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청소년의 신체활동 유형 및 수행 빈도가 행복, 정신건강, 주관적 건강인지에 미치는 영향

        서성익,김근국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Types and Frequency onHappiness, Mental Health, Self-rated Health on Korean YouthSeongik Seo & Geunkook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und out how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youth affects their happiness, mental health and self-rated health, and how the physical activity types and frequency affects their happiness, mental health and self-rated health.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4,90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arried out using the SPSS 25.0 version program.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and post hoc test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ppiness, mental health, and self-rated health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 all factors. Second, In all physical activity typ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appiness, mental health, self-rated health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frequency. Based on these results, more specific physical activities program could be proposed in order to eliminate poor happiness, mental health, and self-rated health of korean youth. Key Words: Korean Youth, Happiness, Mental Health, Self-rated Health, Physical Activity 한국청소년의 신체활동 유형 및 수행 빈도가 행복, 정신건강,주관적 건강인지에 미치는 영향서 성 익*ㆍ김 근 국** 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들의 일반적 특성과 신체활동 유형 및 수행 빈도가 행복, 정신건강, 주관적 건강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전국 중학생과 고등학생 54,908명을 대상으로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조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25.0 version program을 사용하여 실시하였고, 독립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빈도분석,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 모든 요인에 따라 행복, 정신건강, 주관적 인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모든 유형의 신체활동에서 수행 빈도에 따라 행복, 정신건강, 주관적 건강인지 요인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청소년의 저조한 행복, 정신건강, 주관적 건강인지를 해소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핵심어: 한국 청소년, 행복, 정신건강, 주관적 건강인지, 신체활동 □ 접수일: 2022년 2월 12일, 수정일: 2022년 3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가천대학교 운동재활복지학과 학석사연계과정(First Author, Master’s Degree Connection Course, Gachon Univ., Email: 05ssi0928@naver.com)** 교신저자,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박사과정(Corresponding Author, Doctoral Course, Dankook Univ., Email: 3k4412@hanmail.ne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 시대에 탈북청소년대안학교의 현황과 과제

        하광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Alternative Schoolsfor North Korean Youth in the Age of COVID-19Kwangmin Ha Abstract: It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youth schools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Korea in the era of COVID-19 and to provide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To this end, prior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Through previous studies, it was reveale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re educationally vulnerable, and interviewed official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youth school (FGI) and students. At the height of COVID-19, the North Korean Youth Eye School had no choice but to conduct face-to-face classes in the early stages. The reasons were the lack of preparation for non-face-to-face classes by schools and teachers, the lack of online devices, and quarantine. There are three conclusions made through this study. First,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t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defectors due to COVID-19 have caused great difficulties for students, familie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defecto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defectors is a place where students of North Korean defectors have to take face-to-face classes. Thir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defectors found that they had soci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existing schools for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is limited to research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 Korean youth and the safety school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era of COVID-19 and continuous research by students are needed Key Words: North Korean Defectors, North Korean Defector Youth School, COVID-19, Vulnerable People, Online Education 코로나 시대에 탈북청소년대안학교의 현황과 과제하 광 민**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코로나 시대에 국내 탈북청소년대안학교의 현황을 파악하고 더 나은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서 탈북청소년들이 교육적 취약계층임을 밝히고, 탈북청소년대안학교 관계자(FGI)와 재학생들을 인터뷰했다. 연구 내용: 코로나가 한창이었던 시기에 탈북청소년대안학교는 초기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다가 전면 대면수업으로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 그 이유는 학교와 교사의 비대면수업준비부족, 온라인기기부족, 방역의 문제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내린 결론은 세 가지이다. 첫째, 코로나로 인한 탈북청소년 대안학교에서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은 학생들과 탈북민 가정, 그리고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모두에게 큰 어려움을 끼쳤다. 둘째, 탈북민 학생들이 대면수업을 해야 하는 실정에서 탈북청소년 대안학교는 보건위생적으로 안전하고 또한 안전해야 하는 공간임을 확인했다. 셋째,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탈북청소년 대안학교들은 기존의 탈북민학교의 교육 기능 외에 사회적인 기능이 있음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코로나 상황에서의 연구라는 한계가 있으며 향후 위드 코로나 시대를 맞이한 탈북청소년대안학교 관계와 학생들의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어: 북한이탈청소년, 탈북청소년대안학교, 코로나, 취약계층, 온라인교육 □ 접수일: 2022년 7월 11일, 수정일: 2022년 8월 1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본 연구는 2021년 남북하나재단 자유정착 연구주제 프로젝트를 요약・수정한 것임. ** 총신대학교 통일개발대학원 교수(Professor, Chongshin Univ., Email: kmha@csu.ac.kr)

      • KCI등재후보

        외국인가정 청소년 대상 한국어 말하기 교육을 위한 요구 분석

        홍지혜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4

        외국인가정 청소년 대상 한국어 말하기 교육을 위한 요구 분석 홍 지 혜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말하기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설문 조사는 2023년 1월 2일부터 13일까지 충남에 있는 A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9명의 외국인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두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총 1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내용: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이 말하기 연습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자신의 말하기 능력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말하기 수업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학생들은 평소 가정과 학교에서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결론 및 제언: 학습자들이 모두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는 특수성을 반영하여 학습자를 위한 수업을 설계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들의 요구 사항을 구체적으로 반영하여 학문 목적 말하기 교육이나 취업 목적 말하기 교육으로 말하기 수업을 좀 더 다층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말하기 활동을 한국어 교실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원적 학급에서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요청해야 할 것이다. 3-4명으로 이루어진 소그룹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학부모님들께도 협조를 요청하여 가정에서도 한국어 말하기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핵심어: 외국인가정 청소년, 한국어교육, 말하기 교육, 학습자 요구 조사, 러시아어권 학습자 Analysis of Requirements for Korean Speech Educationfor Young People in Foreign Families Jihye H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Korean speaking education for youth from foreign families in high school and to seek a speaking education pla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9 foreign family youths attending A high school in Chungnam from Jan. 2 to 13, 2023,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wo areas and consisted of a total of 17 questions. Through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learners put the most importance on speaking practi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felt that they lacked their speaking ability and felt a great need for speaking classes. These students often spoke Russian at home and at school.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operate classes for learners by reflecting the specificity that all learners speak Russian as their first languag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more multi-layered speaking classes with academic or employment speaking education by reflecting the requirements of learners in detail. Next, support should be requested so that speaking activities can be conducted not only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but also in the students’ original class. It is suggested that a mentoring program be run in a small group of 3-4 people. Finally, parents should be asked to cooperate so that they can practice speaking Korean at home. Key Words: Foreign Family Youth,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aking Education, Learner Needs Survey, Russian-speaking Students □ 접수일: 2024년 7월 18일, 수정일: 2024년 8월 13일, 게재확정일: 2024년 8월 20일* 목원대학교 특임교수(Professor, Mokwon Univ., Email: katerina03@naver.com)

      • KCI등재

        북한이주여성 청년들의 행복경험에 관한 FGI 연구

        전주람,이재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A FGI Study on the Happiness Experiences ofYoung North Korean Immigrant WomenJooram Jun & Jaeyoung Lee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happiness experience among young North Korean immigrant women in their early 20s by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alled group-focused interview method to deeply explore their perception of their happiness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individual experienc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five North Korean immigrant young women who can sufficiently talk about the happiness experience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from July 10 to Aug. 25, 2021, a total of two groups were conducted in a semi-structured mann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5 domains and 10 subcategories were derived for the happiness experience of young North Korean immigrant women, and the 5 domains were ‘pleasant experience in North Korea that was not recognized as a word of happiness’, ‘freedom from surveillance and oppression’, ‘Fair compensation and rules for work guaranteed by laws and institutions’, ‘discovery of new self and dreams and goals’, and ‘rich cultural experience never experienced in North Kore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scovers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happiness experience recognized by young North Korean migrant women, and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happy daily life of North Korean migrant women. Key Words: North Korean Immigrant Women, North Korean Migrant Youth, Happiness, Happiness Experience, Focused Group Interview 북한이주여성 청년들의 행복경험에 관한 FGI 연구전 주 람*ㆍ이 재 영** 요약: 본 연구는 20대 초반 북한이주여성 청년들을 대상으로 집단초점 면담법이라는 질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그들의 행복경험에 관한 인식을 깊이 탐구함으로써, 그간 가치 있게 다루어지지 못한 북한이주여성 청년들의 행복경험이 어떠한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행복경험에 관해 충분히 이야기해줄 수 있는 총 5명의 북한이주여성 청년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21년 7월 10일부터 8월 25일까지 총 2회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집단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주여성 청년들의 행복경험은 5개의 영역과 1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5개 영역은 ‘행복이라는 단어로 인식되지 못한 북한에서의 즐거운 경험’, ‘감시와 억압에서 벗어난 자유’, ‘법과 제도가 보장하는 노동에 대한 정당한 보상과 규칙’, 자아의 새로운 발견 및 꿈과 목표의 발견’, ‘북한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풍요로운 문화환경의 경험’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북한이주여성 청년들이 인식한 행복경험에 관한 내용과 그 의미를 발굴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핵심어: 북한이주여성, 북한이주청년, 행복, 행복경험, 집단심층면담 □ 접수일: 2022년 1월 15일, 수정일: 2022년 1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학습・심리상담전공 강사(First Author, Lecturer, Univ. of Seoul, Email: ramidream01@uos.ac.kr)** 교신저자,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예술심리치료학과 석사과정(Corresponding Author, Master’s Course, Myongji Univ., Email: welfarejs@hanmail.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