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수영과 월트 휘트먼 비교연구

        오영진 ( Oh Young-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8 No.-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가설로만 제기되었던 김수영 문학과 월트 휘트먼 문학의 관계를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몇 가지 신빙성 있는 단서들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 주제에 대해 구체적인 접근시도가 없었던 이유는 양 시인의 작품 세계가 선명히 다르기 때문이다. 휘트먼은 풍요로운 미국의 자연풍경을 찬미하고, 시민들을 향해 사랑과 자유를 노래한 외향적인 시인인 반면, 김수영은 설움과 고독을 주된 정조로 주로 자신의 일상을 정직하게 반성하는 시를 주로 쓴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김수영이 초기부터 일관되게 주장하며 실천해온 `자유`나 `육체성`에 대한 강조, 보편세계를 지향하는 `사랑`이라는 주제의식에서는 휘트먼의 영향이 분명히 감지된다. 증언에 의하면 김수영은 그가 읽은 독서목록의 작가들을 최대한 자신의 방식으로 소화하려고 노력한 작가이다. 때문에 김수영은 휘트먼적 주제를 자신의 시대와 상황에 맞게 변용하여 소화했다고 볼 수가 있다. 본고는 김수영 문학에 휘트먼 문학을 겹쳐 읽어봄으로써 김수영 문학에 휘트먼이 끼친 영향과 그 변용양상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고는 통상 휘트먼 문학의 특징이라고 정리된 몇 가지 주제를 통해 김수영 문학을 읽어본다. 첫째, 1인칭 화자강조-성인페르소나의 설정문제와 육체성의 강조문제를 통해 김수영 문학에 끼쳤을 월트 휘트먼의 영향력을 추리해보았다. 물론 각각의 쟁점들은 `너무 헐렁한 양복`이어서 누구나 맞춰 입을 수 있다는 단점을 보였다고 본다. 하지만 1인칭 화자강조-성인페르소나와 육체성의 강조문제는 월트 휘트먼 고유의 개성으로 이 두 요소가 김수영 문학에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둘째, 분명한 차이점과 유사점을 발견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주로 자연찬미나 이웃에 대한 사랑을 능동적으로 표현하는 월트 휘트먼에 비해 김수영은 고독이나 설움 같은 현대적인 주제에 열중한 면이 있었다. 반면, `사랑`이라는 주제가 수평적인 이미 저리로 펼쳐지는 양상에서는 양자 간 유사성이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카탈로그 식 열거는 월트 휘트먼 고유의 양식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단순히 리듬이나 수사적 효과를 위해 도입된 것이 아닌 `사랑`이라는 내용이 형식적으로 구현된 것으로 평가된다. 김수영의 경우도 「사랑의 변주곡」이나 「풀의 영상」, 「거대한 뿌리」 등의 비교적 후기의 걸작들이 이와 비슷한 수법과 주제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양자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추적하지 못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김수영이 월트 휘트먼적이라고 평가하는 데에는 모자람이 없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Su-young and Walt Whitman on literature, which has been strongly hypothesized. Despite of some reliable clues, there have been no specific attempts to make this clear because their works seem to be different distinctly each other. As Whitman was an extroverted poet who glorified rich scenery of nature in America and sang love and freedom, Kim Su-young wrote poems which reflected everyday honestly, filled with sorrow and solitude. Kim Su-young, however, had constantly empathized and practiced `freedom` and `corporeity` from earlier works and an inquiry into the universality of `love`, which exactly showed an influence of Whitman to him. Some evidences show that Kim Su-young sought to absorb the authors he read. And Whitman was also possibly absorbed into Kim Su-young`s works, modified with the times and conditions in his unique way. This paper plans to examine influence of Whitman and modified aspect to Kim Su-young`s works as read works of Kim Su-young and Walt Whitman together. For that, this paper reads Kim Su-young through Whitman`s thought. Firstly, I payed attention to emphasis on establishment of the first person narrative-that is a saint persona and on corporeity. Each point seems like "loose clothing" so it looks like every answers possible though, it is worth underlying both first person narrative(a saint persona) and corporeity which were the unique aspect of Whitman present in Kim Su-young`s work at the same time. Secondly, I attempt to reveal apparent similarity and distinction. Comparing with Walt Whitman`s work which mainly expressed admiration to the nature and love-thy-neighbour actively, Kim Su-young`s works focused on the modern problems like solitude and sorrow. However, the way of expressing `love`, which is the main theme and is presented horizontal imagery, is apparently similar to each other. Catalog technic is a unique style of Whitman, and it is not simply for a rhythm or rhetorical effect but for an embodiment of `love`. In case of Kim Su-young`s late works, `Sarang-eh Byen-ju-gok`(Love Variation), `Pul-eh Young-sang` (Image of Grass), `Geo-dae-han Puri`(Great root), also show an identical technic and theme. This paper has limitations to look deeper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Kim Su-young and Walt Whitman empirically. But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from Whitman to Kim Su-young would come up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김수영과 한국전쟁 - “민간 억류인”이 달나라에서 살아남기

        이영준(Lee, Young-Jun) 한국시학회 2021 한국시학연구 Vol.- No.67

        김수영이 한국전쟁 기간에 “민간 억류인”으로서 포로수용소에서 수감 생활을 하면서 겪은 참혹한 체험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추정과 예단에 맡겨져 있던 많은 사실이 최근의 자료들에 의해 어느 정도 드러났다. 의용군으로 징집된 초기부터 석방되기까지 김수영은 극도의 공포와 비인간의 상실감 속에 고통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는 “민간 억류인”이었기 때문에 전쟁이 끝나기 전에 수용소로부터 석방될 수 있었지만, 석방된 후에도 김수영은 포로수용소 수감 경력 때문에 남한 사회에서 정상적 삶을 살 수 없었다. 전쟁 후에도 계속된 남북의 대치 상황과 독재 정치, 그리고 표현의 자유가 제한된 사회 환경은 “포로” 출신인 김수영에게 억압적 상황이었다. 포로수용소에서 석방된 직후에 창작된 「달나라의 장난」이나 「조국으로 돌아오신 상병포로 동지들에게」 등에서 확인하게 되는 그의 불안과 슬픔, 그리고 1950년대 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설움의 정서와 이에 대비되는 자유에의 상상은 억압적 현실에 대한 대응이라는 점에서 전쟁 체험의 연속선상에서 읽을 수 있다. 김수영의 전쟁 체험과 포로체험이 남한 사회에서 살아남으려는 김수영이라는 자연인의 삶을 얼마나 옥죄었던가에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던 기존 연구에서는 김수영을 독재 정권에 저항하는 정치적 참여시인으로 파악하고 김수영의 자유 추구를 저항시의 맥락에서 받아들였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김수영이 전쟁 체험을 통해 반공과 친공의 이분법적 이념 대결이 야기하는 위협을 뼛속 깊이 자각하고 이런 대립 구도가 지배하는 현실을 넘어서는 시적 이념으로 자유를 추구했다고 본다. 그리고 이 시적 이념은 그가 남한 사회의 일상에서 겪은 실존적 경험에서 강화되고 구체화되었다고 본다. 그의 시세계에서 작동하고 있는 자유의 사상은 남북 대립을 포함한 모든 대립을 넘어서 새로운 시간을 탄생시키는 자유를 상상한다. 자유와 시를 혁명과 동일시하는 김수영 특유의 미학적 태도는 한국전쟁 체험을 통해 구체화되었고, 사일구를 통해 결정적 동력을 얻었으며 이 태도는 후기까지 지속된 것으로 판단된다. The new works included in the third edi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Kim Su-young,” published in 2018, provided new information on Kim Su-young’s life and literature, especially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is material, this paper intends to explain the overall relevance of poetic themes and aesthetic devices that penetrate poet Kim Su-young’s career. Little is known about Kim Su-young’s terrible experiences as a “civilian internee” in his words, or a prisoner of war in public view, during he Korean War. Many of the facts left to estimation and prediction have been revealed to some extent by these data. From the beginning of his conscription as a “volunteer soldier” to his final release as “civilian internee” from the concentration camp, from reading these material we came to know that Kim Su-young suffered from extreme fear and a sense of loss of humanity. Worse, even after his release from the camp, Kim Su-young was unable to live a normal life in South Korean society due to his prison experience, which gave him the stigma of being pro-communist.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Koreas, political oppression, and a social environment with limited freedom of expression, which continued after the war, made Kim Su-young constantly feel uneasy. Kim Su-young is believed to have pursued his poetic ideals and embodied them into works in helplessness and anger over the oppression situation. His anxiety, sadness, and imagination of the sorrows and the contrasting freedom of the 1950s can be read in a series of war experiences in response to repressive reality, written shortly after his release from the concentration camp. Previous studies, which did not refer to the prisoner experience period and related perspectives, identified Kim Su-young as a poet of political engagement (“chamyeo siin”) against the dictatorship and read Kim Su-young’s pursuit of freedom as a key theme of resistance. Different from preceding researches, my paper describes that Kim Su-young pursued freedom as a poetic ideology beyond the reality of such confrontation and deep awareness of the dichotomy between anti-communist and pro-communist ideologies through his experience of war. Kim Su-young’s freedom spread in the world of thought, going beyond poetic ideology. The idea of freedom operating in his poetics imagines freedom beyond all confrontations, including inter-Korean confrontation, to create a new time, new world, that never existed before. Kim Su-yeong maintained a unique aesthetic attitude that equates freedom and poetry with revolution. Kim Su-young’s pursuit of sublimating poetic ideology into a social ideology was embodi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and gained decisive momentum through the April Student Revolution in 1960, which is believed to have continued into the latter days.

      • KCI등재후보

        김수영 문학에서 망각에 관한 연구

        김태선(Kim, Tae-Seon) 픽션과논픽션학회 2019 픽션과논픽션 Vol.1 No.1

        This study focused on problem of Oblivion in Kim Su-Young s Later Literature. In General, Oblivion means forgetting a memory; but Su-Young looked at Oblivion as an essential movement related to poetry writing in the thought that reached the last winter of his life. At that time, Su-Young was thinking about way of beyond the limit of I that blocked sees things from the inside as th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order. WaSeon [lying meditation] is the article in which Su-Young s inquiry of such a thought appeared. Su-Young introduces the method of meditation called WaSeon and talks about passive attitude because he saw that it makes him approach to the essential place of Things that can not be approached by active action such as the capacity of the subject. Thus we looked at Kim Su-Young s passive attitude with referring to the passive synthesis as the first synthesis of time on Deleuze s theories about time. Passive synthesis is the movement towards contraction in which different things meet and become individualized before the action of intelligence that makes it aware when the subject recognizes something, which foundation for images and memories. But image of thought ready-made concealed the encounter with such process of generating. The reason why Su-Young argued that things should be seeing from inside is to approach the process of generating that could not be approached in the active instance of the subject I . Su-Young said the waiting , WaSeon and passive attitude in way to get a gaze to see the inside of things. Kim Su-Young discusses the way to poetry by passive attitude , which is done through reminiscence in the oblivion. And writing poetry and poetry performs the movement of oblivion that erases itself, which is what appears in Händel s music. Heidegger discussed Brave Obliv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blivion[forgetting] in general sense in Andenken [reminiscence]. Brave Oblivion is a process that approaches the essential dimension of the double movement of Being as appearing and disappearing, and an experience of ecstase[Ekstase] that leaves I outside I , and opens oneself and performs the movement to enter into the inside of others as the things. The attitude to writing poetry that Su-Young called passive attitude is aimed to reach such a movement. In addition, Oblivion is the condition of reminiscence as recalling the disappearances, and in this case, the returning does not reappear as they once appeared. They are partial objects of what are potential in the qualifications of the pure past, and appear to constantly change their appearance and place. This movement is the double movement of Being, in which something is a movement to oblivion, and is manifested as constantly erasing itself and appearing. This is also the movement of Oblivion performed by poetry, which Su-Young wanted to refer to Handel s music. Therefore, Kim Su-Young s Oblivion and the writing of Oblivion as the movements of differential generation that reveals themselves as the differences. With Oblivion, writing becomes a movement to participate in the experience of Being and to express the experience itself. The writing of oblivion is a movement that erases itself and expresses itself, and through such movements, it produces a generation that brings small but certain changes. 이 연구는 김수영 후기 시론의 ‘망각’에 관한 문제를 탐구하였다. 망각이란 일반적으로 어떤 기억을 잊는 일을 뜻하지만, 김수영은 자신의 생애 마지막 겨울 무렵에 이른 사유에서 ‘망각’을 시 쓰기에 관련된 어떤 본질적인 움직임으로 살폈다. 당시 김수영은 ‘사물을 내부로부터 보는 일’을 가로막는 ‘나’의 제한, 즉 기성의 질서에 따른 인식의 태도를 넘어서는 일을 사유하고 있었는데, 그 방법의 하나로 ‘망각’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이 연구에서 김수영의 시론에 나타난 ‘망각’을 주목하는 까닭은, 김수영이 ‘사물을 내부로부터 보는’ 일을 방해하는 ‘나’의 제한, 즉 기성의 질서에 따른 인식의 태도를 넘어설 수 있게 하는 한 방법으로 ‘망각’의 문제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사유의 탐구가 개진된 산문 중 하나가 바로 「와선」이다. 김수영이 ‘와선’이라는 명상의 방법을 통해 ‘수동적 태세’를 운운한 까닭은, 그 방법으로써, 주체의 능력이라는 능동적 행위에 의해서는 다가갈 수 없는, 사태의 본질 영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김수영이 ‘수동적 태세’라 한 움직임 강조한 까닭을 고찰하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들뢰즈의 시간론 중, 첫 번째 시간의 종합에 나타난 수동적 종합을 참조하였다. 수동적 종합은, 주체가 무언가를 인식할 때 그것을 어떤 앎으로 만드는 지성의 작용에 앞서 나타나는, 서로 다른 것들이 만나며 개체화되는 ‘수축’의 움직임이며, 이는 이미지나 기억 등을 형성하는 정초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성의 사유이미지는 그와 같은 발생적인 것과의 만남에 틀을 덮어씌운다. 김수영이 사물을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바라볼 것을 주장한 까닭은, 바로 ‘나’라는 주체의 능동적 심급이 가리고 있던 그 발생적 차원으로 다가가기 위해서이다. 김수영은 사물의 내부를 보는 시선에 이르기 위해 ‘와선’이라는 기다림을, 그 ‘수동적 태세’를 말하였던 것이다. 김수영은 ‘수동적 태세’로써 ‘시’에 이르는 길을 주장하는데, 이는 망각 가운데에서의 ‘상기’ 혹은 ‘회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시와 시 쓰기가 이행하는 것은 김수영이 헨델의 음악에서 본, 스스로를 지우는 망각의 움직임이다. 하이데거는 「「회상」」에서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망각과 구분되는 ‘대담한 망각’을 논의한다. ‘대담한 망각’은 생성과 소멸의 이중운동이라는 존재의 본질적 측면에 이르는 한 과정이자, ‘나’를 ‘나’ 바깥에 놓아두는 ‘탈자태’의 경험으로, 자신을 열어 사물 혹은 사태라는 타자의 내부로 들어가는 움직임을 수행한다. 김수영이 ‘수동적 태세’라 한 시 쓰기의 태도는 바로 그와 같은 움직임에 이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망각은 사라져간 것을 다시 불러오는 회상 혹은 상기의 조건으로, 이때 되돌아오는 것은 자신이 한 때 현현했던 모습 그대로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그 것들은 순수 과거의 자격에서 잠재적인 것의 한 부분대상들로, 끊임없이 스스로의 모습과 자리를 바꾸는 것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잠재적 대상들의 움직임은, 무언가가 망각에 이르는 움직임이자, 끊임없이 스스로를 지워나가는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현성하는, 존재의 이중 운동에서 볼 수 있는 그 움직임이다. 이는 김수영이 헨델의 음악을 통해 전하고자 했던, 시가 이행하는 망각의 움직임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살핀 김수영의 망각, 그리고 그 망각의 글쓰기는 스스로를 부단히 차이짓는 차이로서 드러내는 미분적인 생성의 움직임이다. 망각과 함께 글쓰기는 존재 경험에 참여하는 것이 되는 동시에 그 경험 자체를 표현하는 움직임이 되는 것이다. 망각의 글쓰기는 스스로를 지워나가는 동시에 또한 표현하는 움직임으로, 그와 같은 이행을 통해서 작지만 확실한 변화를 가져오는 생성을 이루어낸다.

      • KCI등재

        김수영의 ‘번역’과 시(론) 변화의 상관성

        고봉준 한국시학회 2021 한국시학연구 Vol.- No.68

        Kim Su-Young simultaneously conducted “creation” and translation “ in the era dominated by “the politics of cold war culture“ and “anti-communism.” In summary, Kim Su-Young’s early translation comprised six volumes published by Chungang Munhwasa, and his later translation was in the form of participation in various types of collected works planned and published by Shingu Munhwasa. It is noteworthy that his early translation was rarely affected by books other than those written by Allen Tate. In his later translation, however, Kim Su-Young actively embraced his reading and translation experiences into changes in his poetry and poetics. While participating as a translator in several collected works planned by Shingu Munhwasa, Kim Su-Young also translated single volumes at the request of other publishers. In addition, he translated some writings of critical nature published in “Encounter”, “Partisan Review”, and “The London Magazine” and had them included in several magazines. Among them was also Ionesco’s “The Wall.” Before translating this work for Ionesco, he had written an essay titled “The Wall”, which shows remarkable similarity in the way of expressing humans and modern society. Ionesco’s essay “The Wall”, which Kim Su-Young translated, intensively talks about the problem of human alienation in modern society. Ionesco clearly points out the appropriateness of the theater of the absurd and the antitheater by emphasizing that “language” cannot be trusted against the argument that “language” and “communication” are important to resolve human alienation. Ionesco’s theater of the absurd, which distrusted literature and language, became a considerable stimulation on Kim Su-Young who had deeply thought about the modernity of literature. However, he selected a different path than Ionesco’s because he ultimately did not withdraw his trust in “literature” and “language.” In the mid-1960s, Kim Su-Young’s contemplation began in “Beginning Note 7” that led to “Theory of Anti-Poetry” and “Poetry, Spit It Out”, which eventually resulted in “The Grass.” In this work, Kim Su-Young revealed that a mainstay of the essay that he wrote in this period was an answer to the question raised by Ionesco. Following this, Kim Su-Young focused on Heidegger's theory of “Rilke”, and in particular, Rilke’s advice “Learn to forget such an impulsive song” made him contemplate on “poetry as an existence.” 김수영은 ‘냉전문화정치’와 ‘반공주의’가 지배하는 시대에 ‘창작’과 ‘번역’을 동시에 진행했다. 김수영의 초기 번역은 중앙문화사에서 출간한 여섯 권의 단행본으로, 후기 번역은 후기 번역은 신구문화사에서 기획 출간한 여러 종류의 전집에 공동번역자로 참여한 것으로 각각 요약된다. 초기 번역에서 주목할 점은 앨런 테이트 이외의 책들로부터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는 점이다. 반면 후기 번역에서 김수영은 자신의 독서 경험, 그리고 번역 경험을 시와 시론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김수영은 신구문화사가 기획한 여러 전집에 번역자로 참여하면서 동시에 다른 출판사들의 의뢰를 받아 단행본을 번역하기도 했다. 또한 《엔카운터》 《파르티잔 리뷰》 《The London Magazine》 등에 실린 비평적 성격의 글들을 번역하여 여러 잡지에 수록하기도 했다. 이것들 가운데에는 이오네스코의 「벽」도 있었다. 김수영은 이오네스코의 글을 번역하기 직전에 「벽」이라는 제목의 산문을 썼는데, 이 글은 인간과 현대사회를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놀라운 유사성을 보인다. 김수영이 번역한 이오네스코의 산문 「벽」은 현대사회의 인간소외 문제를 집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오네스코는 인간소외를 해결하기 위해 ‘언어’와 ‘소통’이 중요하다는 주장에 맞서 ‘언어’를 신뢰할 수 없음을 강조함으로써 부조리극, 반(反)연극의 당위성을 설파한다. 문학과 언어를 불신한 이오네스코의 부조리극은 문학의 현대성을 고민하던 김수영에 상당한 자극이 되었다. 하지만 김수영은 끝내 ‘문학’과 ‘언어’에 대한 신뢰를 거두지 않았기에 이오네스코와는 다른 길을 선택한다. 1960년대 중반 이후 시에 대한 김수영의 사유는 「시작 노트 7」에서 시작하여 「반(反)시론」, 「시여, 침을 뱉어라」로 이어지며, 그것은 「풀」로 귀착된다. 이 글에서는 김수영이 이 시기에 쓴 산문의 한 축이 이오네스코가 제기한 문제에 대한 응답임을 밝혔다. 그 이후 김수영은 하이데거의 ‘릴케론’에 주목했는데, 특히 “격한 노래를 잊어버리는 법”을 습득하라는 릴케의 조언은 김수영으로 하여금 ‘존재로서의 시’를 사유하도록 만들었다.

      • KCI등재

        1950-60년대 냉전문화의 번역과 "김수영"

        박연희 ( Yeon Hee Park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3

        이 글은 1950-1960년대 김수영의 세계문학 번역을 재검토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김수영의 번역은 해방 후 ``세계``, 곧 서구 또는 미국의 상징적 위력에 직면한 한국시의 난맥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가령 그가 중요하게 다룬 미국 젊은 세대에 대한 번역어 ``비트 제너레이션``과 유럽 문학에 투사된 ``멋``의 관념은 난해시 문제에 대한 비평적 맥락을 조성하는 데 유용한 문화번역의 산물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김수영 문학에 영향을 끼친 번역의 원천을 해명하는 방식에서 더 나아가 그의 번역을 통해 당대 한국 지식인의 세계 인식과 냉전 표상의 방향성을 살펴보는데 의의를 둔다. 해방후 아메리카니즘의 시대로 들어서자 김수영 역시 미국 영화, 배우, 작가 등을 언급하는 횟수가 늘었고 프랑스적 현대성의 전통에서 벗어나 미국 지식인의 비판적 자유주의에 매료되면서 휘트먼을 통해 민주주의의 미국적 상징을 번역하기 시작했다. 이미 선행연구자가 검토했듯 김수영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오든 그룹은 단순히 그의 초기 비평이 영미문학에서 연원한다는 사실보다 미국의 문화적인 반공정책에 근간한 ?엔카운터?의 위상은 물론 아메리카니즘이 급부상하는 시기의 정치적, 문화적 세계성의 분화를 암암리에 드러냈다. 뿐만 아니라 에렌부르크, 안드레이 시냐프스키 등 러시아 해방기 문학을 중요하게 번역할 때 김수영은 스탈린주의와의 연대 가능성을 강조한 미국 저널리즘 문단의 소개 방식을 재연한다. 그가 자신의 산문 곳곳에서 비트적 저항주의, 민주주의, 비판적 자유주의를 옹호하며 메일러, 휘트먼, 트릴링 등을 언급했던 것과 같은 차원에서 미국발 해빙기 문학 역시 어떤 면에서는 아메리카니즘의 역어일 수 있다. 그럼에도 김수영은 자신이 접촉한 서구문학을 단순히 아메리카니즘의 번안이 아닌 한국적인 재맥락화 속에서 사유 하고자 했고 냉전질서에서 발생한 위기와 그 극복이 여전히 현안이 될 수밖에 없는 현대 한국사회 전반을 그 배경으로 삼아 세계 텍스트를 번역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translation works of international literature by Kim Su-young in the 1950s and 1960s. After the Korean Liberation, the translation works by Kim Su-young remarkably revealed the esoteric poetry of Korea facing the symbolic power of the ``World``, that is, the West and America. For instance, the notions of the Beat Generation of the American young generation that he focused on and of the style (or flavor) that was projected into the European literatures were the products of cultural translation that had been useful in creating the critical context about the problems of the esoteric poetry. Therefore, going further from the explanation on the source of translation that influenced the literature of Kim Su-young, this paper puts the importance on examining the representation on the cold war and the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he Korean intellectuals by the translation works by Kim Su-young. After the Korean Liberation, on entering the period of ``Americanism``, Frequently mentioning the American movies, movie stars, and writers, Kim Su-young, was fascinated by the critical liberalism of the American intellectuals escaping from the tradition of the French modernity and started to translate the American democratic symbol of Whitman. As advanced researchers previously have reviewed, the Auden group not only calle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early criticism of Kim Su-young had originated from the English literature but also suggested that how Kim Su-young had dealt with the hegemonic change of politics and culture during the period of the rising Americanism and of the Encounter Group based on anticommunist cultural policies. In addition, representing the introductory method of the American journalism circles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the solidarity with Stalinism, Kim Su-young critically translated the Russian liberation literature that could be the contrary word of ``the Americanism`` in some aspects. Kim Su-young wanted to appreciate the Western literature that he had contacted in the Korean re-contextualization not simply in the translation of the Americanism.

      • KCI등재후보

        해방 전 김수영의 행적에 대하여 : 연극 활동을 중심으로

        염철(Youm Chul) 근대서지학회 2020 근대서지 Vol.- No.21

        지금까지 나온 『김수영 평전』은 최하림의 것이 거의 유일하다. 하지만 이 평전에는 사실과 다르거나 근거 자료가 불충분한 부분이 상당수 있다. 최근의 연구 성과로 이러한 부분이 다소 보완되기는 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해방 전의 연극 활동에 대해서는 밝혀진 자료가 거의 없었다. 이번에 새로 발굴한 자료 「어머니를 찾아 북만(北滿)으로」는 이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김수영 평전』에서 부족했던 다음의 몇 가지 사항을 실증적으로 보완할 수 있었다. 첫째, 그 동기를 분명하게 알기는 어렵지만, 김수영은 도쿄에서 독일 신극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그와 관련된 무대 장치 화첩 같은 것을 구하기 위해 도쿄의 서적상을 샅샅이 뒤졌다. 둘째, 김수영이 도쿄에서 함세덕과 친분을 쌓았을 가능성이 있는데, 그가 <낙화암>(함세덕 작, 안영일 연출)의 조연출에 참여하게 된 중요한 계기가 이것이었을 수도 있다. 셋째, 1945년 2월에 공연된 <산하유정>(안영일 연출)을 준비하던 무렵보다 앞서서, <낙화암>이 초연되었던 6월 이전에 김수영은 안영일과 만났다. 넷째, <낙화암> 조연출을 할 당시에 김수영은 친일극 활동을 하고 있다는 자괴감에 시달리지 않았다. 오히려 어려운 상황에서도 연극을 한다는 자부심이 대단했다. 다섯째, 김수영은 부민관에서 연극 공연을 준비하다가 잠시 정신을 잃은 후에 지독한 절망감을 느낀다. 그 후 연극에 대한 열정이 시들해지자 어머니가 있는 만주로 떠났다. 여섯째, 김수영이 일본에서 돌아왔을 때 그의 어머니는 만주가 아니라 서울에 거주하고 있었다. 그리고 김수영은 어머니와 함께 만주로 간 것이 아니라 어머니를 찾아서 혼자 만주로 갔다. So far, “Critical biography on Kim Su-young” by written Choi Ha-Rim is almost the only one of its kinds. However, there are many aspects in this review that are irrelevant of the facts or turn out to be lack of evidence. Recent research has somewhat complemented this vulnerable area. But there were still little data on the theatrical activities of pre-liberation. Th e newly discovered material, “Going to North-Manchuria in search of my mother,” is valuable for supplementing this area. Based on this data, we were able to empirically supplement some of the following things that had lacked in the “Critical biography on Kim Su-young” First, although it’s hard to know the motive clearly, Kim Su-young paid attention to the German new drama in Tokyo and scoured the bookstore in Tokyo to save something like a stage device album associated with it. Second, it is possible that Kim Su-young established a close relationship with Ham Se-deok in Tokyo, which may have been an important reason for him to participate in the supporting production of 〈Nakhwaam〉(written by Ham Se-deok, directed by Ahn Young-il). Third, Kim Su-young met Ahn Young-il before June, when 〈Nakhwaam〉 premiered, ahead of the preparation of 〈Sanha Youjeong〉(directed by Ahn Youngil), which was performed in February 1945. Fourth, Kim Su-young did not suffer from the sense of shame that he was engaged in pro-Japanese activities when he was acting in a supporting role in 〈Nakhwaam〉. Rather, he had great pride in playing in difficult situations. Fifth, Kim Su-young feels terrible despair after losing consciousness for a while preparing for a play at the ‘Bumin-gwan’. Then when his passion for the play waned, he left for Manchuria, where his mother was. Sixth, when Kim Su-young returned from Japan, his mother was living in Seoul, not Manchuria. And Kim Su-young did not go to Manchuria with his mother, but went to Manchuria alone in search of his mother.

      • KCI등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시간성의 수사학’ 연구- 김수영 김종삼을 중심으로

        남진우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20 No.-

        Su-young Kim and Jong-sam Kim have been recognized as modernism poets representing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in 1950th. After experiencing the historical events like being colonized by Japan, liberation and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Korean War, they entered on the literary world. So they have been written poems with different kind of sensibility and distinctive mode of expression, owing to being influenced by the real world in ruins at that time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u-young Kim’s and Jong-sam Kim’s world of poetry from a different angle by examining ‘Rhetoric of Temporality’ existed in their poems. And it aims to explain new aspects in modernism poetry. Although there are some critics and papers on these two poets, there is no paper analyzing their poems from a ‘Rhetoric of Temporality’ point of view. Futhermore the approach of ‘Rhetoric of Temporality’ is not settled fully in the Korean academic circles. So the logic of Paul de Man on Allegory and Symbol is used aggressively in this paper. Most of theorists after romanticism set high value on Symbol, but regarded Allegory as low class rhetoric. While Symbol heads toward ultrahistorical property and totality, Allegory has historical and fragmentary characteristics. Paul de Man denied the absolute value of Symbol which maintained a superior position traditionally, but rehabilitated the meaning of Allegory in his book ‘Rhetoric of Temporality’. In this book he said that while Symbol is just an outcome of blindness not to consider the limitation of time which human being must suffer from, Allegory is an outcome of wisdom after passing through this kind of self-deception. Therefore he insisted that we should confront the painful truth being caused by Allegory, rather than stay peacefully at the vain faith being caused by Symbol. This paper analyzes Su-young Kim’s and long-sam Kim’s poems not by using familiar point of view like criticism of reality or esthetical transcendency, but by using new critical point of view called ‘Rhetoric of Temporality’. As a result, we can find out the fact that some of their works which were regarded as using Symbol are using Allegory in fact. Su-young Kim’s poems presented sharp insight overturning readers’ fixed concept through plentiful exemplum borrowed from daily life. He introduced trifling matters of everyday life resolutely, so he showed a peculiar method of writing poems which Allegoristic dissolution rather than Symbolic uniformity is more preferred. long-sam Kim adopted often fable style method of writing poems. In these fables the existence exiled to time made a presentation, and they showed the enjoyment of existence on the one hand as the tragedy style, and on the other hand as the farce style. Allegory is the rhetoric which poet has no alternative but to meet naturally as long as he wants to overcome the fictitious totality within Symbol, even though he is not conscious of it. The poems of Su-young Kim and long-sam Kim seems to be outstanding examples of this kind of fact. 한국 시문학사에서 김수영과 김종삼은 1950년대를 대표하는 모더니즘 시인으로 평가받아왔다. 일제 식민지배, 해방과 분단, 전쟁으로 이어지는 시절을 통과하며 문단에 등장한 이들은 전후 폐허가 된 현실에서 기존의 서정시와는 다른 이질적인 감수성과 어법의 시를 선보였다. 본고는 김수영 김종삼의 시에 나타난 ‘시간성의 수사학’을 규명함으로써 이들 시인의 시세계를 다른 각도에서 살펴보는 것과 아울러 모더니즘 시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이 두 시인에 대한 비평이나 논문은 적잖이 제출되었으나 이들의 시세계를 ‘시간성의 수사학’이란 관점에서 접근한 경우는 없었으며 더 넓게는 우리 학계에 ‘시간성의 수사학’이란 관점 자체가 충분히 정착되지 않은 형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알레고리와 상징에 대한 폴 드 만의 논리를 적극적으로 참조하고자 한다. 낭만주의 이후 대다수 이론가들은 상징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알레고리를 저급한 수사로 취급하였다. 상징이 초역사성과 총체성을 지향한다면 알레고리는 역사적이고 파편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전통적으로 우세한 지위를 누려왔던 상징의 절대적 가치를 부인하고 그에 대조되는 알레고리의 의미를 복권시킨 글인 「시간성의 수사학」에서 폴 드 만은 상징이 인간이 처한 시간적 제약을 보지 않으려 하는 맹목의 소산인 반면 알레고리는 상징의 그러한 자기기만을 통과하고 난 다음의 예지의 소산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드 만은 상징이 주는 헛된 믿음에 안주하기보다는 알레고리가 주는 고통스러운 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김수영과 김종삼, 이 두 시인의 시편을 현실비판이나 심미적 초월 같은 익숙한 관점에 입각해서 해석하는 관행에서 탈피하여 시간성의 수사학이란 새로운 비평적 관점에 의거해 접근해보았다. 그 결과 그동안 상징적으로 여겨졌던 두 시인의 작품 가운데 상당수가 알레고리적이라는 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다. 김수영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차용한 풍부한 예시(exemplum)를 통해 읽는 사람의 고정관념을 전복시키는 날카로운 통찰력을 선사해주고 있다. 그는 일상의 자질구레한 사건들을 작품에 과감히 도입함으로써 상징적인 통일성보다는 알레고리적인 분열성을 선호하는 독특한 시작법을 선보이고 있다. 김종삼의 경우 우화(fable)적 방식의 시쓰기를 즐겨 채택하고 있다. 그 우화는 시간 속에 유배된 존재들이 연출하는 한편으로 비극적이면서 다른 한편으로 희극적인 존재의 유회를 보여준다. 알레고리는 설령 쓰는 사람이 그것을 의식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상징이 지닌 허구적 총체성을 넘어서고자 하는 시인이라면 자연스럽게 조우할 수밖에 없는 수사이다. 김수영과 김종삼의 시는 바로 이러한 사실에 대한 뛰어난 예증으로 보인다.

      • KCI등재

        [특집, 韓國文集(한국문집)과 漢學硏究(한학연구) : 韓中(한중) 文化(문화)의 교차적 이해 (1)] ; 滄江(창강) 金澤榮 壽序(수서) 연구 -韓(한),中(중) 知識人(지식인) 교류 연구의 반성적 검토를 겸하여-

        김우정 ( Woo Jeong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61 No.-

        滄江 金澤榮(1850~1927)은 쇠망하는 조선을 등지고 망명을 택했고, 渡中 이후 명망가들과 교류하며 활발한 저술 활동을 한 까닭에 한·중 양국으로부터 공히 많은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에 관한 연구 중에는 중국 문인의 가르침을 받았다 거나 서구 문명과 유교 정신을 결합하여 근대화의 출구를 찾고자 한 계몽사상가로 변모하였다는 식의 일방적 수수관계로 규정한 사례도 보인다. 이 글은 김택영 이 지은 壽序를 통해 이러한 주장이 편향적임을 드러내고자 했다. 김택영은 24편의 수서를 남겼는데, 이는 조선의 역대 문장가 가운데 압도적으로 많은 양이다. 본래 수서는 상업이 발달한 중국 明代 江南 지역에서 유행한 통 속문의 일종이지만, 歸有光에 의해 應酬文字의 한계를 극복하고 문학적 생명력을 부여받았다. 김택영은 ‘震川의 아들’이라고 불릴 정도로 귀유광에 심취하였으므로 수서의 창작에 있어서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런데 그 특징을 살펴본 결과, 당 대의 현실과 내면 의식을 투영하거나 상인·부녀자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해 애정 어린 시선을 보인 점, 일화를 통해 인물과 사건을 부각하는 수법 등 귀유광의 수 서와 닮은 점도 있었지만, 서사를 중심에 두고 의론을 착종함으로써 찬술 의도를 드러내거나 진지하고 엄격한 내용을 간결 명쾌하고 자연스러운 문체에 담아낸 점 과 같이 귀유광의 수서에선 잘 발견되지 않는 특징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귀유 광의 수서를 폄하한 曾國藩을 강하게 비판하였는데, 그 논리의 근저에는 문학을 학문에 종속된 것으로 보지 않는 태도와 『史記』의 ‘神韻’ ‘神味’를 준거로 삼는 창 작론이 있었다. 이는 기실 조선 문단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것으로, 김택영 이 귀유광을 높게 평가한 것도 이러한 전통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될 수 있다. 김택영은 결코 19세기 조선이라는 시대와 공간을 이격하여 귀유광에게 가 닿은 것이 아니며, 봉건적 계급관념을 탈각하고 근대로 나아간 계몽사상가도 아니었다. 망명 기간 중 중국의 자유로운 학문 풍토의 영향을 받았지만 儒學과 단절 하지 않았고 서양을 新學을 부정하는 모습도 보였다. 김택영 학문적 특징과 문학 적 특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면 그의 학문과 문학의 형성에 영향을 끼친 한·중 양국의 모든 요인들이 균형 있게 고려되어야 마땅하다. Changkang Kim Taek-young (1850~1927) chose asylum, leaving declining Joseon dynasty. After defecting to China, interacting with men of repute, he did writing work. So, he drew attention from both Korea and China. But, among studies on this activity, there is a case that this was prescribed as lopsided receiving relation in the style that he changed into a philosophe who tried to seek exit of modernization, getting a lesson from a Chinese literary man or uniting Western civilization and Confucian spirit. This writing was intended to show these suggestions are deflective through Su-seo written by Kim Taek-young. Kim left 24 pieces of Su-seo, and these are overwhelmingly lots of quantities among all writers in Joseon. Originally, Su-seo is a kind of colloquial writing which was popular in the Jiangnan Region in Ming China where commerce developed; however, overcoming the limit of Eungsu letters by Gui You-guang, it was given literary life. Since Kim was absorbed in Gui You-guang as much as he was called “son of Jincheon(震川)”, Kim was influenced a lot by Gui in creation of Su-seo. By the way, after looking into the features of Kim’s writing, though there are similar points with Su-seo of Gui You-guang like reflecting reality and inner consciousness of Kim’s time, showing a fond look on second-class citizens such as merchants, women, etc., and standing out characters and events through anecdotes; by collecting arguments centered on narration, like presenting his writing intention or containing serious and strict contents in his simple and natural writing style, his own features that were not found out in Su-seo of Gui You-guang could be checked. Also, Kim criticized strongly Zeng Guo-fan who denigrated Su-seo of Gui You-guang. In the basis of Kim’s logic, there were an attitude that literature is not subordinate to learning and a creation theory that made “superb spirit(神韻)” and “superb taste(神味)” of Shiji(史記) as a standard. In fact, these were things that Joseon’s literary circles brought up consecutively, so the fact that Kim Taek-young evaluated Gui You-guang highly can be understood in this traditional extension. Kim did not touch Gui You-guang by dividing time and space called 19th century Joseon dynasty, and also he was not a philosophe who got rid of feudal class concepts and went forward into modern era. Though he was influenced by Chinese free learning characteristics during his exile in China, he did not break off Confucianism and showed a look to deny Western new sciences. If we look at academic and literary features of Kim Taek-young objectively, it is suitable that all factors of both Korea and China which influenced the formation of his study and literature should be considered evenly.

      • KCI등재

        김수영 시에서 시적 실천의 문제와 미학적 가능성

        여태천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80 No.-

        우리는 김수영의 시에서 현실성을 투명하게 드러내면서 시적인 힘을 발휘하는 언어를 어렵지 않게 감지할 수 있다. 동시에 그의 시에서 시적 실천이 주체의 움직임을 만들고, 나아가 주체의 움직임이 텍스트의 움직임을 이루어내는 일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여기에 주목하여 김수영의 시적 태도로 규정되는 자기 부정의 정신이 어떻게 시적 실천으로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시적 실천이 어떻게 존재의 변모를 가능하게 하는지, 마지막으로 언어 그 자체의 움직임만으로 시적 실천의 진경이 어떻게 펼쳐지고, 그것이 미학적 가능성과 연결되는지를 그의 시와 산문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김수영의 시에서 실천적 경험에 따른 설움과 비애의 풍경은 자기 부정을 통한 시적 실천과 연관된다. 시가 완성되는 과정의 어려움은 그의 시에서 흔히 발견되는 상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설움과 비애의 상처들이야말로 그의 시쓰기가 지난한 삶의 과정이었음을 반증한다. 시적 실천의 과정은 시쓰기 주체의 움직임으로, 다시 시쓰기 주체와 텍스트의 겹침으로 나타난다. 시가 온몸으로 밀고 나가는 것이라고 김수영이 말했을 때, 그 '온몸'의 의미는 실천에 있다. 시적 실천은 주체의 자기 부정과 반성의 움직임을 통해 하나의 움직임으로 나타난다. 김수영은 탁월한 통찰력으로 역사와 자연, 그리고 개인적 삶속에 내재하는 움직임을 읽어냈으며, 그 내부의 움직임을 시의 움직임으로 밀고 나갔다. 진리와 미를 온몸으로 실천하는 김수영의 시에는 그의 시적 윤리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의 시에서 시쓰기 주체의 움직임과 시의 움직임이 종종 겹쳐지는데, 그 지점은 시적 실천이 미학적 글쓰기와 만나는 곳이다. We could find out the power of poetic language to demonstrate transparently revealing reality, and could discover poetic practice is to make the movement of subject, also find the movement of the subject is to attain the text movement in Kim Su-Young's poems.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check some facts through Kim Su-Young's poems and proses. The first how the spirit of self-negation which Kim Su-Young's poetic attitude, communicating with the poetic practice. The second how does poetic practice enable the subject to transform. The last how the poetic practice unfolded only if the movement of language itself. The landscape of the sorrow and sadness according to practical experience, are associated with poetic practice through self-negation Kim Su-Young's poem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ompletion of the work is often found to be resolved through the injury in his poems. The injury of sorrow and sadness disprove the writing of poem had been the difficult process of his life. The process of poetic practice is shown by the movement of the poetic subject. And overlap of the poetic subject and the text appears. When Kim Su-Young says 'the poem is the whole body is pushed forward', the 'whole body' has the meaning of the practice. Poetic practice, through self-negation and reflection of the subject's movement, appears to move one. Kim Su-Young reads the movement inherent in personal life, history and nature with the help of an excellent insight, and pursues within the movement in his mind with movement of the poem. Kim Su-Young's poetic ethics of his poem has fully embedded. The point of overlapping the movement of poem with the poetic subject's movement, is the place aesthetic writing meets poetic practice in Kim Su-Young's poems.

      • KCI등재

        김수영과 함석헌(1) - 함석헌의 생명 사상과 김수영의 혁명론

        최호영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5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Kim Su-young and Ham Seok-heon,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Kim Su-young’s revolutionary theory according to Ham’s idea of life. While looking back on the April 19 Revolution, Kim Su-young pointed to Ham Seok-heon’s writings as an example of raising the alarm in the situation at the time, which had fallen into complacency and selfishness. Kim Su-young’s interest in Ham Seok-heon’s thought requires more careful attention in that it is not just a one-time thing if traced in terms of media and discourse. Kim Su-yong was connected with Ham Seok-heon in that he was acquiring an indigenous and subjective perspective on Korean society at the time through the April 19 Revolution as a medium and was constantly thinking about the revolution after the revolution. More specifically, for Ham Seok-heon, the revolution was a kind of movement for life, so it was inseparable from the idea of life. For him, the revolution did not stop at changing the external system, but was a process of discovering and changing the inner self of man, and extending it to the whole, such as the nation and mankind. In this respect, the April 19 Revolution, which was merely a regime change for him, was a failed revolution in the end, and the society at the time required a movement to continue the spirit of the revolution. Kim Su-young also discovered the individual or the subject as the driving force of external revolution according to this point of view, but he wanted to continuously pursue renewal at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individual level revolution tried to aim for solidarity that expands to others or the whole through the practice of love. This article attempts to reconsider the point of view of Kim Su-young seeking the fundamental essence of the revolution and seeking out the direction of Korean society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and thus positioning him simply as the April 19 poet. 이 글은 김수영과 함석헌의 영향관계를 살피는 한편, 함석헌의 생명 사상에 따라 김수영의 혁명론에 담긴 특징과 의의를 고찰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김수영은 4·19혁명을 되돌아보는 자리에서 무사안일주의와 이기주의에 빠진 당시의 세태에 필봉을 들고서 이에 경종을 울리는 사례로 함석헌의 글을 지목한 바 있다. 함석헌의 사상에 관한 김수영의 이러한 관심은 실제로 매체 측면에서나 담론 측면에서 추적해보면 일회적인 것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좀 더 세심한 주목을 요한다. 김수영은 4·19혁명을 매개로 하여 당대 한국사회에 관한 토착적이고 주체적인 시선을 획득하고 있었으며 혁명 이후의 혁명을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함석헌과 연결되고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함석헌에게 혁명은 일종의 생명 운동이었기에 생명 사상과 동떨어질 수 없는 것이었다. 그에게 혁명은 외부의 제도를 바꾸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 내부의 자아를 발견하고 바꾸어나가는 과정이었으며 이를 민족, 인류와 같은 전체로 확장해가는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그에게 정권 교체에 불과한 4·19혁명은 결국 실패한 혁명이었으며 당대 사회에서는 혁명의 정신을 계속해서 이어나가는 운동이 요청되는 상황이었다. 김수영 또한 이런 관점에 따라 외부혁명의 원동력으로서 개인 혹은 주체를 발견했거니와 개인적 차원의 갱신을 지속적으로 추구하고자 했다. 그리고 개인적 차원의 혁명이 사랑의 실천을 통해 타자 혹은 전체로 확장되는 연대성을 지향하고자 했다. 이 글에서는 김수영이 혁명의 근본적 본질을 모색하여 4·19혁명 이후 한국사회가 나아갈 방향성을 타진해갔다고 봄으로써 그간 그를 단순히 4·19 시인으로 자리매김하려는 문학사적 규정을 재고하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