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 번역 현황과 특성 연구

        장영미(Jang, Young-Mi) 돈암어문학회 2012 돈암어문학 Vol.- No.25

        오늘날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번역은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진 나라들이 상호 소통하는 데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번역을 통한 문학 교류는 한 나라의 문화를 다른 나라에 효과적으로 전파시키고 이해시킬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이 되고 있다. 한국 아동문학 역시 해외 독자들에게 여러 언어로 번역 소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수입 도서에 비해 수출되는 도서는 극히 미비하다. 결국 한국 아동문학의 적극적인 수출을 위해,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로 번역된 현황과 특성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출발하였다. 그 결과 영어권의 경우 창작동화는 판타지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 그림책은 한국적인 문화와 정서를 느낄 수 있는 작품이 번역되었다. 불어권은 ??고양이 학교??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창작동화 가운데 단연 두드러진 추세였다. ??고양이 학교??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다른 작품에도 관심을 끌게 되었고 이후 한국적인 풍습과 세계를 담고 있는 작품들이 번역되었다. 일어권은 이전에는 그림책에 관심을 보이다가 이후 차츰 창작동화에 관심을 보였다. 창작동화는 일본이라는 나라가 처한 환경적인 영향으로 어려움에 있는 주인공들이 역경을 이겨내고 성공하는 희망을 주제로 한 작품이 많이 번역되었다. 세 언어권을 중심으로 해외에 번역된 한국 아동문학은 한국적인 문화와 정서를 담은 것이 특징적이다. 하지만 한국에 수입되는 도서에 비하면, 수출되는 도서는 극히 미비하다. 따라서 보다 많은 작가의 다양한 작품들이 해외로 번역되는 것이 급선무이다. 하지만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명제에 빠져서 한국적인 것만을 주제로 한 작품 소개는 피해야 한다. 결국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 번역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한국적인 고유성과 상대 국가의 취향을 고려한 번역이 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translation works as very important medium to help communication between countries which use different languages. Exchanges in literature via translation are becoming powerful measures to help disseminating and understanding one country"s culture to the other effectively. Korean"s juvenile literature also introduced many translated languages, but still imported books have taken up a lot of space compared to exported books. This thesis is started with the concept that we should study status and character of exported books first, for the more energetic exportation in Korean"s juvenile literature. Consequentl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 fantasy based created children"s books and picture books which reflect the Korean culture and spirit are translated. In Francophone countries, ??School for cats??gained sensational popularity with readers. It was definitely remarkable in exported created children"s book. Thank you for the popularity of ??School for cats??, Francophone countries are starting to get interest in Korean"s book. As a result many korean atmosphere books are translated. In Japan, they are interested in picture books at first, but started to get interest in created children"s books later. Because of their own environment, particular kind of books are translated which have a story of one character who gets through all the difficulties and finally has a successful life. Distinctively, exported Korean juvenile literature reflects Korean"s culture and spirit. But still, compared to imported books, the percentage of exported books is really inadequate. Thus it"s really urgent to translate the various writers’ diverse stories, but we should not be obsessed with the concept that we always have to write the story based on Korean culture. In the end, to get our books exported actively, we have to consider Korean characteristics identity and other country"s taste.

      • KCI등재후보

        1980〜1990년대 중국조선족아동소설 연구

        마성은(Ma Sung-Eu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1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1

        본고는 20세기 조선족아동문학을 대표하는 선집인 『20세기중국조선족아동문학선집 1(아동소설편)』에 수록된 작품들의 주요 특색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아동문학 연구에서 ‘디아스포라’ 아동문학을 고민하는 단초를 제공하려 한다. 중국은 개혁개방이 진행된 이후 급속한 사회변화를 겪었다. 개혁개방은 폭발적인 경제성장을 불러왔지만 엄청난 빈부격차, 가치관의 혼란, 공동체의 붕괴 등을 불러오기도 했다. 배금주의가 만연하여 도박이 성행했고, 경제문제로 인한 가정불화 탓에 이혼가정이 증가하기도 하였다. 국교 정상화 이후 많은 중국인들이 돈을 벌기 위해 한국으로 향했다. 이때 한국행을 택한 중국인 가운데 상당수는 조선족이었다. 한족을 비롯한 다른 민족에 비하여 언어장벽이나 문화장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한국행을 택한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중국으로 돌아가지 않음으로써 수많은 조선족 가족공동체가 붕괴되었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현실은 조선족 아동에게 크나큰 충격과 절망으로 다가왔다. 1980?1990년대 조선족아동소설의 성취는 개혁개방의 이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한국과 중국의 국교 정상화 이후 한국행을 통하여 가족공동체가 붕괴되는 것은 개혁개방의 폐해 가운데에서도 조선족 사회에서만 두드러진 특징이다. 그리고 그러한 현상이 야기한 최대의 피해자가 된 아동 독자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전하여 줄 수 있는 작품이 있다는 점은 조선족아동소설이 당시 상황에서 수행한 사회적 역할로 볼 수 있다. 하지만 1980?1990년대 조선족아동소설에는 보편적인 울림을 가질 만한 철학적 깊이나 인간적 성찰이 잘 보이지 않는다. 중국 사회에서 관심을 불러일으킬 만한 제재(주로 개혁개방의 이면)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당시 중국아동문학사에서만이라도 중요하게 자리 잡을 수 있는 작품이 나올 수도 있었지만, 모든 작품이 조선어로 창작된 까닭에 그나마 중국아동문학사에 길이 남는 작품마저도 배출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his study aims to discuss ‘Diaspora’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research on main features of juvenile novels published in《The Anthology of Children’s Literature of Korean-Chinese in the 20th Century》. There have been so many social changes in China after Chinese economic reform. Chinese economic reform has resulted in a hug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chaos in traditional values, breakdown of communities, rage of gambling, and increase of broken homes due to economic problems. After the normalis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Peoples Republic of China, many Chinese nationals have left for South Korea to make money. Of these people, many were Korean-Chinese, who were relatively free from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However, the problem was that a great number of these Korean-Chinese people did not return to China, and it caused a mass-scale family breakdown in the Korean-Chinese community. To Korean-Chinese children, such reality came about as a huge shock and disappointment. An achievement of juvenile novels of Koreans in China in the 1980s and 1990s is that they successfully depict the dark side of Chinese economic reform. Of the problems arising from Chinese economic reform, a mass-scale family breakdown in the Korean-Chinese community due to a huge out-flux of Korean-Chinese was a problem characteristic to the Korean-Chinese community. The fact that there were these juvenile novels that offered consolation and encouragement to Korean-Chinese children who were the biggest victims of such phenomenon was the social role that these novels played under the situation of the time. Unfortunately, however, juvenile novels of Koreans in China in the 1980s and 1990s do not show much philosophical depth or humanistic introspection that may bring about a universal reaction. As they have dealt with subject matters (mostly the dark side of Chinese economic reform) that could bring about interests in the Chinese society, it could have been possible for some novels to establish themselves significantly at least in the history of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And yet. it is deplorably sad that no such novel has been produced as they were all written in Korean only.

      • KCI등재

        북한 사회의 특성과 북한청소년의 일탈행동

        신효숙 아시아교정포럼 2009 교정담론 Vol.3 No.1

        본 연구는 1990년대 들어 가시화되고 광범위한 형태를 띠고 있는 북한청소년의 일탈행동을 북한 사회체제의 특성 및 학교 환경과의 연관성 속에서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일탈행동에 관한 다양한 이론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문제행동의 원인을 개인적인 측면보다는 북한 체제 및 사회구조적 측면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2장에서는 북한 사회체제의 특성과 일탈행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북한의 계급구조와 체제외적 소외계층의 양산, 조직적 사회통제와 비사회주의적 행동의 증가, 북한사회의 물자 결핍과 광범위한 범죄행동의 유발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북한의 학교생활과 일탈행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직적 학교생활과 일탈행동 유형, 학교의 과중한 세부담과 광범위한 일탈행동, '패' 형성과 집단폭력의 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deviance of North Korean juveniles that had started to increase from the 1990s in link with North Korean society’s specificity and schooling circumstances. While there are many theories associated with devianc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 of North Korea’ s political-social structure and the organization of the society upon juveniles’ problematic behavior. After an overall introduction of the topic of deviance in part 1, part 2 demonstrates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juveniles’ deviance and the specificity of North Korean society. It examines North Korea’s class structure, its cluster of estranged classes, systematic social control, the increase of unsociable behaviors, wide shortages of goods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riminal acts. Part 3 then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life and deviance. It investigates the rise of deviance in North Korea and its special characteristics in association with a highly systematized school-life (including payment of tuition and excessive collection of commodities) and the growth in “hooligan” student gangs.

      • KCI등재

        「소년법」상 ‘검사송치’의 의의 및 기준

        김성규 한국소년정책학회 2019 少年保護硏究 Vol.32 No.2

        The purpose of Korean Juvenile Act is to ensure sound fostering of juveniles by carrying out necessary measures for the environmental adjustment and character correction of juveniles demonstrating anti-social behavior. The term “juvenile” means a person under the age of 19, which includes a juvenile under 14 years of age who has violated a penal provision, and yet shall not be criminally responsible under Article 9 of the Korean Criminal Act; and a juvenile from 14 to 19 who has committed a criminal offense, as well. Juveniles cases shall be tried as protection cases by the Juvenile Department of the Family Court or the Juvenile Department of a district court. So, the public prosecutor who has investigated a case of juvenile offender shall transfer the case to the competent Juvenile Department, in cases where it is deemed, as result of investigation of the case, that there is a cause for protective detention. However, in cases where the Juvenile Department has found criminal facts which deserve imprisonment without prison labor or heavier punishment as a result of an investigation or a trial, and if the Juvenile Department deems it necessary in view of the motive for offending and the nature of the crime committed to impose criminal punishment upon the juvenile concerned, the Juvenile Department shall, by means of a ruling, transfer the case to a public prosecutor. In particular, the Juvenile Department may do so, also in the protection cases transferred from a prosecutor, While the ‘transfer of Juvenile offender to Public Prosecutor’s Office’ takes place quite rarely and in highly exceptional circumstances. it seems nonetheless relevant to examine the law and practice concerning the transfer of Juvenile offender to Public Prosecutor’s Office that opens the way to the criminal prosecution of the juvenile concerned, especially in regard to the primary goals of the juvenile justice system. This article outlines the procedure of the transfer to Public Prosecutor’s Office under the Korean Juvenile Act, reviews the debate about the requirements for the Juvenile Court’s Ruling of the transfer to a public prosecutor, and demonstrates that the rationales and parameters for the transfer of Juvenile offender to Public Prosecutor’s Office can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role of education in juvenile justice.

      • KCI등재

        解放期 廉想涉과 少年 – 채석장의 소년 을 중심으로–

        김예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3

        This articl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Yeom, Sang-seop’s writing and juvenile characters, focusing on his only juvenile novel, The Boy in the Quarry (SoHakSaeng, 74~79, 1950.1.~6; PyeongBeomSa, 1952). The Boy in the Quarry was written to extend Yeom, Sang-seop’s point of view on juveniles, as well as the educational attitude toward the characterization of juveniles and respect for the uniqueness of children’s literature. Of particular interest to the present study, the work was also written to show the author’s interest in the educational system during the Korean liberation period. This novel was also published as a result of the atmosphere of this period, when many juvenile novels were written to meet the need for high-quality children’s reading materials, and there was a connection between SoHakSaeng and the educational system for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other word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n the juvenile novel genre, The Boy in the Quarry was written by reflecting the author’s ideology and moral lessons toward contemporary juvenile readers, for literary communication with them. The storylines of the juvenile characters in The Boy in the Quarry embody the educational values that Yeom, Sang-seop tried to convey to contemporary juvenile readers. Furthermore, in this novel, the author depicts worlds of juveniles and adults which are woven together with equal narrative importance. Additionally, the family meetings in the novel are presented in a specific way which respects the individuality and the personality of juvenile in the family system as they practice family democracy. Consequently, Yeom, Sang-seop characterizes the ideal type of juvenile through The Boy in the Quarry―juvenile characters learn universal virtues at school and are raised as citizens of a democratic society at home. 김예람, 2022, 해방기 염상섭과 소년, 어문연구, 195 : 247~286 본 논문은 염상섭의 유일한 소년소설 채석장의 소년 (<소학생> 74~79, 1950.1.~6; 평범사, 1952)을 중심으로 염상섭과 소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채석장의 소년 은 염상섭의 소년관, 문필활동 초기부터 평문의 형태로 개진된 소년 인물 형상화에 관한 교육적 태도, 아동문학 장르의 독자성에 관한 존중, 그리고 특히 해방기 소년 세대 교육에 대한 관심의 연장선에서 쓰인 것으로, 소년소설이 범람했던 해방기 아동문학장의 분위기, 양질의 유소년독물의 필요성, <소학생>이 한국어 교재로서 지닌 학교 교육과의 연계성으로부터 고무된 결과다. 즉 채석장의 소년 은 염상섭이 소년소설에 관한 장르적 자의식 위에서 동시대 소년 독자와의 문학적 의사소통을 염두에 두고 그들을 향한 자신의 교훈과 전망을 투영하여 소설화한 사례다. 채석장의 소년 에 등장하는 소년 인물들의 이야기-선은 염상섭이 소년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교육적 가치들을 구현하며, 나아가 소년의 세계와 어른의 세계를 동등한 서사적 비중으로 교직하여 가족제도 내에서 소년의 개성과 인격을 동권적으로 존중하고 민주주의를 실천할 구체적 방법으로 가족회의를 제시한다.

      • KCI등재

        광주전남 근현대 시문단의 형성사 연구2- 동요,동시를 중심으로

        이동순 ( Dong Soon Le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7

        광주전남의 아동문단의 형성은 1920년대와 30년대 동요운동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동요운동은 어린이를 항일담론의 주체로 부상시키면서 전개된 항일운동이자 문화운동이었다. 광주전남의 김태오와 목일신, 조종현이 동요 창작자로 등장하여 동요운동에 참여하면서 아동문단의 형성에 절대적인 기여를 하였다. 이들은 광주전남 아동문단의 1세대들로 김태오는 소년운동의 실천으로 동요를 쓰면서 동요창작법을 제시하였고, 목일신 항일운동 차원의 동요를 썼으며, 조종현은 불심의 한 방편으로 동요를 창작하였다. 그들은 광주전남 동요동시문단의 1세대로서 이후 광주전남 동요동시문단 형성의 기틀을 다졌다. 또한 정태병은 조선의 동요를 집대성하여 1세대 작가들의 성과를 확산하여 동요동시문단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광주전남 아동문단의 2세대들은 1950년대에서야 등장하였다. 전후의 아픈 동심을 어루만져주기 위한 노력이 그 출발점이었다. 여운교와 김일로는 상처받은 동심의 회복에 힘썼고, 김신철은 평생을 아동문학의 발전에 헌신하면서 전남아동문학회를 조직하여 아동문학가들의 역량을 한데 모아 문학적 성과를 드높였다. 고재승은 동요집 한권을 남겼을 뿐이지만 2세대 동요작가로서의 한 자리를 확보하였다. 허연은 시인으로서 뿐만 아니라 <전남일보>의 문화부장으로서도 아동문학의 발전, 특히 동요동시문단의 형성과 발전에 힘을 보탬으로써 2세대 작가들의 성과를 확산하는데 기여하였다. 한국아동문학사는 일제의 식민교육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오히려 그들의 논리를 전유함으로써 식민교육을 전복한 동요운동이 있었고, 그 동요운동의 핵심에 광주전남 지역 동요동시문단의 1세대 작가들의 활동이 있었다. 이들의 활동과 문학적 성과들은 고스란히 2세대 작가들로 이어짐으로써 광주전남의 시문단이 형성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로써 광주전남 지역의 동요·동시문단 뿐만 아니라 근현대 시문단이 형성되어 온 과정을 확인한 셈이다. The juvenile literary circles in Gwangju-Jeonnam area were first formed close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unfolding of the children’s song movement in 1920s and 1930s. The children’s song movement, spread with the children emerging as the main agent of the anti-Japanese discussion, was a cultural movement, as well as an anti-Japanese movement. Kim Tae-o, Mok Il-sin and Cho Jong-hyeon actively emerged as children’s song writers in Gwangju-Jeonnam area in it, and absolute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juvenile literary circles as they came to hit the literary circles. They are the first generation of the juvenile literary circles of the Gwangju-Jeonnam area. Kim Tae-o wrote children’s songs, as the movement of the youth, suggesting the methodology of writing children’s songs, Mok Il-sin wrote children’s songs on the level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and Cho Jong-hyeon composed children’s songs as a means to express the mercy of Buddha. These first-generation writers of the children’s song-children’s poem literary circles in Gwangju-Jeonnam area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later children’s song-children’s poem literary circles of Gwangju-Jeonnam area. Jeong Tae-byeong made a complete survey of the children’s songs of Korea at that time and spread the works of the first-generation writer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song-children’s poem literary circles. The second-generation writers of the Gwangju-Jeonnam juvenile literary circles emerged in 1950s. Their starting point was to heal the children’s wounded hearts after the war. Yeo Un-gyo and Kim Il-lo tried to recover the children’s wounded hearts, while Kim Sin-cheol devoted himself to the development of the juvenile literature throughout his life and organized Jeonnam Juvenile Literary Society, thus collecting the capabilities of the juvenile literature writers and enhancing their literary fruits. Ko Jae-seung, who left a collection of his children’s songs, secured a position as a children’s song writer. Heo Yeon provide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juvenile literature-particularly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ldren’s song-children’s poem literary circles - not only as a poet, but also as the head of the culture desk of the Jeonnam Daily, contributing to spreading the fruit of the second-generation writers. Korean juvenile literature history saw a children’s song movement which overturned the colonial education by having its own logics to itself in spite of the Japanese colonial education. At the core of the movement were the activities of the first-generation writers of the children’s song-children’s poem literary circles in Gwangju-Jeonnam area. Their activities and fruit were handed down intact to the second-generation writer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poetry literary circles in Gwangju-Jeonnam area. Through the study, it may be said that we have checked the processes of the formation not only of the children’s song-children’s poem literary circles, but of modern and contemporary poetry literary circles, in Gwangju-Jeonnam area.

      • KCI등재

        1950년대 『학원』의 매체이념과 전략

        윤현진,이순욱 우리문학회 2022 우리文學硏究 Vol.- No.7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deology of postwar media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Hakwon published in the 1950s and to identify the media strategy of Hakwon, a juvenile magazine.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based on Hakwon’s 81st issue (1952.11.1-1959.12.1) published in the 1950s, and a little more emphasis was placed on works or articles before the armistice agreement was reach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1950s, Hakwon included works on displaced and displaced people while exposing the tragic situation of the Korean War, which seems to be the main reason for the reflection of the situation of the times. Apart from Hakwon's popularity, when viewed from a macro perspective, it wa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dichotomous confrontation of Cold War ideology. Hakwon's attempts to expand cultural exchanges from the publication of early media, aiming for universalism and globalism, were linked to the direction of the Korean camp in the world, playing a major role in justifying the American or Western status and democratic ideology. In the 1950s, Hakwon could not be free from the spread of the governing ideology intensively organized and spread by the support of the United States, and was thoroughly planned with American values. At the same time, Hakwon had to satisfy the emotions of its readers as a channel for distributing ideology and ideas, and at the same time as a juvenile medium. As a strategy, it emphasized 1)expansion of culture and advancement through reading, 2)continuing to satisfy the tastes and tastes of juvenile readers through multiple media such as photography, cartoons, movies, and music, 3)expanding readership through frontline character, and 4)encouraging literary generations to participate. 이 연구는 1950년대 발간된 학원 을 대상으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전후매체로서의 이념을 살피고, 청소년잡지 학원 의 매체전략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1950년대 발간된 학원 총 81호(1952.11.1~1959.12.1)를 토대로 하며, 휴전 협정이 있기 전 1953년 7월 이전의 작품이나 기사에 조금 더 비중을 두고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50년대 학원 은 한국전쟁의 비극적 상황을 노출하면서 실향․피란민에 대한 작품을 수록했는데, 이는 시대적 상황에 대한 반영을 주요하게 생각한 까닭으로 보인다. 학원 의 대중성과는 별개로 이를 거시적인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한반도의 대내외적 상황과 냉전 이데올로기의 이분법적 대립의 성격에 촉접해 있었다. 학원 은 초기 매체발간부터 보편주의, 세계주의 지향하면서 문화교류를 확장하려는 시도를 보이는데, 이는 세계 속에서 한국진영의 방향성 문제와 연결되어 자유진영의 선봉에 서 있던 미국 혹은 서구의 지위와 민주주의 이념을 정당화하는데 주요하게 작용하였다. 1950년대 미국의 지원에 의해 집중적으로 조직, 확산된 지배이데올로기의 전파에서 학원 은 자유로울 수 없었으며, 미국적 가치를 내세우며 철저히 기획되었다. 그러면서 학원 은 이념과 사상을 유통했던 경로로서, 동시에 청소년매체로서 독자층의 정서를 만족시켜야 했다. 그 전략으로 1)독서를 통해 교양의 확장과 입신출세를 강조했으며, 2)사진, 만화, 영화, 음악 등 다매체를 통해 청소년 독자층의 기호와 취향을 지속적으로 충족시켰고, 3)전선(戰線)적 성격을 통해 독자층을 보다 확대하였으며, 4)독자문예 코너를 통해 문학후속세대의 참여를 유도했다.

      • KCI등재
      • KCI등재

        1950년대 『학원』 매체에 수록된 시적 경향 연구

        윤현진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한국민족문화 Vol.82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etic tendencies of 『Hakwon』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media published in the 1950s by subject, and examines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cars of the Korean War in the works of established poets. Despi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of ‘Middle and High School Literary Journal’, the literary character of 『Hakwon』 contains poems from Korean literature since liberation and the works of poets who appeared newly in the 1950s. You need to figure out the tren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selected works of established poets who participated in the media publication from a total of 81 issues of 『Hakwon』 published in the 1950s and examined their meanings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national reconciliation showed a tendency to be overheated as the poetry of liberation and patriotism met with the conflicting ideology problem, and the established poets who participated in the media of the pro-American By developing right-wing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movement, he expressed the autonomy of literature and the purity of aesthetics. Also, while singing a boy who contrasts with the human figure of uncertainty and loss of existence, he emphasized the will to overcome reality through dynamism and cultured human beings aimed at the younger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experience of war, traces of careless acceptance of reality can be seen. The experience as a refugee due to the war led to the formation of a refugee group, and it was a reminder of the memory of Busan, the main background of the refugee camp, and represented a group of humans that transcends generations. The experience of displacement due to division revealed the will to restore one’s original nature from the sense of loss of origin and the will to return home. 이 논문은 1950년대 발간된 『학원』 매체를 대상으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학원』의 시적 경향을 주제별로 규명하고, 기성시인의 작품에서 한국전쟁의 상흔은 어떤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학원』의 문학적 성격은 ‘중・고등학생 문예지’라는 매체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한국문학에서 해방 이후부터 편성된 시 문단과 1950년대 새롭게 등장한 시인의 작품을 수록하고 있는 바, 이를 두루 살펴 그 시적 경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1950년대 발간된 『학원』 총 81호에서 매체 발간에 참여한 기성시인의 작품을 선별하여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민족상잔(民族相殘)의 경험은 해방과 애국의 정치성을 띈 시가 이념의 대립 문제와 만나면서 과열되는 경향을 보였고, 친미(親美)적 성향이었던 『학원』 매체에 참여한 기성시인은 해방시단에서 우익 계열의 민족문학을 전개하면서 문학의 자율성과 심미(審美)주의적 순수성을 표명했다. 또한 불확실성, 실존에 대한 상실의 인간적 모습에 대비되는 소년을 노래하면서 젊은 세대를 겨냥한 역동성과 교양적 인간을 통해 현실극복의 의지를 강조하였다. 한편, 전쟁의 체험을 통해 현실의 시적 수용에 부심한 흔적도 엿보인다. 전쟁으로 인한 피란민으로서의 경험은 피란문단을 형성하게 했고, 피란지의 주요 배경인 부산에 대한 기억을 상기시키면서 세대를 뛰어넘는 인간의 군상(群像)을 대변하고 있었다. 분단으로 인한 실향의 경험은 근원의 상실감으로부터 자기 본연을 회복하고자 하는 의지와 애향심(愛鄕心)을 드러내고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