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또래 유능성의 관계

        안라리,김정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교사가 평정한 또래유능성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서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지원하고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만 5세 4학급의 유아 97명과 그 어머니 및 담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양육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는 어머니 질문지를 통해, 유아의 또래유능성은 담임교사의 평정을 통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면접을 통해 각각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이 일상적 스트레스 및 또래 유능성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도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또래유능성의 관계는 여아에게서만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또래유능성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ort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o reduce children's daily stress by examining correlation between the four variables, which are mother's parenting efficacy, mother's parenting stress, children's daily stres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97 five-year-old children in 4 different classes, their mothers and the teachers have be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1) mothers' replies submitted to a questionnaires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2) teacher's rating for children's peer competence 3) the interview with the children on their daily stres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Mother's parenting efficacy has a negative relation to mother's parenting stress. 2)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not related to children's daily stres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3) Mother's parenting stress has a positive relation to children's daily stress. However,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related to children's peer competence with the girls only. 4) Children's daily stress was not related to children's peer competence.

      • KCI등재후보

        레트장애아동의 실태와 부/모의 스트레스 및 역할만족도

        임현주,이승희 한국자폐학회 2011 자폐성 장애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국내 레트장애아동의 양육, 교육, 및 치료와 관련된 실태와 부/모간 인식차이, 레트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정도와 부/모간 차이, 레트장애아동 부/모의 역할만족도 정도와 부/모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레트증후군협회(KRSA)에 등록된 가족의 부/모들이었으며 최종 연구대상은 레트장애아동(n=43)의 부모 86명(부 43명, 모 43명)이었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술통계와 t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연구문제별로 다음과 같다. 첫째, 레트장애아동의 양육, 교육, 의료, 관련치료에 대한 36개 문항 중 대부분(31개 문항)에서 부/모간에 유사한 응답을 보였다. 둘째, 레트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는 일반아동 또는 다른 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부모보다 다소 높은 정도로 나타났으며 총스트레스와 4개의 스트레스 하위영역중 모의 스트레스가 부의 스트레스보다 높은 1개의 하위영역(일상생활관련 스트레스)을 제외한 총스트레스 및 3개의 스트레스 하위영역에서 부/모간 스트레스 차이는 없었다. 셋째, 레트장애아동 부/모의 역할만족도는 일반아동 부모들보다는 낮지만 다른 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부모들에 비해 더 낮지는 않은 정도로 나타났으며 부/모간 역할만족도 차이는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와 연관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 연구 및 과제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rents' perception on the status of children with Rett's disorder, the stress of their parents, and the role satisfaction of their parents. To do this, 86 parents(43 fathers and 43 mothers) of 43 children with Rett's syndrome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who were registered in Korea Rett Syndrome Association(KRSA).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t-tes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In respect to the status of children with Rett's disorder, parents' responses were similar in 31 questions out of 36 questions about rearing, education, medical treatment, or related treatment. b) The degree of parent's stress was a little higher than it of parents of normal children or children with other disabilitie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fathers and mothers in total stress and subtypes of stress except 1 subtype(daily-life related stress) in which mother's stress was higher than father's. c) The degree of parent's role satisfaction was lower than it of parents of normal children but not lower than it of parents of children with other disabilitie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role satisfaction between fathers and mother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with previous research and several suggestion were presented for future related research and tasks.

      • KCI우수등재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부모 반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지영(Ji Young Lee),이강이(Kangyi Lee) 한국아동학회 2021 아동학회지 Vol.42 No.1

        Objectives: This study’s aim was to examine the paths from father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to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through parents’ response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Methods: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response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5.0.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Pearson’s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based on children’s gender. Meanwhile,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between fathers and mothers, the former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than the latter, especially with regard to children’s characteristics. Second,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stress but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arental response to their negative emotions. On the contrary, while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display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others’ non-supportive response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thers’ non-supportive responses. Third, when controlling for preschoolers’ temperament, parental education, and income, father’s parenting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supportive response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hile it had a positive effect on non-supportive responses. Meanwhile, fathers’ supportive response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but their non-supportive responses had no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Fourth,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ir supportive response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hile it had a positive effect on non-supportive responses. In addition, mothers’ support fo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hile their non-supportive responses had a negative effect. Conclusion: In separate analyses for father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revealed the path to affect emotion regulation by using parent’s response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us, There is a need for a different approaches to the management of fathers’ and mothers’ stress. Parenting stress and the parental response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in preschoolers.

      • KCI등재

        유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 변인 연구

        박애경(Park Ae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유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관련변인으로는 어머니 연령, 교육정도, 평균수입 및 양육스트레스로 구성되었고, 자료수집을 위해 경기도 소재의 유치원 만 5세 125명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2019년 2월부터 4월까지 3달간 실시하였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검사, PFC 검사 설문을 통해 연구결과를 수집하였으며, 결과 자료는 연구문제 1을 검증하기 위해 어머니의 연령,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유아의 우울 관계는 F검증과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연구문제 2,를 검증하기 위해 유아의 우울과 어머니의 연령, 교육정도, 양육스트레스의 상대적 영향력을 위해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연령, 교육정도 및 가정수입에 따른 차이는 어머니의 연령만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즉, 30대, 40대 20대 순으로 유아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유아 우울은 3가지 양육스트레스(부모의 고통정도, 부모의 역기능적 상호작용 정도, 유아 기질정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각각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상 집단의 유아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우울에 대한 어머니의 연령, 교육정도 및 양육스트레스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양육스트레스 관련 유아의 기질정도가 전체변량의 34.8%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기질정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유아의 우울이 증가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아 기질정도 관련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줄이는 방향에 대한 교육적 모색과 그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p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maternal variables of the preschool children’s depression. Such variables as the mother’s age, education level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have been chosen for the analysis. The sample subject were 101 children and mothers, who were 5-year-olds, at A, H and C kindergarten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mother’s age. However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education level, home income. Secondly, children’s depression according to parenting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ree parenting stresses(parental pain, parental dysfunctional interaction, children temperament). children’s depression was higher in the groups with higher parenting stress. Thir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mothers age, education, and parenting stress on depression of children, temperament of parenting stress-related infant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explaining 34.8% of the total vari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ildren’s temperament which is subordinate factor of mother s parenting stress forecast the children’s depression. In addition, the study will provide an educational search for directions to reduce maternal parenting stress related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ducing children’s depression.

      • KCI등재

        아버지 일-가정 양립 갈등이 아버지 우울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김희영(Kim Hee-Young),유효인(You Hyo-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Ⅴ. 제언 본 연구는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 우울, 양육스트레스 및 어머니의 양육스 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아버지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자료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2015년 수집하여 통계처리 한후 2017년 5월 공시한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 데이터로서 2018년 3월에 한국아동패널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받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 하여 주요변수들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2.0 프로그램으로 구조모형 분석하여 주요변수 간의 유의한 경로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일-가정 양립 갈등과 아버지의 우울,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아버지의 우울과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 스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일 가정 양립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특성, 놀이참여도와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정미라,강수경,최은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특성(양육스트레스, 영아에 대한 어머니애착, 양육효능감), 놀이참여도와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면서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 2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영아에 대한 어머니애착, 양육효능감, 놀이참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영아에 대한 어머니애착과 양육효능감을 통해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영아에 대한 어머니애착과 양육효능감은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효능감을 통해 외현적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육효능감만이 외현적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양육스트레스를 줄이고 양육효능감과 영아에 대한 어머니애착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parenting characteristics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mother’s play participation, to infant’s social & emotional development. The subjects were 279 mothers with infants aged 15-26 months in Seoul provinces who participated in parent-infant play program. Data we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using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and mother’s play participation were verified by bootstrapping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and mother’s play participation. Second,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capability and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had a direct effect on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capability. Third, parenting 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ant’s external problem behavior and just parenting efficacy was found to directly affect infant’s external problem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concludes with suggestions for promoting a parenting efficacy and supporting healthy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and mitigating or alleviating parenting stress.

      • 저소득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가족기능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

        하유정(Ha, Yu-Jeo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09 통합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의 부모유형의 특성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가족기능이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저소득가정의 4,5,6학년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과 Pearson의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차이는 권위 · 통제태도에서 차이가, 양육부모유형에 따른 부모양육태도는 권위 통제측면과 적대 · 거부측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양육부모유형에 따른 가족기능의 차이는 가족응집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부모양육태도 및 가족기능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과의 관계에서는 적극적 대처행동은 애정 · 수용태도와, 소극적 대처행동은 적대 · 거부태도와, 회피적 대처행동은 민주 · 자율태도와,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은 권위 · 통제태도, 애정 · 수용태도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가족기능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과의 관계는 가족응집성이 연결형일 때 적극적 대처행동과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에서 상관관계를, 가족적응성과의 관계는 적응성이 강한 융통성일 때 적극적 대처행동에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가족체계유형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관계에서는 보통균형가족의 경우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행동에서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가족기능이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은 애정 · 수용태도가 적극적 대처행동에, 권위 통제태도가 회피적 대처행동에 영항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에는 애정 · 수용태도와 적대 거부태도 모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의 경우 적극적 대처행동에 대해서는 가족응집성중 연결형과 밀착형에서 가족적응성중 강한융통성과 경직형에 영향을 주었고, 가족체계유형에서는 극단가족과 중간가족 모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에 대해서는 가족응집성중 단절형과 분리형, 가족적응성 중 경직형과 구조형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how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function of family that were perceived by children can affect stress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style of par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Subjects of the study were 7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4th, 5th and 6th year and it used structured questionnaires about stress from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function of family in 2 children study centers and 3 welfare centers of Seoul and other cities. T -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with SPSS 15.0 program. Mai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study also differences in parent’s authority and control over children based on their grades at school. and study took a look at differences in child’s perception about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ccording to styles of parents and there wer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rea of authority · control and hostility · rejection. In addition to that, study also saw differences in child’s perception about function of family according to styles of parents, there were some meaningful gap in family cohesion. Secondly, study also focused on how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function of family were connected with stress coping behavior of children. Study results showed that active coping behavior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ffectionate · acceptant attitude and passive coping behavior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hostile · rejective attitude. Finally, study took a look at how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function of family affected stress coping behavior of children. It showed that parents with affectionate and acceptant attitude affected children’s positive coping behavior and parents with disciplinary and controlling attitude, dodging coping behavior respectively. And concerning coping behavior seeking social support, it is shown that affectionate . acceptant · hostile’ rejecting attitude are influential. Additionally, children from connected, enrneshed(based on family cohesion) and very flexible(based on family flexibility) type of family have tendency to cope with their stress actively. Contrary, children from rigid (based on family flexibility), extreme and mid-range(based on family system type) family seemed not to cope with their stress actively. Moreover, children from disengaged, separated family (based on family cohesion) and rigid, structured family(based on family flexibility) were negatively affected in their coping behavior seeking social support.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ㆍ성인애착과유아의 스트레스ㆍ사회성에 관한 연구

        지성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nd differences among parenting stress, adult attachment, child stress, and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8 five-year-old children (mean age 73.84) who atten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and their mother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 Self 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Korean Preschool Children Daily Stress Scale’, and ‘Social Skill Situation Measurem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Regression, One-way ANOVA, and Scheffé.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 stress,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was the predicted variable that has the most significant relative effect o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 stress was an additional predicted variable.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tress related to the assailment with reproaches’ that is subordinate factor of child stress has the most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regulating emotion’ that is subordinate factor of social ability and ‘stress related to self-esteem’ that is subordinate factor of child stress were additional predictor of mother’s parenting stress. Las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hild stress and social ability,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mother’s types of adult attachment. The results found that the children of mothers who showed the secure attachment showed a lower level of stress and a higher level of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the mothers themselves showed a lower recognition of parenting stress.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성인애착 그리고 유아의 스트레스와 사회성 간의 관계성과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평균 월령 73.84개월)와 어머니 각각 178명이었다. ‘부모 양육스트레스검사’, ‘유아 일상적스트레스검사’, ‘유아 사회성검사’ 그리고 ‘성인애착검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One-way ANOVA, Scheffé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간에는 정적상관, 유아의 사회성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사회성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부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스트레스가 추가적인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요인 단계별 중다회귀분석 결과, 유아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비난공격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유아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감정다루기’ 및 유아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자존감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성인애착 유형에 따라 유아 스트레스와 사회성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안정애착 유형의 어머니의 자녀들은 스트레스가 낮고, 사회성이 높으며, 어머니도 양육스트레스를 적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행동유형에 따른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DISC 행동유형을 중심으로

        조유나 ( Cho You-na ),김상미 ( Kim Sang-mi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1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4 No.-

        이 연구는 만 4~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동특성을 DISC행동유형으로 유형화하고 어머니의 행동유형에 따른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만 4, 5세가 되는 유아를 둔 어머니 26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 분석을 실시한 후 일원변량분석방법(ANOVA)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행동유형에 따른 의사소통과 교육, 전반적 양육효능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즉, C형이 S형보다 의사소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D형과 I형, C형이 S형보다 교육요인 양육효능감을 높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D형과 C형은 S형보다 전반적 양육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행동유형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DISC행동유형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S형(안정형)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DISC행동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행동유형에 따라 양육효능감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양육과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에서 어머니 각자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 된 연구가 요구되며 특히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을 위해 낮은 효능감과 높은 양육스트레스를 보인 S유형을 위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ategorize mother's behaviour style, whose 4-5 year-old kindergartners according to DISC behaviour patten and determine whether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related to mother's behaviour styles was associated with parenting behaviors. Therefor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for the study: (a) mother's DISC behaviour styles affect parenting efficacy (b) mother's DISC behaviour styles affect parenting stress related to mother's DISC behaviour styles affect parenting behaviors. The subjects of study were 269 mothers of 4-5 year-old kindergartener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by ANOVA after using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o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indicated that mother's behavior style was related to factors of parenting efficac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of parenting efficacy according to mother's behaviour style. The parenting efficacy related to mother's behaviour style indicated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teaching, general parenting efficacy from mother's behaviour style. In other words, Type C indicated higher communication parenting efficacy than type S. Also type D, type I and type C indicated higher teaching parenting efficacy than type S. Type D and type C indicated higher general parenting efficacy than type S. Otherwise, type S indicated lowest factors of parenting efficacy except parenting efficacy of control factors and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types of mothers. Secondly, mother's stress were not related to variables of parenting behaviour, particularly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and rational guiding parenting stress. But Type S indicated higher level in general than other behavior styles. In conclusion, the result indicated mother's behaviour style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also relationship. Therefore research and parenting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each mother's characters in terms of parenting-related variables. Especially for the mother's positive parenting showed lower efficacy and higher parenting stress, parent training is required for type S can be considered.

      • KCI등재

        아동, 청소년의 생활 스트레스, 부모 양육방식 및 부정적 자동적 사고 간 관계: 연령과 성에 따른 부모 양육방식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신현균 한국임상심리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8 No.4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life stress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t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ing style with regard to the child's age and gender in order to clarify the mechanism of depression vulner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345 male and femal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d more life stress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d appearance-related stress.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more parental overprotection and mother's affection than di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across the whole sampl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ere most strongly correlated with life stress, and also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ather's rejection, mother's rejection, father's overprotection, and mother's overprotection. Results varied according to child's age and gender. In the cas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male middle school children, father's rejection was most strongly correlated with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mother's rejection was most strongly correlated with negative automatic though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ife stress, father's rejection and affec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significantly across the whole sample.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rejection and overprotection were also significant. There were age and gender differences here, too. In the case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interaction of life stress and father's affection was significant.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interaction of life stress and mother's affection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olescents are more affected by the same gender parent's parenting style. This study's results may provide some important suggestions for preventive intervention in depression by increasing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depression vulnerability according to age and gender. 본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 우울증의 취약성 중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발달되는 기제를 규명하기 위해 생활 스트레스와 부모 양육방식과의 관계 및 부모 양육방식의 중재효과를 검증하였다.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남여 초등학교 4학년생과 중학교 2학년생 34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변량분석 결과, 연령과 성에 따라 다소 다른 결과를 보였다. 즉, 초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이 생활 스트레스와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더 많이 경험하였고, 여중생은 외모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경험하였다. 또한 중학생이 초등학생에 비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과보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을 더 많이 지각하였다. 생활 스트레스, 부모 양육방식 및 부정적 자동적 사고 간 상관 분석 결과, 전체 집단의 경우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생활 스트레스 간 상관이 가장 컸고,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 아버지의 과보호 양육,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 순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연령과 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남, 여 초등학생과 남자 중학생의 경우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아버지의 거부와 가장 큰 상관을 보인 반면, 여중생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거부와 가장 큰 상관을 보였다.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생활 스트레스와 부모 양육방식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집단의 경우, 생활 스트레스,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이 유의미한 예언변인이었다. 어머니의 거부와 과보호 양육방식은 생활 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부정적 사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부정적인 양육방식의 중재효과가 확인되었다. 부모 양육방식의 중재효과 역시 성과 연령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특히 중학생의 경우, 남학생은 스트레스와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방식의 상호작용이, 여학생은 스트레스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방식의 상호작용이 부정적 사고를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이런 결과는 청소년의 경우, 부모와 자녀가 같은 성일 때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연령과 성에 따라 아동, 청소년 우울증의 취약성이 발달하는 기제를 규명함으로써 우울증의 예방적 개입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