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수동공격성의 선행요인과 경계조건에 관한 연구: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조직아노미, 리더신뢰의 역할2

        구자규,신제구 리더십학회 2021 리더십연구 Vol.12 No.2

        Passive-aggressive is much more prevalent in workplace than active aggression, and covert forms of misbehavior caused by the passive-aggressive members in the organization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Despite the fact, research on this is insufficient. Based on trait activation theory,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antecedents and boundary conditions of passive-aggressive at individual level.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372 questionnaire collected from office workers at domestic companies with 300 or more employee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main effect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passive-aggressive was significa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anomie was not significant. Third,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anomie and trust-in-leader was significant.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d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passive-aggressive and boundary conditions of passive-aggressive by revealing the complex effects by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rganizational anomie and trust-in-leade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were presented. 직장 내에서 수동공격성이 능동적 형태의 공격성 보다 훨씬 더 일반적이고, 이러한 태도가초래하는 은밀한 형태의 유해 행동이 최근에 더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발생되는과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특성활성화이론을 바탕으로 구성원의 수동공격성의 선행요인과 경계조건을 밝히고자 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300인 이상의 기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72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수동공격성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수동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첫 번째 조절변수인 조직아노미의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두 번째 조절변수인 리더신뢰의 3원 상호효과가 수동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조직아노미, 리더신뢰의 3원 상호작용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수동공격성 간 인과관계및 경계조건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제시하고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남용적리더십이 구성원의 수동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계약위반과 분노반추의 직렬다중매개를 중심으로

        구자규,신제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021 기업경영연구 Vol.28 No.3

        직장 내에서 구성원 또는 조직에 피해를 끼칠 의도를 가지고 적절한 행동을 보류하거나 하지 않음으로써 적대감을 표현하는 수동공격성이 능동적 형태의 공격성보다 훨씬 더 일반적이고, 이러한 태도가 초래하는 은밀 한 형태의 유해 행동이 최근에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도 그것이 초래되는 과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남용적리더십이 수동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구성원의 심리적 계약위반 인식과 분노 반추의 직렬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원 300인 이상이 근무하는 기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72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구성원의 남용적리더십 인식은 수동공격성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남용적리 더십 인식과 수동공격성 간에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의 남용적리더십 인식과 수동공격성 간에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는 정(+)의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성원의 남용적리더십 인식과 수동공격성 간에 심리적 계약위반과 분노반추는 정(+)의 직렬다중매개효 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용적리더십이 구성원의 수동공격성을 초래하는 심리적 상태에 대한 매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가 갖는 한계 와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lthough passive aggressive which involve withholding appropriate actions with the intention of harming someone or an organizational entity is much more prevalent than active aggression and the covert form of misbehaviors caused by the passive aggressive member in the organization has increased in recent year, research on the process in which it results is not enough.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serial multi mediated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anger rumination in the process of abusive leadership on passive-aggressive. To verify the hypothesis, an online survey of members of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was conducted and 372 responde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rstly, abusive leadership has a positive relationship to passive-aggressive. Secondl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was not significant between abusive leadership leadership and passive aggressive. Thirdly, anger rumination between abusive leadership leadership and passive-aggressive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Lastly,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anger rumination between the abusive leadership leadership and passive-aggressive have positiv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s.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mechanism of abusive leadership 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anger rumination. Based on the findings, we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요가수련과 공격성의 관계

        박은주,최영준,권웅 한국리듬운동학회 2022 한국리듬운동학회지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for developing a yoga program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oga practice and aggres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54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who either had experience in yoga training or had no experience in yoga training were studied with self-evaluation survey. Data processing was done after each response was encoded using SPSS version 12.0 for Windows to execut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post hoc test, and significance level was chosen at 0.05. survey.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yoga and non-yoga groups in five factors (physical aggressiveness, irritability, hostility, passive aggressiveness, and negativity) among the factors of aggressivenes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linguistic aggressivenes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ggress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yoga practice, hostility and negativity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ggress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yoga practice, all factors except passive aggression showed low aggression scores,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yoga training participation frequency, the more effective it is in reducing aggression.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yoga practice has a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 KCI등재

        문제음주자의 성격특성에 따른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반사회성 성격특성과 수동공격성 성격특성

        손정락,김희영 한국건강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whether it is effective by selecting and administrating programs according to personality traits for alcohol dependence and addiction prevention in changing drink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with problematic drinking. Six-hundred college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Jeon-ju, who were selected by Drinking Problem Questionnaire and Shorter Version of Tr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n, the final participates for this study was selected. seven for the passive-aggressive personality group and seven for the antisocial personality group. They conducted a stress management program. Also, they conducted Drinking Quantity an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Controlled Drinking Self Efficacy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rinking behaviors more significantly changed the passive-aggressive personality group than the antisocial personality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ifferent therapeutic approach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personality traits and type of group when we conduct programs for problematic drinkers. Finally,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음주를 보이는 대학생의 음주행동변화를 위해 알코올 의존 및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성격특성에 따른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지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J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대학교의 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음주문제 측정 질문지와 단축형 세 차원 성격질문지의 선발요건에 모두 충족하는 참여자를 선별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동공격형 성격집단 7명, 반사회형 성격집단 7명을 선발하여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에게 음주의 양과 빈도 질문지 및 음주통제에 대한 자기효능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반사회형 성격집단보다 수동공격형 성격집단에서 주간음주량과 음주빈도가 더 감소되었으며, 음주통제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더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제음주자를 위해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집단의 성격 특성 및 유형에 따라 치료적 접근을 달리해야 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백은주(Baek, Eun-ju),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D대학교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한 자료 중 총 19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스트레스 대처전략 중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전략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취업스트레스와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전략과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학생활적응과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전략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 중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 취업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며, 취업스트레스 관리에 적극 적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aggressive-passive stress-coping between the job -seeking stress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 study, 193(male = 88, female = 105)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D university w ere selected to conduct a survey job -seeking stress, school life adjustment and stress-coping. Than the correlation analysis w as performed to figure out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According to the procedures Baron and Kenny suggested in 1986,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s employed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coping between the jo b -seeking stress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 conclusions from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eeking stress, school life adjustment, and aggressive stress coping strategy. There is no correlation with passive stress coping strategi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school life adjustment, aggressive stress coping strategy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university students to adapt their university life successfully to work stress management, and aggressive stress coping strategy plays an important role in job stress management.

      • KCI등재

        <창란호연록>의 발화되지 못한 감정

        고은임 한국고소설학회 2022 古小說 硏究 Vol.54 No.-

        Changranhoyeonrok is a work that superbly depicts the inevitable gap between the inward and outward aspects of human reality. This article discusses the emotions that female characters would not dare verbalize under the norms of their society and examines how emotions are controlled. In Changranhoyeonrok, the marital conflicts between Han Nanhee and Jang Hee and between Lee Unhye and Jang Woo are tangled with another strife with in-laws. The female protagonists, Han Nanhee and Lee Unhye, face various difficulties before and after marriage. They show passive-aggressive behavior in their marital relationships. Bound by traditional virtue expected of women, the two women cannot directly express their feelings of “displeasure” and “dislike” from deep inside the heart while facing their husbands who express negative emotions directly and aggressively. Still, they are superficially obedient and faithful to the principles of wives’ behavior. However, they continue to engage in passive-aggressive behavior, such as staying separate despite their husbands’ demands for emotional communication and refusing to share a bed with them. This behavior negatively affects their relationship and harms their mental health. However, this cannot be dismissed as a personal problem for Han Nanhee and Lee Unhye. Passive-aggressive behavior is typical where direct expression of emotions is prohibited or not allowed, and it is deeply correlated with the patriarchal Confucian culture in Joseon and the cultural education of upper-class women. Despite the unpleasant feelings that Han Nanhee and Lee Unhye experience in their married life, their emotions are not fully recognized as a social reality, regarded as disturbing, and the women are suppressed not to vocalize their emotions. As a result, they had no opportunity to resolve their unverbalized emotions, and the peace and harmony of the couple faded away. Unlike other classical novels, Changranhoyeonrok has an open ending with no genuine reconciliation between the spouses. The emotional and physical intimacy of the female characters with their husbands is never expressed. The patriarchal order, which controls women at men’s demand, required strategies of manipulating words and actions. However, since emotions cannot be controlled easily as needed, it is impossible to suppress others and command their love at one’s convenience. <창란호연록>은 겉과 속이 다를 수밖에 없는 인간적 현실이 잘 그려진 작품으로, 본고는 규범상 감히 발화할 수 없었으나 실존했던 여성인물의 감정과 그것의 운용 양상을 살핀 논의이다. <창란호연록>에는 한난희-장희 부부, 이운혜-장우 부부의 갈등이 옹서 갈등과 얽히며 높은 비중으로 지난(至難)하게 전개되어 있다. 여성 주인공 한난희와 이운혜는 혼인 전후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다. 한난희는 부유하고 허용적인 부모 밑에서 자라,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거칠게 표현하고 정혼을 파기하려는 부모 뜻에 저항해 가출을 감행하는 등, 유순정정(柔順貞靜)한 미덕을 결여한 인물로 그려진다. 그런데 시부(媤父) 장두를 만나 교화되고 감정 표출을 삼가게 되면서부터, 혼인 생활 중 친정을 혐오하는 남편과 지속적으로 갈등하면서도 자신의 감정을 발화하지 못한 채 심각한 우울감에 시달리게 된다. 이운혜는 한난희와 달리 어릴 적부터 유한정정(幽閑靜貞)한 덕이 뛰어난 인물로 장우와 법도에 맞게 순조롭게 혼인한다. 그런데 장우가 혼례 전 만난 양난주를 그리워하며 이운혜를 외친내소(外親內疎)하고, 그 일에 이운혜 부친 이윤이 개입하면서 갈등이 심화된다. 이운혜는 장우의 박대와 폭행을 당하게 되는데, 그러한 상황에서도 예적 태도를 지키며 부인의 도리를 다하나, 오랜 시간 정서적 소통과 잠자리를 거부한다. 한난희와 이운혜는 부부관계에서 수동 공격적 행동(passive-aggressive behavior)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여도(女道)에 구속되어 있어, 부정적 감정을 직접적이고 공격적으로 표출하는 남편을 상대하며 마음 속 깊이 느끼는 ‘불쾌(不快)’, ‘불호(不好)’의 감정을 직접 발화하지 못하고 표면적으로는 순종하며 아내의 도리에 충실하다. 그러나 상대의 정서적 소통 요구에 침묵단좌하고 잠자리를 거절하는 등 수동 공격적 행동을 지속한다. 이러한 행동은 관계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며, 더욱이 본인의 정신 건강도 해친다. 그런데 이는 비단 한난희와 이운혜 개인의 성격적 문제라고 치부할 수 없다. 수동 공격적 행동은 감정의 직접적인 표현이 금지되거나 허용되지 않는 환경에서 취하게 되는 방식으로, 조선의 가부장적 유교 문화와 상층 여성의 교양 교육과 상관관계가 깊기 때문이다. 한난희와 이운혜가 혼인 생활에서 느꼈던 불쾌의 감정은 그들에게 실존했으나 사회적 실재로서 온전히 시인되지 않았고, 불온한 것으로 취급되며 발화할 수 없는 것으로 억압되었다. 그 결과 그들의 발화할 수 없는 감정은 해소될 기회를 얻지 못하였고 부부 간의 화락도 요원한 일이 되었다. 이처럼 <창란호연록>은 여타 고전소설과 달리 부부 간 진정한 화해가 이뤄지지 않은 ‘미완의 구조’로 끝난다. 남편에 대한 여성인물의 정서적, 신체적 친밀감이 끝내 표현되지 않는다. 여성을 주체가 아닌 객체로 삼고 남성의 필요에 따라 여성을 제어하려던 가부장적 지배질서는 언행은 물론 감정까지 통제하는 전략을 취했지만, 감정은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어서, 상대를 억압하다가 편의대로 사랑하게 할 수는 없는바, 이 소설은 그러한 현실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

        가해 청소년, 피해 청소년, 가해/피해 청소년 집단유형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신희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6 한국청소년연구 Vol.17 No.1

        Employing Multiple Logistic Model, this study investigates factors that effect on the continual development of three different types of peer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namely, aggressive victims, passive victims, and bullies. The sample to be examined includes 3,499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2-year Korean Youth Panel Survey(KYP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more children are isolated from peer group and the lower the level of their anger i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 passive victims. In addition, the more children experience parental aggressions against them and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positive attitude toward aggression itself,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 aggressive victims. The experiences of conflict with parents by children are found to decrease the probabilities of being both passive victims and aggressive victims.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1차 및 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중학생의 공격 가해 및 피해 행동의 경험정도에 따른 가해, 피해, 가해/피해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유형별 특성이 지속적으로 발달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가를 알아보았다. 다항로지스틱모형을 이용한 회귀분석과 예측확률치 비교분석 결과 부모의 공격적 학대(욕설, 구타)에 대한 경험이 많을수록, 그리고 조사대상 학생의 공격행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가해/피해집단의 발달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로부터 거부당하고 고립되는 경험을 할수록 피해집단의 특성을 형성하는 데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선학교의 교사와 청소년 지도 관계 전문가들이 폭력행동의 유형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이해함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 부모감독과 공감, 스트레스 대처행동 간의 구조분석

        김지선 ( Ji Seon Kim ),김춘경 ( Choon Kyung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애착, 부모감독, 공감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공격적 스트레스 대처, 회피적 스트레스 대처, 사회지지 추구적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과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생 651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행동, 부모애착, 부모감독, 공감 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다음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공감은 아동의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공격적 스트레스 대처, 회피적 스트레스 대처, 사회지지 추구적 스트레스 대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은 회피적 스트레스 대처를 제외한 각각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아동이 지각한 부모감독은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각 하위변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부모감독은 아동의 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아동의 적응적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 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children’s stress-coping behaviors. 651 students from the 5th to 6th grade in Gyeongbuk and Daegu Province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children’s stress-coping behaviors(active coping, passive coping, aggressive coping, avoidance coping, and support seeking coping), parental attachment, parental monitoring and empathy.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using AMOS 18.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p<.05).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mpathy was found to affect children’s active coping, passive coping, aggressive coping, avoidance coping, and support seeking coping directly, and parental attachment perceived by children was found to affect children’s active coping, passive coping, aggressive coping, and support seeking coping directly; however, parental monitoring perceived by children dosen’t affect children’s stress-coping behaviors directly. Second, parental attachment and parental monitoring perceived by children were found to affect children’s empathy directly. Lastly, these results implicated ways to promote children’s adaptive stress-coping behaviors.

      • KCI등재

        음식축제에 대한 참여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복미정(Mi-Jung Bok),박나은(Na-Eun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behavior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on food festival behavior intention of married women living in Ulsan area. The data were analyed with PASW 18.0 using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paired T-test, T-test,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irst, married women had a slightly higher passive behavior intention than aggressive behavior intentions on food festivals. Second, the more the experience of past food festivals,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the higher the housewife "s housewives, the higher the food festival behavior intention. Third, the behavioral intention of food festival increased with higher behavioral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Fourth, subjective norms we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or the behavioral intention of married women. Next, the behavior attitude for food festival was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