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후 소설에서 ‘부재하는 아버지’와 ‘변형된 아버지’의 양상 연구 김동리의 「까치소리」, 손창섭의 「혈서」, 서기원의 「암사지도」를 대상으로

        정연희 국제언어인문학회 2010 인문언어 Vol.12 No.1

        The Study on the Absent Symbolic Father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Father in the Postwar Novel: On the Focus of Kim Dong Lee's <A Magpie' Sound>, Son Chang Seop's <A Writing in Blood>, Seo Gi Won's <A Blank Map> Yeon-Hee Jeong (Kyung Hee University)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some transformations of a father in father's absence world. Especially, Kim, Dong-Lee's novel <A magpie's sound>, Son, Chang-Seop's novel <A writing in blood>, Seo, Gi-Won's novel <A blank map> are focused. This three novels show 'an alternative of a father' in the post-korean war society when fathers are absent. An alternative of a father means some images of superego that follows a rull of a phallic worship. So, this study tries to research and analyze some aspects of superego. And then, various inner conflicts, like a psychological complication and panic, are researched by a view of psychoanalytics. <A magpie's sound> shows a hopeless close of the subject, who is deficient in a paternal ego-ideal and is overwhelmed by maternal superego in the postwar's situation. Expecially 'the magpie's sound' of the end and the diseased narcissist is overwhelmed by the sound and the figure of “a dark-blue barley field” and the birds flying into the dim light embody the atmosphere, it is unique and fantastic. <A writing in blood>'s 'room' means metaphorically the paranoiac world of the hopeless postwar's situation, it has not reference point that tolerate the objective perspective or the signifiant that establish the new inter-subjective relation. 'The transformation of the Father', to govern the world of the 'room', is embodied by 'Junseok' and is the wicked law of superego. A paranoiac construction in <a writing in blood> deserves attention. The reality in that story is concentrated on the 'room', but it is not the entire reality. The 'room' is described by the paranoiac view-point. <A blank map> show the Father-of-Enjoyment and the shadow of Symbolic Father, that occupied the vacancy of the Father to be denied and destroyed. These two Fathers cannot interchange roles as the Symbolic Father. Two Fathers represent psychophysical chaos of postwar's generation. It is appearance that the postwar's generation has not liberty absolutely in the vacancy of the Father and on the contrary be in dependent on the phallic logic strongly and show a spiritual deadlock as a result of compulsion. The postwar novels involve selfconsciousness called as a common victim in war and the postwar's generation sink under defeatism and nihilism and decadence in the postwar novels. Although, those works hold in common defeatism and nihilism and decadence, but paradoxically express the violence of barbarous days and internal confusion in an extreme chaos. It's meaning that these novels has. As a result, the novels accomplish insight about human and society

      • KCI등재

        어느 전공투세대의 민주주의론―가토 노리히로의 전후론을 중심으로―

        이경희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학연구 Vol.54 No.-

        This paper aims to disclose the whole path of Katō Norihiro’s postwar theory. As one of the first generation ‘postwar’ literary critics, he has deeply examined ‘postwar’ issues such as Constitution, US-Japan relationship, democracy and nationalism. In his latest postwar theory, Introduction to Postwar(2015), Katō reconsidered Nanbara Shigeru’s advocacy of an overall peace and the peaceful amendment of Constitution. Consequently, he proposed the idea of self-reliance from America, which synthesizes the overcoming of nationalism and the reorganization of mystical democracy in a single continuum. As Katō tries to form a ‘national consensus’ on the scheme ‘worldness of the entrance of postwar= idea of democracy and peace’ in Introduction to Postwar, his ultimate aim of Japan’s self-reliance from America seems to be a natural consequence of the previous works America’s shadow(1985) and Theory after the Defeat(1997). 이 논문은 전후 첫 세대 문예비평가 가토 노리히로가 ‘전후’의 문제들과 마주하며 구상해 온 ‘민주주의’의 사상적 궤적을 검토한 것이다. 가토는 1960년대 말, 전후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적 기운 속에서 ‘민주와 평화’ 이념의 신화화를 부정(전공투운동)하며 사상 형성을 시작했다. 그리고 냉전 종결 전야에 그는 『미국의 그림자』(1985)로 논단에 데뷔했다. 여기서는 ‘반미’와 무관해 보이는 ‘전후’ 일본의 예사롭지 않은 내셔널리즘의 분출을 예감하고 내셔널리즘의 극복을 또 하나의 과제로 설정하면서 ‘젊은 민주주의자’ 에토 준과 ‘노년의 민권론자’ 나카에 조민을 횡단했다. 나아가 포스트 냉전기의 전후론을 대표하는 『패전후론』(1997)에서 그는 ‘민주와 평화’의 신화를 해체할 사상적 방법론의 확립을 시도하면서 이를 적용한 헌법 재선택론, 애도를 통한 사죄론을 제시했다. 또 근년의 『전후입문』(2015)에서는 난바라 시게루의 전면강화론과 헌법의 평화적 수정론을 제고하면서, 내셔널리즘의 극복(『미국의 그림자』)과 신화적 민주주의 재편(『패전후론』)을 하나의 연속체로 꿴 대미자립안을 개진했다. 가토는 현재 일본의 정치 상황에 대한 민주주의 실천의 ‘직접적인 커미트먼트(활동)’라는 점에서, 『전후입문」이 자신의 전후론으로서 지니는 이례성을 언급했다. ‘직접적인 커미트먼트’란, ‘전후’의 기점이 지녔던 세계성을 회복할 ‘국내적 컨센서스’를 형성하는 것이다. 거기서 그가 표방하는 민주주의는 이념 그 자체보다도 일본의 대미자립을 지탱하는 저항의 논리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후입문』 이전의 논의들과 연속해 있다.

      • KCI등재

        〈신들의 깊은 욕망〉이 표상하는 전후 일본 모더니티의 복잡성

        하정현(Ha, Jung-hyun) 한국영화학회 2018 영화연구 Vol.0 No.77

        이마무라 쇼헤이의 첫 번째 컬러 영화 〈신들의 깊은 욕망〉(1968)은 이전 영화들의 주제의식 및 작가적 태도를 관통한다. 그럼에도 〈신들의 깊은 욕망〉에 대한 그간의 평가는 ‘원 일본으로의 회귀’ 또는 ‘전전 제국주의에 바탕을 둔 일본적 내셔널리즘의 확인’차원에 한정되었다. 선행연구는 이마무라 전작에서 반복되는 소재들에 집중하는 반면 그 소재에 대한 이마무라의 시선 변화를 감지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전후 일본의 모더니티 재고에 대한 이마무라의 시각은 〈신들의 깊은 욕망〉을 전작과의 관계 속에서 해석할 때 발견할 수 있다. 이마무라는 〈신들의 깊은 욕망〉을 통해 전후 일본 모더니티에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전후 일본사회는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특수와 함께 정치·사회·문화의 총체적 변화를 경험하며 전후의 탈진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모더니티가 조성된다. 전후 일본 모더니티는 전범국가 일본의 형질전환과 함께 구축되었다. 이 과정에서 천황과 미국, 전쟁과 평화, 패전, 냉전의 문제 그리고 이에 따르는 계급, 세대, 젠더의 갈등 등 마이너리티의 목소리는 경제성장의 미명아래 비가 시화 되었다. 〈신들의 깊은 욕망〉은 〈일본곤충기〉(1963), 〈인간증발〉(1967)과 마찬가지로 마이너리티에 대한 이마무라의 관심과 전전에서 전후에 이르는 일본의 역사에 대한 재인식이 담겨있다. 또한 이마무라는 영화적 실험과 영화 제작에 대한 자전적 면모, 경제적 부흥과 전후에 대한 역사 인식에 지속적인 ‘재고’를 언급한다. 이는 현재의 정치적 현실과 그 정체를 규명하기 위해 역사의 루트를 살펴야 한다는 이마무라의 창작 방법론으로 이어진다. 〈신들의 깊은 욕망〉에서 이마무라는 인류학을 동시대 일본의 정체와 마주하는 태도이자 기록의 방법론으로 삼는다. 〈신들의 깊은 욕망〉은 종횡으로 가로지르는 카메라 워크와 그리드의 미장센, 음향의 충돌, 시점 쇼트 배제 등의 스타일과 함께 시대와 세대가 종횡으로 뒤얽힌 일본 전후 갈등의 복잡성을 표상하고 곧장 그 ‘틈새’를 파헤친다. 즉, 이마무라는 역사의 투명성을 의심하며 그 물질적 토대를 드러낸다. 나아가 액자구조의 엔딩에서는 이마무라의 자의식인 주인공 카메타로를 통해 모든 폭력이 공동체를 위한 일로 합리화되는 것에 비판적 시선을 표명한다. Shohei Imamura’s the first colour film <Profound Desire of the Gods>(1968) goes through the thematic consciousness and artistic attitude of his previous film. In spite of that, 〈Profound Desire of the Gods〉has been considered as ‘reversion to the Original Japan still intact’ or ‘confirmation of Japanese Nationalism that is based on Showa period’s imperialism’. Major researches have been focused on repetitive subject with whole Imamura’s films, while have not been perceived his alteration of vision. Considering 〈Profound Desire of the Gods〉 with all of his films, makes the possibility of Imamura’s reconsideration points about postwar Japanese modernity. Postwar Japanese society have been made of new modernity in the conquering postwar exhaustion with whole rapid changing of politic, society and culture through the Korean-War and the Vietnam-War. In the postwar Japanese modernity which had constructed with Japanese transformation from war criminal to advanced nations which incident to Tenno and America, the war and the peace, the war defeat, the Cold War problems, and in there, a minority’s voices as invisible history like class, generation and gender problems have been hidden under the name of rapid economic growth. Imamura approaches postwar Japanese modernity, critically through 〈Profound Desire of the Gods〉. 〈Profound Desire of the Gods〉 has a new understanding of Japanese contemporary history. Also Imamura reveals continuing interests of a point of ‘reconsideration’ about filmic experiments, an autobiographical aspects about film making and historicity of postwar. It leads to his method that is digging into the inside details of a route of History for investigate a political realities and its substance. Imamura takes an anthropologic as methods of recording and attitude. 〈Profound Desire of the Gods〉 represents complexity with postwar Japanese tangled, crisscrossed feud and digs the cracks of it directly with a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riss-crossing camera work, grid mise-en-scéne, collision of sound, exclusion of point of view shot. Then, through a protagonist Kametaro, Imaura expresses critical view of the violence tending to justify itself.

      • KCI등재

        중립, 그리고 오지 않은 전후 : 신동엽과 전봉건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김지윤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6 No.-

        이 논문은 현재 우리가 처해 있는 전후문학 연구의 딜레마와 ‘전후’ 개념과 범위 설정에 대한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 전후문학 논의의 전제 하나를 제시하려 하였다. 또한 전후문학을 바라보는 협소한 시각을 넓히고 전쟁을 양의적으로 고찰하며 당대 현실과 시단의 재편성 속에서 새로움을 모색한 소위 ‘전후파’의 문학 속에 드러난 ‘전후’에 대한 인식을 재조명해보려 했다. 기존에 전후문학은 전쟁의 허무, 황폐함, 우울, 죽음의식, 불안 등 부정적 요소에 중점을 두고 주로 연구되었는데, 전쟁이 끝난 직후 당대인들이 욕망했던 ‘포스트시대’의 전모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쟁의 양의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전쟁을 끔찍한 재난, 비참한 파국, 혼돈 상태로만 받아들인다면 그것을 정상화 혹은 복구하기 위해 서둘러 그 상태를 종료시켜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어지기가 쉽다. 해방 이후 ‘청산’하고 ‘극복’해야 한다는 목적 아래 서둘러 ‘포스트’라고 말하게 된 것은 아닌지 의심해보기 위해 우리는 ‘전후’, ‘식민지후’를 재조명해야 하며 그것이 진정으로 청산되고 극복된 것인지에 대한 끊임없이 현재적인 질문을 던져야 한다. 당대인들이 욕망했던 ‘포스트’ 시대와 그에 대한 전망을 구현하려는 문학적 전략, 그리고 그것이 실패한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이 글은 ‘휴전’이라는 사건 직후의 시대를 조망하며 그 하나의 방식으로 전후문학에 나타난 공간의식을 살펴보았다. 당대인들의 ‘시도’와 ‘실패’를 동시에 검토하는 것이 의미 있는 이유는, 이것이 ‘끝나지 않은 전쟁’이라는 문제를 환기시킨다는 데 있다. ‘오지 않은 전후’에 대한 인식이 잘 드러나는 것이 신동엽, 전봉건의 전후기 시 작품들이다. 신동엽과 전봉건의 전후기 시들은 당대의 현대성 담론, 시대적 상황과 사회의 공통욕망 등을 반영하면서도 자신들의 독자적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이들의 작품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코스모폴리타니즘과 아나키즘적 문제의식과 이상을 담은 새로운 공간에 대한 상상이었다. ‘포스트시대’가 아직 도래하지 않았음을 반복해서 환기시키는 일은 당시 정치적 상황에 대한 문제제기 및 극복 의지, 도전성을 보여준다. 미-소 냉전체제나 자본의 힘이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던 당대의 한국 현실에서 ’아직 오지 않은 전후’를 환기시킨 것은 ‘식민지후’, ‘전후’에 돌입했다고 할 수 없는 한국적 현실과 그 배후에 있는 원인들을 자각하게 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이 제시하는 ‘중립지대’에 대한 공간적 상상 혹은 탈경계적 평화주의의 이상은 ‘구성된 평화주의’나 ‘문서상의 평화’에 대한 항변의 뜻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전쟁 위협’ 혹은 ‘평화’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하는 시도들과 외부의 개입에 의해 이루어진 ‘휴전’ 속에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거나 더욱 곪아가며 남아있는 문제들을 ‘아직 끝나지 않은 것’으로써 지속시키기 위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들의 문학적 대응은 현재 우리의 문제를 성찰하고 여러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참조점이 되어준다. 신민족주의와 신자유주의가 범람하는 지금의 세계에서 ‘전후’ ‘식민지후’라는 개념을 재고찰할 필요성은 더 높아졌다. 이는 언젠가 도래할 ‘종전문학’을 예비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Looking back on the preceding study of postwar literature, this paper tried to raise some questions about the dilemma of the post-war literature study and the setting of the concept and scope of “post-war” literature that we are currently dealing with, and put forward a premise of the post-war literature studies. The concept of post-war literature is very difficult, complicated and must be closely examined in Korean circumstances because of the long truce. By far, Postwar poetry has generally studied in the context of desolation, nihilism, anxiety, and death consciousness.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attempts to expand the horizon of the study on the postwar poetry by looking at it in the context of renewal, new hope, reconstruction, and regenerat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postwar period as a starting point’, reviewed the period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tried to identify the ‘newness’ that Korean modern postwar poetry desperately and enthusiastically facilitates, and reveal the identity that contemporary writers of the time seek to establish. Considering that the military regime and the cultural dark ages has lasted for some time since the 1960s, the creative consciousness or productivity of this period cannot in fact have achieved the purpose originally expected. This paper examined the propensity in the overall post-war literature and discussed its specific examples through works by Shin Dong-yup and Jeon Bong-gun. This paper noted the perception of ‘neutral zone’ and ‘unfinished postwar’ in their work. What could be found in their works was their imagination of a new space featuring cosmopolitanism and anarchistic ideals. The spatial imagination of the trans-boundary ideal of pacifism from their works, may imply an objection to negative realities and political situations of those days. The literary response of poets during this period is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in solving the current problems facing our society

      • 일반논문 : 전후문학 각색 영화에 나타난 전쟁의 기억과 전후 현실

        김대중 ( Dae Joong Kim ) 한국영화교육학회 2013 영화교육연구 Vol.15 No.-

        60 years have passed since cease-fire of the Korean war this year. Bur Koreans still face reality and the source of many problems in the division and war. Since the cease-fire of the Korean war, long division problems and trauma of war have been buried under ``collective memory`` which was victory in the fight against the enemy than to be solved, healed and overcome. In addition, many films dealing with the war Korea also had been become the tool of propaganda for the anti-Communist ideology for strengthening and maintaining the system of government, or used as entertainment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huge epic spectacle. However, some of films had different aspects from the number of films mentioned above. This article would remember the another meaning for the war by considering this some of works. Films such as <Aimless Buller>(1961), <Extra Humans>(1964), <Trees Stand on Slope>(1968), <Flame>(1975) expressed individual`s memory about war and severe social reality of postwar. These films adapted on the postwar novels published in the 1950s films have not only faithfully represented the priginal but also strengthened meaning and themes of that. Therefore this article is ``Remember of Remember`` and resistant to forgetting as it remembered the meaning of the war through these films. The war come out and described by memory and reminiscence of Individuals as existence has shown distinctly different aspects from general anti-communist films mentioned above. In particular, so psuchplogical flashback technique used in these films coupled with ``steam of consciousness`` features shown in the series of existentialist novels that a sense of these topics were well represented. In addition, these films let us rediscover the trauma of war to make suture with stengthening system ideology, the representation of anti-communist narrative and the memory of win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grim postwar reality. And these films make us identify that the cause of toung people`s wander and despair lies in the war.

      • KCI등재

        아메리카니즘과 성매매 여성-주요 전후소설을 중심으로-

        강정구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This Essay discussed about Americanism and harlots so call ‘yang-gongju’ in the postwar-novel of 1950s. Americanism in Korea expresses the postwar-phenomenon that Korean runs mad in the American thought and culture unconsciously, and theirs thought and culture is bad. Firstly, Americanism of postwar Korea shows wills forward truth. This will is expressed on the novel such as Kim, Seonghan’s Medium. Cheonok represents human who falled in Americanism. She like anything of America. America is truth. Secondly, Americanism lets Korean forbidden in that Korean don't speak and criticize on the anti-America, American bad acts is understanded in other manner. If Korean wife prostitutes with the U. S. Army soldier, who is abused? We think Korean wife and the U. S. Army soldier, but in postwar Korea it is no problem. Thirdly, postwar Korean think we have to be different from harlots. Harlots and American have culture together. Postwar Korean likes American have culture, but hates Harlots. Because Americanism runs in this Korean thought. 이 논문은 전후소설에 나타난 미군 상대의 성매매 여성 표상이 1950년대의 한국사회에서 아메리카니즘이 구조화되는 새로운 인식을 잘 보여준다는 점을 검토했다. 아메리카니즘은 해방 이후 미국의 친미화 전략과 그 전략을 나름대로 수용⋅활용한 한국의 지배권력⋅엘리트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지점에서 발생⋅확산되어서 한국인에게 내면화된 것이었다. 기존의 연구사에서는 미군⋅남성⋅국가⋅여성 집단의 필요에 따라서 부정적이거나 동정적인 대상으로 성매매 여성을 논의했으나, 이 논문에서는 아메리카니즘의 차원에서 성매매 여성 표상을 분석했다. 첫째, 전후 한국인의 아메리카니즘은, 미군을 상대한 성매매 여성을 표상한 전후소설인 김성한의 「매체」에 잘 드러나 있었다. 아메리카니즘은 천옥이라는 인물의 언행을 통해서 미국식 가치⋅문화를 진리의 위상으로, 반면에 한국식 가치⋅문화를 거짓의 위상으로 구분해내는 사고방식으로 작동했다. 아메리카니즘은 천옥의 언행을 통해서 이분법적⋅위계적인 진위의 대립으로 나타난 것이었다. 더욱이 아메리카니즘에 대한 천옥의 의지와 실천과 결과물은 전후사회에서 보편적인 이념과 권력과 부로 치환⋅유통됨을 보여주었다. 아메리카니즘은 천옥을 통해서 보편적인 이념 즉 진리로 생각되고 말해지는 것이었다. 둘째, 미군과 매음하는 아내에 대해서 그 미군을 향한 분노⋅비판⋅반발을 하지 않은 채로 침묵의 태도로 일관하는 남편의 모습은 반미적인 언행을 할 권리가 금지된 전후사회의 아메리카니즘을 잘 보여줬다. 오상원의 소설 「난영」에서는 미군의 비(非)도덕적인 악행이 묵인되고 아내의 매음 행위가 가족의 생존을 위한 필요악으로 인식됨을 형상화했다. 또한 오영수의 소설 「학도란 사나이」에서는 미군과 매음을 하다가 도주한 아내에 대해서 남편인 학도가 미군을 비판하기 보다는 개인적인 불운으로 치부해버리는 모습이 형상화되었다. 아메리카니즘은 미군에 대한 개개인의 분노⋅비판⋅반발을 금지시켜 놓았다. 셋째, 미군을 상대한 성매매 여성과 문화적으로 구분되려는 일반인의 심리적인 자기 검열 속에는, 미국(대중)문화의 양면적인 속성들을 공유하는 두 대상-미군과 성매매 여성-을 진리와 거짓으로 분할하여 하나를 배척하는 아메리카니즘이 숨어있는 경우가 많았다. 김광주의 소설 「혼혈아」에서는 일반인이 자신을 성매매 여성과 구분하고자 댄스문화의 퇴폐적⋅향락적인 속성을 성매매 여성문화의 특성으로 분할하여 배척하는 아메리카니즘이 작동하였다. 그리고 강신재의 소설 「해결책」에서도 성매매 여성인 김미라와 구분되려는 덕순의 심리 속에는 미국문화와 성매매 여성문화를 분할⋅배척하는 아메리카니즘이 잘 나타났다. 전후소설에 나타난 미군 상대의 성매매 여성 표상에는 아메리카니즘이 진리에의 의지로 작동되고 반미에 대한 분노⋅비판⋅반발의 언행이 금지되며 미국(대중)문화의 부정적인 속성이 성매매 여성문화의 특성으로 분할⋅배척되는 배제의 과정이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아메리카니즘은 1950년대의 한국인이 미군⋅미국에 대해서 지닌 특정한 사고방식을 잘 설명해주는 것이다.

      • KCI등재

        아메리카니즘과 성매매 여성 -주요 전후소설을 중심으로-

        강정구 ( Jeong Gu Kang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This Essay discussed about Americanism and harlots so call ‘yang-gongju’ in the postwar-novel of 1950s. Americanism in Korea expresses the postwar-phenomenon that Korean runs mad in the American thought and culture unconsciously, and theirs thought and culture is bad. Firstly, Americanism of postwar Korea shows wills forward truth. This will is expressed on the novel such as Kim, Seonghan’s Medium. Cheonok represents human who falled in Americanism. She like anything of America. America is truth. Secondly, Americanism lets Korean forbidden in that Korean don``t speak and criticize on the anti-America, American bad acts is understanded in other manner. If Korean wife prostitutes with the U. S. Army soldier, who is abused? We think Korean wife and the U. S. Army soldier, but in postwar Korea it is no problem. Thirdly, postwar Korean think we have to be different from harlots. Harlots and American have culture together. Postwar Korean likes American have culture, but hates Harlots. Because Americanism runs in this Korean thought.

      • KCI등재

        한국에서 본 전후일본교육의 궤적 -교육칙어와 교육기본법의 연속과 불연속-

        박균섭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0

        한국의 정치지형은 산업화와 민주화의 구도를 특징으로 하지만, 특히 광복 60주년 장면과 광복 70주년 장면 사이의 10년의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일본은 전후 60년과 전후 70년의 차이는 그리 특별한 의미는 없어 보인다. 한국의 산업화-민주화 구도와는 달리 일본의 정치지형은 개헌-호헌의 구도가 갈등 관계를 보이고 있다. 그것은 한마디로 전후체제를 탈피하는 구도이다. 그러면서도 애국심, 교육재생, 731포즈를 하나의 계열언어로 제시하고 있다. 그래서 그 교육재생이 위험하다는 것이다. 본질을 말하자면, 교과서 파동, 야스쿠니 참배, 교육기본법 개정, 호헌-개헌 문제 등은 한국이나 중국과 갈등을 일으킬 문제라기보다는 일본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일본 내의 정치적 성숙과 협동적·지성적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를 풀어야만 전전·전중·전후의 문제에 책임 있게 임하는 일본의 자세라고 말할 수 있다. 그것이 진정한 의미의 바른 일본, 강한 일본, 아름다운 일본, 새로운 일본으로 가는 길이기 때문이다. Korea’s politics are characterized the composition of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We need to observe the change of the ten years, especially sixtieth and seventieth anniversary of Korea’s Independence Day. Meanwhile, there seems no specific meaning the difference of the postwar period sixtieth and seventieth in Japan. Unlike Korea’s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Japan’s politics are in conflict with the constitution amendment and the protection of constitution. It is simply an avoidance of postwar system. But at the same time, they present belonging to the same language such as patriotism, renewal of education and 731 postures. That is why the renewal of education is dangerous. Speaking of essence, the problems of history textbook, Yasukuni Shrine, framework act on education, pacifist constitution and so on are domestic problems of Japan rather than the problems of Korea-Japan or China-Japan. Japan has to solve the problems by means of political maturity and the cooperative and intellectual interaction. We can say that is Japanese posture which deal with the responsibility about the issues of prewar, wartime, and postwar. That is the way to proceed to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right Japan, strong Japan, beautiful Japan and new Japan.

      • KCI등재

        한국에서 본 전후일본교육의 궤적 ‒ 교육칙어와 교육기본법의 연속과 불연속 ‒

        박균섭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0

        한국의 정치지형은 산업화와 민주화의 구도를 특징으로 하지만, 특히 광복 60주년 장면과 광복 70주년 장면 사이의 10년의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일본은 전후 60년과 전후 70년의 차이는 그리 특별한 의미는 없어 보인다. 한국의 산업화-민주화 구도와는 달리 일본의 정치지형은 개헌-호헌의 구도가 갈등 관계를 보이고 있다. 그것은 한마디로 전후체제를 탈피하는 구도이다. 그러면서도 애국심, 교육재생, 731포즈를 하나의 계열언어로 제시하고 있다. 그래서 그 교육재생이 위험하다는 것이다. 본질을 말하자면, 교과서 파동, 야스쿠니 참배, 교육기본법 개정, 호헌-개헌 문제 등은 한국이나 중국과 갈등을 일으킬 문제라기보다는 일본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일본 내의 정치적 성숙과 협동적・지성적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를 풀어야만 전전・전중・전후의 문제에 책임 있게 임하는 일본의 자세라고 말할 수 있다. 그것이 진정한 의미의 바른 일본, 강한 일본, 아름다운 일본, 새로운 일본으로 가는 길이기 때문이다. Korea’s politics are characterized the composition of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We need to observe the change of the ten years, especially sixtieth and seventieth anniversary of Korea’s Independence Day. Meanwhile, there seems no specific meaning the difference of the postwar period sixtieth and seventieth in Japan. Unlike Korea’s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Japan’s politics are in conflict with the constitution amendment and the protection of constitution. It is simply an avoidance of postwar system. But at the same time, they present belonging to the same language such as patriotism, renewal of education and 731 postures. That is why the renewal of education is dangerous. Speaking of essence, the problems of history textbook, Yasukuni Shrine, framework act on education, pacifist constitution and so on are domestic problems of Japan rather than the problems of Korea-Japan or China-Japan. Japan has to solve the problems by means of political maturity and the cooperative and intellectual interaction. We can say that is Japanese posture which deal with the responsibility about the issues of prewar, wartime, and postwar. That is the way to proceed to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right Japan, strong Japan, beautiful Japan and new Japan.

      • KCI등재

        식민(지) 의 기억과 전후 연대의 상상력 - 고바야시 마사루의 『쪽발이』를 중심으로

        오태영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114 No.-

        After the defeat, there were always excluded and marginalized persons in the process of drawing the boundary of the national state and the process of 'nation-becoming' in accordance with it. They are the reincarnations of the collapse of the empire-colonial system, the emancipation of the empire and the liberation of the colonies. Also, they were those who were shaken or bound up as non-people on the border. Among them, there were those who had been involved in establishing their identity as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colonial Joseon continued to evolve in the process of living in Japanese society after postwar. Those who had a contradictory stance of the Japanese residents in colonial Joseon as the colonial, they uncovered the sealed memories, and became aware of the share of memory and understood the position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the others. At the same time, they searched for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had been living in a system of orderly cold division under the Korean War. In this article, we focused on recognizing the limits of formulating the memories of the colonial rather than recognizing the nationality and demarcating the national boundaries through sharing the memory of defeat. Thus, this article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through the ethical practice of disguising self as the object of denial that operates the technology of memory for self-affirmation. 패전 이후 국민국가 경계 긋기의 작업과 그에 조응한 ‘국민-되기’의 과정에 는 언제나 배제되고 소외된 자들이 존재했다. 그들은 제국-식민지 체제의 붕괴, 제국의 해체와 식민지의 해방이라는 사건이 새롭게 탄생시킨 존재들로, 경계 위 에서 동요하거나 비(非)국민으로 내몰린 자들이었다. 그리고 그들 중에는 과거 식민지 조선의 체험과 기억이 패전 이후 일본사회를 살아가는 과정 속에서도 지 속적으로 환기되면서 정체성 구축에 동요일 일으키고 있는 자들도 있었다. 구식 민자 재조일본인이라는 모순적 위상을 가졌던 그들은 봉인된 기억을 발굴하고, 기억의 분유(分有)를 자각하여 타자로서 재일조선인의 입장을 이해해가는 한편,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고착화되어갔던 냉전적 질서 하 분단 체제를 살아가고 있 었던 재일조선인과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이 글에서는 패전의 기 억을 공유하는 것을 통해 국민국가의 경계를 획정하고 국민 됨을 자각하는 것이 아닌, 식민(지)의 기억을 분유하는 것이 갖는 한계를 자각하는 한편, 자기 긍정을 위한 기억의 테크놀로지를 작동시키는 자기를 부정의 대상으로서 환멸하는 윤리 적 실천을 통해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는 고바야시 마사루의 서사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