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鳳棲 俞莘煥의 未發論 연구

        박학래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1 No.-

        Mibal(weifa, being risen yet, 未發) discourse, one of the core propositions of self-cultivation theory related to moral practice in Neo-Confucianism, was one of the core arguments of Chosun Neo-Confucianism. In the Kiho academic world, after the debate between Yulgok(栗谷) and Ugye(牛溪) on the issue of good and evil in Mibal,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developed around Mibal. In particular, throughout the 18th century, discussions on Mibal revealed various controversies, and discussions on Mibal continu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ithout reaching a clear consensus. Bongseo(鳳棲) Yu Shin-hwan(俞莘煥, 1801~1859),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19th century KIho Nakron(畿湖 洛論), tried to establish a realistic basis for moral practice through discussions on Mibal. And he summarized the Mibal issues until then into three categories: 1)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rdinary person's Mibal, 2) the same and different between an sage and an ordinary person's Mibal, and 3) the depth and shallowness of the Mibal. And he examined Zhu Xi’s theory in various ways and presented his opinion in detail. In this paper, I tried to summarize and analyze Yu Shin-hwan's Mibal theory, focusing on his Mibalseol(未發說). In Mibalseol, not only the Mibal issues of the Kiho academic community developed until that time, but also the theory of Zhu Xi as the basis for claims related to each issue. By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I tried to summarize Yu Shin-hwan's understanding of Zhu Xi’s theory and his views on each issue presented through it. In addition, I tri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Yu Shin-hwan's Mibal theory in connection with the issue of Mibal theory and to present the significance of his Mibal theory. 성리학에서 도덕 실천과 관련한 공부론의 핵심 명제 중 하나인 未發論은 조선 성리학의 주요 논쟁점 중 하나였다. 특히 기호학계에서는 미발에서의 선악 문제를 두고 李珥와 成渾 간의 논변이 전개된 이후 지속해서 미발을 둘러싸고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특히 18세기 湖洛論爭을 거치면서 未發心體의 善惡 여부와 聖凡心同異 등 미발과 관련한 다양한 논쟁점이 제기되었으며, 19세기 전반기까지도 여러 논쟁점에 관한 뚜렷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한 채 미발 관련 논의가 지속되었다. 미발론을 통해 도덕 실천의 현실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던 19세기 기호 낙론의 대표적인 학자인 兪莘煥(1801~1859)은 「未發說」을 통해 당시까지의 미발론 쟁점을 1) 衆人의 미발 有無 여부, 2) 聖人과 凡人의 미발 同異 여부, 3) 미발의 淺深 여부 등 세 가지로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그의 견해에서 주목되는 것은 각 주장의 근거로 제시한 주자설에 관한 다면적인 검토에 이어 도덕 실천의 근거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미발에 관한 견해가 집중적으로 수록된 「未發說」을 중심으로 유신환의 미발설을 정리 분석하고자 하였다. 당시까지 전개된 기호학계의 미발 관련 쟁점뿐만 아니라 각 쟁점과 관련한 주장의 근거로서 제시된 주자설에 관해 유신환은 객관적이면서도 수용적인 태도를 가지로 미발론을 정리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미발론 쟁점과 결부하여 그의 미발론이 갖는 특징적 면모를 확인하고, 그 의의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송시열과 박상현의 미발 논변

        이선열(Yi, Sun-Yuh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6 No.-

        미발(未發)과 기질(氣質)의 관계는 중화론(中和論)과 이기론(理氣論)이라는 주자학의 두 논의범주가 중첩되면서 발생하는 논리적 문제로, 이는 율곡학파 특유의 논점과 결합하여 더욱 증폭되는 양상을 띠게 된다. 주희는 중화신설을 정립하며 미발을 현상 너머의 초월적 본체가 아닌 ‘마음’의 한 국면으로 규정하였는데, 여기에 심(心)을 기(氣)로 보는 율곡학파의 인식이 투영되자 심의 한 부분인 미발 또한 결국 기의 조건에 좌우되는 것이 아닌가라는 문제가 제기되었던 것이다. 이에 송시열과 박상현은 미발을 기질 개념과 결부하여 이해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놓고 이론적으로 대립한다. 박상현에게 미발이란 ‘대상사물과 감응하기 이전’이라는 마음의 한 시점을 뜻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시간적 관념이 우선하며 특정한 도덕적 함의가 들어있지 않다. 그에게 미발은 곧바로 중(中)의 상태로 환원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박상현은 마음을 이루는 기의 청탁(淸濁) 여하에 따라 미발시에도 중(中)과 부중(不中) 또는 선과 악이 모두 존재할 수 있다는 입장에 선다. 이러한 그의 논리는 성인과 보통사람은 각각 기질이 다르기 때문에 미발에 있어서도 서로 동일하지 않다는 성범부동론(聖凡不同論)의 견해로 이어진다. 반면 송시열은 미발이란 곧 마음이 중의 상태에 있음을 일컫는 것이요, 미발 개념을 규정함에 있어 기질의 편차는 고려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 그에 따르면 미발은 단지 사물과 접하지 않은 시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이상태로서의 의미를 그 자체로 함축한다. 그는 기품 여하와 무관하게 천리와 소통하는 마음자리로서 미발의 이념적 위상을 확보하고자 하며, 이에 기질의 영향이 실제화되는 시점을 이발(已發) 이후로 한정하여 미발과 기질의 상관성을 아예 차단시킨다. 송시열에게 미발이란 본성 또는 천리와 동등한 보편성을 가지며, 따라서 성인과 범인을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동질적으로 체험될 수 있는 심적 상태로 간주된다. 이러한 두 사람의 견해차는 훗날 호학과 낙학의 입장 대립과 큰 틀에서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Debate on Mibal(未發) between Song Si-Yeol and Park Sang-Hyun: Focusing on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mibal in relation to kijil(氣質). Song Si-Yeol and one of his disciples Park Sang-Hyun disagree with each other as to whether it is legitimate to understand mibal (未發) in relation to kijil(氣質, temperament). The disagreement between them stems from the fact that their versions of mibal differ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Park, mibal is a certain time prior to the mind"s making contact with an object. From this view, mibal is basically a temporal notion and does not contain any ethical implications in particular. For Park, mibal is not equated with the notion of centrality(中). He argues that centrality and incorrectness (不中), or good and evil, may coexist, even in the state of mibal. This leads to the view that a sage and a layman cannot be the same in terms of mibal, for they differ in temperament. On the other hand, Song contends that mibal is the mind in the state of centrality. According to him, the difference in temperament should not be taken into account when expounding the concept of mibal. He holds that mibal is not a mere temporal point prior to the contact to an object, but an ideal entity that contains moral significance by itself. Song aims to provide a metaphysical basis of mibal that interprets it as the realm of a mind that is connected to the Heavenly Principle(天理). For this reason, he claims that the difference in temperament can only be displayed in the state of yibal(已發), precluding the interconnection between mibal and temperament. According to Song, mibal, like sung(性) and li(理), is universally applied. Thus, it can be experienced by every member of mankind, sages and laymen alike. In general, the difference of opinion on this matter between Song and Park corresponds to the later disagreement between the Ho-hak line(湖學) and the Rak-hak line(洛學).

      • KCI등재

        주희(朱熹)의 중(中)개념 연구

        방경훈(房敬勳)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1 No.-

        주자의 중 개념은 미발의 중을 성으로 보는 관점과 적연부동을 심으로 보는 관점의 차이에서 출발한다. 이는 미발에서 본원을 먼저 체득해야 한다는 의식을 다시 갖게 되면서, 하나의 심이 어떻게 함양과 체인을 하느냐에 있다. 주자는 미발을 본원성과 심의 활동으로 인한 미발이발로 구분하여, 본원의 입장에서 미발은 이(理)이지만 미발이발을 구분한 마음의 측면에서 미발은 중이 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미발에서는 중을 함양하고 이발에서도 미발의 중을 체험하는 것이다. 하나의 심이 갖는 함양과 체인의 문제를 미발에서도 함양하면서 체인해야 하고, 이발에서도 보존하면서 체인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바로 미발함양이란 본성을 기르면서[養性] 그대로 본성을 보존하는[尊性] 일관된 공부가 된다. 그 결과 중을 구하는 방법은 미발에선 ‘경계하고 삼감[戒愼恐懼]’하는 것을 본성을 ‘잃지 않는다.’는 것으로 이해하여, 이때 중을 구하는데 ‘천지의 중’을 체인함이 핵심이다. 이는 연평의 ‘미발기상체인’의 뜻이며 맹자의 존심양성과 이천의 평일함양과 같다. 미발에 바른 기상의 함양은 하늘이 준 본성을 존양하는 노력이며, 이는 중도로서 실체화되어 천하의 대본에 이를 수 있다. 주재와 존양함은 미발과 이발 모두에 관통하며, ‘홀로 삼감[愼獨]’은 이발의 공부로 간주한다. 이로써 미발에 중을 어떤 실체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여 사사로이 집착하지 말고, 평일에 천리를 함양하는 함양과 인식의 질서를 세운다. 결국 중은 함양하는 심과 천명의 성과의 매개역할을 하는 개념으로서 ‘중에 이른다.[致中]’는 함양의 실재가 완전히 온전하여 지속되는 경지이며, 심의 ‘고요하여 움직임이 없는 것[寂然不動]’은 이것의 실재이다. 중은 극(極)이라는 지극한 이치가 강유의 기품을 머금어 사방에 대응하는 모습이다. 우주원리의 지극한 모습인 미발의 본체와 기품을 품은 이치를 중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으며, 중에 머무르는 것[中焉止矣]은 곧 지극한 선에 이르는 것[止於至善]을 뜻하게 되었다. 또한 송대에 인간 본성은 기질과 함께 거론되는데, 그 목표는 강함과 부드러움으로 타고난 본성을 항상 성(誠)하도록 함에 있다. 이 성은 선악과 강유로 드러나며 정(情)의 이치로서 중을 실현한다. 그래서 주자는 중이 중화로서 실현되기 위해 인간의 타고난 성품을 분별하여 중에 이르러야만 완전한 선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천리의 함양은 미발을 위주로 하는데 이 미발의 중이 마땅함을 얻을 때가 때에 맞는 중[時中]이다. 따라서 중의 이치에 이른다는 것[致中]은 본성의 이치가 때에 맞도록 중절되어 지극함과 정중앙의 상태를 잃지 않게 실천하는 것이다. 이 경지를 바탕으로 이치가 실재 화합[致和]에 이르게 되면, 이는 때에 맞는 중의 이치를 미루어서 항상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실천이며 천인합일의 경지이다. 중의 이치가 완전히 화합하여 전체가 잘되도록 하려면 본성의 바름이 온전히 실현된다는 중을 확립함에서 시작하여야 한다는 결론이다. The Jung-concept of Chu Hsi’s started off with the differences in these two views of Mibal(未發) being considered Seong(性) and Jeokyeonbudong(寂然不動) being considered Sim(心). This depended upon how Hamyang(涵養) and Chein(體認) could go along with the one-Sim, Chu Hsi having conscious of the origin of a thing in the Mibal. Chu Hsi divided the Mibal into the origin-side and Mibal-Ibal due to the sim , s activities , understanding that Mibal is the I(理) in the origin-side and Mibal is the Jung(中) in the will-side of Sim being separated Mibal-Ibal . So, in the Mibal the Jung could be done hamyang, in the ibal taken chein. Rightly, the one-Sim has Hamyang and chein, So in conclusion, the hamyang and chein must be done in the Mibal, the bojon(保存) and Chein being done in the ibal. So-called Mibal-Hamyang is the study that is taking hamyang and bojon-Bonseong(本性) together. As a result, the method of looking for Jung is that tightening guard and abstaining are accounted no losing Bonseong in the Mibal,and looking for Jung has the point taking chein the Jung of cheonji(天地) . This has the same means with Mibalgisangchein(未發氣象體認) o f Lee Yeon pyeong (李延平), Pyeongil (平日) - Hamyang of Jeong Icheon(程伊川) and Jonsim-Yangseong(存心養性) of Mencius(孟子). To develop Gisang(氣象) of Mibal is is introspection-effort[存養] about the Bonseong given from Cheon(天),being substantialized as Jung-Do(中道) to reach at Daebon(大本) of the world[天下]. Jujae(主宰) and Jonyang(存養) go through Mibal and ibal , and Sindok(愼獨) is treated as a joke Ibal-study. Judging from this, get rid of one’s obsession over an entity of Jung(中) in the Mibal, the Order of hamyang and awareness which build up Cheon-I(天理) in the Pyeongil would be set up. Ultimately, Jung(中) is the concept of mediation rolebetween hamyang-sim and Cheonmyeong(天命)-seong. ‘Getting to Jung[致中]’is the stage that the contents of hamyang is fully sustainable, and the sim’s Jeokyeonbudong(寂然不動) is the Jung-Entity(中體) . Jung is the Geuk(極) of the utmost reason[理致] which has the Gang-Yu(剛柔) reacts on every side. Thus, the Mibal of principle in nature and the utmost reason of the Gang-Yu could be explained by the Jung, stay at the Jung meaning being very Good all the time. The Human-Bonseong would be always mentioned with Gijil(氣質) in the Song Dynasty, the aim consists in making keeping Bonseong having Gijil of Gang-Yu into Seong(誠) the whole time. This Seong that turns out good-evil and Gang-Yu , fulfills the Jung of the Jeong(情)’s principle. In this respect, Chu Hsi insisted knowing the Human-born nature[性品] rightly to achieve the complete Good so that the Jung can come true to Jung-Hwa. Doing Hamyang for Cheon-I with the the Mibal, the Time of the Mibal-Jung’s being suitable is the SiJung(時中) . So Getting to the Jung[致中] means making the Bonseong the right Time[中節] for accomplishing the status of the center[正中央] without loss. By this method, coming to getting to the Jung-Hwa[致中和] , this aims at the Cheoninhapil(天人合一) always meaningthe Jung-principle without loss. Ultimately, first of all set out from establishing the Jung to have the Jung-principle get to the Jung-Hwa[致中和] for the whole.

      • KCI등재

        대산 이상정의 미발론 연구

        안유경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2

        This paper is based on the mibal theory of Daesan(1711-1781). Daesan's mibal theory is in favor of the interpretations of Zuzhi.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make it the Jungyonghokmun to use as a standard. There are some changes in the Zuzhi of interpretation, Daesan interpret on a basis Jungyonghokmun of content. In other words, mibal time have a perceptual activity, corresponding to Gongui, and can be see and heard in the time of mibal. So why should you stay awake and not be too blind at the time of Mibal? This is because the mind is work through mibal and ibal. From here, Daesan raises the theories of ‘jungjoongjidong’ and ‘dongjoongjijung'. Even in the time of silent mibal, the principle of moving is already in place, even when you're getting a ibal, you already have a quiet principle. It is said that you need to stay awake at all times to deal with ibal. Therefore, the perception should always be kept awake even during the time of mibal, and the study of ‘Kyeong’ by sangsungsung is also stressed. This is a characteristic of the theory of confucianism, which distinguishes it from Buddhist practice of breaking off relations with things by seeking only silence, the meaning of mibal theory can also be found here. 본 논문은 大山 李象靖(1711~1781)의 미발론을 고찰한 것이다. 대산의 미발론은 주자의 해석을 계승하는 입장이다. 특히 대산은 주자의 『중용혹문』의 내용을 정설로 삼을 것을 강조한다. 미발론에 대한 주자의 해석에 일부 변화가 있지만, 대산은 주자 『중용혹문』의 내용에 근거하여 자신의 미발론을 해석한다. 즉 미발의 때에도 지각작용이 있으며, 미발은 곤괘에 해당하며, 미발의 때에도 보고 들음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미발의 때에는 지각이 어둡지 않고 깨어있어야 하는가? 왜냐하면 마음이란 未發(정)과 已發(동)을 관통하여 유행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대산은 ‘靜中之動’과 ‘動中之靜’의 이론을 제기한다. 고요한 미발의 때에도 이미 움직이는 이치가 갖추어져 있고, 움직이는 이발의 때에도 이미 고요한 이치가 갖추어져 있다. 미발의 때에 지각이 항상 깨어있어야 이발의 일에 언제든지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미발의 때에도 지각은 언제나 깨어있어야 하며, 또한 미발 때의 지각이 항상 깨어있도록 하는 常惺惺의 ‘경’공부가 강조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고요함만을 구하여 사물과의 관계를 끊어버리는 불교의 坐禪과 구분되는 유가 수양론의 특징이며, 미발론의 의미 또한 여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이진상과 곽종석의 미발 때의 기질지성 유무 해석 고찰

        안유경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 한국학 Vol.47 No.1

        This paper considers whether there is Gijiljiseong in Mibal developed between Hanju (Lee Jin-sang, 1818–1886) and Myeonwoo (Kwak Jong-seok, 1846–1919). While Hanju argued by comparing Mibal/Bonyeonjiseong and Ibal/Gijiljiseong (there is no Gijiljiseong in Mibal), Myeonwoo argued for Mibal and Ibal as one Gijiljiseong (there is Gijiljiseong even in Mibal). This raises the problem of good and evil. If Hanju is then interpreted as meaning that a person is pure and evil because he has no Gijiljiseong in Mibal, and only Bonyeonjiseong, Myeonwoo, on the contrary, holds that good and evil coexist because a person has Gijiljiseong in Mibal. This is the practical consequence of their theoretical difference as to “whether or not there is a Gijiljiseong in Mibal.” 이 논문은 한주 이진상(1818~1886)과 면우 곽종석(1846~1919) 사이에 전개된 미발 때의 기질지성 유무(劔摾)를 고찰한 것이다. 이진상이 미발 때의 본연지성과 이발 때의 기질지성으로 상대시켜 해석한다면(미발의 때에는 기질지성이 없다), 곽종석은 미발과 이발을 통틀어 기질지성하나로 해석한다(미발의 때에도 기질지성이 있다). 이것은 그대로 선악의 문제로 이어지니, 이진상이 미발의 때에는 기질지성이 없고 본연지성뿐이므로 순선무악(筙ㄌ摾䞓)하다고 해석한다면, 곽종석은 미발의 때에도 기질지성이 있으므로 기질의 청탁수박(庎懊窔뉧)에 따라 선악이 존재한다고 해석한다. 이것이 바로 ‘미발 때의 기질지성 유무’에 대한 이들의 이론적 차이이다.

      • KCI등재

        대산(臺山) 김매순(金邁淳)의 미발론(未發論) 연구

        朴鶴來 ( Park Hak-rae ) 퇴계학연구원 2019 退溪學報 Vol.146 No.-

        본고는 19세기 전반기 洛論의 핵심적인 학자 중 한 사람인 臺山 金邁淳(1776~1840)의 未發論을 정리 분석한 것이다. 김매순은 낙론 형성의 근간이 되는 안동 김문의 가학 전통을 바탕으로 朱子學에 대한 치밀한 검토와 호락논쟁의 학문적 유산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으며, 특히 湖洛論爭의 여러 쟁점 가운데 미발에 대한 논의에 주목하여 별도의 저작을 남길 정도로 학문적 관심을 기울였다. 김매순은 미발과 관련한 논의를 검토하기에 앞서 『中庸』 및 朱子의 미발론이 추구하는 근본적인 의미에 주목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미발을 공부 문제와 연관 지어 이해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그는 호락논쟁에서 불거진 未發心體의 純善 여부 등 여러 쟁점을 미발의 聖凡 同異여부로 치환하여 정리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특히 韓元震으로부터 비롯된 湖論의 미발론에 대해 비판의 강도를 높이면서 비판적인 입장을 구체화하였다. 본고에서는 미발에 대한 김매순의 학문적 관심에 유의하여 그의 미발에 대한 기본적인 입장과 前代 미발론에 대한 평가, 그리고 그의 미발론이 지향하는 목표 등 미발에 대한 그의 견해를 전반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그의 미발론이 끼친 영향을 試論的으로 제시하였다. I will here analyze mibal (weifa, 未發) disourse of Kim Maesun, one of the prime scholars in Nakron School in early 19th century. Based upon his family tradition of Andong Kim clan, which becomes a backbone of forming Nakron group, Kim Maesun critically examines academic legacies of Horak Controversy and discourses on Studies of Zhu Xi. Furthermore, he pays a special attention to and writes on the discourses on mibal within several issues of Horak Controversy. Kim keeps his eyes on fundamental meanings of mibal theory of Zhu Xi and Zhongyong before examining discourses on it. Based on his surveys, he tries to understand it in the context of the issue of cultivation (moral efforts). Moreover, he summarizes several issues like pure goodness of substance of mind in being risen yet, which came out from the Horak Controversy, as the argument of whether the saints and the commoners are same or not. Kim did examination of them critically. He severely criticizes mibal discourse of Horon School originated from Han Wonjin and gives shape to his ideas of mibal discourse in this process. Focusing on Kim’s academic interests to mibal, this paper will generally examine his ideas of it like his basic stance, his evaluation on previous discourses on it and his goal. Based on this overview, I will preliminarily suggest influences of his mibal discourse.

      • KCI등재

        姜靜一堂의 공부론과 그 철학적 토대

        신상후 한국동양철학회 2019 동양철학 Vol.0 No.51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Neo-Confucianism that can resolve conflicts with women. In order to do this, Kang Jungildang(姜靜一堂)’s study, especially her study theory, and its philosophical foundation is analyzed. Many of Jungildang’s works can be classified as study theories, and ontology is less found. Thus, the lack in Jungildang’s statement is complemented by other scholars’ theories which have influenced on her. The characteristic of Kang Jungildang’s study theory is that first, emphasis on acquiring knowledge and pursuing erudition; second, accepting and practicing Lee Yn Ping(李延平)’s tiren(體認) study in the Mibal(未發) state. Kang’s study theory is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acquiring knowledge, practicing and Mibal study, rather than two components, acquiring knowledge and practicing. The three-components-structure was stated by Yulgok Yi-I(栗谷 李珥) and consolidated by Nakhak(洛學) that succeed to him. Kang Jungildang actively practiced tiren study in the Mibal state. Even though Zhu Xi(朱熹) warned that ‘(the study) can lean toward stillness’, Nakhak scholars in Joseon Dynasty, including Kang Jungildang, emphasized tiren study and its practice. This study theory is rooted on the Mibal heart-theory(未發心論). According to the Mibal heart-theory, mind is already in the awake and active state, though it does not perceive any subjects. Also, there is no distraction in the Mibal state. From this perspective, Nakhak scholars could emphasize tiren study in the Mibal state. Kang Jungildang also stressed acquiring knowledge in studying. Kang not only pursued wide and deep learning, but especially valued the knowledge satisfying the appropriateness(中節) in the everyday life. Kang set reasonable criteria, while concerning the complexity in reality, and the changes in history and society. In other words, Kang would like to become ‘a master of li(禮)’, who can unify ‘the one origin(一原)’ and ‘diversity of manifestations(分殊)’. Tiren study that Kang praticed became foundation for the main agent,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was required to unify the two. The academic goal of Kang was consequently on being the main agent who unified the one origin and diversity of manifestations. Nakhak’s heart-theory served a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to achieve it. 본고는 ‘여성과의 갈등 문제 해소의 여지를 지닌 성리학’의 성격을 살펴보기 위하여, 조선조 후기 여성 성리학자 姜靜一堂의 학문을 분석ㆍ검토한다. 연구의 방법으로 정일당의 공부론을 분석하고 그 철학적 토대를 탐색하는 방식을 취하였는데, 이는 정일당의 남아 있는 저술 중의 상당수가 공부론의 범주로 분류될 수 있을만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또 본고는 공부론의 철학적 토대를 분석함에 있어 정일당의 서술로 부족한 부분들은 그에게 영향을 준 주변 학자들의 이론을 참고하여 그 내용을 채웠는데, 이렇게 하면 정일당 학문의 이론적 특징을 추적할 수 있을 것이고, 이로써 ‘여성과의 갈등 문제 해소의 여지를 지닌 성리학’의 성격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정일당의 공부론의 특징은 첫째, 知공부를 강조하고 博學을 추구한다는 것이고, 둘째, 李延平의 未發時 體認 공부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실천한다는 것인데, 이 공부론은 洛學의 未發心論에 의해 존재론적으로 정당화된다. 정일당은 知공부에 있어 깊이와 넓이를 모두 추구하였지만, 특히 일상의 中節을 성취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을 중시하였다. 그는 현실의 다층성과 역사·사회의 변천을 스스로 헤아림으로써 자신이 마주한 현실에 맞는 규범을 산출해내고자 하였다. 말하자면 그는 禮의 주인이 되고자 했던 것이다. 예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一原과 分殊를 통일하는 주체가 된다는 의미이다. 정일당이 수행했던 미발시 체인 공부는 이 주체의 기초를 마련하는 공부였고, 지공부는 그 주체가 통일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 필요한 지식을 쌓는 공부였다. 정일당 학문의 목표는 일원과 분수의 통일을 성취하는 주체가 되는 데에 있었던 것이고, 이 목표의 설정에 洛學의 未發心論이 철학적 배경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 KCI등재

        중화설의 전개와 율곡학파의 미발인식

        이선열 (사)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Zhonghe Theory, which is representative of Confucian theories of self-cultivation, originally came from Zhongyong and had led to Yulgok school through a new interpretation of Zhu Xi. Zhongyong distinguishes the mind as mibal and yibal based on whether or not the expression of feelings and thoughts. It is not unfamiliar in Confucian tradition to divide the structure of mind into movement and stillness, and the idea of making a calm mind an ideal condition was quite general in early neo-confucians like Zhou Dunyi, Zhang Zai and Yi Tong. Their successor Zhu Xi presented self-cultivation methods of cunyang and shengcha emphasizing the balance of stillness and movement, but he also put more emphasis on stillness like his predecessors. It was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Joseon's Yulgok school that the question and debate about 'the human being in a calm state is pure in itself' came true. Some scholars like Park Sang-hyun and Han Won-jin understood mibal in relation to qi. In this way, mibal approaches the notion that it is merely ahead of time rather than moral fundamental meaning. On the other hand, Song Si-yeol and Yi Hyun-ik emphasize that mibal is not just a calm state but a state of mind in which the self-mastery of the mind is fulfilled, and take a position to regard mibal as a sort of state to reach by cultivating oneself. This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mibal had a certain impact on the differentiation of Hohak and Rakhak. Both views reveal the unique aspects of the late Joseon’s neo-confucian development in that they all seem to step away from the mainstream elements of the conventional view of the state of tranquil minds. 개인적 욕구와 사회적 당위가 합치하는 이상적 인간으로서의 ‘성인됨’을 지향하는 유가철학은 전통적으로 수양론 중심의 윤리학을 발전시켜왔다. 특히 유가 수양론을 대표한다 할 수 있는 중화설은 『중용』으로부터 비롯해 주희의 신유학적 해석을 거쳐 조선의 율곡학파에까지 이어져왔다. 『중용』에서는 희노애락의 발현 여부를 기준으로 마음을 미발과 이발로 구분했는데, 이처럼 마음의 구조를 동정(動靜)을 나누고 ‘고요함’을 이상적 심적 상태로 여기는 사유는 『중용』은 물론 「악기」에서도 볼 수 있듯이 유학 전통에서 그리 낯선 것이 아니었다. 뿐만 아니라 주돈이, 장재, 이통의 수양론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마음의 고요함에 치중하는 주정(主靜)적 공부법은 초기 신유학의 주류적 경향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주희는 정공부와 동공부의 균형을 중시하며 ‘치중화’의 공부로서 ‘존양’과 ‘성찰’을 강조한다. 하지만 주희의 ‘치중화’ 역시 고요함을 움직임보다 근본적인 상태로 본다는 점에서 종래 주정적 수양론의 경향과 완전히 결별하지는 않았다. 즉 ‘인간은 고요한 상태에 있을 때 가장 완전하다’는 명제는 주희의 수양론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이에 대해 ‘고요한 상태의 인간은 과연 그 자체로 순선한가’에 대한 의문과 논쟁이 본격화된 것은 17-18세기 조선의 율곡학파에 이르러서였다. 박상현, 한원진 등은 미발 개념을 철저히 청탁수박한 기질의 맥락 속에서 파악하는 태도를 취했는데, 그렇게 볼 때 도덕적 본원으로서의 의미가 약화되고 미발은 다만 시간적 선재(先在)의 개념에 가까워진다. 그와 달리 송시열, 이현익 등은 미발이란 그저 고요한 상태가 아니라 마음의 주재가 이루어지는 ‘형연불란’의 상태임을 강조하고, 미발을 수양으로써 도달해야 할 일종의 경지로 보는듯한 입장을 취한다. 이 같은 미발에 대한 이해의 차이는 호학과 낙학의 분기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또한 두 입장은 모두 ‘마음의 고요함’을 액면 그대로 순선한 상태로 보는 종래 수양론의 주정적 요소를 탈피하는 면모를 보인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주자학의 독자적인 면모를 드러낸다.

      • AHCISCOPUSKCI등재

        THE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MIBAL 未發 IN THE HORAK DEBATE

        YOO WEON-KI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7 Acta Koreana Vol.20 No.1

        The eighteenth-century Neo-Confucian scholars in Korea were deeply concerned with two questions, namely, whether human nature and non-human nature are the same or not and whether all human nature is the same or not. In answering the second question, they focused on the moral nature of mibalsimche 未發心體 by asking whether the state of the mind or mind-substance before the arousal of feelings (or thoughts) is morally good or not. As noted, in Neo-Confucianism the unaroused state of feelings chŏng情 is generally identified with a state of nature sŏng性 which is pure and clear, and which is therefore characterized as morally good. However,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noticed that this characterization could be controversial since the account of the unaroused state given by the Chinese Neo-Confucian, Zhu Xi, was not clear enough, but ambiguous. The problem of mibal was a matter of interest since the Four-Seven Debate in the sixteenth century in Korea, and it once again became the subject of intense contention in the eighteenth-century debate between Yi Kan and Han Wŏn-jin, who endeavored to reveal the exact moral characteristics of human nature in terms of the qualities of human constituents, i.e. li and ki. In what follows, I shall begin by examining Zhu Xi’s diverse accounts of mibal, show the emergence of the problem of mibal in the Four-Seven Debate between Yi Hwang and Yi I, and, finally, discuss the moral nature in the state of mibal presented by Yi Kan and Han Wŏn-jin.

      • KCI등재

        巍巖 李柬의 人物性同論의 의미와 지향

        배제성(Bae, Je-seong)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4

        인물성논변 과정에서 실제로 쟁점이 되었던 문제는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을 규정하는 방식이었다. 기질에 인하여(因氣質) 본연지성이 주어진다는 남당(南塘)의 주장에 대한 외암의 반대는 곧 본연지성인 오상을 인기질로 규정하는 것을 거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외암은 남당의 주장이 인간의 본연지성이 가지는 절대적 보편성을 훼손하고, 인간 덕성을 궁극적인 리(理)와 괴리시켜 그 완전성의 토대가 위협받게 되고, 기질의 영향을 전적으로 배제한 절대적인 성선의 근거가 상대화되어 그 의의를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보았다. 인물성논변은 그 진행 양상 및 중요 개념이 미발논변과 밀접하게 연관되므로, 그 관련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외암의 인물성동론의 전체적 취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미발논변에서 외암의 중요한 취지가 기질영향을 배제한 미발의 순선함을 보증하는데 있다고 한다면, 심(心)과 기질과 성(性 또는 五常)은 그 안에서 중심적인 개념을 이루게 되는데, 이 중 기질과 성은 인물성논변과 미발논변에 걸쳐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오상에 대한 규정은 인물성논변의 주제일 뿐만 아니라, 미발논변과의 직접적인 매개점으로서 두 논변 간의 이론적․논리적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외암의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은 사람과 사물 간의 동일성을 주장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기 보다는, 인간이 담지하고 실현해야 하는 본성이 어떠한 것인지를 설명하는데 집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겠다. How to define ‘Original Nature(本然之性)’ and ‘Physical nature(氣質之性)’ was the main point to the ‘Inmulseong(人物性,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issue. Yi Gan opposed to Han Won-jin’s ‘Inmulseong-iron(人物性異論, argument of the difference between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the contention that insists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different. Mainly his objection was to against Han Won-jin’s insistent that defines ‘Five constant Virtues(五常)’ in terms of temperament. Yi Gan regarded that his contention would damage absolute universality of human nature and fundamental perfection of human virtues and ‘innate goodness(性善)’. Inmulseong matter is closely related to ‘Mibal(未發, unaroused mind)’ issue. Therefore,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Inmulseong and Mibal could provide appropriate perception of Yi Gan’s ‘Inmulseong-dongron(人物性同論, argument of the sameness between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the insistent that contends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the same. On the Mibal issue, Yi Gan intended to separate Mibal state from temperament for ensuring pure goodness. Under this intention, mind(心), temperament and nature(or five constant virtues) became important concepts to his contention. Temperament and nature were importantly addressed in both two main matters(Inmulseong and Mibal). Especially, five constant virtues(nature) were the notion that mediates the two issues. Considering the notional mediator could show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