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stume Based on North American Life Styles by Region

        Jeongyeol Lee,Jaejung Lee,Eulyo Yun (사)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07 (사)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onference Vol.2007 No.1

        The North American region is a place where many different cultures coexist within a large territory. As a result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North American regions based on culture and lifestyle and to classify them by different styles that inspire designs in the fashion industry. Therefore, the most representative life styles by region in the North American region were categorized into 6 style such as New England Style, Mountain Style, Southern Style, Western Style, Hawaiian Style, and Heartland Style, observed the difference in lifestyle by regions, and evaluated how such styles are applied in modern fash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characteristics of costume based on each regional lifestyle are as follows. The New England Style placed importance on classic American style of the north eastern region and styles that reflect conservative nature could be seen most frequently. As American country style with the background of a food basket, clothes with simple styles quilting that use varying colors are characteristics of the Heartland Style. As a region of historical racial discrimination and the slave system, the southern style is expressed in flapper style of the jazz culture that focuses on fancy styles of the upper class and African Americans. With strong characteristics of a region with desolate desert as its state, the exquisite charm of detail such as western shirts and various articles with embroidery stand out in costume style of the western style. As a style that exudes toughness of nature, Navajo Indian patterns are frequently used in mountain style. As a region that cherishes the unique local traditions of the natives, styles that use bold colors and natural themes and motif are characteristic of the Hawaiian style.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stume Based on North American Life Styles by Region

        Jeongyeol Lee,Jaejung Lee,Eulyo Y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7 한국디자인지식학회 Conference Vol.2007 No.8

        The North American region is a place where many different cultures coexist within a large territory. As a result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North American regions based on culture and lifestyle and to classify them by different styles that inspire designs in the fashion industry. Therefore, the most representative life styles by region in the North American region were categorized into 6 style such as New England Style, Mountain Style, Southern Style, Western Style, Hawaiian Style, and Heartland Style, observed the difference in lifestyle by regions, and evaluated how such styles are applied in modern fash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characteristics of costume based on each regional lifestyle are as follows. The New England Style placed importance on classic American style of the north eastern region and styles that reflect conservative nature could be seen most frequently. As American country style with the background of a food basket, clothes with simple styles quilting that use varying colors are characteristics of the Heartland Style. As a region of historical racial discrimination and the slave system, the southern style is expressed in flapper style of the jazz culture that focuses on fancy styles of the upper class and African Americans. With strong characteristics of a region with desolate desert as its state, the exquisite charm of detail such as western shirts and various articles with embroidery stand out in costume style of the western style. As a style that exudes toughness of nature, Navajo Indian patterns are frequently used in mountain style. As a region that cherishes the unique local traditions of the natives, styles that use bold colors and natural themes and motif are characteristic of the Hawaiian style.

      • KCI등재

        百濟 石築山城의 城門構造와 變遷過程

        최병화 한국문화유산협회 2015 야외고고학 Vol.0 No.23

        산성의 성문은 출입을 위해 꼭 필요한 시설물이지만 방어에 취약한 곳이다. 따라서 성 밖의 적은 많은 화력과 전투력을 성문에 집중 시켰고, 성문은 성 전투의 주요접전지가 되었다. 성문은 전투기술의 변화에 따라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변모되었는데, 이 같은 현황은 입지, 출입구 형태, 통행로 바닥면, 측벽 선단부 구조 등에서 살펴진다. 백제 석축산성 성문 구조를 보면, 입지는 주능선 중앙·주능선 측면·비탈진 경사로구분되며, 출입구 형태는 개거식·엇문식·현문식·개거식의 현문化 등 네 가지로 구분된다. 통행로 바닥면은 대부분 內高外底의 계단과 같은 오름식 구조이며, 일부만이內外水平의 평탄식 구조이다. 측벽 선단부는 전면과 뒷면이 ‘곡면-곡면, 곡면-직각, 직각-직각’ 등 세 가지 구조가 확인된다. 이 같은 백제 석축산성 성문은 입지는 ‘주능선 중앙(개거식만)→주능선 측면(개거식, 엇문식)→비탈진 경사면(개거식, 엇문식, 현문식)’ 순으로 변화되었고, 각 산성내 출입구 형태의 조합은 ‘개거식+개거식→개거식+엇문식→현문식+현문식→개거식의 현문化’순으로 변화되었다. 입지와 출입구 형태는 초기 출입이 용이한 ‘주능선 중앙의 개거식+개거식(임천 성흥산성 동·남문)’구조에서 점차 출입이 어려운 ‘비탈진 경사면의 현문식+현문식(금산 백령산성 남·북문)’으로 변모되면서 방어의 효율성을 높였다. 또한 측벽 선단부는 ‘할석형 거친 성돌:직각-직각’ 구조에서 ‘방형·장방형 다듬은 성돌:곡면-곡면’ 구조로 변화되었는데(고사부리성 북문1·2차), 입지 및 출입구 형태와 함께 점진적으로 변화되었다. 성문의 변화는 기능에 따른 구조변화로서 백제의 북부와 동부를 포함한 중앙(수도)지역과 남부지역으로 양분된 초기형태에서 8차례 이상 점진적인 변화가 진행되었고, 그전개양상은 웅진으로 천도한 이후 6C말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 발전되었다. 한편, 한성기 토축산성으로 확인된 증평 추성산성 남성 내성 북동문지는 출입구 형태는 개거식, 입지는 길게 바깥으로 돌출된 성벽의 주능선 중앙에 위치, 문지 조합은 개거식+개거식만 축조되는 구조적 속성이 확인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임천 성흥산성 동문과 남문은 한성기 토축산성 문지와 동일한 구조적 속성을 지닌 석축산성 문지로서, 백제 석축산성 문지의 구조적 속성 가운데서도 가장 이른 형태의 구조가 적용된 것으로파악되었다. While the gate of mountain fortress is essential for access, it is vulnerable for defense. Accordingly, enemies outside the fortress concentrated fire force and fighting power on fortress gate and the gate was major combat filed. The gate has been transformed to enhance defensive power. Such status is examined in terms of location, doorway style, traffic route floor and sidewall fore-end structure. As for Baekje stone fortress gate structure, location is divided into branch ridge center, branch ridge side, and slant slop. Doorway style is divided into 4 including Gaegeoform, Eotmunform, Hyeonmunform and Hyeonmun style of Gaegeoform. Most traffic route floors are high outside and low inside stair escalating structure, and only few are internal and external horizontal flat structure. For sidewall fore-end, front and rear has 3 structures including ‘curve-curve, curve-vertical and vertical-vertical.’ Such Baekje stone fortress gate location was changed from ‘branch ridge center(Gaegeoform only)→branch ridge side(Gaegeoform, Eotmunform)→slant slope (Gaegeoform, Eotmunform, Hyeonmunform)’ and the assembly of doorway style was changed into the order of ‘Gaegeoform+Gaegeoform→Gaegeoform+Eotmunform→Hyeo nmunform+Hyeonmunform→Hyeonmun style of Gaegeoform.’ For location and doorway style, it was transformed from easy accessible Gaegeoform+Gaegeoform (East and south gate of Imcheon Seongheung Fortress)’ structure of ‘branch ridge center to restricted accessible ‘slant slope Hyeonmunform+Hyeonmunform (South and North Gate of Geumsan Baekryeong Fortress) to enhance efficiency of defense. And, for sidewall fore-end, it was transformed from ‘cut and rought stone: vertical-vertical’ structure to ‘square·rectangle trimmed stone: curve-curve’ structure (North gate 1, 2 of Gosaburi fortress) in gradual transformation with location and doorway style. The change of gate is a structural change by function, which had more than 8 times of gradual changes from its initial style divided into central (capital) area and south area including east and north of Baekje. Its progress was carried out by the end of 6th century when the capital was moved to Ungjin. Meanwhile, Jeungpyeong Chuseong Fortress south and internal fortress north and east gate which was confirmed as earthen fortress at Hanseong period had structural attributes including doorway style as Gaegeoform, location at branch ridge center of projected wall lengthy toward outside, and Gaegeoform+Gaegeoform. Regarding this, east gate and south gate of Imcheon Seongheung Fortress have same structural attribute of earthen fortress with earthen fortress at Hanseong period. It was found that the earliest style structure was applied among the structural attribute of gate of Baekje stone fortress.

      • KCI등재

        뻬뜨루솁스까야 산문의 문체적 특징 고찰

        김성완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terary style of Lyudmila Petrushevskaya, a Russian woman writer who takes a crucial position in contemporary Russian literature against a backdrop of general linguistic aspects appearing in contemporary Russian prose. It is advisable that studies on literary style should inevitably involve analysis on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style instruments that reveal any theme of a literary work from the macroscopic perspective with a view to following up the world view of author as revealed in his or her work. Based on a discussion that a style refers to a theme from the above standpoint, this study is focused upon how any linguistic form and content was revealed with style in works of Petrushevskaya becomes consistently unified with each other. Chapter 1 made a general examination into linguistic aspects shown in contemporary Russian prose, and Chapter 2 sought to make a further analysis on Petrushevskaya's short novel titled From the Mountain on the basis of discussions in preceding chapter. Here, it was most noticeable how narrator's viewpoint is expressed through frequent use of dissonant styles and inser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emplified actual cases that style instruments of From the Mountain, a work of Petrushevskaya under analysis were used again for her other work, so that it sought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her literary styles. 본 논문은 현대러시아 산문에 나타나는 전반적인 언어적 양상을 배경으로 현대러시아 문학에서 중추적인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류드밀라 뻬뜨루솁스까야의 작품에 나타난 문체의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문체연구는 작품에 드러난 작가의 세계관을 규명하고자 하는 거시적 측면에서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는 문체적 장치들의 기능과 효과에 대한 분석을 필연적으로 수반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입장을 토대로 본 논문은 문체가 곧 주제라는 논의에 입각하여 뻬뜨루솁스까야의 작품에서 문체로 드러나는 언어 형식과 내용이 어떻게 통일되어 있는가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의 두 번째 장에서는 현대러시아 산문에 나타나는 언어적 양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있으며, 세 번째 장에서는 앞장에서 살펴본 내용들을 토대로 뻬뜨루솁스까야의 단편, 「산으로부터」의 세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때 무엇보다 주목한 것은 문체적 불협화음과 삽입구문의 빈번한 사용을 통해 서술자의 관점이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분석 대상이 된 작품에 나타난 문체적 장치들이 다른 작품에서도 반복되는 경우들을 예시함으로써 본 논문은 뻬뜨루솁스까야의 문체가 가지는 전반적인 특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있다.

      • KCI등재

        뻬뜨루솁스까야 산문의 문체적 특징 고찰

        김성완(Kim, Sung-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terary style of Lyudmila Petrushevskaya, a Russian woman writer who takes a crucial position in contemporary Russian literature against a backdrop of general linguistic aspects appearing in contemporary Russian prose. It is advisable that studies on literary style should inevitably involve analysis on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style instruments that reveal any theme of a literary work from the macroscopic perspective with a view to following up the world view of author as revealed in his or her work. Based on a discussion that a style refers to a theme from the above standpoint, this study is focused upon how any linguistic form and content was revealed with style in works of Petrushevskaya becomes consistently unified with each other. Chapter 1 made a general examination into linguistic aspects shown in contemporary Russian prose, and Chapter 2 sought to make a further analysis on Petrushevskaya’s short novel titled From the Mountain on the basis of discussions in preceding chapter. Here, it was most noticeable how narrator’s viewpoint is expressed through frequent use of dissonant styles and inser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emplified actual cases that style instruments of From the Mountain, a work of Petrushevskaya under analysis were used again for her other work, so that it sought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her literary styles. 본 논문은 현대러시아 산문에 나타나는 전반적인 언어적 양상을 배경으로 현대러시아 문학에서 중추적인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류드밀라 뻬뜨루솁스까야의 작품에 나타난 문체의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문체연구는 작품에 드러난 작가의 세계관을 규명하고자 하는 거시적 측면에서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는 문체적 장치들의 기능과 효과에 대한 분석을 필연적으로 수반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입장을 토대로 본 논문은 문체가 곧 주제라는 논의에 입각하여 뻬뜨루솁스까야의 작품에서 문체로 드러나는 언어 형식과 내용이 어떻게 통일되어 있는가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의 두 번째 장에서는 현대러시아 산문에 나타나는 언어적 양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있으며, 세 번째 장에서는 앞장에서 살펴본 내용들을 토대로 뻬뜨루솁스까야의 단편, 「산으로부터」의 세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때 무엇보다 주목한 것은 문체적 불협화음과 삽입구문의 빈번한 사용을 통해 서술자의 관점이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분석 대상이 된 작품에 나타난 문체적 장치들이 다른 작품에서도 반복되는 경우들을 예시함으로써 본 논문은 뻬뜨루솁스까야의 문체가 가지는 전반적인 특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있다.

      • KCI등재

        中島式土器의 由來에 대한 一考

        盧爀眞 호남고고학회 2004 湖南考古學報 Vol.19 No.-

        중도식토기 문화유적이 집중적으로 발굴된 강원도권의 동해안과 북한강 및 남한강유역의 문화양상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중도식토기 및 그 문화의 동북전파가설을 제시하였다. 중도식토기 및 그 문화는 러시아 극동의 끄로우노프까문화의 외반단경 무문토기 전통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독특한 무문토기 전통은 한반도 동해안의 함경도와 강원도를 거쳐 남하하였고, 태백산맥을 건너 북한강의 수계를 따라 한반도 중부권으로 확산되었다. 이러한 문화확산 현상은 강원도 동해안의 중도식토기(외반단경 무문토기) 유적과 그에 앞선 무문토기문화 유적의 존재양태에 비추어 볼 때 기존의 토착 무문토기집단이 새로운 문화전통이나 요소를 수용한 결과로 볼 수 없으며, 새로운 집단의 동해안 루트를 이용한 한반도 안으로의 확산현상으로 보아야한다 따라서 중도식토기문화의 담당집단은 러시아 극동일대로부터 강원 영동의 남부지 역인 동해시에 이르는 동해안 일원 의 '중도식토기-타날문토기-독특한 주거지-철기' 등으로 구성되는 철기문화의 기층집단을 형성 하였으며, 지역별로 독자적 정치체로 분립되었다. 즉, 그들의 모체집단이 공유한 대표적 전통이 중도식토기이며, 이러한 기본전통 및 공반문화 요소들이 지 역-시기 별로 분화되고 변화발전한 결 과 연해주일대, 함경도, 강원영동, 강원영서 및 한강권 등 지역별로 토기양식, 공반유물, 주거지구 조, 취락입지, 철기요소 등의 차이를 이룩한 것으로 본다. 특히 강원도와 중부권에서 중도식토기와 공반되는 타날문토기 및 회색토기 요소는 회색토기가 漢문화요소가 유입된 것과 마찬가지로 타날문토기도 외래적인 요소로서 구체적인 수용의 경로는 앞으로 구체화시켜야 하겠으나 중도식 토기의 모체집단이 두만강권으로부터 강원도 동해안으로 확산하는 어느 시점에서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Discussing on the cultural patterns in the regions of Mountain East of Kangwon Province as well as the North and South Han River, where a number of so called 'Chungdo Style Plain Pottery Culture' sites were recently excavat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northeastern diffusionary route was proposed. In terms of cultural tradition as well as diffusionary route, the Chungdo Style Plain Pottery is connected to the plain pottery of the Krounovka culture in Russian fareastem region. This cultural tradition involving the pottery spread down along the Korean East Coastal corridor into Hamgyong and Kangwon regions, and thereafter into the west-central region along the streamline of the Han River having crossed the Taebaek Mountain. This process of cultural development must be understood as an introduction of a new cultural tradition into Korea according to the new people's movement instead of taking it as the inception of foreign cultural tradition by the people preexisting in Korea, because of the unique distinction in residential pattern between the Chungdo Style Plain Pottery Culture and the preexisting Mumun Pottery Culture. In the course of such movement down along the East Coastal region of Korea, the new people settled down branching into a number of regional societie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ir own individual polity, as seen not only in common traits involving the Chungdo Style Plain Pottery, the Stamped Pottery, the house shape and iron tools, but also in their regional clustering according to corresponding political society. As for the occurrence of the stamped grey pottery with the Chungdo Style Plain Pottery, that is the handmade plain pottery with flaring short neck, it must have been incepted at certain point of time in the course of people's movement carrying the Chungdo Style Pottery along the East Coastal region of Korea.

      •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 출토 신라 하찰목간의 형태와 제작지의 검토

        전덕재(Jeon Deogjae) 한국목간학회 2009 목간과 문자 Vol.3 No.-

        본 논고는 함안 성산산성에서 출토된 목간의 형태와 아울러 그것의 제작지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함안 성산산성 출토 하찰목간은 크게 단책형과 V자형의 홈이 파져 있는 것으로 구분되며, 전자에 비하여 후자가 많은 편이었다. 목간들을 상호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형태상 일정한 정형성을 추출할 수 없었는데, 이는 국가 또는 上州에서 목간의 규격이나 형태에 대하여 규제하지 않았음을 반영한 것이다. 목간의 묵서는 대체로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내려가면서 표기한 것이 대 부분을 차지하였다. 행정촌의 명칭인 仇利伐, 及伐城, 甘文, 仇伐, 買谷村이라는 지명이 표기된 목간들의 형태와 서체를 상호 비교한 결과, 지명이 같은 목간의 경우 형태상에서 일정한 정형성이 발견된다거나 서체가 동일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자연촌명이 묵서된 목간의 서체가 일부 행정촌명이 보이는 목간의 서체와 일치되는 경우가 여럿 발견되었다. 이러한 사실들을 통하여 중고기에 행정촌 단위로 목간을 제작하고 書寫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아마도 자연촌의 주민들이 직접 자기가 납부할 곡물을 자루나 상자에 넣어 행정촌에 가지고 갔고, 문척과 같은 행정촌의 관리들은 그들에게 정확한 거주지와 더불어 곡물의 종류, 수량 등에 대하여 물어본 다음, 그 내용을 미리 제작한 목간에 묵서한 것으로 짐작된다. 그 후 행정촌의 관리들은 수취물에 부착한 목간 이외에 동일한 내용의 목간을 검수용으로 하나 더 제작하여 상위의 행정기관인 上州 또는 상산산성에 이송하거나 또는 그것들에 관한 정보를 종이문서에 적어 상주 또는 성산산성에 보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investigating shapes and manufacturing location of Silla’s Wooden tablets for name list of supplies which were excavated from the Haman Seongsan mountain fortress. The Wooden tablets for name list of supplies could be divided as the single volume style and the V groove style. The latter have more numbers than the former. Comparison of the Wooden tablets resulted that there was no standardized pattern in shape. This result also indicated that there was no regulation for the Wooden tablets from the government or Sangju. Most of the black writing on the Wooden tablets were written from the top to bottom. The Wooden tablets from the same adminstrative village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shape and the writing style.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Wooden tablets which have the same name of the location shows the same style of shape and the same writing style. In addition, in many cases, the Wooden tablets which has the natural village shows the same writing style with the administrative village. Through these factors, the Wooden tablets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village unit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It seems that the natural village people brought their tax payment in boxes and bags to the administrative village, and the government official such as Munchuk wrote their exact location, the kind, and the quantity on the previously manufactured Wooden tablets. These inferences could lead to the further assumption that the government officials made the same Wooden tablets to recheck beside the attached Wooden tablets on the received tax payments. These additional Wooden tablets or its paper written informations might send to the higher administrative office such as Sangju or Seongsan mountain fortress.

      • KCI등재

        일본 소재 조선 전기 釋迦說法圖 연구

        박은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石堂論叢 Vol.0 No.50

        Most of the topics of the Buddhist Painting in the late Goryeo dynasty are Amitabha, Avalokitesvara, and Ksitigarbha, while a tiny minority of Sakyamuni Paintings are remained. However,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釋迦說法圖) increases in 15~16th century of Joseon Dynasty. There are the ten pieces of the paintings in Japan and the six pieces of the paintings in Korea, Europe, and America, making the total sixteen pieces of the paintings remained so far. after attainment of perfection until nirvana, Sakyamuni had preached to many people for 45 years. It is an interesting that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 described Sakyamuni as a teaching leader is considered generally as Painting of Yongsanhuesang(靈山會上圖) drawing of Sakayamuni’s studying of the ‘Sutra of the Lotus’(法華經) in Gisagul or Youngchui mountain(祇闍崛山 or 靈鷲山). Therefore, in this paper, it is hard to understand that every painting drawing the Sakayamuni’s preaching is the meeting of the preaching Sutra of the Lotus in gisagul mountain. In other words, Yongsanhuesangdo is a painting described preaching Sutra of the Lotus to people in Gisagul mountain (Youngchui mountain), and a painting drawing generally a scene of Sakayamuni’s preaching including Yongsanhuesangdo is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 The paintings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were classified by the five types based on the compositions of the icons, and according to that classification, the two points were examined: a concept and a enshrinement place. There were the three points discovered that The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herits the point of the traditional icon of Sakyamuni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 second point is that Hangmain(降魔印), the hand form meaning the submission of the devil, is imported as a new icon of Sakyamuni. The last point is that new elements are consolidated with the Hangmain icon. There are some changes in Sakymuni on the painting that Hangmain, a shape of topknot(肉髻), a precious bead on topknot(頂上髻珠), a halo of lotus style(蓮瓣形 光背), and a pedestal of a lotus style expressed up and down symmetry(上下對稱 蓮瓣臺座). Moreover, the Four Devas who has a mandolin and questioner icon are appeared in earnest.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These changes were uprising at that same time in the beginning to the early Joseon dynasty. These new elements on the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re confirmed to the Sutra print(經板畵)based on printed books in Ming dynasty: ‘Sutra of the Lotus’(妙法蓮華經)(1459) in Sairai-temple(西來寺), Japan and ‘Sutra of the Lotus’(1463) published by the government office for the buddhist scriptures(刊經都監). In this point, these prints published around a palace affected the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Assemb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se changes on the painting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diffused other icons, and influenced posterity icons. As a result of impacts, the one stem of th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developed. 고려 후기 불화는 아미타여래와 관음․지장보살 도상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반면, 석가여래 도상은 극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조선 전기 15~16세기에 석가설법도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현재 일본에 10점, 국내 및 구미지역에 7점, 총 17점이 남아 전하고 있다. 석가는 성도(成道)이후 열반(涅槃)에 이르기 직전까지 수십년간 설법의 행적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석가가 설법주(說法主)로서 묘사된 석가설법도에 관해 보편적으로 기사굴산(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한 영산회상도로 인식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석가설법상을 주제로 그린 불화중 기사굴산에 모여든 청중들에게 법화경을 설한 장면을 묘사한 것을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라 일컫되, 영산회상도를 포함해 석가가 설법을 행한 보편적인 연행 장면은 석가설법도(釋迦說法圖)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일본 소재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를 비롯해 국내외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의 사례를 도상구성에 따라 다섯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의미와 봉안장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에는 고려 후기 석가의 전통도상을 계승한 요소와, 석가의 신도상인 항마인 수용과 함께 새롭게 등장하는 요소들이 혼재한다는 사실을 총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석가 본존상에 보이는 새로운 변화상으로는 항마인과 정상계주, 연판형 광배와 연판장식 대좌 등이다. 그리고 석가의 권속 가운데 비파 지물의 사천왕상과, 보살형의 단독 청문자상이 본격적으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새로운 변화상들은 조선 15~16세기에 일괄적으로 보인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에 보이는 새로운 요소들은 명대 판본을 모본으로 개간된 것으로 알려진 일본 사이라이지[西來寺] 소장 묘법연화경(1459), 다시 이를 모본으로 번각된 1463년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묘법연화경 등과 같은 경판화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왕실주변에서 간행된 이들 판화가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것을 알 수 있다.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에 보이는 새로운 변화상들은 석가 이외의 타 도상으로도 확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후대 도상에도 영향을 주어 조선 후기 불화 도상의 한 줄기를 형성해 나갔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芝山 曺好益의 <遊妙香山錄>에 대한 고찰

        전송열 열상고전연구회 2008 열상고전연구 Vol.28 No.-

        <The book of sightseeing in Myohyang Mountain> was written by Jo Ho-yik (1545-1609). This book was the first sightseeing book in Myohyang Mountain in Joseon Dinasty. Many other sightseeing books were written on the same string, but Jo Ho-yik wrote the book with his own characteristic view that he saw, felt, enjoyed, and interpreted the Myohyang Mountain. He was not only seeing the mountain with sightseeing view, but also poured the spirit and contemplation of Sung Confucianism scholar onto his book. Even though he did not depict the mountain beautifully and literalily, but recognized the mountain as the place for deep reflection. Especially, this book was organized by illustrations of sixteen types, but these types was not discovered in any other sightseeing books. He was sussessful in expression of the mountain. <유묘향산록>은 지산 조호익(1545~1609)이 쓴 유산기로 조선조에 들어서 지어진 묘향산에 대한 유산기 중 최초의 본격적인 유산기로 손꼽힌다. 이 유산기는 조선조에 창작된 수많은 유산기들이 거의 천편일률에 가까운 형태를 지니고 있음에 비해 자신만의 독특한 관점에서 산을 바라보고 느끼고 즐기며 해석했다는 점에서 확연히 구분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즉 산을 단순히 유람의 대상으로서만 바라보지 아니하고 그 산을 통하여 성리학자로서의 깊은 관조와 정신을 글 속에 투영했다는 점이다. 비록 아름다운 문학적 묘사에 치중하지는 않았지만 산을 또 다른 깊은 성찰을 체득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특히 이 유산기에서 사용된 열여섯 가지 삽화 형식의 구성은 다른 유산기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 그 표현의 방법에 있어서도 성공한 유산기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전통연희의 도상성과 미학 - 경복궁 중건 시역 때의 대공연을 중심으로 -

        윤주필 열상고전연구회 2013 열상고전연구 Vol.38 No.-

        1865년 경복궁 중건 시역 때 놀아졌던 대공연은 한국 전통연희의 도상성과 미학적 질서를 전해준다. 그것 은 인공 무대를 활용한 산희(山戱) 방식의 길놀이와 마당을 이용한 야희(野戱) 방식의 판놀이로 대별된다 . 전자에서는 <금강산>, <연화대>, <서유기>가 유명했다. 이들은 기존의 고사나 선행 연희에 가탁하는 연출 원리를 구사하면서, 상하 질서를 옹호하고 숭고한 미의식을 나타내며 경복궁 중건에 대한 송축의 도 상성을 띠었다. 후자에서는 <탈춤놀이>가 눈에 띄고, <범탈놀이>를 계승한 <호렵도>가 유명했다. 이들 은 그 자체의 사건을 전개시키면서, 부역터의 사방 질서를 옹호하고 골계미를 나타내며 투쟁과 노동의 도 상성을 띠었다. 그러나 산희와 야희, 길놀이와 판놀이는 대립적이면서도 전체적으로는 신명풀이 미학을 구현했다. 이를 산대놀이의 파계승 과장으로 추정되는 <탈춤놀이>, 대공연의 마지막을 장식한 <백자도놀이>를 통해 분 석할 수 있었다. 그러한 미학은 싸움의 승패를 난장춤과 타령소리를 통해 화합으로 바꾸거나, 어린애들의 산만한 행위와 송축 행위를 통합하면서 수직적 질서의 유연함을 확장하는 연출 방식에서 나타났다. 산희 와 야희는 독자적 연출 원리를 지니고 있지만, 신명풀이의 미학에 의해 상하․사방의 질서를 통합한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공연문화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grand festivities, which performed at starting work of Choson royal palace Keong-Bok-Gung's rebuilding 1865, lets us know the iconicities and aesthetic orders of Korean traditional play. Its divide broadly into 2 groups, processing play of mountain stage style and ground play of field stage style. The former were <Mt. Geumgang>, <Stage of Lotus> and <The Monkey Goes to West> famous. These had the pretending dramatugies on old stories or preceding rites, supported vertical order, and were in iconicity of blessing on Keong-Bok Palace's rebuilding. The latter were <Play of Korean Mask> outstanding, <Painting of Tiger Shoot> which suceeded the legacy of <Play of Tiger Mask> famous. These performed the dramatugies of events themselves, supported horizontal order of the work place, and were in iconicity of struggle and labor. However, although processing play and ground play, or mountain stage style and field stage style were oppositive, they generally realized aestheics of Shinmeong-Puri. I analyzed it through the act of apostate monk in <Play of Korean Mask>, <Play of 100 Children Screen-Painting> which performed lastly. The aestheics came out from the dramtugies that the former changed victory and defeat of the struggle into harmony by the orgy dance and the song of Ta-Reong, or the latter enlarged flexibility of the vertical order by the combination between loose acts of the children and ritual ceremony of ble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