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가사 <인과문>의 사설 구성 방식과 연행문화적 의미

        최형우 한국어문학회 2019 語文學 Vol.0 No.1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thod of lyrics composition and its cultural meaning of <Ingwamun(因果文)> in the 18th century. <Ingwamun(因果文)> is a different version of <Hoesim-gok(回心曲)> lyrics, which was popular in the 19th century, and is referred to in the discussion of <Hoesim-gok(回心曲)>.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current <Hoesim-gok(回心曲)> lyrics, mostly after the 19th century, and <Ingwamun(因果文)> lyrics, which came before <Hoesim-gok(回心曲)> lyrics. Through a full discussion of <Ingwamun(因果文)>, the study tries to provide a basis for the phenomenon whereby <Hoesim-gok(回心曲)> exploded in popularity. <Ingwamun(因果文)> lyrics are contained in <Yeombulbogunmun(念佛普勸文)> and include <Seowang-ga(西往歌)>, <Daebuljungsunengumsinju(大佛頂首楞嚴神呪)>, <Guanumbosalyeoyirunju(觀音菩薩如意輪呪)> on the one votive document. At that time, the Yeombul-ceremony was a formal procedure in the first half of the ceremony and the various procedures fitted the situation in the second half. <Ingwamun(因果文)> was played in the second half of the ceremony. Therefore, the lyrics were structured using the ‘causal lyrics composition methods’ and focused on the ‘life and death of the human being’, which the public can be interested in and easily understand. In addition, <Ingwamun(因果文)> lyrics are loosely connected in form and content. The reason why the lyrics were popular at that time is related to ‘Yeombul’ as the Buddhist lyrics playing method. Also, the lyrics are anonymous, which differs from <Seowang-ga(西往歌)>. Since the content more closely suited the public’s taste, the work was one of the methods chosen by the Buddhist temple to solve the worries and desires of the contemporary public. This helps us understand that the Buddhist temples in the previous period were only at the beginning, while the missionary activities are developed in a more advanced form. 본 논문은 18세기 전국적으로 널리 유통된 『염불보권문』에 수록된 불교가사 <인과문>을 단독으로 주목하여 그 사설 구성 방식의 특징을 밝히고, 그것이 가지는 문화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인과문>은 19세기 유행한 <회심곡> 사설의 이본군으로 <회심곡>에 대한 논의 가운데 부분적으로 언급된 것이 전부였다. 하지만, 현전하는 <회심곡> 사설이 대부분 19세기 이후의 것이며, <인과문>이 이보다 선행하는 사설임에 주목하여 <인과문>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통하여 이후 <회심곡>이 폭발적으로 유행하게 되는 현상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인과문> 사설은 『염불보권문』의 ‘염불작법차서’에 수록되어 있으며, 하나의 발원문 사이에 <나옹화상서왕가>, <대불정수능엄신주>, <관음보살자재여의륜주> 등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특히 이전 시기 간행된 『염불작법』의 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당시 염불 의례는 전반부에 공식적인 절차로 의례를 진행하고, 후반부에 상황에 맞는 여러 절차를 삽입하는 형태였는데, <서왕가>를 비롯하여 <인과문>은 의례의 후반부에 보다 대중에게 밀착된 형태로 연행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대중들이 관심을 가지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인간의 생사 문제’를 중심에 둔 ‘인과적 사설 구성 방식’을 중심으로 사설이 구조화되었다. 아울러 <인과문> 사설은 형식적, 내용적으로 상당히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로도 크게 유행하고, 정식 의례의 절차로까지 삽입될 수 있었던 것은 불교가사 연행 방식으로써의 ‘염불’과 관련이 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이 작품이 <나옹화상서왕가>와는 다르게 ‘작자미상’으로 처리된 작품이며, 보다 대중의 기호에 밀착된 내용이라는 점에서 이 작품이 당대 대중들의 고민과 열망을 불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사찰에서 선택한 방법 중 하나였으며, 이전 시기의 불교 사찰의 문학 포교 활동이 한층 더 발전된 형태로 전개되는 출발지점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한어유취」 소재 노래 사설 양상과 통속성

        이고은 ( Go Eun Lee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본고는 「한어유취」 소재 노래들 중 기존에 소개되지 않은 사설들을 추가하여 재검토하고, 「한어유취」에 수록된 사설의 양상과 사설의 통속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에서 「한어유취」 소재 노래로 육자배기 8수, 중거리 1수, 기타 20수로 총 29수를 소개한 바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10수를 추가적으로 발견하여 이를 소개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토속적인 노래뿐만 아니라, ‘남사당 노래’나 ‘사랑노래’ 등 일정부분 통속적인 양상이 두드러지는 노래 또한 존재한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언급하지 않았던 부분이다. 서지적인 면에서도 사설에 부기된 정보들을 재검토하여 소개하였다. 사설 말미에 기재된 정보는 해당 노래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표지이다. 특히 ‘再考’라는 표기는 해당 노래 사설이 여러 형태로 불릴 수 있었음을 알려주는 단서이다. 또한 사설 중간에 부기된 다른 사설들을 토대로 「한어유취」에 채록된 노래 사설들은 일회성에 그친 채록물이 아니라, 채록자인 하시모토 소요시가 연행현장에서 불린 노래를 반복적으로 듣고 연행마다 변개되는 사설의 다양한 양상을 담아내려는 시도가 반영된 자료임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한어유취」 소재 노래 중 토속성에 집중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그 중에서 통속성이 확인되는 사설이 존재하는바, 본고에서는 이를 < 육자배기 >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어유취」 소재 < 육자배기 > 중 일부는 이후 1910년대 활발히 간행되었던 잡가집 수록 < 육자배기 >의 기본 토대가 되는 사설로서, 이미 그 당시에 일정부분 통속화를 거쳤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한어유취」는 19세기 말 나주라는 공간과 20세기 초 잡가가 활발히 향유되었던 공간인 서울과 평양을 잇는 채록 자료라는 점에서 그 가치는 분명해졌다 This study reexamined and checked lyrics in 「Haneoyuchui(韓語類聚)」 those had not introduced before and looked at what kind of lyrics are contained in 「Haneoyuchui」. Furthermore, it checked popularity of lyrics by Yukjabaegi as the central figure. In this study, introduces 10 lyrics additionally,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closely. Tone of them are folkways, but, some lyrics, such as Namsadang``s song, song of reception room(舍廊) or etc, showed portion of popularity remarkably. Those were not introduced in the previous studies. In bibliographical aspect, this study reexamined and introduced writer``s additions to lyrics. Information in the brackets at the end of the lyrics functioned to look at lyrics concretely. ``reconsideration(再考)`` stands for lyrics could be sung in many kinds. Especially, this book provides situational information when the lyrics sung. Therefore, it reflects recorder``s will that tried to put the situation in that time precisely in 「Haneoyuchui」 when the lyrics sung.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o follways of lyrics in 「Haneoyuchui」. but 「Haneoyuchui」 retain popularity of lyrics. Some parts of the Yukjabaegi in 「Haneoyuchui」 framed on Yukjabaegi in Japga collections published actively in 1910``. The value of the 「Haneoyuchui」, which had been enjoyed at Naju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Seoul in the early 20th, is huge that connects between Seoul and Pyongyang.

      • KCI등재

        찬송가 미터와 창작가사의 음절그룹

        조용연 ( Yong Yeon Cho ) 민족음악학회 2013 음악과 민족 Vol.46 No.-

        In the early period evangelization in this country, Korean believers sung translated versions of American and British hymns. Words of the translations were gradually substituted by creative musical lyrics that Koreans made. In this nation, hymn collections have been issued in accordance with period, editor and sect. Some of the above creative musical lyrics are found in those collections. In hymns, each movement has the title of song, the names of writer and composer and meter marked together. Especially, the meters are classified into regular ones like ``8.8.8.8``or ``9.9.9.9``, collectively called ``consistent meter``, regularly but differently syllabled ones like ``8.6.8.6`` or ``7.6.7.6``, collectively as ``mixed meter``, and ones with varying numbers of syllables like ``8.6.8.6.6.6``, that is, ``irregular meter``. Creative musical lyrics that have been locally made as the words of hymns are all in tune with the meters of corresponding foreign hymns. This is also true in case of 23 pieces of creative musical lyrics that were examined in this study. Among the 23 works, more specifically, 8 are ``consistent`` in meter, 13, ``mixed`` and 2, ``irregular``. However, the meter of each of the pieces keeps the pattern of 8.8.8.8 or 8.6.8.6. Thus, the hymns that were later translated and created in Korean are not different in the number of syllables. But in some cases, their words are not same to each other in meaning group. Meter can be divided depending on meaning group. For example, in the meter of 8.8.8.8, ``8`` may be divided into ``4?4``or ``5?3`` and in that of 8.6.8.6, ``6`` into ``3?3`` or ``2?4``. This study examines relations between such divided meters and musical rhythms of the creative musical lyrics, thereby finding out a basic framework hidden in those lyrics and their divided meters. Based on that framework, then,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what are the originals(original hymns) of the creative works having lyrics only(without musical scores). Investigating lyrics added to frequently sung melodies and determining how those lyrics are basically framed in syllable group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the originals of many creative musical lyrics. For example, 「Sipgyega」 has words only, but no musical score. Seemingly devoid of chapter and passage, those lyrics are structurally and precisely identical to the basic framework that the meter of hymn, Harvest has. Nevertheless, however, some creative musical lyrics added to the melodies of existing hymns seem to be a little awkward.. This is because in those lyrics, meaning groups are broken down by divided meters. For example, 「Hanaleun Yesunimeui Yeonggwangeul」 has been divided into "Hanaleun Yesunim/eui Yeonggwangeul"(6?4) due to meter division, even though "Hanaleun Yesunimeui/Yeonggwangeul"(7?3) is logically right. This problem is because melodies added to the above lyrics were not given after those creative words were made, but already existed before the making. More fundamentally, there were few professional composers in the early period of evangelization in this country who could work with creative lyrics for hymns.

      • 가사의 상실에 따른 영산회상 상령산의 형식 변화

        강혜진(Kang, Hye-jin) 한국음악문화학회 2016 한국음악문화연구 Vol.8 No.-

        영산회상 상령산은 지금은 가사가 없는 기악곡으로 연주되고 있지만 초기 악보에는 ‘영산회상불보살’이라는 가사가 붙어 있다. 본 연구는 ‘원래 가사를 갖고 있던 영산회상이 가사를 잃게 되면서 형식이 변하게 되지 않았을까’하는 의문을 해결해보기 위해 영산회상의 악보를 가사의 유무에 따라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가사가 있는 『이수삼산제본금보』, 『대악후보와 가사가 없지만 가사가 있는 악보와 선율이 거의 비슷한 『연대금보』 『한금신보』를 가사가 있는 악보로 분류하였다. 또한 가사가 없는 악보로는 『어은보』, 『금학절요』, 『유예지』, 삼죽금보』, 『현행 정악 거문고보』의 것을 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가사가 있는 악보에서는 가사에 의해 선율의 단락이 구분지어 졌지만 가사를 상실한 악보에서는 동일한 종지각 선행 반각의 선율과 종지각의 선율, 즉 ‘임종-중려-황종’을 각 대강의 첫 음으로 하는 선율을 기준으로 각 장이 구분되는 형식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영산회상 상령산은 원래의 가사를 잃게 되면서 가사에 의한 것이 아닌, 새로운 반복과 변화에 따른 규칙에 의하여 장이 구분되는 형식을 갖게 된 것이다. Yongsanhoesang Sangryeongsan of the present time is an instrumental music, however initial Yongsanhoesang Sangryeongsan has the lyrics, Yong-San-Heo-Sang-Bul-Bo-Sal. This paper explores the musical form"s change according to loss of the Yongsanhoesang’s lyrics. Yongsanhoesang’s music was divided into two kinds, music with lyrics and music loss of the lyrics. 『Isusamsanjebongeumbo』, 『Daeakhubo』 have the lyrics, and 『Yeondaegeumbo』, 『Hangeumsinbo』 have no lyrics, but two music’s melody is similar to 『Isusamsanjebongeumbo』, 『Daeakhubo』. Therefoe 『Isusamsanjebongeumbo』, 『Daeakhubo』, 『Yeondaegeumbo』, 『Hangeumsinbo』 was sorted on music with lyrics. And 『Eoeunbo』, 『Geumhakjeolyo』, 『Yuyeji』, 『Samjukgeumbo』, 『Today’s Jeongak Geomungobo』 are sorted on music loss of the lyrics. The result comparing music with lyrics and loss of the lyrics is as follows. On the music with lyrics musical form is settled by lyrics. On the contrary, on the music loss of the lyrics musical form is settled by the same cadence pattern.

      • KCI등재

        북한 전후 시대의 서정시 의식 고찰

        권성훈(Kwon Sunghun)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6 No.-

        본고는 북한 서정시의 흐름 중에서 1950~1960년대 북한 전후 시대 시에 나타난 서정시 의식 전개와 특성에 대한 고찰이다. 거기에는 남북한의 평화통일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민족 문화적인 동질성을 회복해야 하는 것을 전제로 체제와 이념을 넘어선 서정성이 담보된다. 문학에서 서정성은 인류 보편적 인식이며 본질적으로 언어에 투과되기 마련이다. 그간의 연구들은 대체로 북한 서정시의 전개 과정과 문학적 이해를 주체사상 구축에서 기인한다. 이데올로기와 체제 강화를 위해 문학을 도구화해 온 북한 서정시는 사회주의 현실을 토대로 형상화된다. 또한 북한시편의 정형률 자체가 주체문학에 입각한 것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서정시는 수령과 당에 대한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이데올로기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창작된다. 이 글에서 주목한 것은 북한 서정시를 순수한 의식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북한 문학의 자장을 확대하는 데 있다. 이같이 서정성은 인간의 근본적인 감정이며 고유한 의식이라는 점을 부각하기 위해 최대한 이데올로기를 배제하여 북한 서정시를 파악했다. 살펴본 전후 시대 북한 서정시는 1970년대 이후보다는 조금 더 시인의 감정을 서정적으로 표현하는 서정성이 배태되어 있다. 그 근저에는 주체사상과 당과 수령이 있지만 그러한 이데올로기를 제거하면 고유의 서정성이 시를 구성하고 있다. 이로써 북한 서정시는 현대서정시와 마찬가지로 객관적 세계를 시적 자아의 내면에 용해 시켜 세계를 자아화하는데 기여한다는 것이다. 본고의 연구 방법으로 북한 서정시에서 두드러진 주제의식을 현대서정시의 분류 방법으로 설정하고 세 가지로 구분했다. 말하자면 사랑의 서정시를 북한의 연시편으로, 계급적 서정시를 북한의 공동체 시편으로, 전원적 서정시를 자연 시편으로 전개할 수 있다. 이 같은 북한 서정시의 특징으로는 50행 이상이 넘는 ‘장시’와 사건 형식으로 된 ‘서사시’와 이야기 형식으로 된 ‘대화 시’ 등이 극적인 형태로 등장한다. 이로써 텍스트로 북한 전후 시대의 서정시 의식과 특성 중에서 두드러진 시적 양상으로서 첫째 연시편을 통한 시적 동일성에서 운명의지가 관찰된다. 둘째 공동체적 삶 속에서 이루어지는 시적 조화성과 그에 따른 희망 의식이 편철되어 있다. 셋째 자연과의 동화성 속에서 생명 인식이 관철되어 있다는 사실 등에 주목했다. This paper is a consideration of the theme consciousn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yrics shown during the postwar period of North Korea in the 1960s in the flow of the lyrics of North Korea. It is premised that lyricism must be ensured beyond the system and philosophy of restoring ethnic and cultural homogeneity in the sense of praying for peaceful unity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studies so far, the process of developing North Korean lyrics and literary understanding are generally at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Juche ideas. It has played a role in showing the realization of socialism by North Korea"s tooling of lyrics for ideology and strengthening the regime. As a result, North Korean lyrics is created in a way that combines socialism realism and ideology for the leader and the party, given that the fixed form itself is based on Juche literature, just like ordinary North Korean psalms. However,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lyrics of Nor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pure consciousness and to expand the magnetic field of North Korean literature. In this way, lyricism is a basic human emotion, and in order to emphasize the point of inherent consciousness, I eliminated ideology as much as possible and grasped the lyrics of North Korea. Since the 1970s, the lyrics of North Korea postwar period are displayed with the lyricism that expresses the poet"s emotions a little more lyrically. At its root, the Juche, the party and the leader, when such ideologies are removed, the inherent lyricism constitutes the poem. The North Korean lyrics, like modern lyrics, dissolve the objective world inside the poetic ego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the world. The research method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modern method of classifying lyrics. So to speak, the lyrics of love are the kite psalms of North Korea, and the lyrics of the class are the community psalms of North Korea, and the lyrics of rural are the natural psalms. The characteristic of such North Korean lyrics is that more than 50 lines of “long poem”, “epic poem” in the form of an incident, and “dialogue poem” in the form of a conversation appear dramatically. This allows the text to be stylized into three to explore the lyric theme consciousness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postwar period. First, the will of fate is observed by the poetic identity using the kite psalms as a poetic aspect as the main theme of the lyrics. Second, the poetic harmony that takes place in a community life, and the resulting nationalism, is edited. Third, it was noted that world awareness and others were carried out in assimilation with nature.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대중음악 가사에 대한 분석 - 조선총독부 금지곡을 대상으로 -

        이조희,이인호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1 지식융합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대중음악 중 한국어 제목과 가사로 나타난 금지곡의 가 사의 내용을 분석하여 금지곡이 된 연유를 당시의 시대상에 반영해 재검토하고 음 원으로 나타난 금지곡의 경우 가사의 채록을 통해 그 내용을 고찰하였다. 일제강 점기의 경우 음악적인 요소보다는 가사 내용의 검열로 인한 음악 통제가 대다수 였다. 하지만 가사 내용에서 금지곡이 될 만한 요소가 보이지 않는 곡들은 그 당시 시대상의 어떠한 특징이 있었으며 음악적인 특징에는 문제가 없었는지를 살펴보 았다. 분석은 금지곡이 된 곡 중 가사자료가 나타난 곡들과 음원이 있는 곡들의 경우 금지사유별로 먼저 분류하고 가사에 나타난 주제를 몇 가지로 분류하여 그 주제의 나타난 내용과 표현 등을 살펴보았다. 가사자료가 나타난 곡들의 경우 분석의 큰 문제가 없었지만, 가사자료가 없고 음원만 있는 경우에는 다소 정확하지는 않지만, 채록을 통해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먼저 금지사유별 분류는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첫째, 국가와 사회의 안 녕과 질서를 방해하는 치안방해와 둘째, 세상의 풍속과 풍습을 무너트리고 어지럽 히는 풍속괴란 셋째, 금지 사유를 확인할 수 없는 기타로 분류하였다. 치안방해의 경우 주제의 분류를 통해 ‘향수’, ‘역사의식과 민족 정서 고취’, ‘풍 자’, ‘한과 서러움’, ‘현실수긍’, ‘특징 없음’의 주제로 나타내었고, 풍속괴란의 경우 ‘풍자’, ‘풍자와 향수’, ‘특징 없음’의 주제로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금지 사유를 확 인할 수 없는 기타의 사유가 있었는데 이 음반들의 경우 가사가 나타난 곡들은 분 석을 통해서 어떠한 사유를 받았는지 유추할 수 있었고 가사나 음원이 없는 경우에 는 분석을 진행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음악 통제의 오류와 왜곡을 식민지 시대의 피해의식에서 벗어나 보다 객관적이고 냉철한 시선의 비판을 통하여 당시 대중음악의 검열제도 에 대한 고찰을 연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lyrics of banned songs that appeared in Korean titles and lyrics among popular mus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flects the reason for the banned songs in the times at the time, and reviews the contents of banned songs that appear in sound sources through the recording of lyrics. did. In the cas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majority of music control was due to the censorship of lyrics content rather than musical elements. However, the songs that do not show any elements that could be banned from the lyrics were examined to see if there were any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and there were no problems with the musical characteristics. In the analysis, among the banned songs, the songs with lyrics data and songs with sound sources were first classified by the reason for the ban, and the themes that appeared in the lyrics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to examine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of the topics. In the case of the songs with lyrics data, there was no big problem in analysis, but in the case where there were no lyrics data and only sound sources, the cont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records, although it is somewhat inaccurate. First, the classification by reasons for prohibiti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disturbance of public order that interferes with the well-being and order of the state and society, second, the destruction of customs and customs of the world, and third, the reason for the prohibition could not be confirmed. classified as other. In the case of obstruction of securit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nostalgia’, ‘increasing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sentiment’, ‘satire’, ‘sorry of bitterness’, ‘acceptance of reality’, and ‘no characteristic’. ‘Satire’, ‘satire and nostalgia’, and ‘no features’ were presented as themes. Lastly, there were other reasons for which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the reason for the ban. In the case of these albums, it was possible to infer what reason the songs with lyrics were received through analysis. Through this study, I intend to study the consideration of the censorship system of popular music at the time through a more objective and sober critique by freeing the errors and distortions of music control from the consciousness of damage in the colonial era.

      • KCI등재

        영평정 지역 <아라리>의 지명 구성 양상

        이영식 한국민요학회 2016 한국민요학 Vol.47 No.-

        Yeongwol-gun, Pyeongchang-gun, and Jeongseon-gun districts are not only geographically neighbor to each other but also close to each other in many fields. Also, <Arari> is sung by many people in these reg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ing of these communities and lyrics of <Arari>. <Arari> includes city districts such as Jeongseon, Pyeongchang, Yeongwol, Chuncheon, Gangneung, and Wonju including small viallage names such as Hanchi, Auraji, and Deokpo. Most of singers composed song lyrics with the original place names handed down from the past, however, some singers weave name of regions where they live in. Through these place names, people are able to learn localized characteristics and also learn frequency of place name presented in <Arari> and its regional correlation. Thus, people are also able to find out lyrics preferred by singers in these three regions. When comparing three regions, Yeongwol, Pyeongchang, and Jeongseon, singers in Pyeongchang do not actively use the place name when singing <Arari> but singers in Jeongseon compose lyrics of <Arari> as actively use the place name than singers in Pyeongchang and Yeongwol. Singers in Yeongwol often compose lyrics with name of other regions rather than composing lyrics of <Arari> by using the place name where they live in. Singers in Pyeongchang are passive to compose lyrics by using place name, however, when they are using place name, they actively compose lyrics with using name of region where they live in so they are ensuring largest number of place names. Singers in Jeongseon have a characteristic of focusing on using name of region where they live in when composing lyrics. Singers in the three regions, Yeongwol, Pyeongchang, and Jeongseon compose lyrics of <Arari> by using name of regions where they live in, however, given the overall utilization of place name, ‘Jeongseon Eumnae’(Jeongseon town), ‘Auraji’, and ‘Hanchi Dwitsan’(Hanchi mountain at the back of one’s house) are mainly constructing the lyrics. ‘영평정’, 이는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등 세 군을 함께 아우르는 말인데, 이들 세 지역은 여러 부분에서 다른 듯 다르지 않은 동일한 생활․문화권역이다. 그런가하면 이들 세 지역에는 <아라리>가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다. 그렇다면 세 지역의 주민이 문화적으로 이웃한 것과 같이 지역의 <아라리> 가창자가 부르는 노래의 사설 또한 이웃하고 있을까하는 궁금함에서 이글은 시작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그 실마리를 지명에서 찾고자 했다. <아라리>에는 정선, 평창, 영월, 춘천, 강릉, 원주 등 시군행정단위의 지명은 물론 한치, 아우라지, 덕포 등과 같이 작은 마을의 지명도 구성되어 있다. <아라리> 가창자들은 대부분 전승되는 지명을 그대로 구성하여 구연하지만, 창자에 따라서는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명을 사설로 엮기도 한다. 이렇게 구성된 지명을 통하여 세 지역의 지역성 및 지역의 연관성 등을 살필 수 있다. 영월, 평창, 정선 세 지역의 여러 <아라리> 가창자 또한 지명을 활용하여 사설을 구성하지만, 지명의 구성 빈도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리하여 영월지역의 가창자는 모두 157회 지명을 구성하였으나 정선, 아우라지, 만수산, 한치, 명사십리 등 5개의 지명이 63% 차지하고 있고, 평창지역의 가창자는 모두 51회 지명을 구성하였으나 한치뒷산, 정선, 미탄, 삼방산, 평창 등 5개의 지명이 52.9%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정선지역의 가창자는 모두 46회 지명을 구성하였으나 한치산, 정선, 만수산, 명사십리, 아우라지 등 5개의 지명이 54.3%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세 지역에서 구연되는 <아라리>는 대부분 특정 지명에 집중되어 있다. 그런가 하면 지역의 지명을 활용한 경우, 영월군 가창자는 13개의 지명으로 26회 구성하였고, 평창군 가창자는 16개의 지명으로 35회 구성하였으며, 정선군 가창자는 10개의 지명으로 26회 구성하였다. 따라서 영평정 세 지역 중 가장 많은 16개 지역의 지명을 구성한 평창군 가창자는 지역의 지명 활용측면에서 다른 두 지역의 가창자보다 적극적이라고 하겠다. 그리고 10개 지명으로 26회 구성한 정선군 가창자는 지명 구성의 집중화를 보이고 있다. 곧 정선지역의 가창자는 지역의 지명을 활용하여 <아라리> 사설을 엮음에 있어 다른 두 지역의 가창자보다 특정의 지명을 중심으로 구성하는 경향이 있다.

      • KCI등재

        <수심가>사설의 매체별 변이 양상과 의미

        이윤선 한국민요학회 2009 한국민요학 Vol.26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changes of lyrics in the process of mass media transition as the Jabga Sushimga was released in the Phonograph album and to examine the patterns and meanings of those changes. The lyrics in the books of Jabga were the collection of popular songs in those days, which were based on the Seodo folk song Sushimga. However, it is also evident that there were major changes in text such as drastic omissions, selective rearrangement, random rearrangement, and borrowing of lyrics in the same song when comparing the books of Jabga Sushimga to those of Jeongjeongseungboshingugapga (「정정증보신구잡가」). While adopting the old Sushimga, they omitted and compressed them on the Phonograph album so that the songs could be completed in three minutes on the album. However, there were huge differences in addition to the same changing patterns in the books of Jabga, i.e., a couple of phrases from the old lyrics were inserted in the new ones on the Phonograph album, and also parts of different lyrics were put together in new lyrics. Those differences reflect an active movement to meet the needs of the general public in those days by putting together many different lyrics and re-arranging new ones in one song. In other words, the Phonograph album Sushimga was created in such a way that adopted the old familiar lyrics to make the listeners feel accustomed, lay out a foundation for commercial popularity and included new lyrics to meet the changing sensibility of people. The album’s text were organized in the “parody” technique of repetitions with differences, and the technique involved choosing lyrics of similar stories and using them to connect new ones as the same expressive method.

      • KCI등재

        고전문학 : <권주가>에 대한 일고찰 -노랫말 존재양상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김은희 ( Eun Hee Kim ) 반교어문학회 2011 泮橋語文硏究 Vol.0 No.31

        <권주가> 노랫말을 기존 자료들에 근거하여 정리해 본 결과, 한시, 시조, 가사 등 다양한 연원의 노랫말을 수용한 17종류의 단위사설이 추출되었으며 그 역사적 전승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3-10종의 노랫말로 짜여진 다양한 각편들이 존재하는바, 17종류의 통사적으로 묶여 있는 덩어리 노랫말들이 그 위치가 바뀌거나, 신생 혹은 사라지면서 새롭게 유행되었다. <권주가> 노랫말 형성의 주요 요소는 ``권주`` 기능상 갖게 되는 근원적 유흥성, 연행성과 현장성, 전승상의 구비성과 즉흥성, 유동성 그리고 상투성과 대중성, 유행성이다. 기억력에 의존하여 대중적으로 유행했던 단위 사설을 연행 상황에 따라 편사함으로써 향유되었고 기록되었다. 이는 유흥의 장에서 흥미를 배가하는 유희적 동기에서 비롯된 방식으로서 그 지향점이 흥취지향에 놓여 있다. 따라서 <권주가> 사설은 유기적 짜임에 상관없이 유사 정서를 담고 있는 익숙한 노랫말을 나열하고 있는바, 위치(배열)의 뒤바뀜, 사설의 불규칙적 생략과 단형화, 노랫말의 부분적 변이 등 제 현상이 반영되어 있다. <권주가>는 한시와 시조 그리고 가사 등 당대에 유행했던 ``노랫말``들이 친화관계에 의해 다양한 텍스트 교섭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들 노랫말은 문화적 관습 속에 잘 알려진 원텍스트를 모방 인용하면서 융통성있는 변용이 자유자재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형성된 것이다. As a result that I arranged the lyrics of Kwonjooga based on the existing data, I extract 17 units of lyrics which have accepted lyrics originated from Hansi, Sijo and Gasa etc. And I confirm the historical transmitting process. There are 3 to 10 types of versions with well-knitted lyrics. They were being newly popular that 17 syntactic units of lyrics had been changed its positions, appeared or disappeared. The main constitutes of the formation of Kwonjooga are sourceful characters of entertainment, performance and actuality. There are orality, liquidity, conventionality, popularity and improvising on transmission also. Kwonjooga had been enjoyed and recorded rely on the memory by transcribing popular units of lyrics as performing situations. It aimed to the joy by the way which had started with a joyful motive in order to increase interest at the field of enjoying it. The lyrics of Kwonjooga reflect the phenomena such as switching its arrangement, irregular skip and simplification of narratives and changing lyrics partly. So it enumerated familiar lyrics which contained a similar emotion without an organic structure. Kwonjooga shows variety aspects of the interaction through affinitive relations with the popular lyrics of Hansi, Sijo and Gasa of the time. These lyrics had been developed by the way which transfigured unrestricted through imitating and quoting well-known original texts within the cultural custom.

      • KCI등재

        가야산 기행가사의 작품 양상과 표현방식

        최은숙 ( Eun Sook Choi ) 온지학회 2014 溫知論叢 Vol.0 No.41

        본고의 목적은 영남지역 기행가사 중 ‘가야산’ 체험을 다룬 작품의 존재 양상을 정리하고, 여행체험의 표현 방식을 살피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문화공간으로서 가야산 체험의 의미를 더욱 부각시키고, 작품의 기행문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가야산 기행가사의 텍스트 현황을 정리해 보면, <인사유람>, <가야희인곡>계열, <계묘년여행기>계열 등 크게 세 작품으로 나눌 수 있다. <인사유람>는 창작시기와 작자를 알 수 있는 작품으로서, 해인사를 포함한 가야산 전체 여정이 상세히 드러나 있으며 견문과 감상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가야희인곡>계열 작품은 작자와 창작시기 모두 미상이지만 표기 형태를 통해 <인사유람>와 <계묘년여행기>의 중간에 창작된 작품임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야희인곡>,<가야해인곡>,<가야산해인가>등은 가야산 기행가사에 대한 필사가 왕성하게 이루어진 정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한편 <인사유람>와 <가야희인곡>은 경남지역 여성들의 규방가사 창작의 예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가야희인곡>이 거주지 중심의 유산(遊山)의 체험을 다룬 작품이라면 <인사유람>는 명승지 중심으로 여행의 범위가 확장되었음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는 여행의 형태와 경험의 변화를 추측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편 <계묘년여행기>는 기행가사의 현재적 전승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여행이 개별적 체험중심에서 단체 관광중심으로 변화된 양상을 보여주며, 명승지 중심의 놀이적 성격이 강화되고 여정 중심의 빠른 전개를 보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가야산 기행가사의 작품현황과 여행양상을 살필 때, 이들 작품은 1930년대부터 현재까지 변화된 여행형태와 체험을 담고 있다는 점, 기행가사의 필사 관행을 엿볼 수 있다는 점, 가야산에 대한 다양한 기행체험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그 존재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가야산 기행가사의 여행체험의 표현 방식을 살펴보면, 장소를 표상하는 건물을 나열하고 그와 연관된 역사적 인물의 상징적 이미지를 끌어내는 방식, 대표적 자연경관에 대해 다양한 이미지를 동원하여 감각적으로 묘사하는 방식, 문화경관에 대한 관심을 부각시켜 그를 통해 문화적 욕구를 드러내는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가야산을 상징적, 감각적, 정감적 이해의 대상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작업은 가야산의 문화적 의미, 영남지역 기행가사의 일면, 그리고 근대적 여행체험의 양상 등에 대한 논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organize existing aspects of literary works which cover Gayasan experiences among Yeongnam Area travel lyrics, and to examine literary figuration methods of travel experiences. To summarize texts of Gayasan travel lyrics, the texts can be greatly divided into three: <Hoeinsa Yuramga(인사유람)>, <Gaya Huiinrok>series; <Gyemyonyeon Travelogue>series, etc. <Hoeinsa Yuramga(인사유람)> is a literary work whose date of writing and author can be known, which concretely shows itineraries of the total Gayasan including Haeinsa and which is characterized by plenty of knowledge and appreciative impression. Literary works of <Gaya Hoeinrok>series are the ones all of whose date of writing and authors are not known but, through types of mentioned characters, can be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in the middle term between <Hoeinsa Yuramga(인사유람)> and <Gyemyonyeon Travelogue>. In addition, <Gaya Hhuiinrok>,<Gaya Haeinrok>,<Gaya Haeinga>, etc. are the works that allow us to ascertain the situation under which travel lyrics are copied actively. Meantime, <Hoeinsa Yuramga(인사유람)> and <Gaya Huiinrok>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allow confirmation of examples of Gyeongnam area women`s writing Gyubang lyrics. And, if <Gaya Huiinrok> is a literary work which covers experiences of staying in the mountain based on residence place, <Hoeinsa Yuramga(인사유람)> is the one which shows the scope of travel was expanded centering around famous places, which is significant in that this allows us to estimate types of travel and changed experiences. Meantime, <Gyemyonyeon Travelogue> is a material enabling confirmation of contemporary transmission of travel lyrics. This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ravel changed from individual experience-based to group-based sightseeing, travel for amusement based on famous places increased and itinerary-based speedy travel was popular. In <Gyemyonyeon Travelogue>, each side(각편) of <Umimga>, etc. was also writte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firm contemporary situation of joint writing and copy of travel lyrics. When present situations and travel aspects in respect to Gayasan travel lyrics are examined, those works are deemed to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include changed travel types and experiences, practices of coping travel lyrics can be looked into and they cover various travel experiences in Gayasan from 1930s to the present. In addition to that, to examine figuration methods of travel experience of Gayasan travel lyrics, the works use a method of enumerating buildings which represent a place and of deriving symbolic historic figures related to that; a method of gathering lots of images of typical natural sceneries and sensory depicts them; and a method of increasing interest in cultural sceneries and, through that, of revealing cultural desires, etc. Through this, it can be known that Gayasan diversely is expressed as the subject for symbolic, sensory and emotional understanding. The above discussions are considered to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about cultural meanings of Gayasan, aspects of Yeongnam area travel lyrics, aspects of moden travel experience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