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기림 이상론의 변모 과정 연구

        이미순 이상문학회 2023 이상리뷰 Vol.- No.20

        본고는 김기림 이상론의 변모 양상을 살피고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 논문이다. 김기림은 1934년 「현대시의 발전」에서 처음 이상을 거론하였다. 이 글에서 김기림은 당시 한국 현대시의 난해성이 초현실주의의 수용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초현실주의자로 이해한 이상의 시를 가장 먼저 비평하였다. 김기림은 현대시의 발전을 위해 초현실주의를 방법론을 계승하자고 하면서도 이상의 <운동>에서 시적 언어의 질서와 의미, 명랑성 등을 읽어내었다. 1935년 이후 김기림은 이상이 <위독>에서 적절한 현대의 진단서를 썼고, 시대의 우울을 표현하였다고 하였다. 당시 유토피아의 지향을 지니고 있었던 김기림은 이상의 우울 속에서 유토피아의 지향을 발견하였다. 1930년대 말 김기림은 유토피아의 방향을 “모더니즘의 초극”으로 구체화하면서 이상을 내세웠고, 이상을 유토피아를 꿈꾼 비극의 신으로 이해하였다. 해방 후 김기림은 이상의 인간적인 모습을 다양하게 드러내고 그를 “나르시쓰”로 회고하였다. 또한 이상의 현실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그의 문학을 비평하면서, 이상이 현실에 “서늘함”의 태도를 지녔고, 현실에 대한 “철저성”으로 현실을 깊이 해부하였다고 하였다. 또 이상은 원래 “나르시쓰”였으나 속악한 현실에 대응하면서 점차 순교자로, 청교도로 나아갔다고 하였다.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Kim Ki-rim’s literature theory of Lee Sang and clarify its significance. Kim Ki-rim first discussed Lee Sang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Poetry” in 1934. In this article, Kim Ki-rim suggested that modern Korean poetry should inherit surrealism, and he listened to the above <Movement> as a representative example. In <Movement>, Kim Ki-rim paid attention to the methodology of surrealism, especially the combination of language, not the spirit of surrealism. In the late 1930s, Kim Ki-rim tried to read the spirit of the times in Lee Sang’ poetry that revealed the modern crisis. This was related to the fact that Kim Ki-rim had a utopian orientation. Kim Ki-rim said that Lee Sang wrote an appropriate modern medical certificate in <Widok>. Lee Sang was called “Jupiter” and “Jesus” as the hero who dreamed of utopia. At the end of the 1930s, Kim Ki-rim emphasized “the overcome of modernism” and brought Lee Sang to the fore. After Liberation period, Kim Ki-rim did not compare Lee Sang to a god or a hero, but called it “an asylum in life” and “Narcissus”. Kim Ki-rim paid attention to the attitude toward the reality and said that Lee Sang has “indifference” and “shame”. Kim Ki-rim discussed the literature focusing on Lee Sang’ novels. Kim Ki-rim said that Lee Sang was originally “Narcissus”, but he gradually became a martyr and a puritan in reality.

      • KCI등재

        해창<SUP>海窓</SUP> 송기식<SUP>宋基植</SUP>의 현실인식과 대응방략의 변화

        김순석(Kim, Sun-seok)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2

        송기식은 1878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를 살다가 1949년 세상을 떠난 유교개혁론자이며,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이다. 유교는 조선의 지배 이데올로기였던 까닭에 한말까지도 사회전반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그렇지만 문호개방 이후 밀려든 서구 문명 앞에서 유림의 대응 방략은 무력하기만 하였고, 유교는 구시대의 유물로 인식되어 개혁의 대상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유교개혁론자들은 대부분 유교의 긍정적인 측면들을 이해하고 유교를 근본으로 삼고 서구 사상으로 그 단점을 보완하려 한 사람들이 많았다. 송기식 또한 그런 개혁론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송기식은 처음부터 유교개혁론자는 아니었고, 초기에는 위정척사계열의 유학자였다.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규탄하는 의병이 일어났을 때 19세의 나이로 의병장 김도화 아래서 서기로 종군하였다. 이후 김흥락과 사제의 인연을 맺고, 퇴계 학맥의 주류를 계승한 그는 평생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하나는 상실된 국권을 회복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세력을 상실하였던 유교를 부흥하는 일이었다. 송기식은 1895년 의병에 참가한 다음 1909년 이상룡이 대한협회안동지 회장이 되자 애국계몽운동에 나섰다. 이 무렵 송기식은 이상룡과 긴밀한 협의 끝에 봉양서숙을 설립하여 교육사업에 투신하게 된다. 그가 이렇듯 위정척사파에서 애국계몽운동가로 전환하게 된 계기는 서구 사상을 소개한 민주주의와 자유주의, 시민사상이 담긴 책들을 섭렵하였고, 이상룡의 권유가 큰 역할을 하였다. 그는 1919년 3.1운동이 발발하였다는 소식을 접하고 안동의 협동학교‧동화학교‧보문의숙‧봉양서숙 등의 학생들을 규합하여 만세 시위에 앞장섰다. 그 결과 그는 현장에서 체포되어 안동 옥사에 투옥되었고, 이후 대구 감옥으로 이감되어 있다가 다시 경성 감옥으로 옮겨졌다. 1920년 영친왕의 가례를 맞아 석방된 그는 출옥한 이듬해 유교혁신에 관한 생각들을 정리하여 『유교유신론』을 발간하였다. 1932년 송기식은 경성유교회 안순환으로부터 녹동서원 명교강습소 교수직으로 위촉받아 유교의 종교화운동에 참여하게 된다. 본고는 송기식이 어떤 계기를 통하여 사상적 전환이 일어났으며, 그것이 어떤 행동양식의 변화로 이어졌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Song Ki-sik was born in Andong, Gyeongsangbuk-do in 1878, liv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passed away after liberation. He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educator. Since Confucianism was the dominant ideology of Joseon, it had a great influence on society as a whole. Nevertheless, in the face of Western civilization, which was pushed out after the opening of the door, Confucian Scholar countermeasures were helpless, and Confucianism was recognized as a relic of the old days and the object of reform. Many Confucian reformers tried to understand the positive aspects of Confucianism, make Confucianism the basis, and try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with Western ideas. Song Ki-sik was one of those reformists. Song Ki-sik was not a Confucian reformer from the beginning, but was a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 In 1895, at the age of 19, he joined the army under Kim Do-hwa. Since then, Kim Heung-Rak has a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discipleship. Song Ki-shik, who succeeded the mainstream of Toegye, tried to solve two problems. One was to restore lost sovereignty, and the other was to revive Confucianism, which at that time lost power. Song Ki-sik participated in Voluntary army in 1895, and then in 1909, when Lee Sang-ryong became the chairman of Andong branch the Korean Association, he started the Patriot Enlightenment Movement. Around this time, Song Ki-sik established Bongyang Seosuk after close consultation with Lee Sang-ryong and started his business in education. The reason for his transition from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 to patriotic enlightenment activists was through books on democracy, liberalism and civil ideology that introduced Western ideas, and Lee Sang-ryong’s invitation played a big role. When he heard of the outbreak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he led students of Hyupdong schools, Donghwa School, Bomun Uisuk, and Bongyang Seosuk. As a result, he was arrested at the scene and imprisoned in Andong"s prison, then moved to Daegu jail and then moved back to Gyeongsung jail. In 1920, he was released on the rite of King Young Chin. The following year, he wrote Confucianism Reformed Theory and summarized his thoughts on Confucian innovation. In 1932, Song Ki-sik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at Nokdongseowon Myeonggyo Campus by Ahn Sun-hwan from Kyungsung Confucian Church to participate in the Confucian religious movement. This thesis is a study on how the ideological transformation of Song Ki-sik led to the change of behavior and the change of behavior afterward.

      • KCI등재

        이상 ‘육필 원고’의 진위 여부 고증(考證)-「오감도」를 중심으로

        김주현 한국현대문학회 201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8

        There are quite a lot of manuscripts known as written by Lee Sang. In this study, I focused on Ogamdo such as “Poem Ogamdo the Fourth”, “Poem the Fifth”, “Peom the Sixth” and etc. The three poems of Lee Sang’s “Ogamdo” have been introduced as Lee Sang’s handwritten manuscripts in Lee Sang’s Complete Literature Collection(1977) by Lee Eo-ryeong. If “Manuscripts of Ogamdo Poem the Fourth, the Fifth, the Sixth” are hand written by Lee Sang, even the fact alone means a lot. Also they will gain meaning as original texts. In this study, I concluded “Manuscripts of Ogamdo Poem the Fourth, the Fifth, the Sixth” are written by Kim Ki-rim from the paper these poems were written,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 of Lee Sang’s work list” and Lee Sang’s Literature Collection and the similarity of handwriting of “Manuscripts of Ogamdo Poem the Fourth, the Fifth, the Sixth” and Kim Ki-rim’s manuscripts. It is understood that Kim Ki-rim copied the first release to make Lee Sang’s Literature Collection. Now, Young-in Literature Museum should no longer hide the manuscript of “Ogamdo” and open them in public for proper verification. Still there are several problems left. Even if the handwritten manuscripts of “Ogamdo” is not considered as Lee Sang’s. there are ‘mohu(某後)’, ‘taneun(타는)’ in “Poem the Fourth” and ‘sangcheum(喪尖)’ in “Poem the Sixth’. There are a lot of controversies on this issue so it is a matter that will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현재 이상의 육필로 알려진 원고들이 적잖이 존재한다. 이 논의에서는 「오감도 시 제4호」, 「시 제5호」, 「시 제6호」 등 오감도 ‘육필 원고’에 주목해 보았다. 이상의 「오감도」 연작시 3편은 이어령이 편한 이상문학전작집(1977)에 이상의 자필 원고로 소개되면서 알려졌다. 「오감도 시 제4,5,6호」가 이상이 남긴 육필이라면 그것만으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것은 원전 텍스트로서의 의미도 갖게 된다. 본고에서는 「오감도 시 제4,5,6호」가 기록된 용지, 함께 발견된 「작품목록 메모」와 『이상선집』의 상관성, 그리고 「오감도 시 제4,5,6호」와 김기림의 필체 등의 분석을 시도했다. 그리하여 「오감도 시 제4,5,6호」가 김기림에 의해 필사되었을 것으로 결론 내렸다. 그것은 김기림이 이상선집을 만들기 위해 최초 발표본을 베낀 것으로 이해된다. 이제 영인문학관에서는 「오감도」 육필 원고를 공개해서 제대로 된 검증을 받아야 한다. 여전히 남는 문제가 몇 가지 있다. 「오감도」 육필 원고는 이상의 자필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더라도 「시 제5호」의 ‘某後左右’, ‘臟腑타는 것은’, 그리고 「시 제6호」의 ‘喪尖’과 같은 것들이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논란이 적지 않아 앞으로 더욱 궁구해볼 문제이다.

      • KCI등재

        T. S. 엘리엇의 「황무지」와 김기림의 「기상도」

        이은실 한국T.S.엘리엇학회 2011 T.S. 엘리엇 연구 Vol.21 No.1

        This essay surveys some literary, cultural criticism of T. S. Eliot and Kim Ki-Rim, focusing on each writer’s works, The Waste Land and Ki-Sang-Do. In Eliot’s creative and critical practice, his primary concern is to depict his own literature and culture. In other words, he seems to concentrate only on the fate of European literature, art, and cultural heritage, including the political balance of European countries. Therefore, the important issue for Eliot is how they can preserve and develop the tradition of Europe, both to make political peace among the European countries and to achieve “maturity” of their own culture. But Kim Ki-Rim, whose colonial circumstances are quite different from Eliot’s, is affected by double obstacles, the chaos of the pre-modern, underdeveloped Cho-sun and the period of colonial-imperialism from Japan (and the western countries), the prevalent international order then, with cultural ideology of modernity or modernism. In such a situation, Kim Ki-Rim does not concern himself with the idea of preserving the tradition of Europe-originated modernity. Rather, he suggests a possibility of breaking through the very western modernity and modernism, ultimately to build a whole new world, in which post-modern Cho-sun can hold a secure, culturally leading position.

      • KCI등재

        光山 金氏 惟一齋 宗宅 소장 고전소설의 유전 양상과 성격

        한의숭(Han, eui-so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1 동양한문학연구 Vol.58 No.-

        본고는 惟一齋 金彦璣(1520-1588) 宗宅 소장 자료 가운데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고전소설 자료 2종을 소개하고 성격을 밝히는 차원에서 기획되었다. 유일재 종택에 소장 된 고전소설은 「金靑楠夢遊錄」과 「崔陟傳」이다. 「김청남몽유록」은 학계에 새롭게 소개되는 작품으로 작중 인물인 김청남이 조선과 중국의 역대 도읍지 및 절의를 상징하는 특정한 장소를 주유하고 이에 대한 감회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서술되고 있다. 이는 해당 장소나 공간이 지닌 장소성을 통해 작가가 작품을 통해 표출하고자 하는 내면적 지향을 은유적으로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조선과 중국의 왕조 도읍지 및 절의를 표상하는 핵심 장소와 공간을 주유하는 서사를 통해 역사적 장소에 대한 회고가 그것이다. 특정한 지역과 장소에 부여된 역사적 상징을 소환하는 방식으로 동일한 장소에 대한 현재적 상황을 환기시켜 상반된 현실의 부면을 자각하도록 하는 것이다. 작가는 몽유록이라는 우의적 서술 방식을 활용하여 당대를 바라보던 영남 사인의 시대 인식의 일단을 문학적으로 표출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새롭게 소개하는 「최척전」 이본인 유일재 종택 소장본은 佳野肯構堂宅이란 소장주기와 光山后人·金致祥甫·聖應家藏이란 方印이 찍혀 있어 주목된다. 소장자는 유일재 김언기의 5대손인 김치상으로 그의 생몰연대를 통해 유일재 종택본「최척전」이 17세기 중후반에서 18세기 초반에 필사된 이본임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본고는 새롭게 발굴, 소개된 가문 내 고전소설 자료를 통해 가문 중심 문헌 유전 양상과 장서인 문화를 전통시대 기록 문헌과 관련하여 주목하였다. 유일재 종택 소장본 「김청남몽유록」과 「최척전」은 가문 내 문헌의 유전 양상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자료인 장서인이 담겨 있다. 가문 내 문헌 전승과 장서인 문화의 관계는 전통시대의 기록문화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문헌 기록의 전승이 가문을 중심으로 이어지는 문화적 전통은 기록 문화의 한 축에 가문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전통시대 기록 문화를 교육하는 시각에 있어서 문헌 뿐만 아니라 문헌을 전승하던 주체에 대해서도 함께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introduce two types of classic novel material s unknown to academia and to reveal their character among the materials of Yoo-Il-jae, Kim Eon-ki’s old house. Classical novels housed in Yoo-Il -jae s Jongtaek include 「Kim-Cheong-Nam-Mong-Yoo-Rok(金靑楠夢遊錄) 」 and 「Choi-Cheok-Jeon(崔陟傳)」. 「Kim-Cheong-Nam-Mong-Yoo-Rok」 is a new introduction to academia and is described in a way that Kim, Ch eong-nam goes around certain places symbolizing integrity and capitals o f Joseon and China and records his gratitude for them. This can be said to be a metaphorical expression of the internal orientation that the writer wants to express in his work through the place or space. In other words, it is to recall the historical place through a narrative to go around the k ey places and spaces that represent Joseon and China s royal cities and i ntegrity. By summoning historical symbols granted to a particular region and place,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same place is evoked so that we are aware of the conflicting reality. The writer seems to have tried to ex press literary awareness of the era of the scholar of Yeong-nam, who w as looking at the times by using the narrative method called Mongyurok At the same time, the newly introduced copy of 「Choi-Cheok-Jeon」 of Yoo-Il-jae s Jongtaek is drawing attention as it has a record of the owner of Ga-ya-gueng-Gu-dang House and stamps of Gwang-san-hu-in, Kim-Chi-Sang-bo, and Seong-eung-ga-jang. The owner of the house is Kim, chi-sang, the fifth generation grandson of Yoo-Il-jae Kim, Eon-gi, and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Choi-Cheok-Jeon」 of Yoo-Il-jae s Jongtaek was transcribed from the mid-17th to early 18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which is newly discovered and introduced as classic novel materials in the family, focused on family-oriented literature and the culture of stamp of books in relation to traditional documentary education. The collection of Yoo-Il-jae s Jongtaek, 「Kim-Cheong-Nam-Mong-Yoo-Rok」 and 「Choi-Cheok-Jeon」 contains stamp of books, an important data to identify the genetic aspects of the family s litera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ture transmission within the family and the culture of stamp of books contains various import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historical culture of the traditional period. The cultural tradition of the transmission of literature records centered on the family shows that the famil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xis of record cultur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not only the literature, but also to the subjects who passed on the literature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ng the traditional recording culture.

      • KCI우수등재

        염상섭과 4·19혁명

        오창은(Oh, Chang eun)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0

        염상섭은 1960년 4·19혁명이 발발하던 시기에 예술원 종신회원이자 한국문단을 대표하는 원로문인이었다. 이 논문은 노년의 염상섭이 1960년 4·19혁명에 어떻게 대응했는가를 살핌으로써, 그의 문학이 견지하고 있는 사회의식의 실체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염상섭과 4·19혁명’의 관계를 통해, 혁명은 세대간 연대를 통해 정당성이 획득된다는 사실을 확인하려 했다. 염상섭은 1959년 5월 8일에 문인 32명과 함께 「경향신문 발행허가취소처분의 시급한 철회를 정부와 여당에 엄숙히 요구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고, 1959년 5월 9일자 『동아일보』 1면에 「여론의 단일화냐?」라는 장문의 칼럼을 게재했다. 이 시기 염상섭은 자유당을 비판하며 민주주의의 근간으로서 언론의 자유를 강한 어조로 옹호했다. 이승만과 이기붕의 당선을 위해 문화예술인이 동원되던 때에 염상섭이 행한 문필활동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는 원로문인으로서 부당한 권력 정치권력 행사에 대해 분명한 거리두기를 선택했다. 염상섭은 자유당 정권의 부정선거에 분노해 4·19혁명이 진행 중인 시점에서 신문에 문제적인 글들을 발표했다. 그는 「대도로 가는 길」이라는 글을 『동아일보』 1960년 4월 25일자에 발표했고, ‘4·19혁명’ 이후인 1960년 5월 3일에는 『조선일보』에 「학생들의 공은 컸다, 사회적면에서 실핀 4·19위업」이라는 글을 게재했다. 염상섭은 이 두 글에서 4·19혁명에 대한 지지의사를 분명히 표현했고, 원로 문인으로서 현안 문제해결 방안을 제언하기도 했다. 염상섭의 학생 지지발언은 변혁기에 이뤄진 구세대와 신세대의 연대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는 한국사회의 진통을 민주주의의 토대형성이라는 측면에서 긍정했고, 민주국가 건설이라는 대의적 관점을 유지하며 청년세대에 대한 고언을 아끼지 않았다. 염상섭은 민족국가 형성에 대한 열망과 민주주의 토대 형성이라는 대의를 자신의 문학적 태도로 견지했다. 이는 염상섭 리얼리즘 문학의 한 지향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더불어 염상섭의 글은 1960년 4·19혁명이 ‘젊은 학생들의 희생’이 불러일으킨 부채의식, 그리고 노년세대까지 아우르는 광범위한 세대적 공감과 연대 의식을 보여주기에 의미가 있다. Yeom Sang-seop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Korea’s recent-modern literature. He was born in 1897.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he was a representative Korean literary man, and during Korea’s liberation period, he was a journalist serving as the chief editor of the Kyunghyang Shinmun. During the Korean War, he served as a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Officer at Navy Headquarters, and in the 1950s, he was the president of Seorabeol Art College. During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he was a long-life member of the National Academy of Arts, and a representative senior literary man of Korea’s literary circles.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how Yeom Sang-seop, in his advanced age, responded to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to identify the social perception of Yeom Sang-seop’s literature. Also, it sought to verify that,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eom Sang-seop and April 19 Revolution, the revolution proved legitimate through the ties between generations. On May 8, 1959, Yeom Sang-seop, together with 33 literary men, declared a statement, strongly demanding that the government withdraw its cancellation of the publication of the Kyunghyang Shinmun Newspaper. He ran a long column in the Dong-A Ilbo on the first page on May 9, 1959, under the title of “Is the public opinion united?” At that time, Yeom Sang-seop strongly defended the freedom of speech as the foundation of democracy, and sharply criticized the Liberal Party. When cultural artists were forcefully used to help the election of Syngman Rhee and Lee Ki-poong as president and vice president, Yeom Sang-seop’s literary activities were profoundly meaningful. As a senior literary man, he showed a distinctive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government exercising political power improperly. Yeom Sang-seop’s criticism of the Liberal Party government and his anger over the corrupt election carried bigger weight in his writings published during the April 19. He ran The Way to the Big Road in The Dong-A Ilbo on April 25, 1960. On May 3, 1960,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he ran “Students Did Great Thing; the Great Feat of April 19 Revolution” in The Chosun Ilbo. In these two articles, Yeom Sang-seop distinctively supported the April 19 Revolution, and proposed solutions to the pending issues as a senior literary man. His remarks of supporting the students’ action are meaningful in terms of the ties between the old and new generations during the revolutionary and reformative period. He affirmatively saw the ordeal of Korean society as the creation of democatic foundation, advocated the construction of a democratic nation, and offered bitter yet useful advice to the young generation. Yeom Sang-seop advocated the passion for forming a nation and the creation of a democratic foundation. This is part of Yeom Sang-seop’s realism. In light of his writings published in newspapers, the April 19 Revolution was made successful because young students sacrificed themselves, which obliged adults to do something in return, and because a wide range of sympathy and consensus was formed across generations including the elderly generation.

      • KCI등재

        한국시사에서의 문자적인 것의 기능적 변천 - 이상(李箱)으로부터 기형도에 이르는 긴 여정 안에서

        정명교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科學 Vol.116 No.-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yrics, and besides little known, is the dialogical form. It has caused the predominance of ‘the audible.’ Whereas the emergence of ‘the literal’ has been started by the aspiration to appropriate ‘the modern (mode of existence)’ for which the theoretical argumentations were expressed by Kim, ki-rim. The pure literal poetry was attempted by Yi, sang. Kim, Soo-young and the 4.19 generation hav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literal’ and took the ‘hangul’(Korean alphabet) as the powerful instrument to set up the basic format of Korean Modern Literature. While the ‘literal’ was the sign of the ‘modern’ for Yi, sang and Kim, ki-rim, it became that of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for Kim, Soo-young and 4.19 generation. Korean Modern Literature has been developed smoothly by the autonomy and structural stability of hangul. This function of ‘the literal’ was challenged by the 1980s’ poets. The poet Lee, Seong-bok opposed ‘the oral’ against ‘the literal’ that had been considered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dominant ideology. His poetic history has continued to try to wake ‘the oral’ that had been oppressed by the literal. However, The poet Ki, Hyung-do of the next generation who had been influenced by Lee, Seong-bok couldn’t abandon ‘the literal’ because he had perceived that the revival of the paroles of the society of his era didn’t function as the revolt against the dominance of the fixed ideas. Therefore, his poetic strategy seeks the deconstruction of ‘the literal’, within ‘the literal’, through the literal virtuosity. 전통적 한국시가의 특성 중의 하나는 대화성이며, 이는 청각적인 것의 우세라는 현상을 낳았다. 그에 비해 한국시에 있어서 ‘문자적인 것’의 등장은 근대의 확립에 대한 열망과 함께 태어났다. 그에 대한 이론적 언표는 김기림을 통해 처음 나타났는데, 실제로 순수한 문자적인 시는 이상에 의해 처음 시도되었다. 그리고 김수영과 4.19세대에 와서 문자적인 것은 청각적인 것을 압도하며 한국문학의 기본 형식을 세우는 데 가장 강력한 도구로 쓰인다. 이상에게 문자적인 시가 ‘근대문학’의 징표였다면, 김수영과 4.19세대에게 그것은 ‘근대한국문학’의 징표가 된다. 한국문학은 이 문자의 독자성과 한글이라는 문자 구조의 수월성에 힘입어 잘 생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자의 역할은 1980년대의 한 탁월한 시인에 의해서 도전을 받게 된다. 이성복에게 문자는 제도화된 언어, 즉 억압과 수식(修飾)으로 기능하는 언어였다. 이성복의 시는 문자적인 것에 대항해 ‘구어(口語)적인 것’, 혹은 ‘음성적인 것’의 회복을 내세운다. 시인의 태도는 지금까지 거의 이해되지 못했지만 실질적으로 초기 시편들로터 『아, 입이 없는 것들』을 거쳐, 최근의 『래여애반다라』에까지 수미일관한 태도를 이룬다. 이성복의 시적 실천은 궁극적으로 정치와 삶의 근대적 형식에 대한 근본적인 부정을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다음 세대인 기형도에 와서 ‘음성적인 것’에 대한 지향은 부정된다. 그것은 그가 이성복의 태도를 부정했다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다만 그는 이성복에게 근거가 되어주었던 ‘입’에 대한 믿음이 좌절되고 마는 과정을 겪는다. 기형도 시의 특징은 그러한 좌절의 과정을 시를 통해서 감추어진 드라마로 제시한다는 것인데, 그 드라마의 제시를 ‘쓰다’라는 동사, 즉 글쓰기의 방식으로 행한다. 즉 그는 말의 좌절을 글로 복기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기형도의 시에서는 단순히 음성적인 것의 부정과 문자적인 것의 긍정이 표명되는 것이 아니라, 문자의 수행성이 그대로 연출된다. 따라서 기형도에 와서 문자의 작동은 실질적으로 강화되었다는 것을 가리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형도의 ‘문자’는 4.19세대와 보여준 바와 같은 자기세계의 수립 및 근대한국문학의 정립과 연동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문자로 표상되는 근대 바깥의 대안세계의 실제적인 부재를 환기하며, 문자에 대한 저항을 문자 내부의 해체를 통해서 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인문학에서 인문콘텐츠학으로의 확장: 문화콘텐츠학 1세대의 논의를 중심으로

        신광철 인문콘텐츠학회 2022 인문콘텐츠 Vol.- No.64

        Cultural content studies occupy a unique position in Korean academia. Cultural content studies has a history of almost simultaneously launching conferences and departments. Academic societies and departments were established by existing humanities scholars who discovered the importance and possibility of cultural content phenomena. The first generation of cultural content studies were humanities scholars represented by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head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Humanities Contents Society, it will be meaningful to reflect on the legacy left by the first generation of cultural content studies. In order to reflect on the legacy of first-generation cultural content scholars, I reflected on the academic work of Park Sang-cheon of literature, Kim Ki-deok of history, and Lee Ki-sang of philosophy. This study explored themes such as recognition of the background and context of their cultural contents phenomenon, definition of cultural contents concept, and composition and prospects of cultural content studies. Each of them extended the perspectives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to expand from the humanities to the humanities content studies. The flow of cultural content studies as a complex science proposed by Park Sang-cheon, cultural content studies as a humanities convergence science by Kim Ki-duk, and cultural content studies as an integration science by Lee Ki-sang each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from the humanities branch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한국 학계에서 문화콘텐츠학은 독특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문화콘텐츠학은 학회와 학과가 거의 동시에 출범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문화콘텐츠 현상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발견한 기존 인문학자들에 의해 학회와 학과가 세워졌다. 문화콘텐츠학 1세대는 문학, 사학, 철학으로 대표되는 인문학자들이었다. 인문콘텐츠학회 설립 20주년을 앞두고 있는 지금, 문화콘텐츠학 1세대가 남긴 유산을 되새기는 작업은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1세대 문화콘텐츠학자들의 유산에 대한 성찰을 위해, 문학의 박상천, 사학의 김기덕, 철학의 이기상 선생(先生)의 학문적 작업을 반추해 보았다. 금번의 연구에서는 이들의 문화콘텐츠 현상의 배경 및 맥락에 대한 인식, 문화콘텐츠 개념 정의, 문화콘텐츠학의 구성과 전망 등의 주제를 천착해 보았다. 이들은 각각 문학, 사학, 철학의 관점을 연장하여 인문학에서 인문콘텐츠학으로의 확장을 도모하였다. 박상천이 제기한 복합학으로서의 문화콘텐츠학, 김기덕이 제기한 인문융합학으로서의 문화콘텐츠학, 이기상이 제기한 통합학으로서의 문화콘텐츠학의 흐름은 각각 나름의 특징을 지녔으며, 그 특징은 문학, 사학, 철학이라는 인문학의 분과 학문으로부터 비롯된 것이었다.

      • 서천 지역의 3ㆍ1운동

        김진호(Kim Jin-ho)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08 충청문화연구 Vol.1 No.-

        The Korean people exercised the national power restoration movement to defend their nation and independence in the process of Imperialist Japan's aggression. At the areas of Seocheon, modernized private schools took the lead to instill national consciousness & anti-Japanese consciousness into the hearts of the students. In addition, modernized knowledge and consciousness formed with the dissemination and propagation of Christianity. Besides, due to pillage and plundering of colony, the consciousness of anti-Japanese sentiment and independence rose up. The Samil Movement at Seocheon areas began with the gathering up associates by jo, Nam-myung who had accesse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n March 4, 1919. However, jo, Nam-myung-led Independence Movement fell through because his promotion scheme was detected by the Japanese police before he took an action and finally he was arrested. On March 29, 1919, a large scale independence movement was exercised under the lead of Song, Ki-myeon at a marketplace Sinjang-ri, Masan. They exercised independence movement coming to blows with the Japanese police force and demolishing a police box. Afterwards, on March 30, about a crowd of about 3,000 was crying "Hurruh! Independence" at Hwasan-ri, Jeongcheon, when the imperialist Japan attempted to quell this revolt by mobilizing 7 army members, such as infantry staff sergeants from Hongju.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at Seocheon areas was a representative Independence Manse[Hurrah]Movement revealing Korean people's passion for their aspiration to independence at that time. This movement was actively initiated by the young generation aging 20 to 30 together with the Christians as a principal axis. Its subsequent oppression by imperialist Japan was really fierce as well.

      • KCI등재

        50~60년대 북한 리승기의 비날론 공업화와 주체 확립

        김근배(Kim Geun Bae) 역사비평사 2015 역사비평 Vol.- No.112

        This paper examines Li Seung Ki’s Vinalon as an example to show how a scientific achievement affected historical change in North Korea. With the support of Kim Il Sung, scientist Li Seung Ki not only advanced scientific research but also realized its industrialization. Accordingly, the world’s largest Vinalon factory in North Korea was regarded as a scientific and political achievement. The astonishing industrialization of Vinalon, under the backward conditions of North Korea, had a huge scientific and social impact. A technical revolution that would drive industrial development was started, and establishment of the Juche ideology that emphasized self-reliance and locality was reinforced. Although the technical revolution did not achieve decisive results in the end, Juche spread and paved the way for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ideology in North Korea. This resulted from political appropriation of the ideological value of Vinal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