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대투과도 규명을 위한 메모리분산 병렬처리 GA 역산 모델 개발

        권순일,황상훈,장영호,허대기,이원석 한국자원공학회 2009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6 No.4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inverse model equipped with the memory-shared parallel genetic algorithm (GA) to characterize permeability, water influx and relative permeability, simultaneously. The optimum relative permeability model is selected by GA automatically among the relative permeability models obtained by core analysis in the developed model. By utilizing that, we have estimated the permeability distribution and water influx, and selected the relative permeability model for 3-layered heterogeneous reservoir system with the observed production data during three years. This work was carried out with PC-cluster. From the results of the inverse calcula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converged at thirty generations, and the fitness of the best individual was 0.000112. The pressure matching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relative error was 3.1% at the fifth producer, and the developed model has generated the favorable permeability distributions, water influx and relative permeability model.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relative permeability model was as follows; The number of individual in each node was twenty at the first generation, but it was converged into the only relative permeability model at fifth generation. 본 연구에서는 생산 자료의 역산을 통해 투과도, 상대투과도와 대수층 물 유입량을 규명할 수 있는 메모리분산 병렬처리 GA에 기반한 역산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에서 상대투과도는 코아 분석 등을 통해 선정된 상대투과도 모델 중에서 최적의 모델을 GA가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개발되었다. 개발된 모델을 3개 층으로 구성된 불균질 저류층에 적용하여 3년간 관측된 생산 자료의 역산을 통해 투과도, 상대투과도, 물 유입량을 규명하는 작업을 PC-클러스터에서 수행하였다. 역산을 수행한 결과, 30세대만에 수렴되었으며 이 때 적합도 값이 0.000112이였다. 생산 압력 매칭 결과, 생산정 5에서 최대 상대오차가 3.1%로서 산출된 상대투과도, 투과도, 물 유입량은 신뢰할 만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상대투과도 모델 수렴양상을 살펴보면, 1세대에서 20개씩 동일했던 개체들은 5세대만에 한 개의 상대투과도 모델로 수렴되었다.

      • KCI등재

        현장 응력조건에 따른 암석 투과도 특성 분석

        김재원(Jaewon Kim),최준형(Junhyung Choi),최금봉(Keumbong Choe),심수민(Sumin Sim),이대성(Dae Sung Lee) 한국암반공학회 2017 터널과지하공간 Vol.27 No.1

        본 연구는 유·가스 저류층의 암석 투과도 분석을 위해 다양한 층리를 가진 암석과 치밀사암(tight sandstone)을 이용하여 실제 현장의 응력조건을 고려한 암석 투과도를 연구하였다. 다양한 층리를 고려하기 위하여 수평/수직 층리(horizontal & vertical bedding) 및 층리가 존재하지 않는(non-bedding) 암석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균열이 존재하는 저류층의 암석 투과도를 연구하고자 인공균열을 생성시킨 치밀사암을 사용하였다. 실제 심도에서 암석이 받는 유효응력(effective stress)을 암석 투과도 실험에 구현하기 위해 삼축 압력셀을 이용하여 심도별 암석투과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암석 시료에 가해지는 유효응력 및 공극압으로 구분하여 응력조건을 고려하였다. 실험은 두 가지 형태의 응력 해방조건을 고려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암석 투과도 개선을 위한 균열 지지제(proppant)를 주입해 응력조건별 균열 암석 투과도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층리 암석투과도에서는 층리가 존재하지 않는 암석 시료가 응력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균열 암석 투과도에서는 균열 지지제주입 유무에 따라 암석 투과도 값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bedding rock permeability was measured using Berea sandstones with three different beddings. The fracture permeability was also measured using tight sandstone with two different fracture regimes considering in-situ stress conditions. The Berea sandstone with vertical, horizontal and non-bedding was used to analyze evolution of permeability upon in-situ stress conditions. In order to describe applied effective stress around rock in underground, the triaxial pressure cell & hydrostatic pressure cell was designed and permeability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controlled axial and confining pressures. The measurement of permeability was conducted by increasing and decreasing effective stress. The permeability of non-bedding rock sample is the most sensitive to applied stress conditions and fracture permeability of tight sandstone increases with fracture treatment with proppant.

      • KCI등재

        분리막 투과도와 분리도 인자의 시스템 설계 효과 연구

        신미수(Mi-Soo Shin),장동순(Dongsoon Jang),이용국(Yongguk Lee) 대한환경공학회 2016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8 No.12

        분리막의 제조에 있어서 높은 분리도와 투과도가 요구되지만 투과도와 분리도는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CO₂ 포집의 비용절감 측면에서 살펴보면 분리막의 재질 자체보다는 투과도와 분리도가 분리막의 모듈이나 시스템의 성능이 미치는 영향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예로 들어 CO₂ 13%와 N₂ 87%인 혼합기체를 분리도를 5로 고정시킨 후 유량의 10%가 분리막을 통하여 투과된다고 가정하면 투과한 10% 중에 CO₂ 4.28%, N₂가 5.72%로서 투과한 기체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42.8%가 된다. 이 경우 이산화탄소의 순도는 42.8%이며 첫 번째 투과에 의해 얻은 이산화탄소의 회수량은 4.28/13 = 32.9%가 된다. 만일 투과도와 분리도를 두배로 증가시킬 경우 이산화탄소의 순도는 64.5%, 이산화탄소 회수량은 12.9/13 = 99.2%로 나타났다. 이 경우 대부분의 CO₂가 회수되었으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주입된 이산화탄소가 투과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여 빠져나가는 양은 거의 제로에 가까운 경우로서 이산화탄소 분리에는 이상적인 설계나 운전조건이라 할 수 있다. 일정한 주입농도에서 주어진 투과도에 대하여 이산화탄소를 100% 회수하는 임계 분리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으며, 임계 분리도 이상 높아질 경우 이산화탄소 회수되는 양이나 순도 향상에 별다른 영향이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주어진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대해서 분리막을 이용한 분리에서 이산화탄소를 100% 투과시키는 임계 투과도와 분리도가 설계와 운전조건의 최적화를 위하여 절대적으로 중요함을 알 수 있다. Manufacturing membrane materials with high selectivity and permeability is quite desirable but practically not possible, since the permeability and selectivity are usually inversely proportional.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cost of CO₂ capture, module performance is even more important than the performance of membrane materials itself, which is affected by the permeance of the membrane (P, stagecut) and selectivity (S). As a typical example, when the mixture with a composition of 13% CO₂ and 87% of N₂ is fed into the module with 10% stage cut and selectivity 5, in the 10 parts of the permeate, CO₂ represents 4.28 parts and N₂ represents 5.72 parts. In this case, the CO₂ concentration in the permeate is 42.8% and the recovery rate of CO₂ in this first separation appears as 4.28/13 = 32.9%. When permeance and selectivity are doubled, however, from 10% to 20% and from 5 to 10, respectively, the CO₂ concentration in the permeant becomes 64.5% and the recovery rate is 12.9/13 = 99.2%. Since in this case, most of the CO₂ is separated, this may be the ideal condition. For a given feed concentration, the CO₂ concentration in the separated gas decreases if permeance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for complete recovery at a given selectivity. Conversely, for a given permeance, increasing the selectivity over the threshold value does not improve the process further. For a given initial feed gas concentration, if permeance or selectivity is larger than that required for the complete separation of CO₂, the process becomes less efficient. From all these considerations, we can see that there exists an optimum design for a given set of conditions.

      • KCI등재후보

        뇌종양의 등급분류를 위한 관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투과성영상(Permeability Map)의 유용성 평가

        배성진(Sung-Jin Bae),이영주(Joo-Young Lee),장혁원(Hyuk-Won Ch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3

        목 적 : 관류 자기공명영상(perfusion MRI)을 이용하여 대뇌(cerebral)에서 혈액뇌장벽의 파괴로 인하여 조영제가 혈관내에서 조직으로 빠져 나가는 투과정과 상대적 뇌혈류량을 영상화 해보고, 이 영상을 이용하여 구한 투과성비와 상대적 뇌혈류량비가 종양의 악성등급 평가와 감별진단에 어떠한 유용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영상의학진단과 병리조직검사로 진단된 29명을 대상으로 뇌종양이 포함된 550(11 silce × 50 image)관류 장기공명영상을 3T기기에 장착된 프로그램으로 상대적 뇌혈류량을 영상화 하였고, 다른 한 방법은 개인 컴퓨터에 영상을 전송 후 IDL 6.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대적 뇌혈류량(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reformulate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rCBV-rSVD)과 투과성을 영상화 하였다. 그 영상을 이용하여 동일한 관심영역으로 화소별 평균 신호강도를 정량적(quantitative analysis)으로 측정하여 비모수적 통계인 kruskal-wallis test 통해 뇌종양별로 평균비교 분석을 하였다. 결과 : 상대적 뇌혈류량영성과 투과성영상을 이용하여 동일한 관심영역으로 정상부위와 종야부위의 정량적으로 분석한 상대적 뇌혈류량 비 와 (3T 기기자체 분석한 값, IDL 6.2로 분석한 값) 투과성비에 고등급 성상세포종(n=4)의 경우 (14.75, 19.25) 13.13, 저등급 성상세포종(n=5) (14.80, 15.90) 11.60, 아세포종(n=5) (10.90, 18.60) 22.00, 전이성 뇌종양(n=6) (11.00, 15.08) 22.33, 수막종(n=6) (18.58, 7.67) 5.58, 핍돌기 신졍교정(n=3) (23.33, 16.33) 15.67로 나타났다. 결론 : 종양별로 상대적 혈류량영상을 이용하여 측정한 상대적 뇌혈류량 비는 등급을 분류하기에 용이하지 않았지만, 투과성영상으로 측정한 투과성비는 종양 악성정도가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나 종양의 등급 평가와 감별진단에 유용하였다.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how effective the permeability ration and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 ratio are to tumor through perfusion MRI by measuring and reflecting the grade assessment and differential diagnosis and the permeability and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 of contrast media plunged from blood vessel into organ due to breakdown of blood-barrier in cerebral. Subject and Method : Subject of study was 29 patients whose diagnosis were confirmed by biopsy after surgery and 550 (11 silce × 50 image) perfusion MRI were used to make image of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 with the program furnished on instrument. The other method was to transmit to private computer and the image analysis was made additionally by making image of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reformulate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rCBV-rSVD and permeability using IDL.6.2 In addition, Kruskal-wallis test tonggyein non numerical average by a comparative analysis of brain tumors Results : The rCBV ratio (Functool PF; GE Medical Systems and IDL 6.2 program by analysis) and permeability ratio of tumors were as follows; high grade glioma(n=4), (14.75, 19.25) 13.13. low grade astrocytoma(n=5) (14.80, 15.90) 11.60, glioblastoma(n=5) (10.90, 18.60) 22.00, metastasis(n=6) (11.00, 15.08). 22.33 meningioma(n=6) (18.58, 7.67), 5.58. oliogodendroglioma(n=3) (23.33, 16.33, 15.67. Conclusion : It was not easy to classify the grade with the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 ration measured by using the relative cerebral blood image by type of tumors, however, permeability ration measured by permeability image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grade of tumor, the higher the measured permeability ratio, showing the assessment of tumor grade is more effective to differential diagnosis.

      • KCI등재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가스확산층의 압축상태 관통기체투과율 측정

        엄세훈,이용택 대한기계학회 2019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3 No.2

        The gas diffusion layer (GDL) is in charge of the diffusion of gases and the discharge of water in th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The change in the through-plane gas permeability of a GDL was experimentally measured in a compressively deformed state. The channel part was designed similarly as the actual PEMFC, and thus the compression and gas flow take place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compression is co-directional to the gas flow in measuring the through-plane gas permeability. Three channel widths were applied, and the permeability was measured while varying the compressive load. TGPH-120, which is frequently used in PEMFCs, was used, and the permeability was obtained according to the PTFE loading, which was added to improve the water repellency of the GDL. In this paper, through-plane permeability under actual compressive conditions is proposed, and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an improvement in the modeling accuracy of the transport phenomena in the GDL.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FMC)의 구성부품 중에서 기체의 확산과 물의 배출을 담당하는 가스확산층(GDL)의 관통 기체투과율(through-plane gas permeability)의 변화를 압축변형 되는 조건에서 실험적으로 측정하였다. 관통투과율은 압축방향과 기체의 투과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압축과 동시에 기체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실제의 PEMFC의 채널부와 유사한 시편압축부를 도입하였다. 3가지의 채널폭을 적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압축하중을 변화시키면서 압축변형되는 GDL을 통한 관통투과율을 측정하였다. PEMFC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TGPH-120 GDL을 사용하였으며 GDL의 발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PTFE에 따라서 변화되는 관통투과율도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GDL의 실제 압축조건에서의 관통투과율을 제시하며 그 결과는 향후 GDL의 전달현상의 모델링의 정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미고결 퇴적물의 상대유체투과도 및 젖음성 측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정태문,배위섭 한국자원공학회 2009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6 No.4

        This paper presents to evaluate relative permeability curves of unconsolidated samples which have a possibility of bearing gas hydrates and oil sands. The curves were measured in imbibition stage and the effects of the clay contents were also observed by steady-state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fitted with the various statistical models and analyzed best fits for relative permeability curve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Furthermore, the authors have built a newly designed wettability measurement system which can measure the wide variety of small core samples using Amott wettability methods. As the clay contents increase, strongly water-wet states were indicated. In the modeling study, Brooks-Corey and Ibrahim model showed better agreement with experimental data than those of Honarpour and Al-Fattah model for oil relative permeability. However, Honarpour and Brooks-Corey model had a better agreement regardless of the clay contents in water relative permeability curves. 본 연구에서는 오일샌드 및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부존하고 있는 미고결 퇴적층을 대상으로 석유가스 생산의 대표적인 물성인 상대유체투과도에 대한 실험을 정상상태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동일 시료를 대상으로 젖음성(wettability)테스트를 위한 시스템을 제작, 수행하였다. 또한, 상대유체투과도에 대한 실험결과를 경험 및 통계적으로 도출된 식에 적용하여 미고결시료에 적합한 최적의 모델을 분석하였다. 상대유체투과도실험 시 포화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물질수지법과 비저항을 이용한 방법을 통하여 동시에 측정하였다. 점토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두 방법에 대한 포화도의 일치율은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젖음성은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Amott방법을 이용하여 직접적인 측정결과 상대유체투과도그래프에 의해 간접적으로 추론된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러 모델에 적용한 결과 오일의 상대유체투과도는 점토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Brooks-Corey모델과 Ibrahim모델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의 경우 Honarpour모델과 Al-Fattah모델이 상대적으로 높은 일치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하지만, 물의 상대유체투과도곡선에 대한 그래프의 일치율은 점토의 함량과는 관계없이 모든 시료에서 Honarpour모델과 Brooks-Corey모델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 KCI등재

        투과 사석방파제 주변의 파랑장 해석

        곽문수,이기상,편종근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3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5 No.2

        본 논문은 사석이나 소파블록 투과방파제로 이루어진 항만의 평면파랑장 해석모델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인 구조물 내부의 투과파 속도와 저항계수를 수치모델에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정의하고, 시간의존 완경사방정식 모델에 이들 방법과 임의투과율 경계조건을 사용하여 투과 사석방파제 주변의 평면파랑장을 해석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모델의 검증은 조파수로 내에서 투과제에 대한 단면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여 구조물 전.후 면의 수위변동을 측정하고 모델의 결과와 시계열로 비교하였으며, 현지 항만의 소파블록 투과제에 대한 3차원 수리모형실험 결과와 모델의 결과를 항내 구역파고비로 비교하여 이루어졌다. 본 모델은 검증을 통하여 수리모형의 실험결과에 대한 재현성이 매우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 method that leads to make a simple decision on important parameters in analysis of wave field in permeable rubble-mound, block-mound breakwater, such as penetration velocity of incident waves and resistance coefficient, is introduced. A model that could analyze wave field of permeable breakwater in harbor, by applying these methods and arbitrary transmission coefficient boundary condition to a time-dependent mild-slope equation, was introduced. The verification of the model was done by carrying out 2-D physical model test on permeable breakwater, measuring the change in water surface elevation, comparing the computation result with time series, and comparing the result gained from the 3-D physical model test on permeable block-mound breakwater in an field harbor with the computation result in terms of regional wave height ratio in a harbor.

      • KCI등재

        셰일암체의 저투과도 및 공극률 측정을 위한 실험장치 개발 및 활용

        장호창,김정균,이정환 한국자원공학회 2014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1 No.4

        To develop a shale gas reservoir successfully, it is important to measure permeability and porosity which are representative of flow characteristics and fluid storage. Conventional measurement methods are difficult to be applied to a shale gas reservoir, because porosity and permeability are extremely low compared to a conventional gas reservoir. In this study, an apparatus was developed for measuring low permeability and porosity based on a pressure pulse decay method. The apparatus was applied for measuring the porosity and permeability of shale core samples from Haenam Unhangri Formation in Korea. As a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dimensionless pseudo-pressure between the measured data and analytical solution. The results show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bove 0.95.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apparatus has a high accuracy. 저류층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유체의 유동 특성과 저장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투과도와 공극률의 도출이 중요하다. 셰일가스의 경우, 전통적인 천연가스전과 비교하여 투과도와 공극률이 특징적으로 낮기 때문에 통상적인 물성 측정 기술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상태측정법 중 하나인 압력펄스감소법을 기반으로 저투과성 암체의 물성을 도출할 수 있는 실험 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장치는 국내 해남 우항리층에서 취득된 셰일 코어의 물성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각 시료의 투과도와 공극률을 도출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해 얻어진 자료와 이론해 모델 간의 무차원 유사압력(dimensionless pseudo-pressure) 거동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모두 0.95 이상의 상관계수를 나타냈으며, 개발된 장치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만성 복막 투석 동물 모델에서 복막 섬유화에 대한 Pirfenidone의 억제 효과

        이원재,정태연,백승덕,최우혁,이창화,김응석,이정호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2

        복막 섬유화는 지속성 외래복막투석 환자에서 가장 중요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며, 이와같은 형태학적 변화는 기능적으로도 복막투과도를 증가시켜 한외여과부전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irfenidone (PFD)는 섬유화 억제제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여러 선행연구가 보고 되고 있으나 복막투석을 응용한 실험은 아직 보고 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는 만성복막투석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PFD의 복막 섬유화 억제정도 및 복막투과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0마리의 흰쥐를 3군으로 나누어 Ⅰ군 (n=6)은 복강 내 아무런 조작을 하지 않은 대조군, Ⅱ군 (n=12)은 4.25% 포도당 투석액으로 투석한 군, Ⅲ군 (n=12)은 4.25% 포도당 투석액으로 투석 및 PFD (350㎎/㎏/day)을 투여한 군으로 하였다. 투석액 교환은 25㎖를 매일 3회 12주간 시행하였다. 복막투과도 비교를 위해 1시간 PET을 모든 군에서 1, 6 및 12주에 시행하였고, 복막의 조직학적 분석을 위한 조직표본은 모든 군에서 채취하였다. 복막의 두께는 대조군에 비해 투석군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PFD치료로 벽측복막 두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장측복막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복막투과도는 대조군에 비해 투석군에서 현저한 과투과도 현상을 보였으며, PFD 치료는 과투과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켜 초여과도를 호전시켰다. 결론적으로 PFD이 복막 섬유화를 초래하는 복막 내 콜라겐의 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복막 섬유화를 감소시켰으며 복막투과도를 향상시켰다. Background: Peritoneal fibrosis is one of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s in patients undergoing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irfenidone treatment for reducing peritoneal fibrosis, we examined the changes of peritoneal permeability (for glucose and urea nitrogen) and peritoneal thickness in a rat model of chronic peritoneal dialysis. Methods: Thirt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group Ⅰ (n=6), control rats with normal chow; group Ⅱ (n=10), rats dialyzed with standard 4.25% glucose solution maintained on normal chow; group Ⅲ (n=8), rats dialyzed with standard 4.25% glucose solution and maintained on pirfenidone-mixed chow (pirfenidone 350㎎/㎏/day). Dialysis exchanges were performed three times a day with an instillation volume of 25㎖ for a period of 12 weeks. Morphometric analysis of the peritoneal membrane were carried out in tissue specimens obtained at the time of sacrifice. One-hour peritoneal equilibration test was done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study to compare the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these groups Results: The peritoneal permeability of glucose and urea nitrogen was much higher in rats subjected to peritoneal dialysis (both in group Ⅱ and group Ⅲ), as compared with control rats (group Ⅰ). In group Ⅱ where rats received peritoneal dialysis without prifenidone treatment, rats had the highest level of peritoneal permeability for glucose and urea nitrogen, suggesting the peritoneal hyperpermeability. In contrast, rats in group Ⅲ dialyzed with pirfenidone treatment had an improved peritoneal hyperpermeability indicating that pirfenidone treatment may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peritoneal hyperpermeability. Consistent with this, rats subjected to peritoneal dialysis were associated with a marked thickening of peritoneal membrane in both parietal (group Ⅰ: 13.7±3.3㎛, group Ⅱ: 59.5±26.2㎛, group Ⅲ: 36.5±11.2㎛) and visceral (group Ⅰ: 3.1±0.9㎛, group Ⅱ: 10.9±5.2㎛, group Ⅲ: 6.1±1.7㎛) peritoneum. In particular, submesothelial region in peritoneum was significantly thickened by accumulation of collagen, demonstrated by Masson's trichrome staining. Pirfenidone treatment during peritoneal dialysis, however, significantly reduced the accumulation of collagen in mesothelial region of the parietal peritoneum. Conclusions: Peritoneal dialysis with high glucose containing dialysate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peritoneal collagen accumulation in mesothelial region and an increased peritoneal permeability for glucose and urea nitrogen. In contrast, pirfenidone treatment during peritoneal dialysis significantly reduces peritoneal thickness as well as peritoneal hyperpermeability, suggesting a protective effect against peritoneal fibrosis induced by chronic peritoneal di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