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태산의 평화사상

        원영상 ( Won Yong-sa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6 통일과 평화 Vol.8 No.2

        본 논문은 원불교의 창시자인 소태산의 평화사상을 논한 것이다. 본 논고에서는 먼저 소태산의 평화사상의 근본을 그의 깨달음의 내용인 일원상의 진리에 있다고 보고, 그 구조를 분석하였다. 첫째, 우주만유의 본원, 제불제성의 심인, 그리고 일체중생의 본성으로 보고 있는 일원상 진리의 근원성이다. 즉, 모든 진리적 근원을 일원상의 진리로 상징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세계 모든 현상이 서로 소통된다는 원융회통성이다. 일원상 진리가 내포하는 불이(不二)의 세계에서는 이원적 대립이 지양(止揚)된다는 점이다. 셋째, 일원상의 진리가 현실에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상태인 원만성이다. 즉, 모든 존재가 부처와 같이 완전한 존재자로 구현되고, 동시에 모든 존재로부터 존중받고 갈등이 사라진 평화세계를 말한다. 이러한 깨달음의 내용은 원불교의 전신인 불법연구회를 조직하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또한 인간과 사회의 고통의 원인인 근대문명의 한계를 목격한 소태산은, 이 교단을 통해 그 해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는 문제의 핵심을 전통의 해체와 자기 분열적 증상이라고 판단하고, 이를 바로잡아 줄 정신문명을 바로 세우기 위해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라는 기치를 내걸었다. 종교적 방식의 평화 건설을 지향한 것이다. 소태산의 평화사상은 중도와 중용, 상생과 조화, 관용과 섭취불사로 살펴볼 수 있다. 중도는 깨달음에서 나온 원만행이며, 중용은 무념과 무착의 경지에서 나타나는 솔성(率性)을 말한다. 사회적 현실에서는 민주성과 공공성으로 나타난다. 상생과 조화는 사회적 연기론에 입각한, 없어서는 살 수 없는 절대적인 은혜의 윤리적 관계를 말한다. 이는 구조적인 폭력에 대응 가능한 테제라고 할 수 있다. 관용과 섭취불사는 무한절대의 진리앞에서의 신앙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즉, 대자대비심에서 발현된, 모든 존재를 포섭하는 구제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소태산의 평화사상은 그의 제자들이자 교단의 지도자들인 송규, 김대거, 이광정 등에게 계승되어 교단의 주요 지침이 되었다. 송규의 삼동윤리 사상, 김대거의 세계평화의 삼대요소, 이광정의 6가지 통일대도가 그 대표적인 것이다. 소태산의 평화사상에 기반한 이러한 사상들이 세계 보편적 가치나 윤리로서 정착되기 위해서는 더욱 깊은 연구가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conceptualization of peace of Jung-Bin Park,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The author argues that the basis of Jung-Bin Park`s peace lies in the truth of Il-Won-Sang (One Circle Image), which is the content of his enlightenment. The first point is the nature of the truth of Il-Won-Sang which is the original sourc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e mind-seal of all buddhas and sages, and the original nature of all sentient beings. In other words, all truth is symbolized by the truth of Il-Won-Sang. The second point is the nature of existence as being interfused and interconnected in all the phenomena in the world. It means that dualistic opposition is rejected in the world of non-duality which the Il-Won-Sang truth contains. The third point is the nature of being perfect, the state in which the Il-Won-Sang truth is presented concretely in reality. In other words, it means the peaceful world where all existence is realized as being perfect like buddhas, and at the same time, is revered by all beings so that conflicts have disappeared. These contents of his enlightenment became the ideological bases for organizing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the previous organization of Won-Buddhism. Also, Jung-Bin Park, who observed the limit of modern civilization which were the causes of sufferings for humanity and society, wanted to suggest solutions through this Order. Understanding the key was the destruction of traditions and symptoms based on division, he put forth the slogan of, “With this Great Opening of matter, let there be a Great Opening of spirit”, to correct spiritual civilization. He aimed for peace building in a religious way. The peace ideology of Jung-Bin Park can be explained as the Middle Way and the Mean, mutual life-giving and harmony, tolerance and buddhist works of embracing without abandoning. The Middle Way is a perfect practice which comes from enlightenment. The Mean is commanding the nature which appears in the state of no-thought and non-attachment. In social realities it is presented as the character of democracy and public concern. Mutual life-giving and harmony means the ethical relation of absolute grace,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dependent origination, which we cannot live without. It can be said to confront structural violence. Tolerance and buddhist works of embracing without abandoning are the faith activities toward a truthful world. In other words, they can be seen as practices of salvation to embrace all living beings which comes from the mind of great compassion and great loving-kindness. This peace ideology of Jung-Bin Park, was passed down to his disciples and, also, leaders of the Order―Gyu Song, Dae-Geo Kim, Gwang-Jeong Lee and so on―and became principal guidelines in the Order. Gyu Song`s ideology of the Ethics of the Three fold Unity, Dae-Geo Kim`s three great principles for world peace, and Gwang-Jeong Lee`s 6 great ways of unification on Korean Peninsular are the main representatives. More profound studies are required so that these ideologies, based on Jung-Bin Park`s ideology of peace, can be settled into the world`s universal values and ethics.

      • KCI등재

        오페라 〈소태산 박중빈〉의 플롯 연구

        오주은(吳周垠)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0 No.-

        <소태산 박중빈>은 원불교 교조인 소태산 박중빈의 일대기를 형상화한 최초의 오페라 작품이다. 이 글은 오페라가 음악을 일차적 표현 수단으로 삼는 연극 형식이라는 전제 아래 <소태산 박중빈>의 플롯을 살펴보았다. 플롯을 분석할 때 <소태산 박중빈>이 교조의 일대기와 사상을 무대화한 종교오페라라는 점에 중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경우 교조의 일대기와 사상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종교적 감동을 유발하는 데 목적이 있기 때문에 이에 상응하는 플롯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조의 생애와 사상을 전달하기 위해서 플롯의 서사적 기능을 확대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불연속한 사건과 시간을 연결해주는 해설자를 설정함으로써 서사적 기능을 확대하자고 제안하였다. <소태산 박중빈>에서는 도창과 자막이 해설자로 기능할 수 있다고 보았다. 종교적 감동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플롯의 극적 기능을 확대해야 한다고 보았다. 감동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기승전결의 단계를 각 장의 구조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태산 박중빈>의 장면을 세분화하자고 제안하였다. 다양한 갈등과 장면이 절정으로 집약되고 통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감정을 극대화하는 아리아를 절정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Sotaesan, Park Jung-bin is the first opera that portrays the life of Park Jung-bin whose penname is Sotaesan and who was the founder of Won Buddhism. On the assumption that opera is a theatrical form that takes music as its primary means of expression, this paper has examined the plot of Sotaesan, Park Jung-bin. The analysis of the plot focuses on the fact that Sotaesan, Park Jung-bin is a religious opera which makes a story laid in biography and philosophy of the founder of Won-Buddhism. As a religious opera has the purpose of fleshing out a founder’s life and thoughts and creating religious emotion, it needs a matching plot. In this study, religious opera is required to expand the epic role of plot in order to convey the life and thoughts of the founder. So, I have suggested that the epic role be expanded by letting the narrator put together and explain discontinuous events and time segments. I think that in Sotaesan, Park Jung-bin, Doh-Chang and subtitles can serve as narrator. I think that the dramatic role of plot should be expanded in order for a religious opera to create religious emotion. I have suggested further segmentation of scenes of Sotaesan, Park Jung-bin, as the stages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should be applied to the structure of each act for the purpose of creating emotion. This is designed to ensure that various conflicts and scenes are condensed and unified into a climax. And I have proposed that the aria maximizing emotional reactions be placed at the climax.

      • KCI등재

        체육철학적 관점에서 본 박중빈과 송규의 심신관 비교

        임병규 ( Byung Kyu Lim ),김부찬 ( Boo Chan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3 儒學硏究 Vol.29 No.-

        체육철학은 인간의 몸과 활동에 대한 사변적, 규범적, 분석적인 학문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은 몸과 마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몸을 통한 신체적 활동은 인격함양의 중요한 도구라 할 수 있다. 본고는 체육철학적 관점에서 원불교의 심신관을 다루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원불교 사상은 교조인 소태산 박중빈과 2대 종법사인 정산 송규에 의하여 정립되었다. 송규는 박중빈의 심신관을 계승하는 한편 차별적인 모습을 동시에 보이고 있다. 몸과 마음에 대한 이해의 차이는 동시에 수양론(양생론)의 차이를 드러내게 된다. 본고에서 아래과 같은 내용을 고찰함으로서, 박중빈과 송규에 의하여 체계화된 원불교 심신관의 내용과 그 특징을 다루고 있다. 첫째, 박중빈과 송규의 심신관과 수양론을 통하여 몸과 마음으로 이루어진 인간을 어떻게 이해하였으며, 그들이 목표로 하는 인간의 이상적인 경지와 이에 이르기 위하여 몸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둘째, 박중빈은 인간의 몸과 마음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 지를 고찰하였다. 셋째, 정산은 인간이 영(靈)과 기(氣)와 질(質)의 세 요소로서 구성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정산의 영기질론은 박중빈의 심신관을 어떠한 점에서 계승하였으며, 어떠한 점에서 차별성을 보이고 있는지를 밝히었다. Sport philosophy is an academic scope which studies human body and activities theoratically, normatively and analytically. Since a human being consists of body and mind, physical activities through the body must be one important tool to build one`s characteristics. This study purposes to investigate the view of body and mind stated by Won Buddhism as referring to the perspective of sport philosophy. Ideas of Won Buddhism are developed by the founder, Sotaesan Park Jong Bin, and the second master monk, Jungsan Song Gyu. Song Gyu succeeded Park Joong Bin`s view of body and mind, but also shows differentiated view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f body and mind derived the difference of theory of self-cultivation. As exploring the contents below, this study treats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Won Buddhism`s view of body and mind which was developed by Park Joong Bin and Song Gyu. First, through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view of body and mind developed by Park Joong Bin and Song Gyu,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they understands human beings, and to define the roles of the body to achieve ideal stage of human being. Second, this study explored how Park Joong Bin understands the human body and mind. Third, Jung San claimed that a human being consists of three factors, which are spirit, energy and material.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the concept of spirit, energy and material succeeded Park Joong Bin`s view of body and mind, and how it is differentiated from such view.

      • KCI등재

        島山 安昌浩의 ‘佛法硏究會’ 방문과 그 성격

        김도형(金度亨)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0 No.-

        독립운동 지도자 가운데 이념이나 노선에 관계없이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 1878~1938) 만큼 널리 존경받는 인물은 없다. 그는 민족 독립만을 위해 한 평생을 살았던 애국자이고, 또한 위대한 사상과 고매한 인품을 가진 교육자로 추앙을 받고 있다. 도산은 1932년 4월 29일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체포되어, 국내로 이송되어 4년형을 선고받고 감옥에서 위장병으로 1935년 2월 가출옥하였다. 출옥 이후 안창호는 만 2년간 고국의 각 지역을 유력(遊歷)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되었다. 1936년 2월 안창호는 호남지방 방문시 전라북도 이리(익산)의 ‘불교연구회(佛法硏究會)’ 총본부를 들려 원불교의 창시자인 소태산(少太山) 박중빈(朴重彬, 1891~1943)을 만나게 되었다. 이같은 사실은 도산이 각 지방을 순행하면서 독립의식을 고취시킬 것을 두려워한 일제가 그의 대한 감시와 통제를 가하였기 때문에 공적인 신문 등의 자료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도산이 ‘불법연구회’를 방문하여 박중빈과 담화를 나누었다는 것에 사실에 대해서는, 후일 두 사람과 함께 현장에 있었던 관계자의 증언에 의해 구전되어 전하고 있다. 일제경찰의 엄중한 감시가 있었기 때문에 안창호와 박중빈의 대담은 구체적으로 진행되지는 못하였지만, 두 사람의 이심전심으로 뜻하는 바는 충분히 나누었다. 1936년 2월 안창호가 호남지방을 순행할 당시, 박중빈은 그의 추종자들과 더불어 종교와 경제활동을 조화시킨 이상적인 농촌 공동체인 ‘불법연구회’를 만들어 놓고 있었다. 안창호는 1910년대부터 해외에 있는 동포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이상적인 농촌 공동체를 만들고자 하였다. 도산은 이상촌 건설을 위해 노력하다가 1932년 4월 윤봉길의거로 인해 중국 상하이에서 체포되어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그러다가 1935년 2월 가출옥되면서, 곧바로 자신의 이상촌(모범촌)을 국내에도 만들어 보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전국을 순행하였다. 안창호는 일제의 식민지 치하지만 ‘불법연구회’가 모범적인 농촌이라는 말을 들고 익산을 방문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는 박중빈이 일구어 놓은 ‘불법연구회’의 농촌실태를 직접 시찰하고 창시자 소태산을 만났다. 박중빈을 만난 안창호는 그가 이룬 농촌 공동체에 대해 놀라움 표하고 성공을 치하하였다. 두 사람은 일제 경찰이 곁에 있었기 때문에 심중에 있는 깊은 얘기를 나누지는 못하였지만, 모두 ‘이상촌’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많은 말을 나누지는 못했지만, 안창호는 ‘불법연구회’의 공동체에 대해 깊은 감명을 받았음에 틀림이 없다. 안창호가 1936년 2월 ‘불법연구회’를 방문한 것은 우연이 아니며, 모든 것을 독립운동의 수단과 방법으로 활용하는 도산의 심원한 계획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왜냐하면 실력을 양성하여 민족의 독립을 이루어야만 한다는 안창호의 이상촌(모범촌) 건설에 대한 사상과 박중빈의 생활과 종교 공동체를 성취시키려는 사상은 매우 유사점이 있기 때문이다. 안창호는 ‘불법연구회’를 직접 방문하여 그것을 보고, 자신이 가진 이상촌에 대한 생각을 보다 구체화시켜 나갔던 것이다. Dosan Ahn Chang-ho(1878~1938), a leader of Korean independent movement, is widely respected regardless of ideology or line. He was a patriot who lived a lifetime for the sake of the nation"s independence, so he received a reverence for his great ideas and personalities. Ahn Chang-ho was arrested in China on the 29th of April, in 1932 and immediately transferred to Korea. He was sentenced to four years in prison and was set free because of gastroenteritis in February 1935. After that, Ahn Chang-ho has met many peoples for two years while playing in various areas of his home country. Then, Ahn Chang-ho visited headquarters of the Buddhist Study Society(佛法硏究會) of Iri(Iksan) in February, 1936 and met with the founder of Won Buddhism, Sotaesan Park Jung-bin(1891~1943). The Japanese imperialists were afraid that Ahn Chang-ho would pursue the independence ritual in each province, so he did not allow him to meet his people, because he kept a watchful eye on his every move. As for the fact that Ahn Changho visited the Buddhist Study Society and had a conversation with Park Jungbin, he was told by the testimony of the person who was in the field with the other two people. In February 1936, when Ahn Chang-ho visited the Honam Province, what was the purpose of visiting the headquarters of the Buddhist Study Society? At the time he visited the Buddhist Study Society, Park Jung-bin had already formed an ideal rural community with his followers in harmony with religion and economic activities. Ahn Chang-ho tried to create an ideal rural community in which overseas compatriots could become economically selfreliant, at least in the course of their asylum in 1910. In 1932, Ahn Chang-ho arrested, and was imprisoned in Korea. Then, in February of 1935, he became a parolee, and went to the whole country with a plan to make his ideal village(model village) in Korea as soon as possible. Ahn Chang-ho visited here because he was told that the Buddhist Study Society was an exemplary rural area, although Japanese colonial ruled. He came to visit the Buddhist Study Society because he wanted to meet the founder, Park Jung-bin. Ahn Chang-ho, who met with Park Jung-bin, was amazed at the success of the religious community he achieved and appreciated his success. The two men were not able to talk deeply about the situation because the Japanese police were there, but they both had the same idea that they had to make an "ideal village". Therefore, Ahn Chang-ho must have been impressed with the community of the Buddhist Study Society.

      • KCI등재

        자료로 본 숭산 박길진의 삶

        박민영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2 No.-

        As is well known, Sungsan Park Gil-jin (1915-1986, law name Gwang-jeon) was the son of Sotaesan Park Jung-bin, the founder of Won Buddhism. In addition, he was an important figure representing the Won-Buddhism and a symbolic figure who established and developed Wonkwang University. In addition, as a scholar who majored in philosophy, he was also a scholar with the highest authority in Won Buddhism academia at the time. Sungsan was both a religious man and a scholar, a scholar and an educator at the same time. Among them, I think that what Sungsan paid special attention to was the establishment of Wonkwang University and nurturing talented people. In the meantime, research on Sungsan has been conducted mainly by the disciples of Wonkwang University and the denominations after Sungsan's death. As a result, by 2006, a considerable number of articles dealing with the subject of Sungsan could be accumulated. If we look a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ritings dealing with Sungsan up to that time, it is a natural result of the passage of time after his death. For the categories of writings commemorating and promoting Sungsan, please refer to Chapter 3, ‘Commemoration, Remembrance Papers’. As a writer, I think that Sungsan, who was both a university and a denomination, has now reached a point where he should be viewed as a historical figure and academically, beyond the dimensions of promotion and public relations. The work that evaluates Sungsan in various fields such as Won Buddhism, Sungsan as a philosopher, Sungsan as a religious and social activist, and Sungsan as an educator centering on Wonkwang University·Sungsan Studies·should begin right now. This article urges the launch of 'Sungsan Studies' and analytically summarizes the Sungsan materials that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or building the foundation. 숭산 박길진(1915-1986, 법명 광전)은 원불교를 개창한 교조 소태산 박중빈의 아들로 원불교단의 중요 인사이었을 뿐만 아니라 원광대학교를 설립하고 발전시 킨 인물이었다. 또 철학을 전공하였고, 당대 원불교학계에서 최고 권위를 가진 학 자이기도 하였다. 그동안 숭산에 관한 연구는 숭산 사후에 주로 원광대와 원불교단에 몸담고 있 던 후학들에 의해 이루어져왔다. 숭산을 다룬 글의 유형과 성격을 살펴보면, 숭산 의 공적을 선양하고 그의 유지를 계승하자는 추모의 글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본 고는 ‘숭산학’의 출범을 촉구하면서 그 토대 구축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숭 산 자료를 분석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의 구성은 숭산이 직접 생산한 자료와 숭산이 생산하지 않은 관 련 자료로 양분하여 장을 설정하였다. 숭산 생산 자료는 논저와 시·시조, 회고록, 기고문으로 다시 나누었고, 숭산 관련 자료는 기념·추모 글과 언론보도 기사로 구분하여 다루었다. 숭산 자료의 다양한 형태와 성격을 우선 일괄적으로 파악하여 유형화한 이러한 시도는 장차 진행될 숭산학 연구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소태산 박중빈의 불교개혁사상에 나타난 구조 고찰

        원영상 ( Yong Sang Won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불법연구회를 창립한 소태산 박중빈(1891∼1943)의 불교개혁사상의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먼저 소태산에 의한 개혁불교로서의 지향점을 세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시대적 현실에 입각한 불법의 원융성 회복, 둘째, 불법에 입각한 제 사상의 포용 정신, 셋째, 불법에 기반한 사회개혁을 전개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지향점 위에 소태산의 불교개혁사상의 구조 또한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보고자 한다. 첫째는 불보(佛寶)와 법신불 일원상과의 관계이다. 한국의 불교는 사찰에 전통적으로 유래된 불상을 신앙의 대상으로 모셔왔다. 근대의 여러 불교개혁가들이 주장한 것처럼 신화화된 불상은 불법의 진의에 대한 대중의 접근을 방해한다고 보았다. 소태산은 불심(佛心)의 상징으로 법신불 일원상을 봉안함으로써 불법의 근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둘째는 법보(法寶)로서 『정전(正典)』을 텍스트로 하였다는 점이다. 『정전』의 원텍스트는 소태산이 친히 감수한 『불교정전(佛敎正典)』이다. 원불교의 핵심경전인 『정전』은 대승불교의 경전관에 의거하고 있다. 소태산 또한 시기상응의 정신에 입각하여 대중을 중시하는 경전관을 피력하고 있다. 셋째는 승보(僧寶)의 의미를 확대하여 승가의 사회화를 지향한 것이다. 즉, 재가와 출가를 동등하게 보고, 차별없이 교단의 운영자로 참여시킨 것과 이러한 평등을 기반으로 사회의 승가화를 모색한 것이다. 이는 대승불교가 궁극적으로 성취하고자 했던 세계관이다. 이처럼 소태산의 불교개혁은 불법의 근원에 입각하여 기존의 관습적인 불법승 삼보를 해체하고, 현대적인 의미의 삼보로 재구성한 것이다. 소태산의 사후, 개명된 현재의 원불교의 성격 또한 이를 잘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tructure of reformative thoughts of Buddhism by launched Sotaesan Jung-Bin Park(1891∼1943) who founded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in 1924 that has been changed to Won-Buddhism in 1948. This writer think that Sotaesan presented 3 parts as the intention points of Buddhism reform by himself. Firstly, unifying material and spirit, politics and religion, monk and layman, life and practice etc., secondly, all-embracing of religious thoughts in the world based on the teachings of Buddhism, thirdly, social reform based on the thoughts of Buddhism. The reformative thoughts of Buddhism launched by Sotaesan who reformed traditional Buddhism world, consists of 3 structural elements too. Firstly, it is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statues of the Buddha and the Dharmak-ya Buddha whose another name is Il-Won(One Circle) in Won-Buddhism. The statues of the Buddha was worshiped as the great object of devotion in most of Korean temples. Sotaesan thought many statues of the Buddha treated as myths should be simplified for catching the true teachings of Buddha as like Buddhism reformers asserted in modern times. He enshrined Dharmak-ya-Buddha instead of Buddhist image to reveal the fundamental idea of Buddha. Secondly, Sotaesan completed Jeongjeon(正典) as the text of Buddha- Dharma. It contains the teachings of Buddha and Sotaesan. And Jeongjeon as Won-Buddhist core scripture is based on the viewpoint of Mah.y.na Buddhism. He preached that the teachings in scriptures should be kept up with the times and be angled towards viewers of the public. Thirdly, Sotaesan planed to make traditional Samgha in Buddhism open to society. He put this plan into practice through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It was equally open to both monks and laymen. This system is from Mah.y.na Buddhism that criticized Samgha of the established order. He has broken up three treasures, that is, Buddha, Dharma, and Samgha in traditional Buddhism and reconstructed these to modern system based on the fundamental idea of Buddhism. Today Won- Buddhists well maintain the heritage of the teachings of Sotaesan and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 KCI등재

        한국 사회의 평화 구축과 종교 역할

        박광수(Park Kwang-Soo)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4 No.-

        현대사회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 그리고 종교가 공존하는 사회이다. 르네상스 이후 서구의 근대화 과정과 19-20세기에 걸쳐 서구 중심의 근대 산업화 및 세계의 식민지 건설과정에서 다양한 문명의 대립과 충돌, 안전에 대한 위협과 갈등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났다. 세계 2차 대전이 1945년 막을 내린지 70년 이상의 세월이 지났다. 이는 곧 한반도 분단의 역사이기도 하다. 동북아시아 삼국은 종전 이후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국가 경쟁력을 국제사회에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데 성공하였다. 한중일 삼국은 경제적 교류의 확대와 협력을 추구하면서도, 중국뿐만 아니라, 일본과 미국, 그리고 남북한 군사력의 경쟁적 증강은 이웃 국가 간의 상호 신뢰가 확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현대의 경제적 신자유주의 시대에 동북아시아의 평화공동체 건설은 가능한 일인가? 한국, 중국, 일본 모두에게 주어진 과제는 건강한 공동체 의식을 확보해 동북아시아의 평화공동체를 이루는 것이다. 격변하는 시대적 혼란기에 형성된 한국 민중종교의 개벽사상과 평등사상을 토대로 한 구세이념은 새로운 사회를 갈망하고 대다수 민초들의 희망을 대변하며 당시의 시대인식과 세계인식, 사회변화인식과 윤리의식, 가치관과 민족관 등을 응축하고 있다. 이러한 평화의 문명사회를 구현하고자 한 새로운 종교운동인 원불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원불교를 창시한 소태산 박중빈(少太山 朴重彬, 1891-1943) 대종사를 비롯하여 정산 송규의 삼동윤리(三同倫理), 대산 김대거의 UR(United Religions)운동, 여산 류병덕의 평화통일사상 등에서 평화의 철학과 실천운동은 현 시대에 매우 중요한 비전과 실천을 담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세계화 과정에서 나타난 남북의 분단과 동서의 차별 시대, 배타적 근본주의 시대, 약육강식의 패권주의 시대를 넘어서야 하는 문명전환이 요청되는 시점에서, ①평화공동체를 위한 세계보편적 공공(公共)윤리 실천, ②탈종교시대의 열린 종교에 대한 논의를 중점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In modern societies various nations, cultures, and religions live together. In the course of Western modernization since the Renaissance, and in the course of modern industrialization and the world-wide colonialism of the West through the 19th and 20th century, various opposing forces within and collisions among civilizations, as well as threats to safety and conflicts have occurred all over the world. Since World War Ⅱ ended in 1945, over 70 years have passed. It is also the history of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r. The three nations of Northeast Asia – Korea, Japan and China – overcame the situation of political confusion and economic crisis after the end of the war and succeeded in stably secur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society. While they pursued economic interchange and cooperation, Japan and the USA, and South and North Korea increased their military power in a competitive manner alongside China. It is proof that mutual confidence among neighboring nations was not established firmly. In the modern age of economic neo-liberalism, is it possible to build a community of peace in the Northeast Asia? The common task assigned to Korea, China and Japan is to recover a spirit of healthy community and achieve a community of peace in Northeast Asia. The ideology of saving the world that was formed in the chaotic time-period of rapid changes, based on the thoughts of the Great Opening (kaebyŏk) and the concept of equality embraced by ‘religions of the general people (minjung),’ seeks to establish a new society and represents the hopes of most people. It embraces an awareness of the times, world and social changes, and a sense of ethics, values, and provides a perspective on the nation at that time of upheaval and rapid change. It can be found in Won-Buddhism which was a new religious movement that strived to realize a peaceful civilization among societies. The philosophy of peace and it’s practice movements such as the Ethics of Threefold Unity of Jeongsan Song Gyu, the UR movement of Daesan Kim Dae-geo, the thought of peaceful reunification and the practice movement of Yeonsan Ryu Byeong-deok as well as the thought of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Sotaesan Park Jung-bin, contain very important notions and practical activities that are relevant in this ag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1) the practice of ‘common public ethics’ that are universal and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peaceful community, and 2) engage in discussion about the open or inclusive religions in a post-religion era, at this time when a cultural transformation is required in which we should go beyond the age of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prejudices and biases that still hold in relation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age of exclusive fundamentalism, and the age of hegemony of the law of the jungle which occurred in the course of globalization.

      • KCI등재

        『금강경』의 사상(四相)에 대한 해석방향 연구

        김도공(金道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금강경』은 전 세계 불교계에서 가장 많이 독송되고 있는 불교 경전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대승불교권이라고 하는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차지하는 『금강경』의 위상은 거의 최상의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원불교에서도 『금강경』은 역사적으로 사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금강경』의 핵심내용을 줄여 말하면 공(空)사상에 바탕하여 사상(四相)의 차별심 없는 무상행(無相行)을 실천하는 것이다. 본 논고는 원불교에서 아상(我相) 인상(人相) 중생상(衆生相) 수자상(壽者相) 즉 사상에 대한 해석이 박중빈의 실지에 부합하여 설명한 언급에만 집중되어 이해되고 있는 현상을 지적하고, 본래 『금강경』이 추구하는 공사상의 입장에서 심도있게 해석해야 한다는 관점의 논문이다. 이를 연구하기 위하여 사상이 표현된 범어본 원전을 확인하였으며, 상(相)-주(住)-취착(取著)-견(見)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사상의 형성과정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사상의 내용을 불교의 무아의 원리에 바탕하여 해석해야만 『금강경』의 공사상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고 이를 수행에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고 본다. Diamond Sutra is one of the most favorite scriptures in Buddhism in the world. Especially, it has taken the highest position in the north east region in Asia which can be called as Mahayana Buddhism region. Diamond Sutra has also kept the important post on the historical and ideological view in Won-Buddhism. The core summary of Diamond Sutra can be “practicing Musanghang with non discrimination of Sasang” based on Naught thought(空思想).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interpretation of Diamond Sutra in Won -Buddhism has been mostly concentrated in Jung-bin Park’s practical explanations, and suggests the interpretation in the view of the Naught thought which Diamond Sutra originally see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hecked the original Sanskrit scriptures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Sasang such as Yu(有)-Ju(住)-Chak(着)-Gyun(見).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as Diamond Sutra is interpreted and understood in the principle of selflessness in Buddhism, it can be used as a good way for true practice asceticism.

      • KCI등재

        한국에서의 불교의 근대화

        원영상(Won Yong Sa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3 No.-

        본 논문은 근대불교계의 개혁론을 어떻게 새롭게 이해할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출발한 논의이다. 동아시아의 근대 불교계, 특히 중국, 일본, 한국의 경우 입장은 달라도 새로운 문명의 유입과 사회의 변동에 따라 전통과의 관계 정립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각자 고민하고 있었다. 한국은 조선시대에 쇠퇴한 불교계의 근대적 정체성 확립과 국운의 쇠퇴와 식민지화를 극복하기 위한 저항적 민족주의의 노선을 걷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선각자들의 불교개혁론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백용성(白龍城), 박한영(朴漢永), 한용운(韓龍雲), 박중빈(朴重彬)의 불교개혁론을 중심으로 전통과 근대불교라는 관계를 고찰하고 있다. 이러한 개혁론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불교계가 취한 불교개혁적 관점과도 연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불교계 또한 식민지 하에서도 서구 문명에 대한 대응, 불법의 시대적 사명, 불법의 사회화와 미래의 전망, 전통불교의 개혁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혁론을 피력하고 있다. 특히 서구문명의 유입을 필두로 관습과 생활문화의 변화, 공동체와 새로운 형태의 국가 출현 사이의 간극이 드러나는 사회적 상황에서 불교개혁론은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었다. 식민지 하에서는 일본불교의 한반도 진출과 함께 불교를 통한 식민지 통치 전략에 대해 실질적인 불교개혁을 통한 대응 또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원불교의 경우, 전통에 귀속되지 않는 독자적인 교단 창립을 시도하고 있지만, 불교사상 등의 내적인 측면을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대승불교의 역사가 보여준 불법승 삼보의 재구성을 통한 불교개혁을 완수하고 있으며, 회통성과 같은 한국불교의 성격을 실질적으로 확립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근대불교개혁론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의미는, 불법을 근대적 지(知)의 세계로 어떻게 승화시킬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불교개혁론이 지향했던 학문의 발전에 대한 담론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개혁론을 주장했던 선각자들은 실제로 전 생애를 통해 근대적 불교결사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을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This paper will discuss how to newly understand the reformation theory of modern Buddhist communities. The modern Buddhist communities of East Asia, especially in the case of China, Japan and Korea, had different perspectives, but were concerned with the issue of how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raditions in the wake of the arrival of a new civilization and changes in societies. Korea had to adopt the position of resisting democracy in order to establish the modern identity of the Buddhist community that declined in the age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overcome the decline of national destiny, and Japanese colonization. While doing that, Buddhist reformation theory formulated by leading figures contained various meanings.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theory of Buddhist reformation of Baek Yong-seong, Park Han-yeong, Han Yong-un, and Park Jung-b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Buddhism will be examined. These reformation theories are connected with the point view of the Buddhist reformation of Japanese Buddhism that took place after the Meiji Restoratio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also, even under Japanese colonialism, formulated reformation theories in different guises such as the response to Western civilization, the mission of Buddhadharma of the time, socialization of Buddhadharma and prospects of the future, and reformation of traditional Buddhism. Especially, in the social situation where gaps appeared as a result of changes in customs and life culture, and the community was faced with a new type of n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 theory of Buddhist reformation sought a new way out. Under colonialism,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Buddhism to the Korean Peninsula, responses arose through Korean practical Buddhist reformation against the colonial ruling strategy of Japan through Buddhism. And in the case of Won-Buddhism, it tri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order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traditional Buddhism, and yet, inherited and embraced the inner aspects of Buddhist thought. Finall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Three Jewels, namely, Buddha, Dhamra, and Sangha, that the history of the Mahayana Buddhism revealed, it completed the Buddhist reformation and practically established the nature of Korean Buddhism that featured such characteristics as communicative penetration. Another meaning that can be seen in the theory of modern Buddhist reformation was that the discourses for the development of studies that the Buddhist reformation theory aimed at were conducted from the view point of how to sublime Buddhadharma into the world of modern knowledge. It also needs to acknowledge that these pioneers who put forward the theory of reformation practically led the modern Buddhist association movement through their whole life.

      • KCI등재

        각자위심(各自爲心)에서 일원일심(一圓一心)으로

        한자경(韓慈卿)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8 No.-

        소태산 박중빈이 원불교를 개교하면서 내건 표어,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에서 정신개벽의 출발점은 정신수양이며, 정신수양은 곧 ‘두렷하고 고요한 정신’의 양성이다. 본고는 이 ‘두렷하고 고요한 정신’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고는 우선 오늘날 우리가 자기 마음으로 여기는 마음은 각자 자기 자신만을 위하는 개별적인 ‘각자위심’이며 자타분별과 주객분별의 표층적 분별의식이라는 것을 밝히고, 그와 달리 정신수양을 통해 자각하고자 하는 마음은 그러한 이원적 표층의식을 넘어선 심층의 보편적 일원(一圓)의 마음이라는 것을 논하였다. ‘두렷하고 고요한 마음’은 물질과 정신의 이원성, 주객분별과 자타분별의 이원성을 넘어선 ‘성성적적의 마음’, ‘공적영지의 마음’이고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본각(本覺)이다. 그렇지만 표층의 분별의식에 머물러 있는 한 자각되지 않는 불각(不覺)이기에 이를 자각하기 위해서는 수양이 요구된다. 오늘날처럼 인간이 표층의 이원적 분별의식에만 머물러 있는 한, 정신의 자각 및 정신개벽은 요원한 과제로 남는다. 결국 과학과 기술 등 물질문명은 날로 발전하지만 정신은 아직 깨어나지 못해 개벽이 요구된다는 소태산의 지적은 오늘날에도 타당한 지적임을 논하였다. The Great Master Sotaesan Jung-bin Park proclaimed the slogan, "With this Great Opening of matter, let there be a Great Opening of Spirit", when he founded Won-Buddhism. The starting point of the Great Opening of Spirit as in the slogan is the Cultivation of Spirit, which is to nurture "the Clear and Tranquil Spirit."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what this Clear and Tranquil Spirit is. First, this paper will clarify that what is considered as one"s own mind is individual "Personal Mind with Selfishness", which is the superficial discriminating mind with distinction between self and other, and between subject and object. It is argued that, unlike this Personal Mind, the mind to be awakened through the Cultivation of Spirit is the Universal Mind of Il-Won at the deep level beyond the consciousness at the surface level. The Clear and Tranquil Mind is "the Mind with both ever-calmness and ever-alertness", "the Mind of the Void and Calm, Numinous Awareness" and "the Original Awakening", which is possessed by anyone. However, as long as one remains at the surface consciousness with discrimination, it is Non-awakening . This is why cultivation is needed for awakening. As long as human beings stay at the surface consciousness with dualistic discrimination as in today, Awakening of Spirit or Great Opening of Spirit will be far from being achieved. In conclusion, it is reasoned the Sotaesan"s point is still valid today that the Great Opening is needed because Spirit is not awakened yet even though the material civilization such as science and technology is developing day by 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