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연합과 교토의정서: 교토의정서의 비준과 이행 과정속에서 보여준 유럽연합의 역할과 위상변화 중심으로

        박선희 한국유럽학회 2008 유럽연구 Vol.26 No.3

        While marking one of the latest policy of the EU, environmental policy consists one of the most important pillar of the EU. As an international advocate of the Kyoto Protocol, EU played a crucial role to convince the two reluctant country(Japan and Canada) to ratify the Kyoto Protocol. Such prominent role was highlighted by Russian's ratification which played a key role in de facto ratification of the Kyoto Protocol. In 2001, few months after the announcement of US refusal to ratify the Kyoto Protocol making Kyoto protocol highly challenging, EU made known its plan of establishing the world's first regional Carbon emissions trading system. The entering into force of the EU's emissions trading system in 2005 even before the first commitment period(2008-2012) of the Kyoto Protocol illustrates the significant role played by the EU in terms of climate change policy. This paper explores the flagship role assumed by the EU in terms of ratif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Kyoto Protocol. We argue that the absence of US leadership has provided the EU with an unique opportunity to assume an ardent leadership role in climate-change matter. This is applied to the analysis of how the EU has reinforce the image of Soft power through its climate policy. The final part of the article will proceed to explore how the EU has legitimize its international actorness. 환경정책은 유럽연합의 가장 최근정책중의 하나면서 가장 중요한 정책중의 하나다. EU는 일본과 캐나다 뿐 아니라 러시아가 교토의정서를 비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위기에 처한 교토의정서의 발효를 이끌어냈다. 이처럼 교토의정서의 비준뿐 아니라 이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EU의 역할은 환경정책의 리더로서의 역량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사항은 EU가 독보적인 역할을 담당한 시점이 미국이 교토의정서를 거부한 시점과 일치된다는 것이다. 즉 미국의 교토의정서 거부는 오히려 유럽연합으로 하여금 환경정책에 심혈을 기울이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이는 EU로 하여금 미국의 경성세력(hard power)과 대비되는 연성세력(soft power)을 부각시킴으로써 국제적인 행위자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다. 하지만 EU는 여전히 단일한 국제행위자로써 기능하기에는 부족한 점을 안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단일한 초국가적 행위자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여전히 개별국가들 간의 협력에 의하여 행동하는 경향 때문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면서 유럽연합이 교토의정서의 비준과 이행과정에서 보여준 중심적인 역할을 고찰하는 한편, EU가 선언한 것과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과의 간극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정책을 통해서 EU는 외교무대에서 연성세력을 강화할 수 있었으며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행위자로서의 기능을 실험할 수 있는 실험장으로 사용하였음을 중점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포스트교토체제의 국제법적 과제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1 江原法學 Vol.32 No.-

        <P>What is the problem that made COP15 and COP16 not to draw a conclusion? UNFCCC and Kyoto Protocol devide Parties to developed countries group and developing countries group, and differentiated their obligations.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cited this lack of binding oblig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as one of the reasons for not ratifying the Kyoto Protocol.</P><P> Does this mean that the present climate change regime unreasonably favours the South? Unlike the Montreal Protocol which contained specific oblig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albeit with a grace period for compliance, the Kyoto Protocol does not contain any emission reduction obliga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The Kyoto Protocol, which embodies substantial obligations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contains no obligations for developing country parties apart from some general obligations that embellish commitments contained in the UNFCCC.</P><P> Of course, the counter-argument can be made that the emission reduction targets in the Kyoto Protocol apply only during the first commitment period and, therefore, it was not necessary to adopt obligations for the South as their contribution to global GHG emissions was relatively negligible at tie time the Kyoto Protocol was negotiated. This argument would have been more plausible if all developing countries were made equal. Counties with large populations and rapidly industrializing economies, such as India, China and Brazil, are anything but equal to other developing countries. It would be unjust to treat them in th same manner as those countries that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such as the members of the Alliance of Small Island States. Accordingly, the one sided nature of obligations in the Kyoto Protocol becomes problematic as it does not contain any differentiated responsibilities for developing countries - on the contrary, it contains no oblig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first commitment period.</P><P> While GHG emission reduction targets have been a sensitive issue for many developing countries, it is encouraging that they indicated their willingness for the first time to be subjected to binding commitments under the post-2012 regime.</P>

      • KCI등재후보

        포스트교토체제의 국제법적 과제

        서원상(Seo Won-Sa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1 江原法學 Vol.32 No.-

        What is the problem that made COP15 and COP16 not to draw a conclusion? UNFCCC and Kyoto Protocol devide Parties to developed countries group and developing countries group, and differentiated their obligations.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cited this lack of binding oblig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as one of the reasons for not ratifying the Kyoto Protocol. Does this mean that the present climate change regime unreasonably favours the South? Unlike the Montreal Protocol which contained specific oblig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albeit with a grace period for compliance, the Kyoto Protocol does not contain any emission reduction obliga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The Kyoto Protocol, which embodies substantial obligations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contains no obligations for developing country parties apart from some general obligations that embellish commitments contained in the UNFCCC. Of course, the counter-argument can be made that the emission reduction targets in the Kyoto Protocol apply only during the first commitment period and, therefore, it was not necessary to adopt obligations for the South as their contribution to global GHG emissions was relatively negligible at tie time the Kyoto Protocol was negotiated. This argument would have been more plausible if all developing countries were made equal. Counties with large populations and rapidly industrializing economies, such as India, China and Brazil, are anything but equal to other developing countries. It would be unjust to treat them in th same manner as those countries that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such as the members of the Alliance of Small Island States. Accordingly, the one sided nature of obligations in the Kyoto Protocol becomes problematic as it does not contain any differentiated responsibilities for developing countries - on the contrary, it contains no oblig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first commitment period. While GHG emission reduction targets have been a sensitive issue for many developing countries, it is encouraging that they indicated their willingness for the first time to be subjected to binding commitments under the post-2012 regime.

      • KCI등재

        신기후체제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의 역사적 의의와 한계에 대한 고찰

        김상만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아주법학 Vol.9 No.4

        기후체계가 위험한 인위적 간섭을 받지 않는 수준으로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의 안정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1992년 6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이 채택되었다. 그리고 유엔기후변화협약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1997년 12월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가 채택되었다. 교토의정서는 ‘공통의 차별화된 책임원칙’에 입각하며, 유엔기후변화협약의 구체적인 이행 관련 국가별 온실가스 의무감축, 의무감축 이행방식 등을 규정하고 있다. 2016년 1월 현재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중 192개국이 교토의정서를 비준하였다. 교토의정서상의 1차 공약기간은 2008∼2012년으로 만료되었고, 현재 2차 공약기간(2013∼2020년)중에 있다. 교토의정서의 2차 공약기간 종료 이후에 적용되는 기후변화협약이 논의되었고, 2015년 12월 제21차 당사국총회(COP21)에서 신기후체제인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이 채택되었다. 파리협정은 전문과 29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토의정서를 대체하는 새로운 기후변화체제로 2020년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2016년 4월 미국 뉴욕에서 유엔사무총장 주재로 파리협정에 대한 서명식이 개최되고, 그 이후부터 196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의 서명을 받게 된다. 파리협정은 55개국 이상, 그리고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량의 총합 비중이 55% 이상에 해당하는 국가가 비준하는 경우 발효된다. 파리협정은 산업화 이전과 비교하여 지구평균기온 상승을 2°C 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지구평균기온 상승을 1.5°C 이내로 제한하기 위한 노력을 추구한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이러한 노력이 기후변화의 위험과 영향을 상당히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 국가는 자발적으로 ‘국가별 기여공약(NDC)’을 정하여 매 5년 마다 상향된 감축목표를 제출해야 한다. 다만, 유엔기후변화협약에서의 ‘공통의 차별화된 책임원칙’은 유지되므로 국가별 감축 목표는 차이가 있게 된다.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of which objective is to stabilize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at a level that would prevent dangerous anthropogenic interference with the climate system was negotiated in June 1992, and entered into force on March 1994. The UNFCCC has 196 parties as of January 2016. The Kyoto Protocol which is to implement the objective of the UNFCCC, was adopted in Kyoto, on 11 December 1997 and entered into force on 16 February 2005. The Kyoto Protocol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ies and puts the obligation to reduce current emissions on developed countries. The Kyoto Protocol has 192 Parties as of January 2016. The Kyoto Protocol’s first commitment period is for the period of 2008 to 2012, and the second commitment is for the period of 2013 to 2020. The second commitment of the Kyoto Protocol, known as the Doha Amendment to the Kyoto Protocol, has 37 countries with binding commitment. A new climate agreement which is to govern the climate change after the second commitment period of the Kyoto Protocol has been negotiated. The Paris Agreement was negotiated during the 21st Conference of the Parties of UNFCCC in Paris and, adopted by consensus on 12 December 2015. The Paris Agreement aims to strengthen the global response to the threat of climate change,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fforts to eradicate poverty. The Paris Agreement will open for signature in April 2016 to all 197 parties of the UNFCCC. It shall enter into force if 55 countries that produce at least 55% of the world's greenhouse gas emissions ratify, accept, approve or accede to the agreement. All Parties shall undertake and communicate ambitious effor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Agreement. Individual country shall make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NDC)"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Agreement, and the contribution should be communicated every five years.

      • KCI등재후보

        기후변화협약 논의동향과 협상시나리오 분석

        이지석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社會科學硏究 Vol.34 No.3

        This paper examines the prospects of UNFCCC((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nd the negotiation scenario of Kyoto Protocol. Climate change became the most urgent global environmental problem in 21 century. The Kyoto Protocol to the UNFCCC, which came into force on February 12, 2005, is aimed at tackling the problem of global climate change by establishing specific and binding country targets for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hese targets must be met within a five year time frame between 2008 and 2012, and add up to a total cut in emissions of at least 5% against the baseline of 1990. We need to take steps to make specific rules and create guidance for the post-Kyoto Protocol by drawing efficient internal and external negotiation strategies. This study creates scenarios to predict the negotiation of Kyoto Protocol and identifies various influences on the korean economy based on these scenarios. The post-Kyoto Protocol regulates the whole process of negotiations for cost-effective emissions reduction scenarios, i.e., Scenario 1(EU, Japan), Scenario 2(U.S., China), Scenario 3(other countr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some policy implications to prepare strategic measures to improv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industry sector. 본 연구는 기후변화협약 논의동향과 교토의정서 협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기후변화협약의 추진현황 및 교토의정서 발효와 영향을 살펴보았다. 교토의정서의 협상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첫째, 포스트 교토의정서 협상을 3단계 시나리오로 나누어 분석하고, 둘째, 교토의정서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포스트 교토의정서 협상의 예상시나리오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첨예한 자국의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복잡하게 얽혀있어 구체적인 예상시나리오를 도출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 탄소배출권 시장이 급성장하는 등 기후변화협정에 유럽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는 실정으로 보아, 향후 어떤 형태든 우리의 온실가스 감축의무에 대한 압력은 더욱 커질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 분석으로 교토의정서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에서 기준안 1의 경우에는 시나리오 1이 가장 수용 가능한 경우이며, 기준안 2에서는 시나리오 2가 가장 수용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선진국과의 협상에서는 시나리오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자발적 배출억제 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기후변화협약 논의동향과 협상시나리오 분석

        이지석 ( Ji Seok Lee )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08 社會科學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기후변화협약 논의동향과 교토의정서 협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기후변화협약의 추진현황 및 교토의정서 발효와 영향을 살펴보았다. 교토의정서의 협상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첫째, 포스트 교토의정서 협상을 3단계 시나리오로 나누어 분석하고, 둘째, 교토의정서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포스트 교토의정서 협상의 예상시나리오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첨예한 자국의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복잡하게 얽혀있어 구체적인 예상시나리오를 도출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 탄소배출권 시장이 급성장하는 등 기후변화협정에 유럽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는 실정으로 보아, 향후 어떤 형태든 우리의 온실가스 감축의무에 대한 압력은 더욱 커질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 분석으로 교토의정서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에서 기준안 1의 경우에는 시나리오 1이 가장 수용 가능한 경우이며, 기준안 2에서는 시나리오 2가 가장 수용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선진국과의 협상에서는 시나리오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자발적 배출억제 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spects of UNFCCC(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nd the negotiation scenario of Kyoto Protocol. Climate change became the most urgent global environmental problem in 21 century. The Kyoto Protocol to the UNFCCC, which came into force on February 12, 2005, is aimed at tackling the problem of global climate change by establishing specific and binding country targets for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hese targets must be met within a five year time frame between 2008 and 2012, and add up to a total cut in emissions of at least 5% against the baseline of 1990. We need to take steps to make specific rules and create guidance for the post-Kyoto Protocol by drawing efficient internal and external negotiation strategies. This study creates scenarios to predict the negotiation of Kyoto Protocol and identifies various influences on the korean economy based on these scenarios. The post-Kyoto Protocol regulates the whole process of negotiations for cost-effective emissions reduction scenarios, i.e., Scenario 1(EU, Japan), Scenario 2(U.S., China), Scenario 3(other countr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some policy implications to prepare strategic measures to improv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industry sector.

      • KCI등재

        신기후변화협약 체제에서의 한국 환경법제의 대응

        송동수(Song, Dongsoo) 한국토지공법학회 2019 土地公法硏究 Vol.85 No.-

        기후변화는 현재 그리고 미래에 실존하는 위협이자, 특정 국가만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의 문제인 만큼 그 대응에 있어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 대응전략이 필요하다. 2020년까지 시행되는 교토의정서는 선진국에 환경오염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물어 온실가스 감축을 의무화하였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선진국에 포함되지 않아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부담하지 않았었다. 하지만 2015년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파리협정이 채택되면서, 우리나라는 그동안의 위치에서 완전히 전환되어 향후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부담하게 되었다. 즉 우리나라도 이제 신기후변화협약 체제의 일원이 된 것이다. 파리협정은 교토의정서와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보인다. 파리협정은 교토의정서가 만료되는 2020년 이후의 새로운 기후체제를 수립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교토의정서와는 달리 기후변화협약의 총 195개 당사국 전체를 행위자로 설정하고 있다. 즉,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 모두에게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부과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파리협정은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2°C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1.5°C 이하로 제한하기 위한 노력을 추구”하는 것을 장기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하나의 목표를 달성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파리협정에서는 국가별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설정에 많은 재량을 부여하고, 개발도상국에게 다양한 편의를 봐주는 규정을 두고 있다. 파리협정은 2016년 10월 5일 그 발효요건이 충족되어 30일 후인 11월 4일부터 발효되어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6년 11월 3일 국회에서 비준함으로써 파리협정체제의 일원이 되었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BAU 대비 37%를 감축하겠다는 국가별 기여방안(NDC)을 이미 국제사회에 제출하였다. 탄소경제를 기반으로 성장한 우리나라가 파리협정상의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고 적응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 등과 같은 국가계획을 정비하고, 기후변화 대응기금을 새롭게 조성하며 지속가능한 메커니즘(SDM)을 활성화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저탄소녹색성장 기본법의 개정과 기후변화대응법, 수소경제활성화법 등의 새로운 법률제정도 필요하다. Climate change is a threat that exists both now and in the future and is a problem not only for a specific country but also for the whole world. The Kyoto Protocol, which will be implemented by 2020, obligates industrialized countries to assume historical responsibility for environmental pollution and obliges industrialized countri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Korea has not been oblige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ecause it is not included in advanced countries in the Kyoto Protocol. However, with the adoption of the Paris Agreement at the COP21 held in Paris, France in 2015, Korea is oblige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Korea has become a member of the Post-2020 Regime. The Paris Agreement differs in many respects from the Kyoto Protocol. The Paris Agreement is intended to establish a new climate regime after 2020, when the Kyoto Protocol will expire. Unlike the existing Kyoto Protocol, the Paris Agreement sets a total of 195 Parties to UNFCCC. That is, it imposes a duty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not only in developed countries but also in developing countries. The Paris Agreement sets out a long-term goal of keeping the average global temperature rise above pre-industrial levels at levels well below 2°C and seeking to limit them to below 1.5°C. It is not easy for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o achieve one goal in different situations. The Paris Agreement gives much discretion to the setting of NDC and there are regulations in the developing countries for various convenience. The Paris Agreement is in effect on October 4, 2016, 30 days after its entry into force on October 5, 2016. Korea also became a member of the Paris Agreement by ratifying the National Assembly on November 3, 2016. Korea has already submitted a national contribution plan (NDC)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reduce the BAU by 37% by 2030. In order to reduce and adapt GHG emissions under the Paris Agreement, Korea needs to improve its legal system. It is necessary to improve national plans such as the basic plan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renew the climate change response fund and activate the sustainable mechanism(SDM). It is also necessary to amend the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the Climate Change Response Act and the Law for the Activation of the Hydrogen Economy.

      • KCI등재

        제도적 동형화와 FDI: 교토 의정서 기간 동안 환경규제 강도와 해외직접투자 비교 분석

        배문규,이건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3 국제경영리뷰 Vol.27 No.2

        As environmental issues have become increasingly serious around the world, countries have been working to curb greenhouse gas emissions. An international effort was the adoption of the Kyoto Protocol, an international treaty that aims to impose legally binding emission reduction obligations on industrialized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fill a gap in the literatur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regulatory stringency, a key element of the Kyoto Protocol, and FDI from an institutional theory perspective. Institutional isomorphism, the process by which organizations become more similar over time as they adapt to environmental pressures, is the focus of this study. Our results reveal a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regulatory stringency and FDI during different commitment periods of the Kyoto Protocol. During the initial phase and the first commitment period (2001-2012), when global commitment to the Kyoto Protocol was strong, a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strict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FDI inflows. However, the second commitment period (2013-2018) presented a contrasting scenario.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FDI became insignificant. These findings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application of institutional theory to global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FDI. They show how changes in the broader institutional environment, such as the weakening of global commitments to the Kyoto Protocol, can alter organizational responses and investment patterns. It also presents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and discuss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전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제적 노력은 선진국에 법적 구속력이 있는 배출량 감축 의무를 부과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제 조약인 교토의정서의 채택이었다. 본 연구는 교토의정서의 핵심 요소인 환경규제의 엄격성과 FDI 간의 관계를 제도 이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선행연구의 간극을 채우고자 한다. 조직이 환경의 압력에 순응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유사해지는 과정인 제도적 동형성이 본 연구의 초점이다. 연구 결과는 교토의정서의 다양한 공약 기간 동안 환경규제 엄격성과 FDI 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보여준다. 교토의정서에 대한 전 세계의 의지가 강했던 초기 단계와 첫 번째 공약 기간(2001년-2012년)에는 엄격한 환경규제와 FDI 유입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두 번째 공약 기간(2013년-2018년)은 대조적인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환경규제와 FDI 간의 관계는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글로벌 환경규제와 FDI에 대한 제도 이론의 적용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교토의정서에 대한 글로벌 공약의 약화와 같은 광범위한 제도적 환경의 변화가 조직의 대응과 투자 패턴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정책 입안자와 경영실무자에게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 방향과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 KCI등재

        Procedural Aspects of the International Legal Regime for Climate Change: Early Operation of the Kyoto Protocol’s Compliance System

        Osamu Yoshida (사) 이준국제법연구원 2011 Journal of East Asia and International Law Vol.4 No.1

        This paper examines the early operation of the Kyoto Protocol’s non-complianceprocedure since 2006. Several important non-compliance cases recently or currentlybefore the Kyoto Compliance Committee of the procedures and mechanisms deserveto be analysed and discussed. As we may see, the enforcement branch of theCompliance Committee has dealt with some important cases of non-compliance;Amo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internationalenvironmental treaties, the question of compliance by Croatia would be particularlyinteresting. What must be noticed is that the Kyoto Protocol’s NCP has prepared amultilateral forum which enables both the parties and the enforcement branch to basetheir arguments on international legal perspectives. This examination will alsocontribute to contested theories of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legal rules.

      • KCI등재

        WCO 교토협약의 주기적 신고제도 및 신고세관 선택제도에 관한 고찰

        박형래(Hyung-rae Park),임재욱(Jae-wook Lim),박건영(Kon-young Park) 한국관세학회 2010 관세학회지 Vol.11 No.2

        The member countries of World Customs Organization have adopted the Protocol of Amendment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Simplification and Harmonization of Customs Procedure, Customs Co-operation Council, World Customs Organization, known as 'Kyoto Protocol' in 1999. Kyoto Protocol purposes to effective customs procedure through modernization and transparentization of customs formalities as well as simplification and harmonization of customs procedure. The periodic goods declaration is special procedures for authorized persons (Kyoto protocol 3.32) who meet criteria specified by the customs, including having an appropriate record of compliance with customs requirements and a satisfactory system for managing their commercial records, the customs shall provide The goods declaration at any designated customs office (Kyoto protocol 3.20) is that the customs shall permit the lodging of the goods declaration at any designated customs off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