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주지역 적석목곽묘의 출현과정에 대한 일고찰

        이재흥 영남고고학회 2007 嶺南考古學 Vol.- No.43

        This thesis aims to trace the changing processes from the outer coffin tombs(木 槨墓) to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積石木槨墓) with the perspective emphasizing continuous changes rather than dramatic ones. Thus it is considered that many elements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such as the compiled stones around wooden chamber, doubled chambers, pebble platform for coffins, stone stairs, excluding partial elements such as the compiled stones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and its wooden joint structures, could be found during the stage of the outer coffin tombs. In addition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outer coffin tombs in Gyeongju region have been examined, which has attracted less attention until now. Through this locational review the transition from outer coffin tombs to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has been traced. In Gyeongju area, unlike other Youngnam region, it is found that outer coffin tombs had been built in plains as well as hills. These features in their location might be understood to be not only one of the backgrounds for emergence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but also one of the prime mover of their appearance. From the middle of the 2nd century AD, which witnessed the appearance of the outer coffin tombs in Gyeongju area, to the middle of the 3rd century AD, which witnessed the the so-called Gyeongju-style outer coffin tombs(慶州式木槨墓), a few stone-surrounded outer coffin tombs(圍石式木槨墓) had emerged at only the old tomb groups located at plain areas. But from the second part of the 3rd century stone-surronded outer coffin tombs spread to not only plain areas to hilly areas where stone might be relatively less available than plain areas. Through these processes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gradually had added their own features more and more. From the late part of the second half of the 4th century AD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had appeared at both hill and plain in Gyeongju area, which is understood to be the period that they had been firmly established in Gyeonju area. 본고는 적석목곽묘의 등장이 그 앞 단계인 목곽묘시기부터 계속되어 온 계기적인 변천의결과로 보는 입장에서 목곽묘와 적석목곽묘로의 전환 과정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래서 지상화 된 대형적석목곽묘에서 보이는 적석 봉토부와 목가구조 같은 일부 구조를제외하고 적석목곽묘가 갖추어야 할 목곽 주위의 적석, 이중곽, 역석시상, 석단시설 등의구조가 이미 목곽묘단계에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관심이 부족했던경주지역 목곽묘의 입지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고려해 목곽묘에서 적석목곽묘로의 전환과정을 검토하였다. 경주지역은 다른 영남지방과 달리 목곽묘가 구릉뿐 아니라 평지에서도 축조된다. 이렇게평지에도 목곽묘가 축조되는 경주지역 목곽묘의 입지적 특성은 위석식목곽묘 출현의 배경이되었고 적석목곽묘 등장에 주요한 계기가 된 것으로 이해된다. 경주지역에서 목곽묘가 처음나타나는 2세기 중엽부터 경주식목곽묘가 출현하는 3세기 중엽까지는 평지에 위치한 고분군에서만 일부 위석식목곽묘가 등장한다. 3세기 후엽부터는 평지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돌을 구하기 어려운 구릉에 위치한 고분군에서도 위석식목곽묘가 나타나면서 한층 적석목곽묘의 면모를 갖추어 나간다. 4세기 4/4분기부터 구릉과 평지에 관계없이 경주전역에서 적석목곽묘가 나타나는데 이 시점을 경주지역에서 적석목곽묘가 성립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 KCI등재후보

        악취관리지역 지정에 따른 실태 조사연구

        곽완순,추완종,임종성,김기문,전남수,이주형,이명진,현진용,방기인 한국냄새환경학회 2007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6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status of odor managing zon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re are four odor managing zones in incheon ; Namdong industrial complex, Seobu industrial complex, Seoknam-Wonchangdong industrial complex, Baekseok-Oryudong area. Each zone with 16 sampling sites consisted of three parts. One was inner area (1-1~1-4 site) and another was boundary area (2-1~2-4 site) and the third was outer area (3-1~3-8 site). We analyzed quarterly 18 items of odor pollutants in order to investigate air quality of odor managing zones during 2006. Data of inner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boundary or outer area and concentration of odor pollutants of night was higher than that of day.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ncentration of odor pollutants in some sampling sites of boundary and outer area was too low (about ND). Especially ambient hydrogen sulfide of inner area (1-1 site) and boundary area (2-1 site) in baekseok-oryudong odor zone were 0.82 ppm and 0.55 ppm respectively due to landfill gas.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의 악취관리지역에 대한 실태조사를 위해 수행되었다. 인천광역시에는 4개의 악취관리지역, 즉 남동국가산업단지, 서부지방산업단지, 석남-원창동 일반공업지역, 백석-오류동 일원이 있다. 각 지역별 16개의 조사지점이 있으며, 내부지역(1-1~1-4 지점), 경계구역(2-1~2-4 지점), 영향(피해)지역(3-1~3-8 지점) 등 3개 구역으로 구분된다. 2006년 악취관리지역의 대기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악취오염물질 18개 항목을 분기1회 분석한 결과 내부지역의 수치가 경계구역 및 영향지역 보다 더 높았고 야간의 악취농도가 주간보다 더 높았다. 본 연구 전반적으로 경계구역 및 영향구역 대부분 지점에서 악취농도가 상당히 낮았다. 특히 백석-오류동 일원의 1-1지점(내부지역)과 2-1지점(경계구역)의 황화수소 농도가 매립지 가스로 인해 각각 0.82 ppm and 0.55 ppm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복합하중을 받는 외륜 분할 3점 접촉 볼베어링 특성 연구

        사진혁,김동혁,리베라 길버트,홍성욱 한국생산제조학회 2024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33 No.1

        A split-outer-ring three-point contact ball bearing (SO-TCBB) features a removed portion in the circular outer-ring to allow three-point contact. This study introduces a quasi-static model to analyze contact characteristics and predict the occurrence of a phenomenon called truncation of contact area (TCA) in SO-TCBBs. TCA implies that portions of the contact areas between balls and outer-race partially separate, exacerbating premature wear and reduced bearing life. Under pure axial loads, an increase in the axial load leads to earlier occurrence of TCA in the inner ring. Combined loads cause varying contact points and TCA for each ball, with higher radial loads accelerating TCA. Increasing radial load results in an earlier occurrence of TCA. Appropriately increasing the amount of removed portion of the outer ring produces a three-point contact at lower speeds, effectively reinforcing resistance against centrifugal forces at both contact points on the outer ring and impeding the TCA in both inner and outer rings.

      • KCI등재

        1899년 평양개시 이후 평양성 외성 공간의 재편 과정

        박준형 ( Park Jun-hy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9

        본 논문은 1899년 평양개시 이후 평양성 일대, 특히 평양성 내 외성 공간의 재편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평양개시는 외국인의 거주 자체가 금지되었던 ‘내지’를 외국인의 거주 및 무역이 가능한 ‘개시장’으로 개방하는 것을 의미했기 때문에, 개시와 함께 개시구역을 어디에 어느 범위로 설정할 것인가라는 공간 분할의 과제를 남겼다. 한국정부는 평양성 주변 5리까지를 모두 궁내부 기지로 설정함으로써 그 경계 밖에 개시구역이 설정되도록 유도했으나, 일본을 비롯한 각국대표는 평양성 내 개시구역 설정안을 가지고 그에 맞섰다. 결국 양측이 오래도록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각국대표는 일방적으로 평양성 전체를 개시장으로 간주한다는 선언을 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이후에도 평양성의 내성이나 중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토의 비율이 높고 광대한 폭원을 자랑하던 외성 공간을 둘러싸고, 상이한 공간 재편의 기획들이 시도되고 또 서로 충돌하였다. 대한제국은 “箕聖 천년의 고도”인 평양에 西京을 설치하고 외성 내에 대한제국 황실의 행궁인 풍경궁을 건설하였다. 다른 한편 일본은 외성 한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경의철도를 부설하고 나아가 외성 일대 전체를 군용지로 수용하여 영구병영을 건설하였다. 양자는 각기 대한제국의 ‘중흥’과 일본의 ‘대륙 진출’이라는 서로 다른 목표에 기반하고 있었는데, 후자가 내세운 ‘군용’의 논리는 전자의 공간 기획을 무력화하면서 외성 공간 전체를 식민지적 공간으로 재편해 갔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spatial organization within the outer-walls of P’yǒngyang City. The opening of the city was intended to open up the ‘interior’ where foreigners were not allowed to reside as an ‘open city,’ which introduced the problem of space division as to what extent foreigners should be allowed to reside. The Korean Government was induced to establish an area of ‘open city’ outside the boundary of the Imperial Household Ministry’s lands, which was drawn at a distance of two kilometers around P’yǒngyang, but the foreign diplomatic representatives in Korea countered with a plan to set up the area within P’yǒngyang. After a stalemate between the two sides and their respective plans, the foreign diplomatic representatives unilaterally declared that the whole city of P’yǒngyang would be regarded as an ‘open city.’ However, two different plans of spatial organization for the outer-walls of P’yǒngyang were respectively made by Korean and subsequently by Japan. The Korean Government designated P’yǒngyang as the western capital and built an Imperial Palace named ‘P’unggyǒnggung’ within the outer-walls, whereas the Japanese Army laid the Seoul-Ǔiju Railway across the middle of the outer-walls, and promoted the construction of permanent barracks by requisitioning the whole lands of the outer-walls for the military. The former’s goal was the restoration of the Korean Empire, whereas the latter’s was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Empire. Eventually, the space of the outer-walls was destructively reorganized for the Japanese military, which emasculated the plan for the Korean Empire.

      • KCI등재

        통일신라시기의 간선교통로

        정요근(Jeong, Yo-Keun)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3

        통일 후 신라는 전국을 9주로 나누고 5소경과 여러 군현을 편제하면서, 왕경과 각 지역의 주치 및 소경 간을 잇는 노선을 간선교통로로 중시하였다. 각 간선로의 노선은 ‘군’의 치소 간을 잇는 교통로들의 결합을 통해 복원할 수 있다. 왕경에서 주변지역으로 뻗어나가는 교통로는 6가지의 루트(왕경6로)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왕경서로가 가 장 중시되었다. 왕경으로부터 전국의 주요 대읍으로 향하는 간선교통로는 왕경서로를 지나 상주 방면으로 연결되는 교통로가 가장 중시되었으며, 한강 유역 확보와 백제 방면 진출이라는 신라의 국가 발전 단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왕경과 각 지방의 대읍을 연결하는 통일신라의 간선교통로는 삼국통일 후 전면적인 재편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통일 이전부터 진행된 영토 확장의 과정에서 구축된 것이었다. 그러므로 시대적 흐름에 따라 각 방면의 거점들이 신설, 폐지, 이전되는 과정은 간선교통로의 시 대별 중요성 변화와도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었다. Silla divided whole country into nine provinces called ju(州), designated some local key points as five secondary capitals called sogyeong(小京) after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Silla regarded routes between the royal capital and local hub cities(nine provincial capitals and five secondary capitals) as national artery roads. Line of each artery road can be restored through joining short-distance routes linking between counties. There were six routes extending from the capital for outer area in Unified Silla period, and the westward capital route, one of those six routes, was the most important line. The Artery route extending from capital which reached Sangju province through westward capital route wa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of nationwide artery route between the capital and local major cities. Also, it was a main route Silla used during its national development such as occupying Han River basin and advancing to former Baekje area. Unified Silla’s Artery Routes linking between the capital and local major cities was not set up by reorganization after the unification but was actually organized through the process of territorial expansion which took place before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Therefore, the rise and fall of local major cities performing regional hub function was deeply related with geopolitical importance’s fluctuation each artery route had with the change of era.

      • KCI등재

        朝賀 儀禮動線과 宮闕 正殿의 建築型式

        조재모(Cho Jae-Mo)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2

        This study is on the King's movement during the political ceremony and also on the architectural norm of JeongJeon the main pavilion of the palace of Joseon dynasty. It needs the analysis on the alternatives of King's movement and comparative study about other palaces of East Asian country such as China, Japan and Vietnam. The ideal concept of royal ritual ceremony is the process that the King who lived in the palace meets the officials who comefrom outside. So the ritual space has the meaning of border between private and public(or political) area. JeongJeon at JoHa(朝賀, great ceremony), the main gate at JoCham(朝參, every 5 days meeting) and PyeonJeon at SangCham(常參, daily meeting) can be the border of each case and in the ancient idea, every border has the image of the 'gate' as ritual space. According to this concept, King's movement has to be the way from back to front via the rear door and the five mountains' folding screen of main pavilion.

      • KCI등재후보

        동해안 오구굿과 한국의 굿 비교

        김헌선(Kim Heon-s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한국학연구 Vol.25 No.-

        이 글은 2005년 10월 1일부터 2일까지 이틀 동안 부산시 기장군 일광 해수욕장에서 있었던 김석출의 오구굿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날 오구굿에서 김석출이 경북 출신으로 경남에서 정착하어 경북과 경남지역의 굿을 적절히 조화해서 만들어낸 오구굿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오구굿을 통해서 동해안 오구굿 의례의 전반적 판도를 1.망자자리~24.오구거리멕이기굿으로 정리할 수 있다. 각 의례절차의 의미는 각 굿거리에 따라서 세부절자, 장단의 운용, 무가, 가창방식, 활용무구 및 소도구 등의 차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여러 굿거리 중에서도 특히 동해안 오구굿의 특징을 보이는 굿거리로 4.청혼, 5.문굿, 6.문답설법, 7.오는뱃노래굿, 9.초망자굿, 10.극락다리놓기, 13.발원굿, 14.시무염불, 15.넋일굼, 16.판념불, 21.길가름, 22.정정밟기 등을 틀 수 있다. 오구굿은 동해안 지역에서 거행되고 있는 다른 편의 의례인 별신굿과 비교할 수 있다. 동해안 별신굿에서 연행되는 굿거리를 지모춤, 무가청배, 춤, 신의축원공수, 축원여흥, 잡귀퇴송의 정형화된 형태에 따라서 5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오구굿에서는 이러한 유형 분류가 쉽지 않은데, 이유를 오구굿이 개별적인 굿거리에 충실한 다원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오구굿은 별신굿처럼 축원이 굿이 아니므로 망자 개인을 위한 굿의 각도에서 굿이 짜여졌다. 오구굿이 의미 있는 굿이 되도록 짜나가는 구조적 원형은 안굿과 밖굿에 대한 구분을 통해서 명확해진다. 이를 좀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다른 지역의 굿과 비교를 통함으로써 논의를 확대할 수 있다. 즉 서울지역의 진진오기굿은 안굿(밤굿)과 밖굿(새벽굿)의 측면에서 오구굿과 구조적 기준이 일치한다. 이러한 안과 밖의 구분은 동해안 별신굿에서도 확인되는 형식이어서 굿을 짜나가는 중요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안과 밖의 구분에 있어서 가망의 존재는 동해안 별신굿의 안당ㆍ밧당굿, 서울굿의 삼가망, 황해도 만수대탁굿의 겹굿(안굿과 밖굿)의 유사한 구조를 해명하는데 주요한 단서가 된다. 동해안 오구굿에서 발견된 안ㆍ밖의 구조가 다른 지역의 굿에서도 발견되며, 그러한 겹굿의 구성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서 형성되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삶과 죽음의 세계관적 배열, 주거공간의 구조 등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으나 이것이 모든 것을 해명하지 못한다. 동해안 오구굿과 서울 진진오기굿의 연구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현지조사와 전국굿의 비교 작업으로 확장함으로서 여러 조건들의 함수관계를 해명하는 작업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확인했다. This study is on the Ogugut in Eastsea Area of Korea. Ogugut is a shaman performance which pray a death person to pass away peacefully. So Ogugut's structure focuses on the dead person. The structure of Ogugut consists of inner-gut and outer-gut. It is the same to Jinjinogi of Seoulgut which consists of inner-gut(night-gut) and outer-gut(dawn-gut). Also It is the same to Mansudaetakgut of Hwanghae-Do. This structure which is folding performance(gut) are formmated several reasons. Normally We say The reason is the arrange the life space and the death space. We say The structure reflect a structure of residence. But These saying do not solve the all aspects of that.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a clue to solve this question by comparing with Ogugut and Jinjinogi. This comparison has to expend to the Korean gut.

      • KCI등재후보

        익산 왕궁성 구조에 대한 고고학적 재검토

        소재윤 ( So Jaeyun ) 호남고고학회 2024 湖南考古學報 Vol.77 No.-

        익산 왕궁성은 백제 무왕 대 익산 천도설 등과 관련하여 거론되는 백제 궁성 유적이다. 익산 왕궁성은 그간 발굴조사를 통하여 궁성의 규모와 축조기법, 그리고 다양한 공간적 성격들이 규명되어 백제 궁성으로서 위상을 더하게 되었다. 그러나 왕궁성 중축선을 중심으로 위치한 핵심지역이 궁성단계에서 사찰단계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원형의 상당부분이 파괴되었다고 보고되면서 백제 사비기 궁성의 원형은 어떤 모습인지 가늠하기 어렵게 되었다. 하지만 발굴조사된 결과를 면밀히 살펴보면, 궁성 핵심지역에 위치한 금당지와 강당지가 사찰단계에 새롭게 조성되었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해 보인다. 오히려 금당지와 강당지로 추정되는 건물지는 궁성 남문에서부터 이어지는 남북 중축선상에 정확히 위치하며, 건물 기단토 내 출토유물과 축조기법면에서도 백제 궁성 침전 건물로써 손색이 없어 보인다. 백제 건축공법을 통해 보면, 궁성 내 백제 침전은 후에 금당지와 강당지로 재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이러한 고고학적 재해석은 금당지 전면에 위치한 목탑지와 관련하여 선대유구와 장방형건물지도 재검토가 필요함을 말해준다. 이 유구들은 궁성에서 백제 사찰인 대관사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일부 궁성 건물을 훼손하고 목탑지(선대유구와 추정 목탑판축층)와 부속건축물(건물지3)로써 시차를 두고 조영된 것으로 여겨진다. 익산 왕궁성 전반부 공간은 대형건물지가 중국의 태극전과 동일한 성격의 건물로 추정됨에 따라 뒷편에 위치한 동서석축1을 기준으로 외조(外朝)와 내조(內朝)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내조는 크게 중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과 동편의 공간으로 구분된다. 왕궁성 중축선과 대칭되는 우편에는 보조축선이 확인되어 장랑식 건물과 남북석축시설 등을 따라 별도의 부속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 구분은 익산 왕궁성의 중축선이 궁성에서 서편향된 점과도 관련지어 볼 수 있다. 특히 1동 2실 내벽건물은 내조 침전을 중심으로 남편과 동편에 감싸듯이 배치되어 있어 편전 기능을 담당한 건물로 여겨지며 침전을 지원하는 부속건물들과 더불어 배치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익산 왕궁성 전반부는 중축선에 위치한 건물군과 부속공간 및 정원 등으로 이어지는 이분된 공간 구조를 갖추고 있어 중국 도성 중 남조 건강성(台城)과 상당히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남조는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한 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던 왕조이었기에, 익산 왕궁성의 건축적 영향은 남조의 중심지인 남경 건강성에서 우선적으로 찾아봐야 할 것이다. 또한 외조의 평면 형태는 태극전을 정점으로 한 ‘凸’자형 공간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익산 왕궁성 이후에 축조된 일본 전기 나니와궁과도 비교검토가 필요하다. Iksan Royal Palace is a site of the ruins of a palace from Baekje, which is mentioned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capital relocation to Iksan during the reign of Muwang in Baekje. So far, excavation research has revealed the scal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various spatial characteristics of Iksan Royal Palace and added to the palace’s status as one of the important royal palaces in Baekj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at it originally looked like in the period during which Sabi was the capital in Baekje, as it was reported that a key area around the royal palace’s mid-axis line was destroyed during its transition from the palace phase to the temple phase. Nonetheless, a closer review on the excavation results shows that it is very unlikely that the sites of the geumdang (main hall) and gangdang (preach hall) located in the key area of the palace were newly constructed during the temple phase. Instead, the sites of the buildings suspected to be geumdang and gangdang are located exactly on the north-south mid-axis line, which runs from the southern gate of the palace, and they are good enough to serve as chimjeon (king and queen’s bed chambers) in the royal palace in Baekje, considering the excavated artifacts under the soil of its foundation as well as its construction techniques. Based on construction techniques used during Baekje, it seems very likely that chimjeon in the royal palace in Baekje may have been repurposed later as geumdang and gangdang. This archaeological reinterpretation suggests that previous architectural ruins and the site of a rectangular building should be re-examined in relation to the site of a wooden pagoda located in front of the site of geumdang. It is believed that these ruins were constructed as the site of a wooden pagoda (previous architectural ruins and the presumed rammed earth layer for the wooden pagoda) and an annex structure (Building Site 3) some time after some royal palace buildings were destroyed during its transformation of the palace into Daegwansa, a temple during Baekje. Spatially, the front half of Iksan Royal Palace is divided into the outer and inner areas based on the east-west stone facility 1 located in the back, as the site of a large building is speculated to be of the same nature as Taiji Dian (Hall of the Supreme Principle) in China. The inner area is spilt into two: the space centered on the midaxis line and the space on the east side. On the right, which is symmetrical to the mid-axis line of the royal palace, the annex axis line is identified, and therefore, it can be categorized as a separate annex space along the long gallery-style building and the north-south stone facility. This spatial division can also be related to the findings that the mid-axis line of Iksan Royal Palace is leaned west from the palace. In particular, a Building with two Rooms is considered to have functioned as a place for the king to normally stay, as it was arranged as if it were wrapped on the south and east. It is also speculated that it was arranged with annex buildings supporting chimjeon. The front half of Iksan Royal Palace has a bifurcated spatial structure of buildings located on the mid-axis line and annex spaces and gardens, which is quite similar to Jiankang, one of the walled cities during the Southern Court in China. Since Southern Court was a dynasty that maintained close ties with Baekje after the Baekje’s relocation to Woongjin, it would be worth investigating Jiankang, the center of the Southern Court, to find its architectural influence on Iksan Royal Palace. Moreover, as the planar form of the outer area is thought to be a 凸-shaped space with Taiji Dian as the apex, it would be necessary to compare Iksan Royal Palace with Naniwa-kyo during its initial period in Japan, which was built after Iksan Royal Palace.

      • KCI등재

        The control of diameter of carbon nanotube over Co-loaded Zeolite Y

        강미숙 한국화학공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25 No.4

        This study examined carbon nanotubes (CNTs) with various outer diameters produced by the catalytic decomposition of acetylene over Co-loaded zeolite Y. The CNTs were grown at differed reaction temperatures, reaction times, and acetylene concentrations.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amount of Co dispersed over zeolite Y used as a support was determined. The shape and diameter of the synthesized CNT were identified by SEM and TEM analyzers. As a result, CNTs with various outer diameters were synthesized successfully. The average outer diameter of the synthesized C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Co dispersed over zeolite Y regardless of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The outer diameter did not change with acetylene concentration, and the acetylene concentration was fixed to 10 cm3/min. Most of the CNT had large surface areas, >400m2/g. The surface area increased with increasing outer diameter of the CNT until the outer diameter reached 60 nm but decreased with further increases in outer diameter.

      • 인구이동과 지역의 차별사망력

        박효준(Hyo-Jun Park),김두섭(Doo-Sub Kim) 한국사회학회 2003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 No.-

        이 연구는 인구이동이 지역의 사망력에 미치는 효과, 즉 인구유출지역은 사망률이 높아지고 인구유입지역의 사망률은 낮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환경 조건이 사망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Brass의 로짓 모형에 의한 사망력의 수준(α)과 경향(β)이 사망력의 지표로 사용되었으며, 1999년 현재 167개의 시ㆍ군을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우선 조사망률, 표준화사망률 그리고 α와 β의 지도를 비교하여, α와 β가 지역의 연령구조를 보다 잘 반영하는 사망력 지표임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서울 외곽 수도권 지역의 사망력이 가장 높고 불규칙한 경향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인구이동의 효과가 특정 연령집단에 차별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migration as well as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regional differentials in the mortality level. For this purpose, household registration data, vital statistics, migration statistics, and the regional statistics were utilized. As indicators of mortality, α and β values from Brass' legit model were calculated for 167 'Si's and 'Gun's. Using GIS, this paper first presents the mortality maps of α and β for 1999, Based on the pattern of α and β values, all 167 'Si's and 'Gu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n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in an effort to generalize the effects of explaining variables of this study on the level and pattern of mortality. In this study, outer metropolitan area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level and irregular pattern of mortality probably due to migration and commuting related rea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