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중의 등장과 민주주의 심화 : 2016~17년 촛불집회를 중심으로

        송경재 한국지방정치학회 2018 한국지방정치학회보 Vol.8 No.2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emergence of multitude in the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This study defined and analyzed the multitude of Hardt and Negri as a new type of citizen. Multitude have different ont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environment. This is defined as a multitude, and this study analyzed multitude's democracy. The case selected Korea's candlelight rally in 2016~17.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has meaning as an attempt to incorporate the concept of citizen into Korean socie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process of candlelight rally in 2016~17, a complex factor appeared in Korea, which was not a traditional class movement or a civil movement but a democratic discontent. And multitude will be a major subject in the development and deepening of democracy. 이 연구는 세계화‧정보화 환경에서 새롭게 부각되는 시민권 확장에 주목하고 탈권위와 탈근대, 탈집중의 다중의 존재론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연구는 하트와 네그리의 ‘다중(multitude)’을 새로운 형태의 시민으로 규정하고 이를 한국의 2016~17년 촛불집회를 사례로 분석했다. 연구는 다중이 기존 학계에서 논의된 시민과는 다른 차원에서 발전한 이론적인 개념이고 이를 한국 사회에 접목하려는 시도로서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2016~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촛불집회 과정의 경우 한국에서 전통적인 사회운동의 계급운동이나 시민적 권리운동이 아닌 민주주의 정치적 불만과 경제적 불만, 삶, 정치에 대한 불만 등 복합적인 요인이 폭발한 다중운동으로 해석했다. 이를 통해 한국에서 1987년 이후 제도적인 민주주의가 발전했지만 민주주의 심화(democratic deepening) 또는 민주주의의 질(quality of democracy)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다는 점이 나타났다.

      • KCI등재

        세계화 시대의 제국과 다중 여성

        김지영 ( Ji Young Kim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07 여성학연구 Vol.17 No.1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Empire and multitude developed by Michael Hardt and Antonio Negri in their co-worked book, Empire, adding the transformative perspective of women as multitude. In this book, they introduce a renewed term of Empire which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imperialism of European dominance and capitalist expansion in previous eras. Empire, like Roman Empire, is seen as a universal order that accepts no boundaries or limits with hybrid identities and expanding frontiers. Empire is the system that regulates global flows of information, capital, and people, the sovereign power that governs the world. Hardt and Negri give Empire a positive meaning in that its existence stands as a resounding, if paradoxical, testimony to the heroic mass struggles that shattered the Eurocentric old regime of national states and colonialism. Contemporary capitalism, although seemingly impervious to anti-systemic challenge, is in fact vulnerable at all points to riot and rebellion.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immaterial, intellectual labour in high value-added sectors of the economy is shaping a collective labourer with heightened powers of subversion. This subversive power belongs to multitude. Unlike the people which reduces social differences into one identity, the multitude is not unified but remains plural and multiple. The multitude, although it remains multiple and internally different, is able to act in common and thus rule itself. Rather than a political body with one that commands and others that obey, the multitude is living flesh that rules itself. The multitude lives and organizes its political space against Empire and yet within the ontological conditions that Empire presents. If we apply women to multitude, we can get a transformative view on women as an active and singular subject. Women who are not divided into the first world women, the third world women and the subaltern women any longer pursue immanent ethics with differential intensity within non-mediation philosophy.

      • Identification of the 144,000 and the Great Multitude: Are They Identical or Different?

        ( Ha Rim Ji ),( Sang-hoon Jee ) 삼육대학교 선교와사회문제연구소 2022 Asia-Africa Journal of Mission and Ministry(AAMM) Vol.26 No.-

        In describing the 144,000 sealed saints and the “great multitude” in Revelation 7, John seems to hint at a distinction between God’s end-time saints. The speculation regarding identity of the 144,000 sealed saints and the “great multitude” in Revelation 7 have divided many theologians and bible scholars, even within Seventh-day Adventism. Rather than claiming that the 144,000 sealed saints and the “great multitude” of Revelation 7 are of different types or classes of God’s end-time sai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144,000 sealed saints and the “great multitude” of Revelation 7 are a single group of God’s end-time saints, portrayed in two different stages of their history and in their different roles. To prove that they are an identical group of God’s end-time saints, this study was done in three levels: (1) a study of the descriptions and actions of the 144,000 and the great multitude, (2) a study of the actions of the 144,000 and the great multitude in Revelation 7, and (3) a study of the literary feature and purpose of Revelation 7. By proving that the 144,000 sealed saints and the “great multitude” in Revelation 7 are an identical group of God’s end-time sai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confirms the idea that the blood of Christ presents all the saved people of God equally and without any distinction before God.

      • KCI우수등재

        북방루트를 통한 兜率天 說法圖像의 전개와 聖衆으로서의 思惟像

        서남영 한국미술사학회 2023 美術史學硏究 Vol.317 No.317

        The iconography of Maitreya preaching in Tuṣita Heaven illustrates the contents of Foshuoguan Milepusa Shangsheng Doushuaitian jing(hereafter, Shangsheng jing) in which Maitreya, who was promised that he will attain Buddhahood after Sakyamuni’s nirvana, preaches in Tuṣita Heaven. It originated from Gandhara region that includes Kapisa and was introduced to Central Asia and China by the Northern Route. In the Kizil Caves, there are Maitreya images sitting cross-legged and preaching to the heavenly multitude. Compared to the examples found in the Gandhara region, the heavenly multitudes here are depicted with increased importance. Moreover, the multitudes seating cross-legged or with two feet drawn together in the art of Gandhara region became pensive bodhisattvas in the Kizil Caves, and those in the lower rows in the cave also seem to represent the pensive multitude mentioned in Shangsheng jing. As the iconography was introduced to China, the heavenly multitude who stood with attending bodhisattvas were reduced in size whereas images of Maitreya became more dominant. The fact that cross-legged Maitreya is usually attended by pensive bodhisattvas to form a triad shows that the Chinese perception of Shangsheng jing differed from that of Gandhara and Central Asia. The palaces of Tuṣita Heaven that resemble the wooden architectures of China show that the iconography has been Sinicized. There are many inscriptions on the pensive bodhisattvas of late Northern Wei that include the word ‘pensive image,’ suggesting that they were made to represent pensive heavenly multitude listening to the preaching of Maitreya in Tuṣita Heaven. Accordingly, it can be deduced that the images of pensive bodhisattva reflect not only Sakyamuni meditating when still Prince Siddhartha, but also pensive heavenly multitude in accordance with the iconography of Maitreya preaching in Tuṣita Heaven. 兜率天 說法圖像은 석가의 입멸 후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약속을 받은 미륵보살이 兜率天에 머무르면서 聖衆에게 설법하고 있는 『佛說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上生經』)의 내용을 도해한 것으로, 그 기원은 카피사를 비롯한 간다라 지방에서 찾을 수 있다. 도솔천 설법도는 이후 북방루트를 따라 중앙아시아와 중국으로 전래되었는데, 키질석굴에서 미륵보살은 중앙에 교각좌세로 앉아 주위 성중들에게 설법하는 모습으로 표현되었으며 간다라 지역보다 성중상의 비중이 전체 도솔천 설법도의 구도 안에서 상당히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간다라에서 교각자세나 양발을 모은 좌상의 형태로 표현된 사유하는 포즈의 성중상이 키질석굴에서는 반가사유상으로 정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가장 하단에 위치한 반가사유상은 『상생경』에서 강조하고 있는 ‘사유하는 성중’의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도솔천 설법도상이 중국으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교각의 미륵보살상은 규모가 커지지만 주위에 배치된 협시의 성중상의 숫자가 줄어드는 경향이 확인된다. 특히 교각미륵보살상의 좌우에 반가사유상이 협시로 배치되어 주로 삼존상으로 제작된 점은 간다라와 중앙아시아 지역과는 다른 『상생경』에 대한 중국식의 해석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도솔천 궁전의 표현이 중국식의 목조 건축물로 바뀌고 있다는 점 등에서도 전반적으로 중국화의 과정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북위 후기의 반가사유상의 명문 중에 ‘사유상’이 다수 확인되는 것은 당시 중국에서 반가사유상이 도솔천 설법도의 ‘사유하는 성중상’으로 널리 제작되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고 해석하였다. 따라서 반가사유상의 성격에 대해서는 불전에서의 태자사유상 뿐만 아니라 도솔천 설법도상의 전개에 따라 ‘성중 사유상’으로도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로컬 시네마에서 디지털군중의 확장과 변형: 「명량」을 중심으로

        박선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This study examines the mode of representation of the digital multitude in the Korean film The Admiral: Roaring Currents (dir. Kim Han-min, 2014). Drawing on Kristen Whissel’s interpretation of the signifying role of digital special effects in feature films, this study shows how The Admiral recycles and deviates from the conventional rhetoric of the digital multitude. Whissel observes that the digital multitude incarnates the theme of a seismic historical change or the End. In The Admiral, the Japanese armada, with its immense number of warships and streamlined formation, forms the typical digital multitude that presses the Joseon dynasty to its end. By contrast, Joseon’s navy and its civilian forces appear in a round and interconnected structure. This configuration symbolizes the solidarity of people and the unending history of the nation. Thus, The Admiral instantiates the possibility of the exten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digital multitude that Whissel conceptualiz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global rhetorics of digital special-effect images. 본 연구는 한국영화 「명량」(김한민 감독, 2014)에 나타난 디지털군중의 표상방식을 분석한다. 극영화에서 디지털 특수효과의 의미화 기능을 해석한 크리스턴 휘젤의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는 「명량」이 디지털군중의 관습적 수사를 반복하고 변주하는 방식을 검토한다.「명량」은 정유재란 당시 일본과 조선 사이의 숙명적 해전을 극화한다. 일본함대는 직선으로 정렬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군함들과 더불어 조선왕조의 종말을 압박하는 전형적 디지털군중을 표상한다. 이와 대조하여 조선수군과 백성들은 상호연결된 원형의 무리로 표현된다. 이러한 형상화방식은 민중의 연대와 종결될 수 없는 민족사를 상징한다. 요컨대 명량』은 휘젤이 개념화한 디지털군중의 확장과 변모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극영화 속 디지털 특수효과 이미지의 국제적 수사학을 구축하는 데 일조할 것이다.

      • KCI등재

        Reconsidering “a Swinish Multitude”: John Aitken’s Poem, The Swinish Multitude’s Push for Reform: A Poem in Three Cantos (1816)

        임보라 대한영어영문학회 2018 영어영문학연구 Vol.44 No.2

        The Romantic period saw the outbreak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French Revolutionary War. Those two important historical events led British radicals to confront the conservatives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Revolution and social / political justice. Edmund Burke's pamphlet, Reflections on the Revolution in France, became the target of the radicals’ bitter criticism. In other words, contemporary political discourses were centered on Burke’s Reflections.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famous phrase in the Reflections, “a swinish multitude,” which stimulated the British radicals enormously and led them to compose various pamphlets. Due to the provoking concept, Burke was attacked both in prose and verse. I also would like to read John Aitken’s poem The Swinish Multitude's Push for Reform: A Poem in Three Cantos, which is an elaborate criticism of the phrase, the “swinish multitude.”

      • KCI등재후보

        ‘다중’은 대안세계화운동의 희망인가?

        장시복(Si-Bok Chang)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09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6 No.2

        이 논문은 하트(M. Hardt)와 네그리(A. Negri)가 『제국』과 『다중』에서 제기한 ‘다중’의 실체, 구성과 정치적 기획을 대안세계화운동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그들에 따르면 자본의 세계화에 저항하고 대안세계를 구축하는 핵심동력인 다중의 실체는 비물질노동이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의 2절에서는 다중의 물질적 기초를 이루는 비물질노동의 개념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절의 핵심 주장은 하트와 네그리가 주장한 비물질노동이 애매한 개념이며 다중의 논의에 혼란만 가중시킨다는 것이다. 3절은 비물질노동의 물질적 기초를 통해 형성된 다중이 어떻게 ‘구성’되고 그들의 ‘정치적 기획’이 무엇인지를 대안세계화운동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이 절의 핵심 주장은 비록 하트와 네그리가 새로운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중점을 두었지만, 그들의 논의가 대안세계화운동의 관점에서 구체적인 정치적 기획으로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것이다. 이 논의를 통해 이 논문이 내린 결론은 비록 그들이 제시한 다중이 현실 운동의 한계에 대해 여러 가지로 여론을 환기시킨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은 현실 운동에서는 여전히 가능성의 영역에 머물러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will criticize the substance, composition, and political project of ‘multitude’ which is presented in Hardt and Negri’s Empire and Multitude. For Hardt and Negri, multitude is driving forces of alter-globalization movement and construction of alter-society. Thus, to investigate their argument, I will focus on concept of immaterial labor that is a material foundation of multitude. And I will argue that the immaterial labor is an ambiguous concept and Hardt and Negri may not make clear analysis of the substance of multitude. And then I will review on the composition and political project of multitude. My main argument in this part is that although Hardt and Negri focus on of possibility of new democracy, i.e., absolute democracy, they should provide more concrete political project to overcome an abstraction in their discussion.

      • KCI등재

        한국에서 촛불 시민혁명 이후의 민주주의 - 포퓰리즘인가, 다중 민주주의인가 -

        김성우 ( Kim Seong-woo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1 시대와 철학 Vol.32 No.1

        Before the 2016 Candlelight Civil Revolution, the domination of neoliberalism and the public political indifference were diagnosed as the causes of a crisis of democracy. However, after it, the discourse on the crisis of democracy has been raised fiercely. In the name of ‘populism’, citizens' political over-engagement is defined as the cause of the crisis. Is the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of citizens the real cause of the current democratic crisis? Or does the so-called democratic crisis discourse by political experts itself works as a mechanism to cover up the cause of the real crisis? According to Jacques Rancière, the discourse on the “democratic crisis” that political science experts discuss presupposes a standard form of representative democracy. However, the discourse conceals the problem that the real representative democracy is operated as an oligarchy game consisting of the exercise of power over the majority. Candlelight democracy, on the other hand, is not an extreme right populism, but a democracy of the multitude that struggles against the oligarchy trying to defend the vested interests under a representative system. As Negri and Hart pointed out, leadership should no longer be the deciding One, like modern sovereignty. Populism is the way in which a small number of hegemonic powers operate by building the people into a unified form, the One. The new leadership is the democracy of the multitude only when the multitude makes decisions, not the One. Of course, as Žižek pointed out since the multitude is the presence of absolute democracy, there is a utopian limitation that rejects the political cause altogether.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soft coup by the oligarchy that abused the representative system, isn’t it necessary in the current Phase to demand the leadership’s tactics to realize the mutitude’s strategy?

      • KCI등재

        창작 판소리의 문화콘텐츠로서의 현대적 의미

        김향 판소리학회 2015 판소리연구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modern importance of Changsak-pansori(creative pansori) by focusing on Jaram Lee's Sacheon-ga and Ukchuk-ga. Using cultural contents theory, the paper deals with the "between" aspects of the art in these productions. It considers the importance of the "spiritual value" as well as the "industrial value" in these productions. Nine aspects were extracted from this research. To sum up the contents of the two pansori, Sacheon-ga embodied "amusing sensitivity" and Ukchuk-ga embodied "condolatory sensitivity" in the ways the pansori formalized characters and staged sasul (the pansori script), attaching "multitude", with an infinite number of internal differences. Lee and director In-woo Nam made spectators experience "a non-oppressing and self-regulating community" and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life", realizing "multitude" in the two pansori repertories. From this kind of communication with home and foreign spectators, pansori achieved recognition as an "art for the multitude", and not only for "low-level people". The paper therefore suggests that "multitude" became an original philosophical concept for coming pansori producers. It concludes that the "multitude" realized by Lee and director Nam had a modern importance in terms of intensifying the liberal values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showed a cultural influence on home and foreign spectators. 이 논문은 이자람의 창작 판소리 <사천가>와 <억척가>를 연구하여 그 ‘현대적 의의’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 과정에서 문화콘텐츠적 접근을 통해 두 작품의 ‘사이’ 예술적 면모를 구체적으로 논하고자 했다. 이 논문에서는 문화콘텐츠의 산업화와 더불어 ‘정신 가치’의 실현을 중시하고, 그 동안 산업화 성공을 중심으로 논의되던 <사천가>와 <억척가>를 그 문화적 가치를 중심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이 논문에서는 <사천가>와 <억척가>의 연구 의의를 아홉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그 내용을 종합하면, 결론적으로 이자람과 남인우 연출은 <사천가>에서는 ‘유희적 감수성’을, <억척가>에서는 ‘애도의 감수성’을 구현하면서 이를 관통하는 ‘다중’을 형상화했음을 밝혔다. 이자람은 두 작품을 판소리화 하는 가운데 ‘억압받지 않고 자율적인 공동의 삶’ 그리고 ‘생명력을 중시하는 삶’을 추구하는 ‘다중’의 모습을 통해 국내·외 관객들과 교감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의 ‘민중 예술’로 지칭되던 판소리를 국내·외 ‘다중의 예술’로 인식시킨 의의를 논했다. 따라서 이자람과 남인우 연출이 구현한 ‘다중’은 다수의 창작 판소리 제작자들에게 ‘철학적 원형’이 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 두 창작 판소리에서의 ‘다중의 구현’은 문화콘텐츠의 여러 가치 중 인문학적 가치를 심화시키면서 사회·문화적 가치를 강화하고 특히 국내·외 관객들에게 판소리의 문화적 영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현대적 의미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 KCI등재

        `기억-정동` 전쟁의 시대와 문학적 항쟁 -한강의 『소년이 온다』(2014)가 놓인 자리-

        김미정 ( Kim Mi-ju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0 No.54

        본 논문은, 2010년대 이후 5·18을 둘러싼 폄훼 및 모독이, 대중의 감수성과 연동되는 `기억-정동` 전쟁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소위 기억 전쟁은, 수정주의 역사학이나 보수 이데올로그의 협잡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2010년대 한국에서 이루어진 5·18 폄훼와 모독은 대중의 감수성 레벨에서 자율적 회로를 통해 유통되어왔다. 이것은 2010년대 이후 전세계적으로 대중레벨에서 가시화한 반동 혹은 혐오발화의 문제계와 겹친다. 한편, 2014년에는 `오월에 대한 문학적 진상규명` 작업에 다시 골몰하는 듯 보이는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가 발표되었다. 증언의 증언을 연상케 하는 다소 복고적인 미학적, 문학적 형식이 의아하게 여겨진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 본격화한 `기억-정동` 전쟁의 맥락에서 볼 때, 이 소설은 명백히 시대정합성을 갖는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맥락과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다. 이에 따라 <소년이 온다>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억도 경험도 없는 세대`가 어떻게 스스로의 한계를 극복하는 글쓰기를 하는지 보여준다. 이때 `기억`은 심리적인 것이 아니라 존재론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둘째, 소설 속 세계는, 1980년 5월 광주가 이념이나 윤리를 매개로한 공동체가 아니라 거대한 정동 네트워크였음을 암시한다. 이때의 5월 광주는 문학적으로뿐 아니라 인문학적, 사회과학적으로 재해석되거나 보충설명 되어야할 대상이 된다. 셋째, 소설은 막연하고 맹목적인 희망을 말하지 않는다. 대중(인간)은 공포보다 희망에 더 잘 이끌리기도 하고 때로는 희망보다 공포에 더 잘 이끌리기도 한다. 그러나 이 소설은, 희망에 이끌리고 정동되는 존재로서의 대중(인간) 쪽에 한줌의 기대를 건다. 이렇게 하여 이 소설은, 2010년대 `기억-정동` 전쟁 속 폄훼와 모독의 정동에 대한 치열한 저항, 준엄한 응답의 장소를 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런 이유에서 <소년이 온다>는 개별 작품론이나 작가론의 대상으로만 회수되어서는 곤란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문제의식이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critical mind on the war of memory-affect in which insult of `Gwangju Uprising` are connected with the multitude`s sensitivity after 2010. The war of memories can be triggered by revisionism or the trickery of conservative ideologues. However, Insult of `Gwangju` in the 2010s are carried out at the multitude`s sensitivity level. Insults are distributed autonomously. These overlap with the issue of backlash or hate speech manifested at the multitude`s level in 2010s. In consideration of such critical mind, the novel 『Human Acts』 published in 2014 is especially meaningful. First of all, it shows how the generation without memories and experiences can overcome their own limitation in writing. Memory needs to be understood in an ontologic sense, rather than a psychological sense. Second, the world in the novel implies that `Gwangju` was not a community using ideology or ethics as a medium, but a huge affectnetwork. `Gwangju` is a subject to be reinterpreted or elaborated from the aspect of humanities or social sciences, not from the aspect of literary. Third, the novel does not mention vague and blind hope. The multitude(humans) is more attracted to hope than fear, and sometimes to fear than hope. The novel, however, slightly anticipates from the multitude(humans) attracted to and affected by hope. In this way, the novel presents the venue of fierce resistance and strict response on the affect of insult amid the war of memory-affect in the 2010s. Lastly, this study views that 『Human Acts』 should not be collected as a subject of individual work studies or writer studies from the critical mind perspective due to the reasons mentioned ab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