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족의 안과 밖의 경계에서 본 崔南善의 문화의식

        엄연석(Eom, Yeon-Seok)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人文硏究 Vol.- No.53

        본고는 민족의 안과 밖의 경계에서 한편으로 동북아에 공통적인 불함문화의 편재성을 강조하면서도 다른 한편 민족의식을 강조했던 육당 최남선의 민족적 인문적 문화의식을 ‘불함문화론’과 ‘조선심’을 중심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육당은 언어를 수단으로 불함문화 계통을 추적하였다 육당은 우주의 최고 원리이며 인류의 최고 이상으로서 태양을 실체로 광명을 덕으로 삼는 천신을 제사하는 문화를 불함문화의 본질로 파악한다. 이것을 그는 Park道라고 말한다. 그는 "Park(Parkkan(-ai)조선에만 국한되지 않고 불함문화 계통에 광범하게 퍼져 있다고 말하였다. 육당의 이러한 불함문화 정신은 그대로 조선인의 정신적 실체인 조선심으로 전환됨으로써 민족의 주체성을 발휘할 수 있는 현실개혁 정신이 된다. 육당은 조선심의 구체적 표상으로서 백두산의식을 말한다. 백두산은 도덕적이며 정신적인 존재로서 철학적으로 천인합일의 가장 상징적이고 구체적 표상으로서 조선의 이데아이며 엣센스이다. 육당은 또한 진화론을 받아들여 조선이라는 도덕적 의식과 문화적 자각을 통한 주체적 노력과 실천으로 문명화된 국가를 이룩할 것을 강조 한다. 요컨대, 육당은 불함문화론의 전개를 통한 단군의 역사적 실재성을 보편적으로 증명하고, 민족적 문화적 주체의식 또는 자각으로서 ‘조선심’을 이론적으로 고취하였다. 이러한 육당의 인문적 문화의식은 문화적 다원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추구할 것이 요구되는 현재적 시각에서 볼 때 그 적극적 의미가 다시금 고찰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tried to elucidate Yukdang Choe nam-seon’s national sense of culture contained in his Bulham (不咸) theory of culture and mind of Joseon(朝鮮心), who emphasized not only the universality of Bulham culture but also national sense. Yukdang pursuited the lineage of Bulham culture by means of language which expresses the culture and developes in accordance with history. Yukdang considered culture worshiping the Gods of Heaven (天神) as the essence of Bulham culture, which makes substance of Sun as ultimate principle of universe and highest human ideal, virtue of Lightness. He defined this as the way of Park(밝道). He said that this way Park(parkan(-ai) distributes widely over Bulham culture lineage without limiting within Joseon. Yukdang’s mentality of this Bulham culture becomes as such a reformative spirit of real life by being transformed into mind of Joseon as the mental substance of Joseon man. Yukdang derived mind of Josen from Dankun(檀君) of Bulham culture. That is to say, in Yukdang’s mind of Joseon i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which make possible definition of his sense of history and culture, and a principle of his science. Yukdang said sense of Baekdusan(白頭山) as concrete symbol of mind of Joseon. Baekdusan is moral and spiritual reality as the most concrete symbolic representaton of unity between heaven and man(天人合一) and idea and essence of Joseon. Also, Yukdang who accepted a part of the viewpoint of the theory of evolution(進化論), emphasized an accomplislunent of developted nation through the historical process by subjective effort and self-consciousness origined from moral sense and cultural awareness. Suming up, through this theoretical effort Yukdang intended to establish mind of Joseon as the ultimate and spiritual subjective sense of national culture coping with the theory of elimination of Dankun(檀君抹殺論) of the Japan Empire. As this, the positive meaning contained in Yukdang’s national and humane sense of culture in twentyone century again can be contemplated in contemporary point of view, which requires as well cultural unique within limited district as universality being transcendental particular culture at the same time.

      • KCI등재

        遼寜~西北韓 地域 墓制와 土器의 組合 關係 및 變動을 통하여 본 古朝鮮과 그 周邊

        오강원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논총 Vol.50 No.-

        During the late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of Liaoning and Northwestern Korea there were many material cultures in formation. Of these material cultures, there were two which brought about profound changes in the material cultures of surrounding regions in or around the begininning of the 3rd century B.C., especially when seen through burials and pottery. One was the Shiertaiyingzi culture and the other was the Warring States Yan culture of the Meiyangou type. Of the culture types of the Shiertaiyingzi culture, there were the Shiertaiyingzi type(B.C. 9th-7th century), Nandonggou type(B.C. 6th-4th century), Zhengjiawazi type(B.C. 6th-4th century) and the Gushanli type(B.C. 4th-3rd century). Of these types, the Shiertaiyingzi type, Zhengjiawazi type and the Gushanli type comprised the central component of Go-Joseon whereas the Nandonggou type was a Liaoxi area Go-Joseon coalition which briefly co-existed with the Liaodong Go-Joseon coalition centered on the Zhengjiawazi type. The Shiertaiyingzi culture, which was Go-Joseon culture, brought about profound transformations not only in Liaodong but also in the Northwest Korea region. This influence was increased by the mutual interaction sphere centered on the Shiertaiyingzi culture. Partially, it brought about the spread of certain Shiertaiyingzi culture artifacts to surrounding material cultures. Actively, it encroached upon the space of certain indigenous cultures and caused the all-out transformation of indigenous cultures. The periphery of Go-Joseon can be divided into the primary periphery and secondary periphery. The primary periphery includes the centers of the many types of Shiertaiyingzi culture and the material aspects of the surrounding areas. The secondary periphery includes the many cultures other than the Shiertaiyingzi culture and the indigenous burials and pottery such as the jisukmyo, piled stone tombs and Misongri type pottery. 후기 청동기시대~초기 철기시대 요령~서북한 지역에는 여러 물질문화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들 물질문화는 묘제와 토기를 중심으로 볼 때, 기원전 3세기를 기점으로 그 전후에 주변 물질문화에 커다란 변모와 변동을 불러일으킨 2개의 문화 계통이 확인되는데, 첫째는 십이대영자문화 계통이고, 둘째는 전국연문화 미안구유형이다. 십이대영자문화 계통으로는 십이대영자유형(기원전 9~7세기), 남동구유형(기원전 6~4세기), 정가와자유형(기원전 6~4세기), 고산리유형(기원전 4~3세기)이 있는데, 십이대영자유형·정가와자유형·고산리유형은 고조선의 핵심 줄기를 이루고 있고, 남동구유형은 잠시 정가와자유형 중심의 요동 고조선연맹체와 병존하고 있던 요서 고조선연맹체에 해당된다. 고조선문화라 할 수 있는 십이대영자문화는 요동은 물론 서북한 등지에 커다란 변화와 변동을 발생시켰다. 이러한 영향은 십이대영자문화 중심의 상호 작용 관계망에 의해 가속화되었는데, 부분적으로는 십이대영자문화의 일부 유물을 주변 물질문화에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였고, 적극적으로는 일부 토착 문화의 공간을 잠식하고 토착 문화가 전면적으로 변동되게 하였다. 고조선문화의 주변은 1차적 주변(문화-내)과 2차적 주변(문화-외)으로 대분할 수 있는데, 1차적 주변으로는 십이대영자문화 여러 유형 중심지의 주변과 주변 지역의 물질 양상을, 2차적 주변으로는 십이대영자문화 이외의 여러 문화와 지석묘·적석묘·미송리형호 등의 토착 묘제와 토기 등을 들 수 있다.

      • 『조선미인보감(朝鮮美人寶鑑)』의 문화사적 가치

        최식 ( Choi Sik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6 민족무용 Vol.10 No.-

        본고는 1918년에 발행된 『조선미인보감』의 문화사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조선미인보감』은 1910년대 각 권번과 조합의 예기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문화의 교섭양상을 살필 수 있어 매우 값진 문화사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그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상층 문화와 하층 문화의 교류이다. 경술국치 이후 악장과 정재로 대변되는 상층 문화는 쇠락의 길로 접어들고, 잡가·리곡·검무·승무 등 하층 문화는 그 나름 명맥을 유지한다. 당시 예기는 상층과 하층의 문화를 두루 섭렵하여 나름의 기예를 지니고 있었던 바, 그 문화적 교류의 중심축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둘째, 과거 문화와 현재 문화의 접목이다. 정재·가야금·현금·양금 등이 과거 문화에 해당한다면, 서양무도·내지무(일본춤)·쌍□질 가곡·장삼무등은 당시 새롭게 소개되고 유행하던 문화이다. 때문에 과거 문화의 바탕 위에 새로운 문화를 접목시키려는 시도가 이 무렵에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자국 문화와 외래 문화의 만남이다. 일본 문화는 경술국치 이후 일본인의 국내 이주가 본격화되면서 급속하게 유입되었다. 그러므로 일본의 대표적인 현악기인 삼미선을 연주하고 이소부시(磯節)·나니와부시(浪花節·難破節)·돈돈부시(どんどん節) 등 일본의 유행가를 부르는 것이 당시 예기의 한 가지 기예로 자리매김할 정도였다. 이는 자국 문화와 외래 문화의 만남을 시사하는 것으로, 당시 외래 문화의 수용양상을 짐작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조선미인보감『은 1910년대 각 권번과 조합의 예기를 중심으로 서술하면서, 아울러 상층 문화와 하층 문화의 교류, 과거 문화와 현재 문화의 접목, 자국 문화와 외래 문화의 만남 등 문화사적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가 』조선미인보감『에 대한 기존 인식을 바꾸어 그 가치에 부합하는 정당한 평가를 도출하는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I have researched cultural history value of 'Joseon beauty thesaurus' which published in 1918. 'Joseon beauty thesaurus' involves vary valuable history values not only 1910's each Keounbun's gisaeng and association but also data which can research approaching aspect. The contents can be divided by three. At first, there is the interchange between upper class and lower class. After 1910, the culture of upper class which spoke for Ackjang(樂章), Jungjae(呈才) and Chinese writing and the lower class of general public such as Jabga(雜歌), Laegok(俚曲), Sijo(時調), sword dance, and Buddhist dance maintained the existence. At that time, Eogi(藝妓) ranged over upper class and lower class culture, so it could perform the main role of the cultural interchange. Secondary, there is a cultural meeting between past and present. While Jungjae(呈才), Gayagum(伽倻琴), Hungum(玄琴) and Yanggum(洋琴) belong to existence culure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past, the West dancing, Japanese dancing, aria, and Jangsammu are newly informed and prevailed culture. Therefore it is the striking situation to meet new culture based on existence culture. At last, there is a cultural meeting between own country and foreign country. After 1910, Japanese culture rapidly flowed in Korea because of increased immigration Samof Japanese people, so to play Japanese representative string instrument shamisen and to sing the Japanese latest song like Isobusi(磯節)·Naniwabusi(浪花節·難破節)·Dondonbusi(どんどん節) were so popular at that time. It means the meeting between own country and foreign country, so we can guess the accepting situation of foreign culture at these times. Likewise 'Joseon beauty thesaurus' mainly describes 1990's each Keounbun's gisaeng and association and it also shows the approaching aspect of culture such as interchanging of upper culture and lower culture, meeting of past culture and present culture and meeting of own country's culture and foreign country's culture. It means the cultural value of 'Joseon beauty thesaurus' and it also suggests the right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today's 'Joseon beauty thesaurus'. I expect this study can help to change the existence understanding of 'Joseon beauty thesaurus' and then derive the correspondence value of it.

      • KCI등재

        서진(徐振), 백준(柏葰) 작품과 조선문화의 표상-명・청 문단과의 영향을 중심으로-

        정생화,양레이레이 한국한시학회 2020 韓國漢詩硏究 Vol.28 No.-

        Representations of Joseon by Qing’s envoy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literary style of the late 16th and 17th centuries. Starting with the widespread Joseon’s Hanshi(漢詩) in the Ming literary circle at the end of 16th century, it later developed into a big interest in the Joseon culture as well as its dissemination in the 17th century. During the Qing Dynasty, there were people who were adherents of Ming Dynasty bursting into tears when seeing the Joseon diplomatic groups, and Bachelor of Arts from the Hanlimwon who wanted to find poems written by Joseon women. In addition, with the help of the codifying works of the Kangxi imperial household, the Joseon’s Hanshi, which were collected and recorded in Joseon and which were rediscovered by Bachelor of Arts from the Hanlimwon, became a popular topic in the literary circles in the Qing Dynasty. This phenomenon had direct influences on and Beakjun, Qing’s envoy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on the Joseon representations in the their works. In his work Joseon Jukjisa, Xuzhen portrayed Joseon’s Hanshi by Quanbi and Baiguangxun(白光勳) as well as works such as Princess TingTing(婷婷) as Joseon literary representations at that time. Baijun sang the myths and long history of Joseon in Meditation on the past of Pyongyang City(平壤城懷古) and Joseon Jukjisa. Moreover, Jinshangxian(金尙憲), who interacted with the officials of the Ming Dynasty, not only created the representation of “Dongguk Stream(東國風流)”, but also presented Joseon customs as the Joseon culture of that time through Silla Jia Bei(嘉俳) and HuiSuQu(會蘇曲). All these shows the represented Joseon that is extended from the continuous care and acceptance from Ming and Qing literary circles. Therefore, the study on the Joseon representation in Xuzhen and Baijun’s works is significant in terms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status of Korean culture as well as the history of cultural exchanges in East Asia. 18~19세기 청사신의 조선 표상(表象)화는 16~17세기 명말, 청초문단의 영향이 매우 지대했다. 이는 16세기 말 명문단에 전해진 조선한시를 시작으로 17세기 청문단에서의 조선문화에 대한 관심과 전파였다. 당시 청나라 민간에서는 조선 사행단의 의복을 보고도 감격해하며 눈물을 짓는 명나라 유민들이 있었는가 하면 조선여성의 한시를 구해 보고자 하는 한림원 학사도 있었다. 이외 강희제의 황실편찬사업에 힘입어 조선에서 채록하여온 조선한시와 당대 한림원 학사들에 의해 재 발굴된 조선한시는 청문단에서 인기를 얻으며 회자되었다. 이는 17세기 중후반 청 문단에서 일어난 현상으로 당대 민간에서 일어난 신선한 바람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18세기 청사신 서진(徐振)과 19세기 백준(柏葰)이 조선을 표상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다. 서진은 「조선죽지사(朝鮮竹枝詞)」를 통해 조선 한시작가 백광훈과 권필 그리고 ‘정정공주(婷婷公主)’의 한시 작품을 당대 조선문학의 표상으로 그렸으며 백준은 <평양성회고(平壤城懷古)>시와 「조선죽지사」작품을 통해 조선신화로부터 발전되어온 조선의 유구한 역사를 노래하였다. 또한 해상 풍파를 뚫고 명나라 사대부들과의 교분을 나눈 조선 선비 김상헌의 풍류는 ‘동국풍류’의 표상으로 그려졌으며 신라의 가배와 회소곡은 한가위 세시 풍속으로서 예술적 요소가 다분한 조선문화의 한 표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꾸준히 진행되어온 명・청문단의 조선에 대한 관심과 수용의 연장선상 표상화된 조선문화라는 점에서 동아시아 문화교류사에서 주목해야 하는 한국문화 요소의 가치와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형성 과정 -세형동검문화 네트워크에서 흉노와의 교류까지-

        이후석 중부고고학회 2022 고고학 Vol.21 No.1

        The material culture of Wiman Joseon is not easy to access because of the lack of data for regions in North Korea due to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that make it difficult to determine its spatiotemporality. However,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formative process of its material culture through the expansion of Liaodong Commandery during the Yan·Qin·Han era, the expansion process of the Zhongyuan (Central Plains) Culture, its interrelationship with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of the Liaodong and the North Korea area, and its ironware. First, it is noteworthy that the range of commandery in Liaodong and the way the borders were controlled has changed constantly. Liaodong Commandery was first established at the beginning of 3rd century BC by Yan around the Shenyang-Liaoyang area, and this is inferred from the material culture of Yan style, which is mostly limited to the western part of Liaodong. After forming diplomatic relations in the early 2nd century BC, Han gradually expanded toward Liaodong Commandery to the Dalian and Dandong areas. This is inferred from the fact that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which was popular before and after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changed uniformly into the Zhongyuan Culture or retreated in the southeastern direction after the early Western Han period. In particular,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of the Shangbaochun Cultural Assemblage is considered to be the main material culture of Old Joseon(late), as it was prevalent from the eastern part of Liaodong to the western part of North Korea around the 3rd century BC. In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North Korea area, cultural changes are observed in which the Goejeongdong Cultural Assemblage replaces the Shangbaochun Cultural Assemblage around the end of the 3rd century BC. During this time,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of the Goejeongdong Cultural Assemblage spread throughout North Korea, including the middle and upper reaches of the Cheongcheon River, and it has been observed that an iron culture was accommodated after that. Iron weapons and non-Han style chariot fittings appeared and were used as a power basis of the ruling class. It is believed that Wiman Joseon developed itself by strengthening networks of interaction with Yemaek (in the Yalu River area and the Tumen River area), and Xingnu. 위만조선의 물질문화는 그 대상 자료의 범주와 시공간성을 확정하기 힘든 상황에서 북한지역의 보고 자료까지 부족하여 접근하기 쉽지 않다. 그렇지만 고대 요동군의 확장이나 중원문화의 확산, 요동~북한지역 세형동검문화의 변동이나 재지적인 철기문화 등의 상호 관계를 통해 그 물질문화의 형성 과정을 일부 복원할 수 있다. 먼저 요동군의 군현 범위와 변경 지배 방식이 일정하게 변화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기원전 3세기경 연은 심양-요양 일대에서 요동군을 설치하고 거점 지배를 추진하였고, 기원전 2세기경 한은 점차 대련 및 단동 일대까지 요동군을 확장하고 거점 지배를 강화하였다. 이는 기원전 3세기대 전후 유행했던 요동지역의 세형동검문화가 기원전 2세기대 후반부터 중원문화 일색으로 바뀌거나 요동-길림 접경지역으로 퇴축되는 것을 통해 짐작된다. 한편 북한지역의 세형동검문화에는 기원전 3세기말 전후 남한계의 괴정동유형이 요동계의 상보촌유형을 대체하는 문화변동이 주목된다. 이때 괴정동유형은 청천강의 중상류를 포함하여 북한 거의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이후 철기문화까지 복합되어 일부 철제무기류와 ‘비한식계’ 차마구를 지배층의 권력 기반으로 활용하였음이 확인된다. 위만조선은 가까이는 압록강권 및 두만강권 예맥집단, 멀리로는 흉노와의 중층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발전하였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안확의 `조선` 연구와 문명의 발견

        이행훈 ( Lee Haeng-ho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2

        1920년대 조선사편수회를 비롯해 조직적으로 진행된 일제의 조선사 연구는 조선의 식민화를 영구화하려는 획책이었다. 3ㆍ1운동 이후 일제가 내건 문화정치 3대 방안 가운데 하나인 `민족성 개조`도 조선의 역사성을 외래성과 식민성, 당파성과 미개성으로 낙인찍은 식민주의의 소산이었다. 이에 저항하는 조선인의 연구는 조선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증명하는 전통의 창조로 나아갔다. 1920년대 들어 활발해진 고대사 연구는 식민 현실을 외면하고 관념화된 과거의 역사 기억으로 도피하는 게 아니라 한민족의 역사를 새롭게 구성하는 일이었다. 이때 단군은 민족 공동의 시원으로서 문화적 동일화를 이끌며, 발명된 민족의 정체성은 상처 입은 주체를 치유하는 것이었다. 신화를 역사의 일부로 이끌어 오는 일련의 시도는 안확에서도 발견된다. 조선의 민족성을 서구 문명국가와 비교해도 우수한 장점을 지닌 것으로 표명하였고, 조선 문화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보편 문명사로 정립하는 방대한 기획은 『조선문명사』로 나타났다. 조선 민족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규명하는 문화 연구와 조선 민족의 저력을 드러낸 통사 기술은 과거 역사 속에 명멸했던 다양한 주체들을 동일한 역사를 공유하는 단일한 민족으로 상상하게 했다. 안확의 조선 연구는 일제의 식민사관에 대한 저항이자 민족적 자각을 통한 웅비를 염원하는 것이었다. 그는 민족주의적 관점을 견지하면서도 자유와 자치, 자율과 이성 위에 선 개인을 문명과 문화를 만드는 주체로 설정함으로써 국가이데올로기로 고착된 일본의 문화사와 길을 달리 했다. The systematic research on the Joseon history under Japanese imperialism in the 1920s, including that of the Joseo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was one of the stratagems that Japan employed to perpetuate the colonization of Joseon. The `renovation of national traits`, one of the three cultural measures taken by Japanese imperialism after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was an attempt to degrade Joseon`s nationality as extraneous, dependent, factional, and uncivilized. Against this, Koreans tried to create their own tradition that could prove Joseon`s uniqueness and independence. The purpose of their study on ancient history, which became animated in the 1920s, was not to escape from the reality of Joseon into the idealized past, but to construct the history of Korean people anew. In this context, Dangun could refer to cultural identity as the communal origin of the nation, and this invented identity could lead to the healing of the injured subject. An Hwak`s attempt was part of this efforts to call out myth as history. He suggests that Joseon`s national traits are superior even to the Western civilization in several ways, and his vast plan to set up Joseon`s cultural uniqueness and identity as history of universal civilization bore fruit in the History of Joseon Civilization. With cultural research for figuring out Joseon`s national peculiarity and identity and historiography for revealing Joseon`s national potential, he makes it possible for people to imagine various agents in the Joseon`s past as belonging to a single nation with an identical history. Through his study on Joseon, he fought back the Japanese colonial view of history and tried to exalt national consciousness. Asserting independent and rational individuals as agency of civilization and culture though firm in the national perspective, he eventually went a way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Japanese history of culture.

      • KCI등재

        메이지(明治)시대 조선 문화의 소개양상 - 나카라이 도스이(半井桃水)『胡砂吹く風』에 대해서 -

        조혜숙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09 일본사상 Vol.0 No.16

        oseon and tried to introduce the culture of Joseon, actually introduced, and how he understood and accepted by examining the annotations and text of his novel ‘Kosahukukaze’. In the book, he, without assessing their values, introduced various areas of Joseon's culture, including regular annual events, four ceremonial occasions, several districts of Joseon, and customs. That's why we consider the novel as a introducing book of Joseon culture, whether the facts he said were true or not. On the contrary, he sometimes assessed the values of some aspects of Joseon cultures. For example, he spoke highly of the affec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sons or daughters and women's bravery, while almost all the assessments were not in favor of Joseon's culture. He said that Joseon had no sanitary mind and established facilities for sanitation, and was based on the premodern Confucianism. He also mentioned the sorts and cruel scenes of Joseon's punishments of the criminal system, through which he described Joseon as uncivilized. Furthermore, Joseon's people were described as corrupted officials, stupid civilians, and harassed women. In those times, Japan tried to define Japan as civilization and Joseon as barbarious to dominate the advantageous position in Joseon after First Sino-Japanese War. ‘Kosahukukaze’ written before the War can be evaluated as the first book that described Joseon negatively and introducing book that mentioned various aspects of Joseon's culture without special assessments.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의 연인으로 유명한 나카라이 도스이(半井桃水)는 메이지(明治)시대에 다양한 형태로 조선과 조선 문화를 소개한 소설기자이다. 그는 사이쿄신문(西京新聞), 아사히신문(朝日新聞)의 신문기자로 활약하면서 기사를 통해 조선과 조선 문화를 소개하였으며, 일본에서 최초로 춘향전을 번역하여 신문에 연재하고 조선소설 『胡砂吹く風』를 발표하였다. 춘향전을 『雞林情話 春香傳』이라는 제목으로 번역, 연재함에 있어 도스이는 「조선의 풍토와 인정」을 소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나카라이 도스이는 1822년 6월 25일자「大阪朝日新聞」에 『雞林情話 春香傳』1회를 연재하면서 본문 앞부분에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우리나라(일본-인용자주)가 조선과 관계를 맺은 지가 이미 오래되었지만 아직 조선의 풍토나 인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묘사하여 세상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제공한 것을 보지 못하여 이 점을 항상 유감스럽게 생각했는데, 최근에 우연히 조선의 연애담을 기록한 소책자 하나를 얻었다. 마침 조선의 풍토나 인정에 관한 것을 충분히 알도록 하여 통상무역을 활발히 하고자 하는 지금 이 때에 가장 필수적인 책이므로 번역하여 연재한다. . 『雞林情話 春香傳』뿐만 아니라 조선을 배경으로 한 소설 『胡砂吹く風』의 집필의도 역시 조선 문화소개에 있었다. 도스이는 『胡砂吹く風』머리말에 「조선의 토지, 풍속, 인정의 변화, 제도, 문물, 공예의 차이에 이르기까지 전부 기록한다. (중략) 무엇보다도 기이한 습관과 같은 것은 그 때마다 매회 끝에 덧붙여 적을 것이다」 이하 『胡砂吹く風』의 본문은 半井桃水 『胡砂吹く風』 前․後編 (今古堂 1892. 12․1893. 1)에서 인용한다. 또한, 『胡砂吹く風』본문 인용문 중, 시작 꺽쇠(「)에 대응하는 끝 꺽쇠(」)가 없는 것은 원문 그대로임을 밝혀둔다. 라며 당시에 잘 알려지지 않은 조선과 조선 문화에 대해서 소개할 것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雞林情話 春香傳』과『胡砂吹く風』는 모두 조선과 조선 문화를 소개한다는 의도를 가지고 연재되었으나 다양한 조선 문화를 소개함에 있어『雞林情話 春香傳』은 번역이기 때문에 한계성을 지니고 있었던 반면, 『胡砂吹く風』는 비교적 자유로운 설정이 가능했다는 점에서 대조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을 배경으로 한 최초의 소설로 평가받고 있는『胡砂吹く風』를 통해서 메이지시대 조선과 조선 문화의 소개 및 평가양상에 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선행연구 가운데 『胡砂吹く風』에 소개된 조선의 모습에 관해서 분석한 것으로는 정미경(鄭美京 2005) 鄭美京「新聞小説『胡砂吹く風』に描かれた朝鮮」(「韓国言語文化研究」2005. 11) 과 권미경(權美敬 2006)權美敬「風俗小説としての小説ー『胡砂吹く風』、『小説東学党』での「附記す」の問題ー」(「일본어문학」2006. 2) 이 있다. 정미경은 논문제목을 「신문소설 『胡砂吹く風』에 그려진 조선(新聞小説『胡砂吹く風』に描かれた朝鮮)」이라고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품 안에 그려진 조선상을 규명하는 것보다 작품집필 동기, 아사히신문 게재동기, 정치소설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논을 전개하고 있다. 한편 권미경은 도스이가 매회 끝부분에 덧붙인 부기부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胡砂吹く風』에 그려진 조선을 정치, 관광, 여자, 문학, 장례, 형벌의 6개 항목으...

      • KCI등재

        일제시기 ‘조선풍속인형’과 조선인의 시각적 재현

        권혁희 국립민속박물관 2007 민속학연구 Vol.0 No.21

        This paper purports to re-organize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when it started to produce and consume dolls as tourism souvenirs in Korea, and then, to examine through what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he dolls got consumed. Dolls as tourism souvenirs are the visual reproduc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nation and of traditional dresses, and they are media that symboli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culture. In this respect, dolls are the important subject for the research of material cultures. Especially, Joseon dolls, which were consum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re the reproduction of genera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so they will be a good chance to study how the image of Koreans was made by others. First of all,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Joseon folk dolls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and the folk toy industry of Japan. As a part of the tourism promotion policy of Japan, a souvenir promotion policy was developed, which made the folk toy industry of Japan grow up. And this policy got expanded to Joseon and finally, Joseon folk dolls were produced. At that time, the dolls were introduced as Joseon folk products in the guidebook that was published by the Railroad Board and Civil Tourism Association. The dolls were consumed as folk souvenirs representing Joseon at shopping malls and department stores in major cities of Joseon, tourist resorts like hot springs and historic relics, and folk product shops near train stations. In general, Joseon folk dolls were produced in the form of "Itobori"-a representative form of Japanese traditional folk toys-and of earthen doll so they clearly showed a connection with Japan. In addition, the images of Koreans, which were revived in Joseon folk doll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photo postcards which were popular from 1900s. A topic of 'Joseon customs' was copied through different media of a doll and a photo postcard, and simultaneously, they became products for consumption as tourism souvenirs. It is a good case that shows how the modern consumption culture of tourism revived Joseon and made it into a product. The dolls made of the materials and the techniques which were produced in Japan were made into Joseon folk products and consumed as the generalized cultural image of Koreans. Finally, the typical image of Koreans, which was select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was selected too even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was made into a product. The form of dolls which were produc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were reproduced even after the independence, which shows the influence of the dominant visual cultures of a period. In 1950s, stuffed dolls, which show the traditional emotions of Korea and are different from Joseon folk dolls, were produced in quantity. However, to the question what would be the image to show the traditions of Korea, the image of 'Joseon folk dolls', which were consum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had more similarities.

      • KCI등재

        홍산문화 유물에 보이는 인장의 기원과 고조선문화

        朴仙姬(Park, Sun-hee)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9

        홍산문화(서기전 4,500~서기전 3,000)에 속하는 내몽고자치구 哲理木盟 奈曼旗 境內에서 두 개의 옥인장이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이 옥인장에는 몸체에 모두 구멍이 뚫려있어 끈을 꿰어 의복에 차거나 달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기할 것은 인면에 홍색의 안료가 남아있는 점이다. 중국학자들은 이 옥인장을 ‘중화민족제일인(中華民族第一印)’이라 명명했다. 그러나 이 옥인장들이 실제로 나만기 境內에서 출토된 것이라면, 홍산문화유적에서 보이는 유적과 다양한 복식유물들은 중국이나 북방지역의 것과 달리 고조선문화의 특징적 요소들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어, 중국학자들이 이 옥인장을 ‘중화민족제일인’으로 분류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 홍산문화는 주로 복식품으로 사용되었을 옥기뿐만이 아니라 적석총, 제단, 성곽과 취락유적들이 함께 두드러진 문화이다. 그리고 이곳에서 사용되었을 악기와 도구 등의 유물에서 보여지는 문화적인 의미와 상징적 가치 역시 뛰어나다. 특히 홍산문화 후기의 우하량유적은 제단과 여신묘, 적석총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규모의 유적으로 상당히 수준 높은 사회발전의 단계를 이루고 있다. 홍산문화에서 보여지는 이러한 문화현상들은 중국문화와 확연히 구별되고, 고조선문화와 이후의 여러나라시대 문화 특징에 지속적인 발달 양상을 보여준다. 따라서 홍산문화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는 옥인장을 ‘중화민족제일인’으로 해석하는 중국학자들의 견해는 중화주의에 따른 헛된 집착일 뿐이다. 중국학자들은 아주 단순히 오늘날 만주가 그들의 영토이기 때문에 그곳에 대한 고대의 연고권을 주장하는 의도적인 경향이 많다. 홍산 옥인장에 대한 해석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중국학자와 일본학자들은 중국이 동아시아에서 옥기를 가장 이른 시기에 사용했던 것으로 보고 있지만, 옥기의 사용은 중국보다 한반도와 만주지역이 훨씬 이르다. 인장의 출현은 사회발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마련이다. 옥인장이 출토되었다고 전하는 나만기의 유적들에서는 성벽이 발견되었다. 성곽유적은 정치적 지도자가 무리를 통치하며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공동체의 자취를 보여주는 정치적 구조물이다. 인장은 정치지도자가 직권을 행사하는 상징물이며 공구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특히 나만기의 여러 유적들에서는 한민족 문화의 특징인 새김무늬질그릇이 출토되었다. 중국에서는 곡옥을 비롯한 옥기들이 위의 동북지역보다 약 1,000년 정도 늦게 만들어졌던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인장의 경우는 현재까지의 출토물로 보아 중국 최초로 일컬어지는 상시대의 동인장(銅印章)을 기준으로 하면, 홍산 옥인장 보다 만들어진 시기가 적어도 약 2,000년 정도 늦다. 이와 같은 내용에 근거하면 오히려 인장을 비롯한 옥기 등의 문화가 한반도나 만주지역에서 기원하여 중국에 전파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종래와 같이 동아시아의 모든 문화가 황하유역으로부터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으로 보는 선입관이 수정되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인장의 기원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삼국유사??에 실린 단군사화의 내용에 보이는, 천부인(天符印)을 주목한다. 단군사화와 고고학 자료는 한국의 상고시대를 해석하는데 서로 보완관계에 있다. 나만기 境內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는 옥인장이 만들어졌을 시기는 이 유적이 홍산문화시기에 속하므로 서기전 4,500~서기전 3,000무렵의 고조선 건국 이전 단계로 환웅의 ‘신시’시대에 속한다. 복식문화와 채색기법, 부호문화, 종교유적과 유물, 옥의 재질, 옥기의 양식 등의 대한 분석으로부터 홍산문화의 모든 내용과 성격들이 고조선문화의 원형임을 입증해 주고 있다. 아울러 홍산옥인장의 주체는 고조선 이전 환웅천왕 ‘신시’문화의 산물인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홍산 옥인장을 중심으로 분석된 홍산문화의 성격은 중국이나 북방지역의 것과 크게 구별되고, 고조선과 여러나라시대 문화에 그 특징적 요소들이 그대로 지속되고 있어 그 실체와 정체를 한민족 문화의 원형으로 귀속시켜야만 한다. 최근 중국에서는 홍산문화를 포함한 만주의 고대문화를 총칭하여 하나의 강 이름으로 포괄하여 ‘요하문명’이라 부르며 이를 중국의 황제문화로 포함시키려 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요하문명’이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면 중국학계의 단순한 설명을 용납하고 동북공정을 따르는 것이나 다름없게 된다. 우리는 이 문화를 반드시 ‘고조선문명’이라 불러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홍산 옥인장의 주체도 ‘중화민족제일인’이 아니라 환웅천왕 ‘신시’문화의 상징물로 올바르게 제자리를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Two jade stamps have been excavated from Inner Mongolia Naman era ruins which is a part of the Hongsan Culture. The special thing about it is that the red pigments are still left on the stamp. Chinese scholars have claimed that these stamps are China’s first stamps. However the remains and other clothing artifacts found at the Hongsan remains have indicated that it is different from China’s northern region and instead showed characteristics of Old Joseon hence we are not able to agree with what the Chinese scholars have claimed. The Hongsan culture is a noticeable culture not only because of the use of jade in clothing but also due to stone mound tombs, altar, fortress and remains of settlements. Furthermore it has high symbolic value and cultural meaning which was shown through the remains of instruments and tools. Especially from the Woo Ha Ryang remains which is the latter part of Hongsan culture, the large scale remains which consists of altars, female temples, stone mound tombs shows a rather high standard of social development. These cultural phenomenon from Hongsan Culture can be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Chinese culture and since the Old Joseon culture we can see that there has been a consistent cultural development in various countries’ periodic cultures. Therefore the jade stamp excavated from the Hongsan culture which is claimed as the first Chinese stamp by the Chinese scholars is only just an empty obsession brought down from the Chinese belief. Also the Chinese and Japanese scholars believe that China was the first country in all of East Asia to have used the jade stamp however the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have been using these stamps much earlier than China. It is shown that in China these jade stamps based off Quwo has been made 1,000years later than the east northern region. Also as for the stamp, by looking at the excavations up to today, it is set as the first ever Chinese bronze stamp. These bronze stamps in comparison with the jade stamps have been invented around 2,000years later. If we take this as evidence we are abel to deduce that stamps and other jade related culture could have spread to China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As it was in the past, the idea that all East Asian culture have been spread to other regions through the Chinese Yellow River Basin should be revised and amended.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shell-and-bone or or the forbidden gates from China’s Shang Dynasty have similar engravings as the remains of pottery and jade excavated from the Hongsan culture; in which this culture was advanced by about 2,000 years. About the origin of stamps in Korea, we can take a closer look at Cheon wife from Dangun history tale from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 time in which jade stamps were created would be between 4,500 to 3,000BC. This is a period before Old Joseon known as Hwanung’s ‘Sisin’ era. Not only was it clearly stated through the sucession of Old Joseon from Hongsan culture and that the jade stamps’ principals are from the Heavenly King Hwanung’s Sinsi culture but it has also come to open after analyzing the jade stamp’s material. After analyzing the clothing culture and coloring techniques, signing culture, religious remains and artifacts, quality of jade, jade patterns shown by the Hongsan culture proves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circularness of Old Joseon. Additionally the main agent of Hongsan’s jade stamp has been identified to be a product of Heavenly King Hwangung’s ‘Sinsi’ culture before Old Joseon. Therefore centering the Hongsan jade stamp, the analyzed Hongsan culture’s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from the Chinese northern regions and as Old Joseon along with many other countries cultures’ characteristical factors are consistent, we need to reverse the reality and stagnance to the Korean race’s original form. Recently, in China have included Manchuria (including Hongsan Culture)

      • KCI등재

        서진(徐振), 백준(柏葰) 작품과 조선문화의 표상 -명·청 문단과의 영향을 중심으로-

        정생화 ( Shenghua Ding ),양레이레이 ( Leilei Yang ) 한국한시학회 2020 韓國漢詩硏究 Vol.28 No.-

        18~19세기 청사신의 조선 표상(表象)화는 16~17세기 명말, 청초문단의 영향이 매우 지대했다. 이는 16세기 말 명문단에 전해진 조선한시를 시작으로 17세기 청문단에서의 조선문화에 대한 관심과 전파였다. 당시 청나라 민간에서는 조선 사행단의 의복을 보고도 감격해하며 눈물을 짓는 명나라 유민들이 있었는가 하면 조선여성의 한시를 구해 보고자 하는 한림원 학사도 있었다. 이외 강희제의 황실편찬사업에 힘입어 조선에서 채록하여온 조선한시와 당대 한림원 학사들에 의해 재 발굴된 조선한시는 청문단에서 인기를 얻으며 회자되었다. 이는 17세기 중후반 청 문단에서 일어난 현상으로 당대 민간에서 일어난 신선한 바람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18세기 청사신 서진(徐振)과 19세기 백준(柏葰)이 조선을 표상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다. 서진은 「조선죽지사(朝鮮竹枝詞)」를 통해 조선 한시작가 백광훈과 권필 그리고 ‘정정공주(婷婷公主)’의 한시 작품을 당대 조선문학의 표상으로 그렸으며 백준은 <평양성회고(平壤城懷古)>시와 「조선죽지사」작품을 통해 조선신화로부터 발전되어온 조선의 유구한 역사를 노래하였다. 또한 해상풍파를 뚫고 명나라 사대부들과의 교분을 나눈 조선 선비 김상헌의 풍류는 ‘동국풍류’의 표상으로 그려졌으며 신라의 가배와 회소곡은 한가위 세시 풍속으로서 예술적 요소가 다분한 조선문화의 한 표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꾸준히 진행되어온 명·청문단의 조선에 대한 관심과 수용의 연장선상 표상화된 조선문화라는 점에서 동아시아 문화교류사에서 주목해야 하는 한국문화요소의 가치와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Representations of Joseon by Qing’s envoy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literary style of the late 16th and 17th centuries. Starting with the widespread Joseon’s Hanshi(漢詩) in the Ming literary circle at the end of 16th century, it later developed into a big interest in the Joseon culture as well as its dissemination in the 17th century. During the Qing Dynasty, there were people who were adherents of Ming Dynasty bursting into tears when seeing the Joseon diplomatic groups, and Bachelor of Arts from the Hanlimwon who wanted to find poems written by Joseon women. In addition, with the help of the codifying works of the Kangxi imperial household, the Joseon’s Hanshi, which were collected and recorded in Joseon and which were rediscovered by Bachelor of Arts from the Hanlimwon, became a popular topic in the literary circles in the Qing Dynasty. This phenomenon had direct influences on and Beakjun, Qing’s envoy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on the Joseon representations in the their works. In his work Joseon Jukjisa, Xuzhen portrayed Joseon’s Hanshi by Quanbi and Baiguangxun(白光勳) as well as works such as Princess TingTing(婷婷) as Joseon literary representations at that time. Baijun sang the myths and long history of Joseon in Meditation on the past of Pyongyang City(平壤城懷古) and Joseon Jukjisa. Moreover, Jinshangxian(金尙憲), who interacted with the officials of the Ming Dynasty, not only created the representation of “Dongguk Stream(東國風流)”, but also presented Joseon customs as the Joseon culture of that time through Silla Jia Bei(嘉俳) and HuiSuQu(會蘇曲). All these shows the represented Joseon that is extended from the continuous care and acceptance from Ming and Qing literary circles. Therefore, the study on the Joseon representation in Xuzhen and Baijun’s works is significant in terms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status of Korean culture as well as the history of cultural exchanges in 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