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지성의 연구활동과 근대불교학 정립

        이봉춘(Bong Choon L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8 佛敎學報 Vol.0 No.48

        근대 불교지성의 연구 활동과 근대 불교학의 정립을 살피는 일은 곧 한국불교의 근대정신 및 근대성을 이해하는 작업으로서도 일정한 의미를 갖는다. 근대 불교학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한국불교가 처한 대전환기적 시대상황과 함께 불교지성의 다양한 동향 속에서 싹트고 성장해 왔다. 즉 근대사회로의 급격한 변화와 일본의 식민정책 하에서 교육·문화·불교개혁·외국유학 활동 등 불교지성들의 근대적 지적 동향을 바탕으로 근대 불교학이 싹트고 성장해 온 것이다. 근대 불교학을 이끌어 온 주역들은 물론 그런 시대상황과 동향 속에서 형성된 일단의 불교학자들이었다. 근대 불교학자군에 포함시킬 수 있는 인원은 대략 20명 내외로 헤아려지며, 학문적 배경 및 연구 성향에 따라 이들은 다시 몇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통교학자, 실천적 교학자, 유학 출신 신진학자의 그룹이 그것이며, 한국불교학 연구에 기여한 일본인 학자들도 한 그룹을 이룬다. 이들 근대불교학자들은 몇몇을 제외하고 는 거의 대부분이 在俗者로서 생활했던 승려신분으로, 이런 현상은 당시 한국불교의 한 특징적인 時流를 반영한다. 어쨌든 종교적 과제를 안고 있는 승려이자 학문적 과제를 추구해야할 불교학자로서 이들의 신분적 자각은 불교학 연구 활동의 기본적 배경이 되었다. 또한 일본의 불교문화 및 근대화된 불교학의 영향 그리고 불교 지성계 전반의 근대에 대한 시대인식 속에서 표출되고 있는 활발한 불교개혁론의 제기, 신학교기관을 통한 청년교육 활동, 근대적 지적활동으로서의 다양한 불교잡지의 간행과 논문 발표 등은 불교학 연구의 또 다른 배경을 구성한다. 근대 불교학자들이 이룩한 연구업적은 양적인 면에서 의외로 방대하며 연구주제 와 내용 또한 다양하고 풍부한 편이다. 근대 불교학의 정립은 곧 이같은 학문적 업적과 성과를 말함이다. 따라서 그것을 ①불교학 기본자료 ②한국불교·한국불교사 ③교학 및 불교사상 ④석가모니·인도불교 ⑤불교신앙 및 포교 ⑥종교사·종교학 ⑦불교사회·문화·기타의 주요 연구분야로 묶어 검토할 때, 우리는 근대불교학의 대략적인 윤곽을 그려볼 수 있다. 이 가운데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분야는 ②와 ③이다. 근대 불교학 연구의 출발 계기와 주요 과제가 우선 한국불교의 정체성 확립에 있었다 할 때 한국불교 및 한국 불교사 분야에 연구의 관심과 노력이 집중되고 있음은 당연한 현상이다. ②의 분야가 주로 전통교학자들에 의해 큰 성과가 나왔다면, ③의 교학 및 불교사상 분야에서는 신진학자들의 연구 개척 노력이 돋보인다. 근대불교학은 물론 그 자체로서 완성태는 아니다. 근대정신 및 근대성에 합당한 연구 업적과 성과를 충분하게 이루었다고 말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연구들을 통해 근대 불교학이 정립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이후 한국불교가 불교학 연구에 더욱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수 있게 되었음은 분명한 일이다. Observing carefully the research activities of Korean Buddhist intellectuals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n Buddhist studies in modern ages has some meaning as the work to be able to understand both the modern spirit and the modernity of the Korean Buddhism.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has been sprouted up and grown up by various research activities of Buddhist intellectuals with the trend of the times and the great turning point of Korean Buddhism between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early of the twentieth century. In other word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and rapid change into modern society,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has been built up and grown up by the Buddhist intellectuals based on their modern intellectual trend such as education, culture, Buddhist reformation and the activities during their studying abroad. In brief, the leading Buddhist intellectuals of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were such Buddhist scholars as were built up in the trend and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ose who belong to the modern Buddhist scholars are roughly estimated some 20 and they are able to be divided into a few groups by their scientific backing or their research disposition. Traditional Buddhist scholars, practical Buddhist scholars, new Buddhist scholars who studied abroad, and Japanese Buddhist scholars who contributed to the Korean Buddhist studies form those groups. Those modern Buddhist scholars were mostly married Buddhist monks except some, which reflected the Japanese Buddhist tradition and such tradition was the characteristic current in the Korean Buddhism of the times. Anyway, though they were the Buddhist scholars who had religious problem as the priest and obliged to investigate academic task, the awareness of their social status became the basic background on the research activities concerning Buddhist studies. In addition, the Japanese Buddhist culture, the influence of Japanese modernized Buddhist studies, and the awareness of the Korean Buddhist intellectuals of the times formed the other background on the research of Buddhist studies.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modern Buddhist scholars are not only unexpectedly massive in terms of quantity, but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studies are also various and plentiful. For the reasons stated above, the formation of modern Buddhist studies stands for the research achievements and the results on Buddhist studies. Accordingly, we would be able to grasp the general outline of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as follows: ①Basic materials for Buddhist studies ②Korean Buddhism and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③Buddhist studies and Buddhist thought ④Sakyamuni and Indian Buddhism ⑤Buddhist faith and missionary work ⑥The history of religion and the science of religion ⑦Buddhist society, Buddhist culture, and other subjects. Among the above ② and ③ are especially remarkable fields of study. As the start opportunity and main problem for modern Buddhist studies were chiefly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for the Korean Buddhism, it was natural phenomenon that modern Korean intellectuals exerted all possible efforts on both fields of Korean Buddhism and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While traditional scholars produced good results on both fields of ②Korean Buddhism and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on the other hand new intellectuals had excellent results on both ③Buddhist studies and Buddhist thought. It is true that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might not be a complete state in itself, for it did not accomplish perfectly the research achievements and results in terms of modern spirit and modernity. And yet, as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could be settled through the above all possible efforts on various research activities by modern Korean intellectuals, it is obvious that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earch activities the Korean Buddhism has been able to open a new skyline on the Korean Buddhist studies and research activities.

      • KCI등재

        동아시아 근대불교의 지향과 굴절

        조명제 ( Cho Myung-j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7

        근대불교는 서구 근대에 대응하는 전통의 축이며, 단순히 전통을 계승한 것이 아니라 근대에 새롭게 재구축된 종교, 사상이었다. 또한 동아시아에서 근대불교는 각국의 상황에 따라 형성되고 전개되었지만 공통적인 양상도 존재하였다. 이 글에서는 동아시아 불교계에서 근대불교학의 수용과 재가주의 불교의 전개를 통해 불교의 근대화가 어떻게 모색되었으며, 그 한계가 무엇인가를 검토하였다. 일본불교는 유학생을 통해 19세기 유럽에서 형성된 문헌학적 근대불교학을 수용하였으며, 제국대학과 불교계 사립대학을 통해 근대불교학의 제도적 기반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일본불교는 불교학계가 현실에 무관심하거나 불교계가 자신만의 영역을 고수함으로써 불교학과 불교계가 분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헌학적 불교학의 성격과 관련되지만 근본적으로 일본불교계가 근대불교의 방향과 관련된 문제의식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였던 한계, 나아가 국가권력과 유착하여 내셔널리즘에 경도되었던 사회인식의 한계와 관련된다. 중국의 지식인들은 서양사상을 이해하고 그것에 대항하는 기초로서 불교에 관심을 가졌다. 그들은 유식학을 높게 평가하면서 참된 불교로 돌아가자는 사상운동을 전개하였다. 불교는 내셔널리즘과 연계하여 중국의 국민국가 형성을 위한 이데올로기로 활용되었다. 식민지조선에서는 일본 유학을 통해 근대불교학을 수용하였고, 지식인 승려들이 불교 근대화를 모색하였다. 그러나 한국불교는 식민지라는 현실, 제도적 기반의 한계 등으로 인해 근대화의 추진이 굴절되었다. 한편, 재가주의 불교는 기성 교단의 틀에 구애되지 않고, 적극적인 사회 참여를 모색하였다. 재가주의 불교의 대두는 동아시아에서 공통적인 현상이지만 일본불교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일본의 재가불교는 청년 지식인층이 주도하고 다양한 결사운동과 잡지 발행을 통해 전개되었으며, 신불교운동은 그 대표적인 흐름이다. 또한, 재가불교는 니치렌계 불교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나며, 특히 다나카 치가쿠의 국주회를 중심으로 한 니치렌주의 운동으로 대표된다. 치가쿠의 니치렌주의 운동은 민중적, 종교적 내셔널리즘이면서 국가신도에서 보편적 성격이 결여된 한계를 보완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 Modern Buddhism is an axis of the tradition in response to modern West, and not just a succession of tradition but a religion and philosophy newly reconstructed in the modern age. Although modern Buddhism in East Asia was formed and developed in a variety of forms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f different countries in the region, there are some common aspects. This paper examines how modernization of Buddhism was pursued through modern Buddhist studies and secularist Buddhism, which characterized modern Buddhism in East Asia, and what its limitations are. Through students who went over to Europe for study, Buddhism in Japan embraced modern Buddhist studies centered on philological aspects which developed in the nineteenth-century Europe. It continued to build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of modern Buddhist studies via Imperial University and private colleges of Buddhism. Due to the separation of Buddhist studies and Buddhist faith, however, Japanese Buddhism showed limitations that Buddhist studies ignored the social reality or those who practiced Buddhism confined themselves to their own known territory. This may be related to the nature of Buddhist studies focusing on philological approach, but ultimately it pertains to the limitations that Buddhist scholars had no well-informed perception of the direction of modern Buddhism. Japanese Buddhism also readily compromised with the state power to be exploited as a national ideology. The intellectuals of China took interest in Buddhism as a basis to understand and stand against Western thoughts. While esteeming Yogacara Thought, they spread ideological movements arguing for return to authentic Buddhism. Linked to nationalism, Buddhism was mobilized as an ideology for the formation of the nation state of China. Korea under the colonial rule of Japan accepted modern Buddhist studies by the hands of those who went over to Japan for study, and the intellectual monks who mostly studied in Japan sought modernization of Buddhism. However, due to the reality of colonial rule as well as insufficient institutional foundation, Buddhism in Joseon showed clear limitations in its pursuit of modernization. Meanwhile, secularist Buddhism, which is a common feature of modern Buddhism, did not sick to the frame set by conventional Buddhism and groped for active social participation. Although secularist Buddhism is a phenomenon commonly observed throughout the East Asian region, it is particularly prominent in Japanese Buddhism. Secularist Buddhism in Japan was led by young intellectuals and expanded its area through diverse movements and organizations as well as publication of magazines. The Movement of New Buddhism is typical of such efforts. On the other hand, secularist Buddhism is particularly manifest in the Buddhist denominations of the Nichiren school, represented by Kokutyukai(國柱會) led by Danaka Chigaku. Buddhist movement of the Nichiren school was popularist and religious nationalism, yet at the same time it was a complement to the limitations of national Shinto which lacked universality.

      • KCI등재

        金法麟과 한국 근대불교

        김상현 한국불교학회 2009 韓國佛敎學 Vol.53 No.-

        Beomsan Kim Beop-rin (梵山 金法麟 1899~1964) was an intellectual who studied in France, independence activist, and leader of Korean Buddhist society at the time of his country’s restoration of independence. He also served as the president of Dongguk University and the Minister of Culture and Education. He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rson in Korean modern Buddhism. Thus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his place and role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Buddhism by analyzing his approach to modernized Buddhist studies and his idea of popular Buddhism. He pointed out that the modernization of Buddhist studies was an important and urgent task. “With a new approach and a new standpoint, we should improve Buddhist studies to keep pace with current thoughts and new thoughts of people.” said Kim Beoprin, stressing the need of a new approach to Buddhist studies. The new Buddhist study he asserted was focused on original Buddhist scripts. This is distinct from the traditional Buddhist studies which were focused on Chinese translated Buddhist scripts. His understandings on the science of bibliography was pioneering at the time. He once opened classes of history and Buddhism in Dasolsa Temple, Haeinsa Temple, and Beomeosa Temple to enhance nationalism. Especially the school in Dasolsa Temple was distinct from the existing pre- modern schools at the time. It was established on the purpose of cultivating men of ability by teaching general knowledges which Buddhists can apply in their real life. In July 1963, he assumed the presidency of the Dongguk University and tried to enhance Buddhist studies.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uddhist education. But, unfortunately, he passed away before he accomplished his goals. He led Korean Buddhist society as the president of Buddhist Association right after Korea regained independence. At the time, the Buddhist society was divided into groups; Kim Beoprin’s group and reformist Buddhist groups. His group aimed to enhance popular Buddhism for the general public while the other groups tried to establish a Buddhist sect which is constituted only with a Buddhist monk, not anyone else. Even though he experienced modernized Buddhist studies and presented new approach to the studies, he couldn’t get successful results from his own study. His trial of new Buddhist education in 1930s couldn’t last for a long time, and his idea of popular Buddhism was totally excluded from Buddhist society after 1950s. Regardless of his failure, his approach to modernized Buddhist studies and his idea of popular Buddhism can be evaluated as a pioneering one. 한국 근대불교를 논의하려 할 때 梵山 金法麟(1899~1964)은 그 대상에서 빼기 어려운 인물이다. 그는 프랑스에 유학을 다녀온 지식인이면서 독립운동가였고, 해방 직후의 불교교단을 선두에서 견인했을 뿐만 아니라, 문교부장관 및 동국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던 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김법린이 제창했던 근대불교학의 연구방법과 그가 구상했던 근대적인 대중불교 등을 검토함으로써 한국 근대불교사에서의 그의 위치와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다. 그는 불교학의 현대화 문제는 중대하고 긴급한 것임을 지적하면서, “새 입장, 새 방법으로서 시대의 새 정신과 대중의 새 의식에 적응하고 이해되도록 교학을 새롭게 천명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조하면서 불교학 연구 방법의 개선을 주장했다. 그가 강조한 신불교학은 漢譯 중심의 전통 불교학에서 탈피한 원전연구가 그 중심인데, 그의 문헌학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이해는 당시로서는 선구적인 것이었다. 김법린은 多率寺, 海印寺, 梵魚寺 등의 講院에서 불교와 역사 등을 강의하며 독립의식을 고취시키기도 했다. 특히 ‘현대 불교도에게 필요한 일반 학술에 관한 지식 기능을 교수하여 실제생활에 적절한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설립했던 다솔사강원은 전통강원과는 다른 근대적 강원이었다. 불교교육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던 그는 1963년 7월 동국대학교 총장에 취임하여 학문 제일주의를 표방하며 노력하다가 1년도 못되어 순직함으로써 꿈을 접었다. 해방 직후 불교교단은 김법린을 중심으로 한교단 측과 불교혁신단체들과는 서로 입장을 달리했는데, 교단 측은 대승불교의 건설을, 혁신단체는 비구승단의 건설을 지향하고 있었다. 해방공간에서 김법린 등이 건설하고자 했던 대승불교는 구체적으로는 대중불교였다. 서구의 근대불교학을 직접 접하고 문헌학적 연구방법론을 누구보다도 잘 알았던 김법린, 그러나 그 자신은 학문적 성과를 내지 못했다. 1930년대 전반 김법린이 시도했던 새로운 강원교육도 지속되지 못했고, 해방공간 그가 건설하고자 했던 대중불교도 1950년대 이후의 불교계에서는 철저히 배제되었다. 그러나 성공과 실패의 문제를 떠나 그가 제시했던 근대불교학 연구방법과 그가 건설하고자 했던 대중불교는 선구적인 것이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중국 근대불교학의 탄생』에 대한 고찰

        조병활(Cho Byung-Hwal) 영남퇴계학연구원 2019 퇴계학논집 Vol.- No.24

        근대시기 중국에서 일어난 불교학(불학)의 발흥을 어떻게 볼 것인가는 한국의 중국학 연구자들이 크게 주목한 분야는 아니었다. 그러나 중국정부가 현재 불교와 불교학의 진흥을 적극 지원하고 있고, 수많은 중국의 대학들에서 매년 적지 않은 수의 불교 관련 박사학위논문들이 출간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 근대불교학의 태동을 소홀히 해서도 안 된다. 특히 현대 중국의 불교학은 대체로 중국 근대불교학의 연장선상에 서있다는 점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중국 근대불교학의 탄생󰡕은 이런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충분한 저서다. 그래서 중국역사에서 근대시기를 언제부터로 보아야 되는지, 중국 근대불교학의 발생에 일본불교학이 끼친 영향은 어느 정도인지, 중국의 티베트학을 어떻게 볼 것인지, 중국학자들의 불교학 연구방법론에 대해 검토할 사항은 없는지, 우리나라에서 이뤄진 근대시기 중국(불교)사상에 대한 연구 성과는 무엇이 있는지, 고전 한문 해석을 어떻게 하는 것이 보다 적확(的確)한지 등의 관점에서 [중국 근대불교학의 탄생]을 검토하고 고찰했다. How to view the rise of Buddhist Studies in China during the modern period was not an area that Korean researchers of Chinese Studies paid much attention to. However, the Chinese government is actively supporting the promotion of Buddhism and Buddhist Studies at present, and many Chinese universities are publishing a number of doctoral dissertations related to Buddhism every year, so it should not neglect the birth of Chinese modern Buddhist Studies. In particular, it is also necessary to note that the Buddhist Studies of contemporary China is largely an extension of modern Buddhist Studies in China. The birth of Modern Buddhist Studies in China is a book worth paying attention to in this regard.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when the modern period would be begun in Chinese history, how much of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t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Buddhist Studies in China, how China s Tibetan Studies would be viewed, is there anything to examine the buddhist research methodology of Chinese scholars, what are the results of research on the modern Chinese (Buddhist) thought in present-day Korea, and how to interpret classical Chinese texts is more accurate, I examined and analyzed The birth of Modern Buddhist Studies in China.

      • KCI등재

        서구 문헌학적 연구방법론의 수용과 인도 불교학의 성립

        배상환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4 No.-

        본 논문은 언어학과 해석학을 통하여 형성된 서구 불교문헌학의 연구 방법론과 이를 통하여 형성되고 발전한 인도불교학의 성립을 살펴보았다. 서구 불교문헌학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는데, 하나는 필사본 연구와 번역이며 다른 것은 필사본 연구를 통하여 형성된 철학사적 연구이다. 서구에서 필사본 연구와 번역은 19세기에 접어들어서야 가능해 졌고, 그 중심에는 뷔르누프가 있다. 그는 당시 생소한 산스크리트 사본과 팔리어 사본을 문헌학적 연구 방법론을 통하여 비교함으로서 실질적인 서구 불교학의 창안을 이루어 냈다. 뷔르누프 이후 수많은 서구 불교학자들이 출현하게 되는데, 그 중에는 서구 유럽을 대표하는 리즈 데이비드, 레비, 뿌생, 프르찔루스키 등이 주목된다. 문헌학적 연구와 비교하여 철학사적 연구 방법론을 주도한 학자는 세나르와 올덴베르그가 있다. 세나르의 연구방법은 불교의 중심 주제들을 신화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고, 반면 올덴베르그 철저하게 역사적, 사실적 관점에서 불교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 두 학자의 연구방법론을 통하여 서구의 근대불교학에서 많은 철학사적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막스 뮐러, 로젠베르그, 체르바츠키 등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서구문헌학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인도 근대불교학의 성립과 전개를 살펴보았다. 서구불교학의 근간이 산스크리트와 팔리어 필사본을 채집하고 편집하는 문헌학적 연구에 국한되었다면, 인도 근대불교학은 제역대조 교정본에 근거하여 텍스트의 교정연구에 보다 비중이 주어졌다는 것을 검토하였다. 또한 인도 근대불교학이 지역적인 특색을 가지고 서구불교학을 수용하였다는 것을 동인도, 서인도, 북인도, 남인도로 구분하여 각 지역의 불교학 연구 성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서구 불교문헌학에 토대를 둔 인도 근대불교학은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여 서구 불교학이 이룩한 성과보다 교리적, 지역적, 철학적, 예술적 범주로 확대되었음을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figure of modern Buddhist study focusing on the western scholars, who have left representative study results in the field of Buddhist philology. In addition, it’s another purpose was to research the trend and category of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which was created through the effect of western Buddhist study. Western Buddhist study was the result of reflecting Buddhist study to philological and linguistic study, which was shown in the view of Orientalism. From another viewpoint, western Buddhist study was created by many dedicated works such as edition and translation of Buddhist text, publication of grammar book, writing of dictionary, reorganization of forgotten past age and creation of knowledge based on experimental verification for several centuries. Western Buddhist study can be explained by two viewpoints. One is philological study and another is philosophical study. For philological study, its decisive motive was prepared through the achievement of Burnouf in 1877. Through his achievement, critical view and comparison between Pali and Sanskrit literature were available in the study of western Buddhist philology. As kinds and volumes of Pali and Sanskrit literatures were enlarged, his successor had no choice but to major only one field or one language from the viewpoint of original text's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Therefore, except several extraordinary scholars, who read Sanskrit, Pali, Chinese and Tibetan sutras extensively, such as Levi, Poussin and Przyluski, the Buddhist scholars of the 19th century should devote themselves to Pali and Sanskrit philology. As a result, western Buddhist study was led to the study on grammar, vocabulary and philosophy naturally through philological methodology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such as nirvana and rebirth as well as the concept of Buddha were heterogeneously reflected to the western society.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showed more matured figure through the philological study achieved by western Buddhist study. From the aspect of study methodology, however, it is hard to deny that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has followed the achievement, which was produced by western Buddhist study for few centuries, as it was. In the other aspect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which had the local characteristic, experienced the historical process that it was developed from East and West India and then it was enlarged into North and South India.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which was originated from East India, has the meaning that it escaped from the step to adopt philological methodology of western Buddhist study and made Buddhist study as an independent study system.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deducted study achievement by focusing on interpretational study and introduction of Pali and Sanskrit literature, but it has made various efforts to restore original form of Sanskrit from Chinese or Tibetan sutra. And moreover India's modern Buddhist study archived collect & translates Tibetan literature, establish the relation between Indian philosophy and Buddhism and display philosophy of Mahayana Buddhism by enlarging its denotation. In other words, it produced many achievements by enlarging the achievement of western Buddhist philology into doctrinal, regional, philosophical and artistic categories.

      • KCI등재

        佛敎學報(불교학보)를 통해 본 한국불교연구의 동향

        이기운(Ki Woon Lee),조기룡(Ki Ryong Cho),윤기엽(Ki Yeop Y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불교학보』는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에서 발간하는 불교학 전문 학술지로서, 불교교학 불교사 불교문화 전반에 관한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이 논문집은 1962년 창설된 불교문화연구소에서 이듬해 창간호를 시작으로 2012년 12월 현재 50년 동안 63집을 발간하고 있다. 불교계에 이렇다 할 학술논문집이 없었을 때, 불교계 최초로 창간되어 그동안 불교학자들의 학문적 업적을 발표하는 대변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왔으며, 한국 불교학의 흐름을 보여주고 새로운 학문적 방향을 제시하는 선구 논문집으로서 소임을 다해왔다. 이제 연구원 개원 50주년 63집을 발간하면서,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회고하고 불교학보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50년 불교학보의 나아갈 길을 전망하고자 이 글은 기획되었다. 그동안 불교학보게재논문의 동향을 보면, 다음의 몇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게재 논문들은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교학사상과 불교사, 불교신앙과 문화에 있어서, 한국불교의 주체성을 밝히고자 노력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교학연구의 탈근대화를 이끌었다는 것이다. 동국대학교가 세워지면서 불교계에는 비로소 현대적 불교교육이 실시되어 불교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한 현대적 불교학의 성과들은 『불교학보』를 통하여 학계에 소개되면서 현대적 불교학으로서 학문경향이 학계에서 자리잡는데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셋째, 종파의 탐구와 禪學의 연구가 깊이 있게 이루어지면서 근본불교부터 대승불교에 이르는 교파의 교학사상을 바로 밝히려는 노력과 선학의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넷째, 고자료의 발굴을 통하여 한국 불교학 학문적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이다. 다섯째, 전통적인 불교학 외에 현대과학과 의학 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 불교학이 소개되었다. 다음은 앞으로 『불교학보』가 나아갈 길에 대해서는 한국불교학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미래불교의 비젼을 다음 몇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1960년대 이후 2000년대에 이르는 동안 한국 불교학의 硏究推移를 통해서 한국 불교학의 정체성을 이어가고, 한국 불교학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앞으로 전통 불교학을 기반으로 응용 불교학을 더욱 진흥시키는데 초석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는 불교학계의 권위지로서의 위상을 유지 발전시키고, 우수한 신진학자의 학문적 성과를 발표하는 등용문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이와 같은 『불교학보』의 방향설정을 통하여, 우리논문집은 국내저명학술 지로서 만족하지 않고 불교학계의 국제저명학술지로 지향점을 두어 한국 불교학을 국제 불교학계에 널리 알리는 데에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The Bulgyohakbo(Journal for the Buddhist Studies; 佛敎學報) is a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 issued by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at Dongguk University, and it is publishing treatises in general on Buddhist doctrinal studies, the history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Beginning with the first issue in 1963 after the foundation of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in 1962, it has published 63 treatise collections as of Dec. 2012 for 50 years. When there were no treatise collections to speak of, it started its public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Buddhist community. Since publishing its first issue, it has faithfully played a role of a spokesperson present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Buddhist scholars, and it has filled its role of a pioneering collection of treatises showing the flow of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and proposing new directions for the Buddhist research. While we publish the 63rd treatise collection in commemoration of 50th Anniversary of the institute, this writing was planned in order to look back on its academic achievements, ascertain its identity, and to put its course during its new 50 years into perspective. If we get a full review of the treatises which was published in the Bulgyohakbo, tha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atises published in the magazine confirmed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rough disillusion toward Korean Buddhism. This means that they tried to clarify the independence of Korean Buddhism in respect of Buddhist philosophy, the history of Buddhism, Buddhist faith, and Buddhist culture through reopening their eyes to Korean Buddhism. Secondly, they led the modernization of Buddhist doctrinal studies. After Dongguk University was founded, modern Buddhist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Buddhist community, and Buddhist scholars began to be turned out. Their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modern Buddhist research were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through the Bulgyohakbo, so that this magazine came to play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an academic trend as modern Buddhist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Thirdly, as research on Buddhist orders and Seon studies was done in depth, the efforts to correctly illuminate the doctrinal philosophies of all denominations from the fundamental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were made, and a systematic research on Seon studies was done. Fourthly, the excavation of old materials contributed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ifthly, diverse applied Buddhist studies in relation to modern science, medicine, and art besides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have been introduced. Next, regarding the course this Bulgyohakbo should take, as far as the task to set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t studies right and the vision of the future Buddhism Firs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progress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rom 1960s to 2000s, it should keep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nd it should prepare the academic foundation of Korean Buddhist studies. Secondly, it should become the cornerstone of the promotion of applied Buddhist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Thirdly, it should maintain and develop the status of an authoritative journal in the Buddhist academic circles, and it should fulfill the role of the gateway to the public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by excellent rising scholars. Finally, through establishing these directions for the Bulgyohakbo, our collection of treatises should aspire toward a well-know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never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a famous Korean academic journal, so that it should show no neglect of promulgating Korean Buddhist studies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community.

      • KCI등재

        율리우스 에볼라(Julius Evola)와 근대 일본 선

        강지언(Kang, Ji-E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0

        율리우스 에볼라(Julius Evola, 1898-1974)는 1920-70년대 활동한 이탈리아의 사상가로 현재 구미 신 우파 및 네오파시즘의 사상적 아버지이다. 그런데 그가 당시 유럽에서 인정받는 불교연구가로 서구 지식인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은 국내외 학계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그는 초기불교에 비해 대승불교를 낮게 평가하던 서구인들에게 선(禪)만큼은 붓다의 가르침을 잇는 뛰어난 불교 전통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의 불교 연구에는 누카리야 카이텐(忽滑谷 快天, 1867-1934), 스즈키 다이세츠(鈴木 大拙, 1870-1966) 등 일본 사상가들이 만들어낸 ‘근대 일본 불교’와 ‘일본인론’이 뒤섞여 있다. 본 연구는 에볼라의 불교 연구를 중심으로 근대 일본 사상가들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며 동서양 상호교섭이 만들어낸 근대 선불교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이들의 저술에 나타나는 ‘개인’, ‘경험’, ‘특별한 집단’이라는 개념과 틀이 서구 근대의 산물로서 불교 전통과는 부합하지 않음을 밝힌다. 나아가 구미와 일본에서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는 이들의 영향을 살펴본다. 한국은 일제강점기, 해방, 전쟁 등 격동의 근현대사에서 서구와 일본에 영향을 받은 불교학이 정착되었다. 따라서 에볼라, 누카리야, 스즈키에 대한 고찰은 일정 부분 한국 불교학에 대한 고찰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동서양 종교학사’라는 넓은 틀에서 불교 전통과 불교학 간의 불연속성을 검토하는 시도로, 근대 불교의 형성과 전개에 관한 비판적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Julius Evola (1898-1974), a prominent political thinker in New Right and Neofascism, indulged in studies on Eastern religious traditions, including Buddhism. Academic fields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his interpretation of Buddhism. However, 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changing Western intellectuals negativity toward Buddhism and especially in establishing the stereotype that Zen was superior to other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s and that Japan, where most people kept the Zen tradition as a living culture, was better than other nations in Westerners’ minds. However, his Buddhist studies relied on ‘Modern Zen’ and ‘nihonjinron’ (日本人論), which were articulated in the Meiji period by Modern Japanese Buddhist thinkers like Kaiten Nukariya and D. T. Suzuki. Those who were educated in Western and tried to apology Japanese Zen against Western culture and Christianity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nationalism, rendered Zen through Western concepts and frames which could be proper to fascinate Orientalists like Evola.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Evolas Buddhist studies, comparing Modern Zen thinkers, and points out they actually turned to the products of Modern Western thought, for example, the concepts and frames of ‘Individual,’ ‘Experience,’ and either spiritually or ethnically ‘The selected group,’ which could be used to contradict the basic doctrines of Buddhism. This speculation regarding Buddhist studies based on ‘Eastern-Western history of Religious studies’ is especially needed given the fact that these thinkers and their works still form a key part of Buddhist studies today. And in that these Modern Buddhism, a mixture of East-Western thoughts, also settled down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could be important for us to understand Modern Korean Buddhism and Buddhist studies. The gap between premodern Asian Buddhist literatures and Modern Buddhist studies might offer new possibilities for studies.

      • KCI등재후보

        근대불교학의 수용과 불교 전통의 재인식

        김용태 ( Yong Tae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4 No.-

        본고에서는 먼저 문헌비판과 실증주의 역사학의 연구방법론을 특징으로 하는 근대불교학의 수용과 식민지기 한국불교사 연구의 계보학적 특성 및 그 의미를 ‘전통의 집성’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어 한국불교 전통에 대한 부정과 긍정의 극단적 인식과 평가를 검토하고 ‘불교의 근대적 원형’ 추구와 이어 펼쳐진 ‘전통의 재발견’ 시도에 주목하였다. 근대불교학은 주석학 중심의 전통 불교학이 갖는 교조적 특성과는 달리, 원전 비평을 통한 객관적 접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식민지기에는 문헌 수집과 계보학적 분류, 엄밀한 텍스트 분석과 주제별 연구가 이루어졌고 전통의 자화상이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한국의 불교전통에 대한 식민지기의 인식 및 평가에는 부정적인 폄하의 시각이 두드러졌는데, 다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조선시대 시기구분론이나 교학쇠퇴론, 비주류 위상의 강조 등에서 타율성과 정체성에 근거한 특수론의 확산을 볼 수 있다. 반대로 崔南善 등에 의한 전통에 대한 긍정적 시각도 나타났고 한편 이전에 무비판적으로 통용된 개념적 오류나 잘못된 이해가 불식되기도 하였다. 1910년대에는 특히 문명개화론과 맞물려 ‘조선적 전통’보다 ‘불교의 근대적 원형’이 추구되었고 이후 연구 성과가 축적되면서 불교 전체의 역사와 함께 조선의 불교전통을 통시적으로 조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불교전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서 禪宗 전통의 재발견, 通佛敎 인식, 宗名 논의와 宗祖 문제가 시대담론으로 부상하였다. 즉 불교전통에 대한 역사적 이해와 인식의 심화가 전통의 재발견과 새로운 전통의 창출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This study firstly considered the adoption of modern Buddhist study focused on literature criticism and methodology based on the empirical historical study. Secondly it also deliberated the genealogical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Korean Buddhist study in colonial age from the aspect of `tradition collection`. In addition, the study reviewed the extrem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negative or positive view of Korean Buddhist tradition and paid attention to the search for `modern infinitive of Buddhism` and the consecutive trial of `rediscovery of tradition`. Unlike the doctrinal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Buddhist study focused on exegetics, modern Buddhist study has the characteristic of objective approach through original text criticism. Through that, literature collection, genealogical classification, strict text analysis and study of each theme were performed and traditional self-portrait appeared. Negatively derogative viewpoint was outstanding in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about the Buddhist tradition of Korea by Takahashi Toru. His emphasis on the expansion of special theory based on heteronomy and identity are found in the doctrine of Joseon dynasty period classification, doctrine of decline and the doctrine of non-mainstream phase. On the contrary, Choi Nam-Seon and other people showed positive viewpoints about tradition. Conceptual error or wrong understanding, which was commonly used without criticism, was swept off. Especially, in 1910s, rather than `tradition of Joseon`, `modern infinitive of Buddhism` geared with civilization theory was search for. After that, as study results were accumulated, the Buddhist tradition of Joseon was diachronically lightened with the history of entire Buddhism. Therefore, as a new understanding of Buddhist tradition, rediscovery of Seon school tradition, recognition of Pan-Buddhism, discussion of school name and issue of school founder appeared as discussions of the age. In other words, historical understanding of Buddhist tradition and deepened recognition were led to rediscovery of tradition and creation of new tradition.

      • KCI등재후보

        일본의 근대불교학 형성과 대승 비불설(非佛說) 문제

        조승미(Cho, Seung Mee) 한국불교연구원 2009 불교연구 Vol.30 No.-

        대승 비불설(非佛說), 즉 ‘대승경전은 불설이 아니라’라는 주장은 메이지시기 불교학이 근대 학문으로 정립되어가면서 대두된 주제였다. 이것을 주장한 대표적인 학자는 도쿄제국대학 문과대학 강사들이었던 무라카미 센쇼(村上專精)와 아네자키 마사하루(姉崎正治)였는데 이들의 입장차이와 그 논리전개를 통해 메이지 시대 일본불교학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며, 이와 아울러 ‘서구 근대’불교학의 문제점을 검토해 보았다. 아네자키의 일련의 불교관련 저서 『불교성전사론』(1899), 『현신불과 법신불』(1901), 『근본불교』(1910)는 그가 서구 불교학의 관점을 수용함에 따라 불교관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준다. 즉, 실증주의 역사관과 성서비평의 과학적인 입장에서 대승불설이 비판되었으며, 불교의 ‘원천’을 규명하고자 하는 불교문헌학은 ‘사료’로서 부정확한 대승불교를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근본불교’에서는 붓다의 인격을 중심으로 재편한 신앙에 대승불교가 소멸되어 있다. 한편, 근대불교학의 고찰에서 잘 조명되지 않았던 이노우에 테츠지로의 동양철학으로서의 서구 인도철학은 아네자키의 서구 수용적 불교학의 배경이 되었다. 무라카미 센쇼의 불교학은 전통불교의 근대적 재편으로 평가되는데 그의 서구 수용에 영향을 미친 것은 이노우에 엔뇨와 난죠분유였다. 그런데 그의 서구 수용은 항상 제한적이었는데, 인간이상의 붓다와 개발적 불교로서의 대승신앙 등이 그것이었다. 그의 『불교통일론』(1901)에서의 대승 비불설은 근대역사주의의 우위에서 전통신앙 영역을 포섭하는 것이었는데, 이후 『대승불설론 비판』(1903)에서는 역사를 신앙의 대칭축으로 배치하는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그가 서구 과학주의 눈이 현실불교를 폄하하는 데에 대한 저항이었다. 따라서 그의 ‘불완전한’ 불교학은 근대불교학의 태생적 한계라고 할 수 있는 불교의 타자화문제에 의구심을 던진 것으로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아네자키와 무라카미의 불교학은 메이지시대를 반영하면서 동시에 현대불교학에 그 영향을 남기고 있는데, 즉, 이들은 각각 불교를 순수와 타락으로 보는 관점과 발전과 일관으로 읽는 관점을 제안했는데 이러한 이질적인 시선의 공존과 함께 신앙과 역사의 문제, 서구불교학의 타자화 문제 등은 현대불교학의 과제로 남겨졌다. The concepts of Mahayana considered heterodoxy was important issue of Japanese buddhist study in Meiji Period. The representative advocate of this theory were Anejaki Masaharu(姉崎正治, 1873~1949) and Murakami Sensho(村上專精, 1851~1929) who were scholars of Tokyo Imperial University. But, they had different viewpoint respectively. Anejaki Masaharu has criticized orthodoxy of Mahayana buddhism from a view of biblical criticism and historic science that was the principal methodo- logy of western buddhist study. He could be said to be a perfect type of modernist. The other side, Murakami Sensho threw doubt on western style buddhist methodology, because it show contempt to Japanese buddhist thoughts and culture based on Mahayana buddhism. So, he approved the concept of Mahayana considered heterodoxy only in the field of history, disapproved it in the province of religious belief. He accepted, so to speak limitedly the modernity of buddhist study. The divergence of opinion like this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Japanese buddhist study, that is the coexistence of conflicting viewpoints. Anejaki’s buddhism was western-oriented, so aimed at the ‘Fundamental Buddhism’ that has searched for the original buddhist sermon. Consequently the Mahayana buddhist traditions has been regarded as degraded ones. But, Murakami’s interpretation was a contrast to Anejaki’s. He proposed Mahayana buddhism as developed thought, and intended to preserve the traditional world and the worth of religious experience. So, his buddhism has been criticized as incompletely modernized, but it is also needed to reevaluate for resistance against western modernity.

      • KCI등재

        한국 부파ㆍ아비달마 불교학의 연구성과와 과제

        박창환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Despite fancy discourses on the future of Korean BuddhistStudies in the past decade, scholars seem to be still disoriented interms of the direction they have to take. To some extent, modernBuddhology has been implanted in this land but has been confrontedby some emotional resistance to or suspicion of the relevance ofits text-historical methodologies to Korean Buddhist tradition. Itis an irony that in a land where modern Buddhist studies have neverfully been absorbed and integrated to its academic circle,journalistically inclined pseudo-scholars who speak up for theirrelevance of philological studies in our context attract moreattention than textual scholars who sit up all night long. Thus therelatively weak foundation of textual studies in Korea makes itsscholarly research ever more subordinate to its advancedcounterpart, Japanese scholarship. Korean Buddhist Studies havebeen growing depending upon Japanese Buddhist studies. Koreanscholarly papers are normally constituted of the retranslation ofJapanese translation of primary sources followed by some randomconceptualization. This is especially the case for studies of IndianBuddhism due to the limited scholarly access to primary textualsources, Sanskrit or Tibetan. This paper mainly analyzes thecurrent state of Abhidharma Studies in Korea in terms of itsdependence on Japanese scholarship and discusses its achievementsand issues. Thereby, it attempts to shed some light on the directionKorean Buddhist Studies should take. 근자에 탈식민지적 한국불교학을 꿈꾸는 소리가 적지 않았지만 여전히 ‘대중적(populist)’ 성향의 구호에 그치고 있다는 느낌이다. 한국불교학계에는 방법론에 대한 팬시한 담론을 무기로 주목을 끌려는 나팔수는 많아도 실제로 묵묵히 탄을 캐는 광부(원전연구자)는 드물다. 무수한 밤을 어두운 불빛 아래서 잘 보이지도 않는 원전/사본과 씨름한다는 것은 그 과정이 너무도 힘들고 고통스러운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럴까, [서구]근대문헌학적 방법론의 수용에 대한 우리의 내성적 저항도 만만치 않다. 그런데 기실 한 번도 제대로 된 불교문헌학이 우리 땅에 이식되고 정착된 적이 없는데 벌써 문헌학 무용론을 주장하는 것은 뭔가 앞뒤가 전도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필자만의 느낌일까, 문헌학 무용론(또는 경계론)을 담론화하는 측은 거개가 문헌연구를 심각하게 경험해본 적이 없거나 그 언저리를 배회하는 분들이다. 문헌학 무용론을 주장하려면 문헌학적 연구방법론을 종국으로까지 밀어붙인 연구성과가 있어야 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그러한 주장이 정당화되어야 한다. 물론 맹목적인 문헌학의 추종은 일본에서와 같이 불교학이 구체적인 역사적 맥락으로부터 유리되어 학자들만의 죽은 담론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문헌을 자유롭게 다루고 비평할 수 있을 때 우리 불교학은 비로소 우리만의 사상적 ‘관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다양한 문헌들을 비판적으로 읽고 비교할 수 있을 때, 우리의 학문적 종속은 종언을 고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하여 불교사를 바라보는 근대적 ‘역사의식’과 우리만의 ‘해석학적 관점’을 확보하고, 한국불교의 현재와 그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한 확고한 史적 기준점과 실천적 준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