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종교사회의 평화실현을 위한 과제에 관한 연구

        김민지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5 평화학연구 Vol.16 No.3

        This study seeks to find ways to accelerate the realization of a peaceful society in which different faiths can maintain their own religious identity while accepting and respecting other faiths. To accomplishthis, the study reviews methods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s of Johan Galtung’s peace studies, as well asmethods discussed concerning religious pluralism. Though both views share the same standpoint concerning the problems hindering the realization of peace in a multi-religious society, they each propose different solutions to it. This study focuses on how a multi-religious society can be achieved by reviewing both the problems and solutions proposed in both theories and by determining which methods can provide what is necessary.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of all requires an approach that can eradicate cultural violence based on the dichotomous thinking of religion. In order to achieve peace in a multi-religious society, it is essential to throw away the dichotomous thought that one’s religion is absolutely right while others are imperfect and inferior; instead, all religions should be able to mutually respect and understand one another as having a horizontal, equal relationship. Secondly, the study proposes engaging in conversations that go beyond the surface issues,focusing instead on conductingheart-to-heart communicative discourse from a standpoint transcending one’s own religion. Since the ultimate purpose of religion does not revolve around seeking merely its own growth and development, but rather inbringing about human salvation and a peaceful society, peace in a multi-religious society is attainable if conversations are held from a standpoint that is transcendent of one’s individual religious preferences, and when one practices a life of sacrifice and self-denial. 연구는 다양한 종교가 자기 종교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타종교를 인정하고 존중하여 우리 사회가 평화로운 공동체를 구현해 나가는데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요한 갈퉁이 평화학의 관점에서 제시한 방안과 종교다원주의에서 논의하고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두 관점은 다종교사회의 평화실현을 방해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공통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으나 그 대안은 각기 다르게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제와 대안에 대해 검토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다종교사회 실현을 위한 과제를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종교의 이분법적 사고에 기초한 문화적 폭력을 근절하는 자세가 요청된다. 다종교사회의 평화실현을 위해서는 자기 종교는 완전하고 절대적으로 옳으며 타종교는 불완전하고 열등하다는 이분법적 자세를 버리고 상호 존중하는 자세를 가져야 하며 모든 종교를 수평적인 관계로 이해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둘째, 종교의 표층적 차원을 넘어 심층적 차원에서 종교의 자기초월적 대화가 요청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의 궁극적 목적은 각 종교의 성장과 발전이 아니라 평화의 실현과 구원에 있기에 자기초월적 자세로 대화하며 희생과 비움을 실천할 때 다종교사회의 평화는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종교지도자협의회의 ‘대표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종만 한국신종교학회 2022 신종교연구 Vol.47 No.-

        Korean society is a multi-religious society in which world religions such as Buddhism,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native religions such as Cheondogyo, Daejonggyo, Jeungsangyo, and Won Buddhism, and Shamanism handed down from the Paleolithic Era are mixed together. This multi-religious situation in Korean society has created a unique characteristic in world religions where Chinese-style religions, Indian-style religions, and Jerusalem-style religions coexist peacefully. In the end, this acted as a driving force for many religions to form an association in the Korean religious landscape. This paper focuses on The Korean Council of Religious Leaders(KCRL) among the many associations that have developed in the pluralistic situation of religion in Korea. KCRL is a religious association composed of not only world religions but also major sects of Korea’s native religions and the gatherings of religious leaders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Native Religions. KCRL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multi-religious social situation in Korea, and it can be said that it contributes greatly to the peaceful coexistence of religions in that all the leaders of religions representing Korean society are participating. However, the characteristic of Korea’s religious pluralism is not only the above-mentioned major religions but also the existence of invisible surrounding religions.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critically explore the possibility of whether only KCRL is suitable as the character of a leader’s group representing Korean religion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한국은 불교, 기독교, 유교와 같은 세계종교, 천도교, 대종교, 증산교, 원불교와 같은 자생적 민족종교, 그리고 구석기시대부터 전래된 무교(巫敎) 등이 함께 뒤섞인 다종교사회이다. 이러한 한국 사회의 다종교적 상황은 중국형 종교, 인도형 종교, 예루살렘형 종교 등이 평화적으로 공존하는, 세계종교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특질을 형성케 하였다. 이는 결국 한국종교 지형에서 수많은 종교들이 연합체를 결성하는 동인(動因)으로 작동했다. 본고는 한국의 종교 다원적 상황에서 전개된 많은 연합체 가운데 한국종교지도자협의회(이하 종지협)에 집중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종지협은 세계종교뿐만 아니라 한국 자생 종교의 주요 종단과 한국민족종교협의회 종교지도자들의 모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종교 연합체이다. 종지협은 한국의 다종교적 사회 상황을 증표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종교의 지도자들이 모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교들의 평화로운 공존 상황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종교 다원성이라는 특징은 상술한 주요 종교뿐만 아니라 눈에 드러나지 않는 주변 종교들의 상존(常存)으로 두드러진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과연 종지협만이 한국종교를 대변하는 지도자 모임의 성격으로 적합한지에 대한 가능성을 비판적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 종교의 교육적 수용 : 협력 종교 교육을 중심으로

        김진영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5 No.-

        2000년대 들어 한국 사회는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자, 유학생, 난민 등의 유입이 급증하면서 다문화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종교 사회로서 종교 간 평화와 공존이 유지됐던 한국 사회는 갈등이 표면화되며 사회 문제로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다문화 환경을 인식하고 대처하는 데 있어서 종교는 다문화 사회화 과정에서 공동체의 통합과 안전에 기여하나 다른 한편에서는 공동체 내부에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양가성을 띰으로써 교육적 차원에서의 논의를 필요로 한다. 이는 교육의 주요 기능 중 하나가 사회통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종교 교육이 다문화사회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런 인식 속에서 종교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한, 그리고 현재의 사회를 이해하고 세계 시민으로 거듭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의 종교 교육에 대한 논의를 필요로 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종교 이해’(religious literacy)를 배양하기 위해 다양한 종교적, 비종교적 세계관을 교육하는 ‘교양 종교 교육’(general religious education) 모델이다. 그렇지만 다문화사회에서 교양 종교 교육이 학생들이 통합 환경 속에서 편견과 차별을 줄이는 데 유용할지라도 다문화주의의 가장 효과적인 접근법이 각 인간 집단의 고유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개별 종교 교육’(special religious education) 또한 필요성이 인정된다. 이에 본 연구는 종교 교육의 방안으로 교양 종교 교육과 개별 종교 교육을 결합한 ‘협력 종교 교육’(co-operative religious education)을 제안할 것이며,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종교 정책과 종교 교육을 검토하고 학교 현장에 실천 가능한 현실적인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Since the 2000s, Korean society has been transition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a sharp increase in the influx of various non-Koreans including immigrant workers, immigrant spouses, international students, and refugees. As a result, Korea, which had maintained religious peace and coexistence as a multi-religious society, is showing signs of increased risks of social problems such as the surfacing of conflicts between religions. Religion can contribute to the integration and safety of communities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but at the same time, it requires discussion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because of its ambivalence in potentially causing conflict within communities. Considering that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religion is social integration, religious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multicultural societies. In recognition of this, discussion regarding a new perspective on religious education is needed to respond to religious diversity and to understand the current society and the means of becoming a global citizen. This new discussion would be a ‘general religious education’ model that provides an education covering various religious and non-religious worldviews in order to cultivate ‘religious literacy.’ Howev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while general religious education may be useful in reduc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mong students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it should also be recognized that a ‘special religious education’ would be needed to acknowledge the unique values of each human group. This would be the most effective approach to multiculturalism.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form of ‘cooperative religious education,’ which combines general religious education and special religious education as a direction for religious education. In providing readers with background context, this study will review Korean religious policies and religious education, and then present realistic methods that can be implemented in schools.

      • KCI등재

        이스라엘 사회 통합을 위한 다윗의 정치-종교적 조처들

        이희학 한국구약학회 2017 구약논단 Vol.23 No.4

        David chose the new city Jerusalem, which stood outside of Israel’ s tradition, in order to minimize any religious interference from the Yahwistic group. He unified and integrated the Canaanite religious tradition into the Israelite religious tradition in that he brought the Ark of the Covenant to Jerusalem to value the Israelite religious tradition and that he appointed Zadok the Jebusite and Abiathar to be high priests. David’s efforts for political and religious integration were not successful because the followers of the traditional Yahwism of Israel understood his attempt to mix their traditional religious practices with idolatry against YHWH. Fundamentally, unifying two different religions, which have different characters and natures, was not an easy process and thus David’s effort was viewed by traditional Yahwists as assimilation to Canaanite religious practices. The potential tension in the united kingdom of David was an ominous sign for the kingdom’ s future, and finally it became a decisive reason that the kingdom was separated in many ways after Solomon’s death.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David’s political and religious actions to unify Israel’s society may be viewed as a strong warning to South Korea, which is becoming a more multi-cultural society. If David had advocated multi-culturalism, which valued diversity and coexistence instead of the forceful integration of neighboring countries based on his strong military force, which brought assimilation of Canaanite religious practices, would Israel’s history go on a peaceful way? 본 논문은 이스라엘 사회 통합을 위한 다윗의 정치-종교적 조처들이 보여준 한계점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다윗의 정치-종교적 통합 정책은 장기적인 입장에서 볼 때 완전한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다윗의 정책이 이스라엘의 전통적인 보수 세력에게는 일종의 정치-종교적 혼합(混合)이며, 야웨 하나님에 대한 신앙적 배교(背敎)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정몽주의 여말선초 종교지형의 변화에 대한 인식

        박종수(Park, Jong Soo) 포은학회 2012 포은학연구 Vol.9 No.-

        본고의 목적은 여말선초라는 종교지형의 변화를 포은이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살펴서, 현대의 다종교ㆍ다문화 현상을 인식하는 단초를 제언해 보려는 것이다. 고려 시기는 어느 하나의 종교가 종교문화를 주도했다기보다는 여러 종교들이 각각의 색깔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 다종교ㆍ다문화사회로 전환하고 있는 우리사회를 성찰하는데 시사점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여말선초라는 시기의 종교지형은 어떻게 서술할 수 있을까? 여말선초라는 시기에서 종교지형의 변화는 개혁과 혁명, 그리고 도전이라는 정치적 현상과 불가분의 관계이며, 그레이슨의 시기 구분으로는 포착되지 않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고려의 종교지형은 어느 하나의 종교가 전일적인 위치를 점하면서 다른 신앙과 의례를 주도했다기보다는 모든 종교전통이 각각의 색깔을 갖고 전체 종교문화를 구성했다. 이러한 종교지형에 대해 포은은 어떻게 인식하였을까? 정몽주는 불교에서 유교로 종교지형이 전환되는 상황에서 유학자로서 불교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갖는 한편, 조화를 추구했던 태도를 갖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사행을 통해서 문화적 수용성을 넓혀 새롭게 주자학을 수용하여 종교지형의 변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인식과 태도는 현대 다종교ㆍ다문화사회로 전환되고 있는 우리 현실에 하나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예컨대, 앞서 살핀 유불과 사행을 통한 정몽주의 다종교ㆍ다문화 현상에 대한 인식은 두 가지 차원에서 현대적으로 재해석 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다종교 사회에 대한 인식이다. 포은이 다종교 상황에서 취했던 태도는 유학자로서 불교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는 노력이었다. 사상적으로 신념이 다르더라도 타종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유했다는 사실은 현대 종교인들이 가져야할 덕목일 것이다. 종교를 기반으로 한 이주민 공동체가 점점 늘어나고 있기에, 이러한 종교의 다원화 현상을 한국종교는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둘째,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인식이다. 여말선초는 원명의 교체기와 함께 사행을 통한 다양한 문화들이 수용되었을 것이다. 현대 우리사회에는 다양한 이주 목적을 통해 국경을 넘은 이주민들이 어우러져 있다. 이주민들은 몸만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가치관과 문화, 종교까지도 함께 옮겨지게 된다. 현재 동남아시아 국가 출신의 이주민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데, 이러한 통계는 무슬림이 많아지고 이슬람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나타낸다. The paper tries to find clues of how we should understand the present multi-religious and multicultural South Korean society from Jeong Mong-ju's recognition of the religious change at the transitional time from Goryeo to Joseon.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was characteristic of political reforms, challenges and a dynastic revolution, which were highly related to religious changes, and there existed no supreme religion but a variety of religious traditions maintained each unique features and contributed to forming the cultural diversity of Goryeo, which is not consistent with James H. Grayson's claim that a specific religion was dominant or highly influential in each period of the Korean history. Jeong sought to harmony between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while he was critical of the Buddhism of his days and contributed to the shift from Buddhism to Neo-Confucianism as the leading religion. Also, he could develop religious tolerance by experiencing diverse religions from his frequent diplomatic visit to Ming China and Japan. This paper offers from Jeong's recognition of the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phenomenon at the transitional time, two keys to understand and react to the on-going religious changes in South Korea. First, Jeong, as a Confucian scholar, sought to understand the opposite religion, Buddhism and keep scholarly relationship with monks. As the number of immigrants to South Korea, whose religious backgrounds are diverse, grows, South Koreans, especially those of religion, need to understand and develop tolerance for other religious traditions. Second, Jeong tried to recognize the contemporary multicultural society of Goryeo. The immigrants to South Korea bring their own culture and South Korea is becoming culturally more diverse. Especially, as more immigrants from Islamic countries reside in South Korea, it needs to deepen its understanding of the Islamic culture.

      • KCI등재

        불교계 신생종단의 의미와 한계: 대한불교 원융종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분석

        박수호(Park, Su-Ho),김세현(Kim, Sae-Hyun)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1

        종교백화점으로 비유되는 한국사회의 다종교 현상은 다양성과 역동성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런 특징은 신흥종교운동의 출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오늘날 한국 종교의 변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신흥 종교운동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 이유이다.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이 논문은 대한불교 원융종의 사례를 통해 불교계 신생종단의 의미와 한계를 검토하였다. 먼저 한국 신흥종교 및 불교계 신생종단의 일반적 특성을 고찰한 뒤, 원융종의 창종 선언서에 나타난 창종 배경, 목적과 과제, 불교의 사명 등과 비교하여 원융종의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 다. 이어서 원융종이 당면하고 있는 현재 상황이 1970년대 이후 창종한 불교계 신생종단들에 대해 갖는 의미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70년대 이후에 창종한 신생종단들은 이전과 달리 불교계 내부의 갈등 관계 속에서 출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교리체계 및 의례는 완비하였으나, 독자적인 승려교육제도를 갖추지 못한 원융종은 종단의 명운을 가르는 갈림길에 서 있다. 셋째, 원융종의 향후 진로와 결과는 1970년대 이후 출현한 신생종단에게 일종의 시금석이 될 것이다. The multi-religious phenomenon of Korean society, which is regarded as a religious department store, is characterized by diversity and dynamism. This fea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emergence of new religious movements. This is why understanding of new religious movements is essential to explain the changing process of Korean religion today. As a result of this effort,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Buddhist new religious order through the case of Wonyung Order of Korean Buddhism. First, after exami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ew religious movements and new Buddhist Order in Korea, the characteristics of Wonyung Order of Korean Buddhism are derived in comparison with the foundation background, purpose and task, the mission of Buddhism in the ‘Founding Declaration’, and proposed the development plan of Wonyung Order of Korean Buddhism. In the following, we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present situation facing Wonyung Order of Korean Buddhism in new Buddhist Order since the 1970s

      • KCI등재

        다종교사회에서 복음주의 기독교의 전도전략 - 세속화와 탈세속화 이론을 근거로 -

        하도균,이경선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오늘날 세계화의 흐름 속에 다양한 종교들이 더욱 가까이에서 공존하고 교류하게 되면서 형성된 다종교사회는 기독교에 새로운 도전과 커다란 위협을 동시에 안겨주고 있다. 새롭게 형성된 다종교사회 속에서 교회가 어떻게 대응하며 교회의 사명을 이뤄갈지에 대한 고민과 모든 종교에 구원의 길이 있다는 다원주의의 사상의 도전 앞에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을 선포하는 복음 전도가 커다란 위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종교사회가 형성된 과정을 살펴보면서 종교다원주의의 흐름에 대해 진단해 보고 세속화와 탈세속화에 따른 다종교사회의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다종교사회가 우리에게 던져주는 도전들도 점검해 보았다. 다종교사회가 던지는 도전 앞에 기독교 내부에서 조차 다원주의적인 반응이 목소리를 높이며 기독교의 복음과 복음 전도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해 복음주의 운동은 복음에 대한 확신과 복음 전도의 열정으로 오늘날 다종교사회에서도 강력한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줄 것이다. Multi-religious society that was formed by the coexistence and interact of various religions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is bringing new challenges and great threats to Christianity. Because, in the newly formed multicultural society, the evangelism that proclaims only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had be under great threat by the concern about how the church should respond to the mission of the church and by the challenge of the pluralism which all religions have salv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examined the flow of religious pluralism according to looking at the process of forming a multi-religious society and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religious societies of diversification, secularization, and privatization. And I also have examined the challenges that this multicultural society is throwing at us. Because of the challenge of multi-religious society, even people who is within Christianity are questioning the gospel of Christianity and evangelism. Nevertheless, in this study, I have observed that today the evangelical movement with confidence in the gospel and with passion for evangelism can be a powerful breakthrough in multicultural society as well.

      • 개신교 입장에서 본 개신교 배타주의와 그 해법 모색

        장혜선(Hyesun Jang)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9 종교문화학보 Vol.6 No.-

        현재 한국교회가 직면한 위기중 하나는 타종교에 대한 배타주의의 문제이다. 본 글은 한국 개신교가 보이는 배타적 태도의 원인을 살펴보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다종교사회인 한국에서 종교간 평화 공존의 공동체를 실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국 개신교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배타적 태도는 개신교 본질의 배타적 태도와는 거리가 멀다. 개신교가 가진 종교본질의 배타적 진리주장이 반드시 타종교에 대해 배타적일 필요는 없는 것이다. 오히려 현재 한국교회가 보이는 배타주의적 태도는 종교의 역기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종교가 도그마티즘에 빠지거나 권력화 될 때 배타적 태도를 갖게 된다. 이는 개신교만이 아니라 모든 종교가 빠질 수 있는 병리적 현상이다. 현재 한국 개신교에 나타나는 배타적 태도는 한국적 상황에서 드러난 종교 이기주의적 태도가 그 원인이며 여기에는 신학적 보수주의의 문제가 놓여있다. 이러한 배타주의는 세 가지 방향으로 드러나는데 신학적 근본주의, 교회 절대주의, 타종교에 대한 배타적 태도이다. 현재 한국 개신교가 비난받는 배타주의는 타종교에 대한 배타적 태도이며 이러한 태도의 이면에는 신학적 근본주의와 교회 절대주의가 그 원인으로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 교회가 배타주의적 태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는 관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신학적 차원의 대안과 실천적 차원의 종교간 대화와 만남이 요구된다. 또한 공동체 영역에서 교육, 신자들의 삶의 변화를 추구하는 실제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첫째, 한국 개신교의 신학은 창조적인 한국적 신학으로 성장해야 한다. 신학적 근본주의의 틀에서 벗어나 문화신학, 종교 신학, 자연신학적 관점에서 신학적 균형을 회복해야한다. 둘째, 타종교와의 대화와 만남을 위해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 대화와 만남은 자신과 타종교를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셋째, 이러한 신학적 통찰력과 타종교 이해는 공동체의 교육에 반영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실천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다문화적이고 통합적이며 공동체적인 교회교육은 종교간 평화공존과 연대를 위해 필수적이다. 한국 교회는 심각한 종교 갈등을 가져오는 교권주의, 종교이기주의에서 비롯된 배타주의를 깊이 반성해야 한다. 한국에서 종교적 주류의 위치를 점하는 한국개신교는 이제, 그리스도를 본받아 더욱 섬기는 자세로 낮아지고, 겸손한 교회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One of the crises that Korean Church currently faces is deemed to be its exclusivism held against other religions. This study examines the causes of Korean Protestant Church’s exclusive attitude, and explores solutions to it. In Korea, a multi-religion society,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 community of peace between religions. Korean Protestant Church’s exclusive attitude problem is far different from the protestant church’s fundamental exclusive attitude. The protestant church’s exclusive, inherent insistence on truth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being exclusive against other religions. Rather, the current exclusive attitude held by the Korean Church should be understood to be a religious dysfunction. Religion, when engrossed in dogmatism or becoming a political power, will produce an exclusive attitude. This pathology concerns not only the protestant church but also all other religions. Korean Church’s exclusive attitude is attributable to a religious egoism created under Korean situations, and is also related with theological conservatism problems. This exclusivism is demonstrated into three directions; theological fundamentalism, church absolutism, and religious exclusivism. Behind the religious exclusivism, there are theological fundamentalism and church absolutism. To overcome its exclusive attitude, Korean Church needs to have a viewpoint of understanding itself and the world. To that end, theological alternatives and practical dialogue between religions are required. Education in the area of the community, especially, practical education geared toward encouraging believers to pursue a change in their lives, is required. Thus, a change must occur in these three categories. First, Korean Protestant Church's theology should be developed into a creative Korean theology. It should shed the framework of theological fundamentalism,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heology of culture, theology of religion and theology of nature, thereby recovering a theological balance. Second, Korean Protestant Church should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meeting and talking with other religions. Korean Protestant Church’s efforts for dialogue and meeting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itself and other religions. Third, these theological insights and an understanding of other religions should be reflected in the community education. Thus, a concrete change in behavior should be brought about. Multicultural, integrated, and community-based church education is essential for the peaceful coexistence and unity of various religions. Korean Church should deeply reflect on itself to address its exclusivism that comes from clericalism and religious egoism which bring about serious religious conflicts. The mainstream religion in Korea, Korean Protestant Church, should follow Christ, be humble to serve others, and become a modest church.

      • KCI등재
      • KCI등재

        Maria Harris’s Educational Theory Applied to the Korean Religious Context

        채혁수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3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how to apply ideas of Maria Harris’s educational theory to the Korean context. The traditional, the Korean context has various religious backgrounds. Therefore, we cannot impose our religion on a person of another religion. In this situation, spirituality is a good contact point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The same situation is found in industrialized Korean society. Also spirituality has become one of the larger issues for people in modern society. For Christianity, Francis of Assisi, Hildegard of Bingen, and Julian of Norwich have come into the spotlight again. It is because of the spiritual thirst that modern human beings needs the spiritual dimension of religion. Now, to share and communicate with other religions, spirituality is one of the important contact points. In spite of that, for many years, the spiritual aspect of teaching has been neglected in educational fields. Koreans have always had many spiritual elements in their traditional religions. In today’s situation, how do we Christians transfer our spiritual message to this multi-religious and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study, I will find these spiritual contact points between the Korean religious context and Maria Harris’ ideas of educational theory. How do the assertions of Maria Harris’s educational theory and Taoism and Buddhism differ on the same problems and issues? And what similarities and common contact points are there? These questions will be explored in more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