terms used as similar concepts such as “learning community”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ere set as keywords, and 136 major work pla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17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were analyzed from 2015 to 2022.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indergarten teacher learning community policy of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nationwide has been steadily spreading, and as of 2022, related policies were in operation at all metropolitan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Second, the kindergarten teacher learning community policy operated by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had various policy projects for each education office. The discussion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Various kindergarte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re operated around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various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re operated arou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between small kindergartens. The goal of the kindergarten teacher learning community policy is to strengthen teacher autonomy, improve teacher expertise, and operate democratic kindergarten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icy operation of the kindergarten teacher learning community changed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to a community approach to teacher learning, and a new culture of learning for teachers was being formed. In order to revitalize the kindergarten teacher learning community, each metropolitan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provided implications that they should provide a policy basis for teachers to take the lead and participate more. 최근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학습공동체 운영이 강조되면서 시⋅도교육청에서는 관련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도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학습공동체 정책 동향과 그 특징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습공동체’ 와 ‘전문적학습공동체’ 등 유사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어를 주제어로 설정하고, 유치원 교사학습공동체 정책이 시행된 2015년부터 2022년 현재까지 17개 시⋅도교육청의 유아교육 주요업무계획 136권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유치원 교사학습공동체 정책은 꾸준히 확산되어 왔으며, 2022년 현재 모든 시⋅도교육청에서 관련 정책이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17개 시⋅도교육청에서 운영되는 유치원 교사학습공동체 정책은 교육청별로 다양한 정책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도출된 논의는 다음과 같다. 17개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치원 교사학습공동체가 운영되고 있고, 여러 시⋅도교육청에서 소규모 유치원 간 학교밖 교사학습공동체가 운영되고 있다. 유치원 교사학습공동체 정책의 목표는 교사 자율 역량 강화 및 교원 전문성 향상과 민주적인 유치원 운영에 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유치원 교사학습공동체의 정책 운영은 교사 교육의 방향을 교사 학습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으로 바꾸었으며, 교사를 위한 새로운 배움의 문화가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치원 교사학습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해 각 시⋅도교육청은 교사가 함께 주도적으로 더 많은 참여를 할 수 있는 정책적인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활동체계이론에 기반한 A대학 연구자 학습공동체 활동 사례 연구

        이현명,심영택,김남균,김민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학교와 수업 연구 Vol.4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case of a A-college researcher learning community based on activity theory which focuses on collective learning of human beings and to explore its effect and limit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n this research, a A-college researcher learning community consisted of its members who were in the different disciplinary fields and from the diverse academic background(subject). It was improved the self-directed instructional capability through a collaborative model of a school-university partnership and pursued the improvement of the class culture and school culture(object). It was also used the varied set of data such as survey results, materials for meeting and proceedings, audio recordings and transcriptions, seminars, and notes from the weekly meeting in a A-college researcher learning community and utilized physical tools including classroom videos, professional literature, and textbooks and conceptual tools class critiques and classroom observation and analyses for the supportive activities to carry out PLC activities with the partner school(tool). Based on studying subjects, objects, and tools of this research, it was conducted in researching on methods and systems to strengthen classroom dialogue through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hich was focused on reenforcing teachers' self-directed instructional capability(activity). At the same time there were a supportive relationship with a university and a local office of education,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a university and a school, and a relationship for establishing a PDS team with the sub-teams(community). Under the condition of its sustaining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Its members attempted to share its rules of this community: keep our community and membership permanently, respect for the voice and perspectives of others as much as possible, take responsibility for developing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nd communities of its members(rules and regulations). This community required us to run organizations by sharing its division of labor and playing a role of a leader and facilitator both in a college learninng community and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t schools(division of labor). Last and at least, a A-college researcher learning community could recognized its identity and orientation toward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and identified its problems with respect o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or developmental st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