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이드 뉴슨(Lloyd Newson)의 작품 「삶의 대가(The cost of Living)」에 나타나는 패스티쉬(Pastiche) 연구

        조가영 ( Ka Young Cho ) 대한무용학회 2011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68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pastiche that has not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dance and to analyze Lloyd Newson`s The Cost of Living in which pastiche method is being borrowed in an appealing way. The work conducts a case study on successful pastiche technique. First of all, a brief definition of pastiche is as follows: the term ``pastiche`` comes from an Italian term ``pasticio,`` which means a combination of various heterogenous things. Its characteristic is to strive for outward consistency and transcendent and sophisticated effect, instead of trying to deceive readers unlike plagiarizing, by borrowing things such as passage, motif, image and episode from other works without much modification. Pastiche is different from parody in the sense that it emphasizes difference than similarity through pure imitation, without the intent of criticism or satire in addition to not maintaining a critical distance. The areas of pastiche technique in The Cost of Living are as follow. In the first scene, the work describes a reality, in which one has to live while wearing a mask in order to survive or be fairly treated in modern society, by inserting a ridiculous appearance of a circus clown. In the sense that the borrowing of a circus clown image without any modification is intended to allow the audiences to interpret through their own imagination, this scene appears to be pastiche. In the second scene, temperate and restraint movements expressed through ballet were contrasted to everyday ridiculous movements by David and Eddy. From the perspective in which pastiche is a technique of pure reproduction that emphasizes similarity with the original work without containing the intent of criticism or satire of the original work, simple imitation of ballet movements that do not contain the intent of satire or criticism on ballet appeared to be pastiche. A pastiche tendency can be seen also in the scene in which a hula hooping woman appears. The choreographer pursues another different meaning by inserting an everyday life appearance of hula hooping. Contrary to the common use of hula hoop in everyday life, her hula hoop is being used as an important medium for communicating with others. The ballet school scene also shows the possibility of harmonious movements between the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by borrowing the scene of ballet lesson. As seen above, it can be known that The Cost of Living is composed of the pastiche method of weaving everyday common scenes in a sophisticated way, by escaping from the story which unfolds introduction-development-turn-conclusion. It can be known that such borrowing - pastiche technique - deduces artistic value as a new creative approach, not a simple imitation.

      • KCI등재

        프루스트와 모작

        이충민 프랑스학회 2019 프랑스학연구 Vol.0 No.88

        모작pastiche 장르의 전문가 폴 아롱이 지적하는 것처럼 20세기 초엽 모작은 “거장들이 야심의 일부를 의탁하기에 주저하지 않았던 진정한 장르”로서 대두된다. 이러한 거장 중 마르셀 프루스트의 이름이 가장 먼저 언급된다면 이는 프루스트가 일평생 모작을 집필했기 때문만이 아니라 프루스트 이전에는 “모작이 문학 기획의 중심에 이토록 가까이 위치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프루스트의 모작 실습은 콩도르세 고등학교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고등학교에서는 고전 작가와 현대 작가의 모작이 문체 연습의 일환으로 적극 권장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프루스트는 이 유희적 장르를 계속 창작하여 여기에 진정한 비평적 차원을 부여하기에 이른다. 『생트뵈브에 반대하여』라는 기획을 착수하던 즈음 프루스트가 집필한 일련의 「르무안 사건 모작」은 프루스트에게 있어 ‘살아있는 비평’이 된다. 하지만 이는 무엇보다 선배 작가들의 영향을 덜어내기 위한 푸닥거리의 의미가 있다. 프루스트 자신이 말하는 것처럼 무의식적 모작(표작)을 하지 않으려면 의식적으로 모작을 해야 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프루스트 미학의 핵심 개념인 ‘개별적 문체’는 모작이라는 이 푸닥거리를 통해서만 획득될 수 있었던 것이다. Comme le remarque Paul Aron, spécialiste du pastiche, dans les premières années du XX ͤ siècle, le pastiche s'impose comme “un véritable genre auquel les grands écrivains n'hésitent pas à confier une part de leurs ambitions”. Parmi ces écrivains, si le nom de Marcel Proust vient en premier lieu, ce n'est pas simplement parce qu'il a pratiqué les pastiches toute sa vie, mais aussi parce que avant Proust “le pastiche ne s'était jamais trouvé si près du coeur d'un projet littéraire”. La pratique proustienne de pastiche remonte à ses années scolaires chez Condorcet où le pastiche des auteurs classiques et modernes s'effectuait comme un exercice de style. Mais Proust continue de pratiquer ce genre principalement ludique afin de lui donner une dimension véritablement critique. Pour lui, une série des pastiches intitulée "Affaire Lemoine", rédigée au moment même où il entame le projet de Contre Sainte-Beuve, consititue une critique littéraire en action. Mais il s'agit surtout du moment de l'exocisme par lequel Proust purge les influences stylistiques inconscientes des grands auteurs. Comme le dit Proust lui-même, il fallait faire un pastiche volontaire pour ne pas faire du pastiche (plagiaire) involontaire. En d'autres termes, le style individuel, concept-clef de l'esthétique proustienne, n'a été obtenu que par l'intermédiaire de ce rituel exociste du pastiche.

      • KCI등재

        패스티쉬 기법의 작품 적용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김주현,조명식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In the current society, the aspects of deconstruction-progress are difficult to define clearly and have difficult integrative characteristics. Today, social structures are constantly re-organized and established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and technology. Thereupon, pastiche technique,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akes important position in the present age when multi-dimensional evolution is highly regarded. Pastiche is one of the creating ways used after the modernism period and it refers to using and blending undamaged things of other fields like image, motif, episode, etc. In this process,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is lost and the new meaning is re-organized with the subjective dramatization of the author. It is changing the parody to a new entity as removing the original text or removing the mockery and criticism on a society that the parody has. Hereby,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studies the complex system revealed on the pastiche technique and at the same time compares and analyzes the works of the authors who use mixed imitations as a creating technique in a modern arts to the works of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s a result, first, we could analyze the periodical and social background until the point of emergence of pastiche. Second, the researcher could find out two attitudes of authors who use pastiche techniques, which are using the procedure of borrowing target works and absorbing the superficial image as it is.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tries to study with what target his work relates in the scope of the modern art, and in what coordinate it is located. Therefore, this research of pastiche analysis is relevant to the various aspects that occur in the modern society as well as the scope of visual arts, presents the views of the researcher as a member of a contemporary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helps to understand a direction of modern arts. 현대 사회에서 모든 영역이 탈구축적인 성격으로 진행되는 양상은 뚜렷하게 정의하기 어려운 복합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오늘날의 사회적 구조는 다양한 매체와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끊임없이 재편되고 형성된다. 이에 융복합적 성질을 지니는 패스티쉬 기법은 다차원적으로 전개되는 현시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패스티쉬는 모더니즘 시대 이 후 사용되는 창작 방식 중 하나이며 타 분야의 이미지 혹은 모티프, 에피소드 등 그 자체를 훼손시키지 않은 채 그대로 사용하고 혼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존 텍스트가 가지는 의미는 상실되며 작가 주관적 각색을 통하여 새로운 의미로 재편성된다. 이는 패러디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텍스트나 사회에 대한 조롱과 비판이 제거된 완전히 새로운 개체로 바뀌어버리는 것이다. 원본을 모방한다는 점에서 패러디와 패스티쉬는 공통점을 갖지만, 원작과의 관계에서 패러디는 차이를 드러내는 반면에 패스티쉬는 유사성을 강조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패스티쉬 기법에서 드러나는 복합적인 체계를 탐구하며 현대 미술에서 혼성모방(패스티쉬)을 창작 기법으로 사용하는 작가와 본 연구자의 작업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그 결과로 첫째, 패스티쉬가 등장하기까지의 시대 및 사회적 배경을 분석한다. 둘째, 패스티쉬 기법을 사용하는 작가들이 차용대상 작업의 진행 방식을 사용하는 것과 표면적 이미지를 그대로 흡수하는 것이라는 두 가지의 태도를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이를 바탕으로 본인 작업이 현대 미술이라는 범주 안에서 어떠한 대상과 관계 맺기를 하고 있으며, 어느 좌표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패스티쉬 분석이 시각 예술이라는 범주만이 아닌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양상과 관련이 깊으며, 동시대를 살아가는 구성원으로서 본 연구자가 가지고 있는 관점을 제시하고, 동시에 현시대 미술의 한 방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현대 패션의 메이크업에 나타난 혼성모방 표현양상 분석

        손향미,박길순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9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문화현상을 혼성모방으로 보고 한시대의 문화현상인 메이크업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틀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혼성모방 표현양상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혼성모방의 표현양상 분석을 위해 먼저 문헌고찰을 통한 질적 연구의 심층적 기술방법을 활용하여 혼성모방의 특성을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현대 컬렉션의 메이크업에 나타난 혼성모방은 첫째, 서로 다른 이질적인 성향과 의미를 지닌 모든 것들이 하나의 메이크업 패턴으로 수용되어 새로운 메이크업 패턴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피부에 직접 행해지는 메이크업의 특성상 평면적인 구성기법과 입체적 구성 기법의 사용으로 더욱 다양하게 표현됨으로써 메이크업의 표현 방법을 확대시켰으며, 이는 메이크업 영역이 확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소외된 미적 영역을 메이크업 패턴으로 수용함으로써 그동안 획일적인 전통적 미의식을 전환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혼성모방은 이미지 복제를 가능하게 하는 제품 및 상품, 화장품 개발에 따른 대량상품화로 다양한 피부톤과 다양한 메이크업이 일반화 대중화 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make a frame of analysis to be applied to study on makeup which was a cultural phenomenon of the times and to analyze expressive aspects of pastiche in modern makeup, regarding a cultural phenomenon of contemporary society to be pastiche. The study described characteristics of pastiche with in-depth descriptive method of qualitative study through literary review to analyze expressive aspects of pastiche in modern makeup on the basis of collected data, and made a frame of analysis on the study. As the results, pastiche in makeup of contemporary collection, first, proposed a new makeup pattern by receiving one makeup pattern through all things with each other foreign dispositions and meanings. Second, it expanded expressive methods of makeup by expressing itself more diversely with plane and solid component technology because of characteristics of makeup gotten the skin done directly, which could be understood to be expansion of the makeup scope. Third, it made a foundation to covert the uniform traditional consciousness of beauty until now by accepting alienated aesthetic scopes to be a makeup pattern. Finally, diverse skin tones and makeup have been generalized and popularized since pastiche formed mass commercialization followed by development of products, goods and cosmetics making it possible to copy images.

      • KCI등재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혼성모방의 표현분석과 디자인 개발

        손향미 ( Hyang Mi Son ) 한국미용학회 2008 한국미용학회지 Vol.14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pose expression analysis of pastiche, a contemporary culture phenomenon, and to make hair works by applying it to hair design.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classified expression methods of pastiche through literary study focus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The study collected data of pastiche`s hairstyle focused on overseas collections and Korean fashion magazines for ten years from 1996 to 2005. On the basis of the data, the study made hair works. It was appeared that pastiche`s hair design was caused by transcendence of meaning through reiteration of texts, modification of media through appointment of objects, a rise in beauty of alienation through subculture`s acceptance and loss of identity followed by pursuit of temporality.

      • KCI등재

        데이비드 린치의 패스티스 영화와 포스트모더니즘

        피종호 ( Jong Ho Pih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0 현대영화연구 Vol.6 No.2

        The films of David Lynch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aesthetics of Postmodernism in the sense of Fredric Jameson, in view of the fact that they emphasize a Pastiche. The Pastiche as an empty parody criticizes the world, in which the utopia was lost, by showing the character of the nostalgia film. In addition, the films of Lynch show people, who suffer from schizophrenia in the sense of Gilles Deleuze. This recognizes that they have a presumption for the generation of new senses in the sense of Deleuze. The difference of the continuing repetitions of the schizophrenia functions as the principle of narration strategy. Lynch`s Road Movie Wild at Heart, which became a cult film, is considered as an example of it. This film consists of different genres. Therefore, it shows inevitably the form of the fragmentary narrations. The Road Movie without places of destination exposes the crisis of the action images in the sense of Deleuze. Beyond that the film shows intermediality, which is operated by the Pastiche of the different mass-medial or art forms such as pop musics, comics and films. Elvis Presley`s pop song Love me tender (1956) and Chris Isaac`s pop song Wicked Game (1989), E. C. Segar`s Comics Popeye and Sidney Lumet`s film The Fugitive Kid (1960) are examples of the artificial, which is produced by the Pastiche. Besides, it is characteristic that Wild at Heart takes after many elements of Victor Fleming`s film The Wizard of Oz (1939), in which the intertextuality between the two films stimulates opposite or negative senses. Intertextuality or intermediality, the difference of genres, fragmentary narrations, the uncertainty of places, and the cliche-figures, which come by the artificial of Pastiche to the expression, articulate the aesthetic characterizations of postmodernism.

      • KCI등재

        프루스트의 패스티시, 모방인가 창조인가?

        김세리(Kim, Ser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3

        프루스트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라는 자신의 저서가 독자들에게 단지 "임의적이고 우연적인 생각들을 나열해가면서 자신의 생활사를 기술하는" 작품이라는 인상을 심어주지는 않을까 두려워했으며, 이 책이 마치 하나의 대성당과 같이 확고한 구조를 지닌 건축물이기를 바랐다. 하지만 우리는 더 나아가, 마치 현미경을 들이댄 듯 해부한 개인의 의식과 기억이라는 주제를 전달해주는 그만의 독창적 문체 style를 완성시키고자 프루스트가 행했던 각고의 노력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그는 자신의 독서와 습작을 통해 여러 스승들의 문장을 탐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그들의 문법적 특이함과 그로인해 발현된 그들의 독특한 개성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 이것은 그가 독서라는 수동적 행위에 만족하지 않고 보다 능동적인 방식인 패스티시 pastiche를 통해 이를 습득하고자 했기에 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토대로, 프루스트가 자신만의 작가적 스타일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행했던 패스티시에 대해 고찰하는 한 편, 프루스트에게 있어 패스티시 행위가 지닌 의미와, 이것이 프루스트만의 스타일 구축에 미친 영향을 기술해보고자 하였다. '패스티시'는 한 작가에게 있어 고유한 문체, 즉 스타일을 모방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패스티시는 단순히 원작자의 문체와 집필습관을 모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원작자가 쓴 문장들이 독자에게 불러일으키는 인상까지를 동일하게 모방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패스티시를 통해 어떤 작품의 문법적 특성을 포착하여 이를 완전히 모방하는 것 못지않게, 패스티시 작가는 원작자의 인격과 하나가 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프루스트가 '르무안느 사건'을 소재로 자신이 선호했던 작가들의 문체를 패스티시 한 것도 이 때문이었을 것이다. 프루스트는 이 사건의 패스티시를 통해 새로운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원작자의 스타일을 현대화함으로써 자신의 잠재태의 욕구를 현행태로 전환시킨다. 이것이 바로 들뢰즈가 '횡단적 차원'이라 칭했던 것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야 예술가는 모방자와 창조자 간의 간극을 확인해가며 창조적 자아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프루스트는 거장들의 문장을 패스티시 함으로써 독창적인 창조자로서 자신만의 문체를 형성하고자 했던 것이다. Afraid to give readers an impression that his book In Search of Lost Time is describing his own daily work history, Marcel Proust wished that his work was built as a cathedral. But we must be careful that he had tried to improve an original style on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and memory. He seeks his own phrases through his reading and essays in which he extracts the grammatical features and the stylistic peculiarities of great writers. The pastiche as imitation of 'a style' prevents pasticheur from imitating blindly their forms. So, we would like to clarify the meaning of pastiches by Proust and to know its influence on his own style. The word 'style' comes from the Latin word 'stilus' which indicates primarily a writing instrument, so it means a link between the author and his work. In this regard, pastiche is not intended for just an imitation of a style and a gesture of a model author, but a simulation of his impression, and that of his life. For this reason, pasticheur tries to identify with a certain writer. This reaffirms what Buffon said: "The style is the man himself." 'The case Lemoine' offers a better opportunity to Proust to diversify his style under the names of other great authors. Modernizing the subject, by this pastiche he may represent them and it moves him from passive existence to active existence. Though immersed in their personalities, pasticheur must adapt his own knowledge for changed climates. Gilles Deleuze calls this Proust's groping attitude 'transversal dimension'. This process from the unconscious to the conscious makes possible the discovery of an original style to a pasticheur. Besides, it is not limited to literature, but we will be able to expand this theme to 'intertextuality' of styles.

      • KCI등재

        Digging Memory of the Dead in Field Work, The Haw Lantern & Seeing Things

        Hong, Sung Sook 한국예이츠학회 2009 한국예이츠 저널 Vol.31 No.-

        Seamus Heane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s who wrote many poems in memory of the dead people and memory is Heaney’s principle muse. Through rereading the selected poems for the dead, I could find out that Seamus Heaney used the different genres as memory art for the dead: some pastoral elegies of Field Work, a series of sonnets of The Haw Lantern and some free verses of Seeing Things containing the method of pastiche and incantation. Pastoral elegy is a funeral song or a lament for the dead with some convention: Although, Seamus Heaney following this convention, “The Strand at Lough Beg” and “Casualty” show some digression. And sonnet means “little songs” of fourteen lines that follow a strict rhyme scheme and specific structure with the theme of love. However, Heaney’s sonnets also show some transformation in line and rhyme. And the word pastiche means either a “hodge-podge” or imitation of several original works. Heaney’s some memory poems of Seeing Things apply some method of incantation which transforms keepsakes into the spiritual ones with the method of pastiche. What I came to the end from this study is that when Heaney commemorated victims of Ulster Trouble, he used somewhat artificial genre of pastoral elegy. However, for the memory of his dead mother, he used the sonnet genre of lyric mode which can contain praise and love of the dead. To our interest, he used free verse with pastiche and incantation to express love for his dead father and the late Philip Larkin. In short, he can be evaluated as a craftsman, memory digger and occulter.

      • KCI등재

        한국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차용’ 표현에 대한 연구 - 회화 이미지의 차용을 중심으로 -

        오세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3

        Appropriation in art history refers to borrowing images from either masterpiece paintings of the past or advertising media and these images are often newly recomposed in artwork. In recent years, appropriation is used as a meansto both challenge and mock the worship of the originality of Modernism and the elements of appropriation become either the purpose or the theme of the work. Appropriation in contemporary art came into play when Postmodernism began to flourish. Along with replication, appropriation expanded its boundary with both 'parody' and ' pastiche', while cutting across painting, industrial advertisement, mass-produced goods and photography. There were some artists who took an interest in the use of appropriation before Postmodernism was introduced in the 1980s in Korea but appropriation began to unfold in earnest after Postmodernist art arrived in Korea. As it did in Western art, appropriation brought both the expansion of meanings and freedom of expression in Korea as well by denying the uniqueness and originality of artist. There were many examples that borrowed famous images from traditional art works or iconography. Although some artists hazily use iconic images from old art forms such as folk art, most of them attempt to re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images in a new creative way. 미술에서 차용은 ‘미술사에서 이미 등장한 과거의 명화나 광고 미디어 등에서 나타난 형상을 인용하거나 새롭게 재구성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모더니즘의 독창성에 대한 숭배에 도전하고 비웃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데 차용이라는 요소가 작품의 주제가 되거나 목적이 되고 있다. 현대미술에서 차용이 부각된 것은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이 활성화되면서 부터이다. 차용은 ‘패러디’와 ‘패스티쉬’의 표현방법으로 회화 뿐 아니라 산업사회의 광고 이미지나 대량생산된 기성용품을 넘어 사진을 통한 차용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넓게 펼쳐졌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이 유입되기 이전에 ‘차용’의 표현으로 작품을 제작하는 작가가 있었지만 대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 유입 이후에 나타나고 있다. 한국에서의 특징은 서양미술과 같이 작가의 독창성, 원본성을 부정하고 새롭게 해석함으로서 의미의 확대와 표현의 자유를 가져왔다. 그러한 가운데 전통미술에서 나타나는 유명작품이나 도상을 차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부에서는 민화와 같은 옛 미술품에서 나타나는 도상들을 막연하게 이용하는 작가들도 있으나 대개 우리의 전통 조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재해석 하여 새로운 창조적 방법으로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미야자키 하야오(宮崎駿)의 애니메이션 속 마법 캐릭터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 - 행위주 모델과 외시·함축의미 분석 적용을 중심으로 -

        우경훈,유우종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5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은 전 세계적 사랑을 받고 있는 월트 디즈니사의 애니메이션의 대체제로 여겨지고 있다. 그 이유는 월트 디즈니사의 애니메이션이 보수우익의 미국식 사고방식을 재현시키고, 상업성에 사로잡힌 문화산업의 도구로 전락하고 있는 반면,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은 자연, 사람, 미래에 대한 보편적 가치를 이미지화하면서 인류에게 폭넓은 공감기조를 형성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대중적 선호에도 불구하고 그의 일련의 애니메이션 작품들이 특별한 의도나 목적 없이 단순 모방됨으로써 상호 텍스트의 연계성에 기초한 패스티쉬적 경향성을 띠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 이러한 주장이 객관적 근거를 갖추고 있지 않음을 입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그레마스의 행위주 모델과 롤랑 바르트의 외시 및 함축의미 분석 등 기호학적 분석틀을 활용해 인문과학적 근거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의 작품 중에서 마법 캐릭터가 주인공으로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마녀배달부 키키>와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대상으로 기호학적 사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 두 작품은 마법 활용의 대상, 목적, 수단에 있어 텍스트 연계성이 없었다. 즉, 패스티쉬적 경향성이 없다는 반증의 근거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단순히 반증의 근거를 찾기 위한 기호학적 해석 접근에 그치지 않고,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내재된 신화적 의미를 반추하면서 세대를 뛰어넘는 진정성을 갖춘 작품의 공유를 위해 패스티쉬와 같은 새로운 표현 양식에 대한 관심만큼이나 창작력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Miyazaki Hayao’s works are considered to be alternate products to Walt Disney’s animations loved by around the world. This is because his works visualize universal values such as nature, human and future and touch the common feelings of people around the world while Walt Disney’s animations promote conservative American values to become an industrial tool for commercial gains. However, in spite of people’s preference, some argue that his works are replicated simply without special intentions or purposes to become a pastiche based on connections between texts. To prove such arguments lack in the objective ground, this study tried to discover humanities evidence by using semiotic analysis such as Greimas’ actantial model and Roland Barthes’ denotation and implied meaning analysis. Among Hayao’s works, semiotic analysis was conducted for Kiki’s Delivery and Howl’s Moving Castle of which main character is a witch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connection between two works regarding the objective, purpose and means of magic. In other words, the study found his works are not pastiches. This study result provides not only semiotic analysis of his works to find counterevidence but also a chance to realize creative efforts are as important as interest in new expression methods such as a pastiche in order to create works that withstand the test of time and understand mythological meaning implied in Hayao’s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