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숭양서원의 성쇠와 포은

        지두환(Ji, Doohwan)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20 No.-

        조선전기 주자성리학이 심성논쟁을 거치며 심학화된 조선성리학으로 변모해갔다. 이를 반영하듯 서원이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명종 9년에 영천에포은 정몽주를 모신 임고서원이 사액을 받으니 선조 6년에 개성에 숭양서원을 세워 선조 8년에 사액을 받는다. 인조반정이 일어나 정묘 병자호란을 거치며 척화를 주장하던 청음 김상헌이 청나라에 끌려갔다가 살아 돌아와 효종대에는 북벌론을 주도하여 다음 세대에게 물려준다. 현종대에 종법논쟁인 예송이 일어나 서인과 남인이 대립하여 1차예송은 서인이 승리하여 정국을 주도해간다. 이에 현종 9년에 숭양서원에 김상헌을 배향하여 포은 정몽주의 충절을 계승해간다. 김상헌의 손자인 문곡 김수항, 곡운 김수증, 증손자인 농암 김창협, 현손인 미호 김원행으로 이어지며 숭양서원은 서인이 주도하는 서원으로 자리잡는다. 그러나 2차 예송에서 서인 패하고 숙종 초반 남인이 정국을 주도하다가 숙종 6년 경신환국으로 서인이 다시 정국을 주도하게 되자 이를 반영하듯 숙종 7년 잠곡 김육, 포저 조익을 숭양서원에 배향하여 숭양서원은 다시 서인이 주도하는 서원으로 굳건히 자리잡는다. 영조대 두문동 72현의 절의를 추모하며 개성에 추모비를 세우자, 두문동 72현을 대표하는 정몽주를 모신 숭양서원에 우현보, 조견, 이고 등 두문동72현을 숭양서원에 배향하자는 논의가 일어나 정조 8년 우현보를 대표로 배향하였다. 이에 도곡 이의현이 주도하여 포은 문집도 내고 제향도 주도하였다. 이를 이어 청음의 현손인 김원행이 위패를 고치고 제향을 주도하였다. 그리고 남유용은 숭양서원에서 삼선생춘추향축문(三先生春秋享祝文)을 지어 제사를 지내고 있다. 이렇게 영조 정조대 노론이 주도하던 숭양서원은 순조 23년(1823)에 유수 김교근(金敎根, 1766∼?)과 김이재(金履載, 1767∼1847)가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를 중건하고 사우와 강당을 중수하는 등 순조 이후에는 안동 김씨 등 노론이 주도하는 서원이 되었다. Neo-Confucianism of early Joseon Dynasty transform into JoSeon Neo-Confucianism after a series of Mind-Nature controversy(心性論爭). Reflect this change, the Seowon(書院) began to build. In the 8th year of King Myungjong s reign, Imgo Seowon(臨皐書院) in Yung-cheon(永川), where Jung-MongJu(鄭夢周) enshrined, bestowed the title board. In the 6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Sungyang Seowon(崧陽書 院) was built and bestowed the titel board in the 8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King Injo Restoration’ has occurred and After Byungjahoran(the Manchu invasion), Chung-eum Kim-Sangheon(淸陰 金尙憲), who claim reject negotiations with Qing dynasty, was taken prisoner in captivity. Kim-Sangheon(金尙憲) led theory of Northern Expeditions(北伐論) after returning to Joseon, and pass down his theory to the next generation. In King Hyeon-jong’s reign, Ritual Controversy(禮訟論爭) broke out between Seo-in party(西人) and Nam-in party(南人). In the first Controversy, Seo-in party(西人) won and led the political situation. Accordingly, in the 9th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Kim-SangHeon(金尙憲) enshrined in Sungyang Seowon(崧陽書院) and Succeed to Jung-MongJu’s loyalty. On that account, Sungyang Seowon(崧陽書院) led by Seo-in party of Moongok Kim-SooHang(文谷 金壽恒) and Gokwoon Kim-Soojeung(谷雲 金壽增) (Kim-SangHeon’s Grand Sons), Nongam Kim-ChagHyeop(農巖 金昌協)(Kim-SangHeon’s great-grandson). Miho Kim-Wonhang(渼湖 金元行) (Kim-SangHeon’s great-great grandchildren). But in the Second Controversy, Seo-in party(西人) lose an argument. So in king SookJong’s early reign, Nam-in party(南人) led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6th year of king Sookjong’s reign, Seo-in party(西人) led the political situation again. Then in the 7th year of King Sookjong’s reign, Jamgok Kim-Yook(潛谷 金堉) and Pojeo Jo-Yeek(浦渚 趙翼) enshrined in Sungyang Seowon(崧陽書院). In King Yeongjo’s reign, monument for cherish Doomoondong 72 loyalists(杜門洞 72賢) built in Geaseong(開城). Accordingly, discussion of ‘72 loyalist’s enshrined in Sungyang Seowon’ arose. In 8th year of King Jungjo’s reign, Woo-HyeonBo (禹玄寶) elected representative of Doomoondong 72 loyalists(杜門洞 72賢) and enshrined in Sungyang Seowon. Following that Dogok Lee-EuiHyeon(陶谷 李宜顯) compiled Poeoun’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Kim-Wonhang(金元行) mended ancestral tablet(位牌) and led ancestral rites. Nam-YooYong(南有容) wrote written prayer(samseonsang-choonchu- chookmoon, 三先生春秋享祝文). Like the preceding, Sungyang Seowon(崧陽書院) led by No-ron(老論) party in Yeongjo’s reign and Jungjo’s reign. In 23rd year of king SoonJo, Kim-Gyogeun(金敎根) and Kim-YeeJae(金履載) reconstructed Dongjae(東 齋, Studying room in the east), Seojae(西齋, Studying room in the west), Sawoo(祠宇, shrine) and lecture hall(講堂). After King Soonjo’s reign, Sungyang seowon led by No-ron party like the Kims of Andong(安東 金氏).

      • KCI등재

        수북(水北) 김광현(金光炫)의 생애와 한시 연구

        김은정 ( Kim Eun-jeong ) 한국한시학회 2017 韓國漢詩硏究 Vol.25 No.-

        水北 金光炫(1584~1647)은 仙源 金尙容(1561~1637)의 차남으로, 17세기 전반기에 활동하였다. 光海朝에는 출사하지 않고 仁祖反正 이후 관직에 올라 중요 요직을 거쳤다. 부친의 죽음과 숙부 金尙憲의 심양 구류를 직접 목격하며, 이후 안동 김문의 상징이 된 節義의 전통을 후손에게 남겨 주게 된다. 김광현의 체험과 내적인 움직임은 그가 남긴 4권의 시문집 『水北遺稿』에 담겨 있다. 김광현의 한시 가운데 1/3은 三水유배기에 창작되었다. 유배 초기의 작품에는 그가 처한 상황을 狂言으로 자초한 것, 운명적인 것이라 여긴 내용이 많다. 그래서 끊임없이 임금을 그리워하고 곧 돌아갈 것이라 희망하였다. 그러나 바람과 달리 유배기간이 길어지자 연로한 부친을 걱정하고 다시 뵐 수 있을지 초조해하였다. 그래서 방면된 기쁨을 어버이를 다시 만나는 것에서 찾았다. 이렇듯 김광현에게 있어 임금과 부친은 삶의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의 한시 작품에는 작자의 솔직한 심정과 이러한 삶의 태도가 잘 드러나 있다. 유배에서 방면된 뒤 김광현은 더 큰 시련을 겪게 된다. 병자호란으로 인한 국가적 상처를 목도하고, 부친의 憤死를 전해 들어야만 하였다. 이후 김광현은 洪州의 鰲頭에 은거하여 지냈다. 그곳에서 김광현은 여기저기 흩어진 가족과 오랜 친구를 그리워하면서 은자의 삶을 살았다. 이는 젊은 시절 읊었던 歸田을 실천한 결과였다. 특히 안동 김문에서는 은거의 터전을 마련하는 것이 전통이었는데, 부친 김상용의 靑楓溪, 숙부 김상헌의 石室 등이 그러하다. 김광현의 鰲頭 역시 안동 김문의 또 다른 은거지로 자리 잡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김광현은 안동 김문의 은거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개척하였다고 하겠다. Subuk(水北) Kim Kwanghyun(金光炫, 1584~1647) was the younger son of Kim Sangyong(金尙容, 1561~1637), who was active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He did not serve to the Guanghai(光海), but went to the office after Incho(仁祖)’s enthronement. He witnessed his father's death and uncle's Shenyang(瀋陽) detention, and left his descendants a tradition of clairvoyant, which became a symbol of Andong(安東) Kim family. His experience and intrinsic motions are contained in his four volumes of the book Subuk Yugo(『水北遺稿』). One third of Kim Kwanghyun's poems were created in the exile of Samsu(三水). He constantly missed his king and hoped to return soon. However, unlike hopes, as the period of exile became longer, he was nervous about worrying about elderly father and seeing him again. So he found the joy in finding the parent again. For Kim Kwanghyun, the king and his father occupied a large part of his life, and his poetry works reveal his candid feelings and his attitude toward life. After Byungja-Horan, Kim Kwanghyun stayed on the Odu(鰲頭) of Hongju. From there, he lived a life of hermit while missing families and old friends. This was the result of practicing Retort, which he had recited in his youth. Especially in Andong Kim family, it was the tradition to provide shelter for the manger, such as Kim Sangyong’ ChungPoongGye(靑楓溪) and his uncle Kim Sangheon’s SukSil (石室). Kim Kwang-hyun's Odu also becomes another dwelling of Andong Kim family. From this point of view, Kim Kwanghyun has pioneered the succession of Andong Kim family's tradition.

      • KCI등재

        한족(漢族)화가 孟永光에 대한 조선 후기 지식인의 기억들 -명청교체기 명나라 포로와 조선 지식인의 만남-

        김일환 ( Il Hwan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0 No.-

        이 논문은 한 외국인 화가의 삶이 조선 후기 지식인들에게 다양한 기억으로 남는 과정을 살폈다. 명청교체기 關外에서 활동하던 명나라[漢族] 화가 孟永光은 조선의 마지막 對明使行이된 金堉을 만나 초상화를 그려준다. 그후 명나라 장수가 청에 항복하면서 孟永光은 포로가 되어 瀋陽으로 끌려간다. 그는 그곳에서 인질로 끌려온 조선의 왕자들과 만나게 되고, 왕자를 보필하기 위해 파견된 관리들, 그리고 청나라에 적대적 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끌려온 고위 관료출신의 지식인들과 교유하게 된다. 청나라가 명나라의 수도를 정복한 이후 조선의 왕자들은 귀국하게 된다. 孟永光은 이들을 따라 한양에 들어와 3년 6개월 동안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펼치다 청나라로 돌아가고, 이후 順治帝의 사랑을 받는 宮廷畵家가 된다. 孟永光은 한양 궁중에서 활동할 때 임금을 ‘나라를 망친 임금의 행위’로 이끄는 인물로 매도당했다. 청나라에게 당한 치욕을 씻어낼 일을 도모해야할 때에 임금과 지식인들이 그림이나즐기고 있다는 비판이었다. 하지만 그가 귀국하고 한 세대가 흐른 뒤에 그에 대한 평가가 완전히 바뀌었다. 그는 단순히 그림만 잘 그리는 화가가 아니라 멸망한 명나라를 잊지 못하는 藝人이면서, 같은 처지에 놓인 조선의 아픔에 공감한 지식인으로 평가받았다. 그가 金尙憲에게 그려준 <淵明採菊圖>는 宋時烈의 해석을 거치면서 ‘정의로움[義氣]’의 상징이 되었다. 국화의 꽃술을 붉게 그림으로써 김상헌의 충성심을 형상화시켰다는 것이다. 한편 봉림대군(뒷날의 효종)이 孟永光의 고향인 會稽를 그려달라고 한 것은 평범한 산수도를 의뢰한 것이 아니라 臥薪嘗膽의 의지를 보인 행위로 해석되기도 했다. 명나라 출신으로 ‘오랑캐’에 항복한 후, 청나라의 국가 운영에 적극적으로 활약한 인물들에 대해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비판은 매서웠다. 이들의 삶과 크게 다를 바가 없는 孟永光에 대한 후한 평가는 17세기 이후 復讐雪恥의 정신을 강조하던 조선 사회에서 배태된 독특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rocess that a foreign artist’s life took in part of history in the late Joseon Period. Maeng Yeonggwang was an artist duringthe Ming Period who lived near the border in the middle of the battle betwee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He met Kim Yuk, an envoy of the Joseon Dynasty, and drew his portrait. As the commander of the Ming Dynasty, Maeng Yeonggwang depended on surrendering to the Qing Dynasty and was taken to Shenyang as a prisoner. He met the princes from Joseon who came there as hostages. And he associated with the officers sent to take care of the princes and the intellectuals in a high-ranking post who were taken due to what they did against the Qing Dynasty.After the Qing Dynasty conquered the capital city of the Ming Dynasty, the princes of Joseon returned home. Maeng Yeonggwang went to Hanyang with them, actively producing artwork for three and a half years, and returned to the Qing Dynasty. After that, he became a court painter favored by the Shunzhi Emperor. Maeng Yeonggwang was denounced as a person leading the “behaviors of a king who ruined a country” while he was in the royal court in Hanyang. It was a critique that a king and intellectuals enjoyed painting at a time when they had to wipe away the disgrace from the Qing Dynasty. However, one generation after his return to the Qing Dynasty, opinions about him had completely changed. He was not only a great painter, but also the artist who didn’t forget the collapsed Ming Dynasty; an intellectual sympathized with the pain of Joseon in his same situation. His painting “Tao Yuanming Picking Chrysanthemum,” presented to Kim Sangheon, became the symbol of “righteousnes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by Song Siyeol. Song Siyeol explained that the red stamen of chrysanthemum symbolized the loyalty of Kim Sangheon. Prince Bongrim (later, King Hyojong) asked him to draw Kuaiji, the hometown of Maeng Yeonggwang. It was not a simple request as a landscape drawing, but described Prince Bongrim’s will of perseverance. The criticisms by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Period of those who were actively engaged in the management of the Qing Dynasty, even though they worked for the Ming Dynasty before, were very acidic. Good critiques of Maeng Yeonggwang, who wasn’t different from them, showed one side of Joseon society emphasizing the spirit of revenging and wiping off a disgrace since the 17th century.

      • KCI등재

        『남사록(南?錄)』에 나타난 청음 김상헌의교육적 태도와 그 의미에 관한 연구

        강동호 ( Kang Dong Ho ),양진건 ( Yang Jeon Gu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2

        본 연구는 청음 김상헌이 제주 안무어사 시 기록한 『남사록』을 토대로 그의 교육적 태도와 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청음은 제주 안무어사로의 임무를 수행하면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훗날 제주의 유일한 사액서원인 귤림서원(橘林書院)에 제주오현의 한 사람으로 배향되어 제주 유림들에게 추숭(追崇)된다. 그가 보인 교육적 태도는 첫째, 제주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애민정신(愛民精神)이었다. 특히 제주사람들과 다양한 대화와 소통을 통해 제주인의 어려운 환경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점에서 참다운 지도자의 모습을 엿 볼 수 있었다. 두 번째는 그가 안무어사 임무의 일환으로 시행한 시재(試才) 실행과 관련된 내용이다. 조선조 제주 교육에서 별시(別試)에 의해 제주인들이 과거에 입격(入格)한 예는 청음의 시재 실행이 처음이었다. 그러므로 청음의 시재 실행은 제주의 유림들로 하여금 조정의 배려를 처음으로 경험하여 감흥(感興)케 하였고 이로써 학습동기가 증진되어 결국 제주의 사풍증진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은 그가 보인 제주의 역사·문화에 대한 명확한 인식의 태도이다. 그것은 그가 제주를 주체적이며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또 다른 모습이며 그의 역사관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더불어 충암 김정을 추숭하는 모습은 제주 유림들에게는 큰 모범으로 다가왔을 것이며, 사문(斯文) 형성에 도움을 주었을 것이다. 이러한 그의 교육적 태도로 인해 제주 유림들은 그를 귤림서원에 제주오현으로 배향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청음 김상헌이 귤림서원에 배향된 이유를 제주에 끼친 교육적 영향의 측면으로 고찰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다시말해, 청음의 귤림서원 배향은 그가 평생 동안 보여준 의리정신의 삶의 태도에 대한 숭모의 의미와 함께 제주에 끼친 교육적 영향이라는 양자(兩者)의 결과가 합해졌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제주오현 배향에 대한 제주교육사의 주체성이 다소나마 확립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했다고 여겨진다.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Cheongum Kim Sangheon`s educational attitude and its meaning based on ``Namsarok`` when he was a Jeju Anmuesa. While he was performing his duties as a Jeju Anmuesa, he had showed educationally meaningful attitude so he was respected as one of the Jeju Ohyun in Gyulim Seowon where it is the only Saek Seowon in Jeju island and worshiped by Jeju Confusion scholars. First of all, educational attitude that he showed was the positive perception and love for the Jeju people. Especially, the image of true educational philosopher was showed by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the difficult surroundings through various conversations and communications with Jeju people. Secondly, there is a meaning to practice material for poetry for his duty as an Anmuesa. It was the first example that Cheongum`s material for poetry was used to pass the exam. Therefore, by his practice, Jeju Confucian scholars experienced Josun dynasty`s consideration, and it contributed to make them study and enhance their spirits. Next, it was concrete attitude of awareness about Jeju`s history and culture. It was the attitude that he considered Jeju as a independent and positive island, and it could be a chance to consider his view of history. Furthermore, the aspect to respect Choongam Kim Jeong was the model among Jeju Confucian scholars, and helped to cultivate moral and religious development. Jeju Confucian people respected him as one of Jeju Ohyun due to his educational attitude in Gyulim Seowon. This study has a big meaning that it can consider the reason that Cheongum Kim Sangheon was canonized with educational effects on Jeju. In other words, Cheongum was canonized in Gyulim Seowon because he showed attitude of loyalty spirit and educational effects on Jeju as well. In this respect, it is considered that it offered the clue to establish identity of Jeju educational history.

      • KCI등재

        투고논문 :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장(印章)에 대한 인식의 일면

        박철상 ( Chul Sang Park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0 한문교육논집 Vol.35 No.-

        조선시대 인장예술은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임진왜란을 통해 명대 인장 문화가 조선에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과 미수(眉수) 허목(許穆)이 등장하면서 조선의 인장문화는 크게 발전하였다. 이들은 각기 조선 인장문화의 두 줄기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김상헌은 「군옥소기(群玉所記)」를 지어 인장에 관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였다. 김상헌은 여기서 각법(刻法) 보다는 인장에 철학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는 상고(尙古) 정신의 발현이었다. 김상헌에게 있어 인장은 단순한 완상(玩賞)의 물건이 아니었다. 인장은 고인(古人) 을 만나는 곳이자, 고인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형상화하는 수단이었다. 이를 통해 유가(儒家)들이 꺼렸던 완물상지(玩物喪志)란 언사(言辭)를 무력화시켰다. 인장에 대한 김상헌의 이러한 해석을 통해 조선의 문인들은 인장문화를 깊이 수용하게 되었다. 허목 역시 미수전(眉수篆)이라는 독특한 전서를 인장에 사용함으로써 후 학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그것은 문자학적인 측면보다는 서법(書法)을 통한 상고(上古) 문화의 회복을 꾀한다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허목의 이 업적은 후학들에게 의해 계속 이어졌고, 이들이 연구한 고문(古文)들이 인장(印章)에 사용되면서 조선 인장의 큰 줄기를 형성하기에 이른다. 특히 남인(南人) 계열의 학자들에 의해 계승되어 그들의 글씨는 물론 인장에 미수전의 영향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임란 이후 18세기에 이르기까지 조선 문인들의 인장에 대한 인식의 초점은 교육적 의미와 함께 상고 정신의 회복을 꾀한 것이다. 또한 완물상지(玩物喪志)의 비판을 회피하는 것이었다. 그 틀은 김상헌과 허목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처럼 인장(印章)을 상고(尙古) 정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이해한 것은 조선시대 인장문화의 큰 특징이 되었다. The art of seal was greatly changed to the Imjinwaslan and starting. Through the war, Ming`s seal culture was incomed in Joseon. Especially the seal culture was very developed owed to Cheongeum(淸陰) Kim, Sangheon(金尙憲) and Misu(眉수) Heo Mog(許穆). They formed two main current of seal culture in Joseon. Kim wrote Gunogsoki(群玉所記) through which he expressed his opinion about the seals. In this works, he emphasized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seal, the spriy of ancient times, rather than engraving ways. To Kim, the seal was not a simple collection for enjoying. The seal was a connection to the ancient people and the figuration of the feeling on the ancient people. This was a useful way to escape the blame for wanmulsangji(玩物喪志). Kim`s interpretion of the seal was the important momentum, through which the literati of Joseon accepted the seal culture. Heo used the special seal character, called Misujeon(眉수篆). Misujeon was a trial of the restoration of ancient culture, through the calligraphy rather than philology. Heo`s achievement was succeed to his younger scholars, and became a main current of seal in Joseon literati especially Namin(南人) scholars. From Imjinwaslan to 18th century, the late Joseon literati`s recognition of the seal was focused on the restoration of ancient spirit. Also it was a way to escape the blame for wanmulsangji. Kim and Heo made the framework. Seal was an expression of the ancient spirit, that was a characteristic of seal culture in Joseon dynasty.

      • KCI등재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장(印章)에 대한 인식의 일면

        박철상 한국한문교육학회 2010 한문교육논집 Vol.35 No.-

        The art of seal was greatly changed to the Imjinwaslan and starting. Through the war, Ming's seal culture was incomed in Joseon. Especially the seal culture was very developed owed to Cheongeum(淸陰) Kim, Sangheon(金尙憲) and Misu(眉叟) Heo Mog(許穆). They formed two main current of seal culture in Joseon. Kim wrote Gunogsoki(群玉所記) through which he expressed his opinion about the seals. In this works, he emphasized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seal, the spriy of ancient times, rather than engraving ways. To Kim, the seal was not a simple collection for enjoying. The seal was a connection to the ancient people and the figuration of the feeling on the ancient people. This was a useful way to escape the blame for wanmulsangji(玩物喪志). Kim's interpretion of the seal was the important momentum, through which the literati of Joseon accepted the seal culture. Heo used the special seal character, called Misujeon(眉叟篆). Misujeon was a trial of the restoration of ancient culture, through the calligraphy rather than philology. Heo's achievement was succeed to his younger scholars, and became a main current of seal in Joseon literati especially Namin(南人) scholars. From Imjinwaslan to 18th century, the late Joseon literati's recognition of the seal was focused on the restoration of ancient spirit. Also it was a way to escape the blame for wanmulsangji. Kim and Heo made the framework. Seal was an expression of the ancient spirit, that was a characteristic of seal culture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인장예술은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임진왜란을 통해 명대 인장 문화가 조선에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과 미수(眉叟) 허목(許穆)이 등장하면서 조선의 인장문화는 크게 발전하였다. 이들은 각기 조선 인장문화의 두 줄기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김상헌은 「군옥소기(群玉所記)」를 지어 인장에 관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였다. 김상헌은 여기서 각법(刻法)보다는 인장에 철학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는 상고(尙古) 정신의 발현이었다. 김상헌에게 있어 인장은 단순한 완상(玩賞)의 물건이 아니었다. 인장은 고인(古人)을 만나는 곳이자, 고인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형상화하는 수단이었다. 이를 통해 유가(儒家)들이 꺼렸던 완물상지(玩物喪志)란 언사(言辭)를 무력화시켰다. 인장에 대한 김상헌의 이러한 해석을 통해 조선의 문인들은 인장문화를 깊이 수용하게 되었다. 허목 역시 미수전(眉叟篆)이라는 독특한 전서를 인장에 사용함으로써 후학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그것은 문자학적인 측면보다는 서법(書法)을 통한 상고(上古) 문화의 회복을 꾀한다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허목의 이 업적은 후학들에게 의해 계속 이어졌고, 이들이 연구한 고문(古文)들이 인장(印章)에 사용되면서 조선 인장의 큰 줄기를 형성하기에 이른다. 특히 남인(南人) 계열의 학자들에 의해 계승되어 그들의 글씨는 물론 인장에 미수전의 영향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임란 이후 18세기에 이르기까지 조선 문인들의 인장에 대한 인식의 초점은 교육적 의미와 함께 상고 정신의 회복을 꾀한 것이다. 또한 완물상지(玩物喪志)의 비판을 회피하는 것이었다. 그 틀은 김상헌과 허목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처럼 인장(印章)을 상고(尙古) 정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이해한 것은 조선시대 인장문화의 큰 특징이 되었다.

      • KCI등재

        時調 <가노라 三角山아>의 作家에 대한 考察

        김태주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건지인문학 Vol.0 No.21

        In the literature works about the Byungjahoran, For Korean, the verse <가노라 삼각산아> is most impressive. While this paper will question about the author’s issue. Up to now, according to many literatures,we know this work’s author is Kim sangheon. But according to the literature <Geunhwaakbu> and <Ijaenango>, we know this work’s author is Sohyeonseja. Consider about the author maybe not Kim sangheon, this paper will research this issue. In the second chapter, through the literatures, the work’s content and the surrounding characters, pointed out that the author maybe is Sohyeonseja. In the third chapter, Explain the reason of change author in three aspects: the political situation, relationships and the Imitate verse’s appeared. As the writer’s claim, if the author of verse <가노라 삼각산아> is Sohyeonseja,not only we can understand this work completely, but also it is helpful to find out the political situation about Sohyeonseja at that time.

      • KCI등재

        金宗直 「乇羅歌」의 전승과 그 의미

        김새미오(Sae-Mio Kim) 제주학회 2024 濟州島硏究 Vol.61 No.-

        본 연구는 김종직의 「탁라가」 14수의 문학적 좌표를 고민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탁라가」는 김종직이 성환역에서 제주 사람을 만나, 이때 들은 이야기를 승화한 작품이다. 김종직은 이 시에서 제주의 풍속, 물산, 바다 등을 문학적으로 구현하였다. 김종직은 무오사화 때에 부관참시를 당했지만, 이후 복권되어 사림의 높은 추앙을 받았다. 이에 김종직이 지은 「탁라가」 역시 많은 후배 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언급하였고, 그 문학적 층위도 다양하다. 金尙憲은 안무어사로서의 책무와 왕의 교화를 표현하였고, 李增은 제주에서의 일정을 기록하며 변방 풍속을 채록하는 방향으로 차운하였다. 유배인이었던 金鎭龜는 제주 백성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보여주었다. 한편 南九明은 「탁라가」에 차운한 3편의 연작시를 통해 제주의 현실과 이상을 종합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들은 「탁라가」를 통해 김종직에 대한 존경의 마음과 함께 자신이 보고 들은 제주를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통시적 관점에서 볼 때, 「탁라가」는 제주의 풍속, 물산 등을 종합적으로 표현한 첫 번째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후 많은 후배 학자들이 「탁라가」를 차운했다는 점에서 그 문학적 위치는 독보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work is done in order to identify the literary status of 14 verses of Kim Jongchik’s Taklaga. Taklaga is a literary work drawing upon stories of Kim Jongchik collecting from people of Jeju whom he encountered at Seonghwan station. In this poem, he embodied literally folklore, local products, and sea of Jeju. Kim Jongchik was sacrificed by the event of sawha, but was later reinstated by the honor of sarim. Accordingly, Taklaga was continuously mentioned by many junior scholars. Kim Sangheon expressed his responsibilities as a king’s inspector as well as king’s education projects. While Lee Jeung recorded his schedule in Jeju, he also collected the record of folklores and customs of marginal regions of Jeju. Kang Sukkyu revealed the feeling of a deep farewell by sending Jeju pastor Lee Heeryong; and Kim Chingui showed a warm hearted view towards Jeju people. Meanwhile, Nam Gumyeong comprehensively expressed the reality and ideals of Jeju through three series of poems drawing upon Taklaga. All of these poems delicately expressed their feelings for Jeju based upon what they saw and heard along with their respect for Kim Jongchik. Taklaga can be evaluated as the very first work that presents Jeju's customs and products comprehensivel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literary position of Taklaga is unique in that many juniors have made reference to it in composing their own poems.

      • KCI등재

        金宗直 「乇羅歌」의 전승과 그 의미

        김새미오 제주학회 2024 濟州島硏究 Vol.61 No.-

        This work is done in order to identify the literary status of 14 verses of Kim Jongchik’s Taklaga. Taklaga is a literary work drawing upon stories of Kim Jongchik collecting from people of Jeju whom he encountered at Seonghwan station. In this poem, he embodied literally folklore, local products, and sea of Jeju. Kim Jongchik was sacrificed by the event of sawha, but was later reinstated by the honor of sarim. Accordingly, Taklaga was continuously mentioned by many junior scholars. Kim Sangheon expressed his responsibilities as a king’s inspector as well as king’s education projects. While Lee Jeung recorded his schedule in Jeju, he also collected the record of folklores and customs of marginal regions of Jeju. Kang Sukkyu revealed the feeling of a deep farewell by sending Jeju pastor Lee Heeryong; and Kim Chingui showed a warm hearted view towards Jeju people. Meanwhile, Nam Gumyeong comprehensively expressed the reality and ideals of Jeju through three series of poems drawing upon Taklaga. All of these poems delicately expressed their feelings for Jeju based upon what they saw and heard along with their respect for Kim Jongchik. Taklaga can be evaluated as the very first work that presents Jeju's customs and products comprehensivel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literary position of Taklaga is unique in that many juniors have made reference to it in composing their own poems.

      • KCI등재후보

        문명과 제국 사이 : 병자호란 전후시기 주화·척화논쟁을 통해 본 조선 지식관료층의‘國’표상

        손애리(Sohn Aelee)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0 No.2

        본고는 전쟁과 반정을 경험했던 인조대를 대상으로하여 전근대 시기 조선의 지식관료층들이 ‘國’을 무엇이라고 생각했는가를 검토하는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國과 병렬적으로 사용된 범주인 ‘천하’를 참조점으로 하였으며 병자호란 전후의 주화-척화논쟁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天이라는 보편적 질서에 의해 지배되어야 할 공간으로서의 천하는, 현실적으로는 중화제국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즉 천하는 ‘中華’라는 〈문명〉과‘事大字小’의 원리 하에 조공과 책봉 시스템을 강제하는 〈제국〉의 형태로 조선의 지식관료층에게 인지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문의 전반부에서는 國은 문명을 수용하고 제국에 대응하기 위해 모방과 적합을 각각의 전략으로 채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화질서 내에 존재한 國들은 문명을 향한 모방전략과 제국변동시의 적합 전략에 항상 관심을 가져야 했으며 양자의 긴장이 國에 대한 표상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관점을 견지하고, 이를 통해 주화-척화논쟁을 해석하였다. 당시의 자료들을 검토하는 것을 통해 김상헌을 위시한 척화론은 문명에 대한 강한 모방 욕망과 제국변동에 비적합 구도를 갖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國을 상대화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른 한편 최명길을 위시한 주화론은 문명에 대한 약한 모방 욕망과 제국변동에 적합한 구도를 갖고 있었으며 國을 절대화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guk(國)’ in the reign of King Injo(仁祖) who experienced Restorntion(反正) and wars. It draws the category of ‘Cheonha(天下)’ and concretely analyze the controversy between the advocacy of peace(主和論) and the rejection of negotiations(斥和論) before and after the Manchu war of 1636(丙子胡亂). ‘Cheonha(天下), took the shape of the empire of China in reality. That is, ‘Cheonha(天下)’ was recognized as the civilization of China and the empire consisted of the system of the tribute and the investiture. In order to accept the civilization and cope with the empire, ‘guk(國)’ adopted a strategy of mimesis(模倣) and convenience(適合) respectively. I find that the rejection of negotiations(斥和論) including Kim Sangheon(金尙憲) had a strong desire of mimesis for the civilization and was not convenient in the variable empire. And I also find that the advocacy of peace(主和論) including Choi Myungkil(崔鳴吉) had a weak desire of mimesis for the civilization and was convenient in the variable emp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