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대입시반 학생들의 일상적인 학교생활과 입시준비과정 탐색

        주병하(J00, Byung-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방과후학교 체대입시반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일상적인 학교생활과 입시준비 과정을 통해 그들의 삶을 통찰하는데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S고등학교 체대입시반 방과후수업에 참여한 남학생 10명 이었다.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과 반성일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Pattern, 19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체대입시반 활동을 통해 일상적인 학교생활(내신성적, 실기능력, 정신력 측면)에서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지만, 담임선생님이나 일반과목 선생님들은 부정적 인식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친구들은 운동과 공부를 병행한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체대입시반 활동의 참여 동기는 운동을 잘하 고 싶고, 미래에 체육지도자가 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사설학원보다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체대입시반 활동은 1학년 때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응답을 하 였다. 결론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체대입시반 활동을 통해 자신의 꿈을 실현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교육을 통해 체육대학에 진학하려는 고등학생들의 삶을 이해하고, 고등학교에서 진학지하는 체육교사들에게 중요한 진로지도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ormal school-life and college prepar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ho want to enter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For this, 10 high school students at ‘S’ high school located in Kyunggi province in Korea were purposely sampl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ere made to do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uctive category analysis(Pattern, 1980). In this paper, first, the students taught that their paper score, physical skills, mental abilities were higher than before and normal teachers perceived them negatively and their friends realized them friendly and positively. second, on college preparation period, their motivation of participating on P.E. class was that they were good at sports and their dreams were to be a P.E. teachers and soldiers. they preferred to participate in public school after-school program than institution about P.E.. they like to start in after-school class at 1st grade in high school. advantages were good facilities and P.E. programs in high school. difficulties were studying both paper and physical drill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after-school P.E. class and their dreams were P.E. teacher and soldier. In this results, we will respect that public education foundation for the normalization can be expected.

      • KCI등재

        1920년대 경성사범학교 졸업생의 교직 생활

        김광규 한국교육사학회 2018 한국교육사학 Vol.40 No.4

        This paper examines the teaching life of the graduate students of Kyeong-seong Normal School in the 1920s in terms of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The teaching life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of preparation, beginning, and daily life in this paper. First, in the preparatory stage of teaching life, the motivation to enter the school, second, in the beginning stage of teaching lif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nel such as starting salary, first place of appointment, third, various work activities, promotion, tenure, daily complaints and anxieties that the teachers had to do during their everyday life were examined. The career of 1289 graduates who graduated from Kyeong-seong Normal School in the 1920s was investigated and used as research data. Kyeong-seong Normal School had more than 80% of Japanese students. Subtle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otivation for entering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Kyeong-seong Normal School graduates received a higher salary than other school graduates, and were commissioned to elementary schools nationwide. They routinely did school and social education. Even after graduating from Kyeong-seong Normal School, Korean teachers were disadvantaged in obtaining promotion or other opportunities than Japanese teachers. Those who are dissatisfied with their teaching career have left their teaching profession. Many of them left after pursuing a better socio-economic status, but there were some who devoted themselves to the educational movement, paying attention to the reality of Korea. 본 논문은 1920년대 경성사범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입학 동기와 졸업 후 초임 발령에서부터 교직을 떠나기까지 인사 실태, 교원으로서의 생활 실태를 조선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착목하여 살펴본 것이다. 경성사범 졸업생의 교직생활을 준비, 시작, 일상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교직생활의 준비 단계로서 경성사범 입학 동기와 함께 경성사범의 실제 학생 편제·구성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교직생활의 시작 단계로서 초임 발령시 자격, 봉급, 발령지 등의 인사상 특징을 규명하였으며, 교원의 일상을 채웠던 여러 가지 일과 활동, 승진, 근속 기간, 일상의 불만과 고민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1922-1929년 경성사범 졸업생 1289명의 주요 이력을 전수 조사하여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경성사범은 조선인․일본인 공학이었으나 일본인 학생이 8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사실상 일본인 교원 양성 학교로 기능하였다. 조선인, 일본인 모두 경성사범 입학 동기에서 경제적 이익이 중요했지만 경성사범 입학이 조선인 학생에게는 극소수만이 가질 수 있던 기회였던 반면, 일본인 학생에게는 사회경제적 상황상, 가정 형편상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했다는 차이가 있었다. 경성사범 졸업생은 각 도의 공립사범학교 졸업생에 비해 높은 자격과 봉급을 받으며 전국 각 도의 초등학교에 초임되었다. 경성사범 출신 교원의 일상은 학교 교육 활동과 사회 교육 활동을 기본으로 하며, 기타 강습회 참가, 도서 간행, 강습회 개최, 시찰단 파견 등 조선교육회, 초등교육연구회 등에서 진행한 각종 사업에 참여하는 활동 등으로 채워졌다. 그러나 기본적인 학교 교육·사회 교육 활동을 제외한 다른 활동이나 교장 승진 기회를 얻는 데서 조선인 교원은 일본인 교원보다 불리하였다. 경성사범 출신 교원의 10년 이상 장기 근속자 비율은 70% 이상으로 1910년대 양성기관 출신 교원 보다 높았다. 관료 신분, 안정적으로 지급되는 급여, 퇴직 후의 은급(연금) 등 조선의 관공립학교교원이라는 직업이 보장하는 이익, 교직 생활에서 경성사범 졸업장이 주는 상대적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만족하지 못한 자들은 교직을 떠났다. 이 경우 진학이나 다른 시험에 응시한 자들이 있고, 소수지만 교육 운동에 참여한 자들도 있었다. 전자가 대학 졸업 자격에 미치지 못하는 학력, 교원 중에서도 초등교원이라는 직업에 만족하지 못한 자의 선택이었다면, 후자는 개인적 영달보다 일제강점기 조선의 현실과 교육 문제에 눈을 돌린 자들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