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자』에서 읽어낸 양생론과 생명관의 변화

        정우진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4 No.3

        This study focus on the change of the view of Life and self-cultivation in Zhauangzi. The self-cultivation of Daoism is called to be nurturing life(yangsheng, 養生). So The change of concept of self-cultivation implicate the change of life-view.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ot the change of these concepts in Zhauangzi but the general change of these concepts from warring states period to early pre han period by interpreting the meaning of nurturing life and investigating the argument of the school of nurturing spirit(yangshen, 養神) school against nurturing body(yangxing, 養形) school in Zhauangzi. Avowedly, Zhauangzi is not written by one author. The treatises in Zhuangzi are written by many authors from B.C. 4-B.C. 2. We can trace the change of self-cultivation and life view in Zhuangzi. Originally, the view of life in Zhuangzi was holistic. This view is interpreted from self cultivation, a way of nurturing spirit. Zhuangzi says that people can be one with the world by communicating through Qi and nurturing spirit. But later, school that interpreted nurturing life as nurturing body appeared. They insisted to nurture body. Their insistence is based on the view of life as an individual and physical body. The change from nurturing spirit to nurturing body is based on the change of life-view from spirit to body. Originally, Zhuangzi's life, that is spirit, was a mean to be one with world. But later, life became just one's body. 본고는 『장자』를 통해 생명관과 도가 수양론인 양생론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검토한 결과물이다. 『장자』는 수세기 동안 지어진 다양한 사조의 원자료를 편집한 문헌이다. 『장자』라는 문헌을 통해 도가 양생론과 생명관에 관한 변화의 통시적 고찰이 가능하다. 도가 수양론인 양생은 생명을 길러내는 것에 관한 이론이다. 생명을 길러내는 이론체계로서의 양생론은 생명의 의미 변화에 따라 바뀌지 않을 수 없다. 내편에서 확인되는 『장자』 양생론의 목적은 세상과의 온전한 합일 혹은 순연한 감응이다. 순연한 감응을 위해서는 개체적 나를 비워내야 한다. 개체로서의 나를 비우면 대상과 하나가 되는 물아일체의 전일(專一)적 체험에 이른다. 그런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로서의 생명은 육체로서의 물리적 생명이 아니다. 그것은 세상과의 감응을 가능하게 하는 정신이다. 개체성에 구속되었던 정신을 잘 길러냄으로써 우주적 정신을 회복할 수 있다. 장자가 길러야 한다고 주장했던 생명은 그와 같은 보편 정신이었다. 이와 같은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호흡술이나 도인술 같은 양생술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후에 이런 양생술은 신이 아니라, 육체를 길러내는 기법으로 재해석되었다. 『장자』 「각의」 편과 「달생」편에는 양형가에 대한 장자후학들의 논박을 볼 수 있다. 장자후학들은 양생의 생을 우주적 정신의 양육이 아니라, 물리적 육체의 양육으로 해석하는 이들을 비판한다. 신을 기르는 양생을 형을 기르는 양형으로 해석하는 이들에 대한 공격이다. 이들의 논박을 통해 ‘양신→양형’이라는 변화와 그런 변화를 초래한 생명관의 변용 즉, ‘신→형’을 읽어낼 수 있다.

      • KCI등재

        先秦시기 養心적 양생술의 전개에 관한 연구 — 『관자』사편, 『맹자』, 『순자』를 중심으로 —

        정우진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71 No.-

        Hearing the expression 'nurturing life(養生)', people generally associate the image of gigong(氣功), or some others but not different just for health. The image that they associate don't chase mind cultivation. Though modern people say mind cultivation, it is just as the method for health. why does it happens that people accept nurturing life just for body health? I think the reason is for the lack of the investigation in the nurturing life in the pre-han period. Chasing the origin of nurturing life, it is not difficult to find nurturing life for the purpose of mind cultivation.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ancient chinese nurturing life consists of three origins, 『莊子』, 『管子』四篇, 『老子』. They are skills just for the porpose of cultivation of mind, not for health thought in modern times.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one flowing from 『管子』四篇 which is an origin of the ancient chinese nurturing life. 孟子 made some variation in nurturing life of 『管子』四篇. By him, 『管子』四篇 was moralized. 浩然之氣 of 孟子 is the example of moralization of 『管子』四篇. 荀子 made an addition to the nurturing life in 『管子』四篇 and 『孟子』. what is added by 荀子. 誠, 誠 is added to the nurturing life of mind cultivation before him. Originally the body cultivation was the method of mind or spirit cultivation. But latter It deviated from its way. What would be the reason? New ideology of immortality made 養形 deviate from its way. We can see the disorder that happened following the deviation of body cultivation in some chapters of 『莊子』. I will investigate this interesting subject as soon as possible. 그간 국내의 양생연구는 두 가지 편향을 보여 왔다. 하나는 도교에의 편향이고 둘은 『노자도덕경』에의 편향이다. 도교에의 편향은 도교이전의 양생에 관한 인식의 부재를 초래했고, 『노자도덕경』에의 편향은 『노자도덕경』을 양생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가’하는 선결되어야 할 쟁점을 간과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런 사정의 조합은 양생을 단순히 건강만을 위한 것으로 인식되게 만들었다. 양생의 연원은 크게 셋, 작게는 둘로 나눌 수 있다. 셋으로 나누면 『장자』의 양신적 양생, 『관자』사편의 양심적 양생설, 『노자』의 처세적 양생설이 되지만, 이미 말했듯이 『노자』라는 문헌은 그 자체로 쟁론의 대상이기 때문에 양생의 근원으로 삼기에는 망설여지는 측면이 있다. 본 연구의 시선은 『관자』사편에서 연유한 양심적 양생의 전개과정과 전국말에 발생한 양형술의 분기라는 문제에 고정되었다. 『관자』에서 연유한 양심적 양생술은 맹자를 경유하면서 도덕적 양생술로 바뀌었다. 맹자의 ‘浩然之氣’는 『관자』의 ‘浩然而和平’에서 연유한 것인데, 義와 결합됨으로써 도덕화되었다. 희미하지만 『순자』에서도 양생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순자』의 양생론은 『관자』와 『맹자』에 토대한 후, 誠이라는 개념을 결합시킨 꼴이다. 誠은 후한대에 성립한 『상이주』에서도 핵심적인 개념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중요한데, 누가 이 개념을 양생론으로 들여왔는가를 알 수는 없다. 본래 양형은 『장자』 양신의 수단이었다. 그런데 전국말에 이르자 양형은 독자적인 이념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우리는 그 흔적을 『장자』의 두 편, 「각의」와 「달생」에서 볼 수 있다. 그들을 독립시켰던 것은 틀림없이 불사의 이념이었을 것이다. 독자적인 이념에 따라 분기하면서 방중과 복이와 외단이 결합되었다. 흥미롭기 그지없는 양형의 전개와 양신술에 관한 세론은 다음 과제로 남긴다.

      • KCI등재

        중국철학 : 선진(先秦)시기 양심(養心)적 양생술의 전개에 관한 연구 -『관자』사편, 『맹자』, 『순자』를 중심으로-

        정우진 ( Woo Jin Jung )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71 No.-

        Hearing the expression ``nurturing life(養生)``, people generally associate the image of gigong(氣功), or some others but not different just for health. The image that they associate don`t chase mind cultivation. Though modern people say mind cultivation, it is just as the method for health. why does it happens that people accept nurturing life just for body health? I think the reason is for the lack of the investigation in the nurturing life in the pre-han period. Chasing the origin of nurturing life, it is not difficult to find nurturing life for the purpose of mind cultivation.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ancient chinese nurturing life consists of three origins, 『莊子』, 『管子』四篇, 『老子』. They are skills just for the porpose of cultivation of mind, not for health thought in modern times.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one flowing from 『管子』四篇which is an origin of the ancient chinese nurturing life. 孟子made some variation in nurturing life of 『管子』四篇. By him, 『管子』四篇was moralized. 浩然之氣of 孟子is the example of moralization of 『管子』四篇. 荀子made an addition to the nurturing life in 『管子』四篇and 『孟子』. what is added by 荀子. 誠, 誠is added to the nurturing life of mind cultivation before him. Originally the body cultivation was the method of mind or spirit cultivation. But latter It deviated from its way. What would be the reason? New ideology of immortality made 養形deviate from its way. We can see the disorder that happened following the deviation of body cultivation in some chapters of 『莊子』. I will investigate this interesting subject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에 수록(收錄)된 양생(養生) 관련(關聯) 문구(文句) 분석(分析)

        이병욱,백진웅,Lee, Byung-Wook,Baek, Jin-Ung 대한예방한의학회 2010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4 No.2

        There are two different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o Te Ching" and the life nurturing thoughts. Some researchers think that the life nurturing is a main idea of "Tao Te Ching", but others do not. By analysing the related terminologies to life nurturing thoughts in the "Tao Te Ching", we came to the conclusions as below. 1. Chapters which mentioned about the life nurturing thoughts include chapter 2, 3, 7, 8, 9, 12, 16, 19, 20, 22, 24, 30, 35, 42, 44, 46, 50, 52, 55, 73, and 81. 2. Of 21 chapters that related with the life nurturing thoughts, 19 chapters mentioned about the mind nurturing(精神養生). It showed that "Tao Te Ching" put special emphasis on the mental health in the aspect of life nurturing. 3. There are 5,283 characters in "Tao Te Ching", but only 422 characters were used to mention about the life nurturing thoughts. That could be a one proof that the life nurturing thoughts was not a main idea of "Tao Te Ching".

      • KCI등재

        생명 개념의 전수를 위한 기독교교육

        장화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3 기독교교육논총 Vol.36 No.-

        This article explores Christian education for the transmission of lifeconcept focused on the theme of 2013 WCC. The term life(Heb. hayyim) inthe Old Testaments implies the idea of ‘activity’. Life is ‘that which movesin contrast to the relaxed, dormant or inert state of non-life’. Life(Heb. nepes) as ‘being’ or ‘self’ is common to man and beast, living and dead. Life in the Old Testament is given to man as a ‘psychosomatic unity’ inwhich our own distinctions between physical, intellectual and spiritual lifedo not exist. The term ‘life’(Gk. bios) in the New Testaments implies ‘course of life’or ‘necessities of life maintenance’. While ‘life’(Gk. zoe) describesresurrection-life, it also denotes ‘course of life’, Soul(Gk. psyche) andspirit(Gk. pneuma) continue their ambiguous role of ‘self’ and ‘life’. Thispaper emphasizes that Trinity of God is the source of life. The content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oflife concept is such as relations between God and man, man and man,man and nature. The term transmission in this paper implies theprocess of helping God’s people who can have the eternal life given byGod. Educational ministry is restoring God’s people who have been bornagain. The nature of Christian education is determined that ‘life’(Gk. zoe) is given to God’s people and they are nurtured. The aim ofChristian education is to rejoice and glorify God in the process oftransmitting knowledge of life. This paper provides a lesson plan of project method related to the concept of life for ‘religion’ class inChristian high school. 본 논문은 2013년 WCC 주제인 ‘생명’에 초점을 두어 개혁주의 입장에서 ‘생명 개념의전수를 위한 기독교교육’을 논한다. 본 글은 구약에 나타난 생명의 개념으로 ‘하이임’(활동), ‘네페쉬’(존재, 자아), ‘르아흐'(영), ‘네샤마’(호흡) 등을 설명하고 구약에 나타난 생명의개념은 인간 안에서 육체적, 지적 그리고 영적인 생명 사이에 구분이 없는 ‘정신 신체의통일성’을 지니고 있음을 밝힌다. 신약에 나타난 생명의 개념으로 ‘비오스’(삶의 과정 또는삶을 유지하는 필요한 것들)’, ‘조에’(영생), ‘프쉬케’(자아)와 ‘프뉴마’(생명) 등을 설명하고‘조에’는 영생과 관련되며 예수를 믿는 자에게 주어지는 영생과 관련이 있음을 논한다. 생명의 창조자는 삼위일체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강조된다. 생명 개념의 전수 과정에서 중심 내용은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자연의 참된 관계를 재창조하고 발달시키는 것이다. 인간은 그리스도와의 연합 안에서 생명을 창조하신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인간과의 관계에서 이웃에 대한 책임을 감당하며, 하나님이 만드신 모든 피조세계를 보전하고 다스리는 책임이 있음을 논한다. 전수의 의미는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하나님께서 주시는 생명 개념이 전해지도록 돕는과정이며, 교육사역은 하나님의 사역과 상호 보완함으로 거듭난 생명을 얻은 중생한 사람들을 원래의 생태로 회복하는 것이다. 기독교교육의 개념은 기독교의 생명을 인간들에게전수하여 기독교적으로 양육하는 사역으로 보았고 기독교교육의 본질은 인간으로 하여금생명을 얻게 하고 기독교교육을 통해 자라게 하는 것으로 보았다. 기독교교육의 목적은생명 지식의 전수를 통하여 인간으로 하여금 하나님을 즐거워하고 영화롭게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생명 개념과 관련지어 기독교 고등학교 ‘종교’ 수업 시간에 활용할수 있는 ‘생명 존중 캠페인 계획하기’를 주제로 프로젝트 접근 방법의 교수-학습 지도안을제시한다.

      • KCI등재

        양생으로서의 방중에 관한 연구

        정우진(Jung woo ji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2 道敎文化硏究 Vol.36 No.-

        본고는 ‘방중이 양생에 속하는 까닭’을 탐구한 결과물이다. 본고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나선 여정기이다. 본고의 여정은 위 질문자체에 머물지 않고, 다양한 영역에 까지 이르렀다. 깊이 파기 위해서는 넓게 파야하는 것처럼 질문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탐색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래의 목적은 방중이 양생인 까닭의 탐색이었으므로 주된 여정지는 다음과 같았다. 첫 방문지는 사정으로 인한 피로감이 방중이 양생에 포함된 원인이라는 통속적 견해였다. 연구자는 이 견해를 논파했다. 이어서 방중의 치유적 특성을 탐색했다. 그리고 『管子』 등에서 보이는 수양론의 구도가 방중으로 유비되었다는 수단적 논증을 행했다. 이 여정의 끝에는 ‘방중시에 경험하는 전일적 체험이 방중이 양생에 포함된 주된 이유’라는 결론이 있다. 본고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양생의 핵심에 관한 논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양생의 핵심에 대한 간접적 암시는 본고의 부수적 결과물이다. 이 외에 탐색과정에서 살펴보게 될 발굴문헌의 소개는 본고의 또 다른 의의가 될 것이다. 연구자는 발굴 문헌 중 특히 양생관련 문헌이 잘 소개되어 있지 않은 국내의 연구 환경을 고려해서 가능한 한 관련문헌을 성실하게 소개했다. Why is the ancient chinese sexual art(房中術) belong to nurturing life arts? This paper is the outgrowth of investigation driven by this question. For the reason that ejaculation makes man exhausted? I not think so. If so we will be able to see such moderation arts as moderation in drink(節酒術) in the list of nurturing life. But as you know there is not such things. Then what is the reason? A main target of sexual arts is to cure woman. The intersexual posture such as hakgyogyung(鶴交頸, the pose similar to two crane’s crossing their neck) can cure chiljeongsang(七情傷, the disease caused by the problem of emotion). But the target of nurturing life is conductor himself not woman as object. So this fact can’t explain the reason that sexual art is belong to nurturing life Of course, conductor can get rid of his disease by sexual arts. But treatment is not the ultimate goal of nurturing life. The ultimate goal of nurturing life is immortality. But do you think this is possible? We sometimes find the distortion made by passion in chinese inheritance especially in mysterious field. But I not think the ancient chinese is implausible liar. then what make this impossible object, immortality, the main target of nurturing life including sexual art. I think the holistic experience-could be translated into manga(忘我)-during sexual art is the reason that the ancient chinese think its goal is immortality. By holistic experience of manga(忘我) we can overcome individual life and reach the holistic life. The holistic life is immortal.

      • KCI우수등재

        『곽점노자』의 양생론 해석

        정우진(Woo Jin Jung) 한국철학회 2014 철학 Vol.0 No.119

        본고는 『곽점노자』의 양생론을 탐구한 결과물이다. 『곽점노자』에서 말하는 양생의 방법으로는 낮춤, 삼감, 예방, 징조의 파악 등이 있다. 이런 것들은 무한히 변화하는 유대(有待)의 세계관과 그로부터 기인하는 우환의식으로부터 연유한다. 『곽점노자』의 저자들은 무한히 변하는 유대(有待)의 세계관을 극복하기 위해 무대(無待)의 독립한 도를 양생론의 토대로서 설정했다. 도는 어떤 것에도 의존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본래 그러한 것이자, 저절로 그러한 것 즉, 자연이다. 자연은 작위적이지 않기 때문에, 도의 움직임도 무위적이다. 그러나 어떤 방법론 예컨대, 허(虛)나 감응(感應)과 같은 것은 유대의 세계관과 우환의식으로부터 곧장 도출되지 않는다. 마음에서 감정과 욕정, 인위적 지식을 제거하는 것은 『관자』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자』에서는 마음의 안정 즉, 기의 안정을 위해 마음의 허를 주장한다.『장자』에서는 기를 통하여 세상과 공감하는 감응론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와 도의 질서인 무위에 토대한 『곽점노자』의 양생론은, 유대의 세계관과 그런 세계관으로부터 연유하는 우환의식에 근거해서, 낮춤, 삼감, 예방 등을 양생의 전략으로 주장하고 있지만, 일부 내용은 동시대에 유행했던 양생문화에서 차용한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Guodian Laozi to figure out the nurturing life theory of Laozi unaffected by later annotators. The object of nurturing life in Guodian Laozi is always accompanied with governance of nation. If you do not succeed in governing nation, then can not succeed in nurturing life. Nurturing life is the symbol of governing nation. And governing nation is the symbol of nurturing life. These two objects, nurturing life and governance of nation have same methods to achieve themselves. Humbleness, courtesy, prevention are the methods for men to successfully govern the nation and keep body and mind healthy. These methods results from youhuanyishi(憂患意識, the mind of worrying everything). And this mind is from the world view of youdai(有待, the world view that everything depends each other and eternally changes). But some methods and concepts, like xu(虛, emptying out emotions, desire and learning from mind) and ganying(感應, sympathy through qi), are not directly derived from youhuanyishi and the world view of Youdai. This study explores other texts, Zhuangzi and Quanzi, to find out the meaning of xu and ganying. Quanzi has the emptying out emotions, desire and learning from mind as the method to keep mind tranquil. And Zhuangzi has ganying achieved by wangwo(忘我, oblivion of self). The nurturing life theory of Guodian Laozi is built on the youhuanyishi and the world view of youdai. And borrowed ganying theory and xu from other texts or culture that both Zhuangzi and Quanzi have.

      • KCI등재

        맹자 수양론과 장자 양생론에서 본 인격 함양의 접점

        정영희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4

        맹자는 성 ․ 심 ․ 기를 통한 수양론을 제시하고 있고, 장자는 정 ․ 기 ․ 신을 통한 양생론을 제시한다. 이들의 공통점은 바로 ‘기’에 있으며 ‘양기(養氣)’를 통한 인격 함양을 제시하고 있다. 맹자는 양호연지기(養浩然之氣), 존야기(存夜氣), 존평단지기(存平旦之氣)를 의(義)와 결합시키고 있다. 이들을 잘 기르고 보존하면 기가 천지간에 가득하게 되고 부동심을 확장 확충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기는 마음의 뜻(志)을 통해 움직일 수 있고, 기가 마음에 가득 차게 되면 마음의 뜻을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존재가 된다. 인간의 내부와 외부의 교류와 소통을 촉진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인격 수준을 높일 수 있게 된다고 보고 있다. 한편, 장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는 그 자체로 만물을 생성시키지는 않는다. 그 도에서 나온 하나의 기가 만물을 이룬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만물은 기를 통해 생성되고 인간 역시 이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인간은 양기(養氣)를 통해 양생을 이룩할 수 있으며 그 핵심은 ‘비움’이다. 심재와 좌망은 비움을 통해 기가 들어오고 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방편들이다. 기는 내부적 외부적 소통과 교류의 매개이자 핵심이 되며, 성인, 진인, 지인이 될 수 있는 방법적 수단이기도 하다. 기는 맹자와 장자에서 공통적으로 내부와 외부의 상호 소통과 교류를 할 수 있게 하며 그것을 통해 서로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상적 인격 함양의 기제가 된다. 맹자와 장자의 비교를 통한 수양론과 양생론은 제한된 지면에서 한꺼번에 논의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향후 인격 함양 기제와 인격교육적 의의 등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point of intersection between Mengzi's Self-Cultivation and Zhuangzi's Nurturing-Life. Mengzi presents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through Human Nature (性), Mind (心), Qi (氣), and Zhuangzi emphasizes the theory of nurturing-life through Vital Force (精), Qi (氣), Sprit (神). What they have in common is Qi, to put it further, it can be said nurturing-qi. Mengzi says if you combine the virtues of Developing Great Spirit (養浩然之氣), Preserving the Night Air (存夜氣), Preserving the Daybreak Air (存平旦之氣) with moral Righteousness (義) and nurture them well, Qi will be filled with heaven and earth and expand the imperturbable mind (不動心). In Mengzi, the Qi can move through the will of the mind, when Qi fills the mind, it becomes a being that can move the will of the mind. This can be a factor that can promote internal and external exchanges and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through this, the level of personality can be raised.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Zhuangzi is the Tao itself, not to create all things, he proposes the theory of Qi, which assumes that the one Qi from the Tao creates all things. Therefore, humans can obtain nurturing-life through nurturing-qi, and the key is emptying. He believed that qi could come in and out by emptying and approach the Tao. Qi is the medium and core ele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s and exchange, and it is also a methodical means to become the sage or the true person. It can be seen that Qi is the point of character-cultivation in Mengzi and Zhuangzi.

      • KCI등재

        死生觀을 통해서 본 노자⋅장자 철학의비교 연구

        이택용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7 No.-

        This essay is aimed at making clear whether Laozi老子 and Zhuangzi莊子`s views of death and life are in accord mutually and how their Tao道 and T德e, which support that views in their philosophy, are different. And thereby it investigates the validity of putting Laozi and Zhuangzi together into Taoist school. Laozi and Zhuangzi are contrary to each other in views of death and life. Laozi, accepting death as a providence, pursuits long life and sees premature death in a negative way, on the other hand Zhuangzi, accepting death and life equal, sees grief at death in a negative way, in general. In relation to death Laozi pursuits, long life and Zhuangzi pursuits freedom from the agony of grief. Their Tao and Te are also different to each other. Laozi emphasizes the quality of wuwei無爲 of Tao and Te. Zhuangzi emphasizes 'the quality of not-dividing matters' of Tao and 'the quality of adapting oneself to destiny' of Te. This difference comes from the difference of premise on destiny and it is caused by the difference of audiences to whom they tell. Laozi tells to lords and Zuangzi to learned men. In conclusion, there is no ground, except for Zuangzi`s using the expression of Tao, to see Zuangzi`s philosophy as the same as Laozi`s and to classify Zuangzi into Taoist school. Therefore there should be rediscussion about putting Laozi and Zhuangzi together into Taoist school concentrated in the method of governing and nurturing life. 본 논문은 노자와 장자의 철학에 있어서 사생관의 동이(同異) 여부 및 이들 사생관의 철학적 토대를 이루는 도(道)와 덕(德)의 차이를 밝힌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이 양자를 하나의 학파[道家]로 묶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에 대하여 검토한다. 사생관에 있어 노자와 장자는 상반되는 모습을 갖는다. 대체로 노자는 죽음을 섭리로서 받아들이는 가운데서도 장생(長生)을 추구하고 ‘이른 죽음’[早已]을 부정적으로 보는 반면, 장자는 삶과 죽음을 같은 것으로 보아 장생의 추구 및 죽음 앞에서의 자타(自他)의 슬픔을 부정적으로 본다. 죽음과 관련하여 노자는 장생구시(長生久視)를 추구하고 장자는 현해(縣解)⋅소요(逍遙)를 추구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사생관을 뒷받침하는 도(道)와 덕(德)에 있어서도 양자는 강조점이 상당히 다르다. 노자는 도와 덕의 무위(無爲)성을, 장자는 도의 무경계성과 덕의 안명(安命)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차이는 근본적으로 운명에 대한 전제의 차이에서 비롯되는데, 보다 근본적으로는 양자가 상정하는 이야기 대상이 다르다는 데에 기인한다. 노자는 통치자에게, 장자는 사(士) 계층에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이렇듯 노자와 장자는 서로 다른 대상에게 상반된 내용을 이야기를 하는데 이들을 과연 하나의 학파, 즉 도가로 묶는 것이 타당한가? 이들을 하나의 학파로 묶은 것은 사마담⋅사마천⋅반고에서 기원한다. 이들은 도(道)에 근거한 ‘통치술 및 양생술’을 도가의 핵심으로 규정하였는데 노자 철학은 이에 부합한다. 반면 장자 철학은 도를 근거로 삼긴 하지만 주 핵심[逍遙⋅縣解]이 도가의 요체인 ‘통치술 및 양생술’과 상당한 거리감이 있다는 점에서 도가로의 분류가 타당하지 않아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장자 철학은 형이상자로 도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 외에는 노자 철학과 같이 볼 근거도 없고 또한 도가의 범주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단순히 도(道) 하나를 공유하였다 하여 노자와 장자를 같은 학파로 묶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베이비부머 중년기 부부의 삶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조정미(Jeong-Mi Cho),박재연(Jae-Yeon Park) 한국가족학회 2023 가족과 문화 Vol.35 No.1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중년기 부부가 경험한 다양한 측면들을 탐색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이들의 삶과 욕구를 이해하며, 그들에게 필요한 사회ㆍ심리적 자원과경제적 및 제도적 필요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북 지역 P시의 가족생활주기 단계상 자녀 양육기에 해당하는 중년기 부부 5쌍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두 10명이다. 이들을2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4개의영역과 17개의 하위영역, 49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4개의 영역은 ‘부모님을 봉양하는 자녀의삶에서 많은 어려움을 감내’,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하여 오롯이 돌아볼 겨를의 부재(외로움)’, ‘자녀를 잘 양육을 하려 최선을 다하나, 더욱 지쳐가는 중년기의 삶’, ‘힘들고 지친 중년기를 잘극복하고 건강하고 활기차게 진정한 삶으로 나아가는 길’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중년기 부부들이 자녀로서의 삶, 본인의 삶, 자녀 양육자로서의 삶의 각각의 측면에서 지치지 않고 더 건강하게 살아내고, 가족들로 인해 바쁜 삶 속에서도 자기실현을 이룰 수 있도록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explores the various aspects experienced by the middle-aged couple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And through this process, I understand their lives and desires. The study suggested social and psychological resources and economic and institutional need for them.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all 10 people who are in the middle age of five couples who are in the middle of raising children in the phase of the family life cycle of P city in Gyeongbuk area. They divided into two groups and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As a result, four topics, 17 sub-topics and 49 meaningful concept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lives of children who support their parents’, ‘There is no way to look back on my own life(Loneliness)’, ‘In order to nurture the children well, I run out a best and try. But, A more exhausting life of middle age’, ‘It is a way to overcome the hard and exhausted middle age and to move into a healthy and vital life’. This study suggested that each life of couples who take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life cycle of the family life in this era will be healthier and stable. And it will help to achieve self-in reality in their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