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가의 왼손, 이중어사전의 통국가적 생산과 유통 -언어정리 사업으로 본 근대 한국(어문)학의 생성-

        황호덕 상허학회 2010 상허학보 Vol.28 No.-

        “주시경, 미국인 제임스 게일, 독일인 신부 안토니오, 그리고 일본인 다카하시 토오루가 한어연구회(韓語硏究會)를 조직하다.” 1907년 『대한매일신보』의 기사이다. 이들은 후에 각각, 근대 한국어 연구의 아버지, 해방 전까지 가장 권위있는 한영사전 편찬자이자 성경 번역자, 한국학의 아카데미즘화를 기초지은 경성제대의 교수가 된다. 신앙과 앎의 공동체, 만남과 서신과 읽기를 통해 구성되는 아카데미아 위의 협업과 경합은 이처럼 일국학의 통국가적 발생을 예고하고 있었다. 나는 이 글에서 19세기말 20세기초에 만들어진 이중어사전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국가 단위의 학술사로서는 좀처럼 포착되기 어려운 ‘학술공화국(Republic of Letters)’의 존재를 묘사해 보았다. 최초의 믿을만한 한영사전인 제임스 게일의 『韓英字典(A Korean-English Dictionary)』은 그 이전의 한불자전, 한영자전, 옥편들로부터 언어 채집과 번역어 선택이 이루어졌으며, 한자를 그 자체로 형태소로 보고 대역(對譯)하는 관점은 중국학자 알렌 자일즈(Giles, Herbert Allen)의 중국학 연구와 중영자전 A Chinese-English Dictionary에 빚진 것이었다. 한문학자이자 기독교신자였던 이창직, 이원모와 같은 무명의 학자들이 그의 사전 편찬과 한국 고전 번역, 『천로역정(Pilgrim's Progress)』을 비롯한 서양문학 번역에 협력했다. 한국어는 생성 중에 있었다. 학술적 사고와 새로운 현상을 설명하는 근대어들의 유입에 의해, 게일의 사전은 적어도 세 차례 이상 증보 개정되었다. 그 원천은 『매일신보』, 『개벽』,『청춘』과 같은 한국잡지도 있었지만, 『井上和英大辭典(Inoue's Comprehensive Japanes-English Dictionary)』과 같은 일영사전의 역할이 컸다. 물론 조선총독부가 한국과 일본의 학자들의 공동작업으로 편찬한 『朝鮮語辭典』의 존재가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식민 권력 주도의 사전이 한국어를 한자라는 요소에 묶어두려 했던 것에 비해, 한국어를 서양어로 번역하는 이중어사전들은 당대의 언어 변화를 과잉에 가깝게 반영하였다. 그러니까, 언어 정리, 근대 학술어의 정리 및 의미확정을 담당한 것은 한국어사전이 아니라, 이중어사전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 위에서, 문세영과 조선어학회의 『조선어사전』, 『우리말사전』이 편찬되었고, 예컨대 이들 사전 편찬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났던 일국어, 일국학의 통국가적 구성과정은 점차 은폐되어 간다. 결과는 어떻했을까. 식민화의 과정에 따른 언어유입을 반영하는 한편, 그것을 강화하는 형태로 사전의 개정이 이루어졌고, 메이지 시기에 생산된 번역어의 약 90프로가 한국어사전에 현재까지도 남아있다. 다양한 이념과 지(知)가 각축하는 식민화 공간 서울에서 펼쳐진 외국인과 한국인들의 협업은 또한 서양인, 중국인, 일본인들에 의해 이루어진 일본학과 중국학의 성과로부터 매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그 과정에서 전통적 한학(漢學)과 서양지식과 번역으로서의 일본 근대 학문이 분절되고 새로운 형태로 배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오염의 과정’은 민족지(知), 국학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은폐되었고, 한국인이 한국어를 통해 하는 한국학이라는 신화가 성립하게 된다. 역설적인 말이지만 ‘순수한’ 민족학은 언제나 은폐된 중역, 한국어라는 크레올에 의해 발화될 수 밖에 없었다. 이중어사전을 쥐고 있는 번역가의 왼손, 거기서 한국의 근대 학술은 태어났다. 그리고 오른 ... One article of the newspaper in 1907 attracts us with its convincing evidence that shows how modern Korean Studies has been born in Korea. "Joo, Si-gyeong(周時經), American-James Gale, German priest-Antonio, and Japanese-Dakahashi Toru(高橋亨) has organized the Association for the research of Korean Language(韓語硏究會)." Later on, these people respectively played important roles: a father of the study of modern Korean Language, a compiler of Korean-English dictionary as well as a translator of the Bible who has the great authority until the independence of 1945, and a professor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who laid the cornerstone of academism of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academia, cooperation and concurrence, composed of faith, community of Knowledge, meeting, letters, and reading, have presumed the total-national birth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tudies. In this article, I intensionally described 'Republic of Letters(學術共和國)' itself that is barely seized with the academic history of the nation unit, focusing on doublet dictionary made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James Gale's A Korean-English Dictionary(『韓英字典』, that seems like the first-trustworthy Korean-English dictionary) collected the languages and decided translated terms from the existing Korean-French dictionary, Korean-English dictionary, and Chinese-Korean dictionary; besides, the view point considering Chinese Character as a morpheme itself was indebted to Chinese Literature Study from Chinese scholar-Herbert Allen Giles and his A Chinese-English Dictionary. Indistinct researchers such as YI, Chang-jik and Yi Won-mo, who were scholars of Chinese Classics and also believers of Protestantism, cooperated with him(James Gale) to compile the dictionary and translate Korean classic, Western-literature like Pilgrim's Progress (『天路歷程』). Korean Language was in the middle of formation. With the flow of modern language describing academic speculations and new phenomena, Gale's dictionary has been revised and enlarged at least more than three times. Of course Korean Journals such as 『Daily News(每日申報)』, 『The Creation(開闢)』, 『Youth(靑春)』were the source of enlargement, but on top of that, Japanese-English dictionary like 『Inoue's Comprehensive Japanes-English Dictionary(井上和英大辭典)』was the meritorious retainer of work.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y edited by Koreans Japanese scholars and Japanese bureaucrats under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朝鮮總督府) also affected the work. Compared to Japanese-leading dictionary which tried to minimize Korean Language in the origin of Chinese Character, bilingual dictionaries that translate Korean into Western Language had over-reflected transformations of language in those days. Therefore, it was not the Korean dictionary, but the bilingual dictionaries which was in charge of arranging and settling the language, and modern academic terms. Korean Dictionary(朝鮮語辭典)』from Mun, Se-young and Korean Language Institute(朝鮮語學會) was published on such history;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ransnational study and language had been secretly covered. What would the consequence be like? On the one hand, the inflow of the language was applied based on the procedure of colo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vision of dictionary was made with reinforcing the stream. Therefore, nearly 90% of translated terms by chinese character arrived in Meiji(明治) is still remained in Korean dictionary as Korean words. The cooperation between foreigners and Koreans in the place, Seoul, where various ideologies and knowledges were contended was also affected by accomplishment of Japanese studies and Chinese studies also. On such path, traditional Chinese classics studies, Japanese modern academicism considered as western knowledge’ translation have articulated and arranged with a new constella...

      • KCI등재후보

        한국어사전 편찬의 현황과 이론적 전개

        유현경(Yoo Hyunkyung) 한국사전학회 2011 한국사전학 Vol.- No.17

        This paper is aimed at describing the trends and prospects for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and exam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This study examines the practice of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from medial 19th century to the present and the theoretical problems in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that have been accumulated in the compiling process.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started as a bilingual dictionary around the time of enlightenment.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planned and discontinued because of political and social causes. In this time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a cultural event to not only the academic world of Korean linguistics but also the whole society along with unification of notation. From the end of 19C to the present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including 〈Keunsajeon〉, has been related to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and Korean culture and the work that arranges and unifies Korean was materialized by lexicography. These academic discussions about the dictionary continued while compiling dictionary and also after publication. Especially, the study of theoretical lexicography and practical lexicography centered on the laboratory performed the crucial role in raising Korean lexicography to academic level. After 2000, The Korean Association for lexicography was founded and it has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Korean lexicography. From now on web dictionary will be the mainstream among Korean dictionaries and recently it is a trend that mobile dictionary growing fast.

      • KCI등재

        한·중 동형한자어 대역사전의 필수 요건 분석

        한지현 ( Han Ji-hyeon ) 배달말학회 2017 배달말 Vol.61 No.-

        이 글은 《표준국어대사전》·《現代漢語詞典》·《中韓辭典》·《중국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학습사전》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한·중 동형한자어 대역사전이 갖추어야 할 요건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전은 목표 언어의 총체적이면서도 개별적인 어휘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학습자와 목표 언어 사이의 교량 역할을 하므로 언어 학습자에게 필수품이다.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한국한자어는 한자라는 형태의 동일함이 의미의 동일함 내지 비슷함을 가지고 있으리라는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모어의 간섭에 의한 학습 오류가 예견된다. 이에 중국인 한국어 고급화자들이 생산한 문장을 통해 이러한 예견이 사실임을 확인하고 그 오류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오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조언어학적 접근에 따른 대조분석 자료를 통해 정확한 의미 차를 보여주는 이언어화 사전이 필요하다. 한국한자어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언어 대조 자료가 갖출 요건을 알아보기 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주로 사용하는 사전을 비교·분석하였다. 일언어 사전으로 《표준국어대사전》과 《現代漢語詞典》, 이언어 사전으로 《中韓辭典》과 《중국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학습사전》을 대상으로 하여 살펴본 결과, 각 사전들은 각각 설정된 목표에 따라 편찬되어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중국인 학습자의 정확한 한국한자어 학습에는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확인을 기반으로 한·중 동형한자어 대역사전이 갖추어야 할 요건을 제시하였다. 뜻풀이와 용례, 편집을 중심으로 제시한 조건에 비추어 동형이의어 4개 영역의 각 예로서 '계산(計算)', '가능(可能)', '내일(來日)', '공부(工夫)'를 제시하였다. 이렇게 두 언어를 함께 들여다볼 수 있는 대조자료는 기초 어휘를 시작으로 한·중 동형한자어 전체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 of the thesis is to suggest the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Korean-Chinese dictionary of the characters with the same form. This can be practiced through comparison and reviewing the Standard Korean Great Dictionary and the Korean Learning Dictionary for Chinese Speaker, 現代漢語詞典·中韓辭典. The dictionary is an essential tool for language learners because it is a bridge between learners and target languages showing general and individual words alike. For the Chinese who learn Korean, Chinese characters would make them same forms with those of used in Chinese, which think that those have the same meaning. On the base of the hypothesis like this, I tried to find the examples in sentences that are used by Chinese who speak Korean. Some errors could be found in those sentences. That means we should have bilingual dictionaries to help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rough contrastive linguistic approach. The dictionaries that are used most by the Chinese who are learning Korean were compared and analysed. That would help us find the essentials for contrastive linguistic materials of Korean and Chinese. After examining mono-ligual and bi-lingual dictionaries, it can be found that they are not enough for the Chinese who are learning Korean to know the exact meaning of Korean-Chinese characters. Mono-lingual dictionaries are Standard Korean Great Dictionary and 現代漢語詞典 and bi-lingual dictionaries are 中韓辭典 and Korean Learning Dictionary for Chinsese Speakers-each are published for their own purpose. Some requisites for a Translative Dictionary of Korean-Chinese words that have the same form will be shown by using the facts found above. This study will suggest each example of four different fields of the words that have the same form but have different meanings, focusing on meaning explanation, usage, and compilation. For examples : 'calculating', 'possiblility', 'tomorrow' and 'studying'. The contrastive material that will help scrutinize the two languages should be expanded from the basic words to entire words that have the same form.

      • KCI등재

        『韓國漢字語辭典』에 수록된 한국고유한자의 주석 내용에 대한 오류 검토 연구

        류화송(Hwa-song Ruy)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5 No.-

        본고는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편찬한『한국한자어사전(韓國漢字語辭典)』에 수록된 한국고유한자, 특히 국자(國字)에 대한 주석 내용에 있어서 그 오류를 검토한 것이다. 필자가 본 사전을 이용하면서 몇몇 표제자와 그에 대한 주석 내용에서 약간의 오류를 발견한바, 이에 대한 수정 보완 작업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사전의 주석 내용을 전체적으로 살펴, 오류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것에 대하여 재검토하고 재정리하는 일은 누군가 필수적으로 해야만 하는 것이다. 필자는 바로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껴 진행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한국한자어사전』에 수록된 국자에 대한 주석 내용을 조사 정리하고, 발견된 오류들을 재검토하여 그 오류를 바로잡는데 있다. 연구의 내실을 다지기 위하여 연구 대상은 본 사전에 수록된 ‘국자’와 그에 대한 주석만으로 한정하였다.‘국자’로 선정된 표제자와 그에 대한 주석을 살펴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국자 선정과 분류에 대한 오류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본 사전에 수록된 국자는 모두 201개였다. 그런데 한국고유한자에 대하여 연구한 기존 학자들이 분류한 국자와 비교해본 결과, 본 사전에서 선정한 국자와는 약간의 출입이 있었다.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최대한 참고하여 국자 선정에 있어서 재고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표제자 중복 수록과 누락된 것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한자가 중복 수록 되었다. 그 가운데 ‘奈’은 1권 1105쪽과 2권 1033쪽, ‘羘’은 3권 838쪽과 3권 896쪽에 각각 중복 수록되었고, 2권 323쪽에서는 표제자가 누락되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는 편찬 작업 과정에서 정밀한 대조와 교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데서 기인한 실수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수는 사전의 신뢰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셋째, 오해를 일으키는 자원 설명과 육서 유형에 대한 규정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본 사전에서 육서의 유형을 규정하여 명기한 것은 상형자(象形字) ‘亇’ 1개, 회의자(會意字) ‘侤’ 1개, 형성자(形聲字) ‘ ’와 ‘垈’ 2개에 그친다. 이것으로 미루어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해 볼 수 있었다. 본 사전은 표제자에 대하여 육서(六書)에 의한 제자원리로 자원(字源)을 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명기된 유형의 숫자가 납득하기 어려울 정도로 적다는 점이다. 또한 회의자와 형성자에 대한 자원 설명이 모호하다는 점이다. 자원 설명은 표제자에 대한 이해를 더욱 정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표제자 이해를 도와야할 자원 설명이 모호하다면 오히려 표제자 이해에 방해가 될 것이다. 넷째, 주석 예문과 표제자의 상관성과 일관성이 요구되고, 예문 출전의 판본을 명기해야하는 것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두 개의 표제자에 대하여 동일한 하나의 예문을 제시하면서 각각 그 표제자에 대하여 ‘ ’은 약자(略字)로, ‘ ’은 속자(俗字)로 분류한 것이 발견되었다. 예문은 표제자의 쓰임을 통해 표제자를 이해하게 하고, 색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예문과 표제자에 있어서 그 상관성과 일관성이 상실되면 그 한자(漢字)에 대한 이해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이는 나아가 본 사전에 대한 신뢰성마저 떨어뜨리게 한다. 따라서 이는 반드시 바로잡아야할 부분이다. 또한 ‘巭’와 ‘ ’의 경우, ‘ ’는 ‘巭’의 속자라고 밝히면서 공교롭게도 제시한 예문은 ‘巭’에 제시된 예문과 완전히 일치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는 예문 출전의 판본이 명기되어 있지 않아 표제자 이해에 혼란이 야기되는 경우였다. 이것 또한 반드시 교정되어야할 점이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한국한자어사전』의 흠을 찾아내기 위해서가 아니라, 본 연구를 통해 본 사전이 더 완성된 사전으로 거듭나는데 미흡하나마 작은 도움이 되길 바라는 필자의 마음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밝힌다. This thesis examines errors with the annotations on the traditional Korean Chinese characters, especially the Sino-Korean characters included in Dictionary for Chinese characters and compound words of Korean Origin (韓國漢字語辭典) published by Dankook University Academy of Asian Studies. Since I have found errors in some of the dictionary's head words and their annotations, I believe their correction is necessary. So, a thorough examination of all the annotations in the dictionary is required to review and collect errors and possibly misleading contents. In this light, the current study has been conducted out of such dire ne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ollect the annotations on the Korean Chinese characters included in Dictionary for Chinese characters and compound words of Korean Originto review the discovered errors and correct them. For robust substantiation, the study has focused on the Sino-Korean characters and their annotations included by the dictionary. First, I have checked for any errors with the selection of the Sino-Korean characters. The dictionary includes a total of 201 Sino-Korean characters. But a comparison with the Sino-Korean characters previously collected by scholars of the traditional Korean Chinese characters shows some variance with the Sino-Korean characters selected for the dictionary. To address the variation, the research by scholars should be reflected in the selection of the Sino-Koean characters. Second, I have checked for any omission or repeat of head words. And it has been verified that ‘㭐’ is found twice on p. 1105 of Vol. 1 and p.1033 of Vol. 2, and ‘羘’ on p.838 of Vol. 3 and p.896 of Vol. 3. while a chinese character is omitted as head word on p.323 of Vol. 2. These appear to be errors made from the failure to perform a thorough comparison and proofreading. But such errors greatly impair the credibility of a dictionary. Third, I have checked for any possibly misleading etymological explanations or regulations on the six methods. The dictionary limits its classification into the six methods to one ideogram, one combined ideogram, and two radical plus phonetic characters. And this fact has led to the following criticism. When the dictionary provides etymology on its head words based on the character formation principle of six methods, the number of entries provided with such information is too small to sound convincing. Moreover, it does not provide sufficient explanation for combined characters and racdical plus phonetic characters. Etymology helps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head words. If etymology that should facilitate understanding of a head word turns out ambiguous, it should rather hamper it. Fourth, I have checked for any instances that require correlation and consistency between the examples in the annotations and the head words as well as disclosure of the editions of the literature from which the examples are taken. The investigation reveals that one same example is provided for two entries of ‘ ’ and ‘ ’ of which the former is defined as the simplified form while the latter as the popular form. Examples are important in that they help understand head words by showing their usage and also serve as part of the index. If examples and head words lose correlation and consistency, it hampers an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will eventually impair the credibility of the dictionary. In such light, the issues must be properly addressed. In another case, while ‘ ’ is given as the popular form of ‘巭’, the examples given for the two entries are exactly the same. This causes confusion in the understanding of the head words, as editions are not provided for the literature from which the examples are taken. This study is designed not to find fault with Dictionary for Chinese characters and compound words of Korean Origin, but to promote the advancement of the dictionary toward p

      • KCI등재

        말뭉치 활용 한국어사전 편찬의 실제 ᐨ『연세한국어사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ᐨ

        남기심,김한샘 한국사전학회 2017 한국사전학 Vol.- No.30

        Unlike the fact that the linguistics circle and pedagogy circle resisted the epoch-making event of introducing corpus into English dictionary compilation, the introduction of corpus into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history was accepted as an advancement in dictionary compilation methodology. <Yonsei Korean Dictionary>, which is the first corpus-utilizing Korean dictionary, was begun to be compiled with a goal to be a Korean dictionary as a language dictionary that helps right Korean language life based on actual language data, and furthermore make a Korean dictionary that can be used by foreigners who study Korean language. Yonsei University's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laboratory has built Yonsei corpus which was expressed as ‘writing by Korean people in Korean language’ in dictionary compilation proposal, and analyzed it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or the use in dictionary compilation. We selected head-words based on the frequency research of corpus, and analyzed examples of corpus describing grammar information of each word. In macro structure context, we extracted vocabulary with frequency over 14 times from 43 million words of corpus and adopted them as the 1st headword candidate list. We richened the microstructure by using corpus and suggested example of actual use aspect, and the most distinct characteristic was the suggestion of case frame and argument. Since <Yonsei Korean Dictionary>, it becomes natural to adopt corpus upon compiling Korean dictionary. Various kinds of dictionary have been published which can be sorted by how actively the corpus was used and to which stage the concordance is applied for the corpus used.

      • KCI등재

        해외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학 영문 사전 편찬의 쟁점 - 한국 근대 간행물 < 영문 사전> 편찬 사례를 중심으로-

        도원영 ( Doh Wonyoung ),방혜숙 ( Yoo Hei Sook Bang ),최경봉 ( Choi Kyeongbong ),류시현 ( Ryu Si-hyun ),장경식 ( Jang Kyung Sik ) 민족어문학회 2022 어문논집 Vol.- No.96

        이 연구에서는 해외 한국학 전공자와 연구자를 위한 이용자 중심의 영문 사전을 편찬하기 위해 점검해야 할 사전학적 문제와 번역학적 문제에 대해 짚어보고 이를 해결할 방안에 대해 한국 근대 간행물 영문 사전을 통해 제안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학 관련 사전과 해제, 웹 서비스 자원 등은 한국학의 발전과 한국사전학계의 노력을 통해 상당한 규모와 수준으로 구축되었다. 그러나 해외에서 한국학을 전공하는 학부생이나 대학원생, 한국학에 대한 정보를 원하는 외국인들을 위해 출간하였거나 웹을 통해 서비스 중인 영문 자료는 부재하다. 최근에 여러 기관과 연구진이 국내외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영문 지식 콘텐츠 구축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영문 사전편찬 사업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바, 한국학 영문 사전 편찬의 주요 이슈를 살펴보는 일은 중요하다. 2장에서는 해외 한국학 전공자가 참조할 만한 한국 근대 간행물을 다룬 백과사전, 전문 사전 해제집 등의 자료가 주로, 국문으로 작성되었음을 밝혔다. 3장에서는 현재 편찬 중인 <한국 근대 간행물 영문 사전>을 중심으로 먼저 사전학적 측면에서 사전의 성격과 목표 설정, 사전 이용자의 요구, 사전의 구조와 내용의 수준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루었다. 다음으로 번역학적 측면에서 직역과 의역의 문제, 이용자를 고려한 문체의 수준, 개념어 번역 방법, 고유명 표기안 등의 문제를 다루어 각각의 편찬 방법론을 대략적으로 소개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향후 해외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영문 사전의 방향성 설정과 편찬 원칙 수립에 직접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xicographical and translational problems to compile a user-centered English dictionary for overseas Korean studies majors and researchers and to provide suggestions to enhance the usage of the English dictionary in Korean modern publica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a variety of resources related to Korean studies, including dictionaries, has increased considerably in volume and depth. However, there are no proper published resources in English for multiple groups; undergraduates or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abroad or foreigners who want to gain some information about Korean studies via websites. Several institutions and researchers have been stepping up projects to build knowledge-based content in English for Korean studies majors, domestic and overseas, in recent times. In particular, since the English dictionary compilation project is centered o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t is important to take a look at the main issues of the English dictionary compilation of Korean studies. Chapter 2 stated that data such as encyclopedias, professional dictionaries, and commentary books targeting modern Korean newspapers, magazines, and books were mainly written in Korean. Chapter 3 first dealt with the problem of the types and goal setting for descriptions of the dictionary, the needs of the dictionary user, and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dictionary, focusing on the English Dictionary of Modern Korean Publications, which is currently being compiled. At the end of the chapter, each compilation methodology was introduced roughly by dealing with problems such as translation and translation in terms of translation, level of style considering users, conceptual translation method, and proper name not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directly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uidelines and compilation principles of English dictionaries for overseas Korean studies majors in the future.

      • KCI등재

        고등학생의 국어사전 활용 양상에 대한 연구

        하성욱 ( Sungwook Ha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5 문법 교육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 highschool students`` using a Korean dictionary. In an attempt to increase the persuasive power of the proposal, I``ve focused on the following two subordinate subjects. (1) How about the status of a highschool students`` using a Korean dictionary? What do students have an awareness of using a Korean dictionary? (2)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correlations between an awareness of students`` using a Korean dictionary and students`` academic Korean achievement? To explain two subordinate subjects, I use a survey of highschool students`` using a Korean dictionary.(Cronbach α=.804) It contains 8 item multiple-alternative questions and 8 item of Likert-type scales. Multiple-alternative questions contained (1) Education Experience of using a Korean dictionary, (2) utilize for a Korean dictionary, (3) type of a Korean dictionary, (4) frequency of use a Korean dictionary, (5) application information in a Korean dictionary, (6) application domain of a Korean dictionary, (7) incommodity of a Korean dictionary, (8) influence of using a Korean dictionary on students`` learning. Likert-type scales contained (1) scale of using a Korean dictionary, (2) ease of information in a Korean dictionary, (3) ease of example in a Korean dictionary, (4) necessity of a Korean dictionary, (5) necessity of education for a Korean dictionary, (6) conservativeness of a Korean dictionary’s information, (7) reliability of a Korean dictionary’s information, (8) a Korean dictionary and Lexical ability. I take a this survey to students for four days. And I take a mini-interview to some of students. After survey, data was entered into a EXCEL 2010 of Microsoft, It was copied into a SPSS 12.0 for Windows afterwards. And I calculate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inspection result. For the Correlativity Analysis between an awareness of students`` using a Korean dictionary and students`` academic Korean achievement, I calculated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 KCI등재

        <연세 한국어사전>과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비교 연구 ―언어사전으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유현경 한글학회 2012 한글 Vol.- No.295

        The aim of this paper is examining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a Korean language dictionary publish as a language dictionary. For this,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Yonsei Korean Dictionary(1998) and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2008) which most strongly characterized as a language dictionary in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The result of examining two dictionaries is that Yonsei Korean Dictionary which superficially claim to be a language dictionary has the personality of the language dictionary in contents. While, in case of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has the strong personality of encyclopedia rather than a language dictionary in macro-structure such as entry construct, etc. However the micro-structure of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has the strong personality of a language dictionary except meaning explanations, etc. Because both two dictionaries start in the pursuit of academic purpose rather than commercial purpose, two dictionaries are characterized by the contents which the results of Korean linguistic studies are much reflected in. This paper expects that the result of analyzing two dictionaries is reflected in the publish of new Korean language dictionary which has a lot of linguistic information. 이 글은 언어사전으로서의 국어사전 편찬의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어사전 중 가장 언어사전적 특성이 강한 <연세 한국어사전>(1998)과 <고려대 한국어대사전>(2008)의 사전 정보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사전을 살펴본 결과, 표면적으로 언어사전임을 표방하고 있는 <연세 한국어사전>은 내용적으로도 언어사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의 경우 표제어의 구성 등 거시구조에 있어서는 백과사전적 성격이 강했으나 미시구조에서는 뜻풀이 등을 제외하고 언어사전의 성격을 상당 부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사전 모두 상업적 목적보다는 학문적인 목적에서 출발한 사전이기 때문에 국어학적인 연구 결과가 사전의 내용에 많이 반영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글에서 논의한 두 사전의 분석 결과는 질적으로 풍부한 언어적 정보를 지닌 새로운 국어사전의 편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의 한국어 문법 사전 용례에 대한 언어문화 분석 -≪ 한국어실용어법사전(韓國語실用語法詞典) ≫의 용례를 중심으로-

        이화숙 ( Hwasook Yi ) 한국민족연구원 2015 민족연구 Vol.0 No.64

        이 글의 목적은 중국에서 편찬한 한국어 문법 학습 사전, ≪韓國語실用語法詞典≫ 에 수록된 용례를 언어문화라는 관점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韓國語실用語法詞典≫에는 910여 개의 조사와 어미, 접사 등의 문법 형태가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다. 표제어에는 단어와 구 그리고 문장 형태의 용례가 제시되어 있는데, 문장의 형태로 제시된 용례는 약 4,612이다. 특히 문장으로 제시되어 있는 용례 중에는 특수한 정치 사회 문화적인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 있다. 이 글에서는 ≪韓國語실用語法詞典≫의 용례 중에서 중국 조선족의 사회 문화적인 장면을 반영하는 용례를 구분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韓國語실用語法詞典≫은 중국의 조선족 연구자에 의해 집필되었다. 사전이 집필자의 언어 직관과 문화적 배경에 영향을 받는 만큼, ≪韓國語실用語法詞典≫에는 조선족 사회의 문화적 배경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 ≪韓國語실用語法詞典≫의 용례에 대한 언어문화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과거 중국에서 조선족 사회가 형성되는 데에는 기반이 되었던 농경문화가 용례를 통해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개혁개방 이후 활발히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경제적인 면모도 용례에 반영되어 있었다. 이 밖에 북한에서 사용하는 문화어의 영향으로 보이는 용례들이 있었는데 전쟁과 전투 혹은 통일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고 있었다. ≪韓國語실用語法詞典≫의 용례는 한국어로 기술되어 있지만, 그 내용은 중국 조선족 사회의 문화와제도를 표현한 것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 글은 중국에서 발간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반영된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amples of Korean grammar dictionary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published in China in the perspective of language culture.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contains entries in grammar forms of about 910 particles, affixes, and so on. Entries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words, phrases, and sentences. Examples in the sentence form are about 4,612. Expecially, some examples presented in the sentence form reflect specific political, socio-cultural contents. The study analyzed the examples reflected the socio-cultural scenes of Korean Chinese from the examples of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is written by the Korean Chinese researcher in China. A dictionary is reflected by author``s language perspective and cultural background, so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is reflected by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Korean Chinese. The analysis result of language culture on the examples of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are as in the following. At first, it is reflected in the examples of the agriculture based on forming Korean Chinese society in China. After China``s economic reform, actively growing China``s economic aspects are reflected in the examples. Besides, there are some examples influenced by cultural words using in North Korea which are reflected the contents on the war, the battle and the unification. The examples of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are written in Korean, but the contents are reflected the culture and the system of Korean Chinese in China. This study expects to understand the cultural background reflec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 published in China, as well as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사전 편찬을 통해 본 리극로(李克魯)의 독립운동사적 위상과 냉전적 해석 굴레의 탈피

        이준환 ( Yi Jun-hwan ) 배달말학회 2018 배달말 Vol.63 No.-

        이 글은 이극로의 어문 연구 활동과 어문 운동의 결과물들을 통해 이것이 국어 연구, 표준적인 한국어의 성립과 발전, 국어사전 편찬에 어떻게 이바지 했는지 생각해 보려는 것이다. 이극로는 외국 생활을 하면서 국어가 민족의 생명이라는 인식에서 국어사전을 만들고 한글 중심의 표기를 하고 철자법을 고쳐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귀국 후 그의 활동은 이 두 가지 과제 달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는 음운, 문법, 표기법, 사전 편찬 연구에 매진했는데, 이런 연구는 ‘음운 → 철자법 → 표준어 → 문법(단어 중심) → 사전 편찬’의 흐름으로 이어진다. 그는 1929년에 조선어연구회에 입회한 후 그해 10월에 조선어사전편찬회가 조직되었을 때, 위원과 상무위원 겸 편집부 상무가 되어 사전 편찬을 주도했다. 또한 1931년에 이우식을 회장으로 선출하고 자신은 간사장 역할을 하며 사전 편찬에 필요한 자금 확보에 최선을 다했다. 이처럼 그는 사전 편찬을 실제로 이끌고 자금을 마련하면서, 사전 집필을 위한 큰 틀과 구체적 내용을 고민했다. 이극로는 1947년에 『조선말 큰 사전』 제1권을 발행하고, 1948년에 남북연석회의 참석차 평양에 갔다가 북한에 잔류했다. 이는 통일 민족국가 건설과 언어의 분단은 막으려는 생각에 따른 것이다. 이극로는 북에서 조선어문연구회의 위원장이 되어 조선어 문법 편수 간행, 조선어 사전 편찬 간행, 조선 어문 연구 잡지 간행, 조선 어문 연구 논문집 간행, 조선 어문 특별 강연회 개최 등과 같은 어문 정책을 주도했고, 음조에 관해 다룬 「조선어 조 연구」(1966)과 같은 음성학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발표했고, 조사 ‘이다’의 문제를 다룬 「체언에 붙는 접미사 <이>의 본질」(1964)와 같은 문법 연구에 관한 성과를 발표했다. 이런 행적으로 보아 그가 북한에 잔류했다는 이유로 남북의 언어 통일을 위하여 사전 편찬과 문법 연구에 매진한 업적이 평가 절하되어서는 곤란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ctivities and the linguistic movement of Li Kolu, and how it contributed to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standard Korean language, and the compilation of Korean dictionary. Li Kolu thought that he should make a Korean dictionary with the recognition that Korean language is the life of the nation, and write it in the center of Korean and fix the spelling method. His activities after returning home are focused on achieving these two tasks. In fact, he has been mainly devoted to the study of phonology, grammar, notation, and lexicography, and these studies seem to lead to the flow of phonemic → spelling → standard word → grammar(word-centered study) → dictionary compilation. He became one of the members of the Joseoneosajeonpyeonchanwiwonhoe(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when he joined the Joseoneoyeonguhoe(Korean-Language Research Association) in 1929, and in October of the same year, he was also a member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editor-in-chief. Then, in 1931, when elected Yi Woosik as the chairman in Joseoneosajeonpyeonchanwiwonhoe, he acted as the secretary and did his best to secure the necessary funds for the dictionary compilation. This shows that he was in a central position in lexicography and in securing the necessary financial resources. When we compare this behavior with his previous research, we can see that Li Kolu has led the dictionary compilation and raised funds, and he himself has been contemplating a big frame for concrete writing and concrete contents. In the following year, 1948, when the first book of the late Joeseneokeunsajeon(Korean Grand Dictionary) was published in 1947, Li Kolu remained in North Korea in 1948. The purpose of remaining in North Korea was to construct a national unified nation and compile a dictionary of the North Korean. After remaining in North Korea, Li Kolu became the chairperson of the Joseoneomunyeonguhoe(Korean-Language Study Group). He published a number of Korean grammar, a dictionary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a Korean-language research magazine, a Korean- -language research paper, a special lecture and the holding of the North Korean linguistic policy. And he continued to present his achievements in phonological research on tone and grammar research. As a result of this behavior, it would be difficult to devalue the accomplishments of dictionary compilation and grammar research for the unification of the languages of North and South, be remained in the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