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리빙랩 성공사례 분석을 통한 리빙랩 운영의 시사점 도출

        주경일 ( Joo¸ Kyungil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3

        본 연구는 성대골 에너지 리빙랩 사례연구를 통해 국내 리빙랩 활성화와 운영 방안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검토와 현장조사를 통해 지속성과 개방형 혁신, 그리고 학습 등 총 7가지 리빙랩 평가기준을 도출하고 해당 기준에 따라 성대골 리빙랩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최초의 주민 주도 리빙랩인 성대골의 경우 재정집행의 융통성 부족과 학습 모니터링 시스템 부재 등 일부 부정적인 모습이 발견되었으나 나머지 요인에 대해서는 상당히 만족할만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리빙랩 실행과정에서의 시행착오가 합리적인 방식으로 극복되고 실험을 진행시킬 수 있는 기초적인 제도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기술적 제안이 반영됨으로써 실험 요인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 리빙랩의 특성과 성과 모니터링 부재 등 리빙랩 운영상 보완점들을 발견하였으나 추후 리빙랩 분석의 객관성 제고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평가기법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d ways to revitalize domestic living labs and operation plan through a case study of Sungdaegol energy living labs. To this end, a total 7 living labs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continuity, open innovation and learning were deriv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tudy and the case of Sungdaegol living lab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As a result, in the case of Sungdaegol, the first resident-led living labs in Korea, some negative aspects such as lack of flexibility in financial execution and the absence of a learning monitoring system were found, but the other factors were satisfactory. In particular, the trial and error in the living labs implementation process was overcome in a reasonable way and the basic system to proceed with the experiment was provided and the technical suggestion tailored to the user's needs was reflected, resulting in very positive results for the experiment factors. This study found complementary points in the operation of living lab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living labs and the lack of performance monitoring. Bu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ore systematic evaluation technique to improve the objectivity of living labs analysis in the future.

      • KCI등재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적용 가능성 탐색

        성지은(Jieun Seong),송위진(Wichin Song),박인용(Inyong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2

        새로운 혁신활동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혁신의 사회적 맥락과 사용자의 잠재적 니즈를 파악하여 기술과 사회를 동시에 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용자 경험 활용, 사회ㆍ기술기획 등으로 표현되는 ‘수요 구체화’ 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새로운 궤적을 형성하는 탈추격 혁신을 수행할 수 있고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빙랩(Living Lab)은 사용자가 혁신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사용자 주도형 혁신” 모델로서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의 이론적 논의와 주요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리빙랩은 특정 공간 또는 지역에서 최종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문제를 해결하는 개방형 혁신모델로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력을 증대함과 동시에 새로운 사회ㆍ기술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선구적 활동이다. 더 나아가 리빙랩은 탈추격 혁신, 수요지향적 혁신, 지역혁신,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 생태계 형성 지원, 사회ㆍ기술시스템 전환 등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혁신정책의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정책 수단으로서 우리 사회의 변화를 탐색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To meet the challenge of new type of innovation activities requires us to understand the social context of innovation and the potential needs of innovation users and, based on this, to co-construct technology and society simultaneously. Effective ‘demand articulation’ activities such as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user experiences and socio-technical planning are prerequisites for carrying out post-catch up innovations shaping new trajectories and contributing to solving social problems. Living Lab has recently been emerging particularly in Europe as an ‘user-driven innovation model’, in which users are active participants in innovati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a theoretical discussion of Living Lab as an user-driven innovation model, to make a brief review of cases of Living Lab and to explore Living Lab’s applicability in the Korean context. Living Lab is an open innovation model, in which end suers actively participate in innovation processes in a particular geographical space or region and would be able to solve specific problems of that space or region. In that sense, Living Lab would be able to strengthen th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of local communities and to become a pioneer in inducing and realizing a new socio-technical system. Furthermore, Living Lab could become an innovative policy tool reflecting recent major changes in innovation policy paradigms such as post-catch up innovation, demand-oriented innovation, regional innovation, societal innovation, innovation eco-system and socio-technical system transition, and thus make a contribution to exploring a new way of bringing about changes in the Korean society.

      • An Application Study of Open Quality Concept with Blockchain System

        ( Andita Meilyana ),( Hojun Song ),( Ali Shujaat ),( Wan Seon Shin ) 한국품질경영학회 2020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

        The importance of Open Quality Concept is to assist the organizations or companies in measuring, tracking, and connecting (MTC) quality factors so that the level of quality can be accounted for transparently. Through blockchain technology, previous research has established an Open Quality Blockchain System that connects integrated processes to monitor the level of quality of products or services to meet customer need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ystem, this paper presents an application of the open quality concept by applying a blockchain system to the small research lab. By adopting the concept of Quality Scorecard (QSC), we attained the quality aspects as performance measures. Then,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processes are sustainably done to provide improvement evaluation which is monitored in real-time. We continually updated the data to synchronize with the latest conditions. Thus,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application of open quality concept and contextualize blockchain system to encourage quality responsibility in the era of industry 4.0.

      • KCI우수등재

        연구중심병원 의생명연구원의 실험실 구성 사례 조사

        김영애(Kim, Young-Aee) 대한건축학회 201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4 No.11

        Healthcare technology has been growing and fostering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university and hospitals as growth engines in korea. So, the medibio research institutes in hospital have been constructed to promote research and industrialization centering on healthcare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ses of research institutes in hospitals, and 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organization of medibio research laboratory facilities. Case study is investigated by floor plan, homepage and site visits about five research institutes selected in research-driven hospitals. The facility title and size of research laboratory is originated from site area and research building location. The building function include not only the research lab and business office reflecting on the development platform, and but assembly and meeting room in the ground level. Laboratory floor plans have three types, rectangular, rectangular+linear and linear type, one is traditional and efficient, the others are people and friendly. And building core types are correlated with lab space unit modules, single and double side core are shown in rectangular type. All the laboratories are open lab, composed with laboratory bench and research note writing desk facing the lab service and enclosed lab-support area. And they have communication space looking as warm and cozy common area for the innovation, convergence and collaboration. As the high risk of contamination and high standard for safety and security, equipment and facilities are well managed with biological environment including BSC, fume hood, PCR classification, eye washing and emergency shower.

      • KCI등재

        개방형 탐구 및 모의 실험수업 경험이 예비물리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탐색

        김효준,하상우 한국물리학회 2023 새물리 Vol.73 No.4

        Experiments are fundamental aspect of scientific inquiry and its role in science education is crucial. However, many experimental classes in schools tend to focus on confirmation experiments that limit students’ ability to explore and inquire. This study aims to help preservice teachers in understanding the value of inquiry-based experimental classes by inviting them to participate in an open-ended inquiry. Fifteen preservice teachers who had minimal prior experience in conducting an open inquiry and teaching formal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this study, they were able to identify the benefits of an open-ended experiment, noting that it was enjoyable and beneficial in foster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concepts. Moreover, they observed that open-ended inquiry is similar to what scientists do and thus must be experienced by students. They thought that laboratory instruction was crucial for effective teaching in schools. Nevertheless, they acknowledged that teaching experimentation requires substantial preparation an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 실험은 과학의 중요한 활동 중 하나이므로 과학교육에서도 그 역할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의 실험수업은 탐구 방법을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확인 실험의 형태로 많이 진행되어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개방형 탐구 및 모의실험수업 진행 경험을 통해 탐구와 실험수업의 가치를 깨닫게 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사범대학 물리교육학과에서 중등물리실험지도 교과를 수강하는 15명의 예비교사였으며, 이들 대부분은 개방형 탐구 및 정식 수업 진행 경험이 거의 없었다. 연구를 위해 학기말 보고서, 수업 분석 기록지, 면담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모든 자료는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개방형 탐구를 통해 개방형 실험의 가치를 깨닫고, 개방형 탐구가 즐거울 뿐만 아니라 개념 이해에도 도움이 된다고 표현했다. 특히 개방형 탐구는 과학자가 하는 일에 가까우므로, 학생들에게도 이를 경험하게 해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모의 실험수업을 통해 실험수업이 재미있으며, 학교 현장에서의 수업에서도 필수적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하지만 실험수업은 준비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실험 내용에 대한 교사의 철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 KCI등재

        포용적 혁신의 실천과 한계: 과학기술자들의 리빙랩 인식과 경험

        김명심(Myung?sim KIM),박희제(Hee?Je BAK) 한국과학기술학회 2020 과학기술학연구 Vol.20 No.3

        최근 혁신정책은 전통적인 과학기술자뿐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혁신의 주체로 참여하는 포용적 혁신체제를 지향하고 있다. 이 연구는 포용적 혁신을 지향한 사회문제해결형 연구개발사업에 참여했던 과학기술전문가들을 심층 인터뷰하여, 이들이 사회문제해결형 연구개발사업과 리빙랩이라는 낯선 혁신방식을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했는지를 살펴본다. 임무지향적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은 과학기술전문가들의 독립성 및 전문가주의와 긴장을 빚었다. 이러한 긴장은 사회문제해결이라는 목표를 과학기술연구의 책임의 일부로 수용하는 방식으로 해소되었고, 새로운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비전통적인 혁신주체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공감을 이끌었다. 한편 리빙랩 경험은 기술혁신에 대한 과학기술전문가 관점과 일반 시민 관점의 큰 차이를 드러내 전통적인 연구관행의 한계를 드러냈다. 그러나 여전히 남아있는 전문가주의는 시민참여를 정부와 사회가 요구하는 기술개발을 위해 필요한 보완적 도구로 인식할 뿐, 시민을 대등한 연구혁신 주체로 인정하는 것을 방해하고 있었다. Recent innovation policies have emphasized the inclusive innovation system in which various stakeholders participate in the innovation process as main innovative actor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on 13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problem-solving R&D program which pursues for the inclusive innovation, we examined how they perceived and experienced the new research program and citizensˈ engagement in the innovation processes via living labs. The mission-oriented R&D program created tensions with the norms of independence and expertism among researchers. They tended to lessen the tensions by accepting the goal of social problem solving as a new responsibility of scientific research, which, in turn, led these researchers to embracing the idea that the participation of non-conventional actors in the innovation processes is necessary to achieve the non-traditional goal. Indeed, the living lab highlighted the difference in the views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between scientific experts and ordinary people. Also, the expertism of researchers made them perceive the citizensˈ engagement as a necessary complementary instrument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demanded by the government and society but fail to treat citizens as an actor who is capable of doing research and innovation.

      • 오픈 랩을 통한 호남지역 해양영재육성에 관한 연구

        남택근,이경선,원하영,김승남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04

        본 연구에서는 호남 SG사업에서 진행하고 있는 영재교육육성 활동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해양영재육성프로그램의 목적은 호남지 역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양생태 및 해양과학기술에 대한 체험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 그램을 바탕으로 교육을 실시하여 미래의 해양 전문 인력들이 해양에 대한 관심을 갖고 해양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 학생들에 비해 전문화된 교육의 기회가 적은 도서지역 학생들에게 해양생물의 해부, 선박조종 및 선박 기기의 견학을 통해 해양과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킬 수 있었다. 오픈 랩 프로그램의 가장 큰 성과는 대학의 시설 및 전문 인력을 지역 청소년 교육에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영 재교육에 기여하고, 도서지역 학생들에게 해양과학기술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활동 기회를 부여하여 해양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 낸 것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rearing activity for the talented students of Honam sea grant program is introduced. The goal of this activity is bring up potential marine experts for secondary students in Honam area by joining lecture of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of university. The students who joined this program could be motivated for the study of marine science and also contributed for the development of that field in the future. Marine life dissection experiments, vessel operation simulation and field trip of engineering equipments in the ship is executed for the secondary students in islands. The education opportunities for the island's students lack of developed facilities is provided and induced their interest of the marine science field by applying the Open-Lap program.

      • KCI등재

        사용자 참여중심 디자인 패러다임 연구 -참여적 디자인, 공동창조, 리빙 랩, 오픈 디자인을 중심으로-

        이선미,현은령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2

        New design approaches are appearing in order to meet user needs which becomes more diverse and complicated today. They promote participation of end-users in a design process. Designers are proving the usefulness of the new design approaches such as Participatory Design, Co-Creation, Living Lab, and Open Design in a various fields of policy, business, social issues. However, we do not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and mutual relation of the new design approaches so this study researches definition and featur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case studie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participatory approaches such as Participatory Design, Co-creation, Living Lab, Open Design can be distinct from user-centered design, recognizing user as subject. Thus, this study categorizes user-centered design in ‘passive participation stage’. In Participatory Design, the concept of ‘user participation’ was started and in Co-Creation and Liviing Lab, the role of users was expanded as ‘partner’ cooperating with a producer. Co-Creation was started in a point of view of business whereas Living Lab emphasis on social issues. Participatory Design, Co-Creation, and Living Lab can be categorized in ‘active participation stage’ as users are perceived as a partner. Lastly, in Open Design, a user is perceived as ‘creator’ and this study categorizes Open Design in ‘open stage’. In open stage, the role of designers and users is not divided and an end user can create a product at any time and any places when they want. And users can suggest social problems and solve them by themselves based on the progress of ICT. This study can be an advanced research that suggests the role of designer with understanding the change of the role of users in design. 오늘날 점점 복잡해지는 사용자 요구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는 방법으로, 디자인 과정에 최종 사용자의참여를 촉진하는 새로운 접근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참여적 디자인, 공동창조, 리빙 랩, 오픈 디자인 등의용어로 요약되는 사용자 참여중심 디자인은 정책, 비즈니스, 사회문제의 다양한 분야에서 디자인 프로젝트를 통해 그 유용성을 증명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사용자 참여 중심 디자인의 다양한 접근법들에 대한 개념과 상호관계성의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참여 디자인방법론이 나오게된 배경 탐색과 더불어 참여적 디자인, 공동창조, 리빙 랩, 오픈 디자인의 등장 배경과 정의 및 특징을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나아가 각각의 사용자 참여 중심 디자인 접근법과 관련한 사례탐색을 통해 주요 도구 및 과정, 그리고 그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참여적 디자인, 공동창조, 리빙 랩, 오픈 디자인 등으로 정리되는 사용자 참여중심의 디자인 접근법들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인식하여 인터뷰, 관찰 정도의 도구를 통해 참여를 유도하는 사용자 중심 디자인과는 차별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사용자를 대상으로 보는 ‘소극적 참여단계’로 정의한다. 또 1970년대 시작된 참여적 디자인은 디자인에서 ‘사용자 참여’ 에 대한 개념의 시작으로, 그 후 20세기 초 공동창조및 리빙 랩에서 사용자의 역할을 협력단계의 ‘파트너’ 로 확장한다. 특히 공동창조는 비즈니스에서 기업과고객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공동가치 창조를 위해시작되었고, 리빙 랩은 사회문제 또는 지역 문제의 혁신적 해결을 위해 실제 생활공간에 있는 주민과의 협력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두 개념이 구분되었다. 즉, 세 용어는 사용자를 파트너로 인식하는 상호관련성을바탕으로 ‘적극적 참여단계’로 정의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오픈 디자인은 사용자를 ‘창조자’로 인식하여 참여의 가장 높은 ‘개방단계’ 로 정의될 수 있었다. 개방단계에서는 디자이너와 사용자의 역할이 더 이상 분리되지 않으며 최종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제품을 생산할 수있으며, 그들 스스로 사회문제를 건의하고 또 해결할수 있다. 이러한 참여적 접근들의 발전은 ICT 기술및 지능정보기술의 융합에 근거하고 있다. 결과적으로본 연구는 디자인에서 미래 사용자의 역할 변화를 인식하고 그 적용방안과 함께 디자이너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하는 선행연구가 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우수등재

        협력적 혁신을 위한 정책연구자의 활동과 역할 - 열린정책랩(Open Policy Lab)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조세현 ( Se-hyun Cho ),정서화 ( Seohwa Jeong ),차세영 ( Seyeong Cha ),김준형 ( Jun Houng Kim ) 한국정책학회 2021 韓國政策學會報 Vol.30 No.4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높은 난제의 증가로 정책 과정에서의 협력적 혁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글은 정책과정의 주요 행위자 중 정책연구자의 역할에 주목하여 협력적 혁신의 장(場)이자 방법론인 열린정책랩(Open Policy Lab) 운영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협력적 혁신 과정에서 정책연구자에게 요구되는 활동과 역할을 유형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정책연구자의 활동과 역할에 관한 기존 이론을 검토하고, 협력적 혁신을 위한 정책연구자의 활동을 ①프레임의 재구성, ②네트워크 구축, ③상호학습 세 가지로 범주화하여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둘째, 정책연구자가 협력적 혁신 과정에서 수행한 활동들을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프레임의 재구성을 위한 정책환경분석과 행위자 탐색,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워킹그룹 참여자 선정과 조합 구성 및 네트워크 확장·고도화, 상호학습을 위한 워크숍의 사전·현장·사후학습으로 정책연구자의 활동을 구분할 수 있었다. 셋째, 협력적 혁신을 통한 창의적 문제 해결에 필요한 촉진적 리더십(facilitative leadership) 실행자로서의 5가지 역할, 즉 ①프레임의 재구성을 위한 분석가(analyst), ②네트워크를 확장·고도화하는 경계확장자(boundary spanner), ③상호학습을 촉진하는 지식 연계자(knowledge broker), ④촉매자(catalyst), ⑤정책문제 구조 설계자(architect of policy problem)를 정책연구자의 역할 모델로 제안하였다. Due to the increase in wicked problems with high complexity and uncertaint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collaborative innovation. This article seeks to categorize activities and roles required for policy researchers in dealing with wicked problems by analyzing the case of Open Policy Lab (OPL) run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 platform and methodology for collaborative innovation in the policy proces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existing theories on the activities and roles of policy researchers and established a framework to analyze the activities of policy researchers for collaborative innovation: reframing policy problems, network building, and mutual learning. Second, this study categorized the researchers' activities of analyzing policy environment and exploring main actors regarding policy problems into “reframing policy problems”, those of selecting and organizing working group participants and expanding network into “network building”, and those of working group workshop pre-learning, workshop on-site learning, and post-workshop learning into “mutual learning.” Third, this study identified and proposed 5 models of policy researcher’s roles as a facilitative leader: an analyst for reframing policy problems, a boundary spanner for network building, and a knowledge broker, a catalyst, and an architect of policy problems for mutual learning.

      • KCI등재

        미세먼지에 반응하는 식물만들기 프로그램 사례 연구

        안혜정 ( Ahn Hye Jung ),김선영 ( Kim Sun Yo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4 No.-

        본 연구는 부산문화재단에서 2019년 운영했던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의 목적을 반영하여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적 사고와 창의력을 갖춘 융복합적 인재 양성을 위한 예술기반의 과학 융합 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을 탐색하고자 한다.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랩 구축지원 사업을 통해 ‘미세먼지에 반응하는 식물 만들기’ 프로그램을 운영 하였다. 온라인 플랫폼에서 모집하여 총 14명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창의예술 교육 오픈랩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문헌조사와 프로토타입 설계를 위해 기획자, 예술가, 주강사, 과학자 등 다양한 학문의 전문가들이 만나 협업을 통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할 수 있었다. 학습자의 예술적 상상력을 반영한 결과물을 산출하고 미세먼지와 관련된 융복합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었고, 현장에서 확장 가능한 융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었다. 2019년 창의예술교육 오픈랩 지원사업에서 연구 및 개발하여 진행한 사례라는 점에서 제한적으로 다루어졌음을 밝혀둔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rts-based science convergence program to cultivate convergent talents with humanistic imagination, scientific thinking, and creativity, reflecting the purpose of the Creative Arts Education Open Lab support project operated by the Busan Cultural Foundation in 2019. Through the project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research and development lab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program “making plants responding to fine dust” was operated. Education was conducted for 14 elementary school seniors through recruitment on an online platform. As a result, a program related to the creative arts education open lab was designed, and for literature research and prototype design, experts from various disciplines such as planners, artists, main lecturers, and scientists met and collaborated to develop and execute educational programs. It was possible to produce results that reflected the learner's artistic imagination, operate a convergence program related to fine dust, and derive the results from developing a convergence program that can be expanded in the fiel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an exampl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conducted in the 2019 Creative Arts Education Open Lab Support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