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NCS 학습모듈 활용 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강철민(Chol-Min Kang),이병욱(Byung-Wook Lee)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4

        이 연구는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인식을 통하여 NCS 학습모듈 활용에 필요한 능력 수준과 현재 능력수준,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요구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원의 NCS 학습모듈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지원 방향 마련과 관련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들은 NCS 학습모듈 활용 능력에 대한 필요 능력 수준을 전체 평균 4.17로 높게 인식하였으며, 영역별로는 ‘분석영역’ 4.13, ‘설계영역’ 4.18, ‘개발영역’ 4.10, ‘실행영역’ 4.23, ‘평가영역’ 4.22로 인식하였다. 이에 비하여 NCS 학습모듈 활용에 대한 현재의 능력 수준은 전체 평균 3.58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영역별로는 ‘분석영역’ 3.50, ‘설계영역’ 3.57, ‘개발영역’ 3.46, ‘실행영역’ 3.63, ‘평가영역’ 3.67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들은 NCS 학습모듈 활용 능력의 현재 능력 수준을 필요 능력 수준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NCS 학습모듈 활용 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관련 산업체의 현황 및 요구(인력 수요, 고용 동향, 기술 변화 등)에 적합한 NCS 학습모듈 조사·선정 능력(A1), 학과 인력양성 유형에 적합한 NCS 학습모듈 조사·선정 능력(A2), 학습자의 요구 및 학습 수준(사전 학습 여부, 자기 주도 학습 능력 등)에 적합한 NCS 학습모듈 조사·선정 능력(A3), 관련 산업체 및 학습자의 요구와 학습 환경 분석 결과를 반영한 NCS 학습모듈 활용 수업 설계 능력(B1), NCS 학습모듈에 필요한 학습 환경 요소(인적/물적 자원 등)를 조합한 수업 설계 능력(B2), 학습자가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모듈 학습(자기 주도적 학습, 완전 학습, 개별 학습) 가능 수업 설계 능력(B8), 학습자의 NCS 학습모듈 학습 과정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유도 능력(D2), NCS 학습모듈을 활용하기 위한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능력(D3), NCS 학습모듈에 제시된 실험 실습 장비 운용 및 지도 능력(D6), NCS 학습모듈 학습 효과 향상을 위한 적절한 교수·학습 자료 및 장비 활용 능력(D7), NCS 학습모듈 활용 학습 결과의 후속 수업 반영 능력(E6)의 순으로 나타났다. Through the understanding the teachers perceptions in the technical-vocational high school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level of ability required to Use NCS learning modules and the current level of ability to Use NCS learning modules and the abilities that teachers desire to learn 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will be provid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direction for support of Improvement the Ability to Use NCS Learning Modules an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relevant training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ptions in the technical-vocational high schools of the level of ability required to utilize NCS learning modules high average of 4.17 overall mean, by area the average in each category was in the range from 3.46 to 3.67 in the following order: Application(4.23), Evaluation(4.22), Planning(4.18), Analysis(4.13), Development(4.10). by comparison,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current level of the NCS learning modules are 3.58 overall mean, by area the average in each category was in the range from 3.46 to 3.67 in the following order: Evaluation(3.67), Application(3.63), Planning(3.57), Analysis(3.50), Development(3.46). Therefore, The current level of ability to Use NCS learning modules was perceive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level of ability required to Use NCS learning modules. Second, the most desired areas to learn more regarding the ability to utilize the NCS learning module for the teachers are as follows: the ability (A1) to research and select the suitable NCS for the relevant industries current states and needs (e.g., worker quota, hiring trend, and changes of technologies, etc.); the ability (A2) to research and select the suitable NCS for each major; the ability (A3) to research and select the suitable NCS that meets students needs and capacity (e.g., pre-studied students, and the ability to carry on self-directed learning, etc.); the ability (B1) to design classes that incorporate the NC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relevant industries and students as well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ability (B2) to design the classes that incorporate the components of learning environments(e.g., human/material resources) overall; the ability(B8) to design classes that make possible for the students to learn by a module learning (e.g., self-directed learning, mastery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which utilize the NCS; the ability (D2) to motivate students to learn under the NCS; the ability (D3) to encourag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NCS; the ability(D6) to use and teach its usage of the equipments for experiment/practice suggested by NCS; the ability (D7)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of the NCS by utilizing adequate resouces and equipments in teaching-learning; the ability (E6) to appropriately apply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results from the classes that utilized NCS learning to future classes.

      • KCI등재

        M. Lipsky일선관료제이론에 근거한 전문교과교사의 NCS학습모듈 대응기제 분석

        송승준(Song Seung-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단위학교 일선교사들이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국가직무능력표준)학습모듈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겪게 되는 반응과 이에 따른 대응기제를 Lipsky의 일선관료제이론으로 분석한 것이다.방법 NCS학습모듈 대응 설문 조사(단위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NCS 학습모듈 편성운영 및 현황실태와 대응 조사), NCS학습모듈 대응 심층 면담과 코딩하기(Lipsky의 일선관료이론으로 NCS학습모듈 편성운영과 대응 취합 및 분석), NCS학습모듈 대응기제 분석(NCS학습모듈 정책집행방향 제안) 등의 순서로 진행 되었다.결과 첫째, 정책결정과 정책집행은 그 성질 면에서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책결정기관과 정책집행기관인 단위학교나 일선교사 상호간에는 지금보다 개방적이고 순환성을 가질 수 있는 NCS학습모듈을 운영해야 한다. 둘째, Lipsky의 일선관료제이론이 본 연구에서 재정의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Lipsky는 역할재정의(changing role expectations)에서 일선교사(관료)들은 정작 요구되는 일은 회피하고 자신들이 원하는 역할만 수행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본 연구조사에서 일선교사들은 NCS학습모듈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있어 회피나 역할기피로 반응하고 대응하는 것이 아니었다. Lipsky의 역할재정의와는 다르게 NCS학습모듈 적응 메커니즘을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일선교사들은 교육과정의 재량권으로 정책집행의 순응을 지향하고 있었다. 그 순응의 방법은 재량권에 의한 단순화와 정형화라고 분석 된다. Lipsky가 일선관료제이론에서 일선교사(관료)의 직무수행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본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선교사들은 재량권을 통하여 NCS학습모듈의 부족한 부분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었다.결론 본 연구는 NCS학습모듈을 운영하고 있는 단위학교 일선교사를 연구대상으로 Lipsky의 일선집행관료제이론을 통한 반응과 대응기제를 분석했다. 연구과정에서 Lipsky의 일선관료제이론과 일선교사들의 정책집행에서 분석된 반응이 재정의된 경우도 있었다. 왜 이러한 대응기제가 나타나는지는 후속연구를 통하여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가 일선교사(관료)의 NCS학습모듈 정책집행과정을 연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reactions experienced by school teachers in unit school while operating the curriculum with the learning module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nd the incidental response mechanism with Lipsky s Street-level Bureaucrac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1) the NCS learning module response survey (organization and operation, current status, and response survey of unit school vocational subject teacher s NCS learning module), 2) in-depth interview and coding for NCS learning module (organization, operation, and response collection and analysis of NCS learning module with Lipsky s Street-level Bureaucracy), and 3) analysis of NCS learning module response mechanism (NCS learning module policy implementation direction proposal).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policy making and policy implementation in terms of their nature. The NCS learning module should be operated that can be more open and circulatory than now between the policy-making body and the policy-implementation (each unit school) or between school teachers.Second, Lipsky s Street-level Bureaucracy is redefined in this study as follows. Lipsky was concerned that in changing role expectations, school teachers (bureaucrats) were avoiding what was really required and that it could result in only performing the roles they wanted. However, in this study, school teachers did not react and respond with avoidance or role avoidance i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NCS learning module curriculum. Unlike Lipsky s role redefinition, the NCS learning module adaptation mechanism was formed. Third, school teachers were aiming for conformity with policy implementation with the discretion of the curriculum. The method of conformity is analyzed as simplification and formalization by discretion. As in Lipsky s Street-level Bureaucracy,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considerable discretion is needed in the performance of school teachers (bureaucrats). School teachers were responding quickly to the shortcomings of the NCS learning module through their discretion.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responses and the response mechanisms through Lipsky s Street-level Bureaucracy, targeting the school teachers of the unit schools operating the NCS learning module. In the course of research, there were cases in which Lipsky s Street-level Bureaucracy and the reactions analyzed in school teachers policy implementation were redefined.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y such a response mechanism appears through follow-up studi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of any help to study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NCS learning module by school teachers (bureaucrats).

      • KCI등재

        NCS 학습모듈 만족도 분석을 통한 건설 교과 실무과목 수업 활성화 방안

        이재훈,김선우,박완신,장영일,김태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2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needed to plan the NCS Learning Module to be used effectively in practical courses. In this study, teach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surveys were collected about the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learning module, career and field practice, practical environment used in the construction subject cours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public high schools in Chungcheong province (including Daejeon), which is operating practice course using the NCS learning modul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was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practical subject class using NCS learning module? Second, what i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eacher's career and field practice guidanc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field practice after the practical course using NCS learning module? Thir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veloped NCS learning module and practical subject class using the same was determined by setting whether the number of training of NCS-related teachers 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the-job training of students were aff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each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the students showed satisfaction in all items, whereas the teachers showed `content level', `interest', `necessary knowledge', `skill acquisition', `Improvement of practical skills (level of skill performance)', `scale of experimental practice', and `items of experimental practice equipment' were dissatisfie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NCS related teachers' training (or absence) or the presence of students on the field had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developed NCS learning module and the practical course using it. In order to fully utilize the developed NCS learning module in the practical cours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construct the teaching material of the teacher who can serve as an intermediary for conceptualization and understanding of job skill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education and training specialists to positively reflect the demands of the 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NCS 학습모듈을 효과적으로 실무과목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건설 교과 실무과목 수업에 활용되는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학습모듈, 진로 및 현장실습, 실습환경 등에 대해 충청권(대전광역시 포함) 소재 공립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 후 교사의 진로 및 현장실습 지도 측면, 학생의 진로결정 및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 셋째, 개발된 NCS 학습모듈 및 이를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NCS 관련 교사의 연수횟수(유무) 또는 학생의 현장실습 유무가 영향이 있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학생은 전반적 으로 모든 항목에서 만족하는 편을 보인 반면, 교사는 '내용수준', '흥미', '필요지식', ' 기술습득(기술수행수준)', '실무능력향상(기술수행수준)', '실험실습장규모', '실험실습장기자재' 항목 등에서 불만족하는 편을 보였다. 개발된 NCS 학습모듈 및 이를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NCS 관련 교사의 연수횟수(유무) 또는 학생의 현장실습 유무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발된 NCS 학습모듈이 실무과목 수업에 충분히 활용되기 위해서는 개념정리 및 직무기술 이해에 관한 중간 매개 역할을 해줄 수 있는 교사의 수업자료의 개발 및 구축이 요구되며, NCS 학습모듈의 개발인력 구성에서 교육훈련전문가의 수를 늘려 교육현장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NCS 학습모듈 문제점 분석을 통한 효율적 활용 방안 모색

        박민주(Park, Min-Ju),배광민(Bae, Gwang-Mi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NCS 학습모듈에 대한 인식 및 이해정도를 확인하고, 현장에서의 문제점 분석을 통한 요율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에 부합하는 공공교육훈련기관과 민간직업훈련기관을 선정하고, 소속기관의 교(강)사를 대상으로 학습모듈의 문제점 분석과 효율적 활용방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 및 표적집단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공기관 및 민간기관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학습모듈 문제점으로 소양교과의 경우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능력과의 불일치성이 주요 문제점으로 도출되었고, 전공교과는 NCS 수준(구성, 수행준거 등)이 고려되지 않는 내용 전개, 산업현장에 맞는 직무수행 기술, 자격취득과의 연계성이 주요 사항으로 논의되었다. 학습모듈의 효율적 운영방안으로 훈련기준에 대한 가이드 제공, NCS 학습모듈 개선 시스템 확대, 현장에 적합한 실습예제 제공, 학습모듈을 보완할 수 있는 기타 교재 지원, 능력단위에 따른 특화된 소프트웨어별 학습모듈 발간, 학습모듈에 대한 소정의 편집권 위임이 도출되었다.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직업훈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질적인 문제점과 효율적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는 데 연구의 가치가 있다. 학습모듈의 활성화를 통한 NCS기반 교육이 정착되고 지속적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구결과 활용을 제언한다. 또한 연구결과 적용을 통한 효율적 활용방안의 후속조치에 대한 분석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NCS learning module and to find out how to use it effectively by analyzing the problems in the field.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selected the public education training institutions and privat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s primary topics, and conducted the expert consultation meeting and targeted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blems of the basic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learning module recogniz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civilian engineers were found to be major problems in the ability and content inconsistency required in the industrial field. In addition, the problems in the major curriculum are that the content development that does not consider the NCS level (composition, performance criteria, etc.)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job performance skill suitable for the industrial field, and the connection with the qualification acquisition. In order to utilize the NCS learning module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ance on the training standard or to expand the NCS learning module improvement system and to provide a practical example for the fiel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other textbooks that can complement the learning module, to publish a specialized software-specific learning module according to the capability unit, and to delegate predetermined editing authority to the learning module. Conclusion: This study has found practical problems and effective utilization plan for vocational training workers. This study suggests that NCS-based education can be settled through continuous activation of learning modules. Al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ollow - up action of applying the research result efficiently.

      • KCI등재

        지적분야 NCS학습모듈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용수(Seo Yong Su),박민호(Park Min Ho),최승영(Choi Seung Young) 한국지적학회 2016 한국지적학회지 Vol.32 No.3

        현 정부는 현장중심의 자격제도 개선의 일환으로 각각의 산업직무별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교육목적으로 종목별 학습모듈을 개발하고 있다. 현행 지적분야의 NCS는 산업현장의 직무수행을 중심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2015년에는 특성화고 및 전문대학의 교육교재로 활용할 지적분야 NCS학습모듈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NCS기반의 학습모듈은 향후 과정평가형자격제도의 교육·훈련에 활용할 예정이나, 교육기관의 입장에서는 고가의 장비, 기자재, 프로그램, 시스템 등을 구비하여 교육을 시킨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적분야 NCS학습모듈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수준별 학습모듈 설계기준 제시, 학습모듈의 질적향상 방안 제시, 교육·훈련에 활용 가능한 교육프로그램 지원 등을 제안하였다. The current government is developing the NCS model for each industry as a part of the improvement in the field-based qualification system, and learning module as a part of the training. The NCS model in the cadastral field is developed for the sake of job performance in the industrial areas. Based on this, in 2015, the NCS learning module in cadastral field was developed as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specialized schools and colleges. The NCS-based learning module will be utilized as the training and education in course evaluation qualification system. However, from the point of view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training by purchasing expensive equipment, items, programs, systems, etc. This study reviewed the NCS-based learning module in the cadastral field to identify the problems. After that, criteria of learning module design, quality improvement of learning module, and training programs are proposed in this study.

      • KCI등재

        수행공학 접근을 적용한 NCS 학습모듈 개발과정의 개선방안 탐색

        신연주,송해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NCS learning module, one of major national policies for performance-based society. To achieve this aim, the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was applied to systematically analyze and improve the NCS learning module developers’ performance competency. First, performance problems were examined in the processes of NCS learning module development. Two identified main problems shows that the development team failed to meet the urgent compilation schedule and the NCS learning module related information was not sufficiently acquired. For the analysis of root causes on these problems, Gilbert’s Behavior Engineering Model(BEM) was employed. Findings show that the causes at the environmental level include insufficient system, insufficient data for NCS learning module compilation method, and lack of tools. In addition, the causes at the personal levels include the lack of knowledge on NCS, time(urgency of the schedule) and motivation. Finally, solu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were suggested. They include establishing a central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developers to manage the schedule, providing a development roadmap, and providing consistent and systemic education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development, compliment, and revision of NCS learning module. 본 연구는 수행공학접근을 적용하여 현재 국가 주요 정책으로 추진중인 NCS 학습모듈 개발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도출하여 개발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행문제를 분석한 결과, NCS 학습모듈 개발과정의 문제점으로는 시급한 추진일정에 개발진이 집필 일정을 맞추지 못하여 결과물에 편차가 발생하고, NCS 학습모듈과 관련된 정보를 충분히 숙지하지 못하여 NCS 학습모듈의 수준과 난이도가 교육현장의 요구와 상이하다는 점들이 제기되었다. 이들 문제의 원인분석을 위해 Gilbert의 행동공학모형(BEM: Behavior Engineering Model)을 활용해 원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환경적 차원에서의 원인으로는 NCS 학습모듈 집필방법에 대한 관리체제 및 정보의 결여, 도구부족(작업 환경) 등이 제시되었고, 개인적 차원에서는 NCS에 대한 지식부족, 시간부족(시급한 개발일정), 동기부족 등이 제시되었다. 이들 원인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로는 개발자에게 일정을 관리할 수 있는 중앙단위의 관리체제 마련, 일정 로드맵 제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수행공학 접근을 NCS 학습모듈 개발과정에 적용해 봄으로써 추후 NCS 학습모듈의 개발 및 보완·개선 작업 과정에서의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여 교육훈련 현장에서 NCS 학습모듈이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직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NCS 학습모듈 체제 분석 연구

        안태현,이병욱 한국기술교육학회 202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NCS Learning module utilized in the mechanical depart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is proper as a modularity-based textbook. To achieve them, this researcher drew NCS capability unit with high frequency of curriculum organization in the mechanical depart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selected representative NCS Learning module. And the selected it was analyzed by analyzers with the analysis criteria of modularity-based textbook systems, developed by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criteria of modularity-based textbook, drew based on the precedent studies and investigation of contents validity. And, the analysis criteria(agenda) of modularity-based textbook systems was developed to 2 systems–7 areas–40 analysis criteria. The developed analysis criteria was conducted by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of 20 people who are suitable for the standard of expert selection and drew the final analysis criteria of modularity-based textbook systems(2 systems–7 areas–39 analysis criteria) after modification and supplement process. Second, Among total 7 areas of modularity-based textbook, 3 areas(learning purpose area, learning content area, editing design system area) showed more than the total average(2.30) for the degree of propriety. However, the remained 4 areas(Introduction area, prior learning area, learning activity area, pre·post evaluation area) showed less than the total average. In addition, among total 39 analysis criteria organizing modularity-based textbook systems, the number of analysis criteria whose degree of propriety is more than the total average is 18, about 46% of the total. Based on the above results, NCS Learning module of the mechanical department was not proper as the modularity-based textbook.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 고등학교 기계과에서 활용되고 있는 NCS 학습모듈을 분석하여, NCS 학습모듈이 모듈식 교재로써 향후 개선 및 수정, 보완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모듈식 교재 체제 분석 준거를 활용하여 직업계고에서 활용되는 기계과 NCS 학습모듈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 고등학교 기계과에서 활용되는 NCS 학습모듈을 분석하기 위한 모듈식 교재 체제의 분석 준거는 무엇인가? 둘째, 직업계 고등학교 기계과에서 활용되고 있는 NCS 학습모듈은 모듈식 교재로써 적절한가?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듈식 교재의 기능 및 특징 등을 구현하는 모듈식 교재 체제 분석 준거는 선행 연구 및 내용 타당도 조사를 바탕으로 도출하였다. 우선, 교과서 체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모듈식 교재 체제 분석 준거(안)은 2개 체제–7개 영역–40개였다. 개발된 분석 준거는 전문가 선정 기준에 적합한 20인에 의해 내용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졌고, 수정 및 보완 과정을 거쳐 최종 모듈식 교재 체제 분석 준거를 도출(2개 체제–7개 영역–39개의 분석 준거)하였다. 둘째, 모듈식 교재 분석 준거의 총 7개 영역 중 3개의 영역(학습 목표 영역, 학습 내용 영역, 편집 디자인 체계 영역)은 적절성 정도가 전체 평균(2.30) 이상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나머지 4개 영역(도입 영역, 선행 학습 영역, 학습 활동 영역, 사전·사후 평가 영역)은 전체 평균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모듈식 교재 체제를 구성하는 총 39개의 요소 중 적절한 정도가 전체 평균 이상인 것은 18개로 전체의 약 46%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직업계고에서 사용되는 기계과 NCS 학습모듈은 모듈식 교재로써 전반적으로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NCS학습모듈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사무행정 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충남 소재 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민정,이광호 한국상업교육학회 2018 상업교육연구 Vol.32 No.2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을 ‘사무행정’ 과목 에 적용하였을 경우,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이 학생들의 사무행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 떠한지를 전통적인 수업방법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학습모듈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사무행정 실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NCS학습모듈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이 ‘학생 들의 사무행정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 결과,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이 학생들의 사무행정 실무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으 며,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교수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을 진행한 통 제집단보다 사무행정 실무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에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교수·학습방법이 어떤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미 있 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2018학년도부터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인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이 특성 화고등학교에 전면적으로 적용된다. 그리고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해 야 하는 시점에 있다. 이 같은 시점에서 특성화고등학교 교수·학습방법이 전통적인 교사 위주의 설 명식, 일방 전달식 교육으로만 진행될 경우,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 경쟁력을 제고하기 어려울 것 이다. 따라서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교수·학습방법은 지금과는 다른 방식으로 변해야 한다. 그리고 그 변화의 방향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이어야 한다는 점을 이 연구는 시사해 주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n students' administrative competency when applying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NCS learning module to 'office administration'. The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NCS module affect the students' competency to work in office administr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ents, how is the effect of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NCS module on the students' incompetence of the office administration off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office administration competency, and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specialization high school. Starting in 2018,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an NCS-based curriculum, is applied to the commercial high school. And the paradigm of education has to change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commercial high schools if the method of teaching in Commercial high school is conducted only by a traditional teacher-centered explanatory expression and one-way communication. Theref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commercial high school should change in a different wa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rection of change should be learner–centered teaching.

      • KCI등재

        관광분야 NCS학습모듈 콘텐츠품질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참여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성필 ( Kim Seong-pil ),서미옥 ( Seo Mi-ok ) (사)한국마이스관광학회(구 한국컨벤션학회) 2018 MICE관광연구 Vol.18 No.4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Academic Engagement mediates the effect of the NCS Learning Module Contents Quality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Two hundred eighty seven responder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equency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and AMOS 24 statistical tools. Results showed that NCS Learning Module Contents Quality influenced on Academic Engag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Engagement influenced on Learning Satisfaction. Between NCS Learning Module Contents Qua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Engagement showed mediative effects.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 of NCS learning module, continual interest is needed. Academic Engagement is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Learning Satisfaction.

      • KCI등재

        연극영화교과와 NCS 기반 교육과정: 서울방송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성현,민경석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9 씨네포럼 Vol.0 No.33

        NCS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curriculum has been implemented to all vocation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While NCS curriculum has efficiently settled down in machine, electrical, and electronic fields which have clear working procedures, the stereotypical approach of learning models of NCS may hinder the creativity at art school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NCS learning modules do Seoul Broadcasting Highschool and suggested the measures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NCS by the frame of ‘Work-Education-Qualification.’ As research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organized to discuss NCS curriculum.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need to be aligned with the demand of industries. Also, continuous module of NCS improvement is needed reflecting requests of labor markets and thought-centered education instead of specific technical skill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arrange classroom equipment and apparatus at the right place for skilled graduates required by labor makets. This study is limited in analyzing the curriculum of Seoul Broadcasting High School and suggests further analysis of related learning modules of NCS curriculum. ‘학벌이 아닌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해 2015년부터 시작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으로 한 고교 직업교육과정 도입은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전체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계, 전기․전자와 같은 현장 작업의 순서가 명확한 공업계에서는 NCS 교육과정이 효율적으로 자리 잡고 있지만, 예술의 특성을 가진 영상 관련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NCS 학습모듈의 정형화된 접근이 창의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서울방송고등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NCS 교육과정의 학습모듈, 학습내용의 문제점를분석하고, ‘일-교육-자격’이 연계될 수 있는 NCS 효율성 제고를 위한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NCS 교육과정을 운영한 교사 5명을 선정하여 Focus Group Interview(FGI)를 실시했다. 분석결과, 산업체 수요를 반영한교육체제가 구성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모듈 개선 및 중소기업 중심의 실무협의 내용을 교육에 반영해야 하며, 세부적 기능보다는 생각중심의 교육과정,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력체제 구축을 위해 실습 설비 및 기자재 구축이 시급한 요구사항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서울방송고등학교에서 활용되는 두 개 학습모듈의 제한된범위 안에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추후 후속연구에서 다양한 학습모듈에 대한 분석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