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箕子朝鮮과 小中華

        박대재(Park, Dae-Jae)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기자조선 전승이 중국 전한~삼국 시기에 성립되는 과정은, 漢의 朝鮮4郡설치 및 낙랑지역 호족들의 기자 선조의식을 계기로 전개되었다. 고구려는 낙랑군을 점령한 이후 그 지역의 箕子神을 제사하였다. 이것은 기자조선 전승이 고구려에 수용된 것을 의미하며, 이를 계기로 고구려는 箕子國(朝鮮)의 후신으로 인식되었다. 8세기에 들어 唐은 신라를 동방의 君子國으로 인식하였는데, 9세기 이후 崔致遠등의 신라 지식인들은 신라를 군자국으로 자부하였다. 이러한 신라의 군자국 의식은 기자 전승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현실적 소중화 의식이라기보다는 발해에 대한 경계심‧적대감과 함께 신라의 말세적 현실에 대한 좌절감의 역설적・복고적 표출에 가깝다고 이해된다. 11세기 고려에서 나타난 기자 계승 의식과 소중화 의식이 12세기 초 箕子祠제사를 통해 제도화되고, 『三國史記』를 통해 기자조선이 삼국시대 이전의 중심 시대로 설정되었다. 기자조선이 국사에서 고조선사의 중간 단계로 체계화된 것은, 13세기 후반 李承休의 『帝王韻紀』에 이르러서였다. 『제왕운기』에서는 前朝鮮(단군)과 後朝鮮(기자)의 체계를 세우면서, 기자조선을 소중화의 표상으로 제시하였다. 고려 중~후기에 기자조선이 국사화되는 과정은 고려와 宋・거란(遼)・여진(金)・몽골(元) 사이의 다원적 국제관계 속에서 등장한 소중화 의식의 성장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The process that the legend of Kija-Chosŏn(箕子朝鮮) came into existence during the Former Han dynasty to Three Kingdoms periods was related to the Han dynasty"s establishment of the Lelang Commandery and the awareness of ancestors from the local groups such as Han(韓) or Wang(王) families. After occupying the Lelang Commandery, Koguryŏ(高句麗) began to perform ancestral rites for Kija(箕子, Qizi), a god of the region at that time. This signifies that the legend of Kija was accepted by Koguryŏ"s society, which was connected to the fact that Koguryŏ was considered to be Kijaguk(箕子國; Kija State, refers to Old Chosŏn)"s later self. In the eighth century, the Tang dynasty recognized Silla as a ‘state of Junzi(君子; noble man)", and Silla"s intellects such as Ch"oe Ch"wŏn (崔致遠) were proud of Silla being a ‘state of Junzi(君子國)" after the ninth century. The perception of the ‘state of Junzi" was originated in the legend of Kija, a phenomenon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a paradoxical and retro expression of the consciousness of ‘little China(小中華)". During the 11th century, the perception of the succession and worship for Kija appeared in the Koryŏ dynasty, which was institutionalized through the rite of Kijasa(箕子祠; a shrine for Kija) in the early 12th century. In the end, Samguk Sagi(三國史記) defined Kija-Chosŏn as the central historical stage in the pre-ancient period. Then, in the end of the 13th century, the Kija-Chosŏn period was systemized as an intermediate stage of Old Chosŏn’s history by the time when Yi Sŭnghyu(李承休)’s Chewang-un"gi(帝王韻紀) was published. In this book, which has the chronological system of the Former Chosŏn(前朝鮮; refers to Tangun-Chosŏn) and the Later Chosŏn(後朝鮮; refers to Kija-Chosŏn), suggested Kija as an emblem of little sinocentrism. The courses that the national history includes Kija-Chosŏn in the middle of the Koryŏ dynasty period was link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erception of the little sinocentrism; that is, little sinocentrism reappeared and grew in the dynamic international relationship among Koryŏ, the Song dynasty, the Kitan(Liao), and Jurchen(Jin) in this period.

      • KCI등재

        조선시대 기자조선에 대한 비판적 인식

        조원진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81

        이 글은 조선시대 기자조선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성리학을 건국 이념으로 성립된 조선은 기자 동래를 인정하고 기자조선을 한국사 체계에 받아들였다. 그럼에도 비교적 객관적인 시각으로 기자조선을 부정하거나 관련 기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인식들이 있었다. 기자 전승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는 주로 주나라 무왕이 기자를 조선에 봉했던 기록의 모순점을 지적하거나, 기자가 도읍한 곳이 지금의 평양이 아니라고 보는 견해 등이 있다. 대표적으로 정사신은 『매창문집』에서 기자가 주나라에 조회하고 무왕이 기자를 조선에 봉한 이야기는 진나라 이후 야인이 만든 이야기를 사마천의 『사기』에서 답습한 오류라고 보았다. 그는 한대(漢代)가 되어야 비로소 중국에서 조선이 있음을 듣게 되었다고 이해했다. 조선 후기 기자가 조선에 봉해졌다는 『사기』의 기사나 『동국통감』에 인용된 출처가 불확실한 함허자의 글을 비판하는 견해가 꾸준히 나왔다. 박지원의 『열하일기』 등은 기자의 도읍지를 지금의 평양으로 보는 것을 부정적으로 파악하기도 했다. 조선시대 기자조선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일부 학자들의 견해에 그쳤으며 기자조선을 완전히 부정하는 단계로 나아가지는 못한 한계가 있다. 하지만 시대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객관적 시각에서 기자조선 관련 기록을 검토한 이러한 인식은 근대 시기 기자조선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d critical awareness on Kija Joseon(箕子朝鮮) in the Joseon(朝鮮) Dynasty. Joseon, which established Sung Confucianism as its foundational principle, recognized the theory that Kija(箕子) came to Korea and incorporated Kija Joseon into the Korean history system, though it was somewhat recognized that the Kija Joseon was rejected from a relatively objective viewpoint or that related records had to be critically reviewed. The Kija tradition has been criticized by two views: it contradicts with the record showing that King Wu enthroned Kija as the king of Joseon; and the capital determined by Kija was not Pyongyang. For example, Jeong Sasin noted in Maechangmunjip(『梅窓文集』) that the story in which Kija paid a visit to the Zhou dynasty and King Wu enthroned him as the king of Joseon, which was created by an unrefined man after Qin, was wrongly repeated in Sagi(『史記』) of Samacheon. He understood that Chine had not heard about Joseon until the Han dynasty. There has been continuous criticism against the article of Sagi, which argues that Kija was enthroned as the king of Joseon, or Ham Heoja’s unauthentic writing quoted in Dongguktonggam(『東國通鑑』). Park jiwon’s Yulha Journal(『熱河日記』) and others negatively recognized the viewpoint that Kija’s capital was Pyongyang. The critical awareness on the Kija Joseon was limited to some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was a limit in completely rejecting it. Such an awareness, which make records about the Kija Joseon from a relatively objective viewpoint, in spite of the historical limit,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led to a full-fledged reconsideration on the Kija Joseon in the modern times.

      • KCI등재

        기자(箕子) 전승의 확대 과정과 그 역사적 맥락 ―중국 고대 문헌을 중심으로

        오현수 ( Hyun Su Oh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79 No.-

        ``朝鮮``을 기재한 고대 문헌에서 殷·周 교체기에 箕子朝鮮 조문은 14회라는 많은 회수가 기재되어 있지만, 西周代에는 단 1회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箕子와 朝鮮을 연계시키고 있는 기사들이 역사적 사실을 보여주고 있는지에 대한 문헌 고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우선 箕子朝鮮說 등장 이전의 기자 전승을 분석해 보았는데, 기자 전승의 원형은 기자와 紂王의 대립이었다. 이것이 ``囚箕子說`` → ``釋箕子說`` → ``箕子來朝說`` → ``洪範敎授說``의 순으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이로부터 기자와 조선을 연계시킨 전승이 새로이 추가되어 간다. 『尙書大傳』은 기자를 조선과 연계한 최초의 문헌으로, 前漢 武帝代 伏生의 문도가 스승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저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후 기자 전승은 『史記』 단계에 ‘麥秀之詩作者說’이, 『漢書』에서는 ‘箕子敎化說’과 ``犯禁八條`` 항목이, 또 『魏略』에서는 ``朝鮮侯=箕子之後孫說``이, 『三國志』와 『後漢書』에서는 ``犯禁八條制定說``이, 마지막으로 『隋書』와 『太平환宇記』에서는 ``箕子朝鮮⇒高句麗說``이 새로 등장한다. 이러한 기자 전승이 확대된 역사적 배경은 前漢 武帝의 조선 정벌과 樂浪郡의 효율적 통치, 그리고 隋·唐代 고구려 침략시에 침공의 명분을 얻기 위해 필요했던 사상과 역사 방면에서의 조치로 보인다. 따라서 箕子朝鮮說은 해당 전승이 필요했던 시대의 역사적 산물로서 실제 역사를 반영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 할 수 있다. Among the ancient documents which record ``Joseon``, the Kija Joseon article appears as many as 14 times during the Yin-Zhou transition. However it does not appear even once during the following Western Zhou.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verify whether the passages linking Kija and Joseon reflect historical fact. Firstly, the Kija legend before the appearance of the Kija Joseon theory was analyzed, the original form of the Kija legend was that of antagonism between Kija and King Zhou. This was expan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Kija being imprisoned by King Zhou`` → ``King wu freeing Kija`` → ``Kija visiting King wu`` → ``Kija explaining the Hongfan to King wu``. From this, a legend linking Kija and Joseon was newly added. The first document to link Kija with Joseon was the Sangseodaejeon, which was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Emperor Wu of the Former Han Dynasty by a disciple of Fu Sheng, who recorded his master`s teachings. Afterwards, new elements were added to the legend of Kija in the following sequence: the Shiji records that ``Kija composed a poem called ``maixiu`` `` → the Hanshu records that ``Kija civilized the people of Joseon`` → the Weilue records that ``Joseonhu was a descendant of Kija`` → the Sanguozhi and Houhanshu records that ``Kija enacted the eight forbidden behaviors`` → the Suishu and Taipinghuanyuji records that ``the ancestors of Goguryeo was Kija Joseon``. The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expansion of the Kija legend was ideological and historical measures taken to grant moral justification to Emperor Wu of the Former Han Dynasty`s invasion of Joseon and the need for efficient rule of Lo-lang Commandery and the Sui-Tang Dynasty`s invasion of the Goguryeo Dynasty. Therefore, the Kija Joseon theory was a result of the historical needs of the time and does not reflect historical fact.

      • KCI등재

        기자조선은 사실인가 허구인가

        韓永愚 ( Han Youngwoo ) 진단학회 2021 진단학보 Vol.- No.136

        Scholar-officials in premodern Korea and China seldom doubted the existence of Kija Joseon in ancient Korean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twentieth-century, the Japanese colonialist historians falsely claimed that Kija Joseon had been a Chinese colony. This prompted the nationalist historians at that time to deny the existence of Kija Joseon and to consider it as an outcome of historical fabrication. Since then, Kija Joseon had faded away in ancient Korean history. These scholars remain dubious of the authenticity of archaelogical remains and artifacts supposedly linked to Kija Joseon and emphasize that historical sources evidencing Kija’s migration to Korea only appeared much later in the sources of the Han Dynasty. The belated appearance of documents in the Han period testifying to Kija’s migration, in my view, however, may have been due to the facilitated influx of Korean historical information into China caused by the increasingly intimat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during the Han Dynasty.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possibility of Kija Joseon’s actual existence should be taken more seriously. First, Koguryo that inherited the territory and tradition of Old Joseon venerated Kija as a local god along with Tan’gun. While Tan’gun was worshiped as the founder of Early Joseon, the cult of Kija was premised on the belief that he was the founder of Later Joseon. Second, numerous historical sources including official dynastic histories specifically mentioned that Seonu(鮮于), Han(韓), and Ki(奇) clans of Korea were the descendants of Kija. From early on, these clan members were aware of their descent from Kija and played important roles in building a Kija shrine in Pyongyang and boosting Kija worship during the Koryo and Joseon periods. Furthermore, this article traces the trajectory of how the perceptions of Kija evolved and how the studies on Kija Joseon were carried out by scholar-officials during the Koryo and Joseon periods. Their scholarly efforts demonstrate their on was a historical reality.

      • KCI등재

        箕田 논의에 대한 고찰

        변은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3 고전과 해석 Vol.41 No.-

        평양에는 箕子墓, 崇仁殿, 箕子井, 그리고 箕田 등 箕子와 관련한 유적이 많이 있다. 각각의 장소는 저마다 가진 장소로서의 특성 외에도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받기도 하였다. 대표적으로 기자묘와 숭인전은 세종 때 倪謙 등의 명나라 사신이 참배하고 詩賦를 짓는 곳으로 사용한 이후로 조선과 명나라 간의 책봉 관계를 드러내 보이는 장소로서 기능하였다. 箕田이 장소성을 부여받는 과정은 하나의 장소를 새롭게 인식하는 것이 그 시대의 중심 화두와 어떻게 밀접한 관련을 맺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구암 한백겸이 기전이라는 장소에 처음으로 특정한 장소성을 부여한 이후로 기전 논의가 여러 학자에 의해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기전의 구획 주체를 기자로 인식하는지에 대한 문제부터 기전이 『맹자』의 井田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기전의 구획 형태가 현실의 井田制에 적용될 수 있는지의 문제까지 광범위한 담론이 생성되었다. 본고에서는 하나의 장소가 특정한 상징성을 지닌 장소로 인식되고 부각되는 과정, 그리고 그 장소성에 대한 여러 異論의 대립, 그 異論의 전개 과정에서 보이는 각 학자의 논지 전개 방식에 주목하여 箕田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In Pyongyang, there are many places related to Kija, such as Tomb of Kija, Temple of Kija, Well of Kija, and Well Fields of Kija. Each of these places not only served the function assigned as a location but also acquired its own placeness. For example, Tomb of Kija and Temple of Kija, notably used by Ming envoys during the Sejong period for worship and writing poem and rhapsody, functioned as places revealing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osŏn and Ming dynasty. The process by which Well Fields of Kija gained its own placeness clearly illustrates how recognizing a location anew can be closely related to the central issues of that era. Since Han Baek-kyum(韓百謙) first attributed specific placeness to Well Fields of Kija, discussions about Well Fields of Kija have evolved diversely among various scholars. These discussions range from issues like whether the designer of Well Fields of Kija is Kija or not to how Well Fields of Kija is connected to the Well Fields in the Mencius (孟子), and even to the broader discourse on whether the form of Well Fields of Kija could be extended to the well-field system in real life.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a location is recognized and highlighted as having specific symbolism, the various opinions regarding that symbolism, and the argumentative approaches of scholars in the development of those opinions.

      • KCI등재

        箕子傳承의 형성과정 연구

        오현수(Oh, Hyun-Su)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箕子朝鮮說이 형성되기 이전의 선진시기 기자 관련 기록에 대한 정치한 분석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선진시기의 문헌들과 箕子朝鮮說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전한 초기의 『회남자』・『상서대전』・『사기』의 箕子傳承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선진~전한 초기에 형성된 기자 전승은 총 열아홉 가지인데, 역사적 순서에 따른 기자 전승의 흐름은 (紂王의 失政) → 箕子賢人說→ 箕子恨歎說→ 商亡豫見說→ 箕子忠臣說→ 箕子諫言說→ 箕子奴婢說/箕子狂人說/箕子避難說/囚箕子說/箕子困窮說→ (폭정의 가속화) → (武王의 勝利) → 釋箕子說/釋箕子說-召公論→ 淨箕子之宮說→ 箕子之明夷說/箕子東來說/箕子朝鮮說→ (西周燕의 分封) → 箕族保護說→ 箕子來朝說・洪範敎授說・晉興豫見說’의 순서였다. 그러나 각각의 전승을 담고 있는 문헌은 이와 같은 흐름의 순서대로 성서된 것이 아니다. 기자 전승의 역사구조적 순서와 함께 각 전승의 형성 시기를 고려하여 전체 기자 전승의 흐름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고려한 전체 기자 전승의 흐름은 箕子忠臣說/商 亡豫見說(은말주초~춘추시대) → 箕子賢人說(은말주초~춘추시대 말) → 箕子奴婢說/晉興豫見說(춘추시대 말) → 箕子狂人說(전국시대 혹은 전국시대 말) → 箕子恨歎說/箕子諫言說/箕子避難說/箕子困窮說/囚箕子說/釋箕子說/釋箕子說-召公論/洪範敎授說(전국시대 말) → 淨箕子之宮說(전국시대 최말기~진대) → 箕族保護說(전한초) → 箕子之明夷說/箕子東來說/箕子朝鮮說/箕子來朝說(전한 무제대)의 순서가 된다. 이러한 선진~전한 초기 기자 전승은 전한 무제대의 사마천에 이르러서 집대성되어 『사기』에 수록된다. 사마천이 기록하고 있는 기자 전승은 대체로 기존의 기자 전승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리고 商亡問答說, 箕子操作曲說, 武王訪問說, 麥秀之詩作者說, 箕子隱居說의 새로운 전승을 더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기자 전승의 형성과정에 있어서 주목할 점은 전한 무제대에 새로운 기자 전승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자 전승의 확대 과정은 위만조선의 멸망에 대한 역사적, 사상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고안되었다는 것을 보여 주기에 충분하다. Accurate analysis to records the discourse of Kija-Joseon shown in PreChina-Literature yet didn"t accomplish. Therefore a systematic analysis to Kija"s legends of PreChina-Literature is tried in this article. As a result, the Discourse of Kija being imprisoned by King Zhou and the Discourse of King Wu freeing Kija were not early versions but were later versions of Kija"s legends. And there was not Kija"s legends of relating Kija and Joseon in PreChina-Literature. A historical background to form the discourse of Kija-Joseon was ideological and historical measures taken to grant moral justification to Emperor Wu of the Former Han Dynasty"s invasion of Wiman-Joseon and the need for efficient rule of Lo-lang Commandery. Therefore, the discourse of Kija-Joseon was a result of the historical needs of the time and does not reflect historical fact.

      • KCI등재

        정약용(丁若鏞)의 기자(箕子) 인식(認識) - 고법(古法)탐구와의 연동(連動)을 중심으로 -

        윤석호 ( Yoon Suk-ho ) 한국실학학회 2021 한국실학연구 Vol.- No.42

        정약용의 기자 인식은 비균질적이면서도 전환적으로 변화했다. 또한 보편적 유교문화의 시원으로서 기자를 정위한다는 기조를 공유했으되, 기자로부터 전래된 보편문화가 무엇이었는가에 대해서는 당시의 유자들과 상이한 견해를 가졌다. 이에 본고는 다산의 기자 인식이 古法에 대한 독법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 양자를 계기적으로 논증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사료적 가치에 있어 후대의 역사서보다 經書를 우선했다는 점, 경서에 대한 해석을 토대로 유교의 보편적 전장을 궁구했다는 점, 또한 이것이 기자의 역사성을 판단하는 준거로 활용되었다는 점 등은 다산의 기자 인식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되는 특징이었다. 그럼에도 다산의 기자 인식은 유배기 전후로 크게 달랐는데, 이는 고법과 기자에 대한 경전적 해명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먼저 사환기까지의 다산은 기자의 동래와 그로 인한 행적 전반에 대한 경학적 전거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단군이 한반도를 다스렸고 ‘朝鮮’이라는 명칭도 이때부터 있어왔다고 보았던 한편으로, 기자의 동래 나아가 평양에 도읍을 세웠다는 것에는 강한 의문을 표했다. 이러한 입장은 당시 ‘기자정전’으로 운위되던 평양의 격자형 유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유지의 구획는 ‘井’자가 아닌 ‘田’자였는데, 이와 같은 형태는 『맹자』의 정전에 대한 경문과는 부합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것은 다산이 ‘기자정전’을 인정하지 않았던, 대신 이를 당나라의 이세적이 운영했던 둔전의 유지로 추정케 했던 경학적 근거였다. 그러던 다산에게 강진 유배기는 유학의 보편적 전장을 본격적으로 궁구할 시공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다산은 『周易』의 明夷卦를 역사적으로 재해석하여, 기자 동래에 대한 경전적 근거로 삼았다. 또한 『주역』의 坤卦, 『尙書』의 洪範九疇와 六鄕制, 『周禮』의 營國원리 등을 재해석했다. 그리고 ‘井’자가 토지제도에서부터 도성[읍성]건설, 나아가 통치 이념에 이르는 삼대 전장에서의 보편적 원리였음을 추론했다. 이와 같은 고법 독법 하에서 다산은 기자의 흔적을 평양의 유적 가운데에서 해명했다. 그런데 그가 주목한 것은 평양성 밖의 이른바 ‘기자정전’이 아닌 평양성 내부의 격자형 유지였다. 동래한 기자가 고법에 의거해 평양성을 조영했으니, 내부에 남아 있는 ‘井’자 형태의 공간 구조가 바로 그 증거라는 것이다. 이로써 다산은 고대의 한반도를 유학의 보편적 전장이 시행된 시공으로, 그와 같은 경학적·역사적 추론에 대한 실증적 근거로서 평양성을 위치시켰다. 이처럼 다산에게는 보편적 전장의 해명이라는 학술적 목표가 일관되게 저류하고 있었다. 특히 유배기 이후로는 경전의 재해석을 통해 고법에 대한 기왕의 독법을 조정했으며, 그 논점을 통치체제의 차원으로 확대했다. 다산의 이러한 학술적 경과 속에서 고법은 기자와의 주요한 교점이 되었다. 그리고 고법 독법의 변화에 근거해 기자에 대한 인식 또한 연동했고, 이 과정에서 기자는 고대 한반도에서의 문명사적 실체로서 자리매김했다.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s recognition on Kija(箕子) was inhomogeneous and conversely change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argue Dasan's perception on Kija under the connection with the process of changing his view about Old Law(古法). The fact that the historical value of the Confucian scriptures was prioritized over the later historical books, that the universal system of Confucianism was explained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Confucian scriptures, and that it was used a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historicality of Kija were characteristics that were continuously confirmed in Dasan's perception on Kija. Nevertheless, Dasan's perception on Kij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ile period, because Dasan's explanation based on Confucian scriptures for Old Law and Kija was changed. Dasan before exile was unable to provide evidence in the Confucian scriptures for Kija's migration to the east and the overall course of action related thereto. In addition, Pyongyang(平壤)'s grid-shaped historical site, so-called ‘Kija's Jeong-jeon(井田)’, was not recognized because it did not conform to the explanation of 『Mencius(孟子)』 about Jeong-jeon. Dasan was exiled by Gangjin(康津), and during that period, he studied the universal system delivered in Confucian scriptures in earnest. In this process, Dasan historically reinterpreted Ming-Yi Hexagram(明夷卦) in 『I-Ching(周易)』, and used it as a scriptural basis for Kija's migration to the east. In addition, Dasan reinterpreted Kun Hexagram(坤卦) in 『I-Ching(周易)』, the Nine Category of the Great Rule(洪範九疇) in 『Shangshu(尙書)』, Hyangsu- System(鄕遂制) in 『Zhou-li(周禮)』 and 『Shangshu』, and argued that the form of ‘Jeong(井)’ was the universal principle of the Confucian ruling system. Under this interpretation of Old Law, Dasan explained the traces of Kija among Pyongyang's ruins. However, what he paid attention to was not the so-called ‘Kija's Jeong-jeon’, but the maintenance of the grid inside Pyongyang Fortress. He understood that Kija built Pyongyang Fortress in accordance with the old law, and regarded the remaining shape of Jeong as its evidence. Overall, Dasan evaluated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as a space where the universal Confucian system was implemented. In addition, he positioned the grid-shaped historical site inside Pyongyang Fortress as an empirical basis for his Confucian scriptural and historical reasoning.

      • KCI등재

        기자조선 연구의 성과와 과제

        조원진(Cho Won-Chin) 고조선단군학회 2009 고조선단군학 Vol.20 No.-

        The legend that Kija(箕子) moved to joseon(朝鮮) in the transition period to Sangju was first recorded in 『Sangseodaejeon(尙書大傳)』compiled in Seohan period, and has been left as an unsettled question until now even after two thousand years have passed since then. Researches on Kijajoseon(箕子朝鮮) have recently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tortoise carapaces(甲骨文), bronze letters (金文), and archeology. This article examines the actual status of chief researches and main issues regarding the existence of Kijajoseon and proposes follow-up tasks for it rather than suggesting new opinion on it. There are four points which should be taken notice of for the following researches on Kijajoseon afterwards. First,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 of bibliographic study on Kijajoseon. Presently, Chinese studies expose a limitation that they accept Kija and Kija joseonseol as they are written in literatures without criticizing the historical records. In Korean studies, bibliographic study has been somewhat stagnated perhaps because of the recognition that Kija dongnaeseol was made up in after ages. However, because most of the records on Kojoseon (古朝鮮) are associated with Kija, bibliographic researches should be constantly carried out through the acute criticism of the historic materials. Moreover, when conducting studies on the recognition of Kijajoseon, researchers should not too much focus on joseon period they have abundant data of but try to clarify the process that Kija joseonseol was being established before joseon period. Second, this study will consider the issue of bronze ware related to Gi people which seems to be associated with Kija. Gihu Bangjeong(?侯方鼎) unearthed in Gaekzoahyeon(喀左縣) of Liao-xi area is a crucial material that can prove Kija dongnaeseol which cannot be verified by the documents of his time since it was made in Shang and early Zhou period(商末周初) when Kija was active and was discovered in the northeastern area which is the east to which Kija supposedly came. Although the vessels of Gi(?器) were excavated in various regions including Henan, Hebei, Shandong, and Shaanxi, advanced researches have investigated only the case of Gihu Bangjeong and have tried to define its significance limitedly.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examine the present status of excavating the vessels of Gi in various areas and try to understand the gravity of Gihu Bangjeong among them hereafter. Third, it considers the issue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ics of Sangju in Liao-xi. Previous researches have tended to simply determine that the places where the relics were excavated belong to the territory. However, it is required to examine more deliberately if such relics came in along with the move of the immigrants of Sangju or the relics were transmitted to that area without them. Furthermore, it is also need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ics by investigating the relics found around storing pits and comparing them with other relics unearthed from other areas. Fourth, this thesis will also deal with the issue of Kojoseon and the international circumstances of the time. Records on Kija dongnaeseol are based on the premise that Kojoseon was present already then. Thus, the question of Kijajoseon cannot be settled in separation of Kojoseon. The reason this issue has not been solved up to now for long is that the academic circles of Kojoseon have not cleared up their position of Kojoseon until now.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of Kijajoseon, it is necessary to settle the questions of Kojoseon’s foundation year and territory beforehand. To accomplish this, researches on the Bronze Age culture in Liao-xi and Liao-ning which are strongly believed as the initial seat of government in Kojoseon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If it is true that Kija moved to Kojoseon, he must have passed Yeon (燕) in Peking region and Gojukguk(孤竹國) in Luan He River. Accordingly, in order to prove

      • KCI등재

        漢書 의 古朝鮮·漢郡縣·箕子 자료에 대한 검토

        조원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2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Joseonjeon」, one of Old Joseon’s materials appearing in Hanshu and another 「Joseonjeon」 in Shiji . In an article on the origin of Holy King(滿王), 「Joseonjeon」 in Shiji describes him as ‘Old Yeon person’, while 「Joseonjeon」 in Hanshu records him as ‘Yeon person’ by removing the word ‘Old’, as if he was a person from Yeon, a vassal state of Han. This shows Hanshu’s limited historical recognition. In addition, 「Joseonjeon」 in Hanshu definitely records Jinbeon, a neighboring state as the ‘state Chin (辰國)’ and the specific name of Hansagun(漢四郡), probably because new materials were introduced after Shiji . In addition, the content about Changhae-gun was complemented in Hanshu and various spells of Ye Mek appeared, probably because a variety of materials were us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anderies. The 「geography section(地理志)」 was newly added to Hanshu , which provides the basic data of Yoseo-gun, Yodong-gun, Hyeondo-gun and Nakrang-gun. Moreover, the content about the fall of Wiman Joseon and the establishment of Han Commanderies can be found in many articles, but the number of established commanderies is different among them, and there are no materials about Jindun-gun and Imdun-gun in the 「geography section(地理志)」, suggesting the need to closely examine the situation in which Hand Commanderies were established. It is doubtful whether the article about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shown by 「Songmijasega」 in Shiji was created in the Samacheon’s lifetime. The 「geography section(地理志)」 in Hanshu seems to be the first Chinese authentic history in which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is surely found, in that the article about the fact that Kija came to Joseon and enlightened Joseon residents. It can be, therefore, found that the record of Hanshu is the intermediate phase of Sanguozhi which extends the ambiguous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into the theory of Kija Joseon by recording that the successive generations of kings in Old Joseon might be the descendants of Kija. In the Han dynasty, the Joseon was perceived as the East or the North. Hanseo (漢書), like Sagi (史記), organized only Old Joseon as a chapter(傳). It is, however, found that Hanseo (漢 書) partly looks out for the growth of Buyeo and Goguryeo. The oral tradition that Kija went to Joseon seems to appear in the late period of the former Han dynasty(前漢末), after the fall of Wiman Joseon. Hanseo (漢書) 「Jiriji」(地理志) added an article about inhabitants enlightened by Kija to the other article about the customs of Joseon, which was not related with Kija. In fact, it is possible to regard Hanseo as the first Chinese authentic historiography in which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Hanseo (漢書) made the theory more definite, embellished and extended in the Chinese authentic historiography. 漢書 에 나타난 고조선 자료 중 「朝鮮傳」은 史記 「朝鮮列傳」과 비교하여 몇군데 차이가 나타난다. 먼저 滿王의 출자와 관련된 기사에서 史記 「朝鮮列傳」은 ‘故燕人’이라 했는데 漢書 「朝鮮傳」은 ‘故’자를 제거한 ‘燕人’이라 하여 漢의 제후국인 燕나라 사람처럼 기록하였다. 이것은 漢書 의 역사인식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 이다. 또한 漢書 「朝鮮傳」에서 진번 주변국을 ‘辰國’이라 분명히 기록하고 漢四郡의 명칭을 기록한 것은 史 記 이후 새로운 자료가 유입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漢書 에 창해군에 대한 내용이 보완되고 예·맥에 대한 표기가 다양하게 나타난 것도 군현 설치 이후 입수된 다양한 자료를 활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 漢書 에는 「地理志」가 새롭게 편성되어 요서군, 요동군, 현도군, 낙랑군에 대한 기본 자료를 제공한다. 또 한 위만조선의 멸망과 한군현 설치에 대한 내용이 여러 기사에서 확인되는데 설치된 군현 수가 서로 다르고 진번군·임둔군에 대한 자료가 「地理志」에는 없다. 이것은 한군현 설치 당시 상황을 정밀히 검토해야 할 필요 성을 말해준다. 漢代에는 조선 지역을 동방으로 보는 인식과 북방으로 보는 인식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漢書 는 史記 와 마찬가지로 고조선만을 하나의 傳으로 편성하였다. 그럼에도 漢書 에는 단편적이지만 부여와 고구려의 성장 을 경계하는 인식도 확인된다. 箕子가 朝鮮으로 갔다는 전승은 위만조선이 멸망한 후 前漢末에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漢書 「地理志」는 본래 기자와 무관한 조선의 풍속 기사에 기자의 현지 주민 교화 기사를 추가하였다. 漢書 는 사실상 기자동 래설이 확실히 확인되는 첫 중국정사로 볼 수도 있다. 특히 漢書 를 계기로 이후 중국정사에서는 기자동래설 이 확고해지고 더욱 기자 전승이 윤색되어 확장된다.

      • KCI등재

        통신사 필담창화집 속의 단군・기자 관련 논의 검토

        장진엽(Jang, Jin-youp) 대동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59 No.-

        본고는 통신사 필담창화집 속의 단군・기자 관련 논의의 전개양상을 검토 함으로써 17-18세기 조일 교류에 나타난 고대사 담론의 일단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1636년부터 1764년까지의 필담창화집에서 단군 및 기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거론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기자가 조선으로 건너가 八條의 법령으로 조선을 교화하였다는 것은 중국 문헌에서 전하고 있는 것이므로 일본 문사들에게도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여졌다. 이에 따라 조선인에게 주는 창화시에서 조선을 箕域, 箕邦, 箕疇 등으로 표현하였으며, 조선이 기자의 교화를 입어 은나라 풍속을 간직한 문명국임을 칭송하였다. 단군의 존재는 동국통감 을 통해 일본에 알려지게 되었는데, 조선의 시원으로 인식되며 기자와 함께 병칭되었다. 단군과 기자는 통신사 교류 초기부터 1764년 통신사에 이르기까지 창화시와 필담에서 꾸준히 언급되었다. 통신사 교류 전 시기에 걸쳐 단군과 기자의 존재는 일본 문사들 사이에 별다른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1711년 하야시 호코는 제술관 이현과의 필담에서 단군과 기자의 사적에 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단군이 1,048년을 살았다는 기록의 불합리성, 그리고 “半萬殷人渡遼水”라는 구절의 출처에 관한 의문이다. 그런데 이 두 질문은 각각 「東國通鑑外紀」의 按 에서 거론된 문제였으며, 1643년 하야시 라잔이 통신사에게 보낸 편지에서 거론한 의문을 반복한 것이다. 라잔의 경우 동국통감 을 직접 읽고 이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동국통감 을 참조했다는 언급 없이 그 자신의 독창적인 견해처럼 제시하고 있다. 라잔의 문제 제기는 상고사 기록에 있어 합리성과 전거를 중시한 것인데, 이러한 태도는 이후의 다른 필담에서는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본고에서 소개한 단군 및 기자 관련 필담은 일본에서 고대 신화에 대한 근대적 접근방식이 나타나기 이전 에도시대 일본 문인들이 이 주제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취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차후 스사노오노미코토및 왕인과 같은 일본 고대사 관련 인물에 대한 논의를 아울러 검토함으로써 조일 문사 간 고대사 담론에 대한 보다 정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discussions of Tangun and Kija in the ancient history discourse of Chosŏn missions to Japan in written conversation collections during the 17 th and 18 th centuries. First, the study observed how written conversation collections from 1636 to 1764 raised the issue of Tangun and Kija. Since the Chinese texts mentioned that Kija introduced the Eight Prohibitions to Chosŏn, the Japanese literati also took this as historical fact. Thus, they referred to Chosŏn as Kisŏng (箕域), Kibang (箕邦), and Kiju (箕疇) in poetry exchanges, praising it as a country civilized by Kija and carrying on the customs of the Shang. Tangun’s existence was known in Japan through Comprehensive Mirror of the Eastern Kingdom (Tongguk t’onggam) and was recognized along with Kija as the progenitor of Chosŏn. Tangun and Kija were frequently mentioned in poetry exchanges and written conversations from early Chosŏn-Japan exchange until the 1764 mission. Throughout the missions, the Japanese literati generally had no qualms accepting the existence of Tangun and Kija. However, Hayashi Hōkō raised doubts to Yi Hyŏn about whether Tangun lived 1,048 years and which text stated that Kija brought 5,000 Shang people with him in a 1711 written conversation. This question, though, was the repeating of questions already raised by Hayashi Razan in a letter to a Chosŏn envoy in 1643. Although it is presumed that Razan read Comprehensive Mirror and raised these doubts, he presents these questions as if they were his own. Although Razan’s questions were over the evidence and credibility of the ancient texts, this attitude is not taken by Japanese literati in later conversations. This study presents examples of the attitude Japanese scholars of the Edo period took regarding Tangun and Kija in written conversations before taking a modern approach to such myths. The author will attempt to refine this analysis by examining discussions of mythical Japanese figures such as Susanoo-no-Mikoto and Wang In in the ancient history discourse of Chosŏn-Japan ex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