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CS 중심 교육과정 도입에 관한 상업정보 교사들의 인식

        이광호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6

        이 연구의 목적은 NCS 중심 교육과정의 도입에 대해 상업정보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 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업정보 교사들의 NCS에 대한 이해 수준(5점 척도에서 1.68점)과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수준(5 점 척도에서 1.48점)은 매우 낮았다. 둘째, 상업정보 교사들은 NCS 중심 교육과정 도입이 상업정보교육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5 점 척도에서 4.60점). 이런 경향은 대체로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들에게서 더욱 두드러졌다. 셋째, 상업정보 교사들은 NCS 기반 교육과정이 도입될 경우, 교재 개발 능력, 직무 분석 능력, 교육과정 설계능력, 실무영역 평가 능력 등의 순으로 중요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론지도 능력과 지적영 역 평가능력의 중요도는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실무지도 능력은 현재에도, 그리고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 이후에도 중요한 능력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상업정보 교사들은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능력 중에서, 이론지도 능력과 지적영역 평가능력은 보통 이상, 직무분석 능력, 실무지도 능력, 실무영역 평가능력은 보통 이하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 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상업정보 교사를 대상으로 한 NCS 및 NCS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 수를 강화해야 하고, 실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수업방식을 개선해야 하며, 산업체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직무분석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introduction of NCS ba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NCS and NCS based curriculum is very low.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NCS is 1.67 and that of NCS based curriculum is 1.48 in 5 point Lickert scale respectively. Second, most of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think that the introduction of NCS based curriculum into commercial high school will affect business education very much (4.60 in 5 point Lickert scale). This trend is more prominent to teachers with more teaching career. Third, after introduction of NCS based curriculum into commercial high school, the following abilities will be increasing in importance. - subject development ability, job analysis ability, curriculum design ability, executive domain evaluation abilityKnowledge based teaching ability and cognitive domain evaluation ability will not be increasing in importance. Executive domain evaluation ability is important now and will be important after introduction of NCS based curriculum into commercial high school. Forth,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think that their own ability is above the average in relation to knowledge based teaching ability and cognitive domain evaluation ability. And they think that their own ability is below the average in relation to the teaching and evaluation ability of executive doma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training which raise the level of the understanding for the concept of NCS and NCS based curriculum. And the instruction method should be changed toward competence based instruction. After introduction of NCS based curriculum into commercial high school, every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should get the ability of job analysis.

      • KCI등재

        해외 우수사례를 통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산학협력모델에 관한 연구

        김경희(Kyung-He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8

        ‘NCS 기반 교육과정’의 목적은, 국가와 산업계가 주도하여 개발·인증·고시한 NCS를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교육생들이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목적달성을 위해 교육기관은, 급변하는 산업현장에 적응할 수 있고 산업체의 요구에 부합된 직무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결하여야 한다. 고등교육법 제47조는 전문대학의 존립목적을 설명하고 있고, 이는 산업발전이 국가사회발전과 관련되어 있음을 고려 할 때, ‘NCS 기반 교육과정’의 목적과 동일하다. 이러한 전문대학의 교육목표와 ‘NCS 기반 교육과정’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산업체와 대학의 효율적이고도 긴밀한 협력구조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우리나라 전문대학들의 산학협력모 델을 분석하고, ‘NCS 기반 교육과정’의 목적에 부합하는 모델을 찾음과 동시에, 해외 우수대학의 뛰어난 산학협력모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대학과 ‘NCS 기반 교육과정’에 적합한 ‘NCS 기반 산학협력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프로세스와 가이 드라인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NCS 기반 산학협력모델’은, ‘'NCS 기반 교육과정’이 효율적으로 산업현장에 부합 되도록 함과 동시에, 대학과 산업체가 효과적인 협력구조를 가지고 각자의 목표를 추구하도록 돕는다. 'NCS 기반 산학협력모 델'은, 대학의 취업률 향상과 산업체의 우수인력확보를 가능하도록 하며, 효율적 대학교육과 우수인력양성을 통한 국내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NCS-based curriculum is to prepare students for practical competencies to perform tasks demanded by industries by applying nationally and industrially developed and certified NCS to the currently held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is academic goal, education institutions must dedicate their utmost efforts to train trainees to attain flexibility in rapidly changing industry environments and competitiveness to perform the various tasks demanded by industries. The 47th article of the Higher Education Law explains that the purpose of the College corresponds with that of the NCS-based curriculum because the contribution of na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n industry. The college purpose and the NCS-based curriculum require close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industries and colleges. This thesis analyzes cases of industry and college cooperation, researches adequate cases that suit the purpose of the NCS-based curriculum and proposes an appropriate industrial-education cooperation model that suits college and NCS-based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ooperation model held by highly acknowledged universities oversea.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a process and guideline to establish the industrial-education cooperation model. The industrial-education cooperation model proposed herein not only practically aligns the NCS-based curriculum to fit the industry environments, but also supports each party in pursuing and achieving its goals through an effective cooperative structure. The NCS-based industrial education model is anticipated to improve colleges' employment rates, allow industries' procurement of brilliant human resource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omestic industries through effective college education and training competent professionals for society.

      • KCI등재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발 능력 요소에 대한 기계·금속계열 교원의 교육 요구 변화 연구

        이병욱,이상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3

        This study analyzed educational requests of mechanical·metal fields for development of NCS based high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so as to diagnose changes of educational requests by change of preparing time for applying educational requests and curriculums of the school field for NCS-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grasp actual educational requests of the school field for NCS-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training operation. The conclusions drawn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that teachers of mechanical·metal fields recognize for NCS-based high school vocational curriculums was high, but the ability to apply them was somewhat low, so it's necessary to educate continuously for improvement in the ability. Second, the necessity and application for NCS-based high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were reduced in 2016, in comparison with 2015, because it means that improved training should be continuously operated so as to reflect actual and realistic difficulties felt by teachers. Third, 'analyses on NCS-related industry's educational requests' of an educational request analysis area and 'setting of educational goal for training job-centered manpower cultivation suggested by NCS' of an educational goal setting area are continuously high educational requests. When a teacher educational program for NCS-applied high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is developed in the future, the weight of those fields must be highly reflected. And, materials for supporting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so as to support cultivation of teachers' capabilities continuously. 이 연구는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의 개발 영역에 대한 기계·금속계열 교원의 교육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학교현장의 교육 요구와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준비시간 변화에 따른 교육 요구 변화를 진단하여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연수 운영을 위한 학교 현장의 실제적 교육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부가 2015년도와 2016년도에 주최한 NCS 기반 교육과정 핵심역량강화 연수를 이수한 교원 중에서 기계·금속계열에 해당하는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Borich의 교육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Model 기법을 활용하여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발 영역에 대해 기계·금속계열 교원이 인식하는 필요성 정도는 높으나 능력 정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능력향상 연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의 개발 영역에 대한 필요성 정도와 능력 정도의 차이는 2015년에 비해 2016년이 소폭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여 교사가 느끼는 실제적이고도 현실적인 어려움이 반영될 수 있도록 개선된 연수를 지속적으로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 요구 분석 영역의 ‘NCS와 연계된 산업체 교육 요구 분석하기’와 교육 목표 설정 영역의 ‘NCS에서 제시된 직무 중심의 인력양성 목표로 교육 목표 설정하기’는 지속적으로 교육요구도가 높은 영역으로 추후 NCS를 활용한 고교 직업교육과정의 개발 영역에 대한 교원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이러한 영역의 비중을 높게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자료를 개발·제공하여 교사의 역량을 키워줄 수 있도록 꾸준한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및 교육요구도

        이찬주 대한공업교육학회 201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possession of competence to organize and operate NCS-based curriculum among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eir educational needs and demands. To this end, the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he draft of questionnair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element of competence to organize and operate NCS-based curriculums, and was modified, supplemented through review of four experts in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online) among total 71 vocational high schools located at Gyeonggi-do and collecting 433 questionnaires and then analyzing 34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ole average of the extent of possession of competence to organize and operate NCS-based curriculums was 3.63. Seen by the average of each area, 'analysis of needs and environment' was 3.59, curriculum organization 3.54, its operation 3.74 and its assessment and feedback 3.57. Second, educational needs for competence to organize and operate NCS-based curriculums of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was 1.47.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보유도와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사 도구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요인을 바탕으로 초안을 개발하여, 직업교육 분야 전문가 4명의 검토를 통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다. 설문 조사는 경기도 특성화고 전체 71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지(온라인)를 배부하여 433부를 회수하고 340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보유도 전체 평균은 3.63이다. 영역별 역량 보유도 평균은 ‘요구 및 환경 분석’ 3.59, ‘교육과정 편성’ 3.54, ‘교육과정 운영' 3.74, ‘교육과정 평가 및 피드백’ 3.57이다. 둘째,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보유도는 3.63, 중요도 4.00이고 교육요구도는 1.47이다.

      • KCI등재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전문교과 교사의 경력별 역량기반 연수 프로그램 개발

        김연경,송해덕,전미연,신안치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2

        최근 직업교육의 질적 향상과 발전을 위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에 산업현장 맞춤형 교육을 목표로 NCS 기반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교육현장에서 중등단계의 직업교육을 직접 수행하고 있는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을 확인하여 역량기반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주요 내용들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지원체제들을 함께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의 전문교과 교사 역량을 분석·종합하였다. 분석 종합된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에 대한 타당화 검증을 위해 교육학 전문가 4인과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 6인에게 전문가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수정·보완된 역량을 교육의 필요성과 역량의 중요성으로 나누어 설문을 만든 후,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조사 조사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을 도출한 후 도출된 역량을 바탕으로 연수 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연수 프로그램에 따른 교육형태, 교육방법, 평가방법에 대한 문항을 함께 포함하여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끝으로 2차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교사와 경력교사로 구분하여 최종 10개의 전문교과 교사 대상의 역량기반 연수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NCS 기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에 따라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사 대상의 역량기반 연수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일선 교육연수기관에서 실제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NCS-based curriculum is being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Meister high school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Vocational teachers’ competencies are essential in implementing NCS-based curriculum because they are performing vocational education in educational practic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ramework of competency-based vocational teachers’ training program that is essential in implementing NCS-ba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first, vocational teachers’ competencie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Second, summarized competencies were reviewed and validated by four Ph.Ds majoring in education and six high school teache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 of NCS-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Third, the first round of survey was conducted with 25 high school teachers for the determining necessary and important competencies. Fourth, based on the findings from survey results, high priority competencies were used in developing initial vocational teachers’ training program contents. The second round of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validation of the initial program contents. In addition, preferred educational types and methods, evaluation methods were examined. Lastly, the final NCS-based vocational teachers’ training program was identified and the program has two versions according to the teach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actical resources for those who want to develop competency-bas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NCS-based curriculum.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의한 방송 CG 교육과정 연구

        이민아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9 영상기술연구 Vol.- No.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NCS for curriculum design for training CG production personnel in the department of broadcasting production of 4 year university. To this end, we analyzed several categories of CG capability units presented by NCS. Based on the techniques performed by the CG personnel presented in the analysis results, the broadcasting CG work capability unit learning module was composed of '2D graphic production', '3D graphic production', 'motion graphic production', 'image compositing', 'digital mastering' and 'broadcast computer graphic design'. The curriculum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clude the CG major curriculum in the broadcasting related production curriculum. One or two subjects are organized in each semester to form a curriculum system, and additional courses must be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field where the industry can be directly experienced. The biggest problem that emerged from constructing the curriculum in this study was the incompleteness of the NCS standard.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smooth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rapidly changing broadcasting production environment, the overall NCS system of the CG field should be reviewed. If NCS-based curriculum is to be adopted in the four-year university to be used for education to solve mismatches of industry and university staff, empirical studies on actual cases of applying the improved NCS-based broadcasting content curriculum should be conducted. NCS 기반 교육과정은 실행에 초점을 맞추어 직무 중심의 직업지향, 고용 중심의 교육체계를 가진다(김종표 등, 2016김종표ㆍ이복희ㆍ이영희ㆍ홍성욱(2016), NCS기반 교수법, 서울: 양서원. ). 이는 산업현장의 변화에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반응할 수 있고, 교육훈련기관들의 능력단위가 동일하기 때문에 교육, 산업현장, 자격의 연계까지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방송제작 관련 학과들에서 CG 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함에 있어 NCS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CG 분야는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방송, 광고 제작 거의 모든 분야에 사용되기 때문에 타 분야와의 연계성이 높으며 최근의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방송제작 관련 교육 과정에서 그동안 CG 분야는 중요한 위치에 있지 않았다. 기획, 연출, 촬영, 편집 분야 대비 외곽에 위치한 분야이다. 때문에 방송제작 관련 학과에서 이루어지는 CG 분야의 교육 과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연구의 구성은 먼저, NCS의 개념 및 구성에 대한 문헌을 정리하고 기존 NCS에서 제시한 직무를 분석한다. 분석한 직무별 공통능력을 바탕으로 방송관련 대학의 방송 CG 인력 분야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자 한다.

      • KCI등재

        NCS 기반 교양회계 교과목 개발에 대한 연구

        백상미 한국상업교육학회 2018 상업교육연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CS-based accounting as a liberal arts course on NCS focusing on P university of 4 - year universities. In order to develop accounting based on NCS,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accounting courses in liberal arts curriculum of 4 - year universities and suggested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liberal arts education using NCS module. The NCS-based curriculum that has been applied to existing colleges has been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NCS, which is to nurture vocational specialists, and has been modifi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in each community college. In the case of 4 - year universitie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existing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university in operating the NCS - based curriculum. In the case of four-year universities, it seems that operating the curriculum to strengthen the job competence for students' employment does not meet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four-year college. Therefore, the NCS course can be applied by concentrating on the practical competence among the core competencies for the training of talented students at each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s core competencies of P University for the development of NCS - based courses suitable for 4 - year universities and develops accounting course based on NCS in the PTU curriculum area to strengthen the core competency. This course is developed based on accounting theory and practice using NCS learning module and designed to improve learning quality by using flipping learning and reflection journal in teaching method.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process to strengthen practical capacity by linking accounting courses as general education and accounting courses as major education.

      • KCI등재

        직업계고 교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연구

        안재영,이찬주 한국직업교육학회 2018 職業 敎育 硏究 Vol.37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tudy out competencies of teacher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of NCS based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mpetencies of teacher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of NCS based curriculum are composed of the following 4 areas, 11 competencies and 35 sub-competencies. ‘Needs and learning environment analysis(area 1)’ is composed of 2 competencies of ‘analyzing needs’, ‘analyzing learning environment’, and their 7 sub-competencies. ‘Curriculum organization(area 2)’ is composed of 4 competencies of ‘organizing and operating curriculum committee’, ‘setting educational goals and workforce type’, ‘analyzing and selecting NCS competency units・learning modules’, ‘developing subjects’, and their 10 sub-competencies. ‘Curriculum operation(area 3)’ is composed of 3 competencies of ‘prepar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mplemen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evalua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their 15 sub-competencies. ‘Curriculum evaluation and feedback(area 4)’ is composed of 2 competencies of ‘evaluating curriculum’, ‘giving feedback on the curriculum’, and their 3 sub-competencies. Secondly,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mpetencies is as follows; ‘implemen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has the highest relative importance of 19.6%, followed by ‘evalua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14.2%), ‘evaluating curriculum’(12.5%), ‘giving feedback on the curriculum’(11.2%), ‘prepar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9.2%), ‘developing subjects’(8.6%), ‘analyzing and selecting NCS competency units・learning modules’(7.5%), ‘setting educational goals and workforce type’(6.6%), ‘analyzing learning environment’(5.4%), ‘analyzing needs’(3.9%),‘organizing and operating curriculum committee’(1.5%). 이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데 교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구명하고 이 역량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직업계고에서의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은 4개의 대영역, 11개의 중영역, 35개의 요소로 구명되었다. 요구 및 환경 분석(대영역 1)은 2개의 중영역인 요구 분석, 학습 환경 분석으로, 교육과정 편성(대영역 2)은 4개의 중영역인 교육과정 협의회 조직 및 운영, 교육목표 및 인력양성 유형 설정, NCS 능력단위 및 학습모듈의 분석・선정, 교과목 편성및 교육내용 결정으로, 교육과정 운영(대영역 3)은 3개의 중영역인 교수・학습 준비, 교수・학습 실행, 교수・학습 평가로, 교육과정 평가 및 피드백(대영역 4)은 2개의 중영역인 교육과정 평가, 교육과정 피드백으로 구성된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는 교수・학습 실행(19.6%), 교수・학습 평가(14.2%), 교육과정 평가(12.5%), 교육과정 피드백(11.2%), 교수・학습 준비(9.2%), 교과목 편성 및 교육내용 결정(8.6%), NCS 능력단위 및 학습모듈의 분석・선정(7.5%), 교육목표 및 인력양성유형 설정(6.6%), 학습 환경 분석(5.4%), 요구 분석(3.9%), 교육과정 협의회 조직 및 운영(1.5%)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4년제 대학교육 도입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백종면,박양근 한국취업진로학회 2012 취업진로연구 Vol.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에서 교육의 현장적합성을 제고하는 수단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epency Standard)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적용 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 저 문헌조사를 통해 NCS의 우리나라 도입 배경과 개념 그리고 개발 현황과 시범운영 결과를 파악하였 다. 그 다음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정책담당자 및 정부출연기관의 전문가, 대학 교수 등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도입 또는 활용하는데 있어서 의 제약요인을 파악하고 그 해소 방안을 도출하였다. 4년제 대학에서 NCS기반 교육과정의 개발·활용을 제약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먼저, 학문의 지식 과 이론체계, 지식방법론 등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문 지향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현장의 실무 직무능력의 표준화를 통해 현장기술인력이나 중견기술인력 양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NCS기반 교육 과정은 고급인력을 양성하는 4년제 대학 교육과정에는 그 적용이 적절하지 않다고 보기 때문이다. 두 번째 요인은 NCS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을 위해서는 기존 교육과정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와 교육과정 개편이 불가피한데 이로 인한 전공 불일치 해소와 교수인력의 충원, 교재개발, 전공 관련 시설 및 설비 의 확보 등이 현실적 제약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제약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4년제 대학에서의 NCS기반 교육과정이 기존 교 육과정이나 인증시스템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하며, 둘째, 4년 제 대학의 경우에는 전문대학 등 직업교육기관과는 달리 NCS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구조적, 의식적으로 어려우므로 지금처럼 소수의 과정을 NCS기반 교육과정으로 시범 개발하고 시범 적용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되며 보다 적극적인 유인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and suggest the ways of applying it as a means of promoting the field-suitability of education at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do thi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background, concepts and status of the NCS were identified together with the pilot operating results. Then the interviews of policy-makers, experts and professor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onstraints in utilizing the NCS and the ways to resolve them were derived as follows. Two constraints are identified through the interviews. One is the academic nature of universities which is oriented for academic knowledge, theoretical system, methodology and so on. The NCS-based curriculum, whose main purpose is to cultivate field-workforce and middle-level technicians, is considered inappropriate for the universities. The other one comes from a realistic reason that the introduction of NCS-based curriculum inevitably results in full-scale review of existing curriculum and financial burdens. To overcome these constraints, two way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First, the NCS-based curriculum needs to be applied from the viewpoint of complementing rather than replacing the existing curriculum or certification system. Second, unlike the voc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college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t is difficult to expect sincere concern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for the NCS-based curriculum. For this reason, the active involvement and supports at the national level are required more than the pilot-development of NCS-based curriculum.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전문대학 교수의 역량 탐색

        송해덕,신선애,이지현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4

        The political endeavors of the Korean government toward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as a movement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based curriculum. Junior colleges, one of the main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e scheme. However,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in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the NCS-based curriculum is the role of faculty members. Therefore, it is an urgent issue to equip the faculties with required competenc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raw competencies of faculty members at junior colleges to introduce and implement the NCS-based curriculum. A set of competency was deductively derived from a total of nine professors and consultants with more than ten-year experiences and has been involved in developing the NCS-based curriculum. Questions from the behavioral event interview (BEI) method were selectively adopted for the interviews with the nine experts.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into different competencies, which then were taxonomically analyzed, and contextually interpreted. This process was recursively repeated and resulted in a final list of competencies. Results showed that the competencies required professors at junior colleges for the NCS-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areas: Macro-level curriculum development; micro-level course design; knowledge across areas; and attitude across areas. The sub-competencies of former two areas may be procedurally arranged. A total of 25 sub-competencies constitute a set of resulting competencies. Comparisons between competencies suggest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and the ones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Further research and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were recommended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developing competencies of junior college faculties who ultimately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mpetency-based vocational education.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국가정책적 노력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 움직임으로 실행되고 있고, 이를 위한 주요 직업훈련기관인 전문대학들은 점점 NCS 기반 교육과정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NCS가 전문대학 교육현장에 효과적으로 도입되고 정착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교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필요한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인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도입하고 운영하기 위해 전문대학 교수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탐색적으로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문대학에서 NCS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경력 10년 이상의 교수 및 컨설턴트 9인을 대상으로 연역적으로 역량을 도출하는 방법을 취했으며 이 때, 면담 질문은 행동사건면담법에서 제안하는 질문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면담자료는 전체 역량 항목을 추출하여 기술한 뒤, 분류체계분석과정, 맥락적 해석의 과정을 순환적으로 반복하여 최종 역량 목록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을 위해 전문대학 교수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거시적 교육과정 개편 역량과 미시적 수업설계 역량, 공통지식, 공통태도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각 영역의 역량군은 ‘설계 및 개발’, ‘실행 및 운영’, ‘평가’의 순차적 단계에 따라 절차화 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역량군을 구성하는 총 25개의 세부역량이 도출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일반적인 전문대 교수 역량과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역량을 비교하여 논의하였으며, 탐색적 성격의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기 위한 후속 연구 및 행정적, 제도적 지원책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가 전문대 교수들의 역량 개발에 활용되어 궁극적으로 전문대 학생들을 위한 역량기반 직업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