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총론:조선시대 ‘국가의례’ 연구의 성과와 전망

        나영훈(Na young hun) 한국사학회 2021 史學硏究 Vol.- No.144

        조선시대 국가의례는 ‘五禮’로 정리할 수 있다. 본 공동연구는 조선의 ‘국가의례’와 관련된 성과가 상당수 누적되어 있는 것에 비해 이들 성과를 정리한 시도가 없었던 점에 착안하여서 이들 연구사를 세밀하게 정리하여 연구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또한 향후 국가의례 연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고민을 하고자 시도되었다. 각 연구자들은 오례 가운데 ‘길례’, ‘가례’, ‘빈례’, ‘흉례’ 연구사를 정리하고 또한 실학자들의 ‘예학’을 추가하여 공동으로 국가의례 연구를 정리하였다. 총론에서는 조선시대 국가의례 연구를 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연구의 추이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국가의례 연구의 서막은 1980년대 이범직과 지두환의 오례 연구로 시작된다. 이전까지 유교망국론 등의 영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지 않는 불모지였던 국가의례 분야는 이들 연구자에 힘입어 본격적인 연구의 발판이 마련되었다. 1990년대는 국가의례 연구의 기반이 조성된 시기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김해영, 한형주는 길례 연구를 토대로 오례 전 분야에 걸친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시기에는 조선 왕실에 대한 연구자와 대중의 관심이 함께 증가한 시점으로, 이들 연구는 국가의례 연구에도 영향을 주었다. 또한 예학과 관련된 심도 있는 연구가 이 무렵 증폭되면서 이 역시 국가의례 연구에 기여한 바가 컸다. 이 시기는 국가의례를 주제로 한 분야가 한국사 내에서 점차 학문적 영역을 확보한 시작점으로 의미가 있다. 2000년대는 왕실에 대한 관심 속에서 연구자의 수효가 증가하고 학술적인 연구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시기였다. 국가의례를 선도하는 다수의 연구자가 배출되었고 연구의 기반이 될 전례서, 의궤, 등록 등의 자료에 대한 이해 역시 심화되었다. 이 시기는 다방면에서 국가의례 연구가 비상할 수 있게 해준 시기로 의미가 크다. 2010년대는 국가의례 연구의 방법론상의 외연이 확장된 시기이면서 폭넓은 사례 연구가 진행되는 시기이다. 더 나아가 90년대 후반부터 진행된 주요 자료의 인터넷 서비스로 관련 자료를 손쉽게 접근하고 연구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의례 연구가 범람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누적된 수많은 국가의례 관련 연구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해결해야할 과제 역시 남아 있다. 첫째, 국가의례 전체를 아우르는 시도가 다시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방법론상의 영역을 넓히되 국가의례를 주요 주제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타분과 학문과의 긴밀한 융복합 연구를 모색해야 한다. 조선시대 국가의례는 현재에도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만 앞으로 더 많은 연구주제가 산적해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본 공동 연구사 정리는 현재까지 누적된 국가의례 연구를 집적하는 역할에 그쳤다. 향후 이를 토대로 내실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Joseon Dynasty’s “National Ritual(國家儀禮)” can be summarized as “Five Rites(五禮)”. This study was attempted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were no attempts to summarize these achievements, compared to the accumulation of significant achievements related to Joseon’s ‘National Ritual’. It wa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by organizing the ‘National Ritual’ study in detail and to think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National Rituals’ study. The prelude to the study of ‘National Ritual’ begins with the study of ‘Five Rites(五禮)’ by “Lee Bum-jik” and “Ji Doo-hwan” in the 1980s. The 1990s was the time when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of ‘National Ritual’ was established, and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is period is meaningful as a starting point for the field under the theme of ‘National Ritual’ to gradually secure academic areas within Korean history. The 2000s was a time when the number of researchers increased and academic research exploded amid interest in the ‘Royal(王室)’. The 2010s was a time when the extension of the methodology of ‘National Ritual’ research was expanded and extensive case studies were conducted. Despite the accumulated studies so far, several challenges remain to be solved. First, attempts must be made to encompass the entire ‘National Ritual’. Second, while expanding the scope of methodology, research with the main theme of ‘National Ritual’ should be conducted.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close convergence research with other branches and disciplines. This joint research organization has only played a role in integrating research on ‘National Ritual’ accumulated so far. It is expected that substantial research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is in the future.

      • KCI등재

        조선시대 軍禮 연구의 현황과 과제

        윤혜민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0

        조선시대 국가 의례는 吉禮․嘉禮․賓禮․軍禮․凶禮의 五禮 체제로 구성되어 있었다. 禮治를 표방한 조선에서는 국가 의례를 통해 국왕의 지위를 상징적으로 구현하려 했는데, 오례 중에서도 제왕의 통치 의례라는 측면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항목이 바로 군례였다. 군례는 군의 기강을 확립하는 효과와 함께 군의 최고 통수권이 국왕에게 있음을 가시적으로 확인시켜주며, 왕의 절대적인 책임과 권위를 강조해 주었던 것이다. 조선의 국가 의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다양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있지만, 아직 군례는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선의 군례에 관한 그동안의 연구 성과들을 점검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군례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추진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군례에 대한 연구 성과들은 ‘國家典禮書의 군례 연구’와 ‘군례 세부 주제별 연구’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국가전례서의 군례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대표 국가전례서인 『世宗實錄』 「五禮」, 『國朝五禮儀』, 『國朝續五禮儀』, 『國朝五禮通編』, 『春官通考』, 『大韓禮典』 등에 수록된 군례 항목을 분석한 연구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군례 세부 주제별 연구’에서는 연구 현황을 고려하여 ‘射儀, 大閱儀와 講武儀, 宣露布儀와 獻馘儀’의 세 범주로 나누어 연구사를 정리하였다. 기존에 수행된 군례 연구들을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 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군례의 유래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군례가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의례와 역대 한국의 왕조로부터 내려온 전례를 수용하여 형성된 것임을 고려할 때, 그 의례들을 비교․검토하는 작업은 조선시대 군례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인식시켜 주는 것은 물론이고 해당 의례의 역사적 연결성과 구조적인 이해까지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그리고 국가전례서의 군례 항목에 대한 통시적이고 철저한 분석 또한 요구된다. 특히, 오례 체계 내에서 군례가 갖는 고유성과 의의를 찾고, 군례 항목의 구성과 편제 내용 및 변화 양상 등도 함께 고찰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군례 세부 의식의 의주 내용을 분석하는 작업은 앞으로 특히 활성화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판단되며, 기존 의주와 실제 운용된 행례 간의 간극을 파악하고 의례별 행례 빈도를 헤아리는 작업도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군례 연구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사항은 군사훈련과 군사의례를 구분해서 서술해야 한다는 점일 것이다. 이에 따라 군사훈련과 군사의례를 분리하여 의례만의 기능과 특징을 밝히는 연구와 양측의 상호 연계성에 주목하여 변화하는 양상을 유기적으로 고찰하는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오례 간의 연계 연구를 비롯해 군례를 통한 제도사․재정사적 연구와 음악․미술․복식 등 다양한 방면의 학제 간 연계 연구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national rituals consisted of Orye(五禮). It was Gilrye(吉禮), Garye(嘉禮), Binrye(賓禮), Gunrye(軍禮) and Hyungrye(凶禮). In Joseon, through national rituals, the king’s status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royal authority were symbolically embodied. Among the Orye, the item that clearly shows the king’s ruling ritual was Gunrye. Gunrye visually showed that the king had the highest command of the military, along with the effect of establishing military discipline and strengthening military power, and emphasized the absolute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of the king. As interest in Joseon’s national rituals increases, various research results are accumulating, but the research on Gunrye are still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achievements of Joseon’s Gunrye research and presented the directions for future Gunrye research and tasks to be promoted based on this. The research results of Gunrye were reviewed by dividing them into ‘Study on Gunrye of the National Ritual Book’ and ‘Study by Detailed Topics of Gunrye’. In ‘Study on Gunrye of the National Ritual Book’, focused on the studies that analyzed the items of the Gunrye included in the national ritual book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Orye of Sejong-Chronicle(世宗實錄), Gukjo-oryŭi(國朝五禮儀), Gukjo-Sokoryeŭi(國朝續五禮儀) etc. In ‘Study by Detailed Topics of Gunrye’, the research results were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Saŭi(射儀), Daeyeolŭi(大閱儀)-Gangmuŭi(講武儀), and Seonropoŭi (宣露布儀)-Hunkwekŭi(獻馘儀)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status. Based on the previously conducted Gunrye studies, future research tasks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a comparative historical study on the origin of the Gunrye should be supplemented. In addition, a thorough analysis of the Gunrye items of the National Ritual Book is also required. In particular, the work of analyzing the main contents of individual items of the Gunrye is judged to be a part that should be particularly activated in the futu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e aware of in the Gunrye study is that military training and military ritual should be described separately. Accordingly, a study that reveals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rituals alone by separating military training and military rituals and a study that organically examines the changing patter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two sides should also be conducted. In addition, research on linkage between Orye and institutional history and financial history through Gunrye and interdisciplinary linkage stud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music, art, and clothing should be sought.

      • KCI등재

        조선후기 七宮儀禮와 국가 조상신

        권용란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0 서울학연구 Vol.- No.38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religious meaning and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of national ancestors by analysing the formation process of Chilgung ritual(七宮 儀禮; a ritual for seven biological mothers of kings) in late Joseon dynasty. This ritual reveals a change in the conceptualization of national ancestors in the Joseon dynasty. To fully understand the reason for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se changes,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cesses of ritualization focusing on who, why, and what Confucian justifications were given for creating these new rituals, ritual shrines and how they have become officially adopted as national rituals and preserved until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That is to say, before it become an official ritual, there was repeated set ritual actions at set ritual places. Firstly, This ritual was made from the shrine of Yongjo's biological mother, Youksanggung(毓祥宮). After Youksanggung(毓祥宮) obtained officiality, six kings' biological mothers were worshipped in the same manner. The six kings' biological mothers' shrines were formed and adopted as national rituals. This ritual was justified by Confucianism idea, Hyo(孝). After all, Youksanggung ritual(毓祥宮儀禮) which was Joengye(情禮; a ritual based on private emotion) was conversed to Joengye(正禮; a ritual based on officiality) Secondly, structure, the date and offerings of this ritual was made of lower status than Jongmyo ritual(宗廟儀禮; ritual for the royal ancestors' shrine). An honored going of king was characteristics of Chilgung ritual. Finally, we can find ancestors who were of entirely different lineage, character, and its shrine and rituals. That is to say, It was biological mothers of kings who were different from line of national ancestors in Jongmyo(宗廟; shrine for the royal ancestors). Ultimately,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a new understanding of religious meaning of new concepts of national ancestors and their underlying causes. It will also add to dispel preconceived notions that Confucian rituals are fixed ,normative and national ancestors is only king lineage in Jongmyo.

      • KCI등재

        고려 국가불교의례와 경행(經行)

        강호선 ( Kang Ho Sun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2

        석가모니 이래 경행(經行)은 좌선(坐禪)에 수반되는 수행의 일환이었다. 오랜 전통을 가진 수행으로서의 경행이 신라를 거쳐 고려에서도 사찰에서 거행되는 가운데, 수행으로서의 경행과는 다른 전통을 가진 가구경행(街衢經行)이라는 의례가 고려전기 국가의례로 개최되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바로는 가구경행이라는 행사는 고려에서 처음 등장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고려 정종(靖宗)때 상례화되었다. 가구경행을 경행이라고도 불렀으나, 의례로서의 경행은 출가자의 습선(習禪)에 수반되는 경행과는 개최 목적, 주체, 참여자 등 모든 면에서 전연 다른 전통을 가지고 있다. 고려시대 통상 매년 3월 정기적으로 개최되었던 가구경행은 왕명으로 시행되었고, 고위관료가 의례를 주관하였으며, 『반야경(般若經)』을 가마나 수레에 싣거나 머리에 이고 궁궐에서 출발하여 개경의 거리를 다니며 복을 비는 행사로 승려와 관료들이 행렬을 따랐다. 국왕이 친행하는 의례는 아니었으나 왕명에 의한 국가의례로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되었던 고려의 가구경행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우선의식을 시작하기 전 경령전(景靈殿)에 경행 실시를 고하고 시작했다는 점에서 연등회나 팔관회처럼 태조신앙과도 관련된 의례이다. 또한 경전신앙에 바탕한 의례로, 특히 『반야경』 독송 공덕으로 기양하고자 하는 성격이 강하였다. 고려시대 가구경행은 개경 뿐만 아니라 지방의 읍치에서도 지방관의 주관하여 개최되었던 것도 특징이다. 가구경행은 조선건국 후 이를 혁파하자는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에서도 국행의례로 개최되다 세종 4년 폐지되었는데, 이 과정은 태종~세종초 국가의례 정비와 관련이 있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one of national Buddhist ritual during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Gagu Gyeong-haeng(街衢經行). Originally, Gyeong-Haeng (經行, Cankama) is a Meditation practice from Sakyamuni Buddha in the Buddhist temple and meditation places in India and East Asia. Buddhist monks practiced it in the Silla and Goryeo Buddhist Temple also. However, the other Gyeong-haeng (Sutra parade) was begun in Goryeo dynasty as national ritual which held regularly every year by royal fiat. It is called Gagu Gyeong-haeng and has different tradition with Cankama. In March of lunar calendar, top government officials and Buddhist monks paraded streets in Gaegyeong, the capital of Goryeo. This parade started from palace, and people carried Prajuaparamita-sutra (般若經) on their head or cart or palanquin and they blessed and wished for disaster. The same ritual were held in the provinces managed by local office administrator. It was based on belief in Sutra especially charity of Prajuaparamita-sutra and shows characteristics of Buddhist ritual which held as national ritual in Gorye period. This Gagu Gyeong-haeng (Sutra parade) continued in Early Joseon Period as national ritual until King Sejong(世宗) formally repealed it in 1422.

      • KCI등재

        마니산 참성단 도교의례 음식의 역사적 맥락과 형태

        김해인(Haiyin Kim) 한국도교문화학회 2021 道敎文化硏究 Vol.55 No.-

        이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 전통의 큰 축을 담당하였던 도교문화가 의례 음식 분야에서 주목받지 못하였던 한계를 조금이나마 극복하고자 마니산 참성단 초례를 중심으로 도교의례 음식의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그 형태를 유추하였다. 먼저 마니산 참성단 초제 음식으로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었던 역대시조, 영성, 산천제사 음식을 적용할 수 있을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역대 시조묘와 영성 제사는 중국의 유교적 틀 안에 일찍부터 들어가 있던 제사로서, 조선 내부에서도 참성단 제사와는 달리 중국의 제도에서 의례적 근거가 분명하다고 차이를 두고 있었기 때문에 비교의 대상으로는 적절치 못하였다. 그리고 마니산은 인조 대에 산천 제사에 편입된 듯하나, 산천제단과 참성단은 서로 다른 위치에 있었고, 참성단은 제천의례의 맥락을 가지고 있었기에 이 두 제사 또한 직접적으로 비교될 수 없다. 따라서 이와는 다른 도교의례의 측면에 주목해야 한다. 이에 중국의 도교의례 음식과 비교해보았는데, 속례(俗禮)를 수용한 제수품이 초례에 사용된 것으로 유추되며, 송대 국가도교의례 음식에서는 소찬(素饌)의 맥락을 짚어볼 수 있었다. 이를 참고하여 마니산 참성단 음식의 형태를 추론하면, 참성단 초제에 ‘차(茶)·탕(湯)·술(酒)’을 올린다는 기록과, 유교식 제사와는 맥락을 달리한다는 점에서 조선시대 국가제사의 속제(俗祭)와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참성단 제사는 현재까지도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도교의례는 유교의 례에 비해 자료가 많거나 자세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으나, 이 연구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의례를 구현하는 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table setting of Taoist food and the historical context, focusing on the rituals of Chamseongdan[塹星壇], Mt. Mani. Although Taoism played a important role in the cultural tradition in Korea, there was a limitation that it did not receive attention in the field of ritual food, and this paper attempted to develop further research in this field. First, it was reviewed whether the food used in the rituals for Previous Country"s Founders[歷代始祖], Rituals for Stars[靈星], and Rituals for Mountain and Rivers[山川], which were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could be applied as a ritual food for Chamseongdan of Mt. Mani. As a result, Rituals for Previous Country"s Founders[歷代始祖] or Rituals for Stars[靈星] were not appropriate for comparison because they were Confucian rituals and were in a different context from Chamseongdan rituals. In addition, Mt. Mani seems to be included in the rituals for mountain and rivers[山川] in King Injo"s reign, but the alter of Rituals for Mountain and Rivers was in different were in different locations with Chamseongdan and Chamseongdan was different in that it was a place for the heaven-worship ritual. Therefore, the aspect of Taoism rituals should be considered rather than the above rituals. In Chinese Taoist rituals, food was prepared according to folk customs, and in national Taoist rites of Song Dynasty, vegetarian food was offered. These examples can give clues to restoring the ritual food of Chamseongdan.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tea[茶], soup [湯], alcohol (酒)’ were served in the Chamseongdan ritual, and the table setting was different from that of Confucian rituals. In this respect, there is a similarity to the national ancestral rites(俗祭)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can be applied to the restoration direction of the Chamseongdan ritual.

      • 층위의 엇갈림과 시선의 다양성- 의례 종목으로 살핀 시·도무형문화재 제도-

        홍태한 국립무형유산원 2018 무형유산 Vol.- No.5

        이 글에서는 의례 관련 종목을 중심으로 국가와 시·도 무형문화재의 양상을 살피고 여러 문제점을 제시한 후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국가무형문화재이건 시·도무형문화재이건 모두 소중한 우리의 문화자산이다. 문화 발전을 통해 문화 강국을 이루기 위해서라도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관리는 필요하다. 하지만 국가와 시·도에서 무형문화재를 바라보는 층위의 상이성만큼은 개선되어야 한다. 특히 기준이나 원칙 없이 명명된 무형문화재 종목 명칭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종목의 특성 및 전승 지역, 전승 집단의 특성이 드러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효율적인 관리 개선을 위해서 몇가지 지표를 설정하여 무형문화재 개별 종목의 특성을 파악하고, 성격이 같은 종목은 묶어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표 설정은 새롭게 원칙을 정할 것이 아니라, 현재 지정되어 있는 개별 종목의 실태를 바탕으로 한 귀납적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혼란이 적다. 아울러 국가와 시·도 무형문화재 통합이 이루어진다면 통합무형문화재 제도와 무형문화재자료 제도의이중적 운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기량이 부족하다 하여 기지정된 무형문화재 종목을 배척할 수는 없다. 모든 종목을 받아들여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서라도 효율적인 제도 운영이 필요하다. 문화재청은 전승자 중심의 무형문화재 정책에서 탈피하여 무형문화재 종목 중심의 정책을 펼칠 것을 예고한 바 있다. 앞으로 국가무형문화재는 전승자 개인 중심이 아니라 전승 종목과 전승 지역의 공동체에 초점을 맞추어 정책이 수립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시·도에서는 아직 이러한 인식이 없다. 인식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서 국가무형문화재 정책 담당부서와 시·도무형문화재 정책 담당부서의 유기적인 협조가 있어야 하지만 아직 원활하지 못하다. 따라서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무형문화재의 정체성을 찾고 통합을 위해서 대화와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한 때이다. 이 글에서 제시한 여러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대화와 협력이 있음을 전제로 한 것임을 거듭 밝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national as well as city/do intangiblecultural heritage with the items of rituals, discuss several problems they present, and suggesthow to integrate them. Both national and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re our preciouscultural heritage. To make our country a cultural power through cultural development, it isnecessary to pay keen attention to and manage the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heritage. Above all, the difference of strata to view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the nationallevel and on the city/do should be improved.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names of item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had typically been named with no criteria or principles. We should find ways to reveal thecharacteristics of items, regions where they have been transmitted, and also the characteristicsof transmitted groups. To improve their management more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deviseseveral indexe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item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and manage them through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o lessen confusionin establishing the indexes, we should not come up with new principles but adopt an inductivemethod based on the actual status of individual items currently designated. Furthermore, onc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integrated with city/do intangiblecultural heritage we need to operate a dual system of an integrated system for intangiblecultural heritage, and a system for materials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should notexclude the item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ready designated due to lack of capacity. To accept all the items, and find new ways requires an efficient system operation. The CulturalHeritage Administration has announced that it will implement a policy centering around theitem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not centered around the transmitter. From nowon, it seems that the policy for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ll be made by focusing not on the transmitter, but on the items being transmitted and the community of the regionwhere they have been transmitted. But there is no such awareness yet in the city/do level. Tonarrow the gap in recognition, the divisions in charge of policy for national intangible culturalheritage and for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uld cooperate organically, which is notthe case currently. Therefore, now is the time to find the identity of both national and city/do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seek conversation and cooperation for the sake of integration. This author repeatedly tells you that several problems and sdutions presented in this thesis takeconversation and cooperation as preconditions

      • KCI등재

        한국 국립묘지의 전사자 제사에 관한 일고찰

        지영임(Chi Young-im) 비교민속학회 2004 비교민속학 Vol.0 No.27

        This paper takes up the national ritual conducted at the Korean National Cemetery as one ritual conducted for war-dead and attempts to analyse the multiplicity of such rituals, as never before done in previous research. The purpose is to compare rituals conducted at the National Cemetery for the dead and those for the bereaved and make clear the difference in meaning and parallels of rituals conducted between the nation and the bereave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Korean spiritual viewpoint, it is believed that war-dead tend to be unmarried and not only can unmarried souls not receive rituals conducted for the dead, but they can also bring disease and curses into family and relatives. These kinds of spirits, called wonhon in Korea, can have rites conducted for them as ancestors once a wedding has been conducted for the dead souls of unmarried men and women. However, the state calls wonhon like this hero spirits and has them buried in the National Cemetery and makes heroes out of them. That is to say that a farwell burial ritual is conducted for war-dead at the national leaderships Military and Police Joint Funeral, and at the June 6th Hyonchunil Commemoration Ceremony and it is said that they died a valuable death on the anticommunist war front. Conversely, in the rituals of the bereaved for war-dead one can see a side different from Confucian ancestor rituals. For example, as the anniversary of when the war-dead died is not accurate, the date on which the notice of birth and war-death was received is remembered on September 9th of the Lunar Calendar, that is to say Hyonchunil. Also the person is buried not in an individual grave but in the National Cemetery and oblations are offered in front of the grave and a Buddhist memorial tablet and a ritual is conduced. In this way the reason why the ritual for the dead among the bereaved is different from Confucian ancestral rituals is because the war-dead died violently and has no descendants to conduct rituals for them, and so the bereaved add together the generations and place fear that multiple wonhon will appear on the National Cemetery. In the above way, for the state the ritual for the war-dead has the advantage of strengthening the consolation for the war-dead and also anticommunist ideology, and it makes the death of the war-dead not a meaningless but rather a glorious one. However, one can also interpret this to mean that for the bereaved the ritual for the war-dead has continuity with ritual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mindset for the dead, and for the bereaved the faa that war-dead are wonhon does not change, and therefore they are commemorated as heroic spirits at the National Cemetery.

      • KCI등재

        조선시대 국가제사 음식의 정(正)ㆍ속(俗) 이분구조와 정제(正祭) 음식의 성격

        김해인 한국역사민속학회 2023 역사민속학 Vol.- No.65

        조선시대에 국가적으로 실행된 제사는 크게 공적인 영역에 가까운 정제(正祭)와 왕실의 사적인 측면이 강한 속제(俗祭)로 나눌 수 있다. 정제는 경전의 형식에 근거한 정법(正法)의 대ㆍ중ㆍ소사(大祀ㆍ中祀ㆍ小祀) 체계이고, 속제는 왕실 조상의 사당과 무덤에 대한 제사이다. 정제와 속제는 진설하는 음식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여기에는 제사 대상인 신의 성격 차이가 반영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정제의 대상을 ‘국가기반신’, 속제의 대상은 ‘왕실조상신’으로 성격을 구분하였다. 신의 성격에 따른 국가제사 음식의 이분화 문제를 살펴보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음식의 측면에 주목하였다. 특히 정제 음식의 체계와 성격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정제는 조선시대 국가제사의 중심을 이루기에 그 의미가 크다. 선행연구에서 정제 음식의 종류와 구성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으나 각 음식의 형태에 대해 잘못 설명된 부분이나 모호한 부분 있어 다시 한번 명확히 정리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제는 중국의 제사 체계를 받아들인 제사이므로 중국에서 정제 음식이 어떻게 변화되며 형성되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정제 음식의 성격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Rituals performed nationally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the ‘State-based Ritual(Jeongje, 正祭)’, which is a ritual for various gods related to the state and close to the public realm, and ‘Royal-Based Ritual(Sokje, 俗祭)’, which is a ritual for royal ancestor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rituals also lead to differences in the food served in each ceremony. The food in the State-based Ritual follows ancient Chinese traditions, while the food in the Royal-based Ritual follows the tradition of Joseon.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food for State-based Ritual. In addition, since State-based Ritual adopted the Chinese ritual system, this paper investigated the history of how those food was changed and formed in China.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ep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tate-based Ritual in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조선시대 軍禮 연구의 현황과 과제

        윤혜민 ( Yun Hye-min )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100 No.0

        During the Joseon Dynasty, national rituals consisted of Orye(五禮). It was Gilrye(吉禮), Garye(嘉禮), Binrye(賓禮), Gunrye(軍禮) and Hyungrye(凶禮). In Joseon, through national rituals, the king’s status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royal authority were symbolically embodied. Among the Orye, the item that clearly shows the king’s ruling ritual was Gunrye. Gunrye visually showed that the king had the highest command of the military, along with the effect of establishing military discipline and strengthening military power, and emphasized the absolute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of the king. As interest in Joseon’s national rituals increases, various research results are accumulating, but the research on Gunrye are still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achievements of Joseon’s Gunrye research and presented the directions for future Gunrye research and tasks to be promoted based on this. The research results of Gunrye were reviewed by dividing them into ‘Study on Gunrye of the National Ritual Book’ and ‘Study by Detailed Topics of Gunrye’. In ‘Study on Gunrye of the National Ritual Book’, focused on the studies that analyzed the items of the Gunrye included in the national ritual book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Orye of Sejong-Chronicle(世宗實錄), Gukjo-oryŭi(國朝五禮儀), Gukjo-Sokoryeŭi(國朝續五禮儀) etc. In ‘Study by Detailed Topics of Gunrye’, the research results were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Saŭi(射儀), Daeyeolŭi(大閱儀)-Gangmuŭi(講武儀), and Seonropoŭi (宣露布儀)-Hunkwekŭi(獻馘儀)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status. Based on the previously conducted Gunrye studies, future research tasks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a comparative historical study on the origin of the Gunrye should be supplemented. In addition, a thorough analysis of the Gunrye items of the National Ritual Book is also required. In particular, the work of analyzing the main contents of individual items of the Gunrye is judged to be a part that should be particularly activated in the futu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e aware of in the Gunrye study is that military training and military ritual should be described separately. Accordingly, a study that reveals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rituals alone by separating military training and military rituals and a study that organically examines the changing patter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two sides should also be conducted. In addition, research on linkage between Orye and institutional history and financial history through Gunrye and interdisciplinary linkage stud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music, art, and clothing should be sought.

      • KCI등재

        상좌 불교의 의례

        오애영,강택구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문화 Vol.0 No.31

        It is said that the South-east Asia’s early centralized monarchies were established by the religious momentums provided by the Theravadas Sangha(僧伽). We can see the process of centralizing procedures by analyzing the Rituals of Sanghas. Rituals are regarded as a principle of reciprocity(互酬性) by the anthropologists. Between the Kings and the Sanghas, when they had succeeded to seek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showing the Rituals(儀禮) which both the King and Sangha participate in to the people of the nations, they expect that the people who want Buddha’s reliefs would support the Kings and Sanghas. It provides the reason why the Buddhist Rituals are so popular in South-asia even nowadays.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시각의 제시를 시도하였다. 그것은 ‘의례의 관점’이다. 문화·사회인류학에서는 특히 사회의 구조 분석에 ‘의례’의 관점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레비스트로스, 『친족의 기본구조』 Les strucltures elementaires de la parente, Paris: PUF, 1949). 그러나 한국학계에서는 어떤 ‘의례’가 있다는 소개는 있지만 ‘의례’로 사회 및 문화를 구조주의적으로 분석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제1장에서는 상좌 불교와 불교국가의 관계에 대하여, 제1절 ‘공덕 공유’의 교리가 크게 작용하였음을 밝혔으며, 제2절 왕권과 상좌 불교의 결합에서는 상좌와 민중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왕권과 결합하는 논리적 과정을 고찰하였다. 제2장 상좌 불교신앙의 의례화에서는 제1절 타이 전통 불교국가의 불교의례를 고찰하였으며, 제2절에는 현대 타이에서 남성이 단기간 사회의 관습적인 의무감으로 삭발 출가하여 사원에 들어가 비구의 수행을 따라하는 ‘부엇낙’의례가 성행하고 있는 과정을 전형적인 ‘통과의례’로 분석한 연구를 소개하였다. 결론적으로 상좌 불교는 동남아시아 대륙부에 집권적인 국가를 성립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 상좌 불교의 실천 불교적 특징은 불교의례를 통해서 잘 나타난다. 의례가 원칙적인 사회질서의 원리라는 문화인류학의 관점은 타이 불교의례 분석에 잘 적용된다. 타이의 불교의례는 전형적인 의례의 장이었다. 왕과 민중이 의례에 동참하여 신앙의 반대급부인 복록을 재분배하는 것이었다. 앞으로 ‘의례의 관점’이 적용될 수 있는 연구 테마를 적극 개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