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환경경영시스템(EMS) 표준과 High Level Structure

        이보삼 한국환경경영학회 2019 환경경영연구 Vol.11 No.-

        '92년의 리오선언은 전세계 모든 기업들에게 환경경영의 필요성으로 새벽잠을 깨운 morning call 이었다. 이에 따라, UN은 산하기관인 ISO(국제표준화기구)에 기업들이 해야 할 환경경영 가이드 표준을 만들어 줄 것을 요청하였고(‘92년), 다음 해 이 업무를 담당할 전문가 그룹으로 ISO(국제표준화기구) 내에 TC(Technical Committee) 207을 만들고 첫 회 의를 ‘93.6 캐나다에서 개최하게 되었다. 주변을 청소하고 터널공사 시 도롱뇽의 삶터를 보존하는 다소 감상적인 환경보호가 아 닌 기업의 구체적 활동·제품·서비스로 인한 자원소모·지구온난화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을 보다 과학적 · 합리적으로 해석하고 접근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후손들에게 부담이 가지 않는 지속가능경영의 한 가지 기둥(pillar)으로 기업의 돈 버는 방식에 있어 변화를 준 환경경영이 강조된 것이다. 6가지 환경경영 표준화 주제를 선정하였고, 이 중 대표적 이슈로 「시스템에 의한 경영」이 중요한 대안임을 확인하였다. 현재, 190여 국가에서 자국의 산업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는 환경경영시스템 표준은 그동 안 2 차례 개정을 거치면서, 이제는 환경안전부서만 전담하는 차원에서 임직원 모두가 수 행해야 할 경영이슈로 격상 되었다. 이는 바로 High Level Structure 구조를 채택한 표준이 어서 가능했을 것으로 보인다. 실천하는 환경경영 그리고 그간 해 오던 방식에서 새로운 길을 모색하도록 가능케 한 HLS 14001 구조는 PDCA싸이클, 리더십, 리스크 기반 사고 및 Life-cycle 관점을 반영함으로써 ‘92년의 리오선언을 가능케 했던 두 가지 보고서(From Ideas To Action, Changing Courses) 의 당초 취지를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위 2 가지 보고서의 발간 취지에서 HLS ISO 14001의 시스템 표준과의 관련성을 찾아보고자 작성되었다. HLS 란 환경경영시스템 표준의 큰 목차를 다른 경영부문(품질경영, 안전보건경영 등)과의 통 합이 보다 수월하도록 일치시켰다는 점에서 단순한 관리차원에서 총체적 경영시각으로 격상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PDCA사이클에 따라 Plan(조직이 처한 상황, 리더십, 지원) ˙ Do(운영) ˙ Check(성과평가) ˙ Act(개선)의 개별 항목이 지속적 개선을 가능케 하는 핵심요소임은 말할 것도 없다.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CSD), led by Swiss industrialist Stephan Schmidheiny, were instrumental at Rio in defining what environmental leadership in industry means. Changing Course : Global Business Perspective on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 has become required reading for enlightened business leaders in the 1990s; it lays out the path for the future of environmental entrepreneurship. , And From Ideas to Action, which also outlined cases of positive industry response to environmental issues. Changing Course was written by an ad hoc group of senior industrialists, as an input to the UNCED process. On the contrary, From Ideas to Action has been produced by the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ICC), the global body representing business The above two reports contributed to Rio Declaration in 1992. HLS(High Level Structure) which is a common framework for all ISO mgt. system. The HLS could be applied to the PDCA cycle and to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s a whole. The aim of the HLS is to enhance the consistency and alignment of various Mgt. System Standards with identical core text and common terms and definitions. * Risk-based thinking : Risk-based thinking appears once in the normative part of the standard as a requirement that top management needs to promote risk-based thinking. * Leadership : There is now much more emphasis on this being seen as a 'hands-on' leadership as opposed to just 'management'. * Life cycle perspective : In the ISO 14001:2015 standard there is a requirement to consider Life cycle perspective during identifying and evaluating environmental aspects.

      • KCI등재

        아버지-자녀 프로그램의 현황 분석과 개선 방안 연구: 가족생활주기와 성인지 관점을 바탕으로

        김예랑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아버지-자녀 관계를 위해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가족생활주기와 성인지 관점을 바탕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2016년 1월부터 2020년 8월 현재까지 서울시 25개 자치구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가족생활주기별로 나눠 살펴보았다. 또한 성인지 관점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검토하기 위해 성별영향평가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가족생활주기별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아버지-자녀 프로그램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생활주기별로 필요한 발달과업 목표가 아버지-자녀 프로그램에 적절하게 반영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영향평가 항목에 의거하여 아버지-자녀 프로그램을 검토한 결과, 성별에 따른 사회문화적 차이, 경제적 차이, 신체적 차이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론에서 아버지-자녀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father-child program which were implemented by family support center in order to promote healthy family relationship.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amily life cycle and the gender perspective. List of programs (classified by the family life cycle) that were used by 25 family support centers in Seoul city (from Jan. 2016 to Aug. 2020) were reviewed. Gender effectiveness evaluation was conducted to review each program in relation to the gender perspective. Key research finding of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a very few father-child program that reflect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family life cycle. Second, father-child program appeared to lack the reflection of the family life cycle goals. Third, the gender effectiveness investigation of father-child program revealed that the program were limited to cover socio-cultural differences, economical differences, and physical differences caused by gender.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ed methods to improve father-child program.

      • KCI등재

        장애인의 생애주기별 장애수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가희(Kim, Ka-Hee),이종남(Lee, Jong-Nam),한상미(Han, Sang-Me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9 재활복지 Vol.23 No.4

        본 연구는 장애인의 생애주기별 장애수용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2018년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3차년도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조사 참여 장애인 총 4,104명이다. 분석 결과, 청년 장애인(16-29세)의 경우 장애수용과 스트레스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중장년(30-59세)과 고령(60세 이상) 장애인의 경우에는 장애수용은 스트레스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생애주기별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and to analyze those results on the life cycle perspectives. For this, the raw data(2nd wave, 3rd survey)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ere used. The analysis was 4,104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ttended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or young disabled, disability acceptance and stress effected on the satisfaction of life significantly, but stress did not mediate between them. For the disabled adults and seniors, disability acceptance and stress effected on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stress mediated partially between the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life for the disabled on the life cycle perspectives.

      • 1인 가구 사회서비스 현황과 정책과제

        김은정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18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4 No.2

        Although family unit has long been a representative unit at social service policy, the singleton will be the most popular unit before long. This study starts at the point that our society is not fully ready to cope with this dramatic change, and we need to hurry to prepare the effective ways to deal with increasing number of singletons. The study first tries to grasp current features of our singletons and then to evaluate current social service policies for them under the criterion of whether current polices are meeting the needs of today’s singletons in our society. Singletons in Korea are segmented into various types in terms of generations, gender, and economic status. Yet, social services for the singleton are still focused on the specific groups such as the old singleton, and providing only the limited content of support such as c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directions of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tons, existing ways to deal with singletons are not effective. Social service policy entitlement should be universalized and singletons should be regarded as a product of life-cycle process. Everyone would be a potential singleton in the process of their own life-cycle. Also, singletons do not only suffer economic hardships and care deficiency, but also suffer from lack of relationships and emotional isolations. Therefore social service should be expanded into the relational area. Community based social services would be more effective, especially for the singletons, so that collaborative governance should be established among policy agents such as central gov., local gov. and non-public organizations rooted in community. 지금까지 사회서비스를 포함한 사회정책은 결혼한 2인 이상 가구를 표준화하는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회서비스 정책을 포함하여 조세정책이나 의료, 보건 정책 전반에 이르기까지 모두 표준적 생활공유 단위를 가족으로 상정해 두고 있지만, 그다지 오래지 않은 미래에 1인 가구의 비중이 전체가구 중 가장 높아질 전망이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사회가 1인 가구를 위한중장기적 사회서비스 정책을 시급히 설계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현재우리 사회의 1인 가구가 어떤 모습인지를 파악하고 이들에게 주어지고 있는사회적 지원들이 현재의 1인 가구가 갖는 특성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1인 가구의 특성은 세대별, 성별, 경제적 특성별로 분화되고 있는데 비해이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서비스는 특정한 집단과 특정한 내용, 특정한 방식에만 한정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1인 가구의 변화추세와 방향을 고려할때 정책대상을 특정 인구집단으로 한정하여 접근하는 것은 뚜렷한 한계가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향후 1인 가구 사회서비스 정책에서는 생애주기적관점에서 정책대상을 보편적으로 규정하여 각 생애단계에 적합한 사회서비스를 지원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1인 가구의 주된 어려움은 경제적인 측면을 넘어서서 정서적, 관계적 결핍으로 확장되고 있었다. 이에 사회서비스정책의 내용도 포괄적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1인 가구 사회서비스 정책의 대상과 내용이 이러한 방식으로 변화되기 위해서는 개인단위 정책지원방식을 넘어서서 지역공동체를 정책단위로 확장하고 정책 실행 주체들간의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생애주기적 관점을 통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심혜령,조옥이 한국국어교육학회 2017 새국어교육 Vol.0 No.113

        The contents and topics within the Korean textbooks for female marriage based immigrants should be selected regarding the diverse roles these immigrants are to carry out and their area of activity, so that they can naturally get used to the relevant vocabulary. Also, various activities should be included to help them attain multilateral images as members of the society. Thus, the Korean textbooks for female marriage based immigrants should be restructured by thoroughly grasping their needs and reality, so that it can reflect their life cycle in the settlement process. This study faces up squarely to the changes in the aspects of Korean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 based immigrants and puts them in the category of ‘settlement-purpose learners’. Moreover,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language and culture textbooks and their format are presented in this study.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는 여성결혼이민자가 수행해야 할 역할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주제를 선정하고 관련 어휘 및 표현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분석과 여성결혼이민자 315명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학습의 목적이 일상생활과 사회생활로 나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어 학습 중도 포기 원인 조사를 통해 그들이 기초생활 정착뿐 아니라 사회적 욕구를 가지고 구체적으로 구현하고자 노력하는 존재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현황 파악과 요구를 전제로 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정착 과정에서의 생애주기가 반영된 교재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SCOPUS

        건설업의 프로젝트 생애 주기별 웹기반 정량적 위험도 산정 모델 개발

        정재욱(Jeong, Jae-Wook)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0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web-based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odel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focusing on the entire project life cycle.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known for its higher risk compared to other sectors. In response to safety concern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mandated safety risk assessments before the construction phase. However, these methods have been predominantly qualitative and subjective.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proposes a web-based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odel tailor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considering the entire project life cycle. The outlined four-step approach for the models development entails data collection to gather relevant data, accident probability calculation by determining the likelihood of accidents, project characteristic definition of identifying project-specific attributes, and accident-related loss calculation by assessing potential losses due to accidents. This model was then applied to actual construction projects. The findings indicate estimated accident-related losses of 100 million KRW, with a fatality rate of 1.02 and an injury rate of 1.50 during the project phase. In the design phase, the rates were 4.6×10<SUP>-2</SUP> for fatality and 3.7×10<SUP>-2</SUP> for injury, while in the construction phase, they were 4.2×10<SUP>-4</SUP><SUP></SUP> for fatality and 1.3×10<SUP>-3</SUP> for injury. This study provides a valuable tool for assessing high-risk areas throughout the entire project life cycle,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ed safety practic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KCI등재

        Institutional and Resource-Based Management Implications from the Hanjin Shipping Collapse

        Justin Hiraga,Jaeho Lee(이재호) 한국무역상무학회 2020 貿易商務硏究 Vol.88 No.-

        상품 및 서비스 운송 부문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중 하나는 해운 산업이다. 해운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전략적 경영이 상당히 중요해 지고 있다. 2016년 8월 한진해운의 파산은 국내외 해운산업에서 가장 큰 충격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제도(institutional) 및 자원 기반(resource-based)적 관점에서 한진해운의 파산 원인을 다양한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한진해운 기업을 연혁적으로 분석하고 제도 및 자원 기반 이론적 틀을 통해 어떠한 요인들이 한진해운의 파산을 초래한 것인지 규명하고자 한다. 제도적 관점에 따르면 기업의 경쟁력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로부터 정당성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한편 자원 기반 관점의 경우 기업을 인적 및 물적 여러 생산적인 경영자원의 집약체로 간주하며 이러한 경영자원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것으로 간주한다.이러한 경영자원에는 경영자의 판단능력도 포함된다. 이론적 틀에 따른 분석 결과 한진해운의 파산은 해운시장 및 자사기업에 대한 대내외 주변 환경에 대한 경영자의 분석 능력이 미흡하였고 그 결과 향후 시장 전망에 대한 예측이 잘 못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경영 판단이 이해괸계자들로부터 정당성을 얻는데도 실패하였다. 본 연구는 해운기업의 경영 전략 기획 및 정부 부처의 해운산업 육성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The container shipping industry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layers in the delivery of such goods and services. Strategic planning and management are becoming key considerations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shipping industry. In an unfortunate turn of events, Hanjin Shipping Co., Ltd (HJS) was one of the biggest casualties, leading to its untimely collapse in August 2016. The collapse of HJS is a result of various factors from an institutional and resource-based perspectives. Consequently, in order to investigate and identify managerial implications uncovered by looking through these two respective lenses, it becomes evident that first we must understand what type of carrier was HJS and what caused the HJS bankruptcy. In this study, the history of Hanjin shipping is presented chronologically, while delineating the institutional influences and resource-based missteps.

      • KCI우수등재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궤적 연구 -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을 적용하여 -

        황동진,이진숙 한국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학 Vol.71 No.1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in domestic work time of married couple. The division of domestic work between husbands and wives was gradually changing in the direction of equality distribution, but it could not be confirmed by the average value. Since th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domestic work might be varied from person to person, it was necessary to analyze the pattern of change in detail. The growth mixture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different change trajectories. This is an easy method of analyzing how many subgroups are present, if they are aware of the existence of different change trajectories. After identifying the subgroups, a panel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groups. The main results were summarized in two. First, there were subgroups with different trajectories of change in domestic work of married couple. Second, the factors that determined domestic work time differed among groups. These results emphasized the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with different trajectories of change and the necessity of policy approaches. In addition,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ale and female in the division of domestic work, and need to discuss double care, which was a greater burden on women. 이 연구는 우리나라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궤적을 분석한 것이다. 과거에 비해 부부간 가사노동분업은 평등적 분배의 방향으로 조금씩 변화하고 있으나 이는 평균치로 상이한 변화양상이어떠한지를 확인할 수가 없다. 가사노동분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개인마다 다르게 작용할수 있어서 변화양상을 세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이한 변화궤적을 분석하기위해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는 다른 변화궤적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있다면몇 개의 하위집단이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용이한 분석방법이다. 하위집단을 파악한 후, 이러한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패널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된다. 먼저, 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에서 상이한 변화궤적을 가진 하위집단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사노동시간을 결정하는 요인은 집단별로 다르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상이한 변화궤적을 보이는 집단의 특성에대한 이해와 정책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가사노동분업에서 남성과 여성에게 강조되어야할 부분과 여성에게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이중돌봄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KCI우수등재

        장기실종아동 부모의 노년기 삶과 찾기 경험

        유정아,정익중,남성희,안은미,이민주 한국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학 Vol.71 No.3

        After introduction of 「ACT ON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MISSING CHILDREN, ETC.」, while the missing children policy has been strengthene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long-term missing have been largely unsolved. Base on the perspective of life cycles, this study examined experience of elderly parents searching for long-term missing childre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used to investigate hardships and needs of elderly parents in their life and efforts to search for missing children. As the majority of parents entered into old age, they experienced the aftereffects of missing and aging simultaneously, which engendered different needs in searching strategies and their life as well.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 new paradigm focusing on the provision of services customized to the life cycle in order to offer helpful assistance to families of missing children. 「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2005년 도입된 이후 실종아동에 대한 대책이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정작 장기실종아동의 문제는 진전이 없고 부모의 고통은 여전하다. 더욱이 세월이 흐르면서 장기실종아동부모 대부분은 연로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실종아동대책의 변화 속에서 고령화된 장기실종아동부모들이 여전히 겪고 있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그리고 변화된 욕구와 문제가 있는지에 관해 분석하였다. 장기실종아동부모 17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내용 및 주제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장기실종아동부모는 모두 60세 이상으로 이미 노년기에 진입하였다. 장기실종아동부모가 갖는 특수한 문제 상황 위에 노년기적 상실이 더해지면서 실종자녀 찾기뿐 아니라 건강 및 경제적 생활 전반에 걸쳐 어려움을 확장시키고 일부 변화된 욕구와 문제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본 연구는 생애주기에 맞춘 장기실종가족 지원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보다 효과적인 가족지원제도의 실천적 대안을 제안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