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인가구의 건강관련 습관적 소비, 생활시간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비1인가구와 세대별 비교를 중심으로

        하지경 ( Ji Kyeung Ha ),이성림 ( Seonglim Lee ) 대한가정학회 2017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5 No.2

        Recently, one-person households have surpassed nuclear families. One-person households are expected to have many problems with health due to an irregular life style and a tendency to be more isolated from society. In addition, we need to divide the generations and survey each generation due to differences in one-person household factors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unique physical conditions of each generation. Therefore, based 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is survey examined health behavior differences between one-person households and non-one-person households according to generation (respectively) as well as studied how one-person households and health behavior influenc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The major result of this survey is as follows. First, one-person households reveal a higher rate in the negative health behavior than non-one-person households. Second, the physical activity of all households reveals a high rate of non-activity. Third, health scores of one-person households are lower than that of non-one-person households; consequently, the analysis of health scores for one-person households and non-one-person households indicated that the middle age health scores for one-person households have been lowest in generations. Fourth, the factors that influenc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indicated that one-person household and health behavior has meaningful influence; in addition,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of one-person households are lower than non-one-person households under controlled health behavior.

      • KCI등재

        1인 가구의 증가와 미디어 소비 행태 분석

        홍성철(Seong Choul Hong) 한국정보사회학회 2015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6 No.3

        최근 혼자 사는 가구, “1인 가구(one-person households)”라는 말이 한국사회를 이해하는 키워드로 등장했다. 지난 1990년 전체 가구의 9.0%에 불과했던 1인 가구의 비율은 2010년 23.9%로 증가했으며 오는 2025년에는 31.3%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4년 정보통신연구원(KISDI)의 패널 데이터를 바탕으로 1인 가구와 2인 혹은 3인 가구의 주관적 행복과 미디어 소비행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인 가구는 2인 이상 가구 구성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삶의 만족감과 주관적 행복, 정보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계적 차원에서의 만족감이 낮았으며 사회적 관계에 대한 불만감 등도 2인 및 3인 가구에 비해 높았다. 1인 가구들은 이러한 사회적 소외를 TV 등 매스미디어 소비를 통해 달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60-70대 1인 가구에서 확연하게 나타났다. 또한 20-30대의 TV시청시간에는 나이와 1인 가구 여부는 정적인 영향을, 학력과 월 소득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반면, 60-70대 TV시청시간에는 연령은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1인 가구여부와 월 소득, 사회/정치활동 등은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ne-person households and their media consumptions. The one-person households in Korea increased from 9.0% in 1990 to 23.9% among total households in 2010. Furthermore, its percentage was projected to 31.3% in 2025. The increased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 reflects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changes. With KISDI panel data,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in media consumptions between one-person households and other households. A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low satisfaction on subjective well-being and low apprehension on information privacy among one-person households rather than two-person or more households, respectively. Specifically, TV watching is one of typical media consumption patterns among single-person households. social solitude may be soothed by watching TV and exchanging messages through SNS.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TV watching pattern is not consistent across generation. That is, TV watching can be explainable by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among twenty or thirty somethings. However, education level is not a factor to affect the TV watching among 60-70 year generation. Moreover, one-person households negatively affect TV watching in 20-30 year generation but positively influence on TV watching among 60+ year generation.

      • KCI등재

        1인 가구의 식생활 행태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식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성림(Lee Seong Lim),이승주(Lee Seong Joo) 한국소비문화학회 2016 소비문화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식생활을 주관적인 생활 만족의 관점에서 진단하고, 1인 가구의 식생활 행태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주관적인 식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농촌경제연구원의 2014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요인분석, 군집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행하여 산출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가구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건강추구형, 절약형, 무관심형, 편의추구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 가운데 1인 가구의 대표적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편의추구형이며, 다른 유형과 뚜렷하게 구분되는 식생활 행태를 보이는데, 외식 의존도와 결식 빈도가 높고, 식사시간이 불규칙한 1인 가구가 가장 많이 분포한다. 둘째, 1인 가구의 식생활 만족도는 보통 수준이며, 건강추구형이 가장 높고, 무관심형과 편의추구형이 가장 낮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건강 요인은 식생활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불규칙한 식사 시간은 식생활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건강추구형에 비해 절약형, 무관심형, 편의추구형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식생활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다. 이상의 결과는 식생활 만족을 증진하기 위하여 1인 가구는 식사 시간을 규칙적으로 유지하고 건강 요인을 중시하는 건강추구형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선택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evaluated one-person households’ dietary life satisfaction, and analyzed the effects of eating habit and food consumption lifestyle on the life satisfaction on eating.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2014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collected b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ne-person households’ food consumption lifestyl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health oriented, convenience oriented, frugal, and indifferent lifestyles. Convenience lifestyle was most frequent, and had distinct features in terms of more frequent eating out and skipping meals, and irregular meal time. Second, the level of dietary life satisfaction of one-person households was mediocre on average. The level was highest in the health oriented lifestyle, and lowest in the indifferent and convenience oriented lifestyles. Thir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health factor of food consumption lifestyle was positively, but irregular meal tim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ietary life satisfaction. The level of dietary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rugal, indifferent, and convenience oriented lifestyles compared to health oriented lifestyle. The results suggested that choosing the health oriented food consumption lifestyle and keeping regular meal time would be effective to improve one person household’s dietary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선택속성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와 식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다인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전상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3

        최근 단독가구가 우리 사회의 주된 가구 유형으로 자리 잡으면서 가정간편식 소비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구입과 관련하여 식생활 만족도 제고를 위한 제품 개발 및 소비자교육․지원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선택속성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다인가구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농촌경제원 2015 식품소비행태조사의 성인 가구원 5830명 자료를 사용하여 교차타당성 검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단독가구의 경우, 가정간편식 편의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가정간편식 구입행동 증가는 식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다인가구의 경우에는 가정간편식의 맛 만족도와 가격 만족도, 편의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가정간편식 구입행동 증가는 식생활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구입행동 변화의 원인을 다인가구와 비교하여 제시하고, 단독가구의 식생활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는 가정간편식 개발 및 소비자 교육․지원 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As one-person households become a major household type in Korea, home meal replacement (HMR) consumption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propose useful marketing strategies and consumer education plans about HMR, in order to enhance the dietary life satisfaction levels among one-person households. We tested how satisfaction with HMR attributes influenced purchase changes for HMR among one-person households compared with multi-person households. We analyzed data from the 2015 Food Consumption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 total of 5830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a cross-validation test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found that, among one-person households, satisfaction with the convenience of HMR positively affected the purchase changes for them, and increasing rates of HMR purchas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satisfaction with participants’ dietary lives. In contrast, taste, price, and convenience satisfaction regarding HMR positively affected changes in HMR purchasing, and increased levels of HMR purchasing negatively influenced dietary life satisfaction among multi-person househol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reasons of changes in HMR purchasing behavior compared to their multi-person household counterparts. In addition, effective HMR development plans and consumer education strategies are proposed for improving dietary life satisfaction levels among one-person households.

      • KCI등재

        1인가구 문화예술 소비의 양과 폭의 결정요인

        최순화 ( Soonhwa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1인가구는 문화예술 시장의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하였으나, 이들의 문화소비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2019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1인가구 문화소비의 양과 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문화자본, 경제자본, 환경요인이 문화예술 관람 빈도와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모형 분석 결과, 문화예술 교육 경험과 학력은 소비의 양과 폭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구소득과 거주지역의 경우 문화소비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인가구에 초점을 맞춰 문화예술 소비의 양과 폭을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이론의 체계적 발전에 기여하고 1인가구의 문화소비를 향상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심리적 변수 사용 등 후속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One person households have emerged as a major segment in the culture market;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ir cultural consump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amount and breadth of their culture consumption, using data from ‘2019 National Art and Culture Activity Survey.’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effects of cultural capital, economic capital, and environmental factor on frequency and diversity of cultural attendances, and 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 were found to influence both frequency and diversity of consumption. Household income and residence had effects on consumption diversity. By analyzing amount and breadth of cultural and art consumption of single household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oretical development and provides implications to enhance their cultural consumption. Finall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such as using psychographic variables, were proposed.

      • 저 연령대 1인 가구 주택 소비 불균형 문제에 관한 연구

        조하은(Haeun, Jo),김의준(Euijune, Kim) 한국지역개발학회 2017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7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housing problems of one-person household of 25-35 age group. Using the survey of Household s Consumption in 2014, we estimated the housing demand function of young one-person household in Seoul. As a result, Income elasticity of th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groups and the housing demand was also lower than others. it implies that the housing consumption of young one person household weakly reflect long-term income, and inefficient income distribution throughout whole life leads to low utility of consumers. Therefore, the new housing market policies focusing on young one-person household are needed.

      • KCI등재

        1인 미디어를 활용한 휴먼브랜딩 : V LIVE를 이용하는 K-POP 스타의 중국 팬덤을 대상으로

        홍문정(Hong, Wenjing),이세진(Lee, Se-Jin) 한국광고PR실학회 2021 광고PR실학연구 Vol.14 No.1

        1인 미디어는 스타들이 팬들과 소통하는 장이기도 하며, 스타들의 휴먼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휴먼브랜디드 콘텐츠이다. 이 연구는 휴먼브랜디드 콘텐츠의 특성이 팬들의 콘텐츠 소비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휴먼브랜디드 콘텐츠의 내용적 특성(정보성, 신뢰성, 유희성, 창의성)과 플랫폼의 상호작용적 특성, 그리고 콘텐츠를 시청하는 다른 팬들 간의 관계성이 스타들의 1인 미디어 이용자의 시청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V LIVE를 통해 K-POP 스타들의 실시간 방송을 이용하는 K-POP 스타의 중국 팬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최근 K-POP 스타는 전세계적으로 두터운 팬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도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설문조사는 K-POP 스타의 중국 팬들이 주로 이용하는 위챗 채팅방이나 QQ채팅방에서 온라인 설문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콘텐츠의 내용적 특성에서 정보성은 콘텐츠 소비행태 중 ‘보기’, ‘유료참여’, ‘모방하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무료참여’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콘텐츠의 신뢰성과 유희성은 콘텐츠 소비행태 중 ‘보기’, ‘무료참여’, ‘유료참여’, ‘모방하기’ 등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행태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콘텐츠의 창의성은 콘텐츠 소비행태 중 ‘무료참여’와 ‘모방하기’에는 유의미한, 그러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플랫폼의 상호작용성과 시청자 간의 관계성은 1인 미디어 이용행태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었다. 셋째, ‘보기’, ‘무료참여’, ‘유료참여’, ‘모방하기’의 4가지 유형의 콘텐츠 소비행태별로 분석한 결과, 콘텐츠 소비유형에 따라 변인들은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One-person media is a means for stars to communicate with their fans, and is a human branded content that enhances the value of the stars human brand.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human-branded contents affect fans content consumption behavior. Specifically, this study tested the effect of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human branded content (informativeness, trustfulness, playfulness, creativity), the interactivity of the platfor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fans on users’ consumption behavior. In this study, the Chinese fandom of K-POP stars using real-time broadcasting of K-POP stars through V LIVE. Recently, K-POP stars have formed a strong fan base around the world and are enjoying a lot of popularity in China. The survey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in the WeChat or QQ chat room, used by Chinese fans of K-POP sta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formativeness in the content characteristic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viewing , participation on paid contents , and imitating among content consumption behaviors,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on free contents . The trustfulness and playfulness of the content did not have any effect on the user s content consumption behavior. Creativity had a significant but negative effect on participation on free contents and imitating among the content consumption behaviors. Second, the interactivity of the platfor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fan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one-person media.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ur types of content consumption behaviors, ‘viewing’, ‘participation on free contents’, ‘participation on paid contents’, and ‘imitation’, it was shown that the content characteristics, the interactivity of platfor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fans on the content consumption behavior.

      • KCI등재

        1인 가구의 식생활 양식 유형화 및 유형별 식생활 만족도에 대한 소비자역량의 조절효과 연구

        전상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4 No.4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sumer differences in dietary patterns of one-person households and to consider methods of enhancing consumer competency to increase dietary satisfaction by consumer type. We classified one-person households by consumer type based on dietary lifestyle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levels among the different types. We also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 competency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levels in each type. Data were obtained on 570 one-person households from the 2016 Food Consump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means cluster analysis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Among the one-person households, there were four different types of dietary lifestyles: (1)the type that was passive and preferred small-packed foods(PS), (2)the type that was high- quality-oriented and health-oriented(HH), (3)the type that preferred eating-out, home meal replacement products, and lower-priced foods(HL), and (4)the type that was indifferent to the dietary life(ID).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 dietary characteristics,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lev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four consumer types. Households of the HH type had the highest nutritional intake and satisfaction levels. The ID type was the most vulnerable type with regard to eating habits, dietary satisfaction, and consumer competency. Also, we found that it was useful to focus on the PS and HL types in strengthening consumer competency to increase dietary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strategies for differentiated dietary improvement and enhancement of consumer competency to improve dietary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ietary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s. 본 연구의 목적은 1인 가구의 식생활 양식 유형의 차이를 이해하고, 유형별 식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소비자역량 강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인 가구 식생활 양식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특성과 식생활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유형별 식생활 만족도 차이에 대한 소비자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식품소비행태조사”의 1인 가구 570명 응답 자료를 사용하여 K-means 군집분석과 이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1인 가구의 식생활 양식 유형은 소극적․소포장 추구형과 고급․건강 추구형, 미식․간편․가격 추구형, 식생활 무관심형으로 분류되었고, 유형별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식생활 특성, 식생활 만족도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고급․건강 추구형의 식생활 특성과 만족도가 가장 양호하였고, 식생활 무관심형이 식생활 수준과 만족도, 역량 차원에서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소비자역량 강화는 소극적․소포장 추구형과 미식․간편․가격 추구형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식생활 양식과 유형별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 유형별 차별화된 식생활 개선 지원 방안과 식생활 만족도 제고를 위한 소비자역량 강화 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외식슈퍼바이저의 운영관리능력이 신뢰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1인 소비 트렌드를 조절변수로

        전미선(Jeon, mi-seon),김형일(Kim, Hyeong-il) 한국외식경영학회 2021 외식경영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외식슈퍼바이저의 운영관리능력과 신뢰 및 재방문 의도와의 영향 관계에서 1인 소비 사회 트렌드가 조절역할을 할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외식업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9년 7월 1달간 수거한 27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 요인, 신뢰,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운영관리능력과 신뢰는 유의한 영향 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와 재방문의 영향 관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영관리능력과 신뢰와의 영향 관계에 1인 소비 트렌드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single-person consumption social trends will play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al management capabilities of restaurant supervisors and their trust and intention to revisit. 273 copies collected for one month in July 2019 were used for analysis for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using restaurant companies. Using SPSS 21.0, frequency, factor, tru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operational management capability and trus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revisit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one-person consumption trend plays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erational management capability and trust.

      • KCI등재

        코로나-19 유행 이후 1인 가구의 식생활 변화와 식생활 만족

        이성림,허은정 대한가정학회 202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61 No.1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dietary life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in one-person household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ing a sample of 916 one-person households from the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we applied ANOVA and a system of equations model for our analysis which produced four main results. First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ating homemade and delivered meals increased, whereas eating restaurant, group, and HMR meals decreased. Eating breakfast and regular eating habits also increased during the pandemic. Secondly, approximately 30% of the sample reported increased expenditure on fresh food and HMR meals. The proportion of positive changes in dietary life was also greater than negative changes,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was about three times higher than it had been before the pandemic. Thirdly, having breakfast and regular eat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nding on fresh food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HMR purchases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Changes in expenditure on fresh food and HMR meals positively affected dietary life satisfaction through eating breakfast and regular eating. Fourthly, increased consumption of delivered food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Amo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gender, education, occupation, and age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changes in dietary lif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