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함께 여는 미래, 정치윤리의 책임론적 모색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4 기독교사회윤리 Vol.8 No.-

        There are so many requests for political ethics in Korea. Particularly, Christians responsibility for ethical politics and future of political culture needs so urgently. Now we must give some answer or moral insight for this context. But this study is not column for mass-com but some theoretical research for ethic of responsibility.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 "Responsible Christian Political Ethics". It has four focuses. First, the motive is realistic concern about political reality. In this section, the theoretical base is applied from Reinhold Niebuhr`s Christian realism and Max Weber` ethic of responsibility. Second, the character is responsiveness. It`s theory derived from H. Richard Niebuhr`s concept of man-the answerer and import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of Larry May. Third, the tense is future. Particularly,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for next generation or future of Hans Jonas is very important. Fourth, the main subject is political power under responsibility. W. Schweiker`s integral theory of responsibility is the base of this section. And this paper is a study on application of these theories. For example, collective egoism, human rights, war and peace. etc. Of course, there will be some other issues for political ethics in Korea. Responsible Christian Political Ethics can be applied it`s ethical insight for development of political ethics.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is: Christian political ethics is the condition of right political culture, Christian must be responsible for transformation of political culture. Specially, in Korea, Christian have little concerning about political reality. Korean Christian must to have participative and responsible concern about political reality for realization of God`s will.

      • 도산 안창호의 정치관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16 민족사상 Vol.10 No.2

        This thesis is a writing analysing the political view of Do San. In a political thinker, political view is a key theme of the study dealing with. In order to properly deal with the political ideas and political philosophy of a political thinker, political view as the premise of analysis can be called a fundamental need. To analyse the political view of Do San Ahn Chang-Ho, first of all, the concept and content of politics should be built. On this, the political view of Do San Ahn Chang-Ho is follows. First, the political view of Do San Ahn Chang-Ho is regulated as the theory of master politics. Here, a master is the antonym of a passenger or slave. Do San always asserts that a theory of master politics is the theory of politics for the development and future of nation. Second, the political view of Do San Ahn Chang-Ho is regulated as the theory of joint politics. This theory of joint politics seeks for the theory of standing together in nation. Finally, he political view of Do San Ahn Chang-Ho is regulated as the theory of democratic politics. First of all, the theory of democratic politics of Do San Ahn Chang-Ho is based on the theory of free will’s reality. I thjnk that the theory of politics of Do San is appraised as the needing political view in nation. 본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족선각자인 도산 안창호의 정치관에 관해 분석한 것이다. 한 정치사상가에 있어서 정치관은 반드시 다루어야 할 연구의 핵심적 주제이다. 정치사상가의 사상 특히 정치사상과 정치철학을 재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그 분석의 전제로서 정치관에 대한 분석은 필수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도산 안창호의 정치관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치관의 개념과 구성내용에 대한 설명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기초해서 도산 안창호의 정치관의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도산의 정치관은 주인정치론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인은 여객(旅客)이나 노예의 반대어로 주인정치론은 나라와 민족의 발전과 장래를 위해 반드시 추구해야 할 정치론으로 도산은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주인정치론은 일종의 책임심에 의한 주인으로 구성된 정치론이다. 둘째, 합동정치론을 지적할 수 있다. 합동정치론은 분리를 넘어 민족구성원들 간의 개체적 합동을 통한 정치론을 말한다. 이러한 합동정치론은 종국적으로 민족의 대동단결론을 추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산 안창호의 정치관은 민주정치론으로 규정될 수 있다. 민주정치론은 무엇보다도 자유의지에 의한 민주주의의 실천론이다. 그리고 민주정치론은 국민주권론을 기초하고 있다. 도산의 정치론은 당위론적 측면에서 주장이 전개되고 있지만 오늘날 우리 민족에서 반드시 필요한 정치관으로서 새롭게 평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우수등재

        Responsibilty and Politecs

        Sohn, Yong-Hoo(손용후)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6

        본고는 인간 고유의 규범의식 가운데 하나인 책임성에 관한 개념 문제를 논한다. 서구 도덕 철학의 전통적 책임성 개념이 일상의 정치, 특히 자유주의적 복지국가의 위기에서 나타나고 있는“개인의 삶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 범위와 정당성”을 둘러싼 중대한 정치 갈등 등을 담아내는데 있어 한계가 있음에 주목한다. 본고는 전통 철학의 책임성 개념이 이미 이루어진 행위에 대한 변명이나 정당화로서의 책임, 즉“변론”으로서의 책임에 치우쳐왔다고 주장한다. “나의 삶은 나의 책임이다”라는 일상의 책임 의식은 이미 이루어진 행위에 대한 상벌과 변론을 뛰어넘는 인간의 보편적이며 근원적인 의지들, 가령 삶에 대한 긍정과 희망에서 나오는 삶을 스스로 “계획”하려는 의지와“나의 삶”이 세계와 타자를 향해 열려 있고 그들을 통해 구성되고 있음을 의식, 무의식적으로 감지각하고“나의 삶”을 구성하는 세계와 동반자들을 돌보고자 하는“애정”과 연대의 의지 등을 담고 있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이러한 책임성 개념에 대한 재고찰이 정치의 본질, 즉“정치란 무엇인가”에 대한 우리의 이해까지도 새롭게 할 수 있음에 주목하고 이를 토론한다. This paper addresses the conceptual problem of “responsibility,”the unique human consciousness that there is something we ought to do: traditional moral and political philosophy in general does not have a proper concept of responsibility to grasp the fundamental significance of the notion of responsibility in the ordinary political discourse. The paper argues that though responsibility as a traditional concept has meant an apology for something done by an actor(s), responsibility as apology is merely an attribute of the human consciousness of responsibility. Recovering rich moral voices of responsibility such as “life-planning”and “affection”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concept of responsibility as“ apology,”the paper examine what differences those moral voices can make in our understanding of politics.

      • KCI등재

        정치적 책임과 민주주의- 한나 아렌트와 아이리스 영의 논의를 중심으로 -

        이충한 한국윤리교육학회 2024 윤리교육연구 Vol.- No.71

        This paper will deal with the concep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based on Hannah Arendt and Iris Marion Young’s political theory. Especially, I will specifically explain the significance of such a concep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in the practice of democracy today by analyzing and critically examining their political theory. Firstly, I will look at Arendt’s concep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as collective responsibility. Secondly, I will examine Iris Marion Young’s theory of political responsibility that Young developed based on Hannah Arendt’s concept. Lastly, I will argue that the concep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provides theoretical clues that could achieve real democracy in a plural society. In addition, I will maintain that in order for the concep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to become a practical virtue rather than a theoretical concept education focusing on empathy and critical thinking should come first. 이 글은 정치적 책임 개념을 한나 아렌트와 아이리스 영의 논의를 토대로 분석하고 검토함으로써 그러한 개념이 오늘날 민주주의의 실행에 있어 갖는 실천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해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아렌트의 정치적 책임 개념을 살펴보고 이어서 영이 아렌트의 논의를 바탕으로 발전시킨 정치적 책임 개념을 검토하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아렌트가 제시하고 영이 발전시킨 정치적 책임 개념이 개인주의와 파편화, 억압과 배제에 시달려 약화되고 있는 민주주의를 시민의 소통과 포용에 기초한 실질적 민주주의로 변화시킬 수 있는 이론적 단서를 제공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더불어 정치적 책임 개념이 이론적 개념에 머무르지 않고 구체적인 현실성을 지닌 실천적 미덕으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공감과 비판적 사고에 초점을 맞춘 교육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 KCI등재

        조직지원지각과 조직정치지각이 공유책임감을 매개로 팀혁신과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문주 한국기업경영학회 2020 기업경영연구 Vol.27 No.5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shared responsibility and its antecedent conditions on team innovativeness and team performance. The organizational changes within current corporations, given the horizontal spread of team systems, can utilize the felt responsibility of all employees who have outstanding capabilities for team task. The ability of team members to share responsibility is the key to the overall functioning of the team organization. This study proposes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would be antecedents of share responsibility because these two constructs can show organizational climate for team functioning respectively. I also hypothesized the shared responsibility has positive effect on team innovativeness and team performance. To verify the effect of shared responsibility, I tested hypothesis at the team level. The analysis conducted on 152 teams of employees in the fields of manufacturing industry, financial industy, and service industry show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share responsibilit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has a negative effect on share responsibility. Bo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were all crucial antecedent conditions for shared responsibility. And shared responsibility has positive effects on team innovativeness and team performance. In addition, shared responsibility as a mediator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actual team innovativeness and team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I strongly recommend that team-based organizations shift the focus on individual responsibility to the shared responsibility. I also discuss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is claims in details. 본 연구는 팀으로 과업을 수행하고 있는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업무에 대한 공유책임감이 실제 팀혁신과팀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있다. 지금처럼 팀제가 확산되고 팀성과는 곧 조직성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팀원들이 함께 수행하고 있는 과업에 대해 책임감을 공유하는 것이 그 어느때 보다도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조직의 적극적인 서포트를 인지하는 조직지원지각과 조직 내 정치적인 행동을 인지하는 조직정치지각이 공유책임감을 가져오는 선행요인으로 설정함으로써 그 영향력을 검정하였다. 금융업, 제조업, 서비스업에서 팀을 기반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팀수준의 연구를 진행한 결과, 조직지원지각을인지하는 팀에서는 상호호혜성의 원칙에 따라 높은 공유책임감을 느끼고 이는 긍정적인 팀혁신과 팀성과로 이어짐을 검증하였다. 반면 팀 내 정치적인 행동이 인지될 경우, 팀원들의 공유책임감이 감소됨으로써 팀혁신과 팀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함의점에 대해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위기 대응에 있어 위기 책임성이 메시지 수용도와 지방자치단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정치 성향별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매체 유형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종선,최유진 한국PR학회 2020 PR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위기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SNS 매체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위기 책임성이 메시지 수용도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지자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매체 유형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정치 성향에 따라 조절된 매개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방법성인 727명을 대상으로 2(위기 책임성: 고/저) × 2(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용/방어) × 4(매체 유형: 신문 기사/페이스북/트위터/인스타그램)의 집단 간 온라인 실험을 진행하고 PROCESS Macro를 이용해 조절된 매개 효과를 분석했다. 결과지자체의 위기 상황에서 위기 책임성이 메시지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매체 유형은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였으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조절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위기 책임성이 낮은 상황에서는 신문 기사의 메시지 수용도가 인스타그램과 트위터 메시지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위기 책임성이 높은 상황에서는인스타그램과 트위터의 메시지 수용도가 신문 기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위기책임성 수준에 상관없이 사과 전략이 변명 전략보다 더 호의적인 반응을 이끌어 냈다. 매체 유형의 조절된 매개 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위기 책임성이 높은 유형에서 신문 기사를 통한 대응은 메시지수용도를 거쳐 지자체 신뢰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SNS 채널 메시지는 메시지 수용도에만 영향을미치고 지자체 신뢰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정치 성향별로 다른 형태의 조절된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본 연구는 지자체의 위기 책임성이 메시지 수용도와 지자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체별로 차이가 있음을검증했고, 정치 성향에 따라 매체 유형의 조절된 매개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했다. 본 연구 결과는 지자체가 위기 책임성에 따라 더 효과적인 매체를 활용할 필요가 있고, 사과 전략을 기본 전략으로 설정하여 메시지 수용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지자체 신뢰도 하락폭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Objectives Given the importance of social media in the area of crisis communication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media types and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on trust in local government through message acceptance.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varied by political orientation. Methods A 2(crisis responsibility: high/low) × 2(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accommodative/defensive) × 4(media types: newspaper/Facebook/Ttwitter/Instagram) between-subjects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727 adul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with PROCESS Macro. Results In the case of a local government crisis, the media type significantly moderated the influence of crisis responsibility on message acceptance, but th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While newspaper artic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ssage acceptance than Instagram and Twitter messages in the situation of low crisis responsibility, Instagram and Twitter messag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ssage acceptance compared to newspaper articles in the situation of high crisis responsibility. Regardless of the level of crisis responsibility, the accommodative strategy drew more favorable responses than the defensive strategy. The media types showed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on effects as well. Specifically, crisis response in the form of newspaper articles had a negative effect on trust in local government through message acceptance in the situation of high crisis responsibility. Social media affected message acceptance but did not affect the trust in local governments. There were different patterns of moderated mediation effects according to political orientation.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different effects of crisis responsibility on message acceptance and trust in local government by media type and political orient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employ different media types per crisis responsibility level and focus on increasing message acceptance with accommodative strategies to mitigate decreases in the trust of local governments during a crisis.

      • KCI등재

        헌법상 정당의 개념과 정당등록제도 및 정당등록취소제도의 위헌성에 대한 재조명

        남정아(NAM, Jeong, Ah) 유럽헌법학회 2020 유럽헌법연구 Vol.0 No.34

        헌법상 정당의 위상은 적대시 단계, 무시 단계, 승인 및 합법화 단계 및 헌법상 편입 단계 등으로 발전해 왔다. 한편 정당국가화 경향의 발전으로 인하여 정당은 국가 내의 중요한 국민의 자발적 결사로서뿐만 아니라 양질의 정치인을 양성하고 정당정치를 중심으로 하여 정강 정책 중심의 국가정책 정책 방향을 제시하여 안정되고 일관된 국가운영을 지향한다는 중요한 목표를 실현하는데 큰 이념적 토대가 되었다. 헌법상 정당의 개념을 구체화한 정당법 제2조에 따르면 ‘정당’은 ‘국민의 이익을 위하여 책임 있는 정치적 주장·정책을 추진하고 공직선거의 후보자를 추천 또는 지지함으로써 국민의 정치적 의사 형성에 참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국민의 자발적 조직을 말한다.’ 정당법에 의한 개념 표지상 첫째, 책임있는 정치적 주장이나 정책을 추진해야 하고, 둘째 공직선거의 후보자를 추천 또는 지지함으로써 국민의 정치적 의사 형성과정에 참여함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 헌법에 의해 승인되고 정당법에 의해 구체화된 정당의 이러한 위상은 다른 정당설립과 존속을 위협할 수 있는 정당등록제도 및 그 취소제도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필요로 하게 만든다. 따라서, 이 글은 자유로운 정당설립과 활동의 보장을 내용으로 하는 헌법상 정당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는 현행 정당법상의 정당등록제도와 정당등록취소제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정당의 설립, 존속 및 소멸의 모든 과정에 국민의 진정한 의사가 반영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 국민의 뜻에 정당의 운명이 좌우되어야 한다. 그런 관점에서 볼 때 적어도 정당의 자유를 더욱 강하게 보호하려면 정당등록취소제도를 통해 기존 정당의 등록을 취소하려면 매우 엄격하게 그 요건을 적용하여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정당법 제44조 제1항 제2호의 경우 ‘최근 4년 간’이라는 시기적인 제한이 모든 공직선거를 포괄할 수 있는 기간이 되지 못함을 지적하면서, 대안으로 “최근 5년간”이라고 제시하였고, 나아가 “임기만료에 의한 대통령선거”를 포함시켜 최근 5년간 실시되는 모든 공직선거에 참여하지 않은 때에 한하여 정당등록을 취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당법 제44조 제1항 제3호의 정당등록취소사유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에 대하여도 자세하게 그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비판하였다. 우리 헌법상 정당의 자유는 정당의 설립과 존속 및 그 소멸에 이르기까지 강력한 보호를 받아야 할 민주주의의 핵심적인 자유인 것이다. 따라서 헌법재판소가 정당등록취소의 요건에 대한 위헌성을 논증하면서 정당의 헌법상 이념에 입각해 정당등록취소제도의 본질적인 문제점들에 대해 더욱 천착하였더라면 더 바람직하지 않았을까 한다. The status of a political party under the Constitution has evolved into a phase of hostility, a phase of neglect, a phase of approval and legalization, and a phase of incorporation into the Constitution. Meanwhil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rend of party nationalization, political parties have become a major ideological foundation not only for the voluntary association of important people within the state but also for the realization of the important goal of achieving stable and consistent national operation by fostering high-quality politicians and presenting the policy direction of national policy centered on party politics. According to Article 2 of the Political Party Act, which embodies the concept of a political party under the Constitution, Party refers to a voluntary organization of the people aimed at participating the people s political opinions by promoting responsible political arguments and policies for the benefit of the people and recommending or supporting candidates for public office elections. First, the concept of the party law should be pursued, and second, by recommending or supporting candidates for public office elections. This status of a political party approved by the Constitution and embodied by Political Party Act requires a new light on the party registration system and its cancellation system that could threaten the establishment and existence of other par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arty registration system and the party registration cancellation system under the current party law, which infringes on the freedom of political parties under the Constitution that provides the freedom of political parties’ establishment and guarantee of political parties’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true will of the people should be reflected in all processes of the establishment, existence and extinc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ultimately the fate of political parties should depend on the will of the people. From that point of view, the requirement must be applied very strictly to cancel the registration of an existing party through the party registration cancellation system, at least to protect the freedom of a political party more strongly. Therefore, Article 44 Paragraph 2 of the Political Parties Act pointed out that the time limit of the last four years is not a period to cover all official elections, and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hat the last five years should be included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by term of office so that party registration can be cancelled only when it has not participated in all official elections held in the last five years. In addi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s decision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grounds for cancellation of party registration under Article 44 (1) 3 of the Political Parties Act was pointed out and criticized in detail. Under our Constitution, the freedom of political parties is a key freedom of democracy that must be strongly protected from the establishment, existence and its demise. Therefore, it would have been more desirable if the Constitutional Court had argued against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requirement for the cancellation of party registration and made further attempts on the inherent problems of the party registration cancellation system based on the party s constitutional ideology.

      • KCI등재

        소비자의 정치적 소비행동과 관련된 영향요인 연구

        박미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0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6 No.2

        정치적 소비는 주로 서구 민주국가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최근 연구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은 정치적 소비의 척도구성이나 실증적인 연구에 한계점을 가지며, 국내에서도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치적 소비의 수준을 파악하고 정치적 소비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수와 영향력 정도를 규 명하는 연구목적을 갖는다. 광범위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독립변수는 인구통계적 특성, 동기(내적동기, 이슈관 심, 소비효능감), 가치(글로벌 친사회성, 보편주의), 정치적 태도(정치적 관심, 정치적 신뢰), 정보활동(정보습 득, 커뮤니케이션, 온라인콘텐츠생산) 변수로 구성하였다. 정치적 소비는 바이콧, 보이콧, 담론적 정치적 소비, 라이프스타일 정치로 분류하여 한국실정에 맞도록 개발된 국내척도를 기반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전국적인 할 당표집 방식의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적 소비의 전반적 수준은 전체 평균이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소비의 영역별 평균점수는 보이콧, 바이콧, 담론적 정치적 소비, 라이프스타일 정치의 순이었다. 둘째, 인 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정치적 소비수준의 차이를 살펴보면, 바이콧, 보이콧은 모든 변수들이 집단 간 유의미한 평균차이를 보였다. 담론적 정치적 소비는 학력, 직업이, 라이프스타일 정치에는 결혼여부, 학력, 직업이 유의미 한 평균차이를 보였다. 셋째, 정치적 소비의 각 영역들은 어떤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영향력은 어떠 한지를 알아보았다. 전체적으로, 인구통계적 특성 요인은 영향력이 높지 않았고 동기, 가치, 정치적 태도, 정보활 동 관련변수들에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모든 정치적 소비 영역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사회적 동일시 동기, 온라인콘텐츠 생산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글로벌 사회에서 소비문제 인식 감수 성을 높이고 소비자주권과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분석에서 유의한 영향변수로 나타난 동기의 활성화와 가치 의 함양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상호간의 연결과 유대를 중시하는 사회적 동일시 동기와 온라인콘텐츠 생산이 정치적 소비의 전 영역에 유의한 영향변수로 나타난 결과는 SNS가 성장하는 최근의 추세에서 이의 활용 이 정치적 소비의 성장에 주는 함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개인화된 책임수용으로도 언급되는 정치적 소비는 정 치의 대체라기보다 보완적인 측면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가버넌스가 필요하다. 끝으로 정부, 기업, 시민사회, 소비자등의 이해당사자에 대한 제언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The political consumption is mainly found in Western democracies, and recently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its study. However, prior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e scale of the political consumption and empirical research, and there's little research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level of political consumption, and identifying the related variables and the degree of influence on the political consumption. Based on the extensive previous research,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nsisted of demographic factors, motivations (intrinsic motivation, issue concerns, consumption efficacy), values(global prosociality, universalism), political attitudes(political interest, political trust), and information activities(information acquisition, communication, online content production). The political consumption was based on the existing scale which was categorized into buycott, boycott, discursive political consumption, and lifestyle politics. As a research method,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nationwide quota sampling, and data was analyz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level of political consumption was above average. The average scores for each area of political consumption were high in the order of boycott, buycott, discursive political consumption, and lifestyle politics. Secon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olitical consump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ll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buycott and boycott. The variables of education and occupation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discursive political consumption. Additionally, variables of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occupation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lifestyle politics. Thir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political consumption and their effect on it were examined. Overall, the demographic variables did not appear to be highly influential, but the related variables of motivation, value, political attitude, and information activity were highly influential. Both social-identification motivation and online content production wer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areas of political consump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consumption problem in the global society, and to strengthen consumer sovereignty and responsibilit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motivations and cultivate the values, which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analysis. In particular, if it is considered that social-identification motivation which is focused on mutual connection and online content production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areas of political consumption, the utilization of SNS have a big implication to the growth of political consumption with the recent trend of SNS growth. Political consumption, also referred to as individualized responsibilitytaking can be viewed as a complementary aspect rather than a substitute for politics, and various governances are required for political consumption. Finally, it suggested the proposals for stakeholders such as the government, business, civil society, and consumers, and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that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입법적 책임의 실질적 실현을 위한 시론적 논의

        모준성(Junseong MO) 경인교육대학교 입법학센터 2022 입법과 혁신 Vol.1 No.-

        이 글은 입법자가 헌법에 따라 부담해야 하는 입법적 책임을 실질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한 시론적 논의로서, 입법적 책임의 구조와 특수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입법적 책임은 법규범 중 하나인 헌법이 입법자에게 부과하는 의무를 중심으로 한 포괄적 책임으로 정의내릴수 있으며, 따라서 입법적 책임을 규범적 책임과 헌법적 책임의 하위개념으로 볼 수 있다. 입법적 책임의 구조와 특수성을 탐색하기 위해 입법적 책임의 근간인 규범적 책임의 기본구조와 본질, 그리고 헌법적 책임의 특수성을 전제적으로 살핀다. 헌법이 입법자에게 부과하는 입법적 의무가 존재하기 때문에, 입법적책임도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헌법적 특성으로 인한 헌법적 책임의 특수성과 입법의 특성으로 인한 입법적 책임의 특수성은 입법적 책임을 실현시키는 데 난점으로 작용한다. 특히 외부환경의 복잡성에 전면적으로 노출된 개별적 입법자에게 기대불가능한 의무를 부여할 수 없다는 점, 입법적 의무 위반을 규범적으로나 사실적으로나 판정하기 불가능하다는 점은 입법적 책임을 무제한적으로 확장시키는 것을 제한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입법적 책임을 실질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으로 입법적 의무위반의 위험을 가능한 한 낮출 수밖에 없다. 즉 구체적인 입법절차 혹은 입법적 산출물이 입법적 의무에 위반되었는지 사후적으로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입법절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입법적의무를 위반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한다. 이는 입법적 책임을 명목상 책임으로 남겨두거나 오로지 국민에 의한 정치적 책임으로 실현하는 것을 방지한다. 입법적 의무위반의 위험을 낮추는 방식은 예컨대 개별적 입법자가 입법시에 반드시 지켜야할 별도의 의무로서 개별적 입법자가 입법적 선택시에 판단의 근거로 삼았던 모든 정보와 판단의 이유를 문서화하여 공개하는 것이다. 이는국민에 의한 정치적 책임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개별적 입법자가 입법 적 의무위반의 책임을 면책받을 수 있는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n exploratory discussion for practically realizing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that legislators have to bear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aims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the particularities of legislative responsibility. Legislative responsibility can be defined as a comprehensive responsibility based on the obligations imposed on legislators by the Constitution. In order to explore the particularities of legislative responsibility, the basic structure and essence of legislative responsibility and the particularities of constitutional responsibility are examined preconditionally. Since there are legislative obligations that the Constitution imposes on the legislator, it can be said that legislative responsibility also exists. However, the particularities of the constitutional responsibility due to the 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articularities of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due to the legislative characteristics act as a difficulty in realizing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In particular,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is also limited because of the inability to impose unsatisfiable obligations on individual legislators who are fully exposed to the complexity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normatively and factually impossibility of determining violations of legislative obligation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practically realize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it is necessary to preemptively reduce the risk of violation of the legislative obligations as much as possible. In other words, rather than ex post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legislative procedure or legislative output violates the legislative obligations, a preemptive mechanism should be prepared to minimize the risk of violating the legislative obligation in the course of the legislative process. This avoids leaving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as a nominal responsibility or realizing it solely as a political responsibility by the people. A way to reduce the risk of violation of legislative obligations is, for example, to document and disclose all information and reasons on which individual legislators base their judgments when making legislative choices. This not only improves the political responsibility by the people, but can also function as a means for individual legislators to be exempted from the responsibility for violations of legislative obligations.

      • KCI등재

        위기의 시대와 “정치적인 것”의 역설

        정원(Won Chung) 한국사회이론학회 2014 사회이론 Vol.- No.46

        한국 사회에서 전체주의 경험과의 연관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치열한 맥락을 간과하거나, 정치 상황의 변화에 따라 긍정과 부정의 강도가 요동하는 수용사에 대한 진지한 반성 없이 베버의‘정치 사회학’이 논의되는 현상은 특이하다. 그러므로 베버의 전체 사회학적 기획 속에 ‘정치 사회학’이 차지하는 위상에 대한검토나 그의 정치적 참여가 이론적 발전에 미치는 관계를 삭제하는 피상적 이해는 주요 개념과 단편적 주장들을 일면적으로 강조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우리는 패전 후 급변하는 정치 현실을 살아간 한 지식인의 이론과 실천의 상보성을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베버의 자유주의적 대안이 정치신학으로, 지도자 민주주의가 총통 권력의 정당화로 전환되는 역설적인 과정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역설적 과정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은 ‘예외상태’에 직면하여 정치적 책임성을 강조하는 정당한 논의가 정치적 현실주의의 타협으로 도피하는 현상이 우리 사회에도 반복되고 있다는 데 있다. 정치의 사법화와 정치의 경제화가 강요하는 민주주의 위기의 시대에 베버의 ‘정치 사회학’이 아직도 유효한 것은 그의 결론이 아니라 문제화에 있을 것이다. 현실 정치의 역동성을 외면하지 않으면서 ‘정치적인 것’의 본질을 동시에 포착하려는 베버의 신념과 지적 도전에서 우리의 기획은 출발한다. In Korea, peculiarly, Weber`s political sociology has been discussed without the consideration on its relation to the experiential context of totalitarianism, or without the serious reflection on the oscillating history of reception between pros and cons with the changes of political situation. The lack of proper understanding on the status of political sociology in Weber`s general sociological plan and the influence of his political participation on theoretical development has led to the poor understanding on core concepts of his political sociology and the currency of one-sided claim on it. The critical reflection on the complementarity of theory and practice of an intellectual, who had lived in the rapidly changing political reality since the war defeat, will make the deeper understanding on the paradoxical process by which his liberal alternatives was justified into political theology and his ‘leadership democracy’ was legitimized into Fuhrer`s power. The need to understand this paradoxical process lies in the fact that the legitimate discussions emphasizing political responsibility repeatedly escape into the political realism of compromise in the face of ‘State of Exception’ in our society. Weber`s problematization rather than his conclusion makes his ‘political sociology’ still valid in the era of the democracy crisis driven by the judicialization of politics and the economization of politics. Our project begins with the examination of Weber`s faith and intellectual challenge trying to capture both the dynamics of real politics and the essence of ‘the Politic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