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19 펜데믹 상황에서 중등학교 온라인 체육수업 사례 및 과제 연구

        정현철 ( Hyun-chul Jeong ),윤현수 ( Hyun-su Youn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0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8 No.3

        이 연구는 코로나 19 펜데믹(Pandemic)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온라인 수업 중 교육부에서 권장한 3가지 형태의 구체적인 체육수업 사례를 살펴보고 그 교육적인 의미를 중심으로 효율적인 운영 가능성과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목적 사례 표집을 사용하여 S, B, J 지역에서 온라인 체육수업의 전문가 역할을 하고 있는 교사 3인과 교사 3인이 추천한 학생 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체계적인 귀납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시간 화상수업이 가능한 쌍방향 체육수업은 실시간 원격 교육 플랫폼을 활용하여 교사와 학생이 영상을 통해 소통과 친밀감을 바탕으로 플랫폼의 장점을 활용하면서 수업이 운영되고 있었다. 녹화 시청과 활동형이 중심이 되는 콘텐츠 활용 중심 체육수업은 강의를 기본으로 다양한 영상 자료를 활용하며 이론과 실기가 통합된 새로운 형태의 체육수업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과제 수행 중심 체육수업은 체육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과제가 제시되고 학생은 과제를 업로드하며 교사는 채팅방에서 학생과 상호 적극적인 활동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있었다. 향후 온라인 체육수업의 과제로는 첫째, 제한된 환경과 용·기구, 체육 교수·학습법, 체육 학습 영역이 온라인 체육수업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변화를 통해 체육의 가치를 구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 체육수업 시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을 위해 과제 구조 및 피드백을 활용하고 학생 간 상호작용을 위해 팀 학습(team project) 등을 활용하듯이 상호작용이 가능한 다양한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현재의 온라인 체육수업의 단편적인 평가와 달리 온라인 체육수업의 틀에 맞는 다양한 평가 방법이 도입되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이 연구가 온라인 체육수업의 활성화에 기본적인 토대가 되기를 희망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look into three types of specific physical education class cases recommended by Ministry of Education among on-line classes to cope up with Pandemic situation from COVID-19 and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effective operation and assignment focusing on its educational meaning. The data was collected targeting three teachers, who are experts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ree students recommended by those teachers in the regions called S, B and J using the sampling of purposeful cases and systematic inductive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Interactive physical education class that is capable of real-time video class was carried out utilizing the merit of platform based on communications and friendlines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the video using real-time distance education. Contents-orien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focus on watching video and activities are being operated in new type that integrates theory and practice using various videos based on the lecture. Assignment-focused physical education class that is not restricted by time and place suggests the assignment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 of physical training, students upload the assignment and teachers provide the detailed feedback based on interactive dynamic activities in chatting room. As the assignment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hereafter, first, the efforts to realize the values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change that limited environment, tool/apparat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field of learning physical education training can be applied to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effectively. Second, various contents that are capable of interaction should be developed as assignment structure and feedback are used for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team project is utilized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s in case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Third, various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adopted and researched that is suitable for the frame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not like fragmentary evaluation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Lastly,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becomes the basic platform for the vitalizations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 KCI등재

        교양 과목에서의 온라인 수업 학습자 만족에 관한 연구 – 녹화 동영상 수업을 위주로

        전병호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21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4

        The threat of COVID-19 pandemic put many universities in Korea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types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such as on-line real time class and on-line recorded video class. Online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because of its ubiquitous and flexible educational environments. Even though COVID-19 led to many problems such as faculty’s burden and stress during the early stage of COVID-19, both students and faculties have gradually become familiar with on-line environment. As students have got accustomed to the online environment, on-line recorded lectures are shown to be more preferred rather than on-line real time class. Researches regarding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indicate that systematic and good quality contents and interaction by instructor are important factors.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in Liberal Arts course using recorded video contents in terms of contents and interacti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reveal that systematic and good quality contents are likely to predict learner’s satisfaction and interaction plays a great role in providing those contents.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that preparing systematic contents and interaction are key to enhancing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in Liberal Arts course.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특수학급 장애 학생 학부모가 경험한 원격수업의 실태와 인식 연구

        한경임 ( Han¸ Kyung-im ),권상희 ( Kwon¸ Sang-h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장애 학생 학부모가 경험한 원격수업의 실태와 원격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K시에서 일반 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초, 중등 장애 학생을 양육하며 2020년 1년간 원격수업을 경험한 초등 장애 학생 학부모 6명과 중등 장애 학생 학부모 5명이었다. 연구방법은 반구조화된 면담 형식의 초점 집단 면담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질적 자료 분석 방법인 주제분석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갑작스럽게 시작된 원격수업은 가정에 부담이 되었다. 교과별 원격수업의 형태는 실시간 화상 수업, 과제물 수업, 녹화된 동영상 수업 등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둘째, 학부모들은 코로나 19 상황에서 원격수업의 한계와 어려운 점과 불만족뿐만 아니라 효과성과 만족감에 대해서 다양하게 보고하였다. 셋째, 초, 중등 특수학급 장애 학생 학부모들은 원격수업의 다양화와 개별화, 교사의 역할 변화, 학부모의 역할 변화, 행정가의 역할 변화 측면에서 원격수업의 개선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나타난 원격수업의 실태와 경험 그리고 개선점은 향후 장애 학생들의 질 높은 원격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한 중요한 시사점과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n-line based classes experiences of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in the special classroom in COVID-19 situation. Metho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participants were 6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on the elementary school and 5 parents with disabled students on the secondary school in Gyeongnam. Their age was over 40 years and under 50 years. The type of disability of their children was seven autism, thre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ne deaf. Results: First, the sudden beginning of on-line based class increased burden to parents. The type of on-line based classes was carried out variously using real time on-line classes, home assignment and recorded audiovisual teaching materials. Second, the parents told some limits, difficulties, dissatisfaction, and demerits of on-line based classes, and some effects and satisfaction and merits of on-line based classes in COVID-19 situation. Third, the parents suggested some improvement points including diversification of on-line based classes and individualization, the role change of teachers, parents and administrato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on the on-line based class management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 중등학교에서의 온라인수업을 위한 사이버교육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영직,안성훈,김영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교육논총 Vol.35 No.2

        이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의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수업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사이버교육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온라인수업은 2012년 2학기부터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시범 실시되었다. 중학교는 시·도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사이버가정학습을 고등학교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운영하는 방송통신고 사이버교육시스템을 활용하여 온라인수업을 운영하였다. 기존 시스템은 온라인수업 운영에 있어서 제한적인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기능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모든 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학습 준비 단계, 학습 진행 단계, 학습 종료 단계에 따라 관리교사, 교과관리교사, 학생에게 필요한 기능을 충족하는 시스템을 새롭게 설계하고 구축할 필요가 있었다. 그 동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과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운영되던 사이버가정학습과 방송통신고 사이버교육시스템을 분석하고, 이용자 설문 조사를 통하여 학업 적령기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홈페이지 구성과 관리교사, 교과관리교사가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도출하여 중학교, 고등학교에 적용이 가능한 온라인수업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on the design and implement of cyber education system for on-line class. On-line class opened as a model at second term in 2012. The cyber education system of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on-line class was used for on-line class at high school. But the cyber education system of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didn’t have enough functions for on-line class. Specially each function for master teacher, subject teacher and student in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at on-line class was requiredTherefore, we analyzed the cyber education system of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surveyed teachers and students and drew functions to need for master teacher, subject teacher and student in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at on-line class. Also we implemented a cyber education system for on-line class according to functions draw by analysis of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system and survey of teachers and students.

      • KCI등재후보

        교사의 자기주도적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온라인 수업비평 시스템 구축

        신지혜 ( Ji Hye Shin ),이혁규 ( Hyng Kyu Lee ),엄훈 ( Hoon Um ),정정인 ( Jung In Chu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2

        좋은 수업과 수업 개선에 대한 요구로 수업비평이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수업비평을 비롯한 수업컨설팅, 수업멘토링 등에서 수업동영상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정부와 시·도 교육청, 연구기관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수업동영상은 다양한 관심과 수업 관찰의 목적에 맞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업동영상이 기존의 온라인 수업동영상 사이트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장점을 이어받고 한계를 보완하여 수업비평과 결합된 온라인 수업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업동영상의 내용적 특성과 수업동영상 관찰 및 분석을 위한 지원 체계를 분석하였으며, 수업비평의 개념과 방법 및 절차를 고려한 온라인 수업비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온라인 수업비평 시스템은 기존 사이트와 비교하여 두 가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기존 우수 수업동영상의 정형성을 탈피하여, 다양한 유형의 수업 사례를 발굴하여 탑재함으로써 우수 수업의 개념을 재구축하기 위한 논의의 장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수업동영상이 수업에 대한 깊은 질적 분석을 하는 비평문과 결합되어 제시되도록 하여, 수업 관찰자가 수업동영상과 비평문을 비교하면서 수업의 특질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온라인 수업비평 시스템은 온라인을 통해서 수업에 대한 연구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21세기 정보화 사회의 수업전문성 신장의 한 중요한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build on-line database of teacher instruction video with class critique. In order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of the existing online sites, this study has established a new teacher instruction video site combined with class critique. When compared with existing websites, the online system of class critique had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One wa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ounted class videos differed somewhat from existing outstanding videos. The researchers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suggested a concept and method of class critique based on a theoretical reflection of what constituted a class that was appropriate,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information age of the 21st century. Building on this, they sought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an ``outstanding class`` by discovering cases on good classes of various forms. The second characteristic was that the class video was labeled after being combined with class critique that qualitatively analyzed a class in depth. The online class video that had been combined with critique, in this manner, could be said to present one important case study for enhancing class professionalism in a space and time where research and communication on class instruction takes place online.

      • KCI등재

        교원양성기관의 음악교과 수업에 대한 예비 교사의 온라인 수업 인식 조사

        류미해,정재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0 No.46

        This sutdy is about to understand on pre-serviced music teacher’s perception on on-line music classes by teacher training institutes in Korea. Currently COVID-19 effects in social chages in rapid speed.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traditional methods has been dominant before COVID-19, and it is specially true on music teaching, because people’s gathering and being together is important in musical activities. However world class pendemic allows miminal contact among people and it is fundamental requirement for being alive and maintaining a healthy society. Starting from elementary schools & middle schools, university level of educational institutes are also participated in accepting a ‘not-contact’ teaching environment, which is represented by ‘on-line’ teaching. Educational institutes are seriously strived not to compromis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o respond the need of learning. For this, they are listen to social requirement, non-contact among people to prevent the spreading pandemic, and decided based on speed and availability, choosing an alternative way to teach, and adapted it into class fully. This study is for understanding on pre-serviced music teachers’ perception on on-line music classes, experienced in universities. For this research, categories are divid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in on-line teaching, including general management condition in teaching, and satisfaction level. Result shows in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in personal safety and possibility of self-conducted learning, but lack of opportunity on advanced learning in music, and participation level in musical activities need to be improved. 본 연구는 교원양성 기관의 초  중등 예비 음악 교원들의 온라인으로 이루어진 음악 교과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 감영병(COVID-19)으로 인해 사회 전반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전통 방식에 기반한 교육 환경은 대면을 기반으로 하며 특히 음악교육에 있어 사람 간 접촉과 어울림은 거의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세계적 팬데믹 현상이 가져온 비접촉, 비대면 방식에 대한 요구는 생존을 위한 기본 요구이자 건강한 사회 존속을 위한 기본 질서가 되었다. 초중고를 시작으로 대학에서도 비대면 방식의 교육 환경 수용이 절대적이었으며, 이와 함께 교육 공백을 최소화 하고 교육의 질적 가치 유지를 위한 대학의 고민과 노력도 함께 하고있다. 대체 교육방식에 대한 대학의 고민은 사회적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시간적 민첩함과 활용 가능성에 주요 기반을 두고 빠르게 이루어졌으며, 그간 대학교육에서 보조적 수단으로 여겨졌던 온라인 수업방식을 전면 수용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 음악 교사가 될 예비 교원들이 경험한 온라인 수업 방식의 음악교과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연구이다. 전면적인 온라인 수업으로 이루어진 음악교과 수업에 대해 수업 내적 요인과 수업 외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온라인 음악수업에 대한 전반적 운영실태와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개인의 안전성과 자기 주도적 학습에 관한 사항들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음악 교과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심화학습과 기술적 지원이 충분하지 않은 음악적 측면에 대한 아쉬움은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LMS 데이터를 활용한 온라인 러닝의 학습 행동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전병호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23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9 No.2

        On-line learning has been adopted as a major educational metho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Students and faculties got accustomed to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 as they experienced i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 and social requirement for educational renovation lay groundwork for on-line learning as well. Therefore, on-line learning or blended learning will be likely to go on after the end of COVID-19 pandemic a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guidelines for effective utilizing on-line learning.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rning behaviors and the learning effects by using LMS data. Learning behaviors were measured in terms of learning time and access frequency for pre-recorded video lectures targeting computer-practice classe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reveal that frequency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course achievements but learning time was not. The findings of empirical analysis will provide insights that the effective planning and designing on-line classes based on learning behaviors are key to enhancing learning effects and learner’s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 표준화 강좌의 효과적인 온라인 동영상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전병호(Byoungho Jun) 표준인증안전학회 2022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2 No.2

        표준이 기업 및 국가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4차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표준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에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표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할 인력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대한민국 정부 역시 국가 경제에서 표준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표준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다. 특히 산업계가 요구하는 표준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2004년 ‘대학표준화강좌’를 시작하였다. COVID-19의 위협으로 대학들은 다양한 유형의 온라인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다. COVID-19 이후에도 대학의 수업은 전통적인 대면 수업과 비대면 온라인 수업이 공존하고, 필요에 따라 대면과 비대면이 효과적으로 결합된 다양한 유형의 수업이 개발․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COVID-19를 경험하면서 학습자들이 온라인 환경에 충분히 익숙해졌으며, 정부 및 학교 당국 역시 온라인 수업 운영을 위한 인프라를 상당히 구축하였다. 무엇보다 온라인 수업 활용에 대한 사회적, 기술적, 그리고 교육적 변화 및 요구가 커지고 있다. 대학표준화강좌 역시 전통적 방식 이외에 온라인 수업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S여대에서 온라인 수업으로 운영된 대학표준화강좌의만족도 분석을 통해 향후 온라인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대학 표준화 강좌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를 토대로 콘텐츠의 관점에서 온라인 동영상 수업으로 진행된 대학표준화강좌의 만족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콘텐츠의 내용이 학습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표준화강좌의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 운영을 위해서 체계적이고 풍부한 콘텐츠를 설계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례 중심의 영상 콘텐츠 활용이 학습자 만족에 중요하다. As standards have caused positive effects on enterprise and 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merging, the need for cultivation of standards professional is getting more important. Recognizing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the need for cultivating standards professional, the Korean government initiated the Standardization courses in Universities in 2004. The threat of COVID-19 pandemic put many universities in Korea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types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including Standardization courses. There is a very strong possibility that on-line learning will go on as an important educational method after the COVID-19. Experience of COVID-19 let government and school authorities have significant technical and educational capabilities. The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led by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ocial change and requirement for innovative education lay groundwork for on-line learning as well. This study investigate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non-face-to-face online standardization class in terms of contents factors based on prior researche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reveal that systematic and good quality contents of on-line classes are likely to predict learner’s satisfaction resulting in intention to re-use them.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that preparing systematic contents is key to enhancing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standardization classes.

      • KCI등재후보

        교원양성대학의 언택트(Un-tact) 수업환경에 관한 신입생 인식 조사

        류미해(Mihae Ryu),정재은(Jaeeun Jeong)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인한 언택트 방식을 기본으로 하는 대학 수업환경의 급격한 변화 요구에 따라,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수업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효율적인 수업방식 제시에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예비교원을 양성하는 교원양성대학 역시 이러한 시대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전통적인 수업 방식과 함께 언택트 방식의 수업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불가피한 수업 상황 변화에 따라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 환경 차이로 유발되는 교수자 및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별도의 정서가 유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서 변화는 교육만족도 및 교육의 질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교원양성대학의 예비교사들 중 대학 입학 후 대학 문화를 직접 접해 보지 못한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한 대학의 온라인 수업 환경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S-사범대학 신입생과 C-교육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수업 실태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수업진행 전반에 대한 학습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자와의 소통이나 학습자간의 소통 부재에 대한 요구, 대학 체계에 대한 사전 교육의 필요, 그리고 시설환경 등 콘텐츠에 접근하는 학습자별 환경 차이는 지속적인 고민과 지원이 필요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the strong social need of change in university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the current COVID-19, teaching has to be occurred in a form of minimal contact in person. Teacher educational institutions desperately seek for substitutional suggestions for a place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simultaneously should examine its efficiency. This inevitable change, led by COVID-19, in traditional way of teaching, based on human contact, causes various different emotions in people, involved in educational process, which occurs in off-line/on-line. Emotions, caused by different teaching environment in off-line/on-line, affects satisfaction in educational efficiency and also in quality of teaching. This research is for the first year college students, who has not been experienced the college culture yet, an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 on on-line teaching environment. Research result is based on survey, which is for S-university, and C-university students of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in class process in general is positive, however a few points-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with class peers, and efficient orientation on college system, and improvement on technical support and equipment-are need of attention to get better in quality of education.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쌍방향 원격수업에 관한 연구 : 세종시 초등학교 교사들과 FGI 질적연구방법을 중심으로

        강미애(Kang Me-Ae),남성욱(Nam Sung-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코로나19의 발생으로 대한민국 전체 초·중등학교들이 전면적인 원격수업이 실시되었다. 원격수업으로 전환된 학교들은 정보기기부터 학습자료, 교사들의 수업준비 등의 준비 부족문제뿐만 아니라 학교와 교사, 학생, 학부모들 모두 혼란스러워했다. 교육당국은 과제제시형, 콘텐츠형, 쌍방향형 등으로 원격수업의 형태를 제시하며, 학교의 상황에 따라 학습방법을 선택하고 실행하도록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쌍방향 위주의 원격수업 방법을 운영하고 있는 세종시 관내 초등학교를 선택하여 FGI 질적연구 방법을 사용해 원격수업에 대한 운영 현황을 살펴보았다. 선정된 학교는 세종시교육청의 원격수업 선도학교로 지정된 H초등학교, 원격수업 우수학교로 소개된 Y초등학교, 본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D초등학교 등 초등학교 3곳, 17명의 교사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원격수업의 형태, 교사들의 원격수업 대응 방법,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교육방향이라는 세 분류로 구분되었다. 교사들은 원격수업을 운영하며 교육과정에 대한 재구성을 통해 전문성 신장에 노력하였고, 학생 맞춤형 수업설계로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다. 또한, 학생들의 원격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교육당국은 적극적인 정보인프라 구축 및 정보활용에 관한 교사연수 운영, 급당 학생수 감소 등에 대한 장기적인 대안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remote classes of all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were held in full scale. However,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were confused due to lack of information devices, learning materials, and teachers lack of preparation for remote classes. Educational authorities presented the form of remote classes such as assignment type, content type, and interactive type, to implement remote 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chool. Therefore, this researcher selected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City, which operates an interactive remote class method, and examined the status of remote class operation using the FGI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selected schools interviewed 17 teacher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including H Elementary School, which was designated as the leading school for remote classes by the Sejong City Office of Education, Y Elementary School, which was introduced as an excellent school for it’s remote classes, and D Elementary School, where this researcher works. The result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orm of remote classes, how teachers respond to remote classes,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Teachers tried to improve their skills by reorganizing the curriculum for remote classes. They changed into a learner-centered class structure by focusing on student-customized classes.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education plans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skill to improve students remote learning ability has emerged. Also long-term alternatives to the establishment of active information infrastructure, the operation of teacher training on information utilization, and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re also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