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불안 정도에 따른 음악적 태도 및 교수 학습능력 고찰

        백지혜(Baek Jee-He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수 불안 정도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학습자로서의 특성, 음악에 대한 태도, 교수에 대한 학습능력이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를 분석하고 나아가서 음악교수 불안의 원인을 도출하는데 있었다. 유아음악교육 교과목 수강생 64명중 음악교수 불안 도구를 기초로 음악교수불안이 낮은 예비교사 6명과 음악교수불이 높은 예비교사 6명을 대상으로 저널, 음악자서전, 음악활동계획안, 음악회감상문,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학습자로서의 특성에 있어서 음악교수불안이 낮은 예비교사와 높은 예비교사간에 다양한 문제제기, 자신의 성찰, 새로운 배움에 대한 해석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음악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음악에 대한 관심 및 흥미와 음악교수에 대한 중요성 인식에서 두 집단간 유사한 태도를 보였으며, 음악의 심미적 경험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음악교수에 대한 학습능력에 있어서 음악교육 내용지식의 형성과 구체적 교수방법 습득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음악의 심미적 경험의 정도와 음악교육 내용지식의 형성이 음악교수불안에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효과적인 유아음악교과목 구성을 위해 성인수준의 음악활동을 통해 음악의 심미적 아름다움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함 과 동시에 음악적 내용지식의 형성을 돕고, 음악내용 지식과 교수법을 혼동하지 말고 분리해서 교육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attitudes of pre-service teachers toward music, their learning abilities of music teaching, and their characteristics as learners depending on the degree of music teaching anxiety. Six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music teaching anxiety and six pre-service teachers with high music teaching anxiety were sampled by the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he qualitative component of the study included interviews, journals, music lesson plans, and portfolios of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s learner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teaching anxiety revealed differences in having questions, thinking reflectively, and analyzing learning, (2)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teaching anxiety showed similar attitudes for interests of music and the importance of music teaching but different attitudes for aesthetic experiences of music, (3)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music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music teaching anxiety showed heterogeneous attitudes for learning content knowledge of music teaching and acquiring specific techniques of music teaching, and (4)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is largely associated with their aesthetic experiences of music and content knowledge of music teaching as well. Consequently, this qualitative study suggests that music education curriculum should provide pre-service teachers ample opportunity for experiencing artistic music as well as building their content knowledge in music and specific skills of music teaching strong enough to tell content knowledge from teaching techniques by exposing themselves to diverse music activities.

      • KCI등재

        음악교수불안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심미적 음악활동 경험의 의미

        백지혜(Baek, Jee-He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심미적 음악활동에서 음악교수불안에 따른 예비교사의 음악에 대한 태도와 음악교수에 대한 태도를 분석함으로서 심미적 음악활동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유아음악교육 교과목 수강생 30명 중 음악교수 불안 도구를 기초로 음악교수불안이 낮은 예비교사 6명과 음악교수불안이 높은 예비교사 6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 반성적 저널, 음악자서전,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미적 음악활동에서 음악교수불안에 따른 예비교사들의 음악에 대한 태도는 음악의 역동성의 경험정도, 창의적 표현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음악의 아름다움에 대한 경험은 음악교수불안 정도에 관계 없이 모든 예비교사들이 음악을 아름답게 경험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심미적 음악활동에서 음악교수 불안에 따른 음악교수에 대한 태도는 유아로 대입하여 즐겁게 경험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또한 심미적 음악활동에서 경험한 음악의 의미를 교사의 시선으로 해석하여 응용하려는 교수법적 태도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심미적 음악활동은 예비교사의 음악과 음악교수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심미적 음악활동의 확산과 직전교육에서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a meaning of aesthetic music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epending on the degree of music teaching anxiety. Six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music teaching anxiety and six pre-service teachers with high music teaching anxiety were sampled by the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he qualitative component of the study included interviews, journals, and in-depth interview of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teaching anxiety showed similar attitudes for beautiful musical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music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music teaching anxiety showed heterogeneous attitudes for experiences of musical characteristics and creative expressions. (2) Pre-service teachers with low music teaching anxiety and those with high music teaching anxiety showed heterogeneous attitudes for music teaching. Consequently, this qualitative study suggests that music education curriculum should provide pre-service teachers ample aesthetic music program.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불안 및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와 음악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

        신금호 ( Keum Ho Shi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and music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were 15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round Daegu city and Kyungbuk provinc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volving in this study completed the student teaching.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core of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was slightly below average, the score of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and music teaching efficacy were slightly above average.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and music teaching efficacy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music and music teaching 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Finally,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showed 57% explanation for music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불안에 관한 연구

        임혜정,이상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This research examines differences in music teaching anxiety depending on a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For this, questionnaires for survey were distributed from June 4th to July 13th of 2019 to 200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a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the City of Seoul and the province of Gangwon, South Korea, and 175 of them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generally the higher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they had, the lower the music teaching anxiety they had. It appear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change in music teaching anxiety depending on a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but in state-anxiety, those who had higher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showed less music teaching anxiety. Regarding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depending on a change in their academic backgrounds, the higher level of academic backgrounds they had, the mor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they had, but the higher level of academic backgrounds didn't contribut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o music teaching anxiety. When it comes to teachers' work experiences, their work experiences did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but it was observed that the more work experiences they had, the less music teaching anxiety they had.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에 따른 음악교수불안의 정도를 분석하고 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이를 위해 2018년 6월 4일부터 7월 13일까지 서울시와 강원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200명을 의도적으로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175부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이 높을수록 음악교수불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수준에 따른 음악교수불안은 전체적으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상태불안에서는 음악교수내용지식 수준이 높은 교사의 교수불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학력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은 학력이 높을수록 교수내용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음악교수불안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사의 경력에 따른 음악교수내용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음악교수불안은 경력이 많을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지식 및 음악교수불안이 유아음악교육신념에 미치는 영향

        이춘자(Lee, Choonj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지식 및 음악교수불안이 유아음악교육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예비유아교사 404명의 질문지를 연구대상으로 했으며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삶의 질 신념, 사회정서 신념과 미적 신념은 음악지식하위변인과 음악교수불안 하위변인 모두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음악개념 지식, 음악활동 영역별 내용지식, 음악활동 상태불안 이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신념의 하위변인인 삶의 질과 사회정서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음악개념 지식, 음악활동 영역별 내용지식, 음악활동 상태불안이었고, 미적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음악개념 지식과 음악활동 영역별 내용지식 이었다. 따라서 유아교사양성교육과정에서 음악지식을 잘 가르쳐야하고 음악교수불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anxiety influence children’s music education beliefs. In the study, researchers looked at a survey of 40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conduct 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two finding that are important. First, children’s quality of life, social-emotional and aesthetic benefits, which are low variables in their music education belief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low variables in music knowledge and two low variables in music teaching anxiety. Second, variables influenc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education beliefs include their understanding of music concepts, music activities and music activity state-trait anxiety. In addition, variables influenc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ty of life, social-emotional benefits, include their understanding of music concepts, music activities and music activity state-trait anxiety, whil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aesthetic benefits include their understanding of music concepts and music activities. Therefore, strategies are needed to train bette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music knowledge and follow research about music teaching anxiety.

      • KCI등재

        예비음악교사의 피아노 반주능력과 교수불안 간의 관계

        곽동훈 ( Donghoon Kwak ),최진호 ( Jinho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음악교사를 대상으로 피아노 반주능력에 대한 현황을 밝히고, 피아노 반주에 대한 지식과 능력이 음악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불안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예비음악교사의 반주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9개 사범대학과 36개 교육대학원 중, 연구 참여를 허락한 29개 대학의 16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피아노 반주능력과 교수불안간 강한 부적상관관계(r=-75, 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피아노 반주 능력이 낮을수록 교수불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음악교사들의 피아노 반주와 관련한 교수불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실수와 긴장, 걱정, 부담감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음악교사들은 피아노 반주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건반화성과 관련된 지식과 훈련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이 부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tatus of piano accompaniment ability of prospective music teachers and to confirm the level of correlation between the piano accompaniment ability and teaching anxiety in music classes, in order to help them improve their accompaniment ability.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68 students from 29 universities that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mong 9 teachers colleges and 36 education graduate schools nationwi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iano accompaniment ability and teaching anxiety of prospective music teachers (r=-75, p<.01), in that the lower the ability to play the piano, the higher the teaching anxiety. Second, mistakes, tension, anxiety, and pressure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teaching anxiety related to piano accompaniment of prospective music teachers. Third, prospective music teachers lacked knowledge and training related to keyboard harmony which are practically helpful for piano accompaniment, indicating that this part needs improvement.

      • KCI등재

        성악전공 대학생의 공연불안과 공연성취와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고창(GAO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성악전공 대학생들이 느끼는 공연불안과 공연성취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 유형이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편의표집법을 통해 수도권 소재 음악대학에서 성악을 전공하는 남녀 대학생 182명(남학생=27명, 여학생=155명)이 선정되었다. 자료는 공연불안(20문항)과 스트레스 대처전략(33문항) 및 공연성취(3문항)를 측정하는 3개의 심리검사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처리되었다. 결과 회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악전공 대학생의 공연불안이 문제해결중심 대처와 부적 관계가 있지만, 사회적 지지 추구와 회피중심 대처와 관련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처전략 유형 중에서 문제해결중심 대처는 공연불안과 공연성취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공연불안이 세 가지 대처전략을 통해 공연성취에 미치는 특정 간접효과는 문제해결중심 대처가 다른 대처전략 유형들보다 훨씬 더 크다. 결론 이들 결과는 성악전공 대학생이 자신의 기량을 발휘하고 공연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불안감을 유발하는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whether the types of copying strateg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formance anxiety and performance attain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in trait anxiety perspective. Methods Subjects were 182 undergraduate students (27 males, 155 females) who are majoring in vocal music and responded to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performance anxiety, copying strategy, and performance attainment. Data were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performance anxiety were negatively related to problem solving strategy, but were unrelated to social support pursuit and avoidance strategy. Second, students’ problem solving strategy partially among the three types of copying strateg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xiety and performance attainment. Third, the specific indirect effect of problem solv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xiety and performance attainment was larger compared to other copying strategie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need to use problem solving strategy in order to demonstrate one’s ability when they feel anxiet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불안 및 음악적 자아개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남연(Kim, Nam-Yun),김명정(Kim, Myoung-Jung),고선아(Ko, Su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불안과 음악적 자아개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3년제 유아교육과의 2, 3학년 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본 자료는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Cronbach s α 계수를 산출하고, 상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음악교수불안은 음악교수효능감과 부적 관련성이 있으며 음악적 자아개념은 음악교수효능감과 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교수불안 중 상태불안과 음악적 자아개념 중 타인의 지지와 인정은 음악교수효능감 전체와 음악교수결과에 대한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음악교수불안 중 상태불안과 음악적 자아개념 중 음악능력에 대한 자기인식 및 타인의 지지와 인정이 음악교수능력에 대한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음악교육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music teaching anxiety and musical self-concept on music teaching efficacy. To this e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285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in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In this study, Cronbach 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using SPSS WIN 24.0,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usic teaching anxiety was negatively related to music teaching efficacy, and musical self-concept was positively related to music teaching efficacy. Second, the state anxiety among the music teaching anxiety and the support and recognition of others in the musical self concept were analyzed as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the overall efficacy of the music teaching and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Also, state anxiety among music teaching anxiety and self-recognition of music ability and support and recognition of others in music self-concept were analyzed as major factors influencing belief in music teaching abil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for effective instruction of music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cess.

      • KCI등재

        음악극 공연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불안과 동작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윤지영(Yoon J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음악극 공연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불안과 동작교수효능감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에 위치한 C대학교 유아교육과 2, 3학년 학생 41명(실험집단 21명, 비교집단 20명)이며, 음악극 공연 활동은 2017년 3월 6일부터 6월 23일까지 16주 동안 주 1회 90분씩 이루어졌다. 연구 도구는 동작교수불안, 동작교수효능감 평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음악극 공연활동은 예비유아교 사의 동작교수불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하위요인인 상태불안 및 특성불안이 유의미하게 줄어들었다. 둘째, 음악극 공연활동은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개인적 효능감 및 결과기대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sic drama play performing experience on pre-service early-childhood teachers’ movement teaching anxiety and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The program was held on total of forty one sophomores and juniors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 University located in Kyeongsangnam-do, Republic of Korea(21 students of experiment group and 20 students of comparative group). Music drama play performances were performed for sixteen weeks from March 6 to June 23, 2017, once a week for 90 minutes. For the research tools, ANCOV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using movement teaching anxiety and movement teaching efficacy. The study suggests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 music drama play performing program gives positive impact on movement teaching anxiet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tate anxiety or trait anxiety, which are the sub-factors of movement teaching anxiety, h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program. Second, a music drama play performing program also has positive effect on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dividual efficacy or outcome expectation efficacy, which are the sub-factors of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