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DC 제5판 ‘한국음악[전 국악] 및 동양 전통음악’의 항목 전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49 No.-

        This paper analyzes the articles of “Korea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 Oriental Traditional Music” as revised in the 5th Edition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and suggests ideas for their improvement. It also examines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o the present, while looking into the classification system attempted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following classification systems of Korean music in Korean libraries: the KDC, which the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hich is the specialized classification system for Korean music ; the KBS musical data classified table ;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Gug-ak Center’s traditional arts archive. The articles of the KDC 5th Edition’s “Korea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 Oriental Traditional Music” are also examined in detail, being divided into the domains of the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musical compositions, 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Oriental traditional music. The problems in “Korea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 Oriental Traditional Music” in the 5th edition of the KDC are categorized and discussed in the following: the subdivision and revision of Chongak, the notes deletion and subdivision of Buddhist music, the notes deletion and subdivision of shamanistic music, the addition of Christian music, and the subdivision of traditional Oriental music. This paper provides ideas for improvements for the 6th Edition of the KDC. 이 논문은 KDC 제5판에서 개정된 ‘한국음악[전 국악] 및 동양 전통음악’의 항목들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한국음악이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발전된 과정과 국악 분야에서 시도된 분류체계를 살펴보고, 도서관계의 한국음악 분류는 표준분류법인 KDC, Dewey 十進分類法: 東洋關係細分展開表와 한국음악전문분류법인 국립문화재연구소의 한국전통음악자료분류법, KBS 음악정보실분류표, 국립국악원 전통예술아카이브 분류체계를 비교 평가하였다. KDC 제5판에서 전개된 ‘한국음악[전 국악] 및 동양 전통음악’의 항목들을 국악이론, 한국악곡, 한국악기, 동양 전통음악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KDC 제5판에서 전개된 ‘한국음악[전 국악] 및 동양 전통음악’의 문제점은 정악의 세부분류 수정 전개, 불교음악의 주기 삭제 및 세분 전개, 무속음악의 주기 삭제 및 세분 전개, 기독교음악의 추가 전개, 동양전통음악의 세분 전개로 나누어 살펴보고, KDC 제6판 전개 시 개선할 항목들의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신채호의 영웅서사 역술과 대한제국기 언론매체의 국문 모색 : 『을지문덕』을 중심으로

        임상석 ( Lim Sang-seok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0 No.-

        신채호가 대한제국기에 발표한 『을지문덕』, 「이순신」, 「최도통」 3편 영웅서사는 국한문판 원본과 이를 역술한 국문판의 이중판본이 존재한다. 『대한매일신보』의 이중판본 정책의 부분이라 할 수 있는데 다른 기사들에 비해 심도 있는 역술 과정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당대의 분화된 언어 계층의 실상을 보여주는 대표성 있는 자료이며, 『신보』 이중판본의 확장된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신채호의 영웅서사 3편이 보여주는 역술 과정은 현재 한국고전번역원의 국역-고전번역 작업의 직접적 연원을 보여준다. 국어사 분야에서는 한국어 어휘의 변천을 구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대상이며, 문학사 분야에서는 문체의 역사를 가늠할 자료이다. 국문판은 대한동포 모두가 영웅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원본의 대의는 그대로 전달했으나 한국학의 탐구라는 주요한 주제와 행간의 문제의식들은 생략된 경우가 많다. 국한문판과 국문판의 대조를 통해 한문을 경계로 한 대한제국기 언어 계층의 간극이 제시된다. 역술의 경험을 토대로 신채호는 국한문판의 주제의식을 국문판의 문체로도 전달할 수 있는 문체 통합을 추구하여 대한제국기 이후의 다양한 성취를 이루었다. 그는 언어 계층의 통합과 소통이 가능한 국문에 대한 모색을 국한문과 국문의 다중적 글쓰기로 실천한 것이다. Sin Chaeho’s three heroic narratives, Euljimundeok, I Sunsin and Choi Dotong are published dual editions, original Korean-Chinese editions and pure Korean editions. Also they are extension of Daehanmaeilsinbo’s dual edition but translation processes of them are enhanced than other articles of same media. Thus they are representative references proposing the reality of language hierarchy in Korean Empire era and providing the clue for extended research on Daehanmaeilsinbo’s dual edition policy. The edited translation of them can be the origin of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national translation, in other words Korean Classic Transl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 history, it is the references for representing the transition of Korean Semantics and the important data for the study of Korean styles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oth editions can deliver the main theme that all Koreans shall have the task of being hero but in pure Korean edition, the other profound issue, the inquiry for Korean studies is reduced.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dual editions represents the clear cleavage among language hierarchies based upon Classical-Chinese in Korean Empire era. On the experiences of edited translation in this era, Sin Chaeho can pursuit the unification of language hierarchies and achieve diverse fruits about history, literature and political movements. His seeking of national language is progressed by multilateral writing practice.

      • KCI등재

        파리장서운동과 성주유림

        권영배 ( Kwon Young Bae ) 대구사학회 2019 대구사학 Vol.137 No.-

        파리장서운동은 유림의 독립청원운동이다. 이 운동은 1919년 2월 19일부터 6월경까지 약 4개월 동안 전개되었다. 파리장서운동의 발단은 두 가지 중요한 계기적 사실에서 기인하였다. 하나는 3.1독립선언서의 민족대표 33인에서 유림대표가 빠졌던 데 대한 유림층의 충격이었고, 다른 하나는 친일인사들이 「독립불원서」라는 글을 작성하여 일본에 전달하려 했던 음모에 대한 유림층의 분노 때문이었다. 「파리장서」는 여러 차례 수정을 거치면서 완성되었다. 학계의 통설상 ‘김황본’이 ‘곽종석본’의 저본이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필자는 ‘곽종석본’은 ‘장석영본’을 저본으로 하였을 수도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전개 과정에서는 ‘곽종석본’이 서울에서 호서계열의 ‘김복한본’을 만나면서 ‘최종본’으로 수정되고, 이것이 상해로 가서는 ‘상해본(발송본)’으로 확정되어 파리평화회를 비롯한 각 유관기관 및 국내 향교에까지 발송되었다. 아쉽게도 상해본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파리장서운동은 김창숙을 비롯한 성주유림들이 주도하였다. 또한 성주는 전국 군단위에서 가장 많은 서명자를 배출하였다. 그것은 성주지역의 전통적인 유림의 학통과 이와 관련된 인맥과 문중 인사들이 연계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파리장서운동은 유림의 3.1운동이었다. 3.1만세운동이 일본을 대상으로 한국의 독립을 선언한 것이라면, 파리장서운동은 세계열강을 대상으로 한국민의 독립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그리고 그 한 가운데에는 성주유림이 있었다. Pari Jangso Undong is The movement for petition of Korean independence by the Confucian literati. This movement had developed for four months between around February 19 and June of 1919. The petition movement was provided by the tow following facts: Confucian literati’s sense of loss that their representatives were excluded from the thirty-three "representatives of all the Korean people" who signed the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ir resentment of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who presented their "declaration against independence" to the Japanese imperialists. After several revisions, Pari Jangso was finally completed. It started as the "Chang Sok-yong edition". It then was revised to the "Kwak Chong-sok edition", which added to the "Kim Pok-han edition" to be the "final edition." This "final edition" was revised to the "Shanghai edition" in Shanghai. By now the "Shanghai edition" has not been confirmed. The conventional wisdom is that the draft of the "Kwak Chong-sok edition" is regarded as the "Kim Hwang edition", but it is contrary to the fact. It is obvious that in the course of drawing up, the "Chang Sok-yong edition" was the draft of the petition. Pari Jangso Undong was led by the Confucian literati from Songju. The Songju region produced fifteen signers of the petition. Th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in the Songju region school ties of the traditional Confucian literati were very strong and the yangbanfamilies succeeded them generation after generation. In sum, Pari Jangso Undong was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Confucian literati. While the March First Movement declared Korean independence against Japan on a national scale, Pari Jangso Undong sought to plead Korean independence to the world as well as declare Koreans’ will for independenc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Confucian literati from Songju played the central role in the momentous movement.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국악 용어 편수 자료 개발

        변미혜,한윤이,김희라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8 국악교육연구 Vol.2 No.1

        2007년 2윌에 개정 7차 교육과정이 고시되었다. 교육과정의 개정과 더불어 각 개정 시기에 편수 자료가 개발되어 교과 서 편찬의 기준으로 삼았는데, 이 편수 자료는 초ㆍ중등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 교육 내용의 범위와 용어를 선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제9집의 편수 자료가 개발되었으나 국악과 관련된 편수 자료 개발은 제9집에 이르러서야 겨우 시작되었다. 그렇지만 제 9집의 국악 편수 자료는 국악과 관련된 용어에서 외국어 표기가 전혀 제시 되어 있지 않았으며, 그 의미나 해설이 모호한 용어들이 제시된 경우가 있고, 용어들의 활용이 교육 현장에 적절한 지 에 대한 검토가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용 국악 용어의 정립과 더불어 개정 교육과 정에서는 교사가 교과서 이외 의 내용을 가르칠 때에도 참고하여 적용할 수 있는 국악 용어에 대한 편수 자료의 개발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중동학교는 물론이고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까지 검정 체제로 가고 있는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용어와 관련된 편 수 자료의 개발은 교과서의 질 관리상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악 용어의 원래 의미와 적절한 용례를 고찰하 여 교육용 국악 용어를 선정한 후 그에 대한 적절한 해설을 하여 국악 용어 편수 자료를 개발함으로써 교육적으로 활 용할 수 있도록 국악 용어 편수 자료를 개발하게 되었다. 먼저,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간된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편수 업무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음악과 편수 자료의 역사적 변천을 살펴보았으며, 기존 음악과 편수 자료의 체제와 내용 구성을 살펴보고 나타나는 문 제점과 편수 자료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국악 용어를 구분하는 기준을 정하고 이에 따라 구분된 영역의 구 체적인 내용을 진술하였고 국악 편수 용어 자료의 구성 형태를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편수 자료의 구성 형 태에 따라 필요한 자료를 탐색하였는데, 용어의 본래 개념과 용례를 고찰하여 가장 적합한 설명을 제시하고 용어에 알 맞은 한자어와 로마자 표기, 그리고 영어 풀이도 살펴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이렇게 고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구분별 용어의 선정 기준과 해당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하였으며, 특히 개개 용어 선정에 있어서는 유사한 국악 용 어 중에서 교육적으로 활용 가능한 용어를 선정하거나 필요하다고 여겨질 때는 표준어를 기준으로 개발하여 국악 용 어의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국악 용어를 그 특성에 따라 구분한 결과 ‘기본 용어’, ‘익곡 용어’, ‘악기 용어’, ‘표현 용어’, ‘관련 용어’ 등 5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기본 용어’는 국악의 기본 지식과 관련된 용어이고, ‘악곡 용어’는 악곡과 관련된 용어, ‘악 기 용어’는 음악에 사용되는 악기와 관련된 용어, ‘표현 용어’는 국악의 표현법과 관련된 용어, ‘관련 용어’는 기타 국악 과 관련성이 깊은 용어로 범위를 정할 수 있었다. 이 중에서 ‘기본 용어’는 그 범위가 광범위하므로 다시 세분하여 용어 의 쓰임에 따라 ‘개념’, ‘갈래’, ‘장단’, ‘시김새 및 발성법’, ‘연주법’, ‘연주형태’, ‘형식’, ‘기보법’, ‘연주자’, ‘복식’, ‘의물’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국악 용어에 대한 연구가 부실한 현 시점에서 기본 지식과 관련된 ‘기본 용어’와 학습 제재곡과 관련된 ‘악곡 용어’ 개발이 보다 시급하고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악 용어를 고찰하고 구분을 짓는 과정에서 다의어와 유사어가 많이 발견되었다. 특히 그동안 한 가지 의미로 만 사용되었던 용어가 다의어였다는 것과 본래의 의미와는 다른 의미로 고착된 용어도 더러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용어에 대한 핵심적인 설명을 곁들이고 더불어 필요한 경우 그림까지 제시함으로써 용어의 종류뿐만 아니라 자 료로써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용어에 대한 설명은 중요한 내용만 핵심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용어의 의미를 보다 명확 하게 하고 용어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분명하게 짚어 주었다. 넷째, 로마자 표기 및 영문 풀이 등 국악 용어의 외국어표기를 살펴보면서 외국어 표기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었다. 로 마자 표기의 경우는 국악 용어의 우리말 발음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영어 풀이에서는 의미가 통하는 영어로 번역하기 어렵거나 적절한 영어를 찾기 어려운 국악 용어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는 결국 우리말을 그대로 표기한 용어와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영어를 혼용하는 방법이 가장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에서 미흡한 점은 국악 용어 전체를 연구하지 못한 것과 영어 풀이의 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 그 리고 다의적인 용어의 경우 실제 사용자들의 용례를 통한 의미 고찰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 등이다. 따라서 앞으로 본 연구에서 부족한 ‘기본 용어’와 악곡 용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미흡한 부분에 있어서의 철저 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revised 7th curriculum was noticed in February, 2007. Along with the revision of curriculum, editing material, which was developed in each revision period, was set as a standard of editing. This editing material has been the important standard in the selection of range and terms of education course. Until now, the 9th editing material have been developed but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related editing material was made only in the 9th collection. However, in the development of editing material in relation to Korean Music Terms, the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 was never suggested and the vague terms in meaning and explanation were suggested. It showed the deficiency of investigation about the appropriate use of terms in the education fiel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al meaning and illustration of Korean Music Terms and attempted to suggest the appropriate explanation by selecting Korean Music Terms for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editing material of Korean Music Terms, which are likely to be used for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ical change of music and editing material of music,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editing material development through problems, appearing in the existing music and the system and contents of editing material. Next, it examined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division by setting the standard, dividing the Korean Music Terms, and suggested the composition form of material of Korean Music editing terms. Lastly, it suggested the most appropriate explanation by investigating the real concept and illustration of terms around 'Basic terms' and 'terms of Musical pieces', along with examining Chinese Characters, the Roman Alphabet, and English clarification, suitable for terms. Especially, in the selection of terms, educationally usable terms were selected and the standard form of Korean Music Terms was suggested by developing terms under the range of standard language among similar Korean Music Terms. This study comes to the result as followings: First, as a result of dividing Korean Music Terms according to the features, they are classified into 5; 'Basic terms', 'terms of Musical pieces', 'Instrument terms', 'Expression terms' and 'Relevant terms'. 'Basic terms' are terms related to the basic knowledge of Korean Music, 'terms of Musical pieces' are terms, related to the musical pieces, 'Instrument terms' are terms, related to instrument, and 'Expression terms' are related to the expression way of Korean Music. The range of 'Relevant terms' was deeply related with Korean Music. Among those terms, 'Basic terms' are subdivid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use of terms; 'Concept', 'Genre', 'Jangdan', 'Sigimsae and Vocalization', 'Playing method'. 'Performance formation', 'Form', 'Music Notation', 'a Player', 'Costumes', 'Dance instrument'. Second,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the Korean Music Terms, a lot of polysemy and similar words were found. Especially, we can discover that the terms, which were used in one meaning, was polysemy and they were fixed with meaning, different from the real meaning. Third, we could suggest the standard of foreign language transcription while investigating the foreign language transcription of Korean Music Terms such as the transcription of the Roman Alphabet, and English clarification. In case of transcription of the Roman Alphabet, direction to make words clear at maximum was sought. However, in English cla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Korean Music terms, which are difficult to translate in English and find the appropriate words. Therefore, we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minglement of Korean words and English is the most rational. This study has the limit in setting the entire Korean Music Terms as study object, and in case of in-depth English clarification and various terms, there is a deficiency in the investigation of meaning through the illustrations of real users. Accordingly, thorough following up study is required for the complement.

      • KCI등재

        <闡義昭鑑諺解> 목판본과 필사본 간의 문체론적 특징 고찰

        정윤자,김길동 동양고전학회 2018 東洋古典硏究 Vol.0 No.71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of two different versions of 『Cheonuisogam- eonhae』 in terms of stylistics and investigates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s. The interpretations between the woodblock edition and the manuscript edition might be different depending on assumed range of readership, and the stylistic differences between two editions might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sibility of extension of the reading population. Thus, this paper examines how stylistic effects are reflected in inter-relations between a translator as a speaker and readers as listeners according to speaker intentions. In Chapter 2, the stylistic differences reflected from two difference editions are examined in terms of the expression of a writer’s respect, emotions, and formal consciousness to readers. The expressions of a writer’s respect are more clearly emerged in the manuscript edition than in the woodblock edition. The honorific expression of a subject, ‘-gyeoʌdsyeo’, and the honorific expression of a writer, ‘-sʌp-’, are more frequently used in the manuscript edition than in the woodblock edition. In order to express positive emotions, exclamation endings are used in the manuscript edition, which shows the writer’s strong emotional sympathy with readers’ words and behaviors. On the other hand, in the woodblock edition, ‘-이’ is used after names in order to treat rebellious subjects and people involved in conspiracy contemptuously by the use of informal forms. In addition, affirmative sentences in the manuscript edition and double negative sentences in the woodblock edition are used respectively, which intends to strongly emphasize a king’s will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will. The writer’s formal consciousness to readers are found in the way of writ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in Korean. Chinese characters are generally used two show formal consciousness; thus, names of people and places are expressed in Chinese characters in the woodblock edition. In Chapter 3, factors that made the stylistic differences between two editions are examined. The factors causing stylistic differences are examined in terms of the purpose of the interpretation, the class and range of the reading population, a writer’s attitudes toward readers, and the face-to-fact situation of a writer and readers.

      • KCI등재

        조선총독부 중등용 조선어급한문 독본 한문부(漢文部)의 변천 과정 -한국 한문 전적의 수용과 편찬을 중심으로-

        임상석 ( Lim Sang-seok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1 No.-

        중등학교에서 사용했던 조선총독부 발행 조선어급한문 독본들은 조선어와 한문의 언어적 능력을 가르칠 뿐 아니라, 조선의 문화와 전통에 대해 서술한 거의 유일한 총독부의 교재였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또한 이 독본들은 여러 차례 개정되어 일제 식민지 정책의 변천에 따라 조정된 조선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정책적 인식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그 가운데 세 가지 개정판 즉, 1)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1913, 이하 고등독본), 2)신편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1924, 이하 신편독본), 3)중등교육조선어급한문독본 (1932, 이하 중등독본)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 한문 전적들의 수용과 편찬의 성격을 조명해 보는 것이 이 글의 논제이다. 고등독본에서 한국 전적은 짤막한 교훈담 위주로 편성되어 경사자집과 일본 전적의 보조적 역할에 그쳤기에 이를 통해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파악하기 힘들다. 신편독본에서 한국 전적은 오히려 일본 전적보다 비중이 커지고 역사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편성된다. 그러므로 이를 통해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다소간 파악할 수 있으나, 한문 학습의 본령은 경사자집에 배치된 형태였다. 중등독본에서 일본 전적은 보조적인 위치에 배치되고 경사자집과 한국 전적은 분량과 한문 학습의 심도에서 동등한 위상을 부여받게 된다. 또한, 독본의 편찬 과정에서 검열과 유사한 수정이 한국 한문 전적들에게 더해진 과정도 제시했다. Besides its instructive task, the learning of Korean and Literary Sinitic, Government General Korea’s(hereafter, GGK) Korean and Literary Sinitic Readers for middle schools are almost sole textbook for apprehending Korean culture tradition in GGK’s colonial education. Also, they are the indicator to grasp the transitional phases in GGK’s policy through their editorial transformations. In this paper, I debate the compiling process and its orientation modification of Korean literary Sinitic documents in GGK’s readers with three representative editions: 1)Advanced Korean and Literary Sinitic Readers(1913, hereafter GGK1913); 2)New Edition of Advanced Korean and Literary Sinitic Readers(1924, hereafter GGK1924); 3)Korean and Literary Sinitic Readers for Middle Schools(1932, hereafter GGK1932). At first, GGK1913 adopted Korean documents are mainly simple didactic anecdotes without considering Korean culture tradition. From GGK1924, Korean documents are enhanced and have major position than that of Japanese Sinitic documents with limited apprehension for Korean history but main instructive role is assigned to Sinitic Classics(經史子集). Finally in GGK1932, Korean documents have equal position with Sinitic Classics in its curriculum stages. In addition, I represent the concealed censorship process in GGK reader’s the revising aspects of Korean literary Sinitic documents.

      • KCI등재

        三國志演義 初期 텍스트 연구― 3種 朝鮮唯一本 포함 諸版本對校例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민경욱 한국중국소설학회 2019 中國小說論叢 Vol.57 No.-

        In this paper, I comprehensively present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work of a comparative texual criticism between 6 to 11 editions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limited to the remaining parts of Chosun Metal Type Edition). This is a close sympathetic work of the early editions of the present Three Kingdoms, and in particular, it contains all of the editions which that had not been fully studied. Based on this, I tried to review the relevant academic issues surrounding the genealogy of the early editions of Three Kingdoms. In Chapter 2, we first demonstrate that Jiajing Edition is the isolated edition and that the text of the existing AB-series edition is, in part, farther away from the original text than the existing CD-series edition. Then, at the end, I presented two methodologies for analyzing the genealogy of existing AB series editions. Section 1 of Chapter 3 has argued why Chosun Metal Type Edition belongs to the AB-series. In Section 2, we first demonstrate that Jiajing Edition belongs to a different series from Shanghai Folios and Chosun Metal Type Edition, and the reason why Shanghai Folios belongs to the AB-series, and the reference version of Zhou Yuexiao Edition-A(Probably Shanghai Folios), and why Zhou Yuexiao Edition-A precedes Zhou Yuexiao Edition-B and Zhou Yuexiao Edition-C. Section 3 demonstrated that Xia Zhenyu Edition is older than Zhou Yuexiao Edition. To summariz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t is clear that the common conclusions of scholars represented by Andrew West have once again been proved by the method of text critisism. In addition, by the work of incorporating several of the above editions, which had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in the past, we have further elaborated the genealogy of the AB-series of Three Kingdoms and have made some corrections to that part of Andrew West’s the genealogy of the AB-series. 본고에서 필자는 (朝鮮活字本이 남아있는 부분에 국한된) 최소 6종 판본, 일부에서는 최대 11종 이상의 三國志演義 판본간의 對校 작업을 통해 얻은 결론을 압축적으로 제시한다. 이는 현존하는 삼국지연의 초기 판본을 거의 망라한 교감 작업으로서, 특히 기존에 연구가 충분하지 않았던 朝鮮活字本, 朝鮮飜刻本, 樂善齋本, 2종 滿譯本(3종 텍스트), 上海殘葉, 夏振宇本을 對校 범위에 모두 포함했다는 점에서 현 단계 三國志演義 판본 교감 연구의 집대성 성격을 가진다. 이를 기반으로 필자는 삼국지연의 초기 판본의 계보를 둘러싼 관련 학술 현안을 다시 한 번 종합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제2장에서는 먼저 嘉靖本이 孤本이라는 점과 현존 AB계열 판본의 텍스트가 일부분에 있어서는 현존 CD계열 판본에 비해 羅貫中의 原本 텍스트에서 더 멀어졌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이어서 말미에서 필자는 현존 AB계열 판본의 계보를 분석하기 위한 교감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제3장 제1절에서는 朝鮮活字本이 AB계열에 속한 이유에 대해 논증하였다. 이어서 제2절에서는 먼저 嘉靖本이 上海殘葉 및 朝鮮活字本과 다른 판본 계열에 속한다는 점과 上海殘葉이 AB계열에 속한 이유에 대해 논증하였고, 다시 周曰校本甲本(=朝鮮飜刻本)의 參校本이 A계열이 아니라 AB계열(아마도 上海殘葉)인 이유 및 周曰校本甲本이 周曰校本乙本과 周曰校本丙本보다 선행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논증하였다. 제3절에서는 夏振宇本이 周曰校本보다 선행한다는 점에 대해 논증하였다. 본고의 의의를 요약하자면, 웨스트를 위시한 판본 학자들의 공통된 결론을 (그들과 다른) 텍스트 교감의 방법으로 다시 한 번 확증하였다는 점, 그리고 기존에 연구가 충분하지 않았던 상기 여러 판본을 망라하여 三國志演義 AB계열 판본의 계보를 좀 더 구체화했으며 아울러 웨스트의 판본 계보도의 해당 부분을 일부 수정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3·1독립선언서의 진본 확정을 위한 국어학적 고찰 - 보성사판과 신문관판을 대상으로 -

        鄭敬在 ( Chung Kyeongjae ) 진단학회 2021 진단학보 Vol.- No.136

        This study compared the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Boseongsa edition and the Sinmungwan edition of the “Proclamation of Korean Independence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two editions and identify which of the two editions is the original copy printed at Boseongsa on February 27, 1919. First, by comparing Choi Namseon's contribution to the magazine Cheongchun, which Sinmungwan issued in 1918, and the two editions of the Proclama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Boseongsa edition matche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writing style of Choi Namseon during the era. Moreover, the final consonant “ㅆ[ss] is used, and the notation and punctuation are irregular in the Sinmungwan edition, indicating the possibility that it is a partially edited version of the original. The two editions of the “Proclamation of Korean Independence also differ in the positions where paragraphs are divided.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Proclamation, which was published in Sibo on March 9, 1919, and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Proclamation, which was published in Sinhanminbo on April 10, 1919, were both based on the manuscript of the “Proclamation of Korean Independence that was sent to Shanghai before being printed. This study found that both versions display the same paragraph divisions as the Boseongsa edition. In addition to the historical and bibliographical evidence foun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found linguistic evidence that confirmed that the “Boseongsa edition is the original copy distributed on March 1, 1919, whereas the “Sinmungwan edition is an edited copy that was later revised.

      • KCI등재

        『中等萬國地誌』 판본의 서지사항과 외래 지명 표기 양상 비교

        강창숙(Kang Chang Sook)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6 문화 역사 지리 Vol.28 No.3

        『中等萬國地誌』는 근대계몽기 학부편집국에서 新刊本(1902년)과 重刊本(1907년)을 발간하였으며, 외래 지명 표기에서 뚜렷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세계지리 교과서이다. 이에 新刊本과 重刊本의 주요 서지사항과 외래지명의 표기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新刊本과 重刊本은 같은 활자체, 같은 내용의 1帙 3冊으로 발간되었다. 13행28자로 구성된 新刊本은 국한문혼용체에 외래 지명과 인명 등을 괄호 안의 영문으로 병기하였지만, 14행35자로 구성된 重刊本은 영문 지명을 괄호 안의 한글로 변용 표기하였다. 둘째, 新刊本에서 영문으로 표기되고 있는 지명은 인문 지명(대륙·국가·지역·도시), 자연 지명(산지·하천·해안 지형), 인명 및 기타의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인문 지명의 수록 비중이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외래 지명의 표기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중국식 한자 지명의 계속적인 수용과 한글 지명 표기를 통한 자국어화 현상이다. Jungdeongmangukjiji(中等萬國地誌) is a world geography textbook whose first edition and revised edition were published in 1902 and 1907, respectively, by Hakbu during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These two editions have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notation of foreign place names. Accordingly, the major bibliographical descriptions of the first edition and the revised edition were compared and reviewed. The aspects that appeared in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foreign place names notation were examined.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edition and the revised edition used the same typeface and had the same contents and were published each in three volumes. In the first edition composed of 13 lines and 28 letters, Korean- Chinese characters mixed up style were used. Foreign place names and person names were written in English and enclosed in parentheses, but in the revised edition composed of 14 lines and 35 letters, English place names were written in Korean and enclosed in parentheses. Second, the place names written in English in the first edition were repres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human·physical place names, person names and others. Finally,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terms of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foreign place names involve the phenomenon of foreign place names becoming native place names through the continuous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 place names and the notation of Hangeul place names.

      • KCI등재

        <九雲夢> 漫考

        정규복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6 고전과 해석 Vol.1 No.-

        본고는 필자가 정년 이후 <구운몽>에 대한 보완연구를 진행하면서 부딪친 몇가지 문제를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1977년, 필자는 구운몽 원전의 연구 를 출간하고 ‘한문본설’을 제시하여 학계의 폭넓은 지지를 받아왔다. 그런데 근래에 필자의 학설에 대한 이견과 비판이 나오면서 ‘국문본 원작설’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필자는 ‘한문본설’을 거듭 확립하고, 기타 문제에 대해서도 필자의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1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권4의 김만중 항에 대한 기의’는 필자에 의해 유지된 구운몽 ‘한문본설’원작설과 배치되는 ‘국문본설’이 당시 정신문화연구원의 편집자들의 실수보다는 고의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이를 시정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제2항 ‘老尊B본의 大覺 장면에 대하여’는 부셰 박사와 지연숙 박사가 老尊B본을 서울대학본의 번역본으로 보는 가설을 근원적으로 불식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3항 ‘老尊B본의 皇太后 七步詩 評釋文’은 기왕에 주장된 부셰․지연숙 박사가 제시한 ‘서울대학본 원전’설을 부정하기 위한 주요 논거이다. 제4항 ‘전성운의 한중소설 대비의 지평 에 대하여’는 구운몽 연구사가 잘못 정리된 것을 바로 잡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5항 ‘Gale의 九雲夢 英譯本에 대하여’는 장효현 교수에 의해 九雲夢 英譯本의 텍스트는 한문본이라는 의견이 제기된 데 대하여 한문본 癸亥本․乙巳本․老尊本 중 乙巳本이 위주가 되고, 국문본 李家源本계도 함께 참고가 되면서 이루어졌다는 것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In A Study on the Original Text of Ku-un-mong(九雲夢 原典의 硏究) published in 1977, I proposed the theory of the original text of Ku-un-mong written in Chinese and my proposal have been supported by many scholars. Nowadays, however, some scholars propose the theory of the original text written in Korean. So I am going to emphasize the theory of the original text written in Chinese and present some comments on this subject.1. In Korean Grand Encyclopedia publish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韓國精神文化硏究院) in 1988, I wrote three articles on 'Kim, Man-jung(金萬重)' 'Seopomanpil(西浦漫筆)' and 'Ku-un-mong(九雲夢)'. But, on the contrary to my opinion, the original text was explained to be written in Korean in this encyclopedia. Chapter 1 is to put the mistake straight. And now, in Korean Grand Encyclopedia which was served on web site, this mistake was corrected.2. Chapter 2 is to refute the argument of Dr. Bouchez and Dr. Chi, Yeonsook that Nojon B edition(老尊B本) is a Chinese version of S.N.U. edition.3. Chapter 3 is the principal evidence to refute the argument of Dr. Bouchez and Dr. Chi, Yeonsook.4. Chapter 4 is to correct the error in Prof. Chun, Seongun's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Chinese Stories(한중소설 대비의 지평).5. A few years ago, Prof. Chang, Hyohyoun presented the argument that James S. Gale translated a Chinese version into English. Chapter 5 is to present three arguments of Gale's translation - First, Chinese versions used by Gale were Gyehae(癸亥), Eulsa(乙巳) and Nojon(老尊) edition. Second, Nojon edition was the principal in three Chinese versions. Third, Gale referred to the interrelated Yi, Gawon(李家源) e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