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 나타난 막스 베버의 이념형적 방법론

        우홍준 한국행정학회 2008 韓國行政學報 Vol.42 No.3

        The problem in what situation the Construction of the Ideal Type 「the Protestant Ethic」becomes inevitable and the explanation of other essential features of Ideal Type as an analytic device In the 19th century when Max Weber proposed his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s, there were two extreme standpoints about what is the just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s and refuted each other. One is positivism, which insisted on the exclusion of subjective values and saw only the establishment of laws and their systematization as true science. The other is historicism, which argued that historic phenomenon can be defined only through the light from subjective viewpoints and that in cultural sciences, only the arrangements of real facts according to the subjective view of the scholar is possible. In the 21st century, the same controversy has reappeared in some changed fashion through some controversial development since then. The major methodologists from the two standpoints without exception cannot overlook Max Weber as a methodologist considering his successful studies. Here also they are divided on the estimation of Max Weber. New positivists regard him as obsolete. But new historicists defend him and expect from him a solution to the social sciences which are in a deadlock. Regardless of their respective attitude towards Max Weber, if their respective opinion can have any sense, the least understanding of the methodology of Max Weber, especially the part of the Ideal Type is required first. In spite of the fact that numerous articles and works have been published, there are none that properly understand the true meaning, especially that of the Ideal Type which is most essential in the methodology of Weber. This study proposes an understanding of Max Weber's Ideal Type through the methodological analysis of his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which includes the whole process and all the aspects of Ideal Type construction. Especially, in what situation is the construction of the Ideal Type inevitable? Why does an Ideal Type become an artificial synthesis? What is the role that Ideal Type plays in verifying a concrete causal relation? How do the subjective viewpoints of a scholar operate in the studies of Weber? 막스 베버가 자신의 방법론을 개진했던 19세기 당시에는 연구자의 주관적 가치가 일체 배제된 가운데 추상적・일반적 법칙의 정립만이 사회과학이라는 실증주의와 연구자의 주관적 가치의 적용에 의한 사실의 기술만이 가능하다는 역사학파가 대립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베버는 양자의 잘못을 각기 지적하고 자신의 고유한 사회과학방법론을 개진하였다. 21세기 초인 지금 실증주의와 역사학파의 방법론 논쟁이 그간의 논의를 통해 다소 변형된 모습으로 재연되고 있다. 어느 쪽을 막론하고 어느 정도의 비중이 있다고 일반적으로 평가되는 방법론자들은 거의 예외 없이 막스 베버의 방법론을 그의 찬란한 학문적 업적에 주목할 때 간과할 수 없었다. 이들은 대체로 베버의 학문과 방법론에 대해 한물간 폐물이라고 일축하는 부정론자와 사회과학이 처한 현재의 난관을 헤쳐 행위자의 가치문제와 사회구조문제를 접목시켜 이를 동시에 해결시켜 줄 대안이 될 것이라는 긍정론자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부정론이든 긍정론이든 그들의 주장이 조금이라도 의미가 있는 것이 되려면 베버의 방법론 특히 그 중에서도 핵심인 이념형의 실체에 대한 최소한도의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사실 19세기 당시의 방법론 논쟁이 그 간의 논의진행에도 불구하고 별 진전을 보지 못한 채 오늘날 재연되고 있는 것에는 베버의 방법론 그 중에서도 핵심부분인 이념형의 실체에 대해 전혀 무지했다는 데 많은 부분 원인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사례로 하여 이념형이 구성되는 배경과 이념형의 작용원리 기타 이념형의 실체와 관련한 핵심적 의문점들을 설명한다. 그리하여 한편으로는 베버의 방법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촉구하고 한편으로는 진정한 성과가 있는 방법론 논쟁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Iron Cage와 공직자 윤리: Max Weber의 ‘행동’과 ‘체념’을 중심으로

        이문수 한국행정학회 2019 韓國行政學報 Vol.53 No.3

        본 논문은 Max Weber가 stahlhartes Gehäuse라고 말한 것을 iron cage(쇠우리)라고 번역하는데 따른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시작한다. 또한 stahlhartes Gehäuse가 등장하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의 후반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면서 Weber가 진정 의도했던 것은 무엇인지를 추적해볼 것이다. 특히 이 부분에서 Weber는 독일의 대문호인 Goethe의 작품을 여러 번 언급하는데 그 언급에 담긴 의미를 ‘행동’과 ‘체념’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명확하게 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기초로 Weber가 공직자의 윤리에 대하여 1918년의 논문에서 한 유일한 진술, 즉 부당한 상관의 명령이라도 그 상관이 이를 계속 고집하면 그 명령을 자신의 의무처럼 수행하는 것이 명예로운 일이다고 한 진술의 의미를 되짚어 본다. 결론 부분에서는 Weber처럼 공직자 윤리를 생각할 때 생기는 딜레마를 Hannah Arendt의 주장을 빌어 지적할 것이다. 그러나 ‘행동’과 ‘체념’에 기초한 공직자 윤리는 일상적 업무를 즉각적으로 처리할 것을 요구받는 공직자들에게 stahlhartes Gehäuse 속에서 일하면서도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윤리인 것이다. This study starts with pointing out the problems accompanied by interpreting stahlhartes Gehäuse as an iron cage. Finding out what Max Weber really intended to convey by using the phrase stahlhartes Gehäuse seems so important that this study traces the usages of this and similar phrases in the works of Max Weber,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last part of his book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This study argues that the indispensible key to solve the question of stahlhartes Gehäuse should be sought not in Weber’s social and economic works, but in his literary imagination, especially his lifelong fascination with Goethe’s works. For Weber, adhering to action and renunciation simultaneously was the last hope for modern individuals not to lose the meaning of life, even though they have to live with or under stahlhartes Gehäuse. This ethics of action and renunciation can be assumed to underlie Weber’s enigmatic statements concerning the ethical attitude of bureaucrats in a situation of executing questionable orders coming from bureaucrats of higher rank. Under the circumstances of unavoidable ethical and value pluralism, Weber could not but insist on the seemingly contradictory spirits of asceticism and activism while overcoming both the defeatist and narcissistic attitudes prevalent among German bureaucrats during the first two decades of the twentieth century.

      • KCI등재후보

        바울의 ‘카리스마’ 이해와 리더십

        조광호(Gwang-Ho Cho)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1 신학논단 Vol.64 No.-

        It is through Max Weber’s influence that the word ‘charisma’ be-comes famous in the field of leadership. He understands charisma as an special ability to make one considered as an extraordinary. Thanks to Max Weber, the concept ‘charisma’ has been frequently used in relation to leadership: for example “charismatic leadership.” Max Weber defines ‘charisma’ and theorizes about it, so that the concept ‘charisma’ becomes an fundamental notion in the theory of ‘Legitimate Domination.’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it is Paul who uses the word ‘charisma’ in earnest. We can’t find the evidence before Paul, that the word ‘charisma’ ist used as a another term which differs from the Greek “charis.” In New Testament appears the word ‘charisma’ 17 times(Rom. 6 times, 1 Cor. 7 times, 2 Cor., 1 Tim., 2 Tim., 1 Pet. each once). That is, all but one(1 Pet. 4:10) is by Paul. ‘Charisma’ in Pauline Epistles can be classified into 3 groups: 1. One makes use of it, in order to stress the diversity of spiritual gifts received, 2. It means spiritual power in inclusive sense, 3. It is used as the saving act of God explained in the frame of salvation history. Removed the unnecessary usage of ‘charisma’ from the 3 groups, the concept of ‘charisma’ in relation to readership can be summarized as a spiritual power given to the human being as a gift from God. Differently to Max Weber’s Usage, the word ‘charisma’ by Paul is re-lated to the ecclesiology. Each believer has his own charisma. There is no difference in quality between the charismata. That is why, ‘charisma’ can’t be served as a reason of superiority-assertion of one to the other who has the another charisma. The Pauline leadership in relation to the Corinthian church is to be abridged with some key words. Namely, a clear sense of calling, the concentration on the essential value, the emphasis on the diversity on the basis of the universality, serve as a paradox, imitation, parental mind, proposal for the transcendental goal. It is through Max Weber’s influence that the word ‘charisma’ be-comes famous in the field of leadership. He understands charisma as an special ability to make one considered as an extraordinary. Thanks to Max Weber, the concept ‘charisma’ has been frequently used in relation to leadership: for example “charismatic leadership.” Max Weber defines ‘charisma’ and theorizes about it, so that the concept ‘charisma’ becomes an fundamental notion in the theory of ‘Legitimate Domination.’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it is Paul who uses the word ‘charisma’ in earnest. We can’t find the evidence before Paul, that the word ‘charisma’ ist used as a another term which differs from the Greek “charis.” In New Testament appears the word ‘charisma’ 17 times(Rom. 6 times, 1 Cor. 7 times, 2 Cor., 1 Tim., 2 Tim., 1 Pet. each once). That is, all but one(1 Pet. 4:10) is by Paul. ‘Charisma’ in Pauline Epistles can be classified into 3 groups: 1. One makes use of it, in order to stress the diversity of spiritual gifts received, 2. It means spiritual power in inclusive sense, 3. It is used as the saving act of God explained in the frame of salvation history. Removed the unnecessary usage of ‘charisma’ from the 3 groups, the concept of ‘charisma’ in relation to readership can be summarized as a spiritual power given to the human being as a gift from God. Differently to Max Weber’s Usage, the word ‘charisma’ by Paul is re-lated to the ecclesiology. Each believer has his own charisma. There is no difference in quality between the charismata. That is why, ‘charisma’ can’t be served as a reason of superiority-assertion of one to the other who has the another charisma. The Pauline leadership in relation to the Corinthian church is to be abridged with some key words. Namely, a clear sense of calling, the concentration on the essential value, the emphasis on the diversity on the basis of the universality, serve as a paradox, imitation, parental mind, proposal for the transcendental goal.

      • KCI등재

        레스토랑 이용자의 비합리적 선택행동 연구

        김문식(Moon Sig Kim),김남조(Nam Jo Kim)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4 觀光硏究論叢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합리적 행동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 TRA)과 Max Weber의 사회적 행위 개념을 비교함으로 레스토랑 선택이라는 소비자 행동의 변수가 합리적 요인뿐 아니라 비합리적 요인도 영향을 끼치는가를 연구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 심층 인터뷰 기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소비자의 레스토랑 선택 행동에서는 비합리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TRA보다 Weber의 사회적 행위 개념을 통해본 소비자의 레스토랑 선택 행동이 소비자 행동을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셋째, TRA에도 비합리적 요소가 포함되어있었다. 넷째, Weber의 사회적 행위 개념의 관점에서 소비자의 레스토랑 선택 행동은 합리적 요인과 비합리적 요인을 통해 소비자 행동이 적절하게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시사점으로는 외식업체의 마케팅 방법에 비합리적인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 Weber의 사회적 행위 개념이 레스토랑 선택 행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개념 이라는 것, TRA의 확장된 연구가 비합리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연구의 의의로는 레스토랑을 선택하는 소비자의 행동 연구에서 비합리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추론한 것, TRA의 전제인 합리적 이성에 대한 전제가 넓어져야 한다는 것을 추론한 것에 연구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레스토랑 선택 행동에 비합리적 요인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추론하여, 소비자 행동에서 비합리적 요인의 중요성에 대한 문헌적인 제안을 하여 바람직한 경영 활동을 영위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whether the variable of customer behavior as restaurant choice has impact on rational fact as well as irrational one by comparing between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Social Action Concept of Max Weber. This study was processed through the depth interview in the qualitative research. As research results, first, The irrational fact has main impact on restaurant choice customer behavior. Second, Social Action Concept of Max Weber has more detailed and specific explanation power about restaurant choice customer behavior than TRA. Third, there was irrational fact in TRA. Forth, restaurant choice customer behavior from Social Action Concept of Max Weber`s point have appropriate explanation through rational and irrational facts. This study suggests that first, food service business have to concern irrational fact on marketing, second, Social Action Concept of Max Weber is useful concept to explain restaurant choice behavior and third, the extended TRA research has to process to irrational direc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irrational fact has impact on restaurant choice customer behavior and it extend the premise of rational reason as the TRA prerequisite. This study is going to contribute to run desirable management activities by proving that irrational fact has impact on restaurant choice customer behavior and suggesting literally about the importance of irrational fact on restaurant choice behavior.

      • KCI등재

        막스 베버와 해롤드 버만 - 몇 가지 관점

        김철 한국사회이론학회 2020 사회이론 Vol.- No.58

        This article is written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 year after Max Weber’s demise. In this article, Weber's some important views of point about the relation of law & economics, the relation of law & politics, Wertfreiheit Urteil(freedom from value-judgement), legal formalism caused by “logical formalism and nationality” are reviewed & re-evaluated through Harold Joseph Berman’s viewpoints. Berman is considered as a critical successor to M. Weber in the problem area, “modernity of law” by Guido Calabresi. Max Weber(1864-1920)’s period: unification of German empire(1871), Age of Bismark(1862-1890), the 1st World War(1914-1918), Declaration of German Republic(1918) and post-World WarⅠ Weimar Republic(1919-1920). Harold Joseph Berman’s period includes, the end of 1st World War(1918), Versailles Treaty(1919), the Great Depression(1929-1939), Hitler’s Invasion to Poland(1939), World War II in Europe(1939-1945), post-World War II world order(1945-1989), East European & Russian Revolution(1989), German reunification(1990), New Constitution of Russia(1993). The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composed of 4 main parts. Part Ⅰ The difference of socio-economic history between Max Weber and Harold Joseph Berman. The emphasis is laid upon the prepositional question whether law is merely a function of economics or whether law is merely a function of politics. Part Ⅱ(2) The formation & procedure of Max Weber's “Wertfreiheit”. The dispute on “Wertfreiheit” during Bismark period(1861-1890) and after 1909. Part Ⅲ is about Harold J. Berman’s evaluation of Weber’s “Wertfreiheit”. Part Ⅳ deals with the criticism on the legal formalism caused by Weber’s “Logical Form in Rationality”. 이 글은 막스 베버의 100주기(週忌)를 기념해서 베버의 법학사상을 해롤드 버만의 법학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버만은 세계 비교법학의 거장으로 역사 법학과 법철학에서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그는 또한 베버의 법사상을 제대로 승계한 후계자로도 평가받고 있다. 이 논문은 베버와 버만의 사상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유사점과 차이점들을 규명하고 있다. 막스 베버는 도이치 통일(1870)을 기준으로 해서, 비스마르크 시대(1862-1890)와 1차 대전(1914-1918), 그리고 도이치 제국의 공화국 선포(1918)와 전후 바이마르 공화국(1919)의 초기(1919-1920)까지 활약하였던 인물이다. 해롤드 조셉 버만은, 세계 제1차 대전 종전(1918), 연합군의 베르사이유 체제(1919), 세계 대공황(1929-1939), 유럽에서의 세계 대전 발발(1939), 2차 대전(1939-1945)에 참전, 2차 대전 종전 후, 비교법학자로서 연합국 위주의 전후 세계 질서의 확립에 참여, 동유럽 및 러시아법 전문가로서 1989년 동유럽 혁명, 1990년 도이치 통일, 1991년 러시아 신 헌법을 경험하고, 공산주의가 물러난 중동 유럽과 러시아 지역의 새로운 법질서 창설에 참가하였다. 베버는 법학자로서 출발하였으나, 경제학과 사회학으로 뻗어 나갔다. 그는 법학자로서 현대 사회학의 아버지로 불리운다. 버만은 학제적 연구와 역사학으로 시작했으나, 주된 영역은 비교법학으로 확립되고, 이윽고 법과 종교 이론으로써 신학대학원에서 영향을 가지게 되었다. 베버의 대표적 영역인 “종교와 사회”와 “경제와 사회”를 버만이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법과 종교” 및 “법과 혁명” 연작으로 발전시켰다. 이 논문은 베버와 버만의 차이를 1) 사회 경제사에서의 차이, 2) 베버의 가치 자유(Wertfreiheit) 논쟁과 버만의 평가, 3) 베버의 “합리성에 있어서의 논리적 형식”에 대한 현대 법학의 비판적 발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 KCI등재

        막스 베버의 자본주의 정신 기원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영태 ( Young Tae Kim ) 한국윤리학회 2011 倫理硏究 Vol.81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or research on Max Weber(1864-1920)`s theory of the origin of the spirit of capitalism focused on his writing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1904-1905). In his time the socialism and the capitalism were the rival economical ideologies. Accordingly, in some sense, Max Weber`s emphasis on the capitalism was an anti-thesis against Karl Marx`s socialism or communism. Above all, after Max Weber tried to outlined the history of capitalism from the ancient time to his time, he investigated the true origin of the spirit of capitalism. In the meantime, he especially fixed his eyes on the Protestant denominations such as Lutheranism, Calvinism, Quakerism, Pietism, and Methodism. Among these he concentrated his attention to the English Presbyterian Puritanism. He found that the Puritans believed Almighty God, God`s sovereignty, and the vocation was given to human being as God`s calling. Therefore, he thought, we human beings have to work very diligently and thrifty, and we have to be ascetic. He thought this lifestyle is that God really wants. As we know, this spirit and the lifestyle have succeeded from English Puritans to American Puritans. Max Weber found the spirit of capitalism from the English Puritans, because it was surely based on God`s will. However, Max Weber could not anticipate the capitalism get lost in the future. He did not consider the precautionary measure for the unlimited greed of the capitalism and the seriousness of the gulf between the poor and the rich. Max Weber`s theory was very remarkable and had many supporters at his days, but today many scholars doubt his theory. So we moderners are often dillydallying between the two theories. Probably Weber`s theory has the limit, for there are not only many supporters for him but also a lot of critics against him.

      • KCI등재

        근대와 정치적 삶의 문제 - 베버(Max Weber)의 ‘관료주의’와 ‘민주주의’ 이해를 중심으로

        최치원 한독사회과학회 2009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9 No.1

        근대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을까? 16세기 이래로 서구의 많은 지식인들이 근대의 특징적 모습들을 포착하려고 시도해 왔다. 베버(Max Weber)는 관료화/관료주의의 문제에 초점을 두어 근대의 의미를 이해하려고 했다. 베버에게 관료화/관료주의는 근대에 인간의 삶의 영역 전반을 지배하는 힘이 된다. 즉 그것은 인간의 자유를 구속하는 역사적 힘 혹은 운명이된다. 무엇보다 베버는 근대의 조건에서 탄생한 새로운 정치적 삶의 형태인 민주주의가 관료화/관료주의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전개된다고 파악하였다. 이것은 근대의 정치적 삶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것을, 따라서 관료화/관료주의가 고려되지 않고서는 민주주의의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상에서처럼 베버가 근대의 전형적인 현상으로 이해했던 관료화/관료주의가 민주주의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작동되는지를 밝히고, 이를 통해 오늘날의 정치적 삶의 문제를 이해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질서’와 ‘형식주의’ 같은 관료주의의 논리를 통해서 구속되어 있는 인간의 자유를 확보해 주기 위한 대안을 찾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궁극적으로는 관료화/관료주의에 대항하여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기 위한 이론을 탐구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근대의 정치적 삶에 대한 베버의 이론적-철학적 사유는 이러한 문제들을 고민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을 제공해 주고 있다. 본 연구와 같은 논의는 의미상실로 특징지어지는 포스트모던으로 표상되는 세계 속에서 정치적 삶의 의미를 반성해 보기 위해서도 필요할 것이다. What is modernity and how can we understand it? Since 16th century, intellectuals have tried to comprehend the concept of modernity and its characteristic features. They were Immanuel Kant, Georg W. F. Hegel, Claude Henri de Saint-Simon, Auguste Comte, Alexis Clérel de Tocqueville, Karl Marx, Friedrich Nietzsche and Oswald Spengler. Max Weber belonged to such intellectual group. Max Weber was not only social scientist and historian. He was also one who could deserve having the name of existential philosopher: No philosopher could explain the very essential problem of modern political life so abundantly and lively than Weber. Weber tried to explain consequently a historical power or destiny called bureaucratization and bureaucracy which, he thought, conditioned and determined the freedom of human being. He saw bureaucratization and bureaucracy, which were regarded as a typical modern phenomenon, appeared in the area and development of the modern mass democracy as one of the greatest achievements of modernity. We are now living in an age in which bureaucracy dominates all areas of our life (economic, political, social) as Weber predicted ‘the future will belong to the bureaucratization’. Especially, it can be emphasized the democracy is a new form of political life that has conditioned our political life, but it is repressed by the tendency of bureaucratization. This means that, as Weber intended, the modern political life had entered upon a new phase and that it is necessary to first take problems of bureaucratization and bureaucracy into consideration if we want solve problems of democracy.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we need to develop an alternative to ensure the freedom of human beings who confine themselves in the cell of ‘order’ and ‘formalism’ of bureaucracy. Weber's thought of modernity can serve as an important clue to find an answer for tha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eber’s understanding of a historical phenomenon called modernity whose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phenomenon of bureaucratization/ bureaucracy and to explore how it functions in the context of modern political life. Discussing the problems of bureaucratization/bureaucracy and of democracy in this context is needed to reflect on our political life of today and understand the world presented as post-modernity.

      • KCI등재

        막스 베버와 지배 정당성의 도덕적 근거 -정치 사회학에 미친 베버의 지적 파장을 중심으로

        박희 한국사회이론학회 2020 사회이론 Vol.- No.58

        Max Weber was a central figure in sociology, who was fiercely concerned about the fundamental problem of moral values and life orientation in the revolutionary change of modern Western Europ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is influences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f political sociology, which tried to establish the basis of legitimacy of political order in a special situation of Germany. In general, unlike most studies that evaluate the influence of Weber’s political sociology on German historical topography only in terms of historical performance and results, and unlike the studies that discuss it only in terms of the typology of political dominations(Herrschaf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efforts he has shown to establish the basis of moral authority and legitimacy and to establish democratic social order. In addition, the interest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Weber’s theoretical resources were utilized and reconstructed in the Talcott Parsons’ social action–domination typology, Wolfgang Schluchter’s developmental historical perspectives, and the Jürgen Habermas’ recent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Of course, after Weber’s death, the changes made in the political realm go beyond imagination. And, It is true that the bureaucracy continued to expand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spatial division of labor across the state and the welfare state intervention strategy, as Weber already predicted. However, from the end of the 1960s, the growing efforts to defend the life world, the growth of interest in everyday life, and the various attempts of modern society for the implementation of ‘equivalent chain strategy’ or life politics for democratic life raised by various civic groups are attempts to build a democratic social order,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easures of Weber, who expected the systematic operation of parliamentary democracy and charismatic leadership. And among the discussions to critically reconstruct Weber’s political sociology, Habermas’ discussions reflect such changing situations, in particular. Nevertheless, the fundamental question Weber asked, the task of building a moral basis for life-oriented and democratic political order, remained unchanged. As the result, Weber’s political sociology and his follower sociologists’ efforts to the critical reconstruction of Weber’s theory can be used as important materials in establishing the moral standards for all of us who are interested in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morality, that is to say the moral basis of value orientation and democratic political order. 막스 베버는 근대 서구 유럽의 급격한 시대적 전환과정에서 도덕적 가치와 삶의 지향이라는 근원적 문제를 놓고 치열하게 고민했던 사회학의 중심 인물이었다. 이 글은 독일의 특수한 상황에서 정치 질서의 정당성의 근거를 확립하려 했던 그의 논의들이 사회학의 역사에 대해 미친 영향들에 대해 검토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연구들이 독일의 역사적 지형에 미친 베버의 정치 사회학의 영향을 결과론적으로 평가하거나 지배 유형론에 한정해서 논의를 하는 것과 달리, 이 글에서는 그가 도덕적 권위와 정당성의 근거를 마련하는 동시에 민주적 사회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보여주었던 노력들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이에 더하여 이 글의 관심은 그가 제공해준 이론적 자원들이 탤컷 파슨스의 행위-지배 유형론, 볼프강 슐룩터의 발전사적 연구, 그리고 최근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행위이론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그의 이론적 자원이 어떻게 활용되어 재구성되고 있는지를 살피려고 하였다. 물론 베버의 사후, 정치 영역에서 변화는 상상을 넘어선다. 국가를 넘나드는 공간적 분업의 확대와 복지국가적 개입 전략에 따라 관료제적 틀은 베버가 예견했듯이 계속 확장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1960년대 말을 기점으로 신사회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기되고 있는 생활세계의 방어와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의 성장, 그리고 다양한 시민단체에서 제기되는 민주적 삶을 위한 부문별 ‘등가의 연쇄전략’이나 생활정치의 구현을 위한 현대의 다양한 시도들은 의회 민주주의와 카리스마적 지도력에 기대했던 베버의 대책과는 다른, 민주적 사회질서의 구축을 위한 시도들이기도 하다. 그리고 베버 정치 사회학의 비판적 재구성 논의들 가운데 하버마스의 논의는 특히 그러한 변화 상황을 반영하고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버가 던진 근본적 물음, 곧 삶의 지향과 민주적 정치 질서의 도덕적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는 과제는 변하지 않았다. 결국 정치와 도덕의 관계를 놓고 고민하는 우리들 모두에게 베버의 논의와 그 재구성을 위한 노력들이 결국 도덕의 잣대 위에서 우리 사회를 비춰보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막스 베버의 정치사상에 나타나는 전통과 혁신

        최치원 한독사회과학회 2019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9 No.4

        This paper re-presents ‘Max Weber’ as a political scientist and political thinker in the context of German intellectual and academic traditions. For Weber, politics is culture in a comprehensive sense. From Weber's confrontation of ​the ‘autonomous logics’(Eigengesetzlichkeiten) of cultural modernity, a concept of political thoughts consisting of five elements, is derived. The core ls the third and fourth element. As the value domains within the ‘cultural modernity’ collide and conflict with each other while developing their own ‘autonomous logics', so do the value domains within Weber’s thoughts. This is inevitable because Weber's thoughts were influenced and shaped by various disciplines such as law, philosophy, theology, history, and economics. Web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experience with real politics characterizes his thoughts of politics. Above all, Weber's political thoughts, which were formed through his confrontation with the German Historical school of economics as an ‘older form of political theory’, develops its own ‘autonomous logics’. It has a dual moment of tradition and innovation. 'Value-freedom' is only one representative form of the full expression of this 'autonomous logics'. The real essence of the 'autonomous logics' in Weber's thoughts are hidden, are pulsed in the German intellectual and academic context. In West's intellectual history, Weber’s political thoughts have the meaning of reflection of the problem within the tradition of Western politics since Socrates, Plato, and Aristotle. 사회학자로 각인된 베버는 독일의 지적·학문적 전통의 맥락에서 정치학자이자 정치사상가이다. 베버에게 정치는 포괄적인 의미에서 문화이다. 문화적 근대의 ‘고유한 법칙성들’을 포착했던 베버의 사상으로부터 5개의 원리로 구성된 정치사상이 도출된다. 그 핵심은 제 3과 제 4원리에 있다. ‘문화적 근대’의 내부에서 문화를 구성하는 가치영역들이 ‘고유한 법칙성’을 전개시키면서 서로 충돌하고 갈등하듯이, 인간 베버의 사상을 구성하는 각 분과학문의 가치영역도 내재적으로 ‘고유한 법칙성’을 전개하고 서로 충돌하고 갈등한다. 이것은 베버의 사상이 법학, 철학, 신학, 역사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과학문에 의해 영향을 받고 형성되었기 때문에 필연적인 현상이다. 베버의 현실정치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경험은 그 자신의 사상에 특성을 부여한다. 베버의 정치사상은 무엇보다 ‘구식 정치이론’으로서 ‘국민경제학 역사학파’와의 대결을 통해 형성되어, ‘고유한 법칙성’을 전개시킨다. 그것은 전통과 혁신의 이중적 계기를 갖는다. ‘가치자유’는 이러한 ‘고유한 법칙성’이 완전히발현된 대표적인 한 형태일 뿐이다. 인간 베버의 사상에 내재된 ‘고유한 법칙성들’의 실체는 서로 혼재되어 있고, 많은 부분이 감추어져 있다. 그러나 그것들의 맥박은 독일의 지적· 학문적 맥락속에서 뛰고 있다. 서구의 지식사적 측면에서 베버의 사상은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 이래의 서구 정치학의 전통에 대한 문제제기의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종교개혁과 자본주의 정신-막스 베버의 관점과 기독교적 의미

        김주한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18 신학연구 Vol.55 No.2

        This paper analyzes Max Weber’s book,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aiming to connect up with teachings of Protestant ethic in terms of contemporary industrial culture. As the book shows, Weber’s study focuses above all on the origins of modern capitalism. He wants to affirm internal intimacy of Protestant ethic and the modern capitalism. Weber’s method of study is to identify key drivers of the modern capitalist economic system. Weber helped to analyze the built-in factors that can be perceived as the influence of religious culture in the spirit of modern capitalism. This paper proceeds as follows. Exploration of the economic situation in Europe before the Reformation period is followed by introductory statement. Then we will examine at the economic view of the Reformers, Luther and Calvin. This paper then analyze Weber’s work centering on selective affinity between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Here I will argue critical evaluations of Weber’s proposition. Weber’s argument aroused critical responses. The point of criticism can be summarized in two dimensions: First is the origin and nature of the capitalist mind. Second is the view that Weber’s sociological method of religion criticized and overcome Marxist historical materialism and presented psychological elements of historical development phenomenon through empirical studies. This paper will asses how persuasive these two critics are.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discuss as to Weber’s proposition is still valid. In relation to the social role and function of religion, this paper will try to explore what Weber’s thesis means to Korean churches. 이 글은 유럽의 종교개혁 이후 자본주의체제 발전과정에서 종교의 역할과 영향력을 분석하여 프로테스탄트 정신이 자본주의 체제를 향해 던질 수 있는 비판적인 특징들을 논구해 보려 한다. 분석의 자료는 막스 베버의 저서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이다. 그러나 필자는 베버의 논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한 글들과 대화를 통하여 베버의 논지가 얼마만큼 합리적인 논거와 타당성, 그리고 설득력을 갖는지 판단할 것이며 결국 신자유주의 경제 질서 속에서 교회의 역할과 책임을 공적 신학의 관점에서 제시해 볼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유럽의 종교개혁 운동은 단순히 교회의 영역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종교개혁운동이 유럽 사회의 정치·경제· 사회 문화 변동에 끼친 영향력은 실로 광범위하였다. 중세 시대 로마가톨릭교회는 서유럽의 사회 문화 전달자요 경제를 새롭게 건설하는 일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서유럽 사회에서 경제 및 사회분야에서 새로운 이념과 인적 자원을 제도적으로 확보하고 있었던 기구는 교회였다. 기독교계는 지역마다 크고 작은 교구들이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공동체 형성의 구심점 역할을 하였고 기독교의 유명 수도원이나 성소들을 중심으로 무역업이 발달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중세 시대 교회 주변을 중심으로 상업이 발달하였고 자본을 소유하게 된 사람들은 교회의 명령이나 기존의 기독교적인 관습으로부터 탈피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말하자면 그들은 사회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었다. 종교개혁이 발발하기 이전 중세 유럽의 “상업 중심의 경제체제는 교회”와 일정 거리를 두고 있었다. 베버의 논지를 영향력있게 비판적으로 평가한 토니는 종교개혁 이전과 이후 유럽의 경제 상황을 “대금업”(Usury) 문제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베버의 논지, 즉 칼빈과 칼빈주의가 자본주의 경제에 끼친 영향력을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수용한다. 그러나 폴 존슨이나 토니는 칼빈과 칼빈주의가 자본주의의 효시였다는 주장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필자는 이러한 주장들이 얼마나 합리적인 근거 위에서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 아래에서 검토해 볼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을 위해 종교개혁 이전과 이후 당대 경제적 상황을 정리해 낼 필요가 있고 또 종교개혁자들, 특히 루터와 칼빈의 경제사상을 파악하는 일은 필수적이다. 결국 필자는 베버의 논지가 여전히 유효한지, 그렇다면 그것의 기독교적인 함의는 무엇이며 한국교회에 주는 교훈은 무엇인지를 탐구해 보려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