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과 쓰기 교육과 쓰기 활동의 이해

        김명순 ( Myoung Soo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1

        In recent years, there is a growing tendency to activity-based approach in Korean arts education. In Korean arts education field, an emphasis on the use of language arts was remarkably rising since the 5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concern with the use of language arts such as writing has been continued in these days, but little attentions have been given to actualize the language use skills. This paper is intednded to examine how we understand the language use activities in language use education centered the writing instructions which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applied. Cognitive theories are limited in the accounts of human experience, especially in the social-historical context, whereas activity theory proposes a view of individual development that places humans in their full human and social-historical context. According to activity theory, activity is closely related with human consciousness development, is meant to activeness, and is never occurred independent of social-historical context. Activity theory explains that high thinking skills are developed through social activities and rather social activities leads to development of higher thinking skills. Writing skills as higher thinking skills are developed through writing activities. Therefore we have not to understand writing activities as a simple application of writing skills. Writing ability should be developed only through a learner`s direct participation to various classroom writing activities. There cannot be an activity not based on practice. A methodical knowledge of writing is only an abstraction or a linguistic coding of writing practices that we have been doing in daily lives. Thus across all writing activities, writing instructions cannot be considered outside the practice. And significance of a practical activity can only be considered within the practice governing the writing activity. Thus, we need to understand the writing activities in writing education as a realization of practical writings and as a concrete conversion which writing practices are very closely specified. Contexts are not simply given in the physical setting, and are constituted by what people are doing and where and when they are doing it. Contexts are social and historical in itself. Writing activity is also performing in some contexts and it doesn`t exist independently. Therefore, writing activity in writing instructions is understood what social-historical context reflected within writing is revealed. We have to make an offer to writing activity which learner`s real life is alive. Up to the present, the main stream of language arts instructions including writing skills has aimed the training of separate skills. This trend focuses on expecially the sub-strategies or sub-skills. But nowadays activity-based approach suggest that it is alternative to separate skill-based instructions which was resulted from cognitive process occurred at language use. It requires to study on the methods that activity-based approach is reflected on the language use curriculum including writing curriculum.

      • KCI등재

        개별논문 : 학술적 글쓰기에 있어서 “분석적/비판적” 글쓰기의 중요성과 실습 매뉴얼 -두 유형의 글쓰기가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원만희 ( Man Hee Won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5

        이 글은 특정한 학술적 글쓰기 유형들과 우리의 사고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이를 어떻게 글쓰기 교육에 반영해야 할지를 고찰하고 있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글쓰기라는 의사소통행위가 인간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매체이론이 깔려 있었다. 문자적 의사소통과 사고는 서로 뗄래야 뗄 수 없는 상관 관계를 이루는 두 항목이다. 이 항목들은 바람직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이 반영해야 할 필수 요소들이다. 필자가 강조한 것도 바로 이 점이다. 의사소통으로서의 글쓰기 교육은 사고 교육이며, 동시에 언어 교육이다. 글쓰기 교육은 이 중 어느 한 측면도 배제되어선 안되는 복합적 능력의 함양을 추구해야 한다. 핵심적인 학문적 소양으로서 분석적 사고, 평가적(논리적) 사고는 그 자체로 생겨나거나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글쓰기를 통해 더욱 함양되어야 할 요소들이며, 또 그 결과로서 보다 수준 높은 학문적 글쓰기가 산출될 수 있다. 분석적/비판적 글쓰기가 학술적 글쓰기의 전부가 아님은 너무도 분명하다. 그것들은 오히려 적극적인 의미에서의 학술적 글쓰기의 예비 단계로 여겨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 단계는 학술적 담론의 창출로 나아가지 위한 필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학술적 담론의 핵심을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능력은 새로운 학술적 담론의 창출을 위한 전제 조건이다. 이러한 준비 과정 없이는 진정한 의미에서 학술적 담론의 생산을 기대하기란어려울 것이다. 유의미한 새로운 담론의 창출 가능성도 그러려니와 그러한창출의 기반이 되는 사고력도 그 준비 과정을 거칠 때야 비로소 새로운 무엇인가를 만들어낼 수 있을 수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분석적/비판적 글쓰기의 의의는 바로 여기에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particular types of academic writing interact with our thinking elements and to suggest how one can apply it to general writing education. It is a theory of media that underlies this line of thought, which involves that writing as an act of communication has an effect on thinking ability. Literal communication is inseparably relate to thinking ability. Thus, both of them, what is stressed here, are essential elements required for a desirable academic writing. This is why educating writing as an act of communication amounts to not only a field of thinking education and but also one of language education. Writing education should lead students to accommodate their complex and integrative abilities so as to preclude them from overlook either of them. Analytic and evaluative(logical) thinking as basic academic virtues does not arise sui generis, but are cultivated and enhanced by writing practice, resulting in producing a high standard of academic writing. Analytic/critical writing is not all consisting in academic writing. This might be taken as a preliminary level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However, this should be considered as essential in order to advance to the academic discourses with respect to having a different way of thinking. For a new academic discourse, it is presupposed that one grasps the gist of established discurse(or text) and criticizes it. Without this kind of preparation process, it is not expected to attain any genuine academic discourse. Besides, one could not come up to the level of yielding anything innovative until one hold in a position to do through preliminary process. This is where a significance of analytic/critical writing is found.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교양교과로서 ‘논술’의 정체성과 수업 모형

        원만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4

        ‘Logical Writing’ as an educational course differs from ‘Free Composition(general writing)’ in that it intends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ability to write academic essays. Also, its feature as a practical course differentiates it from other basic courses such as ‘Reading and Grammar’ and ‘Logic’. Also, Logical Writing has the distinctive feature of an integrated course as it aims to enhance students’ ability of log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I expect that these features will make room for educatioal collaboration with other relevant courses that also aim to promote academic abilities. The primary aim for ‘Logical Writing’ should not lie in high school students’ preparation for college admission, but in cultivating their abilities in critical thinking and logical writing. The achievement of the former should be derived from the latter. Although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cultivation of such abilities, this had never been incorporated into an educational course. In order to achieve this, I have set a systematic practice program called ‘Critical Reading and Writing’, and I propose this program to be the frame of this educational courses. This program is based on critical thinking and is built to allow students to assess various texts and practice their own academic writing. The whole process is divided into 3 steps, ‘Reading Comprehension’, ‘Commentt’, and ‘Essay writing’ and aims to gradually improve students’ abilities in each of the three areas, and eventually their overall performance in other educational courses, through practice, and feedback from tutors. 교양교과로서의 ‘논술’은 ‘지적 혹은 학문적 탐구 영역’에서의 글쓰기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작문’ 교과와 구별되며, ‘글쓰기 중심(writing-intensive)’의 실습 교과라는 점에서 ‘독서와 문법’ 이나 ‘논리학’과도 크게 다르다. 더욱이 교양교과로서의 논술은 다양한 교과 학습 및 독서 활동 등을 통해 학습한 분과 학문적 지식을 통합하여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등을 함양하는 ‘교과 통합적(integrating subjects)’ 성격을 지닌다. 그리고 이러한 교과로서의 정체성 및 주변 교과들과의 차별성이 관련 교과목 간의 교육적 연계로 이어질 때 고등학생의 학문적 소양 강화 및 학력 수준 향상을 꾀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특히 고등학교 교양교과로서의 ‘논술’은 대입논술고사에 대한 대비가 아니라 고등학생의 비판적 사고력과 논리적 글쓰기 능력을 동시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두어야 한다. 전자는 후자로부터 자연스럽게 파생되어야 한다. 이 두 능력은 학문적 탐구와 합리적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꼭 필요한 소양이다. 이 두 소양을 함양하는 일은 그 동안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긴 했지만 실질적인 교과교육의 차원에서 다뤄지지 못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텍스트 읽기와 쓰기(이하 CRW)’라는 체계적인 실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이것을 ‘논술 교과’의 수업모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 프로그램은 비판적 사고에 기반을 두고, 다양한 교과 또는 학문 분야의 텍스트를 독해-평가하고, 또 자신의 텍스트 만들기를 체험 학습하도록 설계되었다. 전체 학습 과정을 <텍스트 읽기>, <텍스트 평가하기>, <논술문 쓰기>의 세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의 학생들의 글쓰기 실습 및 그 결과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의 논술 능력 그리고 나아가서는 학업 능력 자체의 점진적인 향상을 꾀하였다.

      • KCI등재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의 수업 설계와 교육적 가치 - 인문학의 실천적 교양교육과 연계 방안을 중심으로 -

        강민정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6

        대학 교양교육은 최근의 인문학의 상품화와 도구화 현상에서 파생된 여러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교육적 전략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특히 자의식 없이 인문학을 자본적 가치로만 수용하는 학생들에게 이를 경계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게 하는 동시에 인문학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 즉 본질적 측면에서 이를 학습하게 하여 실제 삶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해나가야 한다. 그러므로 본고는 인문학의 실천적 교양교육과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을 연계하여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그 가치를 확인하였다. 인문학의 실천적 교육과 총체적 관점의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의 연계에 따라‘(1)사고 과정-(2)사회 내 의사소통 과정-(3)사회의 제도적 맥락을 고려한 조정과 협상의 수사를 통한 실질적 담론 유통에의 참여 과정’의 세 개의 과정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대한 세부 구성은 각 과정의 교육 목표에 따라 다시 5단계로 구분하였고 이를 15주 강의 일정에 맞추어 총 8개의 교육 방법으로 구체화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수업 초반 진행한 글쓰기 이론과 사고 수업을 통해 비판적 사고 능력을 갖추었으며 글쓰기 주체로의 각성을 경험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15주 동안 단 1편의 글을 준비하고 제출하도록 하자 글쓰기는 부담스러운 것이 아니라 즐거운 의사표현 경험임을 깨닫게 되었다. 특히 충분한 사유의 시간을 거치며 시간적 여유를 갖고 준비할 수 있도록 수업 중반 자율적 계획 작성을 유도하였으며 이후 자신이 수립한 계획에 따라 관련 자료의 심층적 독해와 개요에 따른 글쓰기를 진행하였다. 수업 후반에 와서는 초고를 제출하고 1인 1발표를 진행하게 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글을 주관적 진술에 그치지 않고 나아가 객관적 담론으로 확장시키는 과정을 경험하게 만들었다. 이로써 발표자 1인에 동료 2인의 토론 경험과 교수자로부터 얻은 피드백으로 의사소통 가능성을 검증 후 이를 보완 및 수정하여 완성본을 제출하도록 하였다. 물론 완성본 제출 후 기말고사에서 학생들은 그간 발표 수업에서 들었던 다른 학생의 글에 대하여 공감이나 비판을 표하는 글을 쓰는 기말고사를 통해 학술적 담론에 재참여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고 이로써 유통을 위해서는 어떤 수사가 필요한지 그 특성을 이해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의 글을 제도적 맥락에서 실제 유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자신의 완성된 글을 직접 유튜브에 영상화하여 올리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인의 글을 조정과 협상의 수사를 통해 재구성하기에 이르렀다. 학생들은 이러한 글쓰기 경험을 통해 비판적 사고력, 표현력, 의사소통 능력, 수사 능력을 획득하였으며 글쓰기 주체로서의 자율성, 주관적 자신의 평가와 보편성을 근거로 한 사회적 판단력 사이의 균형감, 실천력을 경험하며 실제 삶에 실천 가능한 인문학적 능력으로서의 윤리적 감각을 깨우치게 되었다. 이 수업의 교육적 가치는 이렇듯 학생들에게 총체적 관점의 과정 중심 글쓰기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인문 가치를 획득하는 경험을 부여했다는 점에 있다. The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actively seek educational strategies to overcom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phenomenon of recent commercialization and instrumentalization of the humaniti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ducate for those students who do not have self-consciousness to accept humanities only as capital value to raise the insight for precaution against this, but also to educate them to practice in real life by allowing them to learn fundamental, that is essential, approach to humanities, Therefore, this study has designed the lesson by linking humanities’s practical liberal education with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and confirmed its value by applying it to actual lesson. This study divided it into 3 courses; (1) thinking process - (2) communication process in society - (3) participation process into substantive discourse through the rhetoric of negotiation and coordination considering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society, according to the linkage between practical education of humanities and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in general point of view. The details of the course were divided into five level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goals of each course, and the lessons were designed so that they could be guided by a total of eight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schedule of the 15-week lecture.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to the actual class, the students were equipped with cri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the writing theory and thought class which was conducted early in class and experienced awakening as the subject of writing. In addition, as students were instructed to prepare and submit only one article for 15 weeks, they realized that writing was not a burden but a pleasurable experience of expressing of their will. In particular, they were encouraged the autonomous planning in the middle of the classes so that he could prepare with sufficient time for thinking, and after that, according to the plan they established, they were instructed to have in-depth reading and writing of the related materials. In the second half of the lesson, students were instructed to submit the drafts and have presentation so that students could experience the process of making subjective statement about their writing and further expanding their discourses. As a result, the students were instructed to submit the final copy through supplementation and revision after verifying availability of communication with discussion experience of 1 presenter and 2 peers and feedback from the instructor. Of course, at the end of the final submission, the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re-participate in the academic discourse through the final exams that expressed sympathy and criticism about the other students' texts they had heard in the presentation class, and, as a result, they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about what rhetoric would require for communi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allow students to distribute their articles in an institutional context,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upload their completed texts directly to YouTube and re-compose their own writings through the rhetoric of negotiation and mediation. Through these writing experiences, students have acquired critical thinking, expressive power, communication ability, and rhetoric ability, and they have experienced the balance and practical power between the social judgments based on subjective self-evaluation and universality and became aware of the ethical sense as a possible humanities ability in actual living. The educational value of this class is that students are given with the experience of acquiring human values more naturally by experiencing process-oriented writing in a holistic perspective.

      • KCI등재

        광고 활용의 창의력 증진과 통섭적 글쓰기

        정진경(Jeong, Jin-Ky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5

        이 논문은 광고가 가진 특징을 글쓰기 사고력과 표현력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글쓰기 방법론과 실기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21세기는 다양한 텍스트와 글쓰기의 방식을 제공하는 시대이기 때문에 시대의 변화에 부응한 사고력과 창의력이 요구된다. 이런 맥락에서 다양한 장르의 지식을 상호 이해하여 활용하고 있는 광고를 글쓰기 방법론에 활용하는 것은 아주 유용하다. 첫째, 정치 광고에 나타난 인물의 성향이나 정치적 이슈를 만평이나 패러디 같은 비판적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다. 정치 광고는 정치적 인물이나 정치적 이슈의 부각이 메시지 전략이므로, 사회적 이슈나 인물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진단을 해야 하는 만평이나 패러디 글 같은 비판적 글쓰기에 적합하다. 둘째, 감성 광고가 가진 서사와 감성 그리고 소통의 전략을 나의 경험을 스토리텔링하는 공감적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다. 감성 광고는 감성적 동일화를 전제로 하여 공감을 얻는 서사적 전략으로 수용자와 소통을 하기 때문에 나의 경험을 공감으로 이끌어내야 하는 스토리텔링 같은 서사적 글쓰기에 적합하다. 셋째로 인종 광고에 내포되어 있는 이데올로기나 사회적 가치관을 관점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다. 인종 광고는 인종에 대한 상충된 사회적 가치관과 현상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주제와 관련해서 정보를 분석하고, 자신만의 관점을 정하여 글을 쓰는 데에 적합하다. 이러한 글쓰기 방법론은 학생들에게 시사적 문제를 보는 안목, 서사에서의 선택과 집중의 구성과 설득 전략, 자료조사와 정보의 분석 등이 창의적인 글의 관점과 표현에 관련된다는 것을 알게 한다. 이것은 글쓰기에서 다양한 장르를 상호 이해하여 활용을 하는 광고가 가진 통섭성이 학생들의 시각을 통섭적으로 확대시켰으며,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메시지의 설득성이 공감적 내용을 구성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총체적으로, 광고 분석을 통한 다른 장르 간의 상호 이해가 창의성의 토대가 된다는 것을 이해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광고 활용의 글쓰기 방법론은 매체가 가진 본질과 특수한 장점을 활용한 것이기 때문에 아주 유용한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suggest writing methodology and practice teaching method which connect convergence and creativity of advertisement to thinking and expression ability. The 21st century provides various texts and writing methods owing to globalization of information and therefore, creativity and critical insight without penetrating change of time will result in writing which cannot move or persuade others. So, for writing methodology, it is very useful to utilize merits of advertisement which have expression ability of convergence and creative message. First, it used a person"s tendency or political issue shown in political advertisement for an editorial cartoon or parody writing. The political advertisement has a message strategy to highlight a political person or issue and therefore, it is suitable for critical writing such as a cartoon or parody writing which needs diagnosis from objective viewpoint. Second, I used strategy of narration, emotion and communication kept by emotional advertisement for storytelling of my experience. Emotional advertisement makes communication with a consumer as a descriptive strategy to get sympathy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with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therefore, it is suitable for descriptive writing like storytelling which draws my experience to sympathy. Third, I used racial ideology contained in race advertisement for writing from a certain viewpoint. Because race advertisement contains social value and phenomenon conflicting with race so that it is suitable to analyze information in relation with a subject and to write sentences from one"s own viewpoint. Such writing methodology made students understand that discrimination to see current affairs, composition of choice and concentration in descriptions, persuasion strategy, data investigation and information analysis were related to viewpoint and expression of creative writing. It made them understand that convergence of advertisement was basis of expansion of thinking ability and vision, and that message persuasion was that of composition of empathic content in writing, and that the process to make advertisement such as convergent thinking and data analysis was that of creativity, and it was connected to thinking and expression ability in writing. Writing methodology using advertisement was very useful because it utilized essence and special merits of media.

      • KCI등재

        예비 초등 교사의 모의 수업 실행에 관한 연구 -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서수현 ( Seo Soohyun ) 한국작문학회 2020 작문연구 Vol.0 No.47

        이 연구는 예비 초등 교사가 초등학교 쓰기 영역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모의 수업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반성적 사고 양상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교 학생들이 설계하고 실행한 쓰기 수업 협의,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 동영상과 그에 대한 경험을 반성적으로 성찰한 일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초등 교사는 쓰기 영역이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 혼란을 겪고 있었으며, 모든 활동을 쓰기 수업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고정 관념 속에 쓰기 수업을 설계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 초등 교사는 쓰기를 단일 양식 텍스트로 인식하여 복합 양식 텍스트와 같이 확장된 쓰기 개념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 초등 교사는 수업을 준비하고 시행하는 과정에서 쓰기 수업의 중심에 쓰기에 필요한 사고가 자리 잡아야 한다는 점, 쓰기의 개념을 확장적으로 재개념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 수업은 쓰기 행위 자체가 아닌 학습자의 쓰기를 함양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예비 초등 교사의 이와 같은 수업 실행의 경험과 반성적 사고는 예비 초등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함양하는 데에 일정 부분 기여 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spects of reflective thinking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implementing simulation classes focusing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writing. To this end, the writing class discussions designed and implemented by the students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the class video, and the journal used to reflect on them were used as research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nfused about what should be taught about writing, and they tended to design writing classes based on the stereotype that all activities should be composed of writing clas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writing as a single modal text and maintained a conservative stance about the extended writing concept, including multimodal texts. However,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implementing classes,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alized that the thought upon which the writing is based should be at the center of the writing class, that the concept of writing needs to be extended and re-conceptualized, and that the class should emphasize the development of the learner's writing, not the writing act itself. It is believed that the experience and reflec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onducting classes have contributed in part to cultivating their practical knowledge.

      • KCI등재후보

        시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최옥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력 신장을 위해 글쓰기 교육에 시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를 활용하여 글을 쓰는 것은 세계를 새롭게 해석하는 발견으로서 창의적 사유를 낳는 방법이다. 시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의미의 체계화 방안과 사고의 유연성이다. 시를 활용한 스무고개는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면서 흥미롭게 놀이를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 질문을 만드는 과정은 유연한 사고와 의미의 체계화를 이룰 수 있다. 두 번째는, 대상의 의인화와 소통의 언어 방안이다. 이 방안은 나와 의인화된 대상과의 질의문답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은유는 나와 대상을 일치시키면서 세계와의 소통을 꾀할 수 있다. 세 번째는. 비유의 언어로 실용적 글쓰기 방안이다. 비유를 사용한 소개하는 글은 자신을 구체적인 이미지로 나타낼 수 있고, 독자가 글쓴이의 개성과 느낌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다. 따라서 시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은 유연한 사고력과 의미의 체계화, 세계와의 소통, 현실에서의 실용적인 글쓰기 적용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더불어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 해소와 흥미로움, 세계를 새롭게 발견하는 창의력 신장 등의 효과도 거둘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new education plans for poetry writing of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their creativity. To practice writing based on poetry is not only a new discovery of interpreting the world for the students, but also a way of building their creative thinking. The education plans for creative writing based on poetry are as follows: Firstly, it deals with a plan in terms of flexibility of thinking and systematization of significance. Twenty questions game based on poetry is an effective method that allows students to develop diverse viewpoints and to promote entertainment as well. The process of question elaboration can lead students to flexible thinking and systematization of significance. Secondly, the plan aims at personification of objects as well as a language of communication. This plan deals with the Question and Answer method proceeded between a student and the personified object. Metaphor allows the student not only to identify him or herself with the object, but also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irdly, the plan is about introducing oneself based on the language of analogy. Writings of self-introduction based on analogy allows the writer to express oneself in a concrete image, and it also helps the readers to remember the personality and impression of the writer for longer period of time. Therefore, the education plans for creative writing based on poetry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students' flexible thinking, systematization of significance,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and further practical writing application outside the classroom. Furthermore, through these new plans, some additional effects can be brought, such as interest increase in writing, fear dissolution of writing and creativity improvement.

      • 서원대학교 <사고와 표현>의 운영과 방향 모색

        황혜영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09 사고와표현 Vol.2 No.1

        Seonwon University has been holding a class of ‘Thinkingand Expression’ for freshmen as an essential course since thefirst semester of 2005. The classes are divided into about 40classes of around 40 students by department. Seowon University’s ‘Thinking and Expression’ is a basicliberal arts course using an integrated-course type textbook,and its basic purpose is to facilitate improvement of students’logical thinking and practicing expressions for writing andspeaking. In ‘Thinking and Expression 1,’ which is a class forthe first semester, students read selected texts in diversefields, and practice various forms of writing with reference oftheories of thinking, reading, and writing. The shared lectureof the class has a principle of revising at least four writingsof students and individually advising them during the onesemester. ‘Thinking and Expression 2’ puts emphasis on thevarious methods of speaking such as debate, discussion,presentation, interview. In particular, this class aims toimprove logical and persuasive speaking through groupdebate on controversial debate issues. This lecture leads students to be active in study ratherthan passive by enabling them to develop their own answersto the questions in the text; and it also facilitates them tothink of issues in the text in relation to their life. SeowonUniversity’s ‘Thinking and Expression,’ while complementingtextbooks’ contents and direction, should establish its identityas an essential humanity course, which becomes foundation ofcollege education to develop wholesome personality harmonizingintellect and emotion and to improve quality of life. 서원대학교에서는 2005년 1학기부터 신입생을 대상으로 <사고와 표현> 과목을1, 2 학기 교양 필수과목으로 개설해오고 있다. 수강반은 학과별로 40여명 내외의 수강 정원의 40여 개의 반으로 분반되어 있다. 서원대의 <사고와 표현>은 통합교과형 교재를 활용한 기초 교양 과목으로 창의적, 비판적, 논리적 사고력 향상과 글쓰기와 말하기의 표현 연습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1학기 과정인 <사고와 표현 1>에서는 여러 분야의 선별된 텍스트를읽고, 사고, 읽기, 쓰기의 이론을 참고하여 다양한 형식의 글쓰기를 연습한다. 한 학기 동안 최소 4회의 글쓰기들을 첨삭하여 개별 학생들에게 조언해주는 것을 공동강의 지침으로 하고 있다. <사고와 표현 2>는 토론, 토의, 발표, 면접의여러 가지 방법들을 활용한 말하기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찬반 입장이 대립된 논제들에 대해 조별토론을 하면서 논리적이고 설득적인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강의는 학생들이 주입식 교육의 수동적인 수용자가 아니라 텍스트의 문제에 대한 자기 나름대로의 해답을 스스로 만들어가는 강의의 주체가 되도록 이끌고, 텍스트가 담고 있는 문제들을 학생들 자신의 삶과 연관시켜 사색해보도록 유도해준다. 서원대의 <사고와 표현>은 앞으로 강의 내용과 방향 차원에서, 강의 매체 활용 차원에서, 교재 내용과 방향 차원에서 보완을 해나가면서 지성과 감성이 조화를 이루는 전인격적인 인성을 계발하고 삶을 고양시켜 줄 수 있는 대학교육의 바탕이 되는 필수 교양 과목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논술지도능력 함양의 실제와 전망

        박선양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51 No.4

        Nowadays, one must have a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in order to find one's way into global society, which can be cultivated in part by logical writing. In this connec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fines the features of its logical writing test of entrance examination as the aspect of an awareness of issues including problem discovering and solving, the aspect of logical, creative, and synthetical thinking, and the aspect of the curricula including writing and integrating subject. In this respect, specialized teachers are needed in order to educate students on logical writing. First of all, they should establish sound views of history and world, and read a society with the problem consciousness. Therefore, the instructors who train the logical writing teachers must research newly and get fresh training themselves. In this essay, I will look into the course and the contents of the logical writing teachers proceeding in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of Kunsan National University. 논술교육은 원래 논술의 의미인 인간과 삶의 전 영역을 포괄하여 주체성을 인식하고 실천적 삶으로 이끄는 역할을 지향해야 하지만 현행 중등교육현장의 논술교육은 대학입시와 직결되어 있다. 대학 입시로서 논술은 통합교과논술로 문제의식 측면과 창의력, 통합교과 측면을 강조한다. 구체적 시험형태로는 제시문들을 주고 각 제시문을 활용하여 논제에서 묻는 바에 대해 답하는 형식이다. 제시문의 형태나 영역은 인간 삶의 모습만큼 아주 다양하다. 이러한 제시문을 독해하여 논제에서 묻는 것에 적용하는 능력은 여러 능력을 필요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학교 교과교육으로는 어렵다고 본다. 범교과는 탈교과가 아니라 다양한 교과영역의 원리를 바탕으로 인간과 사회에 대한 본질적 질문을 하는 것이다. 그 대답은 독창적이어야 하며 이를 내세우는 데에는 논증력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새로운 차원의 논술지도능력이 요구된다. 그 장기적 방안으로 대학의 정규 교과과정을 통해 새로운 논술교사를 양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교사로서 필요한 능력은 가르치는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과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이다. 전자는 어느 정도 교육과정에서 닦을 수 있지만 후자는 직접 경험 없이 기르기 힘들다. 논자는 특히 강의기술 측면을 고려한 교육 시스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교육시스템 구축의 행보에 나선 군산대 철학과 교과과정 사례연구를 통하여 논술교사 능력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려 한다. 그 전제조건은 아직 제자리를 찾지 못하는 논술교육의 현실에 비춰 이미 대학이 논술환경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이상 논술교사 양성의 적극적 역할 역시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재난 이후 인문학적 실천 — 세월호의 ‘바람’에게

        한순미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2

        After the Ferry Sewol disaster, trauma was quickly transmitted through the media and urgently called for a change in cognition that something had to be don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at what issues have been raised in the realm of humanities since Ferry Sewol, focusing on several papers, books and media published before and after Ferry Sewol. First, in Section 2, we read about the emergence of sentences with unfamiliar structures since Ferry Sewol and looked at the context in which new issues emerged by reinterpreting some concepts. In the following Section 3, we analyze what thinking and how writing has been practiced at the intersection of other historical and social disasters such as Ferry Sewol, 5ㆍ18 Gwangju, Auschwitz and Fukushima. The final Section 4 will conclude by pointing to the limitations of forgiveness, mourning and healing efforts after Ferry Sewol. The task of genealogically exploring changes in concepts and perceptions caused by historical and social disasters remains a task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세월호 참사 이후 트라우마는 미디어를 통해 빠른 속도로 전염되었고무엇인가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인식의 변화를 긴급하게 촉구했다. 이 글의 목적은 세월호 이후 인문학의 영역에서 어떤 쟁점들이 제기되어 왔는지를 세월호 전과 후에 출간된 몇 편의 논문과 저서, 매체 등을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2장에서는 세월호 이후 낯선 구조를 지닌 문장들이 출현하고 있는 현상을 읽고, 몇몇 개념들을 재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사유가 출현하게 된 맥락을 살펴보았다. 이어지는 3장에서는 세월호, 5ㆍ18 광주, 아우슈비츠, 후쿠시마 등의 교차점에서 어떤 사유와 글쓰기의 실천해 왔는지를읽어본다. 마지막 4장에서는 세월호 이후 애도와 치유를 위한 노력의 한계를 짚어보면서 마무리할 예정이다. 다양한 재난들로 인한 개념과 인식의 변화를 계보학적으로 탐색하는 작업은 향후 수행할 과제로 남겨둔다. 세월호 참사 이후에 인문학의 영역에서 제기한 논의들은 동아시아 그리고 세계에서 일어난 재난들에서 무엇을 어떻게 다시 진단하고 성찰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고민을 안겨준다. 분명한 것은 자연적, 사회적, 역사적 재난들이 한 국가라는 범위에서 다룰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의 몸은 재난으로 연결된 하나의 공동체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